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동의보감'에 해당되는 글 121

  1. 2015.07.06 기침 여러 증상[咳嗽諸證] 천식 8가지[喘證有八]

« 동의보감(東醫寶鑑)

« 기침[咳嗽]

풍수(風嗽) » · 한수(寒嗽) » · 열수(熱嗽) » · 습수(濕嗽) »

울수(鬱嗽) » · 노수(勞嗽) » · 식적수(食積嗽) » · 기수(氣嗽) »

담수(痰嗽) » · 건수(乾嗽) » · 혈수(血嗽) » · 주수(酒嗽) »

구수(久嗽) » · 화수(火嗽) » · 야수(夜嗽) » · 천행수(천행수) »

풍한천(風寒喘) » · 담천(痰喘) » · 기천(氣喘) »

화천(火喘) » · 수천(水喘) » · 오랜 천식[久喘] »

위가 허하여 나는 천식[胃虛喘] » · 음허로 나는 천식[陰虛喘] » ·

기침의 여러 가지 증상[咳嗽諸證]

기침에는 풍수(風嗽), 한수(寒嗽), 열수(熱嗽), 습수(濕嗽), 울수(鬱嗽), 노수(勞嗽), 식적수(食積嗽), 기수(氣嗽), 담수(痰嗽), 건수(乾嗽), 혈수(血嗽), 주수(酒嗽), 구수(久嗽), 화수(火嗽), 야수(夜嗽), 천행수(천행수)가 있다. 이런 기침을 두루 치료하는 약도 있다.

○ 해(咳)라는 것은 기(氣)가 동하여 나는 소리를 말하는 것이고 수(嗽)라는 것은 혈(血)이 담(痰)으로 변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폐기(肺氣)가 동하면 해(咳)가 되고 비습(脾濕)이 동하면 수(嗽)가 되며 비폐(脾肺)가 다 동하면 해소(咳嗽)가 된다[입문].

풍수(風嗽)

폐에 풍사(風邪)가 들어오면 코가 메고 목소리가 탁하며 입이 마르고 목구멍이 가려우며 기침이 나서 말을 끝맺지 못한다[입문].

○ 풍사(風邪)에 상하여 나는 기침 때에는 맥이 부(浮)하고 오한이 나며 열이 몹시 나고 저절로 땀이 나며[自汗] 바람을 싫어하고 입이 마르며 번조(煩燥)해 하고 코에서 멀건 콧물이 나오며 말을 끝맺지 못하고 기침을 한다[의감].

○ 풍사에 상하여 생긴 기침에는 신출산, 관동화산,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 처방은 성음문(聲音門)에 있다). 금비초산, 삼요탕, 오요탕, 가감삼요탕을 쓴다[저방].

신출산(神朮散)

풍사에 상하여 머리가 아프고 코가 메며 목소리가 탁하고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8g, 강호리(강활), 궁궁이(천궁), 구릿피(백지),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파 1대와 함께 달여 먹는다[득효].

관동화산(款冬花散)

한사(寒邪)나 막히는 것이 서로 어울려서 폐기(肺氣)가 순조롭지 못하여 기침이 나고 담(痰)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미황, 패모, 아교주 각각 8g, 살구씨(행인), 감초(닦은 것) 각각 4g, 지모,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끼무릇(반하), 관동화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금비초산(金沸草散)

폐가 풍한사(風寒邪)에 감촉되어 기침이 나고 목소리가 탁하며 누렇고 걸쭉한 가래가 많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형개수 8g, 선복화, 전호 각각 6g, 마황,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끼무릇(반하) 3g,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먹는다[정전].

삼요탕(三拗湯)

풍한사에 감촉되어 기침이 나고 코가 메며 목소리가 탁하고 목이 쉰[失音] 것을 치료한다.

마황(뿌리와 마디를 버리지 않은 것) 살구씨(행인, 꺼풀과 끝을 버리지 않은 것) 감초(닦지도 않고 껍질도 버리지 않은 것) 각각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오요탕(五拗湯)

풍한사에 감촉되어 기침이 나고 목소리가 탁하며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삼요탕(三拗湯) 약재에 형개수, 도라지(길경) 각각 4g을 넣어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달여 먹는다[단심].

가감삼요탕(加減三拗湯)

풍으로 숨이 차고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8g, 살구씨(행인),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각각 6g, 감초 4g, 차조기씨(자소자), 전호 각각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한수(寒嗽)

한사에 폐가 상하여 나는 기침이다. 이때에는 가슴이 켕기고 목이 쉰다[입문].

○ 한수 때에는 맥이 긴(緊)하며 찬 것을 싫어하고 열이 나며 땀은 나지 않고 오한이 나며 번조(煩燥)하고 갈증은 없으며 찬 기운을 만나면 기침이 난다[의감].

○ 풍한사에 감촉되어 생긴 기침 때에는 코가 메고 목소리가 탁하며 오한이 난다. 이때에는 이진탕에 마황, 살구씨(행인), 도라지(길경)를 넣어서 쓴다[의감].

○ 찬 기운을 만나기만 하면 발작적인 기침이 난다. 이것은 찬 기운이 열기를 싸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해표(解表)시켜야 한다. 그러면 열이 저절로 내린다. 이런 데는 지경탕(枳梗湯, 길경지각탕)에 마황, 방풍, 살구씨(행인), 귤껍질(陳皮), 차조기잎(자소엽), 으름덩굴(목통), 속썩은풀(황금)을 넣어서 쓴다[입문].

○ 비(脾)와 폐(肺)가 다 한사(寒邪)를 받으면 얼굴은 허옇게 되고 맥은 현(弦)하면서 미(微)하여 침이 나오고 입에서 단맛이 난다. 이것은 신수(腎水)가 반대로 비토(脾土)를 올려받친 것이다. 그러므로 뱃속이 몹시 차고 가래가 허여면서 거품침이 많고 입이 달며 침이 나온다. 그리고 위 속이 차고[胃中寒] 편안치 못하다. 이때에는 맛이 맵고 달며 성질이 더운약으로 치료해야 한다[동원].

○ 한수에는 구보음, 화개산, 행자탕, 자소음자, 귤소산, 강계환, 인삼관화고, 반하온폐탕, 행소탕, 백원자, 인삼윤폐탕, 온폐탕, 가미이중탕, 팔미관동화산, 이강원 등을 쓴다[저방].

구보음(九寶飮)

여러 가지 기침과 한수, 구수(久嗽)를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박하, 마황, 계피,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차조기잎(자소엽), 살구씨(행인), 빈랑껍질,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이간].

화개산(華蓋散)

폐가 한사에 감촉되어 기침이 나고 기가 치밀어 오르며 코가 메고 목소리가 탁한 것을 치료한다.

마황 8g, 벌건솔풍령(적복령), 차조기씨(자소자), 귤껍질(陳皮),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살구씨(행인) 각각 4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행자탕(杏子湯)

풍한사(風寒邪)에 감촉되어 담(痰)이 성하고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냉(冷)으로 생긴 기침에 더 좋다.

인삼, 끼무릇(반하), 벌건솔풍령(적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족두리풀(세신), 건강, 계피, 살구씨(행인), 오미자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마황을 넣어 쓰면 더 좋다[이간].

자소음자(紫蘇飮子)

비와 폐가 허(虛)하고 차서 기침이 나고 담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차조기잎(자소엽),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선귤껍질(청피), 살구씨(행인), 오미자, 마황,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4g, 인삼, 끼무릇(반하) 각각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귤소산(橘蘇散)

한사(寒邪)에 상하여 기침이 나고 몸에 열이 나며 땀이 나고 맥이 부삭(浮數)한 것을 치료하는데 행자탕(杏子湯)을 먹어도 낫지 않을 때 이 약을 쓴다.

귤홍, 차조기잎(자소엽), 살구씨(행인), 흰삽주(백출), 끼무릇(반하),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패모, 오미자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제생].

강계환(薑桂丸)

한담(寒痰)으로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계피 80g, 천남성, 끼무릇(반하, 이 2가지는 법제한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불린 증병(蒸餠)에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역로].

인삼관화고(人蔘款花膏)

폐와 위가 허하고 차서 기침이 오랫동안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관동화, 인삼, 오미자,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개미취(紫 )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봉밀)에 반죽하여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씹어서 연하게 달인 생강물로 넘긴다. 머금고 있다가 녹여 먹어도 좋다[강목].

반하온폐탕(半夏溫肺湯)

허하고 차서 기침이 나고 중완(中腕)에 담수(痰水)와 냉기(冷氣)가 있어서 명치 밑에서 출렁출렁하는 소리가 나고 쓰리며 멀건 물을 많이 토하고 맥이 침현(沈弦)하면서 세지(細遲)한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위(胃)가 허랭(虛冷)한 것이다.

끼무릇(반하), 족두리풀(세신), 계심, 선복화, 귤껍질(陳皮), 인삼, 도라지(길경),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감초 각각 4g, 벌건솔풍령(적복령)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행소탕(杏蘇湯)

풍한에 상하여 기침이 나고 담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살구씨(행인), 차조기잎(자소엽),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패모, 흰삽주(백출), 오미자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인삼윤폐탕(人蔘潤肺湯)

한사에 상하여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칡뿌리(갈근), 도라지(길경), 구릿대(백지), 마황, 건강, 흰삽주(백출),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파 2대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온폐탕(溫肺湯)

폐가 허한 데 한사가 침입하여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거품이 섞인 가래를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건강, 계피,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오미자, 살구씨(행인), 감초 각각 4g, 족두리풀(세신), 아교주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가미이중탕(加味理中湯)

폐와 위가 다 차서[寒]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건강, 감초, 벌건솔풍령(적복령),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족두리풀(세신), 오미자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팔미관동화산(八味款冬花散)

폐경(肺經)에 한열(寒熱)이 고르지 못하여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이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차조기잎(자소엽), 살구씨(행인), 마황 각각 6g, 관동화, 자원용, 오미자,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주염열매(조협)만한 황랍을 넣고 다시 달여서 먹는다[단심].

이강원(飴薑元)

냉수(冷嗽)를 치료한다.

강엿 600g, 건강(보드랍게 가루낸 것) 160g.

위의 약에서 먼저 엿(이당)을 녹인 다음 여기에 건강가루를 넣고 고루 섞어서 굳어진 다음 빚어서 늘 씹어 먹는다[향집].

열수(熱嗽)

서열(暑熱)에 상하여 나는 기침인데 이때에는 입이 마르고 목이 쉬며 거품침을 토한다[입문].

○ 더위에 상하여 기침을 할 때에는 맥이 삭하고 번열(煩熱)이 나며 물을 켜고[引飮] 입이 마르며 거품침을 토하고 목이 쉬며 각혈한다[의감].

○ 기침하면서 얼굴이 벌겋게 되고 가슴과 배와 옆구리가 늘 달며[常熱] 발만 때때로 서늘해지고 맥이 홍활(洪滑)한 것은 열담(熱痰)이 속에 있는 것이다. 이때에는 반드시 소함흉탕(小陷胸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

에 있다)을 써야 하는데 이 약은 열수로 가슴이 그득한 것도 잘 치료한다[강목].

○ 열수에는 진사육일산(辰砂肉一散, 처방은 서문(暑門)에 있다), 세폐산, 인삼사폐탕, 패모산, 삼출조중탕, 금반환, 소황환, 황련화담환, 사즙고 등을 쓴다[저방].

세폐산(洗肺散)

기침이 나고 담이 성하며 열이 나고 폐기가 맑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12g, 속썩은풀(황금) 8g, 천문동, 맥문동, 오미자 각각 6g, 살구씨(행인)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

열수(熱嗽)를 치료한다.

양격산(凉膈散, 처방은 화문(火門)에 있다) 약재에서 박초를 빼고 인삼, 지각, 도라지(길경), 살구씨(행인),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각각 같은 양을 넣어서 달여 먹는다[입문].

패모산(貝母散)

화수(火嗽)와 구수(久嗽)를 치료한다.

살구씨(행인) 12g, 관동화 8g, 지모 6g, 패모,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오미자,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삼출조중탕(蔘朮調中湯) 열을 내리고 기를 보하며 기침을 멈추고 숨이 찬 것을 안정시키며 비위를 고르게 하여 음식을 잘 먹게 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4g, 단너삼(황기) 3.2g,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적복령), 감초 각각 2.4g, 지골피, 맥문동, 귤껍질(陳皮) 각각 1.6g, 선귤껍질(청피) 0.8g, 오미자 2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금반환(芩半丸)

열수로 담이 생기는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끼무릇(반하)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소황환(小黃丸)

열담으로 기침이 나고 맥이 홍(洪)하며 얼굴이 벌겋게 되고 번갈(煩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60g, 천남성, 끼무릇(반하, 이 2가지는 법제한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불린 증병(蒸餠)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

황련화담환(黃連化痰丸)

열담으로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 오수유 각각 6g, 귤껍질(陳皮) 20g, 끼무릇(반하) 6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사즙고(四汁膏)

기침을 멎게 하고 담을 삭이며 화를 내린다.

좋은 배즙(雪梨汁), 연뿌리즙(藕汁), 생무즙(生蘿 汁), 생박하즙(生薄荷汁).

위의 약들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한 다음 여기에 사탕가루를 넣고 고루 타서 약한 불에 고약이 되게 달여 1숟가락씩 먹는다[입문].

습수(濕嗽)

습사(濕邪)가 폐에 침범하여 생긴 기침인데 이때에는 몸이 무겁고 뼈마디가 안타깝게 아프며(煩疼) 으슬으슬 춥다( 淅)[입문].

○ 습에 상하여 기침할 때는 맥이 세(細)하고 뼈마디가 안타깝게 아프며 팔다리가 무겁고 혹 땀이 나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다[의감].

○ 습수에는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백출탕, 백출환을 쓴다.

백출탕(白朮湯)

습수(濕嗽)로 담(痰)이 많고 몸이 무거우며 맥이 유세(濡細)한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12g, 끼무릇(반하), 귤홍, 흰솔풍령(적복령), 오미자 각각 6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제생].

백출환(白朮丸)

습담(濕痰)으로 기침이 나고 몸이 무거우며 맥이 완(緩)한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60g, 천남성, 끼무릇(반하, 이 2가지는 법제한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역로].

울수(鬱嗽)

이것이 바로 화수[火咳]가 심해진 것이다. 이때에는 마른 기침만 나고 가래는 없는데 그것은 신수(腎水)가 말라서 축여 주지 못하고 화사(火邪)만 폐에서 날치기[炎] 때문이다. 이때에는 사백산(瀉白散, 처방은 5장문

(五臟門)에 있다), 청화환, 가려륵환, 하천고(霞天膏, 처방은 구토문(嘔吐門)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화울(火鬱)이 되면 기침소리는 있으나 담이 적고 얼굴이 벌겋게 된다. 이때에는 청금강화탕을 쓴다.

청화환(淸化丸)

폐에 담이 몰린 것으로 기침이 나서 잠을 잘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패모 40g, 살구씨(행인) 20g, 청대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사탕을 넣은 생강즙에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단심].

가려륵환(訶黎勒丸)

노수(勞嗽)와 건수(乾嗽), 폐창(肺脹)으로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한다.

가자피 20g, 조가비가루(합분), 하늘타리씨(과루인), 청대, 살구씨(행인), 패모, 향부자(동변에 법제한 것)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을 섞은 꿀(봉밀)에 반죽한 다음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입에 머금고 천천히 녹여 먹는다[입문].

청금강화탕(淸金降火湯)

열수(熱嗽)를 치료하는데 폐와 위의 화(火)를 내린다. 화를 내리면 담이 삭고 기침이 멎는다.

귤껍질(陳皮), 살구씨(행인) 각각 6g, 벌건솔풍령(적복령), 끼무릇(반하), 도라지(길경), 패모, 전호, 하늘타리씨(과루인), 속썩은풀(황금), 석고 각각 4g, 지각 3.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의감].

노수(勞嗽)

허로(虛勞)하여 생긴 기침을 말한다.

○ 노수로 식은땀이 나고 가래가 많고 춥다가 열이 날 때에는 음(陰)을 보하고 폐금(肺金)을 시원하게 해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사물탕(四物湯)에 참대기름(

죽력)과 생강즙을 넣어 쓴다.

○ 음이 허하고 화가 동하여 기침이 나는 데는 사물탕과 이진탕을 섞은 데 황백과 지모를 넣어 쓴다.

○ 음이 허하여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혹 피를 토하는 데는 사물탕에 황백, 지모, 오미자, 맥문동,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골피를 넣어서 쓴다[의감].

○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는 사람이 원기가 허약하여 기침이 멎지 않는 데는 경옥고(瓊玉膏, 처방은 신형문(身形門)에 있다)를 쓴다. 이 약은 허로로 마른기침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제일 좋다[단심].

○ 노수에는 인삼청폐탕, 가미이모환, 인삼궁귀탕, 가미인삼자원산, 윤폐환, 보폐탕, 온금산, 대녕소탕, 지모탕, 영수고, 대아교원을 쓴다[저방].

○ 주색(酒色)이 지나쳐서 허로가 되면 혈이 적어지고 진액(津液)이 줄어들면 심화(心火)가 저절로 타오르게 된다. 그러면 조열(燥熱)이 폐로 들어가게 되어 피고름을 뱉게 되고 기가 위[上]로 치밀며 담이 끓으면서[涎潮] 기침이 연이어 나게 된다. 이런 때에는 반드시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처방은 허로문(虛勞門)에 있다)에 귤홍, 패모, 황백, 지모를 넣어 써야 한다[입문].

인삼청폐탕(人蔘淸肺湯)

구수(久嗽)와 노수(勞嗽), 폐위(肺 )로 피를 뱉고 목에서 비린내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골피, 지모, 아교주, 앵속각(꿀에 축여 볶은 것), 살구씨(행인),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오매 각각 1알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꿀(봉밀)을 1숟가락 넣고 고루 저어서 가라앉힌 다음 맑은 웃물을 받아 마신다[득효].

○ 일명 인삼청폐음(人蔘淸肺飮)이라고도 한다[입문].

가미이모환(加味二母丸)

구수, 노수, 식적수(食積嗽)를 치료한다.

지모, 패모(파두와 함께 누렇게 닦아 파두는 버린다. 약 만드는 방법은 이모산과 같다), 백반, 백급(백급)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봉밀)을 섞은 생강즙에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 혹은 맥문동, 귤껍질(陳皮), 아교주를 넣어 써도 좋다[입문].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

건수(乾嗽)와 허로(虛勞)로 피가 적어져서 조열(燥熱)이 폐에 들어갔기 때문에 피고름을 뱉고 쩍하면 감기에 걸려서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6g, 벌건솔풍령(적복령), 인삼,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아교주, 족두리풀(세신), 오미자,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가미인삼자원산(加味人蔘紫 散)

허로로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오미자, 자원용, 귤껍질(陳皮), 차조기잎(자소엽), 패모,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살구씨(행인), 감초 각각 3g. 여기에 궁궁이(천궁), 반하국 각각 4g, 아교주 2g을 더 넣어 쓰기도 한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윤폐환(潤肺丸)

조담(燥痰)과 건수(乾嗽), 노수(勞嗽)를 치료한다.

패모 40g, 하늘타리씨(과루인) 청대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봉밀)을 탄 생강즙에 넣고 고약을 만들어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단심].

보폐탕(補肺湯)

노수(勞嗽)를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꿀에 축여 볶은 것), 찐지황 각각 12g, 인삼, 자원, 단너삼(황기), 오미자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꿀(봉밀) 1숟가락을 넣어서 먹는다[단심].

온금산(溫金散)

노수를 치료한다.

방풍,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속썩은풀(황금), 감초 각각 40g, 살구씨(행인, 껍질과 끝을 버린 것) 21알, 인삼, 복신 각각 20g, 맥문동 10g.

위의 약 가운데서 앞에 있는 5가지 약을 먼저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동안 담가 두었다가 햇볕에 말린 다음 인삼, 복신, 맥문동과 함께 가루낸다. 한번에 12g씩 황랍 콩알만한 것과 함께 달여 먹는다[단심].

대녕수탕(大寧嗽湯)

노수를 치료하는 데 신기한 효과가 있다.

끼무릇(반하) 8g, 오미자, 벌건솔풍령(적복령),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차조기잎(자소엽), 귤껍질(陳皮), 지각, 살구씨(행인), 아교주, 앵속각(꿀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g,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지모탕(知母湯)

허로로 기침이 나고 피고름을 뱉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심과 폐에 열(熱)이 있기 때문이다.

단너삼(황기, 꿀을 발라 구운 것) 6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생건지황, 속썩은풀(황금), 맥문동,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도라지(길경), 지모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참대잎 3잎, 밀 한자밤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영수고(寧嗽膏)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해서 기침이 나며 각혈하는 것을 치료한다.

천문동, 흰삽주(백출) 각각 300g, 백부, 살구씨(행인), 패모, 나리(百合) 각각 160g, 관동화 200g, 자원 120g.

위의 약들을 굵게 썰어서 강물 1말에 넣고 3되가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건져서 다른 물에 넣고 다시 3되가 되게 달이는데 이렇게 세번 하여 받은 약물을 섞은 다음 여기에 엿(

이당) 300g, 꿀(봉밀) 600g을 넣고 다시 달인다. 다음 갖풀(아교) 160g과 흰솔풍령(백복령, 보드랍게 가루낸 것) 160g을 넣고 고루 섞어서 고약을 만든다. 한번에 3-5숟가락씩 아무 때나 먹는다[의감].

대아교원(大阿膠元)

허로로 기침이 나고 피를 토하며 열이 나고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

마(산약), 오미자, 찐지황, 아교주,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0g, 맥문동, 단삼, 패모, 방풍, 복신, 측백씨(백자인), 백부근, 두충 각각 20g, 원지, 인삼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봉밀)에 반죽해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물에 약간 달여 찌꺼기째로 먹는다[국방].

식적수(食積嗽)

식적(食積)으로 담이 생기면서 나는 기침인데 이때에는 가슴이 그득하고 신트림이 난다. 이런 데는 이진탕에 후박, 찔광이(산사), 보리길금(맥아)을 넣어서 쓴다[입문].

○ 식적으로 생긴 기침은 청대와 하늘타리씨(과루인)를 쓰지 않으면 멎지 않는다. 그리고 식적이 있으면 얼굴이 퍼러면서 허옇게 되고 누른빛은 있었다 없었다 한다. 그러므로 마치 얼굴이 게발톱같이 한쪽은 누렇고 한쪽은 허옇다.

○ 식적으로 담이 생기면서 기침이 나고 열이 나는 데는 끼무릇(반하)과 천남성을 법제하여 주약으로 쓰고 하늘타리씨(과루인)와 무씨(나복자)를 신약으로 쓰며 청대와 석렴을 좌사약으로 쓰는데 생강즙에 쑨 풀로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단심].

○ 어떤 책에는 “삼보환(三補丸, 즉 속썩은풀(황금), 황련, 황백으로 된 것이다)에 지모, 패모를 닦아서 넣고 가루내어 물에 반죽한 다음 후추(호초)알만하게 알약을 만드어 참대기름(죽력)과 연뿌리즙으로 먹는다”고 씌어 있다[단심].

○ 식적수 때에는 과루환, 청금환, 이모영수탕, 온비탕, 향부환 등을 쓴다[저방].

과루환(瓜蔞丸)

음식으로 생긴 담이 막혀서 숨이 차고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하늘타리씨(과루인), 반하국, 찔광이(산사), 약누룩(신국)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하늘타리속즙(瓜蔞 )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참대기름(죽력)과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청금환(靑金丸)

식적과 화가 몰려서 생긴 기침을 치료하는데 겁약(劫藥)이다.

패모, 지모 각각 20g, 파두상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청대가루를 입힌다. 한번에 5-7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단심].

이모영수탕(二母寧嗽湯)

음식에 상하여 위의 화(火)가 떠올라 폐기를 충동했기 때문에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을 하는 것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한번 먹으면 곧 낫는다.

석고 8g, 패모, 지모 각각 6g, 산치자, 속썩은풀(황금) 각각 4.8g,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벌건솔풍령(적복령), 하늘타리씨(과루인), 귤껍질(陳皮) 각각 4g, 지실 2.8g, 감초(생것) 0.8g, 오미자 1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여 먹는다[의감].

온비탕(溫脾湯)

음식을 많이 먹으면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감초 160g, 대추 2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 5되에 넣고 2되가 되게 달여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천금].

향부환(香附丸)

식적으로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120g, 향부자 60g, 무씨(나복자, 닦은 것), 하늘타리씨(과루인), 살구씨(행인), 끼무릇(반하) 각각 40g, 속썩은풀(황금),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20g, 궁궁이(천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연하게 달인 생강물로 먹는다[정전].

기수(氣嗽)

기수는 7가지 기(氣)에 상하여 생긴 기침이다. 이때에는 담연(痰涎)이 뭉쳐 혹 헌솜 같거나 매화씨 같은 것이 목구멍에 붙어 있으면서 뱉으려고 하여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해도 넘어가지 않는다. 이런 병은 부인들에게 흔히 있다[입문].

○ 기수 때에는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처방은 기문(氣門)에 있다),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 처방은 신문(腎門)에 있다), 단삼음자, 청룡산, 삼자양친탕, 소자전, 옥분환, 성향환, 귤강환 등을 쓴다[저방].

단삼음자(團蔘飮子)

7정(七情)으로 생긴 기침과 허로로 폐와 비가 상하여 피고름을 많이 뱉으면서 점차 폐위(肺 )가 되는 것과 장차 노채(勞 )가 되려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끼무릇(반하), 자원, 아교주, 나리(백합), 관동화, 천문동, 살구씨(행인), 뽕잎(상엽, 서리 맞은 것) 각각 4g,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2g, 오미자 15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여 먹는다[제생].

청룡산(靑龍散)

기침이 나면서 기가 치밀어 올라 눕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귤껍질(陳皮), 차조기잎(자소엽), 오미자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40g씩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삼자양친탕(三子養親湯)

기침이 나면서 숨결이 밭은 것을 치료하는데 비(脾)를 보해서 음식을 잘 먹을 수 있게 한다.

차조기씨(자소자), 무씨(나복자), 흰겨자(백개자) 각각 4g.

위의 약들을 종이 위에 놓고 약간 닦아 갈아서 달여 먹는다. 지나치게 달여서 맛이 쓰게 하지 말아야 한다[입문].

소자전(蘇子煎)

늙은이나 허약한 사람이 기가 치밀어 올라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차조기씨(자소자, 따로 가루낸다) 1되, 살구씨(행인, 꺼풀과 끝과 두알들이를 버리고 따로 갈아서 풀지게 만든다) 1되, 생강즙, 생지황즙, 흰꿀 각각 1되.

위의 약에서 차조기씨(자소자)와 살구씨(행인) 2가지는 2가지 즙에 담갔다가 짓찧어 즙을 받고 찌꺼기는 다시 짓찧어 짜서 즙을 받는다. 이와 같이 찌꺼기가 다 없어질 때까지 한 다음 꿀(봉밀)을 탄다. 이것을 그릇에 담아 물을 부은 가마에 넣고 중탕(重湯)하여 엿(이당)처럼 만든다. 한번에 큰 숟가락으로 하나씩 하루 3번 먹는다. 지황즙 대신에 참대기름(죽력)을 써도 좋다[기효].

옥분환(玉粉丸)

기담(氣痰)으로 기침하고 숨이 찬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80g, 천남성, 끼무릇(반하)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불린 증병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역로].

성향환(星香丸)

기수로 담이 생기는 것을 치료한다.

천남성, 끼무릇(반하) 각각 120g(백반 40g을 갈아서 푼 물에 이 2가지 약을 하룻밤 담가둔다), 귤껍질(陳皮, 쌀 씻은 물에 하루동안 담가 두었다가 흰 속을 버리고 120g을 쓴다) 200g, 향부자(주염열매(조각)를 달인 물에 2시간 동안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다) 120g.

위의 약들을 불기운에 가까이 하지 않고 가루내서 생강즙에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 이것은 어떤 집에서 전하여 오는 비방인데 여러 번 시험한 것이다[단심].

귤강환(橘薑丸)

오래된 기수(氣嗽)를 치료하는 데 아주 좋은 약이다.

귤껍질(陳皮), 생강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짓찧어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가루낸 것 80g을 약누룩(신국) 80g으로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입문].

담수(痰嗽)

담수란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이 멎고 가슴이 몹시 그득한 것이다. 위(胃)에 있던 습담(濕痰)이 폐(肺)로 올라오면 반드시 기침이 난다[입문].

○ 담수라는 것은 기침을 하면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나는 것인데 가래가 나오면 기침이 멎는다[단심].

○ 담이 폐경(肺經)에 몰려서 기침이 나고 담연(痰涎)이 많이 나오는 데는 이진탕에 지각, 도라지(길경), 하늘타리씨(과루인), 속썩은풀(황금), 패모를 넣어서 쓴다. 또 반과환도 쓴다.

○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면서 담수가 있는 데는 소시호탕(小柴胡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에 지모,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오미자,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을 넣어서 쓴다[정전].

○ 가래가 많이 나오면서 열이 나는 데는 곤담환(滾痰丸,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을 쓴다.

○ 담수 때에는 세폐산, 귤감산, 적유산, 이모산, 옥지원, 증청음, 삼성단, 남칠전원, 안폐산, 인삼산을 쓴다.

반과환(半瓜丸)

담수를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하늘타리씨(과루인) 각각 200g, 패모, 도라지(길경) 각각 80g, 지각 60g, 지모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불린 증병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 끼무릇은 반드시 생강즙에 오랫동안 불렸다가 누른 빛이 나도록 볶아서 써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목구멍이 아리다[정전].

귤감산(橘甘散)

기수와 담수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귤껍질(陳皮) 생강(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따뜻한 물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하루 두번 미음으로 먹는다[정전].

적유산(滴油散)

담수로 얼굴이 쟁반만하게 부은 것을 치료한다.

방분(蚌粉, 새 기왓장 위에 놓고 벌겋게 되도록 닦은 다음 땅 위에 놓아 화독(火毒)을 뺀 것) 20g, 청대 4g.

위의 약들을 섞은 데 참기름 몇 방울을 넣은 다음 김칫국물에 타서 먹으면 낫는다[의설].

옥지원(玉芝元)

풍열로 담이 성(盛)하고 기침하며 목소리가 탁한 것을 치료한다.

반하국 240g, 인삼, 박하, 흰솔풍령(백복령), 백반(구운 것), 천남성(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각각 1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쑨 밀가루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징청음(澄淸飮)

담수를 치료하는 데 다른 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을 때 쓴다.

천남성, 끼무릇(반하, 다 법제한 것), 방분, 지모, 패모, 백반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달여서 가라앉힌 다음 그 웃물[澄淸]을 천천히 먹는다[득효].

삼성단(三聖丹)

오래된 담수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매우 좋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80g, 천남성(잿불에 묻어 구운 것) 40g, 감초(생것) 20g.

위의 약 가운데서 끼무릇(반하)과 천남성 이 2가지 약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버무려서 누룩을 만드는데 겨울에는 10일, 여름에는 5일, 봄과 가을에는 7일 동안 띄운다. 다음 가루내어 감초 가루와 함께 참대기름(죽력) 1사발에 버무려서 떡을 만들어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그 다음 다시 참대기름(죽력)으로 축여서 약한 불기운에 말리는데 십여 번 반복하여 참대기름(죽력)이 다 없어질 때까지 한다. 이것을 다시 가루내어 졸인 꿀에 반죽한 다음 엿(이당)같이 만들어 잠잘 무렵에 1숟가락씩 머금고 녹여서 참대기름(죽력)으로 넘긴다[정전].

남칠전원(藍漆煎元)

담수를 치료한다.

남칠 80g, 인삼, 살구씨(행인), 호두살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봉밀)에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씹어서 생강을 달인 물이나 미음으로 넘긴다[향집].

안폐산(安肺散)

담수가 갓 생겼거나 오래되었거나를 물론하고 다 치료한다.

앵속각(누렇게 되도록 닦은 것) 160g, 마황, 감초(닦은 것)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오매 1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강목].

인삼산(人蔘散)

담수에 두루 쓴다.

반하국 8g, 인삼, 도라지(길경), 오미자, 족두리풀(세신), 지각, 벌건솔풍령(적복령), 살구씨(행인)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백원자(白圓子)

풍담(風痰)으로 나는 기침을 치료한다. 이것은 기침을 몹시 하다가 음식과 가래를 한번 토한 다음에야 약간 진정되는 1가지 기침인데 간(肝)이 비토(脾土)를 침범하여 풍담이 몰리고 성해서 생긴 것이다.

백원자(白元子, 처방은 풍문(風門)에 있다) 약재에 목향, 정향, 귤홍, 천마, 전갈, 백강잠을 넣어 쓴다.

위의 약들을 물에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여기에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단심].

건수(乾嗽)

건수라는 것은 가래는 나오지 않으면서 나는 기침을 말한다. 이것은 기가 잘 돌지 못하는 데 원인이 있다. 약간씩 기가 돌지 못할 때에는 기침을 십여 번 연달아 해야 가래가 나오고 몹시 돌지 못할 때에는 기침을 십여 번 연달아 하여도 가래가 나오지 않는다. 이런 것을 건수라고 한다[강목].

○ 건수라는 것은 폐 속에 진액(津液)이 없으면 생긴다[입문].

○ 건수는 치료하기 매우 어렵다. 이것은 화울증(火鬱證)에 속하는데 담울(痰鬱)과 폐 속에 있어서 생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라지(길경)로 폐기를 통하게 한 다음 음을 보하고 화를 내리는 약을 써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허로증(虛勞證)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도창법(倒倉法)을 써야 한다. 이 병은 뜻을 이루지 못한 사람에게 흔히 생기는데 사물탕에 참대기름(죽력), 황백(닦은 것) 등의 약을 넣어서 써야 한다[단심].

○ 조담(燥痰)이 나오지 않을 때에는 꿀물을 먹고 토해야 한다. 그리고 꿀물에 생강을 달인 것이나 꿀물에 귤껍질(陳皮)을 달인 것, 태운 생강, 호두 등도 쓴다. 가래는 나오지 않으면서 기침이 날 때에는 맛이 맵고 단 약으로 폐를 눅여 주어야 한다[역로].

○ 건수를 치료하고 폐를 보하려고 할 때에는 깨끗하게 씻은 생지황 1.2kg, 살구씨(행인) 80g, 생강, 꿀(봉밀) 각각 160g을 쓰는데 풀지게 짓찧어 사기그릇에 담아 밥짓는 데 놓아 다섯번에서 일곱번 쪄서 새벽(5更)에 3숟가락씩 녹여 먹는다[본사].

○ 또 한 가지 처방은 꿀(봉밀) 600g, 생강 1.2kg(즙을 낸다)으로 되어 있는데 먼저 약을 달일 구리그릇을 저울에 달아 중량을 잰 다음 꿀(봉밀)을 달아 넣고 그 중량을 잰다. 다음 생강즙을 넣고 약한 불에 달이는데 생강즙은 다 졸아들고 꿀(봉밀)만 남을 때까지 달인다. 한번에 대추씨만큼씩 하루 세번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천금].

○ 건수에는 경옥고(瓊玉膏, 처방은 신형문(身形門)에 있다), 윤폐산, 가미이모환, 가려륵환, 억담환(抑痰丸,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을 쓴다.

혈수(血嗽)

어혈(瘀血)로 생긴 기침을 말하는데 이때에는 목구멍에서 비린내가 나고 혹 궂은 피를 토한다. 이것은 무엇에 부딪쳐서 생긴 것이다. 이런 데는 사물탕에 대황과 소목을 넣어서 가루내어 술에 타 먹거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복숭아씨(도인, 생것) 7알을 부추즙에 버무려 먹는 것이 제일 좋다[단심].

○ 혈수에는 인삼백합탕, 상피산, 당귀음을 쓴다[저방].

인삼백합탕(人蔘百合湯)

노수(勞嗽)로 피를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나리(백합), 아교주, 천문동 각각 4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인삼, 오미자, 단너삼(황기), 끼무릇(반하), 살구씨(행인) 각각 2.8g, 족두리풀(세신), 잇꽃(홍화), 계피,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저방].

상피산(桑皮散)

상초(上焦)에 열이 있어서 피가 몰려 비린내가 나고 답답하며 숨돌릴 사이 없이 기침이 계속 나는 것을 치료한다.

감초 6g, 박하, 도라지(길경), 궁궁이(천궁), 방풍,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속썩은풀(황금), 전호, 차조기잎(자소엽), 시호, 벌건솔풍령(적복령), 지각 각각 3.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당귀음(當歸飮)

무엇에 다쳐서 폐기가 상하여 기침이 나고 검은 피를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 소목, 생건지황, 당귀, 함박꽃뿌리(작약)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득효].

주수(酒嗽)

술의 성질은 몹시 열하므로 술에 상하면 찬물을 마시게 된다. 그러면 찬 것과 더운 기운이 위 속에 몰려서 흩어지지 않고 습(濕)으로 된다. 때문에 담이 생기고 기침이 난다[보명].

○ 술을 많이 마셔서 기침이 나는 데는 청대와 하늘타리씨(과루인)를 가루내어 생강즙을 섞은 졸인 꿀에 반죽한 다음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쓰는데 늘 머금고 녹여서 먹으면 폐에 있던 술독이 흩어지게 된다[단심].

○ 폐가 술에 상하여 담이 성하면서 기침이 나는 데는 참대기름(죽력)과 차조기(자소) 달인 것, 부추즙을 섞은 것으로 과루행련환을 먹는다. 또는 봉강환도 쓴다[입문].

과루행련환(瓜蔞杏連丸)

술을 마신 것으로 담이 생겨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하늘타리씨(과루인), 살구씨(행인), 황련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참대기름(죽력)과 생강즙으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단심].

봉강환(蜂薑丸)

술을 마신 것으로 담이 생겨 기침하는 것과 담이 뭉쳐 있어서[積痰] 오랫동안 기침이 나는 것, 갖풀(아교)처럼 끈적끈적한 담이 폐와 위에 붙어 있어서 기가 오르내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동변에 축여 볶은 것), 백강잠(닦은 것), 조가비가루(합분), 하늘타리씨(과루인), 노봉방, 살구씨(행인), 약누룩(신국)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 참대기름(죽력), 꿀(봉밀)을 섞은 데 넣고 반죽한 다음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단심].

○ 어떤 처방에는 향부자가 없고 꼭두서니(천근)가 들어 있다[입문].

오랜 기침[久嗽]

오랜 기침[久嗽]은 담이 뭉쳐 기관지에 오랫동안 붙어 있는 것이 갖풀(아교) 같아 폐기(肺氣)가 순조롭게 오르내리지 못해서 생기는데 혹 습(濕)과 술[酒]이 겹쳐 생기기도 한다[단심].

○ 오랜 기침 때에는 봉강환, 가미이모환, 인삼청폐탕, 패모탕, 구선산, 인삼관화산, 천서산, 청폐탕, 마두령환, 가미백화고, 윤폐제수음을 쓴다[저방].

패모탕(貝母湯)

여러 가지 오랜 기침을 치료한다.

패모(생강즙에 법제한 것), 건강, 오미자,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시호, 계심 각각 20g, 속썩은풀(황금),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각각 10g, 목향, 감초 각각 5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살구씨(행인, 법제한 것) 7알,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 어떤 부인이 여러 해 동안 기침하다가 이 약을 한 첩 지어 먹고 신기하게 나았다[본사].

구선산(九仙散)

오랜 기침을 치료하는데 병이 어느 정도 나은 다음에 수렴(收斂)시키는 약이다.

앵속각(꿀에 축여 볶은 것) 8g, 인삼, 관동화,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도라지(길경), 아교주, 오미자 각각 4g, 패모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인삼관화산(人蔘款花散)

오랜 기침을 치료한다.

앵속각(꿀에 축여서 노랗게 볶은 것) 40g, 인삼, 관동화 각각 20g, 지모, 패모,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천서산(天鼠散)

오랜 기침으로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이 10여 년이 되었지만 여러 가지 약을 써도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박쥐( ).

위의 것을 날개와 발을 버리고 눋도록 구워 가루내서 미음에 타 먹으면 좋다[강목].

청폐탕(淸肺湯)

오랜 기침과 담수, 폐창으로 나는 기침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6g, 도라지(길경), 벌건솔풍령(적복령),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귤껍질(陳皮), 패모 각각 4g, 당귀, 천문동, 산치자, 살구씨(행인), 맥문동 각각 2.8g, 오미자 7알,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마두령환(馬兜鈴丸)

오랜 기침을 치료하는 데 신기한 효과가 있다.

마두령, 끼무릇(반하), 살구씨(행인) 각각 40g(따로 간다), 파두(껍질과 심을 버리고 기름을 뺀 다음 따로 간다) 21알.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잘 섞어서 주염열매(조각)를 달여 만든 고약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석웅황(웅황)을 입힌다. 한번에 10알씩 오매를 달인 물로 설사가 날 때까지 먹는다[역로].

가미백화고(加味百花膏)

오랜 기침이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자원, 관동화 각각 40g, 백부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쓰는데 생강 3쪽과 오매 1알을 넣고 달인 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입문].

윤폐제수음(潤肺除嗽飮)

여러 해 된 기침을 치료하는 데 신기한 효과가 있다.

관동화, 자원용, 마황, 귤껍질(陳皮), 석고가루, 도라지(길경), 끼무릇(반하),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각, 오매살, 앵속각 각각 2.8g, 인삼, 살구씨(행인), 박하, 감초(생것) 각각 2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좋은 차 1자밤과 함께 달여 먹는다[정전].

화수(火嗽)

화수라는 것은 기침소리만 나고 가래는 적으면서 얼굴이 벌겋게 되는 것이다. 혹은 번갈(煩渴)이 나서 물을 마시기도 한다. 이때에 맥은 홍삭(洪數)하다[단심].

○ 화수에는 패모산, 청폐음, 시호지길탕, 청금강화탕, 이모녕수탕, 억심청폐환, 현상설리고, 인삼청진환, 자음청화고, 해청환을 쓴다[저방].

청폐음(淸肺飮)

폐에 열이 있어서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전호, 형개,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각 각각 4g, 지모, 패모, 박하, 벌건솔풍령(적복령), 도라지(길경), 차조기잎(자소엽), 아교주, 살구씨(행인), 천문동,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시호지길탕(柴胡枳桔湯)

찬 기운에 상하여 가슴과 옆구리가 아프고 조열(潮熱)이 나며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담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살구씨(행인), 지각, 도라지(길경), 시호, 속썩은풀(황금), 끼무릇(반하), 지모, 석고, 칡뿌리(갈근)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억심청폐환(抑心淸肺丸)

폐에 열이 있어서 기침이 나고 각혈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이 황련아교원(黃連阿膠元, 처방은 화문(火門)에 있다)이다. 황련과 벌건솔풍령(적복령)은 심화(心火)를 억제해서 폐가 서늘해지게 하여 기침이 저절로 멎게 한다[의감].

현상설리고(玄霜雪梨膏)

노수가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담을 삭이고 기침을 멎게 하며 진액이 생겨나게 하고 피를 토하는 것을 멎게 한다.

좋은 배(설리) 60알(신맛이 나는 것은 쓰지 않는다. 속과 껍질을 버리고 즙 20종지 정도 되게 낸다), 생연뿌리즙(生藕汁) 10종지, 생지황즙 10종지,

맥문동 달인 즙 5종지, 생무즙(생나복즙) 5종지, 띠뿌리즙(茅根汁) 10종지.

위의 즙들을 다시 밭아서 찌꺼기를 버리고 달이다가 꿀(봉밀) 600g, 엿(이당) 300g, 시상(枾霜) 300g, 생강즙 반잔을 넣고 달이는데 묽은 풀처럼 되면 고약이 다 된 것이다. 한번에 3-5숟가락씩 먹는다[의감].

인삼청진환(人蔘淸鎭丸)

열을 내리고 기침을 멈추며 담을 삭이고 숨찬 것을 진정시킨다.

시호, 인삼 각각 60g, 속썩은풀(황금, 생것), 끼무릇(반하), 감초 각각 30g, 맥문동 12g, 귤껍질(陳皮), 오미자 각각 8g, 청대 2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정전].

자음청화고(滋陰淸化膏)

기침을 멈추고 담화를 내리며 화원(化源) 다. 폐와 신이 사람의 몸에서 화원이 된다.

생지황, 찐지황(다 술에 담갔던 것), 천문동, 맥문동 각각 80g, 황백(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60g, 흰솔풍령(백복령), 마(산약), 구기자,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에 축여 볶은 것), 지모(술과 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현삼, 율무쌀(의이인, 닦은 것) 각각 40g, 오미자 28g, 감초(생것)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봉밀)에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빈속에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

○ 담수(痰嗽)가 심하면 귤껍질(陳皮), 패모 각각 40g을 더 넣는다[회춘].

[註] 화원(化源): 몸에서 힘이 생겨나게 하는 원천.

해청환(海靑丸)

화가 몰려서 기침하는 것과 폐창(肺脹)으로 숨이 가쁜 것이 잘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가자피, 조가비가루(합분), 하늘타리씨(과루인), 청대,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향부자(동변에 법제한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불린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밤에 나는 기침[夜嗽]

밤에 나는 기침은 음이 허한 것에 속하는데 이때에는 음분(陰分)의 화를 내려야 한다[입문].

○ 음분에서 생긴 기침은 음이 허한 것에 속하기 때문에 이것을 치료할 때에는 지모로 기침을 멎게 하고 생강은 쓰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생강의 매운 맛이 기를 흩어지게 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단심].

○ 대체로 밤에 나는 기침과 오래된 기침 때에는 신기(腎氣)가 약해지고 화가 성해서 물이 마르거나 진액이 넘쳐나기 때문에 가래가 생긴다. 이때에는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처방은 허로문(虛勞門)에 있다)에 황백, 지모, 천문동, 패모, 귤홍을 더 넣어 써서 화원을 보해야 한다. 그리고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 처방은 화문(火門)에 있다)도 쓴다[회춘].

○ 밤에 나는 기침에는 자음청화고, 마황창출탕을 쓴다[저방].

마황창출탕(麻黃蒼朮湯)

가을이나 겨울밤에 기침이 멎지 않고 계속 나다가 새벽이 되어야 덜해지며 입이 쓰고 가슴이 더부룩하며 옆구리가 아프고 가래침을 뱉으며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32g, 삽주(창출) 20g, 단너삼(황기) 6g, 초두구 2.4g, 시호, 강호리(강활) 각각 2g, 방풍, 당귀(잔뿌리), 감초(생것) 각각 1.6g, 감초(닦은 것), 속썩은풀(황금) 각각 1.2g, 오미자 15알.

위의 약들을 썰어 2첩으로 나누어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돌림기침[天行嗽]

절기[時]에 맞지 않는 기후로 사람들이 감기에 걸려서 기침하는 데는 인삼음자나 일복산을 쓴다[득효].

○ 4철 감기로 기침할 때에는 삼소음(蔘蘇飮,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을 쓴다[회춘].

인삼음자(人蔘飮子)

돌림기침 때 담이 성하고 춥다가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도라지(길경), 오미자, 벌건솔풍령(적복령), 끼무릇(반하) 각각 6g, 지각,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 찬 기후와 더운 기후가 바뀔 때 기가 왕성한 사람이 옷을 많이 입으면 기가 막혀서 갑자기 담이 성하고 약간 열이 나게 되는데 이런 때에 이 약을 쓴다. 이것을 만약 감기로 알고 땀을 내면 반드시 중병[大病]이 된다. 이 처방의 좋은 점은 다음과 같다. 벌건솔풍령(적봉령)은 심(心)의 열을 이끌어서 내보내고 지각은 폐기(肺氣)가 막힌 것을 통하게 하므로 좋은 효과를 보게 되는 것이다[단심].

일복산(一服散)

심한 돌림기침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큰 것) 3개, 살구씨(행인) 7알, 앵속각 2개, 오매 2알, 갖풀(아교) 2쪽, 생강 10쪽, 차조기잎(자소엽) 10잎,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천식에는 8가지가 있다[喘證有八]

천급(喘急)이라는 것은 기에 화가 몰려 걸쭉한 담(稠痰)이 폐와 위에 생겨서 된 것이다[단심].

○ 천(喘)이라는 것은 화기(火氣)가 심하고 기가 성하여 숨이 가쁜 것이다[하간].

○ 숨결이 가쁜 것을 천이라고 하고 목구멍에서 소리가 나는 것을 효(哮)라고 한다. 허하면 기운이 약하고 몸이 차며 얼음 같은 가래가 나온다. 실(實)하면 기운이 세고 가슴이 그득하며 몸이 달고[熱] 대변이 굳다[입문].

○ 천이라는 것은 어떤 것인가. 폐는 기를 주관하는데 몸이 찰 때 찬 것을 마시면 폐가 상하게 되어 폐기가 거슬러 오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인데 이때에는 숨쉬기 가빠하면서 헐떡거리고 숨결이 잦으며 입을 벌리고 어깨를 들먹거리며 몸을 흔들고 배가 불룩불룩해진다[명리].

○ 자고 일어나는 것은 여전한데 숨쉴 때에 소리가 나는 것은 폐의 낙맥(絡脈)이 순조롭지 못하여 경맥(經脈)을 따라 폐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기 때문이다[입문].

○ 화기가 심한 것은 여름의 더위와 같고 약한 것은 겨울의 추위와 같다. 그러므로 추워하는 병(病寒) 때에는 기운이 약하고 숨결이 약하며 열이 있는 병(病熱) 때에는 기운이 왕성하고 숨결이 거칠다. 그리고 한수(寒嗽)는 음기인데 더딘 것을 주관하고 열화(熱火)는 양기인데 빠른 것을 주관한다. 때문에 추우면 숨결이 떠지고 기운이 약하며 열이 있으면 숨결이 잦고 기운이 왕성해져 천식이 생긴다[하간].

○ 천식은 풍한이 폐를 상한 것이 아니면 담화(痰火)가 폐를 불어나게 하여 생기는 것이다. 풍한이면 발산하는 약을 쓰고 담화면 통하게 하여 내보내는 약을 써야 한다. 그러나 화가 심한 데는 순전히 맛이 쓰고 성질이 찬 것만 쓰지 말고 반드시 성질이 더운 약으로 세게 쳐야 한다. 세게 치는 약은 아래에 있다[입문].

○ 대체로 천식이 발작하기 전에는 원기를 도와주는 약을 주로 써야 하고 이미 발작하였으면 발산시키는 약을 주로 써야 한다[단심].

○ 천식에는 풍한천(風寒喘), 담천(痰喘), 기천(氣喘), 화천(火喘), 수천(水喘), 오랜 천식[久喘], 위가 허하여 나는 천식[胃虛喘], 음허로 나는 천식[陰虛喘]이 있다. 여러 가지 병으로 나는 천식과 기침은 천식과 기침에 두루 쓰는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저방].

풍한천(風寒喘)

풍한천이라는 것은 보통 감기로 풍한(風寒)이 속에 몰려 폐가 불어나고 기가 거슬러 올라서 된 천식이다. 풍사에 감촉된 데는 금비초산(金沸草散, 처방은 위에 있다), 마황산, 인삼윤폐산, 구보음(九寶飮,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쓴다. 한사(寒邪)에 감촉된 데는 가미삼요탕, 인삼정천탕, 소청룡탕(小靑龍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삼소온폐탕, 오미자탕, 구미이중탕, 오호탕, 지천원을 쓴다[저방].

○ 냉으로 생긴 천식은 날씨가 차면 발작한다[의감].

○ 폐가 차거나 허약하면 반드시 기운이 약하므로 몹시 추워하고 얼음 같은 가래가 나오는 증상이 있다[의감].

마황산(麻黃散)

풍에 상하여 숨이 차며 담이 막히고 콧물과 침이 걸쭉한 것을 치료한다.

마황 8g, 계피 4.8g, 관동화, 가자피, 감초 각각 4g, 살구씨(행인)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좋은 차[細茶] 4g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인삼윤폐산(人蔘潤肺散)

풍한에 감촉되어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담이 막히고 코가 메는 것을 치료한다.

8g, 패모, 살구씨(행인) 각각 6g, 인삼, 감초 각각 4g, 도라지(길경), 갖풀(아교) 각각 2g, 귤홍 1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차조기잎(자소엽) 2잎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인삼정천탕(人蔘定喘湯)

폐가 한사에 감촉되어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하는데 기침도 낫게 한다.

인삼(꿀에 축여서 볶은 것) 8g, 오미자 6g, 마황, 인삼, 반하국, 아교주, 감초 각각 4g,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여 먹는다[득효].

삼소온폐탕(蔘蘇溫肺湯)

몸이 찬데 또 찬 것을 마신 것으로 폐가 상하여 숨이 차서 헐떡거리고 속이 답답하여 가슴이 그득하고 숨결이 밭은 것을 치료한다.

인삼, 차조기잎(자소엽), 육계, 목향, 오미자,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오미자탕(五味子湯)

한천(寒喘)을 치료한다.

마황 8g, 오미자, 살구씨(행인), 귤홍 각각 6g, 생강(말린 것), 계피,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차조기잎(자소엽) 3잎과 함께 달여 먹는다[직지].

[註] 한천(寒喘): 양이 허하여 찬 기운이 성해서 생긴 천식. 이때 증상은 숨이 차면서 손발이 싸늘하고 맥이 침세(沈細)하다. 풍한천의 준말.

가미삼요탕(加味三拗湯)

한천을 치료한다.

마황 8g, 귤껍질(陳皮) 6g, 살구씨(행인), 오미자 각각 4.8g, 계피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여 먹는다[득효].

구미이중탕(九味理中湯)

한천(寒喘)을 치료한다. 한천이라는 것은 손발이 차고 맥이 침세(沈細)한 것이다.

사인(간 것), 건강(싸서 구운 것), 차조기씨(자소자), 후박, 계피, 귤껍질(陳皮), 감초(닦은 것) 각각 4g, 침향, 목향 각각 2g(이 2가지 약은 다 물에 갈아 즙을 낸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즙을 짠다. 여기에 침향즙과 목향즙을 타서 먹는다[회춘].

오호탕(五虎湯)

한사에 상하여 숨이 찬[急] 것을 치료한다.

마황 12g, 석고 20g, 살구씨(행인) 8g, 감초 4g, 좋은 차(細茶) 한자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파밑(총백) 1대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지천원(止喘元)

(冷喘)을 치료한다.

필발, 후추(호초), 인삼, 호두살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봉밀)에 반죽한 다음 40g으로 알약 30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잘 씹어서 따뜻한 물로 넘긴다[유취].

담천(痰喘)

담천이라는 것은 숨찬[喘] 증이 나타나면 곧 목에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나는 것이다[입문].

○ 폐가 실하거나 열이 있으면 반드시 담이 꽉 막혀서 가슴이 그득하고 겉으로 확확 다는 듯한 증상이 나타난다[의감].

○ 담천 때에는 천민탕, 천민도담탕, 가감삼기탕, 패모산, 평폐산, 자소반하탕, 정천화담탕, 윤폐고, 소자도담강기탕, 대라조환, 거담환 등을 쓴다[제방].

○ 여러 가지 천식이 한창 발작할 때는 가래가 나오지 않다가 발작이 멎으려 할 때에 가래를 토하게 된다. 즉 발작할 때에는 담이 막혀 통하지 못하기 때문에 숨이 차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담이 통하는 길을 열어주어야 쉽게 낫는다. 이런 데는 도라지(길경), 하늘타리씨(과루인), 지각, 살구씨(행인), 차조기잎(자소엽), 전호 등 약으로 담이 나오게 해야 한다. 그 다음 허하고 실한 데 따라 조리하여야 하는데 실하면 침향곤담환(沈香滾痰丸,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을 쓰고 허하면 인삼, 단너삼(황기), 당귀, 흰삽주(백출)로 보해 주어야 한다[강목].

천민탕(千緡湯)

담천을 치료하는데 몇 번 먹으면 곧 낫는다.

끼무릇(반하), 7알(싸서 구워 매알을 4쪽씩 낸다), 주염열매(조협, 닦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1치, 천남성(싸서 구운 것)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찬요].

천민도담탕(千緡導痰湯)

담천으로 눕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한번 먹으면 곧 낫는다.

끼무릇(반하) 7알(싸서 구워 매알을 4쪽씩 낸다), 천남성,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지각 각각 4g, 주염열매(조협), 감초 각각 1치(이 2가지는 닦는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가감삼기탕(加減三奇湯)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기가 치밀어 오르고 담연(痰涎)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8g, 도라지(길경), 귤껍질(陳皮), 선귤껍질(청피), 인삼,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차조기잎(자소엽), 살구씨(행인), 오미자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패모산(貝母散)

열수(熱嗽)와 담천을 치료하는데 오전 7-9시경에 먹으면 오후 5-7시경에 낫는다. 이것이 바로 위에 있는 이모산이다[득효].

평폐산(平肺散)

천식과 기침 때 담이 성하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며 목구멍과 입이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4g, 끼무릇(반하), 앵속각, 박하, 차조기잎(자소엽), 오매살, 자원, 지모,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오미자, 살구씨(행인), 도라지(길경) 각각 2.8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자소반하탕(紫蘇半夏湯)

천식과 기침으로 담이 성하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8g, 살구씨(행인) 6g,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차조기잎(자소엽), 오미자, 자원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정천화담탕(定喘化痰湯)

기침하는 것과 담천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8g, 끼무릇(반하), 천남성(이 2가지는 법제한 것) 각각 6g, 살구씨(행인) 8g, 오미자, 감초 각각 3.2g, 관동화, 인삼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윤폐고(潤肺膏)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자원, 살구씨(행인), 관동화 각각 40g, 마황, 도라지(길경), 가자, 족두리풀(세신) 각각 20g, 백반(구운 것) 4g, 호두살 40g, 생강(즙을 낸 것) 80g, 참기름 300g, 꿀(봉밀) 600g.

위의 약 가운데서 앞의 9가지 약을 가루낸다. 그리고 먼저 기름을 졸이다가 여기에 꿀을 넣고 달여서 거품을 걷어낸다. 다음 약가루와 생강즙을 넣고 잘 저어서 한번에 2-3숟가락씩 잠잘 무렵에 끓는 물에 타 먹는다[단심].

소자도담강기탕(蘇子導痰降氣湯)

담천(痰喘)으로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차조기씨(자소자) 8g, 끼무릇(반하) 당귀 각각 6g, 천남성, 귤껍질(陳皮) 각각 4g, 전호, 후박, 지실,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2.8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필용].

대라조환(大蘿 丸)

기천(氣喘), 담천(痰喘), 풍담(風痰), 식담(食痰), 주담(酒痰), 밀가루음식독 등을 치료한다.

무씨(나복자, 닦은 것) 80g, 주염열매(조각, 약성이 남게 태운 것) 40g, 천남성, 끼무릇(반하, 이 2가지는 법제한 것), 살구씨(행인), 하늘타리씨(과루인), 향부자(동변에 법제한 것), 청대, 귤껍질(陳皮)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약누룩(신국)으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60-7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거담환(祛痰丸)

풍담으로 숨이 차고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목향, 천마,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선귤껍질(청피), 흰삽주(백출) 각각 40g, 주염열매(조협) 36g, 홰나무열매(괴실), 끼무릇(반하) 각각 3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으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기천(氣喘)

기천이라는 것은 7정(七情)에 상하여 생기는 것인데 숨은 가쁘나 가래 끓는 소리는 없는 것이다.

○ 기천이란 놀라거나 근심하는 것으로 하여 기가 몰리면 생기는데 이때에는 두려워하고 답답해 하며 숨쉴 때 코가 벌름거리면서 숨을 가쁘게 쉬고 가래 끓는 소리는 없다[입문].

○ 천이라는 것은 기운이 치밀어 올라서 숨을 들이쉴 때 가빠서 숨쉬기 힘들어 하는 것이다[의감].

○ 기가 허하여 숨결이 밭고 숨이 찬 데는 맛이 쓰고 성질이 찬약을 쓰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화가 성(盛)하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인삼, 황백(꿀을 발라 구운 것), 맥문동, 지골피 등 약을 쓴다[단심].

○ 기가 실(實)한 데 단너삼(황기)을 많이 먹어서 생긴 기천 때에는 삼요탕을 써서 기를 내려야 한다[단심].

○ 기천 때에는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 처방은 신문(腎門)에 있다), 사마탕, 육마탕, 청금탕,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처방은 기문(氣門)에 있다), 가미백출산, 정폐탕, 행인반하탕, 행소음, 조강탕, 가미사군자탕, 침향강기탕(沈香降氣湯, 처방은 기문(氣門)에 있다)을 쓴다.

사마탕(四磨湯)

7정(七情)이 몰리고 맺혀서 기가 치밀어 올라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한다.

인삼, 빈랑, 침향, 오약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진하게 갈아 물 잔으로 7분에 넣고 세번에서 다섯번 끓어오르게 달여서 아무 때나 약간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동원].

육마탕(六磨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가슴 속에 기(氣)가 막힌 것도 치료하는데 효과가 아주 좋다. 이 약은 사마탕에 목향과 지각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넣은 것인데 약 짓는 방법과 먹는 방법은 위의 처방과 같다[동원].

청금탕(淸金湯)

기침이 나고 숨이 몹시 차며 가슴이 그득하고 기가 거슬러올라 앉으나 누우나 편안치 않은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살구씨(행인), 아교주, 오미자,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율무쌀(의이인), 차조기잎(자소엽), 나리, 패모, 반하국, 관동화 각각 2.8g, 앵속각, 인삼,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가미백출산(加味白朮散)

기가 허하여 숨이 차고 음식맛이 없는 것을 치료하는데 숨이 차고 기침을 하는 것이 술을 마시면 발작하는 것도 낫게 한다.

삼령백출산(蔘 白朮散, 처방은 내상문(內傷門)에 있다) 약재에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각각 4g을 넣은 것이다.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7치를 넣어서 달여 먹는다[득효].

정폐탕(定肺湯)

기가 치밀어 올라 숨이 차고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자원용(紫 茸), 오미자, 귤껍질(陳皮), 차조기씨(자소자), 살구씨(행인),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끼무릇(반하), 지각,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차조기잎(자소엽) 5잎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행인반하탕(杏仁半夏湯)

폐기가 부족하여 숨이 차고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살구씨(행인), 끼무릇(반하), 도라지(길경),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방기,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백반 각각 4g, 주염열매(조각), 박하 각각 2g, 감초 1치.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행소음(杏蘇飮)

기가 치밀어 올라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붓는 것을 치료한다.

차조기잎(자소엽) 8g, 자원, 감초 각각 4g, 귤껍질(陳皮), 도라지(길경), 마황,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아교주 각각 3g, 오미자, 빈랑껍질, 오매살, 살구씨(행인)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조강탕(調降湯)

숨이 몹시 차고 기침이 나며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지각 5.2g, 감초 4g, 끼무릇(반하), 도라지(길경), 벌건솔풍령(적복령),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차조기씨(자소자), 빈랑, 꽃다지씨(정력자, 닦은 것) 각각 2.8g, 백두구, 목향, 사인,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가미사군자탕(加味四君子湯)

기천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각각 5.2g, 감초 4g, 당귀 3.2g, 벌건솔풍령(적복령), 귤껍질(陳皮), 후박, 사인, 차조기씨(자소자),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각각 2.4g, 침향, 목향 각각 2g(이 2가지는 물에 갈아 즙을 낸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여기에 침향즙과 목향즙을 타서 먹는다[회춘].

화천(火喘)

수태음경맥의 시동병(是動病) 때에는 폐가 팽팽하고 그득해서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소생병(所生病) 때에는 기침하고 기가 치밀어 올라 숨이 차서 안타까우며[煩心] 가슴이 그득하다[영추].

○ 이것은 다 충맥(衝脈)의 화(火)가 가슴으로 올라와서 생긴 병이다.

○ 가만히 있으면 숨쉬기 편안하고 움직이면 숨쉬기 가빠서 헐떡거리는 것은 충맥의 화가 위로 치밀기 때문이다. 어떤 늙은이가 천식증이 있고 피가래를 토했는데 가만히 있으면 숨이 차지 않고 조금 움직이면 숨쉬기 가빠서 헐떡거렸다. 그래서 자신환(滋腎丸, 처방은 오줌문(小便門)에 있다)을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먹었는데 증상이 많이 나았다. 이와 같이 하여 충맥(衝脈)의 화사(火邪)를 없애니 효과가 있었다[동원].

○ 화기가 폐와 위로 떠오르면 숨이 찬데 이것은 잠깐 더했다 잠깐 덜했다 한다. 그리고 음식을 먹을 때에는 덜해지고 다 먹고 나면 다시 숨이 차다. 이것은 대체로 위(胃) 속에는 실화(實火)가 있고 가슴에는 걸쭉한 가래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음식이 목구멍으로 들어가면 가래가 떨어지기 때문에 숨이 찬 것이 잠깐 동안 멎고 그 다음 조금 지나면 음식이 위에 들어가서 그 화를 도와주기 때문에 가래가 다시 위로 올라오게 되어 천식이 다시 발작하게 된다. 민간에서는 이것을 위가 허한 것으로 잘못 알고 성질이 조열(燥熱)한 약으로 치료하는데 그것은 불로써 불을 끄려는 것이다. 옛날에 섭도독(葉都督)이 이 병에 걸렸을 때 여러 가지 약을 썼으나 낫지 않기 때문에 그 후에 도수환(導水丸, 처방은 설사문(下門)에 있다)을 먹었는데 다섯번에서 여섯번 설사를 하고 나았다고 한다[단심].

○ 열천(熱喘)은 여름에 생기지 겨울에는 생기지 않는다[의감].

○ 화천에는 백호탕(白虎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에 하늘타리씨(과루인), 지각, 속썩은풀(황금)을 넣어서 달여 먹으면 효과가 있다. 또한 쌍옥산도 효과가 있다[강목].

○ 화천 때에는 도담탕(導痰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에 속썩은풀(황금), 황련, 산치자, 살구씨(행인), 하늘타리씨(과루인)를 넣어 써서 폐기를 시원하게 하고 화를 내리며 담을 삭여야 한다[입문].

○ 화천 때에는 맥문동탕, 가감사백산,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 처방은 화문(火門)에 있다), 가미생맥산, 사화청폐탕, 옥액산, 옥화산이 좋다[저방].

○ 화타(華 )는 “성하면 천식이 되고 줄어들면 마르는 병이 된다”고 하였다. 『활인서(活人書)』에는 “천식이 생겼다는 것은 기가 여유 있는 것”이라고 씌어 있다. 글을 볼 때는 반드시 그 글의 근본 뜻을 알아야 한다. 만약 폐기가 성하고 여유가 있으면 폐와 숙청(肅淸)작용이 잘 되기 때문에 숨이 차지 않을 것이며 폐에 화가 들어가면 폐가 쇠약해지고 부족해져서 천식이 생길 것이다. 때문에 화타가 성하다고 한 것은 폐 속에 화가 성하다는 것이고 『활인서』에 여유있는 것이라고 한 것은 폐 속에 화가 여유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 폐화(肺火)를 사(瀉)하는 데 맛이 쓰고 성질이 찬약을 쓰는 것은 실지에 있어서 폐를 보해 주는 것으로 된다[강목].

쌍옥산(雙玉散)

열천으로 가래가 샘물 솟듯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한수석, 석고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인삼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보명].

맥문동탕(麥門冬湯)

화천을 치료한다.

맥문동 12g, 끼무릇(반하) 8g, 인삼 4g, 감초 2g, 입쌀 1홉, 대추 3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하루 두번 먹는다[중경].

○ 폐가 팽팽하고 그득해서 숨이 차고 기침이 나는 데는 오미자를 많이 쓰고 인삼을 그 다음으로 쓰며 맥문동은 또 그 다음으로 쓰고 황련은 조금 쓴다. 병이 심하여 양손을 마주 쥐면서 정신이 흐릿해지는 것은 진기가 몹시 허하기 때문이다. 숨결이 밭은 데는 단너삼(황기), 오미자, 인삼을 넣어서 쓰고 만일 기가 왕성한 데는 오미자와 인삼을 빼고 속썩은풀(황금)과 형개수를 넣어 쓴다[동원].

○ 어떤 부인이 가래가 많이 나오는 기침을 하였는데 그러다가 하루는 갑자기 몹시 숨이 차면서 가래가 샘물 솟듯이 나오고 몸에 기름 같은 땀이 나오면서 맥은 부홍(浮洪)해지고 당장 숨이 끊어질 것같이 되었다. 그리하여 곧 맥문동 16g, 인삼 8g, 오미자 6g을 1첩으로 하여 달여 먹였다. 그러자 숨차던 것이 멎고 땀도 나오지 않았다. 이 약을 3번 먹이니 가래도 적어졌다. 그 다음 하늘타리씨(과루인) 6g, 흰삽주(백출),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속썩은풀(황금) 각각 4g을 넣어서 20첩을 먹이니 나았는데 이것은 맥문동, 오미자, 인삼의 효과였다[본사].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

음기는 하초에 있고 양기는 상초에 있어서 기침과 구역이 나고 숨이 찬 것을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6g, 지골피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8g, 인삼 3.2g, 귤껍질(陳皮) 오미자 각각 2g, 선귤껍질(청피) 감초 각각 1.2g, 멥쌀 1자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가미생맥산(加味生脈散)

맥이 복(伏)하면서 숨이 차고 손발이 싸늘한 것을 치료하는 데 이 약을 쓰면 효과가 있다.

오미자 12g, 인삼, 맥문동, 살구씨(행인), 귤껍질(陳皮)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 기가 허하여 몹시 숨이 찰 때에는 인삼을 달여 자주 먹어보아서 숨찬 것이 진정되면 살고 진정되지 않으면 죽을 수 있다. 혹 원기가 본래 허약한데다 한사(寒邪)에 상하였거나 땀을 냈거나 설사시켰는데 그 다음부터 숨결이 밭아지고 숨이 몹시 차서 눈을

치뜨며 맥은 미(微)하고 정신이 혼미해지면 위급하다. 이런 때에 이 약을 쓰면 효과가 있다[입문].

사화청폐탕(瀉火淸肺湯)

화천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4g. 산치자, 지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귤껍질(陳皮), 살구씨(행인), 벌건솔풍령(적복령), 차조기씨(자소자), 맥문동, 패모 각각 3.2g, 침향 2g(물에 갈아서 즙을 낸다), 주사 2g(수비한 것).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즙을 낸 다음 여기에 침향즙과 주사가루, 참대기름(죽력)을 타서 먹는다[회춘].

옥액산(玉液散)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입이 마르고 번갈(煩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지모, 패모(닦은 것) 각각 40g, 인삼, 감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먼저 황랍 8g을 녹여 미음에 탄 다음 여기에 약가루 8g을 풀어서 먹는다[득효].

옥화산(玉華散)

기침을 하고 숨이 찬 것을 치료하는데 폐기를 맑게 하고 목구멍과 가슴을 순조롭게 한다.

첨정력(甛 , 닦은 것),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닦은 것), 천문동, 마두령, 끼무릇(반하), 자원, 살구씨(행인), 패모, 나리(백합), 인삼 각각 4g, 백부,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4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수천(水喘)

수천이라는 것은 수기(水氣)로 쪼록쪼록하는 소리가 나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숨이 찬 것인데 이때에는 정조산을 쓴다[입문].

○ 환자가 물을 많이 마시면 반드시 숨이 차게 된다.

○ 지음(支飮)으로 숨이 차서 숨을 잘 쉴 수 없는 데는 정력대조사폐탕을 쓴다[중경].

○ 수종(水腫) 때에는 배가 불러 오르면서 숨이 차게 된다. 대체로 숨이 차면 반드시 배가 불러 오르게 되고 배가 불러 오르면 반드시 숨이 차게 된다. 이 2가지 증은 서로 원인이 되는데 이때에는 대소변도 잘 나가지 않는다. 폐는 기를 주관하므로 먼저 숨이 차고 그 다음에 배가 붓는 것은 폐와 관련하여 생기는 것이다. 이때에는 폐금(肺金)을 시원하게 하고 화(火)를 내린 다음에 오줌을 잘 나가게 해야 한다. 비는 습(濕)을 주관하므로 먼저 배가 붓고 그 다음에 숨이 찬 것은 비와 관련하여 생기는 것이다. 이때에는 습을 말리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 다음에 폐금을 시원하게 해야 한다[입문].

○ 지음으로 숨이 차서 눕지 못하고 숨결이 밭아서 기대고 숨을 쉬며 맥이 평한 데는 소청룡탕(小靑龍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을 주로 쓴다[중경].

○ 대체로 눕지 못하다가 누우면 숨이 찬 것은 수기(水氣)가 있는 것인데 수기는 진액을 따라 나간다. 신(腎)은 수장(水藏)으로서 진액을 주관하며 눕는 것과 숨찬 것과도 연관이 있다. 그러므로 숨이 차서 눕지 못하는 데는 신비탕을 쓴다[강목].

○ 습열로 숨이 차면 평기산, 가감사백산을 쓴다[보감].

○ 수천(水喘)이라는 것은 담음이 머물러 있어서 가슴이 그득하고 답답하면서 다리가 먼저 붓는 것인데 이때에는 평폐탕이나 행소음을 쓴다[저방].

정조산( 棗散)

수천으로 혹 얼굴이 붓는 것을 치료한다.

꽃다지씨(정력자)를 누렇게 닦아 가루낸다. 그리고 대추 10알을 진하게 달여서 대추는 버린 다음 여기에 약가루 8g씩을 타 먹는다[입문].

정력대조사폐탕( 大棗瀉肺湯)

폐옹(肺癰)으로 숨이 차서 누워 있지 못하는 것과 지음으로 숨이 찬 것을 치료한다.

꽃다지씨(정력자)를 누렇게 닦아 가루내어 꿀(봉밀)에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그리고 대추 20알을 물 3되에 넣고 2되가 되게 달여서 대추는 버린다. 다음 여기에 알약 1알을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서 단번에 먹는다.

○ 어떤 사람이 잠깐 사이에 가래를 2홉 반이나 토하면서 기침이 나고 숨이 찬 것이 멎지 않았다. 그런데 손조(孫兆)가 이 약을 1첩 먹이니 가슴이 시원해지고 가래가 삭았다[강목].

신비탕(神秘湯)

기가 치밀어 오르고 숨이 차서 눕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누우면 숨이 찬 것은 수기가 치밀어 올라 폐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폐가 수기로 들뜨면 폐기가 잘 통하지 못하고 맥이 침대(沈大)해진다. 이런 때에 이 약을 쓰는 것이 좋다.

차조기잎(자소엽), 귤홍,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각각 8g,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끼무릇(반하) 각각 4g, 목향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하루 두번 먹는다[강목].

평기산(平氣散)

습열로 숨이 찬 것을 치료한다.

나팔꽃흰씨(견우자, 절반은 생것, 절반은 닦아서 맏물가루낸 것) 80g, 대황 28g, 귤껍질(陳皮, 흰 속을 버린 것) 20g, 선귤껍질(청피), 빈랑 각각 12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 살이 찐 어떤 부인이 장마철 때 술과 소젖을 마신 다음 배가 붓고 숨이 차며 가슴이 그득하고 숨소리가 집 밖에서까지 들을 수 있게 되었으며 편안히 눕지 못하고 대소변이 나오지 않았다. 그리고 기구맥(氣口脈)이 인영맥(人迎脈)보다 2배나 크면서 침완(沈緩)하고 힘이 있었다. 이것은 습열이 지나치게 성해서 생긴 천식이다. 사기(邪氣)가 성하면 실증이 되는데 실증이 되면 설사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이 약을 한번 먹이니 절반 정도 나았고 두번 먹이니 숨찬 것은 멎었다. 그러나 가슴이 그득하고 입이 마르며 때로 기침이 났다. 그리하여 다시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을 먹였는데 다 나았다[보감].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골피, 지모, 도라지(길경), 귤껍질(陳皮), 선귤껍질(청피) 각각 4g, 속썩은풀(황금),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보감].

평폐탕(平肺湯)

폐(肺)와 신(腎)에는 다 지음(至陰)으로 수기가 몰릴 수 있는데 숨이 차고 기침이 나는 것은 수기가 침범한 것이다.

꽃다지씨(정력자, 닦은 것) 8g,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닦은 것), 도라지(길경), 지각, 끼무릇(반하),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4g, 마황 3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오랜 천식[久喘]

오랜 병으로 숨결이 밭으면서 잘 이어지지 않아 천식 비슷하지만 천식이 아닌 데는 단인삼탕을 쓴다. 혹은 조중익기탕(調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內傷門)에 있다)을 쓰기도 한다.

○ 여러 가지 천식이 오래도록 낫지 않는 데는 소라조환이나 인삼청폐음(人蔘淸肺飮, 처방은 위에 있다)에 앵속각의 양을 곱으로 넣어 써서 진정시켜야 한다[입문].

○ 오랜 천식이 발작하기 전에는 인삼반하환을 쓰고 이미 발작한 데에는 침향곤담환(沈香滾痰丸,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는데, 즉 곤담환(滾痰丸)이다)을 쓴다. 여러 번 경험해 보았는데 다 좋았다[하간].

○ 오랜 천식에는 인삼자원탕, 정천탕, 납전산, 금불환산, 인삼윤폐환을 쓴다[저방].

단인삼탕(單人蔘湯)

기가 허하여 생긴 천식을 치료한다.

인삼 40g을 썰어서 물에 달여 자주 먹는다[입문].

○ 어떤 사람이 찬 기운에 상하여 기침하고 목구멍에서 코고는 듯한 소리가 났는데 이때에 독삼탕(獨蔘湯)을 한번 먹으니 코고는 듯한 소리가 없어지고 1.2kg까지 먹고 다 나았다고 한다[강목].

소라조환(小蘿 丸)

오랜 천식을 치료하는데 묘하게 낫는다.

무씨(나복자, 찐 것) 80g, 주염열매(조각, 닦은 것) 20g, 천남성(백반물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것), 하늘타리씨(과루인), 조가비가루(합분)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봉밀)을 탄 생강즙에 고루 반죽한 다음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강목].

인삼반하환(人蔘半夏丸)

담연(痰涎)을 삭이고 기침을 멎게 하며 숨찬 것을 낫게 하는데 풍담(風痰), 다담(茶痰), 식담(食痰) 등 일체 담병을 치료한다.

조가비가루(해합분) 80g, 끼무릇(반하), 건강, 백반, 한수석 각각 40g,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박하, 천남성(싸서 구운 것) 각각 20g, 곽향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하루 3번 먹는다[보감].

인삼자원탕(人蔘紫 湯)

기침이 나고 몹시 숨찬 것이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앵속각(생강즙에 법제한 것) 8g, 사인 6g, 살구씨(행인), 관동화 각각 4g, 오미자, 계지 각각 2g, 인삼, 자원, 감초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정천탕(定喘湯)

폐가 허하여 생긴 오랜 천식을 치료한다.

노래에는 다음과 같이 씌어 있다.

오랜 천식 안 멎거든 정천탕을 먹어보소

아교 반하 마황이며 인삼 감초 넉 냥 넣고

상백피며 오미자도 넣는 분량 한 가지요

앵속각은 밀구(蜜灸)하여 2돈중만 달아 넣고

잘게 썰어 고루 섞어 3돈중을 1첩으로

생강 3쪽 다시 두어 물에 달여 먹고 나면

십년 묵은 천식증이 씻은 듯이 낫는다네

이런 약을 써보고야 명의비방 믿는다네[의감].

○ 이 처방은 위에 있는 인삼정천탕과 같으나 약의 양이 다르다. 그러므로 참고해야 한다.

납전산(蠟煎散)

허로로 오랫동안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면서 혹 피고름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살구씨(행인), 인삼, 맥문동, 마(산약), 흰솔풍령(백복령), 패모, 나리(백합), 녹각교(없으면 대신 갖풀(아교)을 쓴다), 감초(닦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낸다. 한번에 12g씩 황랍, 주염열매(조각)만한 것과 함께 물에 달여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단심].

금불환산(金不換散)

숨이 차고 기침이 오랫동안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앵속각(꿀에 축여 볶은 것) 20g, 지각 16g, 살구씨(행인),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나누어 생강 3쪽,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인삼윤폐환(人蔘潤肺丸)

폐가 허하여 기침이 나고 숨이 찬 것이 오래되어 허로가 된 것을 치료한다.

지모 120g, 도라지(길경), 계피 각각 100g, 인삼, 관동화, 살구씨(행인),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잘 씹어서 생강을 달인 물로 넘긴다[입문].

위가 허하여 생긴 천식[胃虛喘]

위가 몹시 허약하면 기가 치밀어 올라 어깨를 들먹거리며 배를 움켜쥐게끔 숨이 찬 것이 멎지 않는다. 이때에는 생맥산에 살구씨(행인), 귤껍질(陳皮), 흰삽주(백출)를 넣어서 써야 한다[입문].

○ 위와 관련된 천식 때에는 몸에 열이 나면서 안타깝다. 『내경』에 “위가 허하면 기가 치밀어 오른다”고 씌어 있다. 또한 “적풍(賊風)이나 허사(虛邪)에 감촉되면 그것을 양(陽)이 받게 되는데 양이 받으면 그것이 6부(六腑)로 들어간다. 6부로 들어가면 몸에 열이 나고 갑자기 눕게 되며 숨이 차게 된다”고 씌어 있다. 또한 양명(陽明)이 궐역(厥逆)되면 숨이 차고 한숨을 쉬게 된다. 한숨을 쉬게 되면 사람을 싫어한다. 혹 숨이 차다가 죽는 것도 있고 숨이 차다가도 사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무슨 까닭인가. 그것은 궐역이 5장(五臟)에까지 미치면 죽고 경맥(經脈)에만 미치면 산다는 것이다. 이것이 위와 관련되어 생긴 천식이다. 이런 데는 가감백호탕(加減白虎湯) 같은 것을 써야 한다[강목].

음이 허하여 생긴 천식[陰虛喘]

혈(血)이 허(虛)하면 양기(陽氣)가 의지할 곳이 없기 때문에 치밀어 오른다. 이때에는 사물탕(四物湯)에 집함박꽃뿌리(백작약)의 양을 곱으로 하여 넣고 인삼, 오미자를 넣어 써서 안정시켜야 한다[입문].

○ 음(陰)이 허하여 생긴 천식 때에는 기가 배꼽 아래에서부터 곧바로 청도(淸道)까지 치밀어 올라간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기를 내리고 음혈을 불쿼 주어야 한다[의감].

○ 음이 허(虛)하여 생긴 천식 때에는 심화(心火)를 내리고 진음(眞陰)을 보하며 정혈(精血)을 불쿼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사물탕과 이진탕을 섞은 데 지각, 속썩은풀(황금), 지모, 황백을 넣어야 한다[입문].

○ 음이 허하여 화(火)가 동(動)해서 숨이 차고 가래 끓는 소리가 멎지 않을 때 증상이 급하면 표(標)를 치료하는 원칙에서 현상설리고를 쓰고 완만하면 근본을 치료하는 원칙에서 자음청화고를 써야 한다[회춘].

○ 대체로 숨이 차서 눕지 못하고 맥이 부(浮)한데 꾹 눌러보면 허하면서 삽(澁)한 것은 음이 허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오래지 않아 죽을 수 있으므로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설사시키면 반드시 죽는다. 이때에는 사물탕에 참대기름(죽력), 청대, 맥문동, 오미자, 지각, 차조기잎(자소엽)을 넣어서 쓰는 것이 좋다[강목].

○ 음이 허하여 생긴 천식에는 영폐탕, 윤폐활담녕수탕, 인삼오미자산이 좋다[저방].

영폐탕(寧肺湯)

폐가 허하여 기침이 나고 숨이 차고 열이 나며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갖풀(아교) 6g, 궁궁이(천궁),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찐지황(숙지황), 흰삽주(백출), 오미자, 맥문동, 인삼,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흰솔풍령(백복령),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저방].

윤폐활담영수탕(潤肺豁痰寧嗽湯)

음이 허하여 숨이 몹시 찬 것과 가래가 성하면서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찐지황(숙지황),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지모(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3.2g, 흰솔풍령(백복령) 2.8g, 속썩은풀(황금, 술로 씻은 것), 패모, 천문동, 맥문동, 자원(술로 씻은 것), 관동화(술로 씻은 것), 도라지(길경), 당귀, 감초 각각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인삼오미자산(人蔘五味子散)

허로로 기혈(氣血)이 상하여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면서 피고름이 나오고 추웠다 열이 나고 식은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오미자, 도라지(길경),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찐지황(숙지황), 당귀, 감초 각각 2.8g, 지골피, 전호,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각, 단너삼(황기), 귤껍질(陳皮), 시호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하루 세번 먹는다[단심].

'동의보감 > 잡병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방(雜方)  (0) 2016.05.28
부인병(婦人)  (0) 2016.05.28
몸풀기  (0) 2016.05.28
어린이병(小兒)  (0) 2016.05.28
어린이 질병[小兒疾患]  (0) 2016.05.28
:
Posted by doc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