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6. 5. 28. 22:23

몸풀기 동의보감/잡병편2016. 5. 28. 22:23

부인[婦人]

« 동의보감(東醫寶鑑)

« 부인[婦人]

몸풀기

몸풀기하려는 증후[欲産候] » · 맥 보는 법[脈法] »

방예하는 법[禳法]1 » · 겉에 약을 붙이는 법[外貼法] »

죽은 태아 나오게 하는 법[下死胎] » ·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胞衣不下] »

  • 방예하는 법[禳法]2 »
  • 몸풀기 전 여러 가지 증[産前諸證] »

    자간(子癎), 자번(子煩), 자종(子腫), 자림(子淋), 자수(子嗽), 자리(子痢), 자학(子 ), 자현(子懸), 감기[感寒], 임신부가 말 못하는 것[孕婦不語], 태아가 뱃속에서 우는 소리 같은 소리가 나는 것, 임신부의 뱃속에서 종소리 같은 소리가 나는 것

  • 몸푼 뒤 여러 가지 증[産後諸證] »

    후배앓이[兒枕腹痛], 혈훈(血暈), 혈붕(血崩), 코피, 숨차 하고 기침하는 것, 딸꾹질, 몸푼 뒤에 말을 못하는 것, 몸푼 뒤에 헛것에 들려 헛소리하는 것, 몸푼 뒤에 열이 나는 것, 몸푼 뒤에 젖몸이 늘어지는 것, 몸푼 뒤 젖이 나지 않는 것, 몸푼 뒤 자궁이 탈출된 것, 몸푼 뒤의 울모(鬱冒), 몸푼 뒤의 풍치(風 ), 몸푼 뒤의 두통, 몸푼 뒤의 명치 밑과 허리, 옆구리가 아픈 것, 몸푼 뒤의 구역, 몸푼 뒤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과 오줌이 나오는 줄 모르는 것, 몸푼 뒤의 설사와 이질, 몸푼 뒤의 변비, 몸푼 뒤의 부종

몸푼 뒤 맥 보는 법[産後脈法] » · 몸푼 뒤 치료법[産後治法] »

달 지났어도 몸풀기 못하는 것[過月不産] » · 임신 때 두루 쓰는 약[妊娠通治] »

몸풀기하려는 증후[欲産候]

임신부가 달이 찼을 때에 이경맥(離經脈, 처방은 아래에 있다)이 나타나고 배가 아프면서 허리와 등이 켕기면 아이를 낳으려는 것이다[맥경].

○ 임신부의 배꼽 주위가 다 아프면서 연달아 허리까지 켕기고 아프며 눈에 불꽃이 이는 것 같은 것은 아이가 도는 것이다. 대개 신(腎)은 허리와 연계되어 있고 자궁은 신(腎)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정전].

○ 임신 8개월에 배가 아팠다 멎었다 하는 것을 농통(弄痛)이라고 하는데 정상 몸풀기를 하려는 증후가 아니다. 혹 배는 아파도 허리가 심하게 아프지 않은 것, 태아가 위에 있으면서 처져 내려가지 않은 것, 항문이 내밀지 않는 것이나 양수가 터져 나오지 않았거나 혈이 나오지 않은 것, 양수가 나와도 배가 아프지 않은 것들은 다 정상 몸풀기를 하려는 증후가 아니므로 산모를 부축하여 천천히 걷게 하고 꾹 참게 하며 아이 낳을 자리에 앉히지 말아야 한다[양방].

○ 태기가 처져 내려가서 아이가 음문으로 내밀고 허리가 무거우면서 몹시 아프고 눈에서 불꽃이 이는 것 같고 항문이 내밀면 이것은 곧 몸풀기를 하려는 증상이므로 이때에는 자리를 잡고 힘을 주어야 한다[양방].

맥 보는 법[脈法]

몸풀기하려는 여자에게서 이경맥이 나타나는데 그 맥은 침세(沈細)하고 활(滑)하다. 밤중에 아프기 시작하면 몸풀기하려는 것인데 다음날 오후에 몸풀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맥결].

○ 『난경』에는 “숨을 한번 내쉬는 동안에 맥이 세번 뛰는 것은 이경맥이다. 한번 숨을 내쉬는 동안에 맥이 한번 뛰는 것도 이경맥이다”라고 씌어 있다. 임신부가 몸풀기하려고 할 때에는 맥이 다 이경맥이 되는데 밤중에 아프기 시작하면 다음날 한낮에 몸풀기한다[강목].

○ 척맥이 몹시 팽팽해서 노끈을 누르는 것 같고 구슬을 굴리는 것 같으면 아이를 곧 낳는다[맥경].

○ 이경맥은 한번 숨쉴 동안에 여섯번 뛰는데 침세(沈細)하면서 활(滑)하고 진통이 허리까지 미치면 아이가 곧 나온다[단심].

몸풀기를 안전하게 하는 법[保産]

난산은 다 임신 8-9개월에 성생활을 삼가하지 않은 탓으로 기혈이 허해져서 생긴다[단심]. ○ 대체로 아이는 저절로 정해진 때가 되면 낳기 때문에 억지로 빨리 낳게 하고 쉽게 낳게 하는 약을 절대로 먹지 말아야 한다. 또 아이 낳을 자리에 너무 일찍 앉거나 조산원이 함부로 손으로 태아를 내려고도 하지 말아야 한다[양방].

○ 난산하는 것은 잘살고 안일한 여자에게서 많이 볼 수 있으며 가난하고 고생하는 여자에게는 적다. 옛처방에는 수태음(瘦胎陰, 즉 지각산이다)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본래 호양공주(湖陽公主)를 위해서 만들어 낸 처방이다. 그 처방의 원리는 그 여자가 너무 잘 먹어서 기가 성한 것인데 이 약으로 그 기를 소모시키기 위해 만들었기 때문에 아무에게나 다 맞는 처방은 아니다. 어떤 부인이 난산으로 고생한 다음부터 임신하였으나 걸핏하면 유산하곤 하였다. 내가 대전자소음(大全紫蘇飮)에 기를 보하는 약을 더 넣어서 10여 첩을 쓰게 하였더니 그후에 아들을 낳았는데 아주 쉽게 낳았다. 그래서 그 처방의 이름을 달생산(達生散)이라고 하였다[단심].

○ 임신부가 운동은 하지 않고 몸을 펴고 있지 않다가 진통을 참느라고 몸을 오그리고 모로 누워 있으면 태아가 뱃속에서 돌지 못하여 가로 놓여 나오거나 거꾸로 나오게 된다. 심하면 태아가 뱃속에서 죽는 일도 있으므로 삼가해야 한다[단심].

○ 몸풀기할 달이 다 차면 배가 아프게 되는 법이므로 너무 일찍 서둘러서 임신부를 놀라게 하거나 겁을 먹게 해서는 안 된다. 대개 겁을 내면 기운이 부족하여 움츠러든다. 이렇게 되면 상초가 막히고 하초가 창만(脹滿)해서 기가 돌지 못하여 난산하게 된다. 이런 때에는 빨리 자소음(紫蘇飮,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먹여서 그 기를 잘 통하게 해야 한다[정전].

○ 태아가 어머니의 뱃속에 있을 때에는 양수에 의하여 영양되다가 달이 차면 혈기가 온전해지고 형체와 정신이 구비되어 갑자기 꿈을 깨는 것과 같이 스스로 양수가 터져 나오고 길을 찾아 나오게 되는 것이다. 양수는 본래 태아를 기르는 물이다. 만일 태아가 본래의 기운이 든든하면 자궁에서 양수가 터지는 즉시로 나오기 때문에 쉽게 몸풀기하게 된다. 그러나 그 본래의 기운이 약하면 태아가 머리를 돌리는 것이 늦어서 양수가 다 나오고 궂은 피[汚血]가 산도를 막기 때문에 난산이 된다. 이런 때에는 최생여성산(催生如聖散), 최생단(催生丹), 신효유주단(神效乳珠丹), 불수산(佛手散), 여신산(如神散), 흑신산(黑神散), 이퇴산(二退散), 삼퇴산(三退散), 삼퇴육일산(三退六一散), 토뇌환(兎腦丸), 용태산(龍 散), 흑룡단(黑龍丹), 최생산(催生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저방]

○ 몸풀기할 무렵에 떠돌거나 다투거나 죽이나 밥을 먹게 해서는 안 된다. 산모를 부축하여 천천히 걷게 하거나 그런 힘이 없으면 무엇에 기대어 서 있게 한다. 진통이 점차 강하게 자주 오고 몸풀기할 증상이 보일 때 자리에 앉게 한다. 그 다음 아이를 빨리 낳게 하는 약을 먹이고 나서 태아가 내밀려고 할 때를 기다려서 한번 힘을 주면 자연히 쉽게 낳는다[득효].

○ 몸풀기 직전에 갑자기 눈이 뒤집히고 이를 악물며 거품침을 토할 때에는 벽력단(霹靂丹)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태아를 여위게 해서 낳기 쉽게 하는 것[瘦胎令易産]

기혈이 허약한 임신부가 9-10개월이 된 때에 조리를 잘하지 못하였거나 너무 지나치게 안일했거나 너무 살이 쪄서 기혈이 몰리는 등으로 태아가 잘 돌지 못할 때에는 달생산(達生散), 수태지감산(瘦胎枳甘散), 구생산(救生散), 불수산(佛手散), 익모환(益母丸), 축태환(縮胎丸), 속태환(束胎丸), 신침원(神寢元) 등의 약을 먹으면 자연히 쉽게 몸풀기한다[입문].

달생산(達生散)

임신부가 몸풀기할 달에 20여 첩의 약을 먹으면 쉽게 몸풀기할 뿐 아니라 병이 없어진다.

빈랑껍질(대복피, 술로 씻은 것) 8g, 감초(닦은 것) 6g, 당귀, 흰삽주(백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g, 인삼, 귤껍질(陳皮), 차조기잎(자소엽), 지각, 사인(간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푸른 파잎 5잎을 넣어 물에 달여 먹는다. 혹 이 약을 달인 물로 익모환(益母丸)을 먹으면 더욱 좋다[단심].

○ 일명 축태음(縮胎飮)이라고도 한다[단심].

수태지감산(瘦胎枳甘散)

임신 8-9개월 안에 태기가 막혀서 그득할 때에 늘 먹으면 아이를 쉽게 낳게 한다.

지각 200g, 감초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인 물에 타 먹는다. 혹 향부자 40g을 더 넣으면 더욱 좋다[입문].

○ 일명 활태지각산(滑胎枳殼散)이라고도 한다[본사].

○ 일명 지각육일산(枳殼六一散)이라고도 한다[직지].

구생산(救生散)

임신 8개월에 이 약을 먹으면 태아를 여위게 하여 쉽게 몸풀기하는데 효과가 지각산보다 낫다.

인삼, 가자육,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흰삽주(백출), 귤홍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물에 달여 먹는다[발수].

불수산(佛手散)

임신부가 몸풀기할 달에 이 약을 먹으면 태아가 여위어서 쉽게 몸풀기하므로 자연히 난산할 염려가 없다.

당귀 24g, 궁궁이(천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이되 다 끓을 무렵에 술을 조금 넣고 다시 달여 더운 것을 먹는다. 익모초 12g을 더 넣으면 그 효과가 더욱 좋다[회춘].

○ 일명 궁귀탕(芎歸湯)이라고도 하는데 궁궁이(천궁)와 당귀를 각각 같은 양으로 했다[입문].

익모환(益母丸)

아이를 빨리 낳게 하는 데 효과가 있다.

익모초(음력 5월초와 6월초에 꽃이 필 때 뜯어서 그늘에 말려 쓰되 쇠그릇은 쓰지 않는다)

이것을 짓찧어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끓인 물에 풀어 먹는다. 혹은 벽오동씨만하게 만들어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끓인 물로 먹는다[종행].

○ 일명 반혼단(返魂丹)이라고도 하는데 아이를 빨리 쉽게 낳게 하고 또 가로 낳거나 거꾸로 낳는 것과 산후의 온갖 병을 치료한다[입문].

축태환(縮胎丸)

임신 8-9개월에 이 약을 먹으면 태아가 여위어서 쉽게 몸풀기하게 된다.

속썩은풀(황금, 닦은 것, 여름에는 40g, 봄과 가을에는 28g, 겨울에는 20g), 벌건솔풍령(적복령) 30g, 흰삽주(백출) 80g, 귤껍질(陳皮) 1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죽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단심].

속태환(束胎丸)

태아를 여위게 해서 쉽게 몸풀기하게 한다.

흰삽주(백출), 지각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담근 구운 떡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임신 8개월이 되면 한번에 5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보명].

신침원(神寢元)

태아를 여위게 하여 아이를 쉽게 낳게 한다.

지각 80g, 유향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술로 먹는다.

○ 일명 오생환(寤生丸)이라고도 한다[득효].

몸풀기 때의 10가지 증[十産候]

몸풀기 때의 10가지 증이란 첫째로 정산(正産), 둘째로 좌산(坐産), 셋째로 와산(臥産), 넷째로 횡산(橫産), 다섯째로 역산(逆算), 여섯째로 편산(偏産), 일곱째로 애산( 産), 여덟째로 반장산(盤腸産), 아홉째로 열산(熱産), 열째로 동산(凍産)이다[양방].

○ 이밖에도 상산(傷産), 최산(催産)이 있다[회춘].

정산(正産)

정산이란 몸풀기할 달이 다 차서 갑자기 배꼽 주위에 산통이 오고 태아가 아래로 처지며 양수가 흘러 내리면서 한번 힘을 주기만 하면 아이가 나오는 것이다[양방].

좌산(坐産)

좌산이란 몸풀기할 무렵에 산모가 피곤하여 오랫동안 자리에 앉아 있기 때문에 태아가 나올 길이 막혀서 나오지 못하는 것이다. 이때에는 높은 곳에 수건을 달아매고 산모가 그 수건에 매달려서 다리를 약간씩 구부리게 하면 태아가 순조롭게 나온다[양방].

와산(臥産)

와산이란 산모가 반듯이 누워서 낳는 것이다. 몸을 구부리지 않으면 태아는 산도(産道)를 따라 저절로 쉽게 나온다[양방].

횡산(橫産)

횡산이란 태아의 손이나 팔이 먼저 나오는 것이다. 치료법은 산모를 반듯이 눕히고 조산원이 천천히 먼저 태아의 아랫도리를 밀어 바로 치받쳐 올리고 손을 넣어 가운뎃손가락으로 태아의 어깨를 밀어 올려서 바로 놓이게 한다. 나오는 길이 바로잡히면 곧 아이를 빨리 낳게 하는 약을 먹인다. 산모로 하여금 자리에 편안히 누워서 힘을 주게 하면 아이를 쉽게 낳는다[정전].

역산(逆産)

역산이란 태아의 발이 먼저 나오는 것이다. 횡산이란 태아의 손이 먼저 나오는 것이다. 좌산이란 태아의 엉덩이가 먼저 나오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은 다 너무 일찍 힘을 주었기 때문이다. 만일 손이나 발이 먼저 나왔을 때에는 가는 침으로 아이의 손바닥이나 발바닥을 1-2푼 깊이로 서너번 찌르고 그 자리에 소금을 바른 다음 살살 밀어 넣으면 아이가 아파 놀라는 순간 몸을 움츠리고 한번 돌면서 곧 순조롭게 나온다. 또 태아의 다리가 먼저 나오는 것은 이른바 연꽃을 밟고 나온다고 하는데 이때에는 급히 태아의 발바닥에 소금을 바르고 긁어 주는 동시에 산모의 배에도 소금을 바르고 문질러 주면 자연히 아이가 바로 놓여 나온다[정전].

편산(偏産)

편산이란 태아의 머리가 한쪽으로 치우쳐서 비록 산문 가까이로 내밀기는 하나 처음에 정수리가 나오지 않고 먼저 이마가 보이는 것이다. 치료법은 산모를 반듯이 눕히고 조산원이 태아를 살살 밀어 올린 다음 손으로 머리를 바로잡아서 정수리가 산문을 향하게 한 뒤에 한번 힘을 주면 태아가 곧 나온다.

○ 또 태아의 후두골이 항문 쪽으로 치우친 때에는 솜옷을 불에 뜨겁게 쬐인 다음 손에 싸서 빨리 항문을 천천히 밀어 올려 점차 머리가 바로 놓이게 하고 나서 자리에 눕히면 곧 낳는다[정전].

애산( 産)

애산이란 태아의 머리가 바로 놓이고 정수리가 산문에서 보이면서도 나오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태아가 돌 때에 탯줄이 어깨에 걸려서 나오지 못하는 것이다. 치료법은 산모를 반듯이 눕히고 조산원이 살살 태아의 머리를 밀어 올리고 천천히 손을 넣어 가운뎃손가락으로 태아의 양 어깨를 누르고 탯줄을 벗겨서 태아의 몸이 바로 놓일 때에 한번 힘을 주면 곧 나온다[정전].

반장산(盤腸産)

반장산이란 산모가 누워서 아이를 낳을 때에 자궁이 먼저 나오고 태아가 뒤따라 나오는 것이다. 치료법은 산모의 정수리에 여성고(如聖膏, 처방은 아래에 있다)를 붙이면 자궁이 저절로 줄어 들어간다. 자궁이 다 들어가면 곧 물로 약을 씻어 버린다. 만일 자궁이 바람에 말라서 들어가지 않을 때에는 칼을 간 숫돌물을 따뜻하게 하여 자궁을 축여 주고 좋은 지남석[磁石]을 달여서 산모에게 한잔 먹이면 자궁이 저절로 들어간다.

○ 또 한 가지 방법은 따뜻한 끓인 물로 자궁을 축여 준 다음 산모를 반듯이 눕히고 위안의 말을 해주고 나서 곧 좋은 식초 반잔에 새로 길어 온 물 7분을 타서 입에 물고 별안간 산모의 얼굴이나 등에 뿜으면 뿜을 때마다 자궁이 줄어든다. 세번 뿜으면 다 들어간다[정전].

열산(熱産)

무더운 여름철에 몸풀기할 때는 그윽하고 햇볕이 들지 않는 방에서 문을 열어 놓고 방 안에 찬물과 얼음을 많이 놓고 열이 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정전].

동산(凍産)

몹시 추운 겨울에 몸풀기할 때 방문을 꼭 닫고 안팎으로 불을 때서 늘 봄날같이 온기가 돌게 하고 허리 아래를 두터운 이불로 덮어서 언제든지 몸을 따뜻하게 하여 난산하지 않게 해야 한다[정전].

상산(傷産)

상산이란 달이 지나서 몸풀기하는 것인데 1-2년, 심지어는 3-4-5년이 지나서 낳는 수도 있다. 혹은 매우 당황해서 너무 일찍이 힘을 주어 양수가 먼저 터져 나오고 궂은 피가 싸고 있을 때에는 승금산(勝金散)을 쓰는 것이 좋다. 혹은 새로 길어 온 물에 좋은 먹을 갈아 먹으면 먹물이 태아를 둘러싸고 곧 나온다[입문].

최산(催産)

몸풀기하려고 한 지가 여러 날 되어 산모가 피로했을 때에는 아이를 빨리 낳게 하는 약을 써 혈기를 도와 주어 빨리 낳게 해야 한다[회춘].

골반이 벌어지지 않아서 생긴 난산[交骨不開難産]

난산으로 죽게 되었거나 난장이나 통뼈인 여자가 골반이 벌어지지 않는 데는 구각산(龜殼散), 토뇌환(兎腦丸), 내소산(來甦散), 가미궁귀탕(加味芎歸湯) 등을 쓴다[입문].

○ 대체로 몸풀기할 때에 골반이 벌어지지 않는 것은 음기가 허하기 때문인데 가미궁귀탕을 쓴다[회춘].

○ 몸풀기하기 전에 골반골을 연하게 하는 처방 : 오매, 생강, 감초 각각 같은 양을 썰어서 달여 먹으면 골반골이 연해져서 아프지 않고 아이를 쉽게 낳게 한다[득효].

최생여성산(催生如聖散)

난산과 피가 흘러 나와서 태아가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황촉규자(黃蜀葵子)를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담갔다가 걸러서 찌꺼기를 버리고 덥게 하여 먹는다[단심].

○ 어떤 처방에는 촉규화를 가루내어 4g씩 데운 술에 타 먹으면 곧 효과가 난다고 하였다[정전].

○ 노래에는 :

황촉규씨 백여 알을 불에 볶아 가루내어
난산으로 급한 때에 술에 타서 먹으며는
온 집안 근심빛이 웃음으로 변한다네[정전].

최생단(催生丹)

난산과 횡산, 역산을 치료한다.

음력 섣달에 잡은 토끼골 1개(피막을 벗기고 골수만을 잘 간 것), 유향(보드라운 가루) 10g, 정향(보드라운 가루) 4g, 사향 1g.

위의 약들을 잘 섞어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이것을 그늘에서 말려 기름종이에 싸두고 한번에 1알씩 더운물에 풀어 먹으면 곧 몸풀기한다.

신효유주단(神效乳珠丹)

아이를 빨리 낳게 하는 데 효과가 좋다. 또 뱃속에서 죽은 태아가 나오지 않는 것을 나오게 한다.

좋은 유향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돼지염통 피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 다음 햇볕에 말린다. 한번에 1알씩 찬 술에 풀어 먹는다. 그래도 나오지 않으면 다시 먹는다[강목].

여신산(如神散)

<번역 생략>

이퇴산(二退散)

난산을 치료한다.

뱀허물(사퇴, 온전한 것) 1개, 누에알 깐 종이(둘레가 1자 되는 것).

위의 약들을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낸 다음 데운 술에 타 먹는다[단심].

삼퇴산(三退散)

난산과 횡산, 역산 혹은 뱃속에서 태아가 죽은 것 등을 나오게 한다.

뱀허물(사퇴, 온전한 것) 1개, 매미허물(선퇴, 온전한 것) 14개, 난발(달걀만한 것).

위의 약들을 모두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낸 다음 두번에 나누어 데운 술에 타 먹는다[입문].

○ 일명 최생산(催生散)이라고도 한다[득효].

○ 일명 사예산(蛇 散)이라고도 한다[득효].

삼퇴육일산(三退六一散)

아이를 빨리 낳게 하는 데 아주 좋다.

익원산 40g, 난발(달걀만한 것을 참기름에 졸여 녹인다), 뱀허물(사퇴, 온전한 것) 1개, 매미허물(선퇴, 온전한 것) 5개, 천산갑 1쪽.

위의 약들을 각각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를 낸 다음 김치 국물에 넣고 두어번 끓어 오르게 달인 것으로 기름에 녹인 털가루를 타 먹으면 곧 아이를 낳는다[입문].

○ 일명 활태산(滑胎散)이라고도 한다[단심].

토뇌환(兎腦丸)

난산으로 여러 날이 지나서 혈이 마른 것을 치료하되 이 약을 써서 쉽게 낳게 하는 것이 좋다.

음력 섣달에 잡은 토끼골 1개, 서내신(鼠內腎) 1개, 모정향, 익모초 각각 4g, 유향 10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토끼골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이것을 기름종이에 싸서 그늘에 말린다. 한번에 1알씩 식초를 두고 끓인 물에 풀어 먹으면 곧 낳는다[입문].

용예산(龍 散)

아이를 빨리 낳게 하는 비방이다.

매미허물(선퇴) 40g, 뱀허물(사퇴, 큰 것) 1개(모두 약성이 남게 태운 것), 곱돌(활석), 돌아욱씨(약간 닦은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약간 덥힌 강물에 타 먹는다. 뜨거운 물에 써서는 안 된다[득효].

흑신산(黑神散)

난산과 횡산, 역산을 치료한다. 대체로 몸풀 자리에 오랫동안 누워 있어서 양수[漿水]가 많이 흐르면 혈이 반드시 마른다. 이렇게 되면 산도가 막히게 된다. 예를 들면 여울에서 가지 못하던 배가 물이 많아져서 갈 수 있는 것처럼 이 약을 먹어서 혈이 다시 흘러내리지 않게 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마치 고기가 물을 만난 듯이 태아가 저절로 나오게 된다.

백초상, 구릿대(백지)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청주 반잔, 사향 조금과 함께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따끈하게 하여 먹으면 두번을 넘지 않아서 효과가 난다[양방].

○ 또 한 가지 방법은 이 약을 먹은 뒤에 파밑(총백) 1,200g을 짓찧어 산모의 아랫배에 펴고 빨리 그 위에 흐르는 여울의 모래 2되 반을 닦아 천에 싸서 뜨거운 것으로 파 위를 살살 문지르면 곧 몸풀기한다[입문].

○ 일명 최생여신산(催生如神散)이라고도 하고 또는 신응흑산(神應黑散)이라고도 한다[단심].

흑룡단(黑龍丹)

난산을 치료한다. 죽은 태아가 나오지 않는 것,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 몸푼 뒤에 어혈로 아랫배가 아픈 것, 피가 많이 흘러서 정신이 혼미하고 어질어질하는 것 등 일체 위급한 때에 이 약을 떠넣어 넘기기만 하면 살지 못하는 법이 없다. 그러므로 그 효과에 대해서는 다 말할 수 없다.

오령지, 당귀, 궁궁이(천궁), 양강, 찐지황(숙지황) 각각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사기합에 넣고 뚜껑을 덮은 다음 종이 심지와 소금을 넣고 이긴 진흙으로 그 짬을 싸바른 다음 숯 6kg으로 구워 식혀서 꺼낸다. 여기에 백초상 12g, 유황, 유향 각각 6g, 화예석(달군 것), 호박 각각 4g 등을 넣고 보드랍게 가루내어 식초를 두고 쑨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생강즙을 탄 따뜻한 술로 잘 풀어 먹는다[단심].

○ 어떤 처방에는 오령지, 당귀, 궁궁이(천궁), 양강, 생건지황 각각 4g씩 달걀껍데기 속에 넣고 소금으로 이긴 진흙으로 싸바른 다음 불에 굽는다. 여기에다 백초상 40g, 유황, 유향 각각 8g, 호박, 화예석 각각 4g을 넣는데 약을 만드는 방법은 위와 같다고 하였다[정전].

최생산(催生散)

난산을 치료한다.

구릿대(백지, 거멓게 닦은 것), 백초상, 곱돌(활석)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12g씩 궁귀탕 달인 물에 타 먹는다[정전].

승금산(勝金散)

난산과 횡산, 역산을 치료한다.

염두시[ ] 40g을 쪽물 들인 천에 싸서 약성이 남게 태운 다음 사향 4g을 넣고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저울추를 달구어 담근 술에 타 먹는다[양방].

벽력단(霹靂丹)

몸풀 무렵에 갑자기 기운이 풀리면서 눈이 뒤집히고 이를 악물며 얼굴이 검어지고 입술이 푸르러지며 입에서 거품침[中沫]이 나오면 태아와 어머니가 다 죽고 양쪽 빰이 약간 붉으면 태아는 죽고 어머니는 산다. 그러므로 빨리 이 약을 써서 구원해야 한다.

뱀허물(사퇴) 1개, 누에알 깐 종이(모두 약성이 남게 태운 것) 각각 8g, 난발(태운 가루) 4g, 유향 2g, 흑연 10g, 수은 3g(흑연과 수은을 함께 냄비에 담아 불에 녹여서 모래알처럼 되게 한 다음 보드랍게 간다).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수퇘지염통 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금박을 입힌다. 한번에 2-3알씩 강물로 먹는다. 삼키지 못하면 물에 풀어서 입에 떠 넣는다.

○ 일명 벽력탈명단(霹靂奪命丹)이라고도 한다[정전].

구각산(龜殼散)

난산이 여러 날 끌면서 죽게 된 것, 난장이나 통뼈인 여자가 골반골이 벌어지지 않는 것 등에 쓴다.

거북등딱지(구각) 1개,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물에 달여 먹으면 오래되지 않아 산 아이나 죽은 아이나 다 나온다[입문].

내소산(來甦散)

몸풀기할 무렵에 힘을 너무 써서 기운이 약해지고 맥이 미(微)하며 정신이 혼미하고 이를 악물며 낯빛이 푸르러지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목향, 약누룩(신국), 귤껍질(陳皮), 보리길금(맥아), 단너삼(황기), 갖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g, 모시풀뿌리(야저근), 감초 각각 12g, 찹쌀 1홉.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연거푸 먹으면 더욱 좋다. 혹 이를 악물었으면 입을 억지로 벌리고 떠 넣어야 한다[입문].

가미궁귀탕(加味芎歸湯)

몸풀기할 무렵에 골반골이 벌어지지 않아서 몸풀기하기 어려운 것을 치료한다. 즉 위에 있는 구각산(龜殼散) 처방이다[회춘].

아이를 낳게 하는 데는 쉽게 낳게 하는 약을 쓰는 것이 좋다[催生宜用滑利藥]

대체로 아이를 빨리 낳게 하는 데는 흔히 쉽게 낳게 하고 빨리 낳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 예를 들면 토끼의 뇌수, 붓끝 태운 가루, 노아(弩牙), 뱀허물(사퇴) 등과 같은 약을 말한다.

○ 만일 양수와 피가 많이 흘러서 산도가 마르면 돼지기름(저지), 참기름, 꿀, 좋은 술, 돌아욱씨(규자), 소젖, 곱돌(활석), 느릅나무껍질(유근피) 등과 같은 약들을 써야 한다.

○ 만일 풍랭을 받아서 기혈이 몰리고 엉켰을 때에는 쇠무릎(우슬), 파밑(총백), 계심, 생강 같은 약들을 써야 한다.

○ 만일 좋지 못한 기운에 접촉되어 가슴이 답답하여 어쩔 바를 몰라하면서 몸풀기하기 어려워하는 데는 사향, 주사(朱砂), 유향(乳香), 청죽여(靑竹如) 같은 약들을 써야 한다[정전].

○ 난산이 여러 날 끌면서 양수가 많이 나와 자궁이 말라 태아가 나오지 못할 때에는 참기름과 꿀 각각 한 사발씩 넣고 약간 끓이다가 곱돌가루 40g을 타 먹는다. 이외에 참기름과 꿀을 배꼽 주위에 바르고 문지르면 곧 효과가 나타난다[의감].

○ 참기름과 꿀을 섞어 먹으면 난산에 아주 효과가 좋다. 익모고(益母膏)를 타 먹으면 더욱 좋다.

○ 유백피탕(楡白皮湯)도 쓸 수 있다[단심].

유백피탕(楡白皮湯)

난산과 자궁이 말라서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느릅나무껍질(유근피), 돌아욱씨(규자), 패랭이꽃(구맥) 각각 8g, 쇠무릎(우슬), 삼씨(마자인, 껍질을 버린 것) 각각 6g, 으름덩굴(목통)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방예하는 법[禳法]1

몸풀기 초기에 임신부가 늘 입고 있던 옷을 벗어 굴뚝과 아궁이를 막으면 쉽게 몸풀기할 수 있다. 임신부에게 알려 주지 말아야 한다[득효].

○ 몸풀기할 때 붉은 말가죽을 깔고 산모를 그 위에 앉게 하면 빨리 낳게 하고 쉽게 몸풀기할 수 있다.

○ 또 한 가지 방법은 날다람쥐(즉 비생이다) 가죽과 털을 산모가 쥐고 있으면 곧 몸풀기한다. 또는 해마(海馬)나 석연자(石燕子)를 두 손에 각각 1개씩 쥐고 있으면 곧 몸풀기하는 것을 경험하였다[본초].

겉에 약을 붙이는 법[外貼法]

난산에 아이를 빨리 낳게 하려면 달인 약이나 알약을 먹고 겉에 약을 붙이면 거의 완전한 효과가 있다. 그런 약으로는 여신단(如神丹), 여성고(如聖膏), 입성단(立聖丹), 우선단(遇仙丹)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저방].

여신단(如神丹)

파두 3개, 아주까리씨 7알(피마자, 모두 껍질을 버린 것)에 사향을 조금 넣고 짓찧어서 떡을 만들어 배꼽에 붙인다. 몸풀기가 되면 곧 더운물로 씻어버려야 한다.

○ 노래에는:

파두 세 개 피마 일곱 껍질 벗겨 곱게 갈아
진흙처럼 반죽해서 사향 넣고 고루 섞어
탄자만큼 알약 지어 배꼽 아래 붙이면
잠깐 뒤에 고운 아기 으악 소리 지른다네[정전].

여성고(如聖膏)

난산과 죽은 태아가 잘 나오지 않아서 아주 위급하게 된 것을 치료한다.

파두(껍질을 버린 것) 16개, 아주까리씨(피마자, 껍질을 버린 것) 49알, 사향 8g.

위의 약들을 한데 짓찧어 헝겊에 발라서 배꼽에 붙이면 2시간쯤 지나서 몸풀기한다. 몸풀기한 뒤에는 바로 씻어 버려야 한다[입문].

○ 또 한 가지 방법은 아주까리씨(껍질을 버린 것) 40g, 석웅황 8g 등을 함께 갈아서 고약을 만들어 임신부의 오른쪽 발바닥에 붙인다. 몸풀기가 되면 바로 씻어 버려야 한다. 만일 씻어 버리지 않고 오래 두면 자궁탈출까지 될 수 있다. 이런 때에는 산모의 정수리에 이 약을 붙이면 자궁이 저절로 들어간다. 이것도 역시 여성고라고 한다[득효].

입성단(立聖丹)

횡산과 역산과 좋지 못한 증상과 죽은 태아가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한수석 160g(절반은 생것, 절반은 벌겋게 달군 것)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주사가루를 넣어 진한 복숭아꽃빛처럼 되게 한 다음 한번에 1.2g씩 우물물에 넣고 묽은 풀처럼 탄다. 살구잎만하게 오려낸 종이에 이 약을 발라 배꼽에 붙이되 마르면 갈아 붙인다. 세번 넘지 않아 몸풀기한다[강목].

우선단(遇仙丹)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아주까리씨(피마자, 껍질을 버린 것) 14알, 주사, 석웅황(웅황) 각각 6g, 뱀허물(선퇴) 1개(태운다).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신좁쌀죽웃물과 밥으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쓸 때에는 먼저 조피열매 달인 물로 산모의 배꼽을 씻고 이 약 1알을 배꼽에 놓은 다음 밀랍 먹인 종이[蠟紙]로 덮고 붕대를 감아 두면 잠시 뒤에 몸풀기한다. 몸푼 뒤에는 빨리 약을 떼버려야 한다[역로].

죽은 태아를 나오게 하는 법[下死胎]

반드시 위에 있는 태아의 생사 여부를 가리는 법을 참고하여 치료해야 한다.

○ 태아가 죽으면 임신부의 혀가 반드시 검어지고 손톱이 검푸르며 명치 밑이 불러 오르고 답답해 하며 입에서 냄새가 몹시 난다. 이때에는 평위산(平胃散, 처방은 오장문에 있다) 1첩에 박초 20g을 더 넣고 술과 물을 각각 절반씩 두고 달여 먹으면 죽은 태아는 핏물처럼 되어 나온다[득효].

○ 쌍태아인 경우에 하나는 죽고 하나가 살았을 때에는 다음의 약을 먹으면 죽은 태아는 나오고 산 태아는 무사할 수 있다. 게발톱 1되, 굵은 감초 20g(절반을 생것, 절반을 닦은 것)을 강물 10잔에 넣고 끓이다가 3잔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갖풀(아교, 절반을 생 것, 절반을 구운 것) 80g을 넣고 녹여서 두세번에 나누어 먹으면 죽은 태아가 곧 나온다. 이 약을 달일 때 동쪽으로 향한 아궁이라야 하고 불은 갈대로 때는 것이 좋다[유취].

○ 죽은 태아가 등쪽에 붙어서 나오지 않아 임신부가 숨이 끊어지려는 데는 돼지기름, 꿀 각각 2홉 반과 좋은 술 5홉과 함께 달여 5홉이 되면 두번에 나누어 따뜻하게 하여 먹으면 곧 나온다[양방].

○ 죽은 태아가 나오지 않는 데는 불수산(佛手散), 삼퇴산(三退散, 처방을 위에 있다), 향계산(香桂散), 계향환(桂香丸), 탈명환(奪命丸), 오금산(烏金散), 최생산(催生散,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불수산(佛手散)

태아가 상해서 명치 밑이 아프고 이를 악물며 숨이 끊어질 듯한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을 먹으면 태아가 상하지 않을 뿐 아니라 아픔이 멎고 임신부와 태아가 다 편안해진다. 만일 태아가 죽었으면 곧 나오는데 매우 효과가 좋다(처방은 위에 있다).

향계산(香桂散)

죽은 태아를 나오게 한다.

계심 12g, 사향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1첩으로 한 다음 데운 술에 타 먹으면 잠시 뒤에 곧 나온다[정전].

계향환(桂香丸)

죽은 태아를 나오게 한다.

육계 40g, 사향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밥으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5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탈명환(奪命丸)

태 속에서 태아가 죽은 후 그 기운이 가슴으로 치밀어서 까무러쳐 죽어 가는 듯한 것과 혹은 좋지 못한 음식을 먹었거나 약을 잘못 먹어서 태기를 상한 것을 치료한다. 태아가 상하지 않았으면 이 약을 먹으면 곧 무사할 수 있다. 그러나 태아가 이미 죽었을 때에 이 약을 먹으면 나온다. 혹은 태아가 썩어 문드러졌으면 그 자리에서 곧 나오게 하는 데 이 약이 매우 묘하다.

계지, 벌건솔풍령(적복령), 모란뿌리껍질(목단피), 함박꽃뿌리(적작약), 복숭아씨(도인)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알씩 빈속에 먹는다. 혹은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알씩 연한 식초 달인 물[痰醋湯]에 풀어 먹는다.

○ 일명 『중경』의 계지복령환(桂枝茯 丸)이다. 어떤 부인이 여러 해 동안 징가( )를 앓으면서도 임신하였는데 3달이 되어 피가 조금씩 계속 흘러나오고 배꼽 위로 태동이 있었다. 이것은 징가가 임신을 해롭게 한 것이다. 대개 태동은 흔히 배꼽 부위에 있어야 하는데 지금 배꼽보다 위에 있는 것으로 보아 이것이 징가임을 알 수 있다. 그것을 내리밀기 위해서는 계지복령탕을 써야 한다. 단계(丹溪)도 역시 묘방이라고 하였다[양방].

오금산(烏金散)

난산과 태가 말라서 태아가 죽어 임신부가 위급하게 된 것을 치료한다.

먼저 불수산을 먹여 보아 태아가 죽은 것이 확실할 때에는 이 약을 먹는다. 그 다음 다시 향계산을 먹이면 곧 나온다.

○ 일명 흑신산(黑神散)이라 한다.

한 가지 처방

태아가 죽어서 나오지 않으면 오계 1마리의 꼬리를 뽑아 버리고 잘 썰어서 깨끗한 물 3[三升] 되게 달여 2되[二升]가 되면 닭고기를 버리고 수건을 적셔 배꼽 아래를 문지르면 죽은 태아가 곧 나온다[양방].

○ 또는 황고우분(黃 牛糞)을 뜨겁게 하여 배에 바르면 죽은 태아가 곧 나온다[정전].

○ 여성고를 임신부의 오른쪽 발바닥에 바르면 죽은 태아가 곧 나온다(처방은 위에 있다).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胞衣不下]

몸푼 뒤 태반이 나오지 않고 시간이 좀 오래되서 궂은 피가 자궁에 들어가서 차면 팽팽하게 불러 오르고 가슴으로 치밀면서 숨이 몹시 차고 아프다. 이렇게 되면 반드시 위독하게 된다.

○ 이런 때에는 빨리 노끈으로 탯줄을 단단히 졸라매어 궂은 피가 자궁으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게 한 다음 탯줄을 끊으면 태반이 저절로 졸아들면서 나온다. 탯줄을 끊은 다음에는 태반이 며칠 동안 늦게 나와도 생명에는 해롭지 않으므로 산모는 마음 놓고 죽이나 밥을 많이 먹도록 하면 태반은 저절로 나온다. 여러 번 시험해 보았더니 다 효과가 있었다[양방].

○ 태반이 나오지 않을 때에는 조산원이 함부로 손으로 태를 꺼내서는 안 된다. 이로 인하여 죽는 일도 있고 혹은 방광을 상하게 해서 종신병(終身病)이 되게 하는 일도 있으므로 삼가해야 한다[정전].

○ 아이가 갓 낳은 다음 궂은 피가 태반에 들어가면 그것이 팽팽하게 불러 올라 막히기 때문에 나오지 못할 뿐 아니라 순식간에 가슴으로 치밀면서 산모가 죽을 수 있다. 빨리 탈명단을 먹이고 여성고(如聖膏, 처방은 위에 있다)를 배꼽에 붙여야 한다.

○ 태반이 나오지 않을 때에는 흑룡단(黑龍丹), 화예석산(花蘂石散), 우슬탕(牛膝湯), 삼퇴음(三退飮), 반혼단(返魂丹, 처방은 위에 있다), 일자신산(一字神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

탈명단(奪命丹)

몸푼 뒤 궂은 피가 태반에 들어가서 팽팽하게 그득 차면서 가슴으로 치밀고 여러 날 동안 나오지 않아 위급하게 된 것을 치료한다.

부자(싸서 구운 것) 20g, 모란뿌리껍질(목단피), 마른 옻(건칠, 닦은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 1되, 대황가루 40g과 함께 졸여 만든 고약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7알씩 술로 먹는다[단심].

화예석산(花蘂石散)

태반이 나오지 않는 데는 이 약이 제일 좋다. 만일 태반이 나오지 않고 위로 치밀어서 거의 죽게 되었을 때 명치 끝만 따뜻하면 빨리 이 약 4g을 물에 타 먹는다. 그러면 궂은 피가 돼지 간처럼 되거나 누런 물이 되어 나오면서 태반이 곧 나온다(처방은 제상문(齊傷門)에 있다)[양방].

우슬탕(牛膝湯)

몸푼 뒤에 태반이 나오지 않고 배가 그득하면 죽을 수 있다. 이때 이 약을 먹으면 태반이 곧 문드러져 나온다.

곱돌가루(활석) 8g, 으름덩굴(목통), 당귀, 쇠무릎(우슬), 패랭이꽃(구맥) 각각 6g, 돌아욱씨(규자)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삼퇴음(三退飮)

태반으로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뱀허물(사퇴, 온전한 것) 1개, 누에알 깐 종이 1장, 매미허물(선퇴) 49개.

위의 약들을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낸 것을 강물에 타 먹으면 태반이 곧 나온다[정전].

일자신산(一字神散)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누런 귀구(鬼臼)를 갈아서 채로 치지 말고 손가락으로 비벼서 한번에 8g씩 데운 술 1잔과 함께 끓이다가 8분쯤 되었을 때 먹으면 태반이 곧 나온다. 이 약으로 치료한 사람이 매우 많다[득효].

한 가지 처방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돼지기름, 꿀, 참기름 각각 반 잔씩 불에 녹여 두번에 나누어 따뜻하게 하여 먹으면 태반이 곧 나온다. 어떤 데는 돼지기름만 많이 먹어도 좋다고 하였다[산서].

○ 또 한 가지 처방은 달걀 3알, 물 3숟가락, 소금 세자밤을 한데 타서 단번에 먹은 다음 손가락으로 목구멍을 자극하여 구역이 나게 하면 곧 나온다[속방].

○ 또 한 가지 처방은 물 1되에 생강과 파밑(총백) 각각 12g을 넣고 몇 번 끓어오르게 달여 뜨거운 것을 먹는다[본초].

○ 또는 파밑(총백)을 진하게 달여 김으로 음부를 쐬면서 씻으면 곧 나온다[속방].

방예하는 법[禳法]2

태반이 나오지 않는 데는 임신부의 속내의로 우물을 덮어 놓고 산모에게 알려 주지 않으면 곧 나온다[본초].

몸풀기 전의 여러 가지 증[産前諸證]

자간(子癎), 자번(子煩), 자종(子腫), 자림(子淋), 자수(子嗽), 자리(子痢), 자학(子 ), 자현(子懸), 감기[感寒], 임신부가 말 못하는 것[孕婦不語], 태아가 뱃속에서 우는 소리 같은 소리가 나는 것, 임신부의 뱃속에서 종소리 같은 소리가 나는 것 등이 있다.

자간(子癎)

임신부가 풍(風)에 맞아 목과 잔등이 뻣뻣하고 힘줄이 가드라들며 이를 악물고 말을 잘하지 못하며 담이 많고 정신이 혼미한 증상들이 발작했다 멎었다 하며 혹은 경련이 일어나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을 자간이라고 하며 아훈(兒暈)이라고도 한다. 심하면 몸이 뒤로 젖혀지기도 한다. 이런 때에는 영양각탕(羚羊角湯)을 쓰는 것이 좋다. 경(輕)한 때에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칡뿌리(갈근), 모란뿌리껍질(목단피), 진교, 족두리풀(세신), 방풍, 참대기름 등을 더 넣어 쓴다[입문].

영양각탕(羚羊角湯)

영양각(가루를 낸 것), 따두릅(독활), 메대추씨(산조인), 오갈피(오가피) 각각 4.8g, 방풍, 율무쌀(의이인), 당귀, 궁궁이(천궁), 복신, 살구씨(행인) 각각 2.8g, 목향,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정전].

자번(子煩)

임신부가 번조증(煩躁症)으로 가슴이 답답해 하는 것을 자번이라고 한다. 자번은 흔히 임신 4-5개월에 상화(相火)의 기가 성하거나 그 계절의 군화(君火)의 기가 성한 몹시 더운 때에 생기는 번조증이 나고 태동이 되어 불안하게 된다. 이런 데는 죽엽탕(竹葉湯)과 죽력탕(竹瀝湯)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죽엽탕(竹葉湯)

흰솔풍령(백복령) 8g, 맥문동, 속썩은풀(황금) 각각 6g, 방풍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청죽엽 7잎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하루 두번 먹는다[회춘].

죽력탕(竹瀝湯)

벌건솔풍령(적복령) 40g.

위의 약을 썰어서 물 1되 5홉에 달여 절반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참대기름 1홉을 타 먹는다.

○ 또는 참대기름을 조금씩 먹으면 아주 좋다[본초].

자종(子腫)

임신부에게 수기(水氣)가 있어서 흔히 임신 5-6개월에 온몸이 붓고 배가 불러 오르며 숨이 차거나 배가 이상하게 도드라져서 가슴보다 더 올라오고 기가 치밀어서 편안치 못한 것을 자종이라고 한다. 만일 제때에 치료하지 않으면 반드시 태아가 상한다. 이런 때에는 이어탕(鯉魚湯)을 쓰는 것이 좋다. 그리고 잉어죽을 늘 먹거나 또는 복령탕(茯 湯), 방기탕(防己湯), 전생백출산(全生白朮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혹 머리와 얼굴은 붓지 않고 두 다리가 약간 붓거나 심하면 발등에서부터 무릎과 허벅다리까지 부종(浮腫)이 있고 발가락 사이에서 누런 물이 나오는 것도 있다. 이것을 자기(子氣)라고 하며 또는 취각(脆脚)이라고도 하는데 평위산(平胃散, 처방은 오장문(五臟門)에 있다)에 벌건솔풍령(적복령)과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을 더 넣어 달여 먹는다[입문].

이어탕(鯉魚湯)

자종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8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당귀 각각 6g, 귤홍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을 만든다. 먼저 잉어 1마리를 보통 먹는 방법대로 물에 삶아 그 물 1잔 반에 생강 7쪽과 위의 약을 함께 넣어 한 잔이 되게 달인 다음 따뜻하게 하여 빈속에 먹는다. 수기(水氣)가 다 빠지고 부은 것이 다 내릴 때까지 쓰는 것이 좋다[양방].

복령탕(茯 湯)

자종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찐지황(숙지황),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택사, 속썩은풀(황금), 산치자(닦은 것), 맥문동, 후박,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의감].

방기탕(防己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벌건솔풍령(적복령),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8g, 방기 6g, 목향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강목].

전생백출산(全生白朮散)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40g, 생강껍질, 빈랑껍질, 귤껍질(陳皮), 솔풍령껍질,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 먹는다[정전].

한 가지 처방

자종을 치료한다. 산치자(닦은 것)를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미음에 타서 아무 때나 먹는다[정전].

○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20g, 붉은팥 3홉을 물에 달여 먹는다. 자기(子氣)를 치료한다[입문].

자림(子淋)

임신부의 방광에 열이 쌓이거나 태기(胎氣)가 몰려 그득해져서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아픈 것을 자림 또는 자만(子滿)이라고 한다. 이런 때에는 택사탕(澤瀉湯), 안영산(安榮散), 지부자탕(地膚子湯), 규자복령산(葵子茯 散), 망우산(忘憂散) 혹은 궁귀탕(芎歸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에 으름덩굴(목통), 맥문동, 인삼, 골풀속살(등심초), 감초 등을 더 넣어 쓴다. 몸풀기할 달에는 곱돌(활석)을 더 넣어 달여 먹는다[입문].

○ 전포증(轉胞症)은 임신부의 체질이 본래 약하거나 근심과 번민이 많거나 성질이 조급하거나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이것은 방광이 태아에게 눌려서 한쪽으로 밀려 오줌줄이 눌려 잘 통하지 못해서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만일 태아가 들려서 가운데에 놓여 있게 되면 오줌줄이 제대로 놓여서 오줌이 저절로 나오는 것이다. 전포증에는 삼출음(蔘朮飮)을 달여 빈속에 먹고 곧 손가락으로 목구멍을 자극하여 토하게 하고 기운이 안정되면 또 먹이고 또 토하게 하면 오줌이 금방 나온다. 여러 번 시험하였는 데 다 효과가 있다[단심].

○ 임신부가 방광이 압박되어 오줌을 잘 누지 못하는 데는 신기환(腎氣丸,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 즉 팔미환(八味丸)이다[중경].

택사탕(澤瀉湯)

자림을 치료한다.

택사,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벌건솔풍령(적복령), 지각, 빈랑, 으름덩굴(목통) 각각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빈속에 먹는다[정전].

안영산(安榮散)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인삼, 궁궁이(천궁), 맥문동, 으름덩굴(목통), 곱돌(활석), 당귀, 골풀속살(등심초),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득효].

지부자탕(地膚子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댑싸리씨(지부자), 길짱구씨(차전자) 각각 6g, 지모, 속썩은풀(황금), 지각, 벌건솔풍령(적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g, 승마, 통초,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규자복령산(葵子茯 散)

임신부에게서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돌아욱씨(규자),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 먹는다[중경].

망우산(忘憂散)

자림을 치료한다.

호박.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2g씩 원추리뿌리 한 줌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정전].

삼출음(蔘朮飮)

임신부가 전포증으로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 재료 각각 4g에 인삼, 흰삽주(백출),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각각 4g, 감초 2g을 더 넣는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그 다음 목구멍을 자극하여 토하게 한다. 토하면 또 먹이고 또 토하게 하면 오줌이 곧 잘 나간다[단심].

또 한 가지 처방

전포증으로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파밑(총백)을 잘게 썰어서 소금을 두고 닦은 다음 뜨거운 것으로 배꼽 아래를 찜질하면 오줌이 곧 나온다[입문].

또 한 가지 처방

전포증으로 오줌이 나오지 않아 배가 불러 올랐을 때에는 조산원이 빨리 참기름을 오른손에 바르고 질강[産門] 속으로 넣어 태아를 들어 주면 오줌이 나오고 불러 올랐던 배도 곧 내린다[단심].

○ 또 한 가지 방법은 임신부를 거꾸로 세우면 오줌이 저절로 나오는데 역시 잘 듣는다[단심].

자수(子嗽)

임신 때 풍한(風寒)에 감촉되어 기침이 오랫동안 멎지 않는 것을 자수라고 한다. 이런 때에는 자원탕(紫 湯), 백합산(百合散), 마두령산(馬兜鈴散), 천문동음(天門冬飮)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저방].

자원탕(紫 湯)

임신 때 기침으로 태아가 편안치 못한 것을 치료한다.

자원, 천문동 각각 8g, 도라지(길경) 6g, 살구씨(행인),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달걀만한 참대속껍질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꿀 반 숟가락을 두고 다시 한 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강목].

백합산(百合散)

자수를 치료한다.

나리, 자원용, 패모,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전호, 벌건솔풍령(적복령), 도라지(길경)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마두령산(馬兜鈴散)

자수와 기가 막혀 숨차 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빈랑껍질,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4.8g, 마두령, 도라지(길경), 인삼, 패모, 오미자, 감초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양방].

천문동음(天門冬飮)

자수를 치료한다.

천문동, 자원용, 지모,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각각 6g, 오미자, 도라지(길경)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또 한 가지 처방

자수를 치료한다.

패모(심을 버리고 밀기울과 함께 노랗게 볶은 것)를 보드랍게 가루내어 사탕가루에 섞어서 반죽한 다음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늘 입에 물고 녹여 먹으면 잘 낫는다[득효].

자리(子痢)

임신 때 피곱이 섞인 이질[下痢赤白]을 앓으면서 배가 몹시 아프고 아랫배가 켕기며 뒤가 무직한 것을 자리라고 한다. 이런 때에는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 백출탕(白朮湯), 계황산( 黃散), 압자전(鴨子煎)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임신 때 설사하는 데는 가출산(訶朮散), 대녕산(大寧散)을 쓰는 것이 좋다.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

자리를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흰삽주(백출) 각각 6g, 당귀,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목향, 빈랑, 황련,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 이질로 곱똥을 누면서 배가 아픈 데는 속썩은풀(황금)과 황련을 빼고 건강을 더 넣는다[정전].

백출탕(白朮湯)

임신부가 이질로 대변에 피고름이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당귀, 속썩은풀(황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계황산( 黃散)

자리를 치료한다.

오계(烏 )의 알 1개(한쪽 끝에 구멍을 뚫고 흰자위는 찌워 버린다[傾出]. 노른자위를 남겨 놓은 다음 황단 4g을 넣어 섞어서 두터운 종이에 풀을 발라 구멍을 막고 소금을 두고 이긴 진흙으로 잘 싸발라서 불에 굽는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 먹인다.

압자전(鴨子煎)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생강(젊은이는 380g, 늙은이는 760g을 쓰되 짓찧어 낸 즙에 오리알 1알을 깨어 넣고 고루 저으면서 달인다. 약물이 8분쯤 되면 부들꽃가루 12g을 넣고 다시 다섯에서 일곱번 끓어오르게 달인다).

위의 약을 따뜻하게 하여 빈속에 먹으면 곧 낫는다[본사].

가출산(訶朮散)

임신 때 날것과 찬 것을 먹거나 풍랭에 상하여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가자피, 흰삽주(백출) 각각 6g, 귤껍질(陳皮), 양강, 목향,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정전].

대녕산(大寧散)

임신 때 적백이질(赤白痢疾)과 설사로 배가 아파서 죽을 듯한 것을 치료한다.

검정콩 35알, 앵속각 80g(절반은 생것, 절반은 닦은 것), 감초 80g(절반은 생것, 절반은 닦은 것).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모두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빈속에 먹으면 잘 낫는다[강목].

자학(子 )

임신 때 학질에 걸려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자학이라고 한다. 이런 때에는 성비음자(醒脾飮子), 노강음(露薑飮, 처방은 학질문에 있다), 구사탕(驅邪湯), 제생석고탕(濟生石膏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

성비음자(醒脾飮子)

자학과 한학(寒 )을 치료한다.

후박, 초두구(간 것) 각각 20g, 건강 1.2g, 감초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구사탕(驅邪湯)

임신 때 찬 기운에 감촉되어 생긴 학질을 치료한다.

양강, 흰삽주(백출), 초과, 귤홍, 곽향, 사인,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제생석고탕(濟生石膏湯)

임신 때 열학(熱 )으로 갈증이 나서 찬물을 한정없이 마시는 것을 치료한다.

석고 8g, 생지황 6g, 속썩은풀(황금), 맥문동, 인삼, 지모, 칡뿌리(갈근)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오매(烏梅) 1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자현(子懸)

임신 때 태기가 고르지 못하여 위로 치밀어서 명치 끝이 불어 오르면서 그득하고 아픈 것을 자현이라고 한다. 이런 때에는 자소음(紫蘇飮)과 총백탕( 白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본사].

자소음(紫蘇飮)

자현과 몸풀기할 무렵에 놀라거나 겁이 나서 기가 뭉쳐 몸풀기하기 어려운 것을 치료하는 데 아주 좋다.

차조기잎(자소엽) 10g, 인삼, 빈랑껍질, 궁궁이(천궁), 귤껍질(陳皮),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당귀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4쪽,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양방].

총백탕( 白湯)

자현을 치료한다.

파밑(총백) (즉 두 줌이다) 20대.

위의 약을 물 1되 5홉과 함께 은이나 돌 그릇에 넣고 달여 절반이 되면 단번에 먹되 파까지 다 먹으면 낫는다[양방].

감기[感寒]

임신부가 감기에 걸렸으면 안태(安胎)시키고 몸푼 뒤에 감기에 걸렸으면 보혈(補血)하는 것을 위주로 한다. 치료법은 위기(胃氣)와 상초(上焦), 중초(中焦)를 상하지 않게 해야 한다. 그리고 땀을 내는 것, 설사시키는 것, 오줌을 많이 나가게 하는 것 등 3가지는 금해야 한다. 다만 화해시키는 것이 좋다. 이런 데는 소시호탕(小柴胡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 일명 삼금탕(三禁湯)이라고도 한다[보명].

○ 임신 때 풍한에 감촉되어 머리가 아프고 번열이 나는 데는 궁소산(芎蘇散), 황룡탕(黃龍湯), 보안백출산(保安白朮散), 총백탕( 白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임신부가 열병으로 검은 반진이 생긴 데는 치자대청탕(梔子大靑湯)을 쓴다.

○ 열병 때에 태아를 보호하는 처방은 부평, 박초, 대황, 조가비가루, 쪽뿌리를 각각 같은 양으로 해서 가루내어 배꼽에 붙이면 안태시키는 데 매우 좋다[득효].

궁소산(芎蘇散)

궁궁이(천궁), 차조기잎(자소엽),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흰삽주(백출), 맥문동, 귤껍질(陳皮), 칡뿌리(갈근)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제생].

황룡탕(黃龍湯)

임신 때 찬 기운에 감촉되어 추웠다 열이 나는 것이 마치 학질 같은 것을 치료한다.

시호 16g, 속썩은풀(황금), 인삼,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보안백출산(保安白朮散)

임신부의 감기를 치료하며 안태시킨다.

흰삽주(백출), 속썩은풀(황금) 각각 같은 양(위의 약들을 썰어서 새 기와 위에 놓고 향기로운 냄새가 나도록 닦는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생강 3쪽, 대추 1알과 함께 달인 물에 타 먹거나 달여 먹어도 좋다[보감].

총백탕( 白湯)

임신부의 감기에는 땀을 내야 하는데 이 약을 쓰는 것이 좋다.

파밑(총백) 10대, 생강 8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연거푸 먹고 땀을 낸다[활인].

치자대청탕(梔子大靑湯)

임신부가 열병으로 반진( 疹)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승마, 산치자 각각 8g, 대청, 살구씨(행인)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강목].

임신부가 말을 못하는 것[孕婦不語]

『내경』에는 “임신 9개월에 말을 못하는 것은 무슨 병인가” 기백(岐伯)이 대답하기를 “포의 낙맥(絡脈)의 기가 끊어진 것이다. 포의 낙맥은 신(腎)에 달려 있는데 소음경맥(少陰經脈)이 신을 통하여 올라가서 혀뿌리와 연결되었기 때문에 말을 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치료하지 않아도 10달이 되면 회복된다”고 하였다. 또 주해에는 “몸풀기하면 말을 할 수 있으므로 치료하지 않아도 된다”고 씌어 있다.

○ 임신부가 벙어리가 되어 말하지 못하는 데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대황, 망초 각각 4g을 더 넣어 물에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꿀을 조금 타서 식힌 다음 수시로 먹으면 심화(心火)가 내려가고 폐금(肺金)이 시원해지면서 말할 수 있게 된다[입문].

임신부의 뱃속에서 태아가 우는 소리 같은 것이 나는 것[兒在腹中哭]

임신부의 뱃속에서 태아가 우는 소리 같은 것이 나는 것은 탯줄 위에 흘답( )이 생겨서 태아가 입에 물고 있다가 임신부가 높은 곳에 있는 물건을 잡을 때 태아가 입에 물고 있던 것이 빠져 나오기 때문에 난다. 임신부가 낮은 곳에 있는 물건을 잡으려고 허리를 굽히면 태아가 다시 탯줄을 물게 되므로 이런 소리가 곧 멎는다[정전].

○ 또 한 가지 처방은 임신부가 황련을 진하게 달여 먹으면 울음소리 같은 것이 멎는다[득효].

○ 또 한 가지 처방은 임신부가 여러 해 된 빈집의 쥐구멍 속의 흙 한줌을 입에 물고 있으면 곧 울음이 멎는다[단심].

임신부의 뱃속에서 종소리 같은 소리가 나는 것[孕婦腹中鍾鳴]

임신부의 뱃속에서 종소리 같은 소리가 나는 데는 오래된 빈집의 쥐구멍 속의 흙을 가루내어 술에 타 먹거나 마른 흙을 입에 물고 있으면 그 소리가 멎는다[입문].

몸푼 뒤의 여러 가지 증[産後諸證]

후배앓이[兒枕腹痛], 혈훈(血暈), 혈붕(血崩), 코피, 숨차 하고 기침하는 것, 딸꾹질, 몸푼 뒤에 말을 못하는 것, 몸푼 뒤에 헛것에 들려 헛소리하는 것, 몸푼 뒤에 열이 나는 것, 몸푼 뒤에 젖몸이 늘어지는 것, 몸푼 뒤 젖이 나지 않는 것, 몸푼 뒤 자궁이 탈출된 것, 몸푼 뒤의 울모(鬱冒), 몸푼 뒤의 풍치(風 ), 몸푼 뒤의 두통, 몸푼 뒤의 명치 밑과 허리, 옆구리가 아픈 것, 몸푼 뒤의 구역, 몸푼 뒤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과 오줌이 나오는 줄 모르는 것, 몸푼 뒤의 설사와 이질, 몸푼 뒤의 변비, 몸푼 뒤의 부종 등이 있다.

후배앓이[兒枕痛]

태의 옆에 덩어리같이 생긴 것을 아침(兒枕)이라고 한다. 태아가 나오려고 할 때 그 덩어리 같은 것이 터져서 피가 흐르는 것이다. 만일 궂은 피가 흘러 내리지 않으면 덩어리가 져서 참을 수 없이 아프게 되는데 이것이 혈가(血 )가 된다. 이런 때에는 실소산(失笑散), 자금환(紫金丸), 삼성산(三聖散), 흑룡단(黑龍丹, 처방은 위에 있다), 화예석산(花蘂石散, 처방은 제상문에 있다), 기침산(起枕散), 입효산(立效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양방].

○ 궁귀탕(芎歸湯)에 삼릉, 봉출, 현호색, 모란뿌리껍질, 살구씨, 잇꽃 등을 더 넣어 달여 먹으면 곧 낫는다[양방].

실소산(失笑散)

몸푼 뒤 후배앓이[兒枕痛]로 배꼽 주위가 몹시 아파서 죽을 듯한 데 여러 가지 약을 써도 다 효과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오령지, 부들꽃가루(포황, 닦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식초를 두고 달여 고약처럼 만든 다음 다시 물 1잔을 두고 7분이 되게 달인다. 이것을 뜨겁게 하여 먹으면 곧 낫는다[국방].

자금환(紫金丸)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실소산가루에 식초를 두고 달여 고약처럼 졸인 다음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알씩 데운 술 반잔에 풀어 먹는다[양방].

삼성산(三聖散)

몸푼 뒤 후배앓이로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 40g, 현호색, 계심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정전].

○ 일명 현호색산(玄胡索散)이라고도 한다[득효].

기침산(起枕散)

후배앓이로 몹시 괴로워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8g, 궁궁이(천궁) 6g, 구릿대(백지), 계심, 부들꽃가루(포황), 모란뿌리껍질(목단피), 현호색, 오령지, 몰약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좋은 식초를 넣어 빈속에 먹는다[의감].

입효산(立效散)

후배앓이를 치료한다.

오령지(닦은 것).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양방].

또 한 가지 처방

후배앓이에 여러 가지 약을 써도 효과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방게 한 마리(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낸 것)를 데운 술 1잔에 타서 빈속에 먹으면 곧 멎는다. 아들을 낳았을 때에는 배꼽이 뾰죽한 게를 쓰고 딸을 낳았을 때에는 배꼽이 둥근 게를 쓴다.

○ 어떤 처방에는 부들꽃가루 8g을 끓인 물에 타 먹는다고 하였고 또는 큰 도끼를 불에 달구어서 담근 술을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고 하였다[본초].

혈훈(血暈)

몸푼 뒤의 혈훈이란 기혈이 갑자기 허해져서 혈이 기를 따라 올라가 정신을 어지럽게 하므로 눈 앞에 꽃 같은 것이 보이고 심한 경우에는 까무러쳐서 이를 악물고 정신이 혼미하며 숨쉬는 기운이 서늘한 것이다. 이런 데는 청혼산(淸魂散)을 쓰는 것이 좋다[양방].

○ 몸푼 뒤의 혈훈에는 두 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피를 많이 흘려서 혈훈이 나는 것이다. 이때에는 정신이 흐릿하고 답답하며 어쩔 바를 모른다. 이런 데는 반드시 보해야 하는데 궁귀탕(芎歸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다른 하나는 피는 적게 흘렸으나 혈훈이 나는 것이다. 이때에 오로(惡露)가 위로 치밀어서 명치 밑이 몹시 그득하고 정신이 혼미하며 이를 악물고 전혀 사람을 알아보지 못한다. 이런 데는 반드시 어혈을 헤치고 혈을 잘 돌게 하는 것이 좋다. 이때에는 탈명산(奪命散), 화예석산(花蘂石散, 처방은 제상문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양방].

○ 몸푼 뒤의 혈훈에는 사미탕(四味湯), 형개산(荊芥散), 초묵법(醋墨法)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저방].

청혼산(淸魂散)

몸푼 뒤의 혈훈을 치료한다.

형개수 20g, 궁궁이(천궁) 10g, 인삼, 쉽싸리잎(택란엽) 각각 5g, 감초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과 뜨거운 물 각각 반잔에 타서 입에 떠넣어 목구멍으로 내려가면 곧 낫는다[양방].

탈명산(奪命散)

혈훈으로 헛소리하는 것을 치료한다.

몰약, 혈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좋은 술 반 잔을 몇 번 끓어오르게 달인 데다 타 먹으면 곧 효과가 있다.

○ 일명 혈갈산(血竭散)이라고도 한다[단심].

사미탕(四味湯)

몸푼 뒤의 혈훈을 치료한다.

당귀, 현호색, 혈갈, 몰약 각각 4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 또는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물에 타 먹는다.

○ 일명 사미산(四味散)이라고도 한다[입문].

형개산(荊芥散)

혈훈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형개수를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물 1잔에 타서 따끈하게 하여 먹는다. 이를 악물었으면 입을 억지로 벌리고 떠넣는다[탕액].

초묵법(醋墨法)

혈훈을 방지한다. 먹 반 자루를 벌겋게 달구어 식초에 담갔다가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2g씩 연한 식초 달인 물에 타 먹으면 곧 낫는다[양방].

또 한 가지 처방

식초는 혈훈을 없앤다. 좋은 식초를 뜨겁게 달여서 조금씩 입에 머금고 있으면 곧 낫는다. 또는 식초를 환자의 얼굴에 뿜어서 깨어나면 식초를 조금씩 먹인다. 또는 숯불에 식초를 뿌려서 그 냄새를 맡게 한다[양방].

○ 또는 마른 옻이나 오래 묵은 옻칠한 그릇을 태우면서 그 연기를 콧구멍에 쐬이면 곧 깨어난다[양방].

○ 또는 부추를 잘게 썰어서 병에 넣고 여기에다 뜨거운 식초[熱醋]를 부어 넣어 산모의 얼굴에 그 기운을 쐬이면 곧 깨어난다[양방].

○ 산모의 방에 늘 식초 냄새가 나게 하는 것이 좋다. 신 성질을 피를 보하기 때문이다[본초].

○ 또는 혈훈으로 까무러친 데는 잇꽃(홍화) 40g을 술에 달여 먹이면 곧 깨어난다[본초].

또 한 가지 처방

몸푼 뒤에 갑자기 까무러쳐서 사람을 알아 보지 못하는 것은 갑자기 허해졌기 때문이다. 생달걀 3알을 먹인다. 그래도 깨어나지 않으면 물 2홉 반을 먹인다. 그래도 깨어나지 않으면 참대기름 1.2홉을 하루에 세번에서 다섯번씩 먹이면 깨어난다. 끼무릇(반하)가루나 주염열매(조각)가루를 콧구멍에 불어넣어 재채기를 하게 한다[양방].

혈붕(血崩)

몸푼 뒤에 혈붕이 멎지 않는 것을 중상(重傷)이라고 한다. 이런 데는 궁귀탕(芎歸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의 중량을 많이 한 데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더 넣어 달여 먹여 구원해야 한다. 만일 아랫배가 그득하고 아프면 간이 상한 것이므로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 몸푼 뒤에 혈붕이 계속 나오는 데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부들꽃가루(포황), 생지황즙, 갖풀(아교), 엉겅퀴(대계), 묵은 약쑥(陳艾), 구릿대(백지) 등을 더 넣어 달여 먹는다[운기].

○ 몸풀기할 때 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위급한 데는 제위상단(濟危上丹)을 쓰는 것이 좋다. 유산 후에 하혈이 계속되는 데는 보기양혈탕(補氣養血湯)을 쓰는 것이 좋다.

○ 혈붕에는 오회산(五灰散), 십회환(十灰丸, 처방은 모두 혈문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제위상단(濟危上丹)

몸풀기할 때 피를 너무 많이 흘린 탓으로 극도로 허해져서 풍이 생겨 입술이 퍼렇고 몸이 차며 땀이 나고 눈을 감으면서 생명이 경각에 다달았을 때에는 절대로 풍을 치료하는 약을 쓰지 말고 빨리 이 처방을 써야 한다.

유향, 유황, 오령지, 현정석, 귤껍질(陳皮),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갖풀(아교), 바위손(권백) 각각 같은 양.

위의 약 가운에서 앞의 4가지 약을 가루내어 약한 불에 닦아서 다시 보드랍게 가루낸다. 그리고 나머지 약을 가루내어 위의 약과 함께 섞어서 생지황즙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득효].

보기양혈탕(補氣養血湯)

유산 후에 계속 하혈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단너삼(황기), 당귀, 흰삽주(백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약쑥(애엽), 갖풀(아교), 궁궁이(천궁), 선귤껍질, 향부자(닦은 것), 사인(간 것),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또 한 가지 처방

몸푼 뒤의 혈붕을 치료한다. 나무버섯(목이, 600g 혹은 300g을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낸 것), 사향가루 4g, 잿불에 묻어 구운 지각가루 8g 등을 고루 섞어서 한번에 4g씩 오매 달인 물에 타 먹으면 혈붕이 곧 멎는다[단심].

코피[ 血]

몸푼 뒤 입과 코에 검은 빛이 나타나면서 코피가 흐르는 것을 위절폐패(胃絶肺敗)라고 한다. 이 증은 치료하기 어렵다. 빨리 형개산(荊芥散, 처방은 위에 있다)과 양법(禳法)을 써야 한다[양방].

○ 몸푼 뒤에 기혈이 흩어져서 여러 경락에 들어갔다가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하기 때문에 입과 코에 검은 빛이 나타나면서 코피가 흐르는데 이것을 위절폐패라고 한다. 이런 데는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방예하는 법[禳法]3

빨리 비단실 한 올과 산모의 정수리의 털 두 올로 산모의 가운뎃손가락 마디를 꽉 졸라매면 코피가 멎는다[양방].

숨차 하고 기침하는 것[喘嗽]

몸푼 뒤에 숨차 하는 것은 아주 위급하고 흔히 죽을 수 있다[산보].

○ 몸푼 뒤에 숨결이 밭고 몹시 숨이 찬 것은 피를 너무 많이 흘린 탓으로 영혈(榮血)이 갑자기 줄어들고 위기가 작용하지 못하며 폐에만 몰리기 때문이다. 이런 증을 고양절음(孤陽絶陰)이라고 하는데 치료하기 어렵다. 이런 때에는 궁귀탕의 중량을 세게 해서 쓰거나 소삼소음(小蔘蘇飮) 등을 쓰는 것이 좋다[강목].

○ 몸푼 뒤에 숨이 차서 생명이 위급한 데는 탈명산(奪命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되 좋은 술 반잔에 타서 뜨겁게 해서 먹으면 궂은 피가 곧 나오고 숨찬 것이 저절로 멎는다. 혹 독삼탕(獨蔘湯)을 써도 좋다(처방은 기문에 있다)[입문].

○ 혹 인삼과 흰솔풍령(백복령)을 물에 달여 먹기도 한다.

○ 몸푼 뒤에 기침이 많은 것은 대개 어혈이 폐에 들어간 것이므로 이모산(二母散)을 쓰고 감기에는 선복화탕(旋覆花湯)을 쓴다[입문].

이모산(二母散)

몸푼 뒤에 오로(惡露)가 폐경(肺經)에 들어가서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지모, 패모, 흰솔풍령(백복령), 인삼 각각 4g, 복숭아씨(도인), 살구씨(행인)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성혜].

소삼소음(小蔘蘇飮)

몸푼 뒤 궂은 피가 폐에 들어가서 얼굴이 검어지고 숨이 차서 죽을 듯한 것을 치료한다.

소목 8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 2사발에 달여 1사발이 되면 보드라운 인삼가루 8g을 타 먹는다[운기].

선복화탕(旋覆花湯)

몸푼 뒤 풍한에 감촉되어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담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선복화, 함박꽃뿌리(작약), 형개수, 반하국, 오미자, 마황, 벌건솔풍령(적복령), 살구씨(행인), 전호,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삼인].

딸꾹질[咳逆]

몸푼 뒤에 딸꾹질이 멎지 않으면서 죽을 듯한 것을 치료한다.

육계 20g, 생강즙 3홉.

위의 약들을 함께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2홉을 먹고 불에 쪼인 손으로 환자의 잔등을 문질러서 뜨거워질 때에 나머지 약즙을 다 바르면 멎는다[양방].

○ 어떤 처방에는 납거미집 3-5개를 즙을 내어 뜨겁게 해서 먹으면 낫는다고 하였다[양방].

몸푼 뒤에 말을 못하는 것[産後不語]

궂은 피가 심(心)에 들어가서 심기가 막히기 때문에 혀가 뻣뻣해지면서 말을 못하는 것이다. 이때에는 칠진산(七珍散), 사미산(四味散,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담열이 심(心)을 장애해서 말을 하지 못하는 데는 고봉산(孤鳳散)을 쓴다.

○ 몸푼 뒤에 목이 쉬면서 말을 하지 못하는 데는 복령보심탕(茯 補心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을 쓴다[입문].

칠진산(七珍散)

몸푼 뒤에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생지황, 석창포, 궁궁이(천궁) 각각 8g, 족두리풀(세신), 방풍, 주사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박하 달인 물에 타 먹는다.

○ 감초 4g을 더 넣으면 팔진산(八珍散)이라고 한다[산보].

고봉산(孤鳳散)

몸푼 뒤에 눈을 감고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백반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아무 때나 뜨거운 물에 타 먹는다[산보].

몸푼 뒤에 헛것이 보인다고 헛소리하는 것[産後見鬼 妄]

몸푼 뒤에 헛것이 보인다고 하면서 앞뒤의 말이 맞지 않게 하는 것은 궂은 피가 심(心)을 침범한 것이다. 이때에는 소합향원(蘇合香元) 4g을 물에 타 먹으면 정신이 든다. 소조경산(小調經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에 용뇌를 조금 넣어 먹어도 좋다.

○ 어혈이 심(心)을 장애해서 헛소리하고 정신이 어리둥절하며 어지러워하는 데는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서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빼고 호박, 측백씨(백자인), 원지, 주사, 금, 은 등을 더 넣어 달여 먹는다. 교감지황전원(交感地黃煎元)을 쓰는 것도 좋다[입문].

○ 몸푼 뒤에 정신이 혼미하여 사람을 알아 보지 못하며 눈을 감고 보지 않는 것은 갑자기 피를 많이 흘려서 심신(心神)을 영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심하면 옷깃을 만지작거리고 헛손질하면서 허튼 말을 하고 정신이 없다. 이런 데는 생지금련탕(生地芩連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처방은 포문에 있다), 영신고(寧神膏), 복령산(茯 散), 백자인산(栢子仁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저방].

교감지황전원(交感地黃煎元)

몸푼 뒤 눈 앞에 검은 꽃이 보이고 미친 것처럼 발광하며 혹 중풍으로 몸이 뒤로 젖혀지거나 돼지 간 같은 것을 하혈하며 배꼽 주위가 몹시 아프고 궂은 피가 몰려서 징가( )가 된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1,200g(깨끗한 물로 씻어서 짓찧어 천에 싼 다음 즙을 낸다. 그 찌꺼기는 생강즙으로 축여 볶아 말려 가루낸다), 생강 1,200g(깨끗한 물로 씻어서 짓찧어 즙을 낸다. 그 찌꺼기는 생지황즙으로 축여 볶아 말려 가루낸다), 부들꽃가루(포황, 닦은 것) 160g, 당귀, 현호색, 호박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당귀를 넣어 빚은 술에 풀어 먹는다[국방].

영신고(寧神膏)

몸푼 뒤에 피를 많이 흘려서 정신이 혼미하고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며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0g, 호박 30g, 주사, 유향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골풀속살과 대추를 넣고 달인 물에 타 먹는다. 혹은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는다[입문].

복령산(茯 散)

몸푼 뒤에 심(心)이 허하여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안정하지 못하고 말을 허투루 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당귀, 마(산약), 감초 각각 6g, 원지, 복신, 계심, 맥문동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정전].

백자인산(栢子仁散)

몸푼 뒤에 헛소리와 허튼 말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다 심혈(心血)이 부족하여 정신이 안정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측백씨(백자인), 원지, 인삼,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방풍, 호박, 당귀, 찐지황(숙지황),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썬다. 먼저 흰 양의 염통 1개를 물에 삶아 2잔이 되면 그 물에 약가루를 한번에 20g씩 넣고 한 잔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정전].

몸푼 뒤에 열이 나는 것[産後發熱]

몸푼 뒤에 혈이 허하여 열이 혈실(血室)에 들어가면 열이 나고 번조증이 나는데 낮에는 덜하고 밤이면 심하며 혹 헛것이 보인다고 헛소리하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때는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 우황고(牛黃膏) 등을 쓰는 것이 좋다[보명].

○ 몸푼 뒤에 열이 나는 데는 다섯 가지가 있다. 피를 너무 많이 흘리면 반드시 맥이 허대(虛大)하면서 힘이 없으며 배가 아프지 않은 것이 있는데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을 쓴다.

○ 오로(惡露)가 다 나오지 않으면 반드시 뱃속에 덩어리가 있어서 아픈 것이다. 이때는 흑신산(黑神散)을 쓴다.

○ 음식에 상한 것이 있는데 반드시 소화시키는 약을 써야 한다.

○ 풍한에 감촉된 데는 땀을 내야 한다.

○ 증유(蒸乳)가 있는데 이때는 반드시 젖이 불어 오르고 아프다. 이때는 젖몸을 주물러 젖을 짜버리면 저절로 낫는다[의감].

○ 몸푼 뒤 상한이나 열병으로 열이 혈실에 들어갔거나 어혈이 있는 데는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 시호지황탕(柴胡地黃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몸푼 뒤 풍한에 감촉되어 열이 나는 데는 시호방귀탕(柴胡防歸湯), 죽엽방풍탕(竹葉防風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몸푼 뒤 열이 나고 갈증이 나는 데는 숙지황탕(熟地黃湯), 인삼당귀산(人蔘當歸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몸풀기했거나 유산한 다음에 열이 혈실에 들어간 데는 소시호탕에 오령지를 더 넣고 황련, 벌건솔풍령(적복령)으로써 심(心)을 시원하게 하고 혈의 열을 내리도록 도와주면 곧 낫는다[직지].

[註] 증유(蒸乳): 몸푼 뒤 사흘째 되는 날 새벽에 오한과 열이 나는 증을 말한다.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

몸푼 뒤에 열이 나는 것과 열이 혈실에 들어간 것을 치료한다.

시호, 생지황 각각 8g, 궁궁이(천궁), 함박꽃뿌리(적작약), 당귀,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인삼, 끼무릇(반하),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 일명 삼원탕(三元湯)이라고도 한다[보명].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

몸푼 뒤에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12g, 함박꽃뿌리(적작약), 당귀, 궁궁이(천궁) 각각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수진].

우황고(牛黃膏)

몸푼 뒤 열이 혈실에 들어간 것을 치료한다.

주사, 울금 각각 12g, 우황 10g, 모란뿌리껍질(목단피) 8g, 감초 4g, 용뇌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주염열매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깨끗한 물에 풀어 먹는다[옥기].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

몸푼 뒤에 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열이 나며 가슴이 답답하고 배가 아프며 어지러워하고 눈앞에 꽃 같은 것이 보이거나 이를 악물고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찐지황(숙지황), 귤껍질(陳皮),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오약, 건강, 익모초,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감초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의감].

흑신산(黑神散)

산모에게서 오로(惡露)가 나오지 않아 열이 나고 번조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육계, 감초(닦은 것) 각각 20g, 침향, 종려(불에 태워 가루낸 것), 부들꽃가루(포황), 몰약 각각 10g, 유향 6g, 함박꽃뿌리(적작약) 4g, 혈갈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의감].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

몸푼 뒤 열이 혈실에 들어가서 추웠다 열이 나면 헛것이 보인다고 허튼 말을 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속썩은풀(황금), 끼무릇(반하), 감초, 함박꽃뿌리(작약), 당귀, 생지황 각각 4g, 복숭아씨(도인), 오령지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시호지황탕(柴胡地黃湯)

몸푼 뒤 혈이 혈실에 들어가서 추웠다 열이 나면 헛것이 보인다고 허튼 말을 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생지황 각각 8g, 인삼, 끼무릇(반하),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시호방귀탕(柴胡防歸湯)

몸푼 뒤에 열이 나는 데는 망혈(亡血), 축혈(蓄血), 식상[傷食], 증유(蒸乳) 등 4가지 증이 있다. 이외에 풍한에 감촉되어 열이 나는 표증(表證)도 있는데 이 약을 쓴다.

당귀 12g, 궁궁이(천궁) 6g, 시호, 인삼 각각 4g,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방풍 각각 3.2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죽엽방풍탕(竹葉防風湯)

몸푼 뒤 풍에 상하여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청죽엽 24잎, 방풍, 인삼, 계지, 도라지(길경), 전호,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숙지황탕(熟地黃湯)

몸푼 뒤에 허하여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하늘타리뿌리(과루근) 8g, 인삼, 맥문동 각각 6g, 찐지황(숙지황)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100알,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인삼당귀산(人蔘當歸散)

몸푼 뒤 망혈(亡血)로 속에 열이 나며 번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인삼, 맥문동 각각 4g, 계피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한다. 먼저 입쌀 1홉과 청죽엽 10잎을 물 2잔에 넣고 달여 1잔이 되면 입쌀과 청죽엽은 버리고 앞의 약과 생강 3쪽, 대추 2알을 넣고 다시 달여 먹는다[입문].

또 한 가지 처방

몸푼 뒤에 열이 나면서 번갈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생연뿌리즙 2홉 반을 먹는다. 생지황즙을 섞어 먹으면 더욱 좋다[본초].

○ 또는 참대기름 1잔을 먹어도 매우 좋다[단심].

몸푼 뒤에 젖몸이 늘어지는 증[産後乳懸證]

(자세한 것은 유문(乳門)에 있다)

몸푼 뒤에 젖을 나오게 하는 법[下乳汁]

몸푼 뒤에 젖이 나오지 않는 데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기혈이 너무 왕성해서 젖이 몰려서 나오지 않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기혈이 약해서 말라 나오지 않는 것이다. 젖이 몰려서 나오지 않는 데는 누로산(漏蘆散)을 쓰는 것이 좋고 말라서 나오지 않는 데는 통유탕(通乳湯, 2가지 처방은 다 유문에 있다), 저제죽(猪蹄粥)을 쓰는 것이 좋다[양방].

○ 몸푼 뒤에 젖줄이 통하지 못하여 몸에서 열이 몹시 나는 데는 옥로산(玉露散)을 쓰는 것이 좋다[양방].

○ 젖이 나게 하려면 유문(乳門)을 참고하여 치료하여야 한다.

옥로산(玉露散)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젖몸을 자극하여 젖을 나오게 한다.

도라지(길경),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각각 8g, 함박꽃뿌리(적작약) 6g,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 각각 4g, 당귀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양방].

저제죽(渚蹄粥)

젖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돼지발굽 4개를 보통 해먹듯이 손질하여 물 2말에 달여 1말이 되면 돼지발쪽을 버리고 왕과, 통초, 뻐꾹채 각각 120g을 썰어서 함께 넣고 달여 6되가 되면 찌꺼기를 버린 다음 파밑과 약전국, 좁쌀을 넣고 묽은 죽을 쑤어 먹는다[본초].

또 한 가지 처방

젖이 나오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상추(부루)씨, 찹쌀 각각 1홉 등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물 1사발에 넣고 고루 저은 다음 감초가루 4g을 타서 달여 자주 먹으면 좋다[운기].

○ 또는 맥문동가루 8g을 술을 두고 간 서각즙 1잔에 타 먹는다. 또는 붉은팥 달인 물을 먹는다. 또는 잉어국을 먹는다[본초].

또 한 가지 처방

젖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멧돼지기름 1숟가락을 데운 술 1잔에 타서 하루에 세번 먹으면 젖이 곧 나오고 젖이 많이 나와서 5명의 어린이에게 먹일 수 있다. 음력 섣달에 잡은 돼지기름이 더 좋다[본초].

○ 술지게미를 끓여 먹어도 좋다[속방].

몸푼 뒤의 자궁탈출이 된 것[産後陰脫]

몸푼 뒤에 자궁탈출이 된 것은 대개 힘을 너무 써서 생긴다. 그 모양이 항문이 빠져 나온 것 같고 또 무직하며 부어서 아프고 멀건 진물이 계속 흐르며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진다. 이때에는 당귀황기음(當歸黃 飮)을 쓰고 외용약으로는 유황, 오징어뼈(오적골) 각각 20g, 오배자 10g을 가루를 내어 빠져 내려온 자궁에 붙이면 효과가 있다[단심].

○ 몸푼 뒤에 장(腸)까지 밀려 나와서 들어가지 않는 데는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방풍과 승마를 더 넣고 반드시 단너삼(황기, 술로 축여 볶은 것)을 주약으로 하여 달여 먹고 겉은 가죽나무뿌리껍질(저근백피) 20g, 형개, 승마, 곽향 각각 8g을 두고 달인 물로 김을 쏘이면서 씻으면 빠져 내려온 자궁이 곧 들어간다. 또는 지각 80g을 달인 더운물에 담그고 한참 있으면 저절로 들어간다[단심].

○ 몸푼 뒤에 자궁이 탈출된 데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용골(없으면 오배자를 쓴다)을 더 넣어 연거푸 2첩을 쓰고 겉은 참기름을 탄 더운물로 자궁을 씻고 여성고(如聖膏, 처방은 위에 있다)를 정수리에 붙인다[입문].

○ 몸푼 뒤에 음문 양쪽이 부으면서 아프고 손발을 펴지 못하는 데는 사계총(四季 )에 유향가루를 넣고 짓찧어 떡을 만들어 음문 양쪽에 붙이면 잠시 후에 낫는다[입문].

○ 자궁이 몹시 아파서 참을 수 없는 데는 오배자와 백반을 각각 같은 양으로 넣어 달인 물에 김을 쏘이면서 씻은 다음 보드라운 가루를 뿌려 주기도 한다[입문].

○ 몸푼 뒤 자궁이 들어가지 않는 데는 유황탕(硫黃湯)을 쓰는 것이 좋다.

○ 또 한 가지 방법은 참기름 3kg을 달여 따뜻한 것을 큰 그릇에 붓고 그 곳에 한참 동안 들어앉아 있게 한다. 그 다음 주염열매가루를 콧구멍에 불어넣어 재채기를 하게 하면 곧 자궁이 들어간다[단심].

○ 또는 큰 종이 심지에 기름을 묻혀서 불을 붙였다가 불어서 끈 다음 그 연기를 산모의 코에 쏘이면 자궁이 들어간다[양방].

당귀황기음(當歸黃 飮)

몸푼 뒤에 자궁이 탈출된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술로 축여 볶은 것) 12g, 인삼, 당귀, 승마 각각 8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하루 세번씩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유황탕(硫黃湯)

몸푼 뒤에 자궁이 탈출되어서 들어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유황 160g, 오수유, 새삼씨(토사자) 각각 60g, 뱀도랏열매(사상자)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물 1사발에 달여 뜨거울 때 환처(患處)에 자주 김을 쏘이면서 씻으면 탈출된 자궁이 저절로 들어간다[정전].

자궁이 탈출된 것을 치료한 경험[陰脫治驗]

어떤 부인이 몸푼 뒤에 음문으로 사발을 마주 엎어 놓은 것같이 두 갈래로 갈라진 것이 나왔는데 그것은 자궁이었다. 이것은 반드시 기혈이 허약하기 때문에 처져 내려온 것이다. 그래서 승마, 당귀, 단너삼(황기) 등 약의 분량을 많이 해서 2첩을 먹였더니 한나절이 지나서 들어갔으나 손바닥만한 것 하나가 말라서 자리 위에 떨어져 있었다. 그 부인은 창자가 떨어진 줄 알고 겁이 나서 울고 있었다. 나는 그것이 창자가 아니라 조박(糟粕)이며 살이 상해 떨어졌다 하더라도 되살아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만일 기혈이 충실해지면 완전히 살아날 수 있다고 보고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서 시호를 빼고 연거푸 2-3첩을 용량을 많이 해서 먹였더니 잠시 후에 그것이 들어갔다. 그 뒤에 사물탕(四物湯)에 인삼을 더 넣고 100여 첩을 먹였더니 3년 후에 다시 아들을 낳았다[단심].

또 한 가지 방법

몸풀기할 때 놀라 미리 서두르며 힘을 너무 쓰면 황막( 膜)이 상해서 음문 속에 길이 3-4자 되는 살줄기가 빠져 나오는 때가 있다. 이렇게 되면 명치 밑이 땅기면서 아파 견딜 수 없으며 약간 움직이기만 해도 아파서 죽을 지경이다. 이런 데는 먼저 실소산(失笑散)을 몇 첩 먹이고 계속해서 생강 1.8kg을 깨끗하게 씻은 다음 껍질째로 짓찧은 데다 참기름 1.2kg을 두고 고루 섞어서 기름이 마를 때까지 불에 볶는다. 그리고 산모가 자궁을 위로 올려서 음문 안으로 밀어 넣고 5자 되는 명주를 익혀서 여러 겹으로 만든 주머니에 생강(기름에 볶은 것)을 넣어 좀 따뜻하게 한 다음 자궁에 대 준다. 식으면 다리미로 다리고 만일 생강 냄새가 없어지면 다시 다른 생강과 바꾼다. 이렇게 하루 동안 찜질하면 자궁이 절반쯤 들어간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2일 동안 계속하면 그것이 제자리로 다 들어가고 완전히 낫는다. 그 다음 다시 실소산과 궁귀탕을 먹어 조리하며 나온 자궁을 절대로 자르지 말아야 한다. 자르면 치료하지 못한다[득효].

울모(鬱冒)

마침 달거리가 있을 때에 땀을 내면 갑자기 정신이 혼미해져서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의사가 대답하기를 “달거리가 나오면 이(裏)가 허(虛)해지면서 땀이 나는데 땀이 나면 또한 표(表)가 허해지기 때문에 정신이 혼미해 지게 된다”고 하였다[맥경].

○ 몸푼 뒤에 피를 많이 흘려서 정신이 혼미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다가 잠시 후에 깨어나는 것을 울모라고 하며 또 혈궐(血厥)이라고도 한다. 이런 때에는 창공산(倉公散)을 콧구멍에 불어넣어 재채기를 하게 한 다음 백미탕(白薇湯)을 먹이는 것이 좋다(두 가지 처방은 구급문에 있다).

○ 몸푼 뒤에 피를 많이 흘려서 정신을 잃고 눈을 감고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 것은 혈이 갑자기 줄어들어서 정신을 영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눈을 감고 뜨지 못하는 병은 모두 음병에 속하므로 혈이 없어진 데는 혈을 보하는 것이 무슨 의심될 것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처방은 포문에 있다)를 주로 쓴다[동원].

몸푼 뒤의 풍치[産後風 ]

몸푼 뒤에 열이 나면서 혀가 뻣뻣하고 입술이 조여들며 손가락만 약간 움직일 때에는 풍치로 알고 치료하여야 한다. 이때는 귀형탕(歸荊湯), 독활주(獨活酒) 등을 쓰는 것이 좋다[직지].

○ 몸푼 뒤의 중풍(中風)을 욕풍( 風)이라고도 하는데 이를 악물고 손발에 경련이 일어 가드라들기도 하고 늘어지기도 하면서 죽을 것 같을 때는 유풍산(愈風散), 귀형탕(歸荊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 만일 이를 악물고 몸이 뒤로 젖혀지며 느침을 흘리면 이것은 치병( 病)이다. 이때에는 교가산(交加散), 두림주(豆淋酒), 자탕(紫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몸푼 뒤의 치병은 기혈이 몹시 허약해져서 생기기 때문에 땀을 내는 약을 쓰지 못한다. 다만 방풍당귀산(防風當歸散)을 쓰는 것이 제일 좋다[강목].

○ 몸푼 뒤의 풍증에는 혈풍탕(血風湯)을 쓴다[단심].

○ 몸푼 뒤에 치병이 생기는 것은 허해진 데다 바람을 맞고 담(痰)을 겸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인삼과 참대기름 같은 것을 먹는 것이 좋다. 또는 참대기름 1되를 자주 먹어도 매우 효과가 있다[천금].

○ 몸푼 뒤의 중풍에는 반드시 기혈을 많이 보한 다음 담(痰)을 치료하여야 한다. 중풍으로 알고 표(表)를 풀어 주거나 땀을 내는 약으로 치료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가감하여 쓰는 것이 좋다[단심].

○ 몸푼 뒤 땀을 많이 내고 바람을 맞아 치병이 된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입문].

귀형탕(歸荊湯)

몸푼 뒤의 풍치(風 )를 치료한다.

형개수(荊芥穗, 약간 닦은 것), 당귀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두림주에 타 먹는다[입문].

독활주(獨活酒)

몸푼 뒤의 풍치를 치료한다.

따두릅(독활), 백선피(白鮮皮) 각각 2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술 5홉에 달여 절반이 되면 두번에 나누어 먹는다[본초].

유풍산(愈風散)

몸푼 뒤의 중풍을 치료한다.

형개수(닦은 것).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두림주에 타 먹는다[득효].

○ 일명 거경고배산(擧卿古拜散)이라고도 한다[산보].

교가산(交加散)

몸푼 뒤의 치병을 치료한다.

생지황 600g, 생강 460g.

위의 약들을 각각 따로 짓찧어 즙을 낸다. 생지황즙으로는 생강 찌꺼기를 축여 볶고 생강즙으로는 생지황 찌꺼기를 축여 볶아서 한데 섞은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리어 가루낸다. 한번에 12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입문].

두림주(豆淋酒)

몸푼 뒤의 풍증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1되를 닦아 익혀서 뜨거운 것을 청주 3되에 넣어 꼭 봉해 두었다가 주량에 맞게 먹는다[본초].

자탕(紫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2홉을 고소한 냄새가 나게 닦아서 술 1잔에 달여 7분이 되면 콩을 버리고 빈속에 단번에 먹는다[양방].

방풍당귀산(防風當歸散)

몸푼 뒤의 치병을 치료한다.

방풍, 당귀, 궁궁이(천궁), 찐지황(숙지황) 각각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해장].

혈풍탕(血風湯)

몸푼 뒤에 여러 가지 풍증으로 손발이 가드라들거나 힘이 없어지는 증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당귀, 찐지황(숙지황),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0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진교, 강호리(강활), 구릿대(백지) 각각 28g, 방풍 2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절반은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고 절반은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단심].

몸푼 뒤의 두통[産後頭痛]

몸푼 뒤에 열이 나고 몸이 아프며 머리가 아픈 증을 감기로 치료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증들은 대개 혈허(血虛)하거나 궂은 피로 생긴다. 이때에는 옥로산(玉露散, 처방은 위에 있다) 혹은 사물탕(四物湯)에 시호(柴胡)를 더 넣어 달여 먹는다[양방].

○ 몸푼 뒤에 머리가 아픈 데는 일기산(一奇散, 즉 궁귀탕(芎歸湯)이다)에 형개수 8g을 더 넣어 달여 먹으면 효과가 있다[운기].

○ 어떤 부인이 몸푼 뒤에 두통과 가슴앓이가 번갈아 나서 죽을 지경이었는데 흑룡단(黑龍丹, 처방은 위에 있다) 3알을 먹고 황충(蝗蟲)의 알 같은 궂은 것들이 3되쯤 나오고 곧 나았다[양방].

몸푼 뒤에 명치 밑과 허리, 옆구리가 아픈 것[産後心腹腰脇痛]

몸푼 뒤 명치 밑이 아픈 것은 주로 어혈(瘀血)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팔미흑신산(八味黑神散), 사미산(四味散, 처방은 위에 있다), 실소산(失笑散,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몸푼 뒤에 오로(惡露)가 멎은 다음 허리와 배가 몹시 아픈 데는 도인탕(桃仁湯), 도계당귀환(桃桂當歸丸) 등을 쓴다[양방].

○ 몸푼 뒤에 가슴, 옆구리, 허리, 배가 아픈 것은 궂은 피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사물탕에 궁궁이(천궁)와 당귀를 곱절 넣고 화살나무껍질(귀전우), 잇꽃(홍화), 현호색 각각 4g을 더 넣고 달인 물에 몰약산(沒藥散)을 타 먹으면 곧 낫는다[보명].

○ 몸푼 뒤에 왼쪽 옆구리가 아픈 데는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을 쓰며 오른쪽 옆구리가 아픈 데는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을 쓰는 것이 좋다[의감].

○ 겨울철에 몸풀기하고 배꼽 아래가 아픈 데는 양육탕(羊肉湯)을 쓰는 것이 좋다[중경].

○ 몸푼 뒤에 혈가(血 )가 생겨 아픈 곳이 일정치 않은 데는 물 3되, 생지황즙, 연뿌리즙 각각 1되를 함께 넣고 먼저 3분의 2쯤 되게 달인 다음 또 생강즙 2되를 넣어 천천히 묽은 엿처럼 달여 한번에 1홉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양방].

팔미흑신산(八味黑神散)

몸푼 뒤 오로(惡露)가 다 나오지 않아 가슴과 배꼽 주위가 쥐어 비트는 것 같이 아픈 것과 혈미(血迷), 혈훈(血暈) 증 등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부들꽃가루(포황), 함박꽃뿌리(적작약), 건강, 육계, 당귀, 찐지황(숙지황), 감초 각각 40g, 검정콩(흑두, 닦은 것) 16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국방].

○ 이 처방에 백초상(百草霜) 20g을 더 넣으면 오금산(烏金散)이라고 한다[득효].

도인탕(桃仁湯)

몸푼 뒤에 오로(惡露)가 흐르다가 갑자기 멎으면서 허리와 배까지 아픈 것과 오로가 흐르면서 허벅다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복숭아씨(도인), 소목, 생지황 각각 20g, 등에, 거머리(수질, 둘 다 닦은 것) 각각 30개.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물 1잔에 넣고 6분이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해서 먹되 궂은 피가 흐르면 약을 끊는다. 만일 몹시 아픈 곳이 있으면 그곳에 옹저(癰疽)가 생긴 것이므로 오향련교탕(五香連翹湯, 처방은 옹저문에 있다)에서 대황을 빼고 물에 달인 다음 참대기름을 타 먹는다[양방].

도계당귀환(桃桂當歸丸)

몸푼 뒤에 오로(惡露)가 흐르다가 갑자기 멎고 추웠다 열이 나면서 배꼽 주위와 모든 경맥이 송곳으로 찌르는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계심, 함박꽃뿌리(적작약) 각각 20g, 당귀, 복숭아씨(도인), 몰약 각각 10g, 등에, 거머리(수질, 둘 다 닦은 것) 각각 30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를 두고 쑨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완두콩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식초를 두고 끓인 물로 먹는다[양방].

몰약산(沒藥散)

몸푼 뒤에 어혈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몰약 12g, 등에(닦은 것) 8g, 거머리(수질, 닦은 것) 4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먹는다[보명].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

몸푼 뒤에 왼쪽 옆구리가 뻐근하고 답답하며 덩어리가 생겨서 아파 자리에 눕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식초로 축여 볶은 것) 80g,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기름으로 축여 볶은 것), 흰삽주(백출, 닦은 것), 선귤껍질(靑皮, 기름으로 축여 볶은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무씨(나복자, 닦은 것), 모란뿌리껍질(목단피), 잇꽃(홍화),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0g, 시호(술로 축여 볶은 것), 복숭아씨(도인, 닦은 것) 각각 32g, 용담초(술로 씻은 것) 24g, 삼릉, 봉출(둘 다 식초로 축여 볶은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로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의감].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몸푼 뒤에 오른쪽 옆구리가 몹시 불러 오르면서 덩어리가 있어 힘줄같이 뻗치는데 이것을 차게 하면 더 아파하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80g,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흰삽주(백출, 흙과 함께 닦은 것), 선귤껍질(기름으로 축여 볶은 것), 귤껍질(陳皮), 지실, 오약, 후박, 약누룩(신국), 건강(검눋도록 닦은 것), 흰겨자(닦은 것) 각각 40g, 삼릉, 봉출(둘 다 식초로 축여 볶은 것) 각각 32g,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육계 각각 24g, 목향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를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의감].

양육탕(羊肉湯)

겨울철 몸풀기한 뒤에 찬 기운이 산문(産門)으로 들어가서 배꼽 아래가 불러 오르고 아파서 손을 대지 못하는 것을 한산(寒疝)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양고기 160g, 당귀, 귤껍질(陳皮) 각각 80g, 생강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 3사발, 술 1잔과 함께 달여 1사발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두번에 갈라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정전].

몸푼 뒤의 구역[産後嘔逆]

몸푼 뒤에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하며 답답하면서 구역이 멎지 않는 것은 궂은 피가 비위에 침범하였기 때문인데 음식을 먹지 못한다. 이때에는 저성탕(抵聖湯), 향령환(香靈丸)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저성탕(抵聖湯)

몸푼 뒤에 구역이 나고 메슥메슥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함박꽃뿌리(작약), 끼무릇(반하), 쉽싸리잎(택란엽), 인삼, 귤껍질(陳皮) 각각 6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제생].

○ 일명 거승탕(拒勝湯)이라고도 한다[정전].

향령환(香靈丸)

몸푼 뒤에 구역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정향, 주사(따로 간 것) 각각 2.4g, 오령지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구담(狗膽)이나 저담(猪膽)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생강과 귤껍질(陳皮)을 두고 달인 물에 풀어 먹는다[본사].

몸푼 뒤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과 유뇨증[産後淋瀝遺尿]

몸풀기를 잘못하여 상해서 오줌을 아무 때나 자기도 모르게 누는 데는 삼출고(蔘朮膏)를 쓰는 것이 좋다[단심].

○ 몸푼 뒤에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방울방울 떨어지는 데는 모근탕(茅根湯)을 쓴다(삼인].

○ 몸푼 뒤에 유뇨증이 있는 데는 상표초산(桑 散), 황기작약탕(黃 芍藥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삼인].

삼출고(蔘朮膏)

몸푼 뒤에 방광이 상하여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10g, 흰삽주(백출) 8g, 단너삼(황기) 6g, 귤껍질(陳皮), 복숭아씨(도인),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한다. 먼저 돼지나 양의 오좀깨[猪羊 ]를 물에 두고 삶다가 약을 넣고 다시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따뜻하게 해서 빈속에 먹는다.

○ 어떤 산모가 몸풀기방조[收生]를 잘못 받는 데로부터 방광이 상하여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멎지 않아 병신같이 되었다. 이것을 보고 겉의 기육(肌肉)이 상한 것을 보하면 아물게 할 수 있지 않겠는가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환자의 맥을 짚어 보니 몹시 허하였다. 그래서 시험적으로 세게 보하는 삼출고를 1달쯤 먹였더니 나았다. 이것은 기혈이 왕성해짐으로써 상한 방광이 나은 것이다. 만일 조금이라도 늦었더라면 낫기 어려웠을 것이다[단심].

모근탕(茅根湯)

몸푼 뒤에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띠뿌리(모근) 160g, 흰솔풍령(백복령) 80g, 패랭이꽃(구맥), 돌아욱씨(규자), 인삼 각각 40g, 부들꽃가루(포황), 복숭아나무진(도교), 곱돌(활석), 감초 각각 20g, 자패 5개, 조기대가리 속의 흰뼈(石水魚頭中石) 16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으름덩굴 달인 물에 타 먹거나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골풀속살(등심초)과 함께 달여 먹어도 좋다[삼인].

상표초산(桑 散)

몸푼 뒤에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과 유뇨증을 치료한다.

사마귀알집(상표초, 닦은 것) 15개, 녹용(연유를 발라 구운 것), 단너삼(황기) 각각 60g, 굴조개껍질(모려), 인삼, 적석지, 후박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운기].

○ 또는 사마귀알집(상표초, 술로 축여 볶은 것)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생강 달인 물에 타 먹어도 효과가 있다[강목].

황기작약탕(黃 芍藥湯)

몸푼 뒤 유뇨증과 오줌을 참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당귀(잔뿌리),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6g, 흰삽주(백출) 4g, 인삼, 귤껍질(陳皮) 각각 2g, 감초(닦은 것)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삼인].

몸푼 뒤의 설사와 이질[産後泄痢]

몸푼 뒤의 설사에는 적기산(的奇散)을 쓰는 것이 좋다.

○ 몸푼 뒤 한 달이 되기 전에 생긴 이질에는 압자전(鴨子煎, 처방은 위에 있다) 또는 사물탕에 복숭아씨(도인)와 황련, 목향을 더 넣어 쓴다[입문].

○ 당귀작약산(當歸芍藥散, 처방은 두루 치료하는 문에 있다)도 쓸 수 있다.

적기산(的奇散)

몸푼 뒤의 설사는 오로(惡露)가 다 나가지 못하고 남아 있으면서 대장(大腸)으로 들어가서 생기는데 이때 검푸른 빛의 설사가 나간다. 이것을 치료하여 효과를 보았다.

형개수(약성이 남게 태우되 기름불을 쓰지 않는다), 사향 조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끓는 물에 타서 한두번 마시면 잘 낫는다[득효].

몸푼 뒤의 변비[産後大便秘結]

몸푼 뒤에는 3가지 병이 잘 생기는데 갑자기 정신이 혼미해지면 땀이 많이 나고 땀이 많이 나면 대변이 굳어지는 것이다. 대개 몸풀기하고 나면 혈이 많이 허해지고 땀을 많이 흘려서 위기(胃氣)가 마르게 되어 진액이 적어지기 때문에 대변이 굳어지는 것이다. 이런 때에는 소마죽(蘇麻粥,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과 자장오인환(滋腸五仁丸)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 몸푼 뒤에 대변을 보지 못하여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올라 그득하고 숨결이 밭아서 앉으나 누우나 견디기 어려운 데는 보리길금가루[麥 末] 1홉을 술에 타 먹으면 좋은 효과가 있다[단심].

자장오인환(滋腸五仁丸)

몸푼 뒤에 음혈이 허해지고 줄어들어서 대변이 막힌 것을 치료한다.

귤홍가루 160g, 살구씨(행인), 복숭아씨(도인) 각각 40g, 측백씨(백자인) 20g, 잣씨(해송자) 10g, 이스라치씨(욱리인) 4g.

위의 약들에서 귤홍가루만 내놓고 나머지 약들을 각각 따로 가루를 내어 고약처럼 만든다. 여기에 귤홍가루를 섞어서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60알씩 미음에 풀어 먹는다[정전].

몸푼 뒤의 부종[産後浮腫]

몸푼 뒤에 부종(浮腫)이 생기는 것은 궂은 피가 경락을 따라 팔다리에 스며들었기 때문이다. 혈이 잘 돌아가면 부종이 내리고 낫는다. 혹은 궂은 피가 몰렸다가 물로 변하여 부종이 생기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대조경산(大調經散), 소조경산(小調經散), 정비산(正脾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양방].

○ 몸푼 뒤의 부종은 반드시 기혈을 세게 보하는 것을 위주로 한다. 사군자탕(四君子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에 삽주(창출)를 더 넣어 달여 먹어야 하며 센 이뇨제를 써서는 안 된다. 혹은 오미백출산(五味白朮散)을 쓴다.

○ 몸푼 뒤의 풍종(風腫)이나 수종(水腫)에는 택란산(澤蘭散)을 쓰는 것이 좋다[단심].

대조경산(大調經散)

몸푼 뒤의 부종과 창만, 숨이 차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것 등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닦은 것) 40g, 복신 20g, 호박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검정콩과 차조기잎(자소엽)을 넣고 달인 물에 타 먹는다[양방].

소조경산(小調經散)

몸푼 뒤의 부종을 치료한다.

당귀 40g, 계심, 함박꽃뿌리(작약) 20g, 몰약, 호박, 감초 각각 8g, 족두리풀(세신), 사향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생강즙을 탄 데운 술에 타 먹는다[양방].

정비산(正脾散)

몸푼 뒤에 온몸이 부은 것을 치료한다.

봉출(싸서 구운 것),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귤껍질(陳皮), 회향, 감초(닦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골풀속살(등심초)과 으름덩굴(목통)을 두고 달인 물에 타 먹는다[정전].

오미백출산(五味白朮散)

몸푼 뒤의 부종을 치료하는데 중기(中氣)를 보하고 수기(水氣)를 빠져 나가게 하며 기가 잘 돌게 한다.

흰삽주(백출) 12g, 귤껍질(陳皮) 6g, 으름덩굴(목통), 궁궁이(천궁),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여점환(與點丸, 처방은 화문에 있다) 25알과 함께 먹는다[단심].

택란산(澤蘭散)

몸푼 뒤의 풍종(風腫)과 수종(水腫)을 치료한다.

쉽싸리, 방기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이나 식초를 두고 끓인 물에 타 먹는다[단심].

몸푼 뒤의 맥 보는 법[産後脈法]

몸푼 뒤에 맥이 홍실(洪實)하면서 고르지 못하면 죽을 수 있다. 맥이 침미(沈微)하나 뼈에 닿게 눌러도 끊어지지 않으면 산다.

○ 갓 몸풀기한 부인의 맥을 짚어 보아 맥이 침소(沈小)하면 살고 실대(實大)하고 견(堅)하며 몹시 급(急)하면 죽을 수 있다[맥경].

○ 갓 몸풀기했을 때의 맥이 완활(緩滑)한 것은 좋으나 실대(實大)하고 현급(弦急)하면 죽을 수 있다. 어떤 데는 맥이 침세(沈細)하나 뼈에 닿도록 눌러도 끊어지지 않으면 산다고 하였다[맥경].

몸푼 뒤의 치료법[産後治法]

몸푼 뒤에는 응당 기혈을 잘 보하는 것부터 먼저 해야 한다. 그러자면 보허탕(補虛湯)을 쓰는 것이 좋다. 비록 잡증(雜證)이 있더라도 그것은 나중에 치료하여야 한다.

○ 또한 몸풀기 전에는 기혈을 막히게 하지 말고 몸푼 뒤에는 기혈을 허하게 하지 말아야 하며 몸푼 뒤에는 함부로 땀을 내는 약을 써서는 안 된다. 또한 집함박꽃뿌리(백작약)와 같이 성질이 차고 맛이 신 약은 쓰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생겨나게 하고 자라게 하는 원기를 억제하기 때문이다[단심].

○ 몸푼 뒤에는 반드시 먼저 어혈을 몰아내고 허한 것을 보해 주는 것이 원칙이다. 어혈이 없어진 다음이라야 보하는 방법을 쓸 수 있다. 만일 어혈을 몰아내지 않고 먼저 인삼이나 단너삼(황기) 같은 약재를 써서 혹 어혈이 속으로 치밀어서 위험하게 된다[입문].

○ 몸푼 뒤에 보허탕을 쓰되 만일 열이 경하면 솔풍령을 더 넣어 오줌이 잘 나가게 하고 열이 몹시 나면 건강을 더 넣는다. 혹 열이 많이 나는데 왜 건강을 쓰느냐고 물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은 실한 사기에 의해서 오는 것이 아니라 음이 허해서 나는 열이기 때문에 쓸 수 있다. 대체로 건강은 폐(肺)에 들어가서 폐기를 잘 통하게 하고 또 간경(肝經)에 들어가서 모든 약의 성분을 이끌어 혈을 생기게 하는 작용이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음을 보하는 약과 함께 써야 한다. 이것은 묘한 약리작용이므로 유능한 의사가 아니고서는 이런 이치를 모를 것이다[단심].

○ 대체로 몸푼 뒤에 돌림병이 돌면 증손시호탕(增損柴胡湯, 즉 소시호탕이다)을 쓰고 잡병이면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 즉 사물탕이다)을 쓴다. 사물탕에 대한 가감법은 봄철인 경우에는 궁궁이(천궁)을 곱절 넣고 여름인 경우에는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곱절 넣으며 가을철인 경우에는 지황을 곱절 넣고 겨울철인 경우에는 당귀를 곱절 넣는다[강목].

보허탕(補虛湯)

인삼, 흰삽주(백출) 각각 6g, 당귀, 궁궁이(천궁), 단너삼(황기), 귤껍질(陳皮) 각각 4g, 감초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열이 경(輕)하면 솔풍령을 곱절 넣고 열이 심하면 속썩은풀(황금, 술로 법제한 것)을 더 넣는다. 열이 더욱더 심하면 건강(검눋도록 닦은 것)을 더 넣어 모든 약 기운을 간경(肝經)으로 이끌어서 혈을 생기게 한다[입문].

몸푼 뒤의 허로[産後虛勞]

몸푼 뒤 1달이 되기 전에 7정(七情)과 정신적 및 육체적 과로, 바느질을 하는 것 혹 날것, 찬 것, 찰진 것, 굳은 것 등을 함부로 먹거나 풍한에 감촉되는 것들은 모두 좋지 않다. 그 당시에는 별로 느끼지 못하나 그 이후에는 욕로( 勞)가 될 수 있다. 몸푼 뒤 백일이 지난 다음 성생활을 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고 성생활을 하면 죽을 수 있다. 그리고 허하고 여위어서 온갖 병이 생기게 하므로 주의해야 한다[양방].

○ 몸푼 뒤에 힘겨운 일을 지나치게 하여 생긴 병을 욕로( 勞)라고 한다. 그 증상으로는 허하고 여위며 좀 나았다 도졌다 하면서 먹은 것이 잘 삭지 않고 때로는 기침하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아프며 목이 마르고 식은땀이 나며 추웠다 열이 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하다. 이때에는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서 궁궁이(천궁)는 빼고 속단, 쇠무릎(우슬), 자라등딱지(별갑),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복숭아씨(도인) 등을 더 넣어 거칠게 가루낸다. 먼저 돼지콩팥 1쌍, 생강 1쪽, 대추 3알을 함께 물 3잔에 넣고 달여 1잔 반이 되면 앞의 약가루 12g과 파밑(총백) 3치, 오매 1개, 형개수 5개를 넣고 다시 달여 7분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하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 몸푼 뒤의 욕로에는 당귀양육탕(當歸羊肉湯),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증손사물탕(增損四物湯), 인삼별갑산(人蔘鱉甲散), 숙건지황산(熟乾地黃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제방].

당귀양육탕(當歸羊肉湯)

욕로( 勞)를 치료한다

살찐 양의 고기 160g, 당귀, 궁궁이(천궁), 단너삼(황기) 각각 50g, 생강 6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 9잔에 달여 3잔이 되면 짜서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양방].

○ 어떤 처방에는 양고기가 없으면 돼지콩팥 1쌍을 대용으로 쓴다고 하였다[입문].

증손사물탕(增損四物湯)

몸푼 뒤에 출혈을 많이 한 탓으로 영위(榮衛)가 허해져서 잠깐 추웠다 잠깐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사물탕에서 찐지황(숙지황)을 빼고 인삼, 건강, 감초를 각각 같은 양으로 더 넣어 달여 먹는다[제생].

인삼별갑산(人蔘鱉甲散)

몸푼 뒤의 욕로( 勞)를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자라등딱지(별갑) 각각 5g, 쇠무릎(우슬) 4g, 인삼, 계심,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당귀, 흰솔풍령(백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복숭아씨(도인), 찐지황(숙지황), 맥문동, 감초 각각 30g, 속단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득효].

숙건지황산(熟乾地黃散)

몸푼 뒤 아직 기혈이 회복되지 않았는데 성생활로 상해서 하혈하면서 머리가 무겁고 눈이 아찔한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6g, 당귀, 게발톱(약간 닦은 것), 녹각교주 각각 4g, 복룡간 3g, 부들꽃가루(포황, 닦은 것), 흰솔풍령(백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2g, 계심, 감초 각각 1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청죽여 4g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정전].

달이 지났어도 몸풀기하지 못하는 것[過月不産]

임신부에게 달마다 달거리가 있으면서도 태아가 제대로 자라는 수도 있으며 3-5달 동안 피가 많이 나왔어도 태아가 떨어지지 않는 수가 있다. 달이 차서 낳기도 하고 달이 지나서도 낳을 수 있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대답하기를 “달마다 달거리가 있으면서 태아가 제대로 자라는 것은 성태(盛胎)라 하는데 그것은 임신부의 기혈이 충실하고 왕성하여 태아를 기르고도 혈이 많이 남기 때문이다. 임신된 지 몇 달 후에 많은 피가 나오는 것을 누태(漏胎)라고 하는데 그것은 대개 어떤 일로 경맥을 발동한 관계로 피가 나오는 것이고 자궁이 상해서 나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비록 임신 중에 많은 피가 나왔더라도 태아가 떨어지지 않았지만 기가 많이 소모되었기 때문에 흔히 달이 지났어도 몸풀기하지 못하게 된다. 내가 과거에 12-13개월 혹은 17-18개월 혹은 24-25개월 만에 몸풀기하는 것을 가끔 보았는데 어느 것이나 다 기혈이 부족한 데로부터 태아가 발육되지 못하여 그렇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열 달이 지났어도 몸풀기하지 못할 때에는 응당 기혈을 세게 보할 약을 먹여서 그것을 도와주어야 몸풀기하는 데 염려가 없게 된다”고 하였다[정전].

○ 달이 지났어도 몸풀기하지 못하는 데는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단너삼(황기)과 녹각교주를 넣고 달여 먹여서 세게 보해야 한다[정전].

○ 또 한 가지 처방은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향부자, 복숭아씨(도인), 지각, 사인, 차조기잎(자소엽) 등을 더 넣어 물에 달여 먹으면 곧 몸풀기할 수 있다[양방].

임신 때 두루 쓰는 약[妊娠通治]

궁귀탕(芎歸湯),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 보안환(保安丸), 당귀작약산, 익모환(益母丸, 처방은 위에 있다), 익모고(益母膏) 등을 쓰는 것이 좋다.

궁귀탕(芎歸湯)

산전 산후의 여러 가지 병과 혈훈(血暈)으로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 횡산[橫]이나 역산[逆] 또는 태아가 뱃속에서 죽어 나오지 않는 것, 혈붕(血崩)이 멎지 않는 것 등을 치료한다. 이 약은 몸풀기할 달에 먹으면 태아가 줄어들어서 쉽게 몸풀기한다. 몸푼 뒤에 먹으면 궂은 피가 잘 나온다.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2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하루에 두세번 먹는다.

○ 또는 유산이나 몸푼 뒤에 피를 많이 흘렸거나 붕중(崩中)으로 피를 많이 흘렸거나 쇠붙이에 상해서 피를 많이 흘렸거나 이를 뽑고 피를 많이 흘린 것과 일체 지나치게 많은 피를 흘린 것으로 하여 어지럽고 까무러쳐서 정신을 잃었을 때 연거푸 몇 번 먹이면 곧 깨어난다[득효].

○ 당귀 24g과 궁궁이(천궁) 16g으로 되어 있는 것을 불수산(佛手散, 처방은 위에 있다)이라고 한다.

보안환(保安丸)

산전 산후의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생건지황(따로 가루낸 것), 마명퇴(즉 잠퇴지(簪退紙)이다. 닦은 것) 각각 40g, 벌건솔풍령(적복령), 모란뿌리껍질(목단피),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30g, 궁궁이(천궁), 족두리풀(

세신), 인삼, 육계, 당귀, 쇠무릎(우슬), 구릿대(백지), 목향, 고본, 마황, 쉽싸리잎(택란엽), 부자(싸서 구운 것), 감초(닦은 것), 한수석(달군 것), 방풍, 도라지(길경), 매미허물(선퇴) 각각 20g, 석수유, 침향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술로 먹는다[어원].

당귀작약산(當歸芍藥散)

임신 때 명치 밑이 아픈 것과 설사와 이질을 치료하는데 산전 산후에 두루 쓴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10g, 궁궁이(천궁), 택사 각각 6g, 당귀,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삽주(백출)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거나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국방].

익모환(益母丸)

일명 제음단(濟陰丹)이라고도 한다. 산전 산후의 여러 가지 병과 난산, 횡산, 역산 등을 치료는데 피를 잘 돌게 하고 보혈하며 태아를 편안하게 하고 기를 잘 돌게 한다. 또는 혈과 기를 잘 돌게 하며 음을 보하는 데 아주 좋다. 때문에 익모(益母, 처방은 위에 있다)라고 한다[단심].

익모고(益母膏)

일명 반혼단(返魂丹)이라고도 한다. 임신 때의 여러 가지 병을 두루 치료하는데 아이를 빨리 낳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는 횡산, 역산 그리고 죽은 태아가 뱃속에서 나오지 못하는 것,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 등을 두루 치료한다.

음력 5월초에 쇠로 만든 도구를 쓰지 말고 익모초를 뜯어서 깨끗이 씻은 다음 짓찧어 즙을 내어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졸여 고(膏)를 만들어 한번에 큰 숟가락으로 하나씩 데운 술이나 끓인 물에 풀어 먹는다[단심].

'동의보감 > 잡병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방(雜方)  (0) 2016.05.28
부인병(婦人)  (0) 2016.05.28
어린이병(小兒)  (0) 2016.05.28
어린이 질병[小兒疾患]  (0) 2016.05.28
기침 여러 증상[咳嗽諸證] 천식 8가지[喘證有八]  (0) 2015.07.06
:
Posted by doc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