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동의보감'에 해당되는 글 121

  1. 2021.05.28 본초(本草) 성미[性味] 귀경[歸經] 1
  2. 2016.05.29 동의보감(東醫寶鑑)
  3. 2016.05.29 내경편(內景篇)
  4. 2016.05.29 외형편(外形篇)
  5. 2016.05.29 잡병편(雜病篇)
  6. 2016.05.29 탕액편(湯液篇)
  7. 2016.05.29 침구편(鍼灸篇)
  8. 2016.05.29 신형(身形)
  9. 2016.05.29 정(精)
  10. 2016.05.29 기(氣)

1.해표약(解表藥)

(1)신온해표약(辛溫解表藥) 

 마황(麻黃) 온(溫) 신(辛),미고(微苦) 폐(肺),방광(膀胱)
 계지(桂枝) 계수나무 가지 온(溫) 신(辛), 감(甘) 심(心),폐(肺),방광
 소엽(蘇葉) 온(溫) 신(辛) 폐(肺),비(脾)
 형개(荊芥) 온(溫) 신(辛) 폐(肺),간(肝)  
 방풍(防風) 미온(微溫) 신(辛),감(甘) 방광,간(肝),비(脾)
 강활(羌活) 온(溫) 신(辛),고(苦) 방광(膀胱),신(腎)
 고본(藁本) 온(溫) 신(辛) 방광
 백지(白芷) 구릿대 온(溫) 신(辛) 간(肝),위(胃)
 세신(細辛) 족두리풀 온(溫) 신(辛) 심, 간, 폐, 신(腎)
 생강(生薑) 미온(微溫) 신(辛) 폐, 비, 위
 총백(蔥白) 파뿌리 온(溫) 신(辛) 간, 위
 향유(香薷) 미온 신(辛) 폐, 위 
 신이(辛夷) 목련 꽃봉오리 평(平) 신(辛) 폐, 위

(2)신량해표약(辛凉解表藥)

 박하(薄荷) 량(凉) 신(辛) 폐, 간
 우방자(牛蒡子) 우엉의 과실 한(寒) 신(辛) 폐, 위
 선퇴(蟬退) 매미의 허물 한(寒) 함(鹹), 감(甘) 폐, 간
 상엽(桑葉) 뽕잎 한(寒) 고(苦), 감(甘) 폐, 간
 국화(菊花) 미한(微寒) 감(甘), 고(苦) 폐, 간
 야국화(野菊花) 들국화/감국 량(凉) 고(苦), 신(辛) 폐, 간
 담두시(淡豆豉) 대두콩 한(寒) 고(苦) 폐, 위
 부평(浮萍) 개구리밥 한(寒) 신(辛) 폐
 목적(木賊) 속새 평(平) 감(甘),미고(微苦) 폐, 간, 담
 갈근(葛根) 칡 평(平) 감(甘),담(淡),신(辛) 비, 위
 시호(柴胡) 미한(微寒) 고(苦) 심포,간,삼초,담 
 승마(升麻) 미한(微寒) 감(甘), 신(辛) 폐,위,대장,위

2. 사하약(瀉下藥)

(1)공하약(攻下藥)

 대황(大黃) 장군풀 한(寒) 고(苦) 비,위,대장,심포
 망초(芒硝) 한(寒) 함(鹹), 고(苦) 위, 대장, 삼초
 번사엽(番瀉葉) 센나 대한(大寒) 감(甘), 고(苦) 대장
 노회(蘆薈) 알로에 한(寒) 고(苦) 간,위,대장

(2)윤하약(潤下藥)

 마자인(麻子仁) 삼의 씨 평(平) 감(甘) 비,위,대장
 욱리인(郁李仁) 평(平) 신(辛),고(苦),감(甘) 대장, 소장, 비

(3)준하축수약(峻下逐水藥)
 
 견우자(牽牛子) 나팔꽃 씨 한(寒),유독(有毒) 고(苦) 간,신(腎),대장
 감수(甘遂) 한(寒),유독(有毒) 고(苦) 간, 비, 신(腎)
 원화(芫花) 팥꽃의 꽃봉오리 온(溫),유독(有毒) 신(辛) 폐, 비, 신(腎)
 대극(大戟) 한(寒),유독(有毒) 고(苦) 폐, 비, 신(腎)
 상륙(商陸) 자리공 한(寒),유독(有毒) 고(苦) 폐,신(腎),대장
 속수자(續隨子)온(溫),유독(有毒) 신(辛) 간, 신(腎)
 정력자(葶藶子) 다닥냉이/꽃다지 한(寒) 신(辛),고(苦)

3. 청열약(淸熱藥)

(1)청열사화약( 淸熱瀉火藥)

 석고(石膏) 대한(大寒) 감(甘),신(辛) 폐, 위
 지모(知母) 한(寒) 고(苦) 폐,위,신(腎)
 치자(梔子) 한(寒) 고(苦) 심,간,폐,위
 담죽엽(淡竹葉) 한(寒) 감(甘),담(淡) 심, 소장
 하고초(夏枯草) 꿀풀 한(寒) 고(苦),신(辛) 간, 담
 연심(蓮心) 연꽃의 배아 한(寒) 고(苦) 심
 노근(蘆根) 갈대의 뿌리 한(寒) 감(甘) 폐, 위
 결명자(決明子) 미한(微寒) 감(甘),고(苦),함(鹹) 간, 담
 청상자(靑葙子) 개 맨드라미 미한(微寒) 고(苦) 간  
 야명사(夜明砂) 박쥐의 똥 한(寒) 신(辛) 간
 웅담(熊膽) 곰의 쓸개 한(寒) 고(苦) 심,간,담,위

(2)청열양혈약(淸熱凉血藥)

 서각(犀角) 물소의 뿔 한(寒) 고(苦),산(酸),함(鹹) 심,간,위
 생지황(生地黃) 한(寒) 감(甘),고(苦) 심,간,신(腎)
 현삼(玄蔘) 한(寒) 고(苦),함(鹹) 폐,위,신(腎)
 목단피(牧丹皮) 모란의 근피(根皮) 미한(微寒) 고(苦),신(辛) 심,간,신(腎)
 자근(紫根) 지치의 뿌리 한(寒) 감(甘),함(鹹) 심,간
 지골피(地骨皮) 구기자나무의 근피 한(寒) 감(甘),담(淡) 폐,신(腎)
 백미(白薇) 한(寒) 고(苦),함(鹹) 간,위
 은시호(銀柴胡) 대나물의 뿌리 미한(微寒) 감(甘) 위,신(腎)

(3)청열조습약(淸熱燥濕藥)

 황금(黃芩) 속썩은 풀 한(寒) 고(苦) 심,담,대장,소장
 황련(黃連) 한(寒) 고(苦) 심,간,담,위,대장
 황백(黃柏) 황경피나무 한(寒) 고(苦) 신,방광,대장
 용담(龍膽) 과남풀 한(寒) 고(苦) 담, 간
 고삼(苦蔘) 도둑놈 지팡이 한(寒) 고(苦) 심,간,소장,대장,위
 진피(秦皮) 가래나무 미한(微寒) 고(苦),신(辛) 간,담,대장
 호황련(胡黃連) 한(寒) 고(苦) 간,대장,위

(4)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

 금은화(金銀花) 인동 덩굴 한(寒) 감(甘) 폐, 위, 심, 비
 연교(連翹) 개나리 과실 미한(微寒) 고(苦) 심, 담
 포공영(蒲公英) 민들레 한(寒) 고(苦),감(甘) 간, 위
 중약(重藥) 삼백초 한(寒) 신(辛) 간, 폐
 백두옹(白頭翁) 할미꽃 뿌리 한(寒) 고(苦) 위, 대장

(5) 청열해서약(淸熱解暑藥) 

 하엽(荷葉) 연꽃의 잎 평(平) 고(苦) 간, 비, 위  
 녹두(綠豆) 한(寒) 감(甘) 심, 위
 서과(西瓜) 수박 한(寒) 감(甘),담(淡) 심, 위
 백편두(白扁豆) 제비콩 미온(微溫) 감(甘) 비, 위
 청호(靑蒿) 개사철쑥 한(寒) 고(苦) 간, 담
 
4. 이수삼습약(利水滲濕藥)
 
 복령(茯笭) 평(平) 감(甘) 심,폐,비,위,신
 저령(猪笭) 평(平) 감(甘), 담(淡) 신, 방광
 택사(澤瀉) 질경이택사 한(寒) 감(甘) 신, 방광
 인진호(茵蔯蒿) 사철쑥/인진쑥 평(平미),미한(微寒) 고(苦) 비,위,간,담
 목방기(木防己) 댕댕이덩굴 한(寒) 고(苦), 신(辛) 폐  
 한방기(漢防己) 한(寒) 고(苦), 신(辛) 방광, 폐
 활석(滑石) 한(寒) 감(甘) 위, 방광
 의이인(薏苡仁) 율무 미한(微寒) 감(甘), 담(淡) 비, 위, 폐
 동과인(冬瓜仁) 한(寒) 감(甘) 비,위,대장,소장
 목통(木通) 으름덩굴 한(寒) 고(苦) 심,폐,소장,방광
 통초(通草) 통달목 한(寒) 감(甘), 담(淡) 폐, 위
 등심초(燈心草) 골풀 미한(微寒) 감(甘), 담(淡) 심, 소장
 구맥(瞿麥) 패랭이 꽃 한(寒) 고(苦) 심, 소장
 지부자(地膚子) 댑싸리 한(寒) 감(甘), 고(苦) 방광
 편축(萹蓄) 마디풀 평(平) 고(苦) 방광
 석위(石葦) 평(平) 감(甘), 고(苦) 폐, 방광
 차전자(車前子) 질경이 씨 한(寒) 감(甘) 간,신,소장,폐
 동규자(冬葵子) 아욱의 씨 한(寒), 활(滑) 감(甘) 대장, 소장
 금전초(金錢草) 량(凉) 감(甘) 간, 신, 방광 
 옥미수(玉米鬚) 옥수수 꽃대 평(平) 감(甘) 간, 신, 방광

5. 거풍습약(袪風濕藥)

 독활(獨活) 구릿대 미온(微溫) 신(辛), 고(苦) 신, 방광
 진교(秦艽) 평(平) 고(苦), 신(辛) 위,간,담
 위령선(威灵仙) 으아리 온(溫) 신(辛) 방광
 해동피(海桐皮) 평(平) 고(苦) 간, 신
 모과(木瓜) 모과나무 온(溫) 산(酸) 간, 비
 잠사(蠶砂) 누에의 똥 온(溫) 감(甘) 간, 비, 위
 오가피(五加皮) 온(溫) 신(辛) 간, 신
 창이자(蒼耳子) 도꼬마리 과실 온(溫),有毒 감(甘),고(苦) 폐
 상지(桑肢) 뽕나무 가지 평(平) 고(苦) 간
 희렴초(豨薟草) 털진득찰 한(寒),小毒 고(苦) 간, 신 

6. 온리거한약(溫裏袪寒藥)

 부자(附子) 대열(大熱),有毒 대신(大辛) 심,비,신
 건강(乾薑) 생강 말린것 대열(大熱) 대신(大辛) 심,폐,비,위,신
 육계(肉桂) 계수나무 껍질 대열(大熱) 감(甘),신(辛) 간, 신, 비
 오수유(吳茱萸) 대열(大熱),小毒 신(辛),고(苦) 간,위,비,신
 호초(胡椒) 후추나무 과실 열(熱), 신(辛) 위,대장
 정향(丁香) 온(溫) 신(辛) 폐,위,비,신
 소회향(小茴香) 회향 성숙과실 온(溫) 신(辛) 간,신,비,위
 고량강(高良薑) 열(熱) 신(辛) 비,위

7.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곽향(藿香) 미온(微溫) 신(辛) 비,위,폐
 후박(厚朴) 온(溫) 고(苦),신(辛) 비,위,폐,대장
 창출(蒼朮) 삽주의 뿌리 온(溫) 고(苦),신(辛) 비,위
 백두구(白荳蔲) 온(溫) 신(辛) 폐,비,위
 초두구(草豆蔲) 온(溫) 신(辛) 비,위
 초과(草果) 온(溫) 신(辛) 비,위
 축사인(縮砂仁) 온(溫) 신(辛) 비,위,신
 
8. 이기약(理氣藥)

 진피(陳皮) 익은 귤껍질 온(溫) 신(辛),고(苦) 폐,비
 청피(靑皮) 안익은 귤껍질 온(溫) 고(苦),신(辛) 간,담
 대복피(大腹皮) 빈랑의 성숙과피 미온(微溫) 신(辛) 비,위,대장,소장
 지실(枳實) 성숙한 탱자 미한(微寒) 고(苦),산(酸) 비,위
 지각(枳殼) 미성숙 탱자 미한(微寒) 고(苦),산(酸) 비,위
 향부자(香附子) 평(平) 신(辛), 微苦 간, 삼초
 목향(木香) 온(溫) 신(辛),고(苦) 비,대장
 오약(烏藥) 온(溫) 신(辛) 비,폐,신,방광
 침향(沈香) 미습(微濕) 신(辛),고(苦) 비,위,신
 단향(檀香) 향나무의 목질 온(溫) 신(辛) 비,위,폐
 민괴화(玟瑰花) 해당화의 꽃 온(溫) 감(甘),微苦 간,비
 천련자(川楝子) 한(寒) 고(苦) 간,심포,소장,방광
 시체(柿蒂) 감꼭지 평(平) 고(苦) 위
 
9. 이혈약(理血藥)

(1)지혈약(止血藥)

 포황(蒲黃) 참부들 성숙화분 평(平) 감(甘) 간, 심포
 삼칠(三七) (=전칠田七) 온(溫) 감(甘),微苦 간, 신
 지유(地楡) 오이풀의 뿌리 미한(微寒) 고(苦),산(酸) 간, 대장
 괴화미(槐花米) 회화나무 꽃봉오리 미한(微寒) 고(苦) 간, 대장
 천초근(茜草根) 꼭두서니 뿌리 한(寒) 고(苦) 간
 측백엽(側柏葉) 측백나무 어린잎 미한(微寒) 고(苦) 폐, 간, 대장
 애엽(艾葉) 쑥 온(溫) 고(苦),신(辛) 간, 비, 신
 연방(蓮房) 연꽃의 열매 온(溫) 고(苦) 비, 신, 심
 모근(茅根) 띠의 근경(根莖) 한(寒) 감(甘) 간, 위

(2)활혈약(活血藥) -

 천궁(川芎) 온(溫) 신(辛) 간, 담, 심포
 단삼(丹蔘) 미한(微寒) 고(苦) 심, 심포
 계혈등(鷄血藤) 미온(微溫) 고(苦) 간, 신
 현호색(玄胡索) =연호색 온(溫) 신(辛),고(苦) 간, 비
 울금(鬱金) 량(凉) 신(辛),고(苦) 심포, 간
 강황(薑黃) 울금의 근경 온(溫) 고(苦),신(辛) 비, 간
 익모초(益母草) 미한(微寒) 신(辛), 微苦 심, 간
 능소화(凌霄花) 미한(微寒) 감(甘),산(酸) 간, 심포
 월계화(月季花) 온(溫) 감(甘) 간
 적작약(赤芍藥) 미한(微寒) 고(苦) 간
 도인(桃仁) 산복숭아의 인 평(平) 고(苦),감(甘) 심, 간, 대장
 홍화(紅花) 온(溫) 신(辛),微苦 심, 간
 봉출(蓬朮) =아출(莪朮) 온(溫) 고(苦),신(辛) 간, 비
 유향(乳香) 온(溫) 신(辛),고(苦) 심, 간, 비
 몰약(沒藥) 평(平) 고(苦) 간
 우슬(牛膝) 쇠무릅 평(平) 고(苦),산(酸) 간, 신
 소목(蘇木) 평(平) 감(甘),함(鹹) 심, 간, 비
 오령지(五靈脂) 박쥐의 똥 온(溫) 함(鹹) 간

10. 보약(補藥)

(1) 보기약(補氣藥)

 인삼(人蔘) 미온(微溫) 감(甘),微苦 폐, 비
 당삼(党蔘) =만삼(蔓蔘) 미온(微溫) 감(甘) 폐, 비
 황기(黃耆) 미온(微溫) 감(甘) 비, 폐
 산약(山藥) 마 미온(微溫) 감(甘) 비, 폐
 백출(白朮) 거피한 삽주근경 온(溫) 감(甘),微苦 비, 위
 대조(大棗) 대추 온(溫) 감(甘) 비
 감초(甘草) 평(平) 감(甘) 12경(모든장부)  
 황정(黃精) 둥굴레 미온(微溫) 감(甘) 비, 폐
 교이(膠飴) 물엿 미온(微溫) 감(甘) 비, 폐, 위

(2) 보양약(補陽藥) 

 녹용(鹿茸) 사슴 뿔 온(溫) 감(甘),함(鹹) 간, 신
 합개(蛤蚧) 도마뱀 평(平) 함(鹹) 폐, 신
 동충하초(冬蟲夏草) 온(溫) 감(甘) 폐, 신
 육종용(肉蓯蓉) 온(溫) 감(甘),함(鹹) 신, 대장
 쇄양(鎖陽) 온(溫) 감(甘) 간, 신
 음양곽(淫羊藿) 삼지구엽초 온(溫) 신(辛) 간, 신
 파극천(巴戟天) =파극(巴戟) 미온(微溫) 신(辛),감(甘) 신
 호로파(胡蘆巴) 대온(大溫) 고(苦) 신
 호도육(胡桃肉) 온(溫) 감(甘) 폐, 신
 보골지(補骨脂) 대온(大溫) 신(辛),고(苦) 비, 신
 익지인(益智仁) 온(溫) 신(辛) 비, 신
 두충(杜冲) 온(溫) 감(甘),微辛 간, 신
 구척(狗脊) 고비 온(溫) 고(苦),감(甘) 간, 신
 속단(續斷) 미온(微溫) 고(苦),신(辛) 간, 신
 토사자(ꟙ絲子) 새삼의 종자 평(平) 신(辛),감(甘) 간, 신
 동질려(潼蒺藜) 온(溫) 감(甘) 간, 신
 해구신(海狗腎) 물개 음경 대열(大熱) 함(鹹) 신

(3) 보혈약(補血藥)

 숙지황(熟地黃) 미온(微溫) 감(甘) 심, 간, 신   
 하수오(何首烏) 온(溫) 고(苦),감(甘),섭(涉) 간, 신
 당귀(當歸) 온(溫) 감(甘),신(辛) 심, 간, 비
 백작약(白芍藥) 미한(微寒) 산(酸),고(苦) 간
 아교(阿膠) 평(平) 감(甘) 폐, 간, 신
 구기자(枸杞子) 평(平) 감(甘) 간, 신
 용안육(龍眼肉) 온(溫) 감(甘) 심, 비
 상심(桑椹) 뽕나무 열매 온(溫) 감(甘),微酸 심, 간, 신

(4) 보음약(補陰藥) 

 사삼(沙蔘) 더덕의 뿌리 미한(微寒) 감(甘), 고(苦) 폐, 신
 서양삼(西洋蔘) 광동인삼 미량(微凉) 고(苦), 감(甘) 폐, 위
 천문동(天門冬) 대한(大寒) 감(甘), 고(苦) 폐, 신
 맥문동(麥門冬) 미한(微寒) 감(甘), 微苦 심, 폐, 위
 석곡(石斛) 미한(微寒) 감(甘) 폐, 비, 위, 신
 옥죽(玉竹) 둥굴레 뿌리 미한(微寒) 감(甘) 폐, 위
 상기생(桑寄生) 겨우살이 평(平) 고(苦) 간, 신
 귀판(龜板) 남생이 등껍질 평(平), 微凉 감(甘), 微鹹 신, 심, 간
 별갑(鱉甲) 자라 등껍질 한(寒) 함(鹹) 간, 비, 신

11. 고삽약(固澁藥)

 산수유(山茱萸) 미온(微溫) 산(酸), 삽(澁) 간, 신 
 오미자(五味子) 온(溫) 산(酸) 폐, 신
 오매(烏梅) 매실의 성숙과실 온(溫) 산(酸), 삽(澁) 간, 비, 폐, 대장
 육두구(肉荳蔲) 온(溫) 신(辛) 비, 위, 대장
 연자(蓮子) 연꽃의 종자 평(平) 감(甘) 간, 신
 검실(芡實) 가시연꽃의 인(仁) 평(平) 감(甘), 삽(澁) 비, 신
 복분자(覆盆子) 산딸기의 어린열매 미온(微溫) 감(甘), 산(酸) 간, 신
 부소맥(浮小麥) 밀의 미성숙 입(粒) 량(凉) 감(甘), 산(酸) 심

12. 안신약(安神藥) 

(1) 중진안신약(重鎭安神藥) 

 용골(龍骨) 공룡의 화석화된 뼈 평(平) 감(甘), 삽(澁) 심, 간, 신
 모려(牡蠣) 진주조개의 껍질 미한(微寒) 함(鹹), 삽(澁) 간, 담, 신
 주사(朱砂) 수은광물, 경면주사 미한(微寒) 감(甘) 심

(2) 양심안신약(養心安神藥) 

 산조인(酸棗仁) 산대추나무의 씨 평(平) 감(甘), 산(酸) 심, 비, 간, 담
 백자인(栢子仁) 측백나무의 씨 평(平) 감(甘), 신(辛) 심, 간, 신
 원지(遠志) 온(溫) 고(苦), 신(辛) 심, 폐, 신

13. 방향개규약(芳香開竅藥) 

 사향(麝香) 사향노루의 향주머니 온(溫),향(香)이 강함 신(辛) 심, 비
 안식향(安息香) 평(平) 신(辛),고(苦) 심, 비, 폐, 위
 창포(菖蒲) 창포의 근경(=석창포) 온(溫) 신(辛) 심, 간
 우황(牛黃) 소의 담석 량(凉), 소독(小毒) 고(苦) 심, 간
 
14. 식풍진경약( 熄風鎭痙藥)

 영양각( 羚羊角) 영양의 뿔 한(寒) 함(鹹) 간
 조등구( 釣藤鉤) = 조구등 미한(微寒) 감(甘) 간, 심포
 천마(天麻) 미온(微溫) 감(甘) 간
 백질려(白疾藜) 남가새의 과실 미온(微溫) 신(辛), 고(苦) 간
 석결명(石決明) 전복조개의 껍질 미한(微寒) 함(鹹) 간
 백강잠(白殭蠶) 自然死한 누에 평(平) 함(鹹) 폐, 간

15. 화담지해약(化痰止咳藥)  

(1) 청화열담약(淸火熱痰藥)

 전호(前胡) 미한(微寒) 고(苦), 신(辛) 폐
 패모(貝母) =천패모(川貝母) 미한(微寒) 고(苦), 감(甘) 심, 폐
 괄루인(括蔞仁) 하늘타리의 성숙종자 한(寒) 고(苦) 폐, 위, 대장
 천화분(天花粉) 하늘타리의 괴경(塊莖) 한(寒) 감(甘), 산(酸) 폐, 위
 죽여(竹茹) 솜대의 내부 껍질 미한(微寒) 감(甘) 폐, 위

(2) 온화한담약(溫化寒痰藥)
 
 반하(半夏) 온(溫), 有毒 신(辛) 비, 위
 천남성(天南星) 온(溫) 미신(微辛) 폐, 간, 비
 백개자(白芥子) 온(溫) 신(辛) 폐 
 길경(桔梗) 도라지의 뿌리 평(平) 고(苦), 신(辛) 폐

 

'동의보감 > 탕액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탕액편(湯液篇)  (0) 2016.05.29
탕액편 서문(湯液序例)  (0) 2016.05.28
약으로 쓰는 물(水部)  (0) 2016.05.28
약으로 쓰는 흙(土部)  (0) 2016.05.28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0) 2016.05.28
:
Posted by docstory
2016. 5. 29. 09:13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보감2016. 5. 29. 09:13

동의보감(東醫寶鑑)
집례(集例) » · 역대의서(歷代醫書) » · 인용도서목록 »

내경편(內景篇)
신형(身形) » · 정(精) » · 기(氣) » · 신(神) » · 혈(血) »
꿈(夢) » · 목소리(聲音) » · 언어(言語) »
진액(津液) » · 담음(痰飮) »

5장 6부(五臟六腑) »
간장(肝臟) » · 심장(心臟) »
비장(脾臟) » · 폐장(肺臟) » · 신장(腎臟) »
담부(膽腑) » · 위부(胃腑) » · 소장부(小腸腑) » · 대장부(大腸腑) »
방광부(膀胱腑) » · 3초부(三焦腑) » · 포(胞) »

충(蟲) » · 오줌(小便) » · 대변(大便) »

외형편(外形篇)
머리(頭) » · 얼굴(面) » · 눈(眼) » · 귀(耳) » · 코(鼻) »
입과 혀(口舌) » · 이빨(牙齒) »

목구멍(咽喉) » · 목(頸項) » · 잔등(背) »
가슴(胸) » · 젖(乳) » · 배(腹) » · 배꼽(臍) »
허리(腰) » · 옆구리(脇) »

피부(皮) » · 살(肉) » · 맥(脈) » · 힘줄(筋) » · 뼈(骨) »
손(手) » · 발(足) » · 머리털(毛髮) »
생식기(前陰) » · 항문(後陰) »

잡병편(雜病篇)
천지운기(天地運氣) »
병의 원인을 찾는 방법(審病) » · 병증을 가리는 방법(辨證) »
맥을 보는 방법(診脈) »
약을 쓰는 방법(用藥) »
구토시키는 방법(吐) » · 땀을 내는 방법(汗) » · 설사시키는 방법(下) »

풍(風) » · 한(傷寒) » · 서(暑) » · 습(濕) » · 조(燥) » · 화(火) »
내상(內傷) » · 허로(虛勞) »
곽란( 亂) » · 구토(嘔吐) » · 기침(咳嗽) »

적취(積聚) » · 부종(浮腫) » · 창만(脹滿) »
소갈(消渴) » · 황달(黃疸) » · 학질( 疾) » · 온역(瘟疫) »
사수(邪수) » · 옹저(癰疽) »

여러 가지 창종(諸瘡) » · 여러 가지 외상(諸傷) »
해독(解毒) » · 구급(救急) »
괴상한 병(怪疾) » · 잡방(雜方) »
부인병(婦人) » · 어린이병(小兒) »

탕액편(湯液篇)
탕액편 서문(湯液序例) »
약으로 쓰는 물(水部) » · 약으로 쓰는 흙(土部) »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 · 인부(人部) »
약으로 쓰는 새(禽部) » · 약으로 쓰는 짐승(獸部) »
약으로 쓰는 물고기(魚部) » · 약으로 쓰는 벌레(蟲部) »
약으로 쓰는 과실(果部) » · 약으로 쓰는 채소(菜部) »
약으로 쓰는 풀(草部) » · 약으로 쓰는 나무(木部) »
약으로 쓰는 구슬(玉部) » · 약으로 쓰는 돌(石部) »
약으로 쓰는 쇠돌(金部) »

침구편(鍼灸篇)
침과 뜸(鍼灸) »


집례(集例)

어의충근정량호(御醫忠勤貞亮扈) 성공신종록대부(聖功臣崇祿大夫) 양평군(陽平君) 신 허준(臣許浚) 하교(下敎) 받들어 지음

신이 생각건대 인체 구성은 안으로 5장 6부(五臟六腑), 밖으로 근골(筋骨), 기육(肌肉), 혈맥(血脈), 피부(皮膚)가 있어 그 형태를 이루고, 정(精), 기(氣), 신(神) 또한 장부(臟腑)와 백체(百體)의 주(主)가 되는 것이므로 도가(道家)의 ‘삼요(三要)’와 석씨(釋氏, 佛家)의 ‘사대(四大)’가 이것을 말함이다. 도학(道學)의 서(書) 『황정경(黃庭經)』에도 내경에 관한 글(文) 이 있고, 의서에도 『내외경상지도內外境象之圖)』가 있으니 도가는 청정(淸靜)과 수양(修養)으로써 삶의 근본을 삼고, 의가는 약이나 침뜸으로써 치료의 법칙을 삼았으니, 도가는 자상하게 심신 전체를 다룬 셈이요, 의가는 거칠게 구체적인 부분만을 다루는 셈이다. 이제 이 책에서도 먼저 내경의 정, 기, 신과, 장부를 「내경편」으로 하고, 다음에 외경의 두(頭), 면(面), 수(手), 족(足), 근(筋), 맥(脈), 골(骨), 육(肉)을 「외형편」으로 하였다. 또 오운(五運), 육기(六氣), 사상(四象), 삼법(三法), 내상(內傷), 외감(外感) 등 모든 병례(病例)를 따서 「잡병편」으로 하고 끝으로 탕액, 침뜸을 마지막편으로 함으로써 두루 병인(病人)에 쓰게 하였다. 이 책을 보면 허실(虛實), 경중(輕重), 길흉(吉凶), 사생(死生)의 징조가 물에 물체를 비쳐 보이듯이 환하다. 헛 치료로 요절하는 환회(患悔) 없기를 바란다.

옛사람들 처방(藥方)은 들어가는 약재의 중량(重量)이 너무 많아서 아주 곤란하다. 비용(備用) 국방(局方) 일제(一劑)의 수(數)가 더욱 많으니 가난(貧寒)한 집에서 어찌 이런 것을 갖출 수 있으리오. 『득효방得效方)』과 『의학정전(醫學正傳)』에는 모두 5전(五錢)으로 하였는데, 그것은 매우 경솔하고 터무니없는 일이다. 대개 한 처방에 그저 4, 5종이면 5전도 가능하지만, 2, 30종이나 되는 약제라면 1재(一材)가 겨우 1,2분중(分重) 밖에 못 들어가므로 함량(性味)이 적어서 어찌 소기(所期)의 효과를 바랄 수 있으리오. 이 근자에 나온 『고금의감(古今醫鑑)』과 『만병회춘(萬病回春)』에는 약 1첩의 분량을 7,8전 혹은 1냥까지로 하였는데, 이것은 약미(藥味)가 완전하고 다과(多寡)가 알맞아서 요즘 사람(今世人)의 기품(氣稟)에 합치되므로 이 책은 모두 이 표준에 따라 1첩으로 만들어 제용(劑用)에 편리하게 쓰도록 하였다.

옛사람이 “의술을 배우려면 먼저 본초학(本草學)을 읽어서 약성(藥性)을 알라”고 하였으나 본초(本草)는 활번(活繁)하고, 제가(諸家)의 의론이 일치하지 않고, 지금 사람이 알지 못할 약재가 그 반이나 된다. 바로 행용(行用)하는 것을 뽑는 데는 신농본경(神農本經, 본초) 및 일화자주(日華子註, 송조(宋朝)간행의 일화자본초(日華子本草))와 동원(東垣, 원조(元朝) 이고(李고)) 단계(丹溪, 원조(元朝) 주진형(朱震亨))의 요어(要語)와 또 당약(唐藥)과 향약(鄕藥)에 적혀 있는 것을 고용(考用)하는데, 향약(鄕藥)은 향명(鄕名)과 더불어 산지(産地) 및 채취하는 시월(時月), 음양 건정(乾正)하는 법이 씌어져 있으므로 이용하기가 쉽고, 멀리서 구해 온다든지 얻기 어렵다든지 하는 폐단이 없다.
왕절제(王節齊)가 “동원 이고는 북방의자(北方醫者)인데 나겸보(羅謙甫)가 그 법을 전함으로써 강절(江浙)지방에 알려졌고, 단계 주진형(朱震亨)은 남의(南醫)인데 유종후(劉宗厚)가 그를 배움으로써 섬서(陝西)지방에서 이름났다”고 한 바, 의(醫)에는 남북으로 부르는 이름이 있다.

우리나라는 구석진 동방에 있고, 의약의 연구가 줄기차게 계속되고 있는 바, 우리나라의 의는 ‘동의(東醫)’라고 일러야 옳을 것이며, 또 감(鑑)이라 함은 ‘만물을 환히 비쳐서 그 형태를 놓치지 않는다’는 뜻이니, 원조(元朝) 나겸보(羅謙甫) 저서에 『위생보감(衛生寶鑑)』이 있고, 명조(明朝) 공신( 信) 저서에 『고금의감(古今醫鑑)』이 있는데, 다 감(鑑)으로써 이름한 뜻이 여기에 있다. 이제 이 책을 펼쳐 보면 길흉(吉凶) 경중(輕重)의 환함이 거울과 같으므로 드디어 『동의보감』이라고 이름을 부쳤는데, 이것은 옛사람들의 뜻을 본받은 것이라고도 하겠다.


역대의서(歷代醫書)

천원옥책(天元玉冊) 복희씨(伏羲氏)의 저작
본초(本草) 신농씨(神農氏)의 저작
영추경(靈樞經) 헌원황제(軒轅黃帝)가 신하 기백 등과의 문답형식으로 쓴 책
소문(素問) 헌원황제(軒轅黃帝)가 신하 기백 등과의 문답형식으로 쓴 책
채약대(採藥對) 황제(黃帝)의 신하 동군(桐君)의 저서
채약별록(採藥別錄) 황제(黃帝)의 신하 동군(桐君)의 저서
지교론(至敎論) 황제(黃帝)의 신하 뇌효(雷斅)의 저서
약성포구(藥性포灸) 황제(黃帝)의 신하 뇌효(雷斅)의 저서
탕액본초(湯液本草) 은조 (殷朝) 이윤(伊尹)의 저작
난경(難經) 중국 전국시대 편작(扁鵲) 진월인(秦越人)의 저작
상한론(傷寒論) 후한(後漢) 장사태수(長沙太守) 장기(張機)의 저작
금궤옥함경(金궤玉函經)후한(後漢) 장사태수(長沙太守) 장기(張機)의 저작
내조도(內照圖) 후한(後漢) 화타(華타, 字 元化)의 저작
갑을경(甲乙經) 서진(西晋)의 현연(玄晏) 황보밀(皇甫謐, 字 士安)의 저작
침경(針經) 서진(西晋)의 현연(玄晏) 황보밀(皇甫謐, 字 士安)의 저작
범왕방(范汪方) 동진(東晋) 범왕(范汪)의 저서
맥경(脈經) 서진(西晋) 왕숙화(王叔和)의 저작
맥결(脈訣) 서진(西晋) 왕숙화(王叔和)의 저작
금궤약방(金궤藥方) 진(晋)의 포박자(抱朴子) 갈홍(葛洪)의 저작
주후방(주後方) 진(晋)의 포박자(抱朴子) 갈홍(葛洪)의 저작
약대(藥對) 후주(後周)의 서지재(徐之才) 저서
집험방(集驗方) 후주의 요승원(姚僧垣) 저서
외대비요(外臺秘要) 수(隋)의 왕도(王燾) 저서
병원(病源) 수의 소원방(巢元方) 저서
천금방(千金方) 당(唐)의 지선(地仙) 손사막(孫思邈) 저서
식료본초(食療本草) 당의 맹선(孟詵) 저서
본초습유(本草拾遺) 당의 진장기(陳藏器) 저서
소문주(素問註) 당의 왕빙(王氷) 저서
현주밀어(玄珠密語) 당의 왕빙(王氷) 저서
명당도(明堂圖) 당의 견권(甄權) 저서
본초음의(本草音義) 당의 견입언(甄立言) 저서
고금록험방(古今錄驗方) 당의 견입언(甄立言) 저서
본사방(本事方) 송(宋)의 허숙미(許叔微) 저서
비용본초경사증류(備用本草經史證類) 송의 당신미(唐愼微) 저서
본초보유(本草補遺) 송의 방안상(龐安常) 저서
활인서(活人書) 송의 무구자(無求子) 주굉(朱肱) 저서
신응침경(神應鍼經) 송의 허희(許希) 저서
활유신서(活幼新書) 송의 진문중(陳文中) 저서
맥결(脈訣) 송의 통신자(通眞子) 유원빈(劉元賓) 저서
의설(醫說) 송의 장확(張擴) 저서
상한지미론(傷寒指迷論) 송의 전을(錢乙) 저서
소아방(小兒方) 송의 전을(錢乙) 저서
직지방(直指方) 송의 양사영(楊士瀛, 字 登父) 저서
일화자본초(日華子本草) 송조(宋朝)의 간행물
삼인방(三因方) 송의 진무택(陳無擇) 저서
성혜방(聖惠方) 송태종(宋太宗)의 명령으로 제태의(諸太醫)가 찬집(撰集)한 것
성제총록(聖濟總錄) 송태종(宋太宗)의 명령으로 제태의(諸太醫)가 찬집(撰集)한 것 선명론(宣明論) 금(金)의 통원(通元) 유종소(劉宗素, 字 守眞) 저서
원병식(原病式) 금(金)의 통원(通元) 유종소(劉宗素, 字 守眞) 저서
소문현기(素問玄機) 금(金)의 통원(通元) 유종소(劉宗素, 字 守眞) 저서
명리론(明理論) 금의 성무기(成無己) 저서
유문사친서(儒門事親書) 금의 장종정(張從政, 字 子和) 저서
동원십서(東垣十書) 원(元)의 동원(東垣) 이고(李고) 저서
의루원융(醫壘元戎) 원의 해장(海藏) 왕호고(王好古) 저서
의가대법(醫家大法) 원의 해장(海藏) 왕호고(王好古) 저서
탕액본초(湯液本草) 원의 해장(海藏) 왕호고(王好古) 저서
단계심법(丹溪心法) 원의 단계(丹溪) 주진형(朱震亨, 字 彦脩)의 저서
옥기미의(玉機微義) 원의 유순(劉純 字 宗厚)의 저서
위생보감(衛生寶鑑) 원의 나겸보(羅謙甫, 字 益之)의 저서
득효방(得效方) 원의 달재(達齋) 위역림(危亦林) 저서
백병구현(百病鉤玄) 명의 왕리(王履, 字 安道) 저서
속의설(續醫說) 명의 예유덕(倪維德, 字 仲賢)의 저서
상한쇄언(傷寒言) 명의 절암(節庵) 도화(陶華)의 저서
경험양방(經驗良方) 명의 추복(鄒福) 저서
부인량방(婦人良方) 명의 도헌(道軒) 웅종립(熊宗立) 저서
의학정전(醫學正傳) 명의 우박(虞搏, 字 天民) 저작
의학권여(醫學權輿) 명의 우박(虞搏, 字 天民) 저작
의학집성(醫學集成) 명의 우박(虞搏, 字 天民) 저작
단계심법부여(丹溪心法附餘) 명의 고암(古庵) 방광(方廣, 字 約之) 저서
양생주론(養生主論) 원의 왕규(王珪, 字 均章) 저서
영류검방(永類鈐方) 원의 이중남(李仲南, 字 棲季) 저서
증치요결(證治要訣) 원의 복암(復庵) 대원례(戴元禮) 저서
의통(醫通) 명(明)의 비하도인(飛霞道人) 한유(韓유) 저서
의림집요(醫林集要) 명의 왕새(王璽) 소찬
의학강목(醫學綱目) 명조의 간행물
의학입문(醫學入門) 명의 이연(李挻) 소찬(所撰)
명의잡저(明醫雜著) 명의 왕륜(王綸, 字 汝言) 저서
단계부여(丹溪附餘) 명의 왕륜(王綸, 字 汝言) 저서
본초집요(本草集要) 명의 왕륜(王綸, 字 汝言) 저서
고금의감(古今醫鑑) 명의 공신(공信) 저작
만병회춘(萬病回春) 명의 공신(공信) 저작
외과발휘(外科發揮) 명의 벽이(벽已) 저작
의방집략(醫方集略) 명조의 간행물
의방유취(醫方類聚) 이조 세종조에 문관 및 의관에 명하여 찬집,간행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이조 세종조에 문관 유효통(兪孝通) 등과 의관 박윤덕(朴允德) 등에 명하여 찬집
의림촬요(醫林撮要) 이조 선조조에 내의 정경선(鄭敬先)의 소찬 양례수(楊禮壽) 교정으로 간행


인용도서목록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
영추(靈樞)
운기(運氣)
유편(遺篇)
명당구경(明堂灸經)
침경(針經)
침구경(針灸經)
난경(難經)
난경본의(難經本義)
상한론(傷寒論)
상한론주해(傷寒論注解)
5장론(五臟論)
금궤방(金궤方)
왕숙화맥결(王叔和脈訣)
왕씨맥경(王氏脈經)
용수보살안론(龍樹菩薩眼論)
소씨병원(巢氏病源)
천금방(千金方)
천금익방(千金翼方)
천금월령(千金月令)
해상선방(海上仙方)
복수론(福壽論)
5장육부도(五臟六腑圖)
식의심감(食醫心鑑)
산보(産寶)
소아약증(小兒藥證)
성혜방(聖惠方)
사시찬요(四時纂要)
동인경(銅人經)
화제국방(和劑局方)
간요제중방(簡要濟衆方)
왕악산서(王岳産書)
수진비결(脩眞秘訣)
소아약증직결(小兒藥證直訣)
보단요결(寶丹要訣)
대전본초(大全本草)
삼인방(三因方)
위생십전방(衛生十全方)
신교만전방(神巧萬全方)
통진자상한괄요(通眞子傷寒括要)
남양활인서(南陽活人書)
무구자활인서(無求子活人書)
상한활인서(傷寒活人書)
상한백문가(傷寒百問歌)
상한백증가(傷寒百證歌)
조도방(助道方)
시재의방(是齋醫方)
쇄쇄록(쇄碎錄)
자생경(資生經)
이간방(易簡方)
옥함경(玉函經)
여거사간이방(黎居士簡易方)
여거사결맥정요(黎居士決脈精要)
단병제강(斷病提綱)
왕씨이간방(王氏易簡方)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직지소아방(直指小兒方)
직지맥결(直指脈訣)
상한유서(傷寒類書)
외과정요(外科精要)
태산구급방(胎産救急方)
주씨집험방(朱氏集驗方)
이희범맥결(李 范脈訣)
엄씨제생방(嚴氏濟生方)
엄씨제생속방(嚴氏濟生續方)
관견대전양방(管見大全良方)
부인대전양방(婦人大全良方)
수월로반경(脩月魯般經)
상한명리론(傷寒明理論)
유문사친(儒門事親)
치병백법(治病百法)
삼법육문(三法六門)
십형삼료(十形三療)
치법잡론(治法雜論)
잡기구문(雜記九門)
상한직격(傷寒直格)
소문현기원병식(素問玄機原病式)
보동비요(保童秘要)
선명론(宣明論)
동원시효방(東垣試效方)
동원내외상변(東垣內外傷辨)
난실비장(蘭室秘藏)
탕액본초(湯液本草)
비위론(脾胃論)
어약원방(御藥院方)
득효방(得效方)
담헌방(澹軒方)
상한지장도(傷寒指掌圖)
갈씨주후방(葛氏주後方)
담료방(澹療方)
자오류주(子午流注)
침경지남(鍼經指南)
옥룡가(玉龍가)
위생보감(衛生寶鑑)
연수서(延壽書)
성제총록(聖濟總錄)
거가필용(居家必用)
필용전서(必用全書)
필용지서(必用之書)
발수방(拔粹方)
서죽당방(瑞竹堂方)
소아두진방(小兒痘疹方)
왕씨집험방(王氏集驗方)
의방대성(醫方大成)
의방집성(醫方集成)
남북경험방(南北經驗方)
수진방(袖珍方)
성옹활유구의(省翁活幼口議)
영류검방(永類鈐方)
창과통현론(瘡科通玄論)
경험비방(經驗秘方)
안과용목총론(眼科龍木總論)
의경소회집(醫經溯 集)
천옥집(川玉集)
격치여론(格致余論)
국방발휘(局方發揮)
경험양방(經驗良方)
의림방(醫林方)
연하성효방(烟霞聖效方)
수친양로서(壽親養老書)
14경발휘(十四經發揮)
찬도맥결(纂圖脈訣)
오씨집험방(吳氏集驗方)
신효명방(神效名方)
사림광기(事林廣記)
산거사요(山居四要)
신효방(新效方)
침구광애서괄(鍼灸廣愛書括)
외과집험방(外科集驗方)
이상속단방(理傷續斷方)
소아창진방(小兒瘡疹方)
추로방(追勞方)
급구선방(急救仙方)
비전외과방(秘傳外科方)
서씨태산방(徐氏胎産方)
선전제음방(仙傳濟陰方)
외과정의(外科精義)
창과정의(瘡科精義)
옥기미의(玉機微義)
권선서(勸善書)
구선활인심(구仙活人心)
운화현추(運化玄樞)
수역신방(壽域神方)
신은(神隱)
금단대성(金丹大成)
위생이간방(衛生易簡方)
금궤구현(金궤鉤玄)
어의촬요(御醫撮要)
비예백요방(備預百要方)
간기방(簡奇方)
의경소학(醫經小學)
소학의경(小學醫經)

:
Posted by docstory
2016. 5. 29. 09:13

내경편(內景篇) 동의보감/내경편2016. 5. 29. 09:13

«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신형(身形) » · 정(精) » · 기(氣) » · 신(神) » · 혈(血) »
꿈(夢) » · 목소리(聲音) » · 언어(言語) »
진액(津液) » · 담음(痰飮) »

5장 6부(五臟六腑) »
간장(肝臟) » · 심장(心臟) »
비장(脾臟) » · 폐장(肺臟) » · 신장(腎臟) »
담부(膽腑) » · 위부(胃腑) » · 소장부(小腸腑) » · 대장부(大腸腑) »
방광부(膀胱腑) » · 3초부(三焦腑) » · 포(胞) »

충(蟲) » · 오줌(小便) » · 대변(大便) »

'동의보감 > 내경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형(身形)  (0) 2016.05.29
정(精)  (0) 2016.05.29
기(氣)  (0) 2016.05.29
신(神)  (0) 2016.05.29
혈(血)  (0) 2016.05.29
:
Posted by docstory
2016. 5. 29. 09:12

외형편(外形篇) 동의보감/외형편2016. 5. 29. 09:12

« 동의보감(東醫寶鑑)

외형편(外形篇)
머리(頭) » · 얼굴(面) » · 눈(眼) » · 귀(耳) » · 코(鼻) »
입과 혀(口舌) » · 이빨(牙齒) »

목구멍(咽喉) » · 목(頸項) » · 잔등(背) »
가슴(胸) » · 젖(乳) » · 배(腹) » · 배꼽(臍) »
허리(腰) » · 옆구리(脇) »

피부(皮) » · 살(肉) » · 맥(脈) » · 힘줄(筋) » · 뼈(骨) »
손(手) » · 발(足) » · 머리털(毛髮) »
생식기(前陰) » · 항문(後陰) »

'동의보감 > 외형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리(頭)  (0) 2016.05.29
얼굴(面)  (0) 2016.05.29
눈(眼)  (1) 2016.05.29
내장(內障)  (0) 2016.05.29
외장(外障)  (0) 2016.05.29
:
Posted by docstory
2016. 5. 29. 09:12

잡병편(雜病篇) 동의보감/잡병편2016. 5. 29. 09:12

« 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편(雜病篇)
천지운기(天地運氣) »
병의 원인을 찾는 방법(審病) » · 병증을 가리는 방법(辨證) »
맥을 보는 방법(診脈) »
약을 쓰는 방법(用藥) »
구토시키는 방법(吐) » · 땀을 내는 방법(汗) » · 설사시키는 방법(下) »

풍(風) » · 한(傷寒) » · 서(暑) » · 습(濕) » · 조(燥) » · 화(火) »
내상(內傷) » · 허로(虛勞) »
곽란( 亂) » · 구토(嘔吐) » · 기침(咳嗽) »

적취(積聚) » · 부종(浮腫) » · 창만(脹滿) »
소갈(消渴) » · 황달(黃疸) » · 학질( 疾) » · 온역(瘟疫) »
사수(邪수) » · 옹저(癰疽) »

여러 가지 창종(諸瘡) » · 여러 가지 외상(諸傷) »
해독(解毒) » · 구급(救急) »
괴상한 병(怪疾) » · 잡방(雜方) »
부인병(婦人) » · 어린이병(小兒) »

'동의보감 > 잡병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지운기(天地運氣)  (0) 2016.05.28
병의 원인을 찾는 방법(審病)  (0) 2016.05.28
병증을 가리는 방법(辨證)  (0) 2016.05.28
맥을 보는 방법(診脈)  (0) 2016.05.28
약을 쓰는 방법(用藥)  (0) 2016.05.28
:
Posted by docstory
2016. 5. 29. 09:06

탕액편(湯液篇) 동의보감/탕액편2016. 5. 29. 09:06

« 동의보감(東醫寶鑑)

탕액편(湯液篇)
탕액편 서문(湯液序例) »
약으로 쓰는 물(水部) » · 약으로 쓰는 흙(土部) »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 · 인부(人部) »
약으로 쓰는 새(禽部) » · 약으로 쓰는 짐승(獸部) »
약으로 쓰는 물고기(魚部) » · 약으로 쓰는 벌레(蟲部) »
약으로 쓰는 과실(果部) » · 약으로 쓰는 채소(菜部) »
약으로 쓰는 풀(草部) » · 약으로 쓰는 나무(木部) »
약으로 쓰는 구슬(玉部) » · 약으로 쓰는 돌(石部) »
약으로 쓰는 쇠돌(金部) »

'동의보감 > 탕액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초(本草) 성미[性味] 귀경[歸經]  (1) 2021.05.28
탕액편 서문(湯液序例)  (0) 2016.05.28
약으로 쓰는 물(水部)  (0) 2016.05.28
약으로 쓰는 흙(土部)  (0) 2016.05.28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0) 2016.05.28
:
Posted by docstory
2016. 5. 29. 09:04

침구편(鍼灸篇) 동의보감/침구편2016. 5. 29. 09:04

« 동의보감(東醫寶鑑)

침구편(鍼灸篇)
침과 뜸(鍼灸) »

경맥과 침혈( 經穴脈) »»

'동의보감 > 침구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과 뜸[鍼灸]  (0) 2016.05.28
경맥과 침혈(經脈穴)  (0) 2016.05.28
:
Posted by docstory
2016. 5. 29. 09:01

신형(身形) 동의보감/내경편2016. 5. 29. 09:01

신형

« 동의보감(東醫寶鑑)

신형(身形)

형기 시초[形氣之始]

『건착도(乾鑿度)』에 “하늘에서는 형체가 건(乾)에서 나오는데 태역(太易), 태초(太初), 태시(太始), 태소(太素)가 있다. 태역은 아직 기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고 태초는 기가 나타난 시초이며 태시는 형체 나타난 시초이고 태소는 물질의 시초이다. 형체와 기가 이미 갖추어진 뒤에는 아(아)가 되는데 아란 것은 피로한 것이고 피로한 것(채)은 병인데 병이 여기에서 생긴다. 사람은 태역으로부터 생기고 병은 태소로부터 생긴다”고 씌어 있다.
○ 『참동계(參同契)』 주해에 "형과 기가 다 갖추어지지 못한 것을 홍몽(鴻몽)이라고 하였고 형과 기가 갖추어졌으나 갈라지지 않은 것은 혼륜(混淪)이라"고 하였다. 『주역』에 “역에는 태극(太極)이 있어 이것이 양의(兩儀)를 생기게 한다”고 씌어 있다. 역은 홍몽과 같으며 태극은 혼륜과 같다. 건곤(乾坤)은 태극이 변화된 것인데 합하면 태극이 되고 갈라지면 건곤이 된다. 때문에 건과 곤이 합한 것을 혼륜이라 하며 건과 곤을 갈라서 말할 때에는 천지(天地)라고 한다. 열자(列子)가 "태초는 기의 시초이고 태시는 형체의 시초"라고 하였으니 이것도 역시 비슷한 말이다.
[註] 형과 기의 시초[形氣之始] : 기원전 5-4세기에 열자가 처음 우주만물의 형체가 형성되는 초기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말한 것.

임신 시초[胎孕之始]

『성혜방(聖惠方)』에 “천지의 정기는 만물의 형체가 된다. 아버지의 정기는 혼(魂)이 되고 어머니의 정기는 백(魄)이 된다. 임신 1달이 되면 그 태(胎)가 졸인 소젖(酪) 같고 2달이 되면 오얏열매(果李)만하다.
3달이 되면 사람의 형태를 이루고 4달이 되면 남녀가 구별된다. 5달이 되면 뼈와 힘줄이 생기고 6달이 되면 머리털이 생긴다. 7달이 되면 혼이 작용하고 오른손을 움직인다. 8달이 되면 백이 작용하고 왼손을 움직이며 9달이 되면 몸이 세번 돌아간다. 10달이 되면 모든 것이 갖추어짐과 함께 어머니에게서 떨어져 해산하게 된다. 그중 10달이 좀 지나서 낳은 아이는 잘살면서 오래 살고 달이 차기 전에 낳으면 가난하게 살면서 일찍 죽는다”고 씌어 있다.
○ 상양자(上陽子)는 “사람은 처음 기를 받을 때에 9일이 되면 음양이 정해지며 49일이 되면 먼저 태가 생긴다. 그 후 7일 만에 한번씩 변하기 때문에 만 306일이나 296일이 되어 낳은 아이는 상등인품이 되고 286일이나 266일이 되어 낳은 아이는 중등인품이 되며 256일이나 246일이 되어 낳은 아이는 하등인품이 된다. 대체로 천간(天干)인 갑(甲)은 반드시 기(己)와 합쳐야 곧 낳게 되고 지지(地支)인 축(丑)은 반드시 자(子)와 합쳐야 곧 자란다. 또한 천지의 덕이 합치지 않고서는 사람이 생겨나지 못한다. 그러므로 9달이 되면 의식이 생겨나고 기가 그득 차서 태아가 다 자란다. 또한 태아가 10달 동안 태(胎) 속에 있다가 천지의 덕이 기(氣)와 합친 다음이라야 나오게 된다”고 하였다.
[註] 임신 시초[胎孕之始] : 임신한 후 10달 동안 태아의 발육상태를 해부생리적 변화과정으로 설명한 것이 아니라 회남자가 음양5행설에 따라 추상적으로 만들어 놓은 것.
[註] 옛날 숙명론자들은 천간과 지지의 배합에 의하여 임신해서부터 출생할 때까지의 소요되는 날짜가 306일 혹은 246일, 296일, 286일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는 것. 예를 들면 갑자일에 임신이 되었다면 반드시 갑자일과 배합되는 기축일, 즉 266일에 가서 아이를 낳고, 을축일에 임신이 되었다면 반드시 276일이 되는 경자일에 가서 아이를 낳는다고 하는 설.
[註] 『성혜방(聖惠方)』 : 992년에 편찬한 책인데 100권으로 된 『태평성혜방』.

4대로부터 형이 생김[四大成形]

불교에서 “지(地), 수(水), 화(火), 풍(風)이 화합하여 사람이 된다. 힘줄, 뼈, 힘살은 모두 지에 속하고 정, 혈, 진액은 모두 수에 속하며 숨쉬기와 체온은 모두 화에 속하고 정신의 활동은 모두 풍에 속한다. 그러므로 풍이 멎으면 기(氣)가 끊어지고 화(火)가 없어지면 몸이 싸늘하며 수(水)가 마르면 혈(血)이 없어지고 토(土)가 흩어지면 몸은 상한다”고 씌어 있다.
○ 상양자(上陽子)는 “털, 이, 뼈, 손발톱들은 지에 의존한다. 콧물, 정(精), 혈(血), 진액[液] 들은 수에 의존한다. 따뜻한 것, 마르는 것, 열한 것 들은 화에 의존한다. 정신의 활동은 풍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이 4가지가 서로 배합되어야 살아가게 된다. 지가 왕성하면 뼈가 쇠처럼 굳고 수가 왕성하면 정이 구슬처럼 되며 화가 왕성하면 기운이 구름과 같고 풍이 왕성하면 지혜가 많아진다”고 하였다.

사람의 원기의 왕성과 쇠약[人氣盛衰]

『영추경(靈樞經)』에 “황제가 묻기를 ‘원기가 왕성하고 쇠약해지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기백이 대답하기를 ‘사람이 나서 10살이 되면 5장이 비로소 안정되고 혈기도 통하기 시작하며 진기(眞氣)가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에 잘 달린다. 20살이 되면 혈기가 왕성해지기 시작하며 힘살이 더 자라기 때문에 걸음이 빠르다. 30살이 되면 5장이 완전해지고 힘살이 딴딴해지며 혈맥이 왕성하고 충실해지기 때문에 잘 걸을 수 있다. 40살이 되면 5장 6부와 12경맥이 모두 왕성해지다가 정지되면서 주리(주理)가 성기기[疎] 시작하고 화색이 없어지며 수염과 머리털이 희기 시작하고 기혈은 보통 정도로 왕성하면서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앉기를 좋아한다. 50살이 되면 간기(肝氣)가 쇠약하기 시작하고 간엽(肝葉)이 엷어지며 담즙도 줄기 시작하기 때문에 시력이 떨어진다. 60살이 되면 심기가 쇠약하기 시작하고 근심과 슬픔이 많으며 혈기가 쇠약하기 때문에 눕기를 좋아한다. 70살이 되면 비기(脾氣)가 허약하기 때문에 피부가 마른다. 80살이 되면 폐기(肺氣)가 쇠약해져서 넋이 나가기 때문에 헛소리를 잘한다. 90살이 되면 신기(腎氣)가 마르고 4장(四藏)의 경맥도 몹시 허해진다. 100살이 되면 5장이 모두 허해지고 정신이 없어지며 형체와 뼈만 남아서 죽는다’”고 씌어 있다.
○ 『소문(素問)』에 “나이 40이면 음기가 자연히 절반으로 되며 동작이 떠진다. 50살이 되면 몸이 무겁고 청각과 시력이 나빠지게 된다. 60살이 되면 성적 기능이 약해지고 기운이 몹시 약해지며 9규(九竅)가 자기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하초는 허해지며 상초는 실해져서 콧물과 눈물이 나온다”고 씌어 있다.

늙으면 자식을 낳지 못한다[年老無子]

『소문』에 “황제가 묻기를 ‘사람이 늙어서 자식을 낳지 못하는 것은 정력이 다 없어져서 그러한가. 그렇지 않으면 자식을 낳을 수가 없어서 그러한가.’ 기백이 대답하기를 ‘여자는 7살이 되면 신기(腎氣)가 왕성해져서 이를 갈고 머리털이 잘 자란다. 14살이 되면 천계(天癸)가 오고 임맥(任脈)이 통하며 태충맥(太衝脈)이 충실해져서 월경을 제때에 하기 때문에 아이를 낳게 된다. 21살이 되면 신기가 고르기[平均] 때문에 마지막 어금니가 나오며 키가 다 자란다. 28살이 되면 뼈와 힘줄이 단단해지고 털이 더 자라며 기골이 장대해진다. 35살이 되면 양명맥(陽明脈)이 약해져서 얼굴이 마르기 시작하고 머리털이 빠지기 시작한다. 42살이 되면 3양맥(三陽脈)이 위에서부터 쇠약해져서 얼굴에 윤기가 없어지고 머리털이 희기 시작한다. 49살이 되면 임맥이 허해지고 태충맥도 쇠약해져 천계가 약해지면서 월경이 없어지고 몸이 약해지므로 아이를 낳지 못하게 된다. 남자는 8살이 되면 신기가 충실해지고 머리털이 잘 자라며 이를 갈게 된다. 16살이 되면 신기가 왕성해지고 천계가 와서 정액이 나오게 되며 음양이 조화되기 때문에 아이를 낳을 수 있다. 24살이 되면 신기가 고르고 뼈와 힘줄이 든든해지기 때문에 마지막 어금니가 나오면서 키가 다 자란다. 32살이 되면 뼈와 힘줄이 더 굳세지고 힘살이 더 딴딴해진다. 40살이 되면 신기가 쇠약해져서 머리털이 빠지고 이빨이 약해진다. 48살이 되면 양기가 위에서부터 쇠약해져서 얼굴이 초췌해지고 수염과 머리털이 희기 시작한다. 56살이 되면 간기가 쇠약해져서 힘줄을 잘 놀릴 수 없고 천계가 약해지면서 정액이 줄어들고 신이 허약해지며 몸도 쇠약해진다. 64살이 되면 이빨과 머리털이 빠진다. 신(腎)은 수(水)를 주관하며 5장 6부의 정기를 받아서 간직한다. 그렇기 때문에 5장이 왕성해야 정액을 내보낼 수 있다. 그런데 이 나이에서부터는 5장이 모두 쇠약해지고 뼈와 힘줄이 늘어지며 천계가 끊어지기 때문에 머리털이 희어지며 몸이 무거워지고 똑바로 걷지 못하며 아이를 낳지 못한다’”고 씌어 있다.
[註] 신기(腎氣) : 부모의 정혈에서 형성된 선천적 기인데 몸의 성장발육작용을 한다.
[註] 천계(天癸) : 선천적으로 있게 되는 생식능력. 여자는 천계가 오면 월경을 하게 된다.
[註] 양명맥(陽明脈) : 얼굴에서 끝나고 시작되는 수양명과 족양명의 경맥.
[註] 3양맥(三陽脈) : 얼굴에서 시작되고 끝나는 수족소양, 수족양명, 수족태양의 3양경맥.

오래 살고 일찍 죽는 차이[壽夭之異]

『소문』에 “황제가 묻기를 ‘내가 듣기에는 상고시대의 사람은 모두 100살까지 살아도 동작이 떠지지 않았다[不衰]고 한다. 그런데 지금 시대의 사람들은 50살만 되면 동작이 모두 떠지는데 이것은 시대의 차이에 의한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사람들이 섭생을 잘못한 데 있는가.’ 기백이 대답하기를 ‘상고시대의 사람들은 양생하는 도리를 알았기 때문에 음양의 이치에 잘 순응했고 몸을 단련하는 방법에 능숙하며 음식도 절도 있게 먹고 일상생활도 규칙적으로 하였다. 또한 허투루 과로하지 않았기 때문에 몸과 정신이 다 건전해서 100살을 더 살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 시대의 사람들은 그렇지 못하다. 그것은 술을 물 마시듯 하고 취한 상태에서 성생활을 과도히 하여 정액을 줄어들게 함으로써 그 진기(眞氣)를 간직해 두지 못하고 또 아무 때나 성적 만족만을 추구하며 일상생활에서 절도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50살이 되면 쇠약해진다’”고 씌어 있다.
○ 우박(虞搏)은 “사람이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은 각각 천명(天命)에 달린 것이다. 천명이라는 것은 천지와 부모에게서 받은 타고난 원기를 말한다. 아버지는 천(天)이 되고 어머니는 지(地)가 된다. 아버지의 정과 어머니의 혈이 왕성하고 약해지는 것이 같지 않기 때문에 사람이 오래 살고 일찍 죽는 데도 역시 다른 것이다. 사람이 원기를 받고 태어날 때 부모가 다 튼튼하면 반드시 최고로 오래 살 수 있다. 그리고 원기를 받을 때 어느 한쪽 부모만 튼튼하면 반드시 보통 정도와 그 아래로 오래 살고 원기를 받을 때 부모가 다 쇠약하면 잘 보양해야 겨우 최하로 오래 살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흔히 일찍 죽게 된다. 비록 그렇다 하더라도 혹 풍(風), 한(寒), 서(暑), 습(濕)의 외사(外邪)에 감촉되거나 굶거나 과식하거나 과로로 내상(內傷)까지 받게 된다면 어찌 모두가 타고난 원기대로 살 수 있겠는가. 그렇기 때문에 상고시대의 성인들은 100가지 풀을 맛보고 병에 해당한 약을 만들어서 사람들이 각기 자기의 명대로 살 수 있도록 도우려고 하였던 것이다”고 하였다.
○ 『전(傳)』에는 “몸을 수양하여 명대로 살 것을 바랄 뿐이라고 하였으니 반드시 사람으로서 할 도리를 지키고 자연법칙에 적응하여 생활한다면 나쁜 것도 좋은 것으로 만들 수 있고 죽을 것도 살릴 수 있으므로 언제나 사람의 생명을 천명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다. 의사는 의술에 정통하여 능수가 됨으로써 능히 일찍 죽을 사람을 오래 살게 하며 오래 사는 사람은 더 오래 살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의술은 끝이 없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형과 기는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을 정한다[形氣定壽夭]

『영추경』에 “형체와 기가 서로 알맞으면 오래 살게 되고 서로 맞지 않으면 일찍 죽게 된다. 살갗과 힘살이 서로 부합되면 오래 살고 부합되지 않으면 일찍 죽는다. 혈기(血氣)와 경락(經絡)이 형체 보다 더 세면 오래 살고 형체보다 더 세지 못하면 일찍 죽게 된다. 형체가 충실하고 살결이 부드러운 사람은 오래 산다. 형체는 충실하여도 살갗이 팽팽한 사람은 일찍 죽는다. 형체가 충실하고 맥이 견대(堅大)한 사람은 좋다. 그러나 형체가 충실해도 맥이 소(小)하면서 약한 사람은 기가 쇠약한 것이고 기가 쇠약하면 위험하다. 형체는 충실해도 광대뼈가 나오지 않은 사람은 뼈가 작으며 뼈가 작으면 일찍 죽는다. 형체가 충실하고 큰 힘살들이 단단하면서도 구별이 있는 사람은 힘살이 단단한 것이며 힘살이 단단하면 오래 산다. 형체가 충실하여도 큰 힘살들이 구별이 없고 단단하지 못한 사람은 힘살이 연약한 것이고 힘살이 연약하면 일찍 죽는다”고 씌어 있다.
○ 『유찬(類纂)』에 “곡기(穀氣)가 원기(元氣)를 이기면 그 사람은 살찌고 오래 살지 못한다. 그러나 원기가 곡기를 이기면 그 사람은 여위고 오래 산다”고 씌어 있다.
[註] 『유찬(類纂)』 : 주수중이 저술한 『양생유찬』.
○ 우박(虞搏)은 “성질이 급하면 맥도 역시 급하고 성질이 느리면 맥도 역시 느리다. 대체로 맥이 완(緩)하고 지(遲)하면 흔히 오래 살고 맥이 급하고 삭(數)하면 흔히 오래 살지 못한다”고 하였다. 『내경(內經)』에 “속에 뿌리박은 것을 신기(神機) 라고 한다. 신(神)이 없어지면 기능도 멎는다. 대개 기혈은 몸의 신이다. 맥이 급하고 삭한 사람은 기혈이 허해지기 쉽고 신기도 멎기 쉽기 때문에 흔히 오래 살지 못한다. 맥이 지하고 완한 사람은 기혈이 고르고[和平] 신기도 잘 상하지 않기 때문에 흔히 오래 산다”고 씌어 있다. 『선철이론[先哲論]』에 “바다의 밀썰물은 천지의 호흡인데 하루 두번 오르내릴 뿐이지만 사람은 하루에 1만3천5백번 숨을 쉰다. 때문에 천지의 수명은 오래고 끝이 없지만 사람의 수명은 아무리 길어도 100살을 넘기지 못한다”고 씌어 있다.
[註] 『내경(內經)』 : 기원전 722-221년 사이 씌어진 책, 황제내경소문과 영추경.

사람 몸은 하나의 나라와 같다[人身猶一國]

포박자(抱朴子)는 “한 사람의 몸은 한 나라의 형태와 같다. 가슴과 배 부위는 궁실(宮室)과 같고 팔다리는 교외[郊境]와 같으며 뼈마디는 모든 관리들과 같다. 신(神)은 임금과 같고 혈(血)은 신하와 같으며 기(氣)는 백성과 같다. 자기 몸을 건사할 줄 알면 나라도 잘 다스릴 수 있다. 대체로 백성들을 사랑함으로써 그 나라가 편안할 수 있으며 자기 몸의 기를 아껴 쓰면 그 몸을 보존할 수 있다. 백성이 흩어지면 그 나라는 망하고 기가 말라 없어지면 몸은 죽어버린다. 죽은 사람은 다시 살아나지 못할 것이고 망한 나라는 온전한 나라로 회복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지인(至人)은 아직 생겨나지 않은 재난을 미리 알고 막아내며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하고 일이 생기기 전에 대책을 세우며 이미 잘못된 후 그것을 따라 추궁하지 않는다. 대체로 사람들을 키우기는 힘들지만 위태롭게 하기는 쉬우며 기는 맑아지기는 어려우나 흐려지기는 쉽다. 그러므로 권위와 은덕을 잘 배합해야 나라를 보존할 수 있으며 지나친 욕심을 버려야 혈기를 든든하게 할 수 있다. 그렇게 해야 진기가 보존되며 정, 기, 신 삼자가 통일되어 온갖 병을 미리 막을 수 있고 더 오래 살 수 있다”고 하였다.
○ 『소문(素問)』에 “심(心)은 군주지관(君主之官)이라고 하는데 신명(神明)이 여기서 생긴다. 폐(肺)는 상전지관(相傳之官)이라고 하는데 제도와 절차가 여기서 생긴다. 간(肝)은 장군지관(將軍之官)이라고 하는데 꾀와 묘책이 여기서 생긴다. 담(膽)은 중정지관(中正之官)이라고 하는데 결단성이 여기서 생긴다. 단중(단中)은 신사지관(臣使之官)이라고 하는데 기쁨과 즐거움이 여기서 생긴다. 비위(脾胃)는 창름지관(倉름之官)이라고 하는데 5가지 맛이 여기서 생긴다. 대장(大腸)은 전도지관(傳導之官)이라고 하는데 변화가 여기서 생긴다. 소장(小腸)은 수성지관(受盛之官)이라고 하는데 물질이 여기서 소화되어 나간다. 신(腎)은 작강지관(作强之官)이라고 하는데 기교(伎巧)가 여기서 생긴다. 3초(三焦)는 결독지관(決瀆之官)이라고 하는데 오줌이 여기서 나오며 방광(膀胱)은 주도지관(州都之官)이라고 하는데 진액을 저장하였다가 기화(氣化)작용으로 내보낸다. 이 12가지 기관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임금이 잘해야 아래 기관도 편안하게 된다. 이것을 알고 양생(養生)하면 오래 살면서 죽을 때까지 위험한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이렇게 나라를 다스리면 크게 번영하게 된다. 심이 제 작용을 잘하지 못하면 12가지 기관이 위태롭게 되고 돌아가는 길이 막혀서 잘 통하지 못하면 형체가 몹시 상하게 된다. 이렇게 양생하면 재해를 입는다. 나라도 이런 식으로 다스리면 그 기초가 아주 위태롭게 되므로 경계하고 또 경계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
[註] 몸의 12장부(심, 폐, 간, 비, 신, 담, 위, 대장, 소장, 방광, 삼초, 단중)의 작용과 기능을 보고 국가의 관직(벼슬)에 결부시켜 각기 이름을 붙인 것. 예를 들면 심은 나라의 임금과 같이 몸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이라고 해서 군주지관이라 했고 폐는 임금을 도와 정치를 하는 기관처럼 심을 도와주는 작용을 한다고 해서 상부지관이라 하였으며 비위잔나라의 창고와 같이 재산을 받아들이고 내보내듯이 음식물을 받아 소화시켜 장으로 보낸다고 해서 창름지관이라고 하였다.
[註] 신명(神明) : 정신과 총명.

단전에는 세 가지가 있다[丹田有三]

『선경(仙經)』에 “뇌는 수해(髓海)이고 상단전(上丹田)이라 하며 심은 강궁(絳宮)이고 중단전(中丹田)이라 하며 배꼽 아래의 3치 되는 곳을 하단전(下丹田)이라고 한다. 하단전은 정(精)을 저장하는 곳이며 중단전은 신(神)을 저장하는 곳이고 상단전은 기(氣)를 저장하는 곳이다”고 씌어 있다.
○ 오진편(悟眞篇) 주해에 “사람은 천지의 좋은 기운을 받고 태어나게 되며 음양에 의하여 형체를 이룬다. 그러므로 사람의 몸에는 정(精), 기(氣), 신(神)이 기본이다. 신은 기에서 생기고 기는 정에서 생긴다. 때문에 수양하는 사람이 만일 자기 몸을 수양한다면 이것은 정, 기, 신의 3가지를 단련하는 데 지나지 않는다”고 씌어 있다.
○ 소강절(邵康節)은 “신은 심(心)에 의해 통제되고 기는 신(腎)에 의해 통제되며 형체는 머리에 의해 통제된다. 형체와 기가 서로 배합되고 신이 그중에서 기본이 되는 것은 삼재(三才)의 이치이다”고 하였다.
[註] 삼재(三才) : 하늘과 땅, 사람.

몸 뒷부분에 3관이 있다[背有三關]

『선경(仙經)』에 “몸의 뒷부분에는 3관이 있는데 뒤통수를 옥침관(玉枕關)이라 하고 등골뼈의 양쪽 옆을 녹로관(녹로關)이라 하며 수화(水火)가 교류되는 곳을 미려관(尾閭關)이라고 한다. 이것들은 다 정기가 오르내리는 길이다. 만약 북두칠성이 돌아가듯이 3관이 잘 작용하면 정기가 아래위로 잘 돌아갈 것이다. 이것은 마치 은하수가 북두칠성을 따라서 도는 것과 같다”고 씌어 있다.
○ 취허편(翠虛篇)에 “선약을 찾아 굽기 반나절도 못 되건만, 시원한 약기운이 3관을 두루 도네, 한줄기 하얀 줄이 이환(泥丸)으로 모여 들고, 자색 나는 황금솥이 이환궁에 걸렸구나, 솥 안의 금덩이가 옥장(玉奬)으로 변화되어, 입 안으로 내려오니 혀끝이 향기롭네”라는 노래구절이 있다.
○ 『참동계(參同契)』 주해에 “사람 몸의 기혈은 밤낮 쉬지 않고 아래위로 돌아간다. 이것은 마치 강물이 동쪽에서 바다로 흘러들어 가면서 마르는 일이 없는 것과 같다. 이름난 산과 큰 강도 작은 구멍으로 서로 통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물은 땅 속으로 돌면서 서로 왔다갔다하며 해와 달이 돌아가는 것도 역시 마찬가지이다”고 씌어 있다.

정기신 보양[保養精氣神]

구선(구仙)은 “정(精)은 몸의 근본이 되고 기(氣)는 신(神)을 주관하며 형체는 정신이 있는 곳이다. 때문에 정신을 너무 쓰면 부족해지고 정을 너무 쓰면 줄어들며 기를 너무 피로케 하면 끊어진다. 사람이 산다는 것은 정신이 있기 때문이고 형체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기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 기가 소모되면 몸도 쇠약하여 오래 살 수 없게 된다. 대체로 있다는 것은 없는 데서 생기는 것이고 형체는 정신이 있어야 유지된다. 만약 생명을 편안히 하지 않고 또 몸을 수양하여 정신을 안정하지 않으면 기가 흩어져서 병이 생길 것이다. 촛불에 비교하면 초가 다 타면 불이 꺼지는 것과 같고 또 제방에 비유하면 제방이 무너지면 물이 고이지 못하는 것과 같다. 대체로 혼(魂)이라는 것은 양(陽)이고 백(魄)이라는 것은 음(陰)이다. 신은 기를 먹고 형체는 음식물을 먹는다. 기가 맑으면 정신도 상쾌해지고 형체가 피로하면 기도 흐려진다. 기를 먹는 사람은 천백 명이라도 죽지 않기 때문에 몸이 하늘로 나는 것과 같다. 곡식을 먹는 사람은 천백 명이라도 다 죽기 때문에 형체가 땅으로 돌아가게 된다. 사람이 죽는다는 것은 혼이 날아가고 백이 떨어져서 수와 화가 서로 헤쳐져 각각 자기 근본에로 돌아가는 것이다. 살면 몸에 같이 있고 죽으면 서로 헤어져 혼은 날아가고 형체는 땅속에 떨어지는 것이 각각 다르다. 이것은 자연의 법칙이다. 비유한다면 한 그루의 나무를 불에 태우면 연기는 올라가고 재는 아래로 떨어지는 것과 같다. 이도 역시 자연의 이치이다. 대체로 신명(神明)이란 생겨나게 하고 변화시키는 근본이며 정기(精氣)는 만물의 구성요소의 본체이다. 몸을 온전히 하면 생존하게 되고 정기를 보양하면 생명이 오래 보존된다”고 하였다.
[註] 있다는 것은 없는 데서 생기는 것이고 형체는 정신이 있어야 유지된다고 한 것은 물질보다 의식이 선차적이라는 도교의 관념론적 견해.
[註] 사람이 죽는 것을 혼이 날아가고 백이 떨어져서 자기 근본으로 돌아가는 자연의 법칙이라고 인식. 또한 사람이 죽을 때 호흡은 계속되나 의식이 없어진 것을 혼이 날아간 것으로 보고 호흡마저 멎은 것을 백(넋)이 떨어진 것으로 생각.
[註] 구선( 仙) : 14-15세기 초에 활동한 의학자, 저서로는 『구선활인심』.

옛날에 진인, 지인, 성인, 현인이 있었다[古有眞人至人聖人賢人]

황제는 “내가 듣건대 상고시대(上古時代)에는 진인(眞人)이 있었는데 그는 자연의 법칙을 잘 알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음양과 호흡과 정기를 잘 파악함으로써 그에 맞게 잘 지켜서 신기와 힘살을 온전하게 하여 오래 사는 것이 천지와 같이 끝이 없었다. 이것은 그가 양생하는 법칙에 맞추어 살았기 때문이다. 중고시대(中古時代)에는 지인(至人)이 있었는데 그는 도덕을 잘 지켰고 음양에 적응하였다. 그리고 사철의 기후에 맞게 생활하였고 세상풍속을 떠나서 정을 간직하고 신을 온전히 하여 천지 사이를 오갈 수 있었으며 먼 곳까지 보고 들었다. 그리하여 그는 오래 살게 되었으며 건강해서 역시 진인과 같이 되었다. 그 다음 성인(聖人)이 있었는데 천지조화에 따라 지냈으며 8풍(八風)에 잘 적응하였다. 또한 보통사람들처럼 욕심도 부리지 않았고 성내는 일이 없었으며 풍속에 벗어나는 행동을 하지 않았고 세상에 없는 일을 하려고 하지 않았다. 그리고 겉으로는 일로 몸을 과로케 하지 않았으며 속으로 걱정하지 않으면서 마음을 즐겁게 하고 만족하는 데 힘을 썼다. 그리하여 몸이 상하지 않고 정신을 흩어놓지 않았기 때문에 100살을 살 수 있었다. 그 다음 현인(賢人)이 있었는데 그는 자연의 법칙에 따라 해와 달과 별이 돌아가는 데와 음양의 변화에 순응되고 사철을 가릴 줄 알았고 힘써 상고시대 사람을 따라 양생하는 법칙에 부합되게 하였기 때문에 역시 수명을 연장시켜 오래 살았다”고 하였다[내경].
[註] 상고시대에 모든 사물의 이치에 아주 밝고 양생을 잘해서 오래 사는 사람들을 추상적으로 4부류로 나누어 놓았다. 일반 수양이 제일 높아 모든 진리를 깨닫고 있으면서 양생을 잘하여 늙지 않고 오래 오래 사는 사람을 진인이라 하고 그 다음 가는 사람을 지인이라고 하며 사물의 이치에 밝고 양생법에 맞게 자기 몸을 수양하는 사람을 성인이라고 하며 그 다음 가는 사람을 현인이라고 하였다. 또한 지혜와 재능이 뛰어나고 어질며 총명한 사람들을 현인, 성인하면서 상징적인 인물로 썼다.
[註] 상고시대(上古時代) : 먼 옛날의 고대의 초기.
[註] 중고시대(中古時代) : 상고시대와 근고시대의 중간에 해당되는 시기로 역사적으로는 고대의 말기.
[註] 8풍(八風) : 팔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즉 남풍, 서남풍, 서풍, 서북풍, 북풍, 동북풍, 동풍, 동남풍). 병의 원인으로 작용할 때는 8가지 악풍(즉 대약풍, 모풍, 강풍, 절풍, 대강풍, 흉풍, 영아풍, 약풍)이 된다.

상고시대 사람들이 소박한 데 대하여[論上古天眞]

상고시대의 성인은 늘“허사(虛邪)와 적풍(賊風)은 제때에 피해야 한다.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허욕을 없애면 진기(眞氣)가 보전되고 정신이 산란해지지 않으면 병이 어디서 생기겠는가. 그러므로 여러 가지 잡념이 없고 욕심이 적으며 마음과 정신이 안정되어 사물에 대하여 조금도 겁내지 않게 된다. 또 힘든 일을 하여도 권태증을 느끼지 않으며 기도 따라서 순조롭게 되어 모든 것이 그 욕망에 따라 다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 어떠한 음식이라도 달게 먹고 의복도 아무 것이나 입으며 풍속을 즐기고 직위의 높고 낮음을 따지지 않는다. 때문에 그런 사람들을 소박하다고 말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이렇게 되면 기욕(嗜慾)이 눈을 괴롭힐 수 없고 음사(淫邪)가 마음을 유혹할 수 없으며 어리석은 사람이나 영리한 사람이나 착한 사람이나 착하지 않은 사람이나 할 것 없이 사물에 대해서 두려워하지 않기 때문에 양생의 도리에 부합되어서 능히 100살 이상을 살아도 동작이 굼뜨지 않다. 이것은 그들이 양생을 바로 하기 때문에 병이 생기지 않은 것이다[내경].
[註] 허사(虛邪) : 몸이 허약한 틈을 타서 침범한 사기, 또는 병을 일으키는 사기.
[註] 적풍(賊風) : 사철의 비정상적인 기후(바람)로 사람의 건강에 해를 주는 사기.
[註] 기욕(嗜慾) : 좋아하고 욕심이 나는 것, 주로 색욕.
[註] 음사(淫邪) : 음탕하고 사특한 것, 즉 주색, 잡기(도박 등) 등 몸을 수양하는 데 해로우면서 사람을 유혹하게 하는 것.

사철의 기후에 맞게 정신을 수양한다[四氣調神]

봄철 3달은 발진(發陳)이라고 한다. 천지간에 생기가 다 발동하여 만물이 소생하고 번영한다. 이때는 밤에 일찍 자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뜰을 거닐며 머리를 풀고 몸을 편안하게 늦추어 주며 마음을 유쾌하게 하며 생겨나는 만물에 대해서는 그 생장을 도와주고 죽이지는 말며 주기는 하면서 빼앗지는 말며 상은 주되 벌은 주지 말아야 한다. 이것이 봄철에 맞게 양생하는 방법이다. 이것을 거역하면 간(肝)을 상하고 여름에 가서 철이 아닌 추위가 와서 자라게 하는 힘[奉長]이 적어진다. 여름 3달은 번수(蕃秀)라고 한다. 이때에 천지의 기가 서로 합쳐서 만물에는 꽃이 피고 열매가 연다. 이때는 밤에 일찍 자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며 햇빛을 싫어하지 말고 성을 내는 일이 없게 하여 꽃이 피어나는 것처럼 사람의 양기가 밖의 기운과 잘 통하게 해야 한다. 이것이 여름에 몸을 수양하는 방법이다. 만일 이것을 거역하면 심을 상하고 가을에 가서 학질이 되고 거두는 기운을 도와주는 힘[奉收]이 적어지며 겨울에 가서 중병이 된다. 가을 3달은 용평(容平)이라고 한다. 이때에 천기(天氣)는 쌀쌀해지고 지기(地氣)는 깨끗해진다. 이때는 밤에 일찍 자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야 한다. 닭이 울면 일어나서 마음을 안정하고 쌀쌀한 가을의 기분이 없게 하며 신기(神氣)를 거두어들여 가을기운에 적응하게 하고 마음속에 다른 생각이 없게 함으로써 폐기(肺氣)를 맑게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이 가을의 기운에 맞게 거두어들이는 도(道)이다. 이것을 거역하면 폐를 상하고 겨울에 가서 삭지 않은 설사를 하며 간직하는 기운을 도와주는 힘[奉藏]이 적어진다. 겨울 3달은 폐장(閉藏)이라고 한다. 이 시기는 물이 얼고 땅이 얼어 터지며 양기가 요동하지 못한다. 이때는 일찍 자고 늦게 일어나되 반드시 해가 뜬 뒤에 일어나야 한다. 마음에 숨겨 두는 일이 있거나 남에게 보이지 못할 물건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하며 추운 데가 아니라 따스한 방에 있으면서 살갗으로 땀이 흘러 나와 갑자기 기운이 빠져 나가지 않게 해야 한다. 이것이 겨울철에 순응하는 것이며 간직하는 기운[養藏]을 돕는 방법이다. 이것을 거역하면 신(腎)을 상하여 봄에 가서 위궐병( 厥病)이 생기고 봄에 나는 기운을 돕는 힘이 적어진다. 사철의 음양변화는 만물의 근본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인은 봄과 여름에 양기를 보양하고 가을과 겨울에는 음기를 보양하여 그 근본에 순응하면서 만물과 같이 생겨나고 자라나는 속에서 지냈다. 만일 근본에 어긋나면 생명의 근원을 상해서 진기를 어지럽게 한다. 때문에 사철 음양의 변화는 만물의 시초인 동시에 종말이며 죽고 사는 근본이다. 이것을 거역할 때에는 해를 입으며 이에 순종하면 병이 생기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양생법을 알았다고 할 수 있다[내경].
[註] 4철의 기후에 맞게 몸과 마음을 수양하는 방법을 도교의 윤리도덕과 결부시켜 만든 것인데 해당 절기에 맞게 수양법을 잘하면 병이 생기지 않고 만일 못하면 여러 가지 병이 생기고 또 해를 입는다.
[註] 발진(發陳) : 만물이 묵은 것에서 새것이 생겨난다는 뜻.
[註] 번수(蕃秀) : 만물이 번식하고 아름답게 자란다는 뜻.
[註] 용평(容平) : 가을에 만물을 거두어들이고 다시는 성장하지 않는다는 뜻.
[註] 폐장(閉藏) : 겨울철에 음기가 왕성하므로 양기가 땅 속으로 들어가서 감추어진다는 뜻. 이때는 만물의 기운이 아래로 내려가고 땅 속으로 들어간다.
[註] 위궐병( 厥病) : 손발에 힘이 없어서 잘 쓰지 못하고 또 싸늘해지는 병.

수양하는 방법으로 병을 치료한다[以道療病]

구선(구仙)은 “옛적에 신성(神聖)한 의사들은 사람의 마음을 다스려서 병이 나지 않게 하였다. 지금 의사들은 단지 사람의 병만 치료할 줄 알고 마음을 다스릴 줄은 모른다. 이것은 근본을 버리고 끝을 좇는 것이며 원인을 찾지 않고 나타난 증상만을 치료하여 병을 낫게 하려고 하는 것이니 어리석은 일이 아닌가. 비록 일시적인 요행수로 나았다고 하더라도 이것은 민간의 서투른 의사들의 일 처리이므로 얻을 것이란 없다”고 하였다. 태백진인(太白眞人)은 “병을 치료하려면 먼저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 마음을 바로잡으면 수양하는 방법에 도움이 된다. 환자로 하여금 마음속에 있는 의심과 염려스러운 생각 그리고 일체 헛된 잡념과 불평과 자기 욕심을 다 없애 버리고 지난날의 죄과를 뉘우치게 해야 한다. 그리하여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해서 자기의 생활방식이 자연의 이치에 부합되게 한다. 그렇게 오래하면 결국 정신이 통일되어서 자연히 마음이 편안해지고 성품이 화평해진다. 이렇게 되면 세상의 모든 일은 다 공허한 것이고 종일 하는 일이 모두 헛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며 또한 내 몸이 있다는 것도 다 환상이며 화와 복이 다 없는 것이고 살고 죽는 것이 다 한갓 꿈과 같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리하여 모든 것을 깨닫게 되고 모든 문제가 다 풀리게 되며 마음이 자연히 깨끗해지고 병이 자연히 낫게 된다. 이렇게 된다면 약을 먹기 전에 병은 벌써 다 낫게 된다. 이것은 진인이 수양하는 방법으로 마음을 다스려서 병을 치료하는 훌륭한 방법이다”고 하였다.
○ 또한 “지인은 병들기 전에 고치고 의사는 병든 후에 치료한다. 병들기 전에 고치는 것을 마음을 진정시킨다고도 하고 수양한다고도 말한다. 병든 다음에 치료한다는 것은 약을 먹고 침과 뜸을 놓는 것이다. 치료방법은 비록 두 가지가 있으나 병의 근원은 하나이니 반드시 마음으로 생기지 않았다고 할 수 없다”고 하였다.
[註] 도교의 영향으로 병 치료에서 정신상태가 일정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강조, 마음과 정신을 수양하면 병이 생기지 않으며 또 생긴 병도 다 잘 치료할 수 있다고 쓴 내용.

마음에 잡념이 없어야 수양하는 이치에 맞는다[虛心合道]

백옥섬(白玉蟾)은 “사람에게 욕심이 없으면 수양하는 이치에 맞고 욕심이 있으면 그 이치와는 어긋난다. 오직 이 ‘없을 무(無)’자 한 자는 모든 현상을 다 포괄하고 있으므로 끝이 없으며 만물이 생겨서 없어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천지가 비록 크나 형태가 있는 것은 조종할 수 있어도 형태가 없는 것은 조종하지 못한다. 음양의 이치가 비록 묘하지만 기운이 있는 데만 작용하고 기운이 없는 데는 작용하지 못한다. 5행(五行)이 매우 정미로운 것이지만 수(數)가 있는 데만 작용하고 수가 없는 데는 작용하지 못한다. 그리고 온갖 생각이 어지럽게 떠올라도 의식이 있는 데만 작용하고 의식이 없는 데는 작용하지 못한다. 이렇게 이치를 수양한다는 것은 우선 그 몸을 단련시키는 것만 못하다. 몸을 단련하는 요령은 정신을 통일시키는 데 있다. 정신이 통일되면 기(氣)가 모이고 기가 모이면 단(丹)을 이루며 단이 이루어지면 형체가 든든해지고 형체가 든든해지면 정신이 건전해진다”고 하였다. 때문에 송제구(宋齊丘)는 “형체를 잊어서 기를 수양하고 기를 잊어서 정신을 수양하며 정신을 잊어서 잡념이 없도록 수양한다. 이 ‘잊을 망(忘)’ 자는 곧 없다는 것을 말한다. 본래 아무 것도 없는데 어느곳에 티끌인들 붙겠는가[本來無一物, 何處有塵埃]라는 말이 이것을 말한 것이다”고 하였다.

양생법을 배우는 데는 빠르고 늦은 것이 없다[學道無早晩]

『연수서(延壽書)』에 “사람이란 만물의 영장[靈]이다. 수명은 본래 4만3천2백여 일이다(즉 120살이다. 『홍범(洪範)』에서도 수명이 120살이라고 하였다). 원양진기(元陽眞氣)는 본래의 무게가 384수(600g을 말한다)이다. 안으로는 건(乾)에 상응한다. 건이란 것은 순양(純陽)의 괘이다. 사람이 밤낮 활동하고 배설하여 원기를 잃으면 타고난 수명을 다 살지 못하며 6양(六陽)이 없어진다. 즉 음기만 남게 되어 죽기 쉽다. 나이가 64살이 되어 괘수가 끝나면 양기도 없어지고 음기도 허해진다. 이때에 와서 진기와 원기를 회복하려고 하니 때가 늦지 않았는가. 박괘(剝卦)와 같이 음으로 다 변하지 않으면 복괘(復卦)처럼 양기가 돌아오지 않으며 음이 다 변하지 않으면 양이 생기지 못한다. 만약 이름난 선생의 지도를 받아 결심하고 노력만 한다면 비록 120살이 되었더라도 튼튼한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비유하면 나무가 늙어도 어린 가지를 접하면 다줌싱싱하게 자라는 것과 같다. 사람이 늙었어도 진기를 도로 보하면 늙은이가 도리어 젊어질 수 있다. 옛날 마자연(馬自然)은 64살이 되어 늙는 것을 두려워하고 죽기를 무서워하였다. 그는 애써 수양하는 방법을 얻으려고 하였다. 이때 유해섬(劉海蟾)을 만나 오래 살 수 있는 비결을 전해 받고 나서 한없이 오래 살았는데 그도 별다른 사람은 아니다. 알면 되는데, 특히 한번 깨달은 데 있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註] 영장[靈] : 가장 귀중하고 신령스러운 존재라는 뜻으로 ‘인류’를 가리킨 말.
[註] 박괘(剝卦)와 복괘(復卦) : 음양 5행설에서 8괘를 이리저리 맞추어 만든 64가지의 괘 가운데 있는 괘.
○ 『오진편』 주해에는 “여순양(呂純陽)은 64살에 정양진인(正陽眞人)을 만났고 갈선옹(葛仙翁)은 64살에 정진인(鄭眞人)을 만났다. 마자연은 64살에 유해섬을 만났는데 모두 금단(金丹)의 도(道)로써 수양하여 선인이 되었다. 세 신선은 다 늙어서 도를 닦고 성공하였다. 대개 이것은 장년시기에 도 닦을 마음에서 규율을 지키고 공부를 하여 64살이 되었을 때 금단으로 단련하는 옳은 지도를 받았기 때문에 도를 닦는 것이 빨랐었다. 만약 세상사람들이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정력을 없애고 생각을 너무 해서 정신을 소모하며 몸을 과로해서 기를 소모하여 진양(眞陽)이 이미 손실되었다면 비록 64살 전에 대도(大道)를 배웠더라도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다. 만일 일찍부터 성욕을 삼가고 도를 구해서 몸이 상하기 전과 정기가 소모되기 전에 선생을 만나 가르침을 받고 그대로 빨리 수양하면 얼마 안되어 세 신선이 성공한 것과 같아질 수 있을 것이다”고 씌어 있다.
[註] 『오진편』 주해에서 늙어서도 금단의 도를 닦고 또 양생법을 잘하면 신선이 된다고 한 내용들은 모두 도교의 신선사상에서 나온 내용.
[註] 금단(金丹) : 도교에서 외금단과 내금단으로 구분하였는데 외금단은 신선이 만든다고 하는 장생불사약이고 내금단은 자체로 정기를 단련하는 것.
[註] 도(道) : 종교적 관념에서 교의를 깊이 알게 되는 이치 또는 도교를 믿는 사람의 양생법.
[註] 대도(大道) : 사람으로서 반드시 지켜야 할 큰 도리.

사람의 마음은 천기와 부합된다[人心合天機]

환단론(還丹論)에는 “도는 마음으로써 닦는다. 마음을 닦을 줄 아는 사람은 도로써 마음을 본다. 마음이 곧 도이다. 마음으로써 도를 통하게 되므로 도가 곧 마음이다. 여기서 말하는 마음이라는 것은 사람의 마음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하늘의 마음이다. 하늘은 북극에 있으면서 조화의 축이 되는데 이것이 곧 중심이다. 그렇기 때문에 북두칠성이 한번 움직이면 4계절이 순응하며 5행이 차례로 돌고 추위와 더위가 도수에 맞으며 음과 양이 고르게 된다”고 씌어 있다.
○ 탁약가(탁약歌)에는 “해가 지면 달이 뜨고 달이 지면 해가 뜨네, 해와 달이 뜨고 지는 건 절로는 못한다네, 북두칠성 도는 대로 그도 따라 도는 것이, 사람마음 하늘마음 한뜻으로 합치되면, 눈 한번 깜박일 때 음양을 돌린다네”라고 하였다.
○ 또 『선경』 주해에는 “선기(璇璣)는 곧 북두칠성이다. 하늘에서는 북두칠성이 중심이며 사람에게 있어서는 마음이 중심이다. 마음이 몸에서 운행하는 것은 북두칠성이 하늘에서 운행하는 것과 같다”고 씌어 있다.
○ 또한 “하늘의 축이 돈다는 것은 한밤중에 양기가 처음 발동하는 때이다. 하늘의 축이 움직이려 할 때에 사람의 마음도 움직여 그에 순응하게 하면 하늘과 사람이 합치되어 발동되고 안팎이 서로 맞아서 금단(金丹)이 성공된다”고 씌어 있다.
○ 상양자(上陽子)는 “사람의 진기가 단전(丹田)으로 내려오면 양기가 회복되기 시작한다.
양기가 처음 돌아오는 증후는 따뜻한 기운으로 알게 된다”고 하였다.
[註] 환단론(還丹論)에서 도교의 교리와 자연을 숭배하는 다신교적인 신앙을 그대로 인용하였으며 탁약가와 『선경』 주해에서는 자연의 모든 현상과 인간의 운명을 음양5행설에 맞추어 해석한 것.

반운복식에 대하여[搬運服食]

『양성서』에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수양하고 섭생하는 방법이 각기 따로 있다. 대체로 정을 상하거나 기를 소모하거나 신을 상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이 3가지는 도가(道家)들이 말하는 정을 보전하고 기를 보전하며 신을 보전한다는 것이다. 매일 아침 첫닭이 울 때에 곧 일어나서 이불을 감고 앉아 호흡을 조절하면서 이빨을 쪼고 정신을 집중해서 오래 있으면 신기가 안정되면서 화기가 돈다. 이때 반운(搬運)을 몇십 번하면 온몸이 편안해지며 혈맥이 절로 잘 통하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침이 나오고 신기가 온몸에 충만 된다. 이때 침을 삼켜 단전(丹田)으로 내려보내 원양(元陽)을 보해 준다. 이렇게 반운을 마친 후 평소에 먹던 보양하는 약을 먹고 두 손을 비벼서 뜨겁게 한다. 그것이 끝나면 머리를 빗고 양치질하고 세수를 하며 향불을 피우고 통장(洞章)을 한번 외운다. 그 다음 천천히 뜰을 100걸음쯤 거닐다가 해가 떠서 3-5발 올라오기를 기다려 죽을 먹는다. 다음에는 손으로 배를 문지르고 다시 200-300걸음을 거닌다. 이것이 양생하는 대략적인 방법이니 몰라서는 안 된다”고 씌어 있다.
[註] 단전(丹田) : 배꼽에서 아래로 3치 되는 곳(관원혈 부위). 안마도인법에서는 단전을 3가지로 갈라 상단전(두 눈썹 사이), 중단전(심와부), 하단전(배꼽에서 아래로 3치 되는 곳).
[註] 반운(搬運) : 온몸의 기혈을 잘 돌게 하기 위하여 적당한 운동을 하는 것.
○ 태식론(胎息論)에는 “대체로 복식(服食)은 밤 1시경에 눈을 감고 동쪽을 향하여 편안히 앉아 힘써 뱃속에 있는 나쁜 공기를 2-3번 내뿜은 뒤에 숨을 멈추고 코로 맑은 공기를 천천히 몇 번 들이마신다. 혀 밑에는 두 개의 구멍이 있어서 아래로 신(腎)과 통하고 있다. 혀로 입천장을 받치고 숨을 한동안 멈추면 침이 절로 나와서 입안에 차게 된다. 그것을 천천히 삼키면 스스로 5장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하는 것이 기가 단전으로 돌아가게 하는 것이다. 밤 1시부터 3시까지 하되 4시가 되기 전에 하는 것이 역시 좋다. 누워서 하는 것도 좋다”고 씌어 있다.
○ 또한 “사람은 늘 옥천(玉泉)을 먹으면 오래 살고 얼굴에 윤기가 난다. 옥천은 입안의 침이다. 닭이 울 때, 이른 새벽, 해가 뜰 무렵, 10-11시, 12시, 오후 4-5시, 해질 때. 땅거미가 들 때, 밤 12시 등 하루 아홉번 자기의 침으로 양치해서 삼킨다”고 씌어 있다.
[註] 복식(服食) : 몸을 건강하게 하기 위하여 음식의 성질을 가진 보약을 먹는 것, 또는 양생법의 한 가지로서 침을 삼키는 것.
○ 구선(구仙)은 “한괴경(漢괴京)은 나이가 120이 되었는데도 기력이 매우 좋았다. 그는 아침마다 침을 삼키고 이를 14번씩 쪼았다고[叩] 한다 이것을 연정(鍊精)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또한 두경승(杜景升)과 왕진상(王眞常)은 “침으로 양치해서 삼키는 것을 태식(胎息)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안마도인[按摩導引]

『양생서(養生書)』에 “밤잠에서 깨어나 이를 아홉 번 쪼고[叩] 침을 아홉 번 삼킨 다음 손으로 코의 양쪽을 아래위로 수십 번씩 문지른다”고 씌어 있다.
○ 또한 “매일 아침 일찍 일어나서 이를 쪼고 침으로 양치하며 입안에 가득 차게 한다. 이것을 삼킨 다음 숨을 멈추고 오른손을 머리 위로 넘겨 왼쪽 귀를 14번 잡아당기고 또 왼손을 머리 위로 넘겨서 오른쪽 귀를 14번 잡아당긴다. 이렇게 하면 귀가 밝아지고 오래 산다”고 씌어 있다.
○ 또한 “손바닥을 비벼서 뜨겁게 한 다음 양쪽 눈을 비벼주기를 매일 20번씩 하면 눈에 예막이 자연히 생기지 않고 눈이 밝아지며 풍을 없앤다. 이마를 자주 문질러주는 것은 천정(天庭)을 수양한다고 하는데 머리털이 난 곳에서 뒤로 쓰다듬기를 14번씩 하면 얼굴이 자연히 윤기가 난다. 또한 가운뎃손가락으로 양쪽을 20-30번씩 문질러서 겉과 속이 다 뜨거워지게 한다. 이것은 소위 코에 물을 대서 폐를 축여준다는 것과 같다. 손으로 귓바퀴를 문질러 주기를 횟수에는 관계없이 여러 번 하는 것은 귓바퀴를 수양해서 신기를 보 하여 귀가 먹는 것을 미리 막는 데 있다”고 씌어 있다.
○ 구선이 노래하기를 “눈감고 편히 앉아(발을 괴고 앉는다) 주먹 쥐고(엄지손가락이 속으로 가게 한다) 정신 모아, 36번 이를 쪼고(정신을 모으면서) 두 손으로 곤륜(崑崙) 안아(곤륜은 머리이다. 두 손의 손가락을 깍지 끼고 목뒤를 안아 귀까지 막고 아홉 번 숨쉴 동안 있는다), 좌우천고(佐右天鼓) 울리기를 24번하고 나서(두 손바닥으로 두 귀를 덮고 둘째손가락으로 가운뎃손가락을 눌러 뒤통수를 24번 퉁긴다), 이리저리 목 돌리며(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목을 돌려 어깨를 돌아보아 켕기게 한다. 이것도 24번 한다) 입안에서 혀를 돌려(입안에서 혀를 돌려 침이 고이면 삼킨다), 36번 꿀꺽거려 입에 침이 가득 찬 후, 세 번 갈라 넘기고서(꿀꺽거린 침을 세 번에 갈라 꿀꺽꿀꺽 소리나게 넘긴다) 숨죽이고 손을 비벼, 뜨거워진 뒤 숨 내쉬고(코로 맑은 공기를 마신 후 숨을 죽이고 조금 있다가 손을 비벼 몹시 뜨거워진 뒤 천천히 숨을 내쉰다) 두 손을 뒤로 돌려, 허리를 문지르고(두 손을 뒤로 돌려 손바닥으로 허리를 문질러 더워지게 한 뒤 꼭 누른다) 숨을 한번 모은 뒤에(다시 숨을 모은다), 배꼽 밑에 불기운을 생각하며(속에 불로 단전을 태우는 생각을 하여 몹시 뜨거운 감이 생긴 후 다음의 방법을 쓴다) 팔다리를 쭉 펴고(고개를 숙이고 두 팔을 펴서 하나 올리면 하나 내리기를 36번하여 단전에서 뜨거운 기운이 정수리로 올라가게 하고 맑은 공기를 코로 들이쉰 다음 잠깐 숨을 죽이고 또 두 다리를 앞으로 쭉 편다) 두 손을 깍지 끼고 허공을 받쳐든 후, 팔을 펴고 고개 숙여 두 발을 잡아당겨(양쪽 손가락을 깍지 끼고 두 팔을 쳐들어 위로 올렸다가 고개를 숙이고 팔을 편 채로 앞으로 내려 두 발을 13번 잡아당긴 다음 발을 고이고 앉는다), 입에 침이 생기거든(입에 침이 생기면 전과 같이 혀를 굴려 모은다) 꿀꺽거려 삼키기를, 한 입을 세 번 갈라 세 입을 아홉 번(한 입의 침을 세 번에 갈라 세입을 삼켜 아홉 번이 되게 한다) 꿀꺽꿀꺽 삼키고는 온갖 맥이 고르게 신체운동을 또 한다네(어깨와 몸통을 돌리기를 24번하고 한 팔을 내리면서 다른 한 팔을 올리기를 24번 한다) 불꽃처럼 몸이 더워(단전의 뜨거운 기운이 아래에서부터 타올라와 온몸을 다 태우는 듯한 감이 난다. 이때에는 입을 다물며 숨을 죽이고 잠깐 있는다), 마귀도 접근 할 수 없고 꿈자리도 편안하며, 추위도 안 타고 더운 줄도 모른다네, 첫새벽과 두 시전에 때를 맞춰 하고 나면, 기혈순환 잘도 되고 팔괘(八卦)가 잘 돈다네”고 하였다.
[註] 두드리기(안마)도인 : 손으로 몸을 문지르고 두드려 주며 간단한 운동과 호흡을 조절해서 몸의 기혈을 잘 돌아가게 하는 양생법의 한 가지.
[註] 천정(天庭) : 앞이마의 한가운데를 이르는 말.
[註] 천고(天鼓) : 머리의 양쪽 귀 뒤. 손끝이 뒤로 가게 손바닥으로 양쪽 귀를 덮고 손가락으로 귀 뒤 뼈를 퉁기는 것.

양생하는 데 가장 긴요한 방법[攝養要訣]

태을진인(太乙眞人)의 칠금문(七禁文)에 “첫째로 말을 적게 하면서 속에 있는 기운을 보양하는 것, 둘째로 성생활을 조절하면서 정기(精氣)를 보양하는 것, 셋째로 기름기 없는 음식을 먹어 혈기(血氣)를 보양하는 것, 넷째로 침을 삼켜서 5장의 기운을 보양하는 것, 다섯째로 성을 내지 않고 간기(肝氣)를 보양하는 것, 여섯째로 맛있는 음식으로 위기(胃氣)를 보양하는 것, 일곱째로 사색과 걱정을 적게 하여 심기(心氣)를 보양하는 것들이다. 사람은 기에 의해서 살고 기본 정신에 의하여 왕성해진다. 기를 보양하여 정신을 온전하게 한다면 참말로 오래 살 수 있다. 대체로 모든 것 가운데서 보양해야 할 것은 원기(元氣)보다 더한 것이 없다”고 씌어 있다.
○ 『황정경』에 “그대가 죽고 싶지 않으면 곤륜(崑崙)을 수양해야 한다. 머리는 자주 빗는 것이 좋고 얼굴은 자주 씻는 것이 좋다. 이는 자주 쪼는 것이 좋고 침을 늘 삼키는 것이 좋으며 기는 정밀하게 단련하는 것이 좋다. 이 5가지가 곤륜을 수양하는 것이다. 곤륜은 머리를 말한다”고 씌어 있다.
○ 갈선옹(葛仙翁)의 청정경(請靜經)에 “사람이 욕심을 버리면 마음이 자연히 안정된다. 마음을 깨끗이 하면 정신이 자연히 맑아져서 6가지 욕심이 생기지 않으며 3독(三毒)이 없어진다. 사람의 마음에 잡념이 없으면 마음이 맑아지고 편안히 앉아 있으면 정숙해진다. 말을 적게 하고 듣는 것도 적게 하면 정신과 수명을 보전하게 된다. 대체로 말을 많이 하면 기를 상하며 지나치게 기뻐하면 감정을 상하고 성내는 일이 많으면 의지를 상한다. 슬퍼하고 사색하며 걱정하는 일이 많으면 정신을 상한다. 성생활이 지나쳐서 피로해지는 일이 많으면 정을 상한다. 대개 이러한 것들은 모두 수양하려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고 씌어 있다.
○ 또한 “양생하는 사람은 침을 멀리 뱉지 말고 걸음을 빨리 걷지 말며 귀로는 지나치게 듣지 말고 눈으로는 지나치게 보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배고픈 뒤에 음식을 먹지 말며 음식을 먹어도 너무 배불리 먹지 말아야 한다. 또 목마른 뒤에 물을 마시지 말고 물을 마셔도 지나치게 마시지 말아야 한다”고 씌어 있다.
○ 해강(稽康)은 “양생하는 방법에 5가지 어려운 것이 있다. 첫째는 공명주의와 이기주의를 버리지 못하는 것이고, 둘째는 기뻐하고 성내는 것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이며, 셋째는 음악과 미색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고, 넷째는 기름진 음식을 조절해 먹지 못하는 것이며, 다섯째는 정신이 허약하고 정기가 흩어지는 것이다. 이 5가지가 가슴속에 없다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도덕이 날로 높아져서 좋은 일을 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복이 오고 오래 살 것을 바라지 않아도 자연히 오래 살게 된다. 이것이 양생하는 큰 줄거리이다”고 하였다.
○ 『유찬』에 “시력을 보호하려면 늘 눈을 감아야 하며 청력을 좋게 하려면 늘 배불리 먹어야 한다. 그리고 팔힘을 기르려면 늘 팔을 굽혔다 폈다 해야 하며 다리 힘을 기르려면 늘 거닐어야 한다”고 씌어 있다.
○ 손진인(孫眞人)은 “아무리 매일과 같이 음식을 먹어도 양생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면 역시 오래 살기가 곤란하다. 양생하는 방법은 늘 경(輕)한 노동을 하고 너무 피로케 하지 말아야 한다. 대체로 흐르는 물이 썩지 않는 것과 문 지도리가 좀먹지 않는 것은 그것이 운동하기 때문이다. 양생하는 방법은 오랫동안 걷지도, 서 있지도, 앉지도 말아야 한다. 또는 오랫동안 보지도, 듣지도 말아야 한다. 이런 것들은 모두 수명을 단축시킨다”고 하였다.
○ 또한 “기를 상하고도 그 즉시는 모르지만 오래되면 수명을 단축시킨다”고 하였다.
○ 『통신진경(洞神眞經)』에 “양생하는 데서 상하지 않게 하는 것은 오래 살게 하는 방도이다.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 보 하는 것은 위생에서 법으로 삼아야 한다. 편안할 때 위험할 것을 염려하여 미리 막아야 한다. 비록 소년시기에 상해서 기운이 약하고 몸이 말랐더라도 늙어서 이것을 깨닫고 앓는 것을 막기 위해 몸을 보 하면 기혈이 많아지고 정신이 온전해져서 자연히 오래 살게 된다”고 씌어 있다.
[註] 3독(三毒) : 탐내는 것, 성내는 것, 미련스러운 것.

단전으로 돌아오는 단련법[還丹內煉法]

『금단문답(金丹問答)』에 “금액(金液)이라는 것은 금(金)과 수(水)이다. 금은 수의 어머니 격이지만 금이 물 속에 들어가기 때문에 환단(還丹)이라는 말이 있는 것이다. 옛 학자들이 단이란 단전(丹田)을 말한 것이며 액이란 폐액(肺液)을 말한 것이다. 폐액이 단전에 돌아오기 때문에 금액환단이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 심고사(諶高士)에게 주는 노래에 “여보소 벗님네들, 이내 말을 들어보소, 정신수양하는 데는 묘한 법이 따로 없네, 맹호가 고함치고 용이 우는 야삼경에, 하거(河車)를 빨리 굴려 잠시도 쉬지 말고, 이환궁 높은 곳에 쏜살같이 몰고 가서, 옥화로에 불을 피워 백설같이 구워내, 입안에 가득 고인 맑고 맑은 그 진액을, 한시라도 놓칠세라 자주자주 삼키면, 팔다리가 더워지고 얼굴빛이 좋아지네, 몇천 가지 방법 중에 이 방법이 제일일세”라고 하였다.
○ 『역진론(易眞論)』에 “크게 수양하는 사람은 단약을 구해서 0.2g(반푼)을 입에 넣고 자체의 열로 축여 먹는다. 녹여 먹을 때에 갑자기 꽁무니에서 무엇인가 바로 척추를 끼고 쌍관(雙關)을 뚫고 올라가는 것을 느끼게 된다. 쪼록쪼록 소리가 나면서 머리로 올라가고 다시 머리에서 입천장으로 방울방울 입안에 들어오는 것 같은데 그 맛은 얼음에 채운 졸인 젖(수)과 같아서 향기롭고 단맛이 약간 느껴진다. 이런 느낌이 나타나는 것이 곧 금액환단(金液還丹)이다. 이것을 천천히 삼켜서 단전에 가게 하기를 일상적으로 계속한다면 5장이 맑고 깨끗해지며 눈을 감고 속을 보아도 장부가 불로 비추듯이 환하게 보이며 점차로 몸에 금빛 같은 윤기가 나타나게 된다. 이것이 참으로 좋은 현상이다”고 씌어 있다.
○ 『문답』에 “환단의 중요한 방법은 신수(神水)와 화지(華池)에 있다. 신수는 액이며 입안의 침을 화지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 소자(邵子)는 “하늘의 신은 해에서 나오고 사람의 신은 눈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나의 생각에는 눈이 가는 곳에 마음도 가게 된다. 그러므로 속으로 단련하는 방법은 눈으로 코를 보고 코는 배꼽을 향하게 하여 심화가 내려가서 단전에 들어가게 한다. 이것은 잠깐 동안에도 할 수 있는 방법이다.

섭생하는 데서 금기해야 할 것[養性禁忌]

『양성서』에 “섭생을 잘하려는 사람은 그날과 그 달에 금해야 할 것을 어기는 일이 없어야 하며 그 해와 절기에 맞게 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날에 금해야 할 것은 저녁에 너무 배불리 먹지 말 것이며 그 달에 금해야 할 것은 그믐께 몹시 취하지 말 것이고 그 해에 금해야 할 것은 겨울에 먼 길을 걷지 말 것이며 일생 동안에 금해야 할 것은 밤에 불을 켜고 성교하지 말 것이다”고 씌어 있다.
○ 또한 “너무 기뻐하는 것, 성내어 의지를 상하는 것, 너무 슬퍼하여 정신을 상하는 것, 부귀영화를 탐내 도덕을 문란시키는 것, 성생활로 정액을 고갈케 하는 것 등은 양생법(養生法)을 배움에 있어서 아주 금해야 한다”고 하였다.
○ 『진고(眞誥)』에 “눈은 몸의 거울이고 귀는 몸의 창문과 같다. 보는 것이 너무 많으면 거울이 희미해지고 여러 가지를 들으면 창문이 닫힌다. 얼굴은 정신이 노는 곳이고 머리털은 뇌수의 표현이다. 근심하면 얼굴이 수척해지고 뇌수가 줄면 머리털이 희어진다. 정기는 사람의 신령이며 명랑한 기분은 몸의 보배이다. 지나친 과로는 정기가 흩어지고 하는 일이 복잡하면 명랑한 기분이 사라진다”고 씌어 있다.
○ 포박자(抱朴子)는 “섭생을 잘하는 사람은 늘 생각하는 것, 걱정하는 것, 욕심을 내는 것, 일을 하는 것, 말을 하는 것, 웃는 것, 근심하는 것,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들을 모두 적게 한다. 이 12가지를 적게 하는 것은 양생하는 데 총칙으로 된다. 생각을 많이 하면 정신이 위태롭고 걱정을 많이 하면 의지가 흩어지며 욕심이 많으면 의지가 흐려진다. 또한 일을 많이 하면 몸이 피로해지고 말을 많이 하면 기운이 부족해지며 많이 웃으면 5장이 상한다. 그리고 근심이 많으면 마음이 떨리고 즐거워하는 것이 많으면 의지가 넘쳐나고 기쁨이 많으면 정신이 혼란해진다. 성내는 일이 많으면 온갖 맥이 고르지 못하며 좋아하는 것이 많으면 섞갈려서 사리를 분간하지 못하고 싫어하는 것이 많으면 몸이 마르고 즐거운 일이 없게 된다. 이 12가지를 흔히 없애지 않으면 영위(榮衛)가 제대로 돌지 못하고 혈기가 허투루 돌아서 생명을 잃게 하는 근본으로 된다”고 하였다.

사철에 맞게 몸을 조섭하는 것[四時節宣]

『양생서』에 “봄에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며 여름과 가을에는 밤이 깊어서 자고 일찍 일어나며 겨울에는 일찍 자고 늦게 일어나는 것은 모두 사람에게 유익한 것이다. 일찍 일어난다 하여도 닭이 울기 전에 일어나지 말 것이며 늦게 일어난다 하여도 해가 뜬 후까지 있지 말아야 한다”고 씌어 있다.
○ 또한 “겨울에는 머리를 차게 하고 봄과 가을에는 머리와 발을 모두 차게 한다. 이것이 성인들이 일상적으로 하는 방법이다”고 하였다.
○ 그믐날에는 늘 목욕을 하고 초하루에 머리를 감는 것이 좋으며 배고플 때에 목욕을 하지 말며 배부를 때에 머리를 감지 말아야 한다.
○ 대체로 사람은 봄과 여름에는 동쪽을 향해서 누우며 머리를 북쪽으로 향하여 눕지 말 것이다. 대체로 큰바람과 큰비, 짙은 안개와 심한 더위, 심한 추위와 모진 눈을 다 조심해야 한다. 갑자기 폭풍우나 우레와 번개 또는 몹시 어두운 때를 만나게 되면 이것은 다 온갖 용과 귀신이 행동하고 지나가는 것이므로 방에 들어가서 문을 닫고 향을 피우고 단정히 앉아 있으면 상하지 않는다.
○ 위생가(衛生歌)에 “사철 중에 여름철이 조섭하기 힘들 도다, 묵은 추위 속에 있어 설사하기 아주 쉽네, 신장기운 보 할 약은 없어서는 아니 되고, 싸늘하게 식은 음식 입에 대지 말 것이다, 심장기운 왕성하고 신장기운 쇠약하여, 정기(精氣)를 아끼는 게 첫째 가는 조섭일세, 문을 닫고 누워 자며 정신 너무 쓰지 말라, 얼음물과 찬 과실도 지나치면 해롭다네, 가을철 들어서서 학질 이질 앓기 쉽네”라고 노래하였다.
○ 구선은“여름 한철은 사람의 정신이 피로해지는 시기이고 심은 왕성해지며 신은 쇠약해진다. 신에 의해 물이 되고 그것이 가을에 이르러 응결되고 겨울에 가서 굳어진다. 그러므로 여름에는 더욱 신을 보양하고 아껴야 한다. 때문에 여름에 늙은이, 젊은이 할 것 없이 다 더운 음식을 먹는다면 가을이 되어서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지 않는다. 뱃속이 늘 따뜻하면 모든 병이 생기지 않으며 혈기가 왕성해진다”고 하였다.
[註] 옛사람들은 4절기에 4방위와 음양을 결부시켜 봄, 여름은 동남쪽에 해당되고 양이며 가을과 겨울은 서북쪽에 해당하며 음이라고 하였다. 여기에 근거하여 해당 계절에 순응해야 좋다고 하면서 봄, 여름에 동쪽을 향해 누우라고 했으며 또 북쪽은 순음의 죽은 기운이 지배한다고 해서 머리를 그 쪽에 두지 말라고 했다.
[註] 옛날에 폭풍우나 우레와 번개 등은 모두 귀신이나 용이 조화를 부리고 지나가는 것으로 인식하였는데 방에 들어가서 문을 닫고 향을 피우며 단정히 앉아 있어야 몸을 상하지 않는다고 했다.

선현들의 격언[先賢格言]

진인의 『양생명(養生銘)』에 “사람이 몸을 단련하면 모든 병이 생기지 않으며 술을 마실지라도 지나치게 취하지 않게 마신다면 모든 병이 자연히 생기지 않는다. 음식을 먹은 뒤에 100보 가량 거닐고 나서 자주 손으로 배를 문지르며 인일과 축일에 손발톱을 깎고 머리를 1백번 빗질하며 배부를 때에는 서서 오줌을 누고 배고플 때에는 앉아서 오줌을 눌 것이다. 밖으로 나다닐 때에 찬바람을 쏘이지 말고 방에 있을 때에는 적은 틈이라도 없게 하며 매일 밤 발을 씻고 자야 한다. 너무 배불리 먹는 것은 결국 이로울 것이 없고 생각하고 걱정하는 것은 정신을 상하게 하며 너무 좋아하고 성내는 것은 기를 잘 상하게 한다. 매일 코털을 뽑거나 늘 가래침을 땅에 뱉지 않도록 습관을 붙이며 날이 밝아서 일어나려고 할 때에 침대에서 먼저 왼발을 내디디고 내려오면 종일 재해가 없고 사기를 막아내며 악귀를 피할 수 있다. 만약 칠성걸음(七星步)을 하면 오래 살고 편안하다. 신맛을 좋아하면 힘줄이 상하고 쓴맛을 좋아하면 뼈를 상하며 단맛을 좋아하면 몸에 이롭지 않으며 매운 것을 많이 먹으면 정기가 소모되고 짠것을 많이 먹으면 수명을 단축한다. 그렇다고 해 한 가지에만 치우쳐 먹지 말 것이다. 봄과 여름에는 성교를 적게 하고 가을과 겨울에는 양기(陽氣)를 튼튼히 하기에 힘쓸 것이다. 혼자 자는 것은 진기(眞氣)를 보존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숙하게 지내는 것이 가장 좋다. 돈과 재물을 가지고 있는 것은 본래부터 분수가 있다는 것을 알고 지금 가진 것에 만족을 느끼는 것이 몸에 이로울 것이고 너무 알려고 하는 것은 큰 화근이며 욕심을 적게 하면 일평생 근심이 없을 것이다. 정신이 안정되면 언제나 편안하고 도덕을 지키는 것은 일생에 좋으니 집안의 벽에 써두어 뜻 있는 사람에게 전한다”고 씌어 있다.
[註] 몸을 음양으로 갈라볼 때 왼쪽이 양이고 또 아침은 양기가 처음 퍼지는 때라 하여 아침에 일어나 침대에서 내려설 때 먼저 왼발을 내디디면 마치 하루종일 양기가 작용해서 재해와 사기를 막아낸다는 말.
[註] 칠성걸음(七星步) : 도교에서 북두칠성에게 예배할 때 일정한 규정에 의해 걷는 걸음을 말하는데 마치 이렇게 걸으면 오래 살고 편안하게 된다고 한다.
○ 손진인의 『침상기(枕上記)』에 “새벽에 한 그릇의 죽을 먹고 저녁밥은 지나치게 먹지 말 것이다. 새벽 종소리를 듣고 이빨을 36번 쪼고 심한 추위와 더위에 조심해야 한다. 또한 색욕을 탐내지 말고 술에 취하거나 지나치게 먹고 성교를 하지 말 것이다. 성교하면 5장이 다 뒤집히는 것 같다. 뜸을 떠서 몸을 건강하게 하려는 것이 어찌 혼자 자는 것만 하겠는가. 바람받이에 앉거나 눕지 말며 따뜻한 곳에서 목욕을 자주 하고식사를 다 한 다음에 100걸음쯤 거닐고 늘 손으로 배를 문지르며 비늘이 없는 물고기와 여러 가지 새나 짐승의 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절로 죽은 새나 짐승의 고기를 먹으면 흔히 수명이 짧아진다. 흙과 나무로 형체를 만들어놓고 정성을 드리면 은혜와 복이 있을 것이다. 아버지에게서 받은 정(精)과 어머니에게서 받은 살[肉]이거늘 어찌 남(南)과 북(北)을 가르겠는가. 목숨과 몸을 아끼는 사람은 6백(六白)이 옥과 같이 빛난다”고하였다.
○ 손진인의 『양생명(養生銘)』에 “너무 성내면 기를 상하고 생각이 많으면 정신이 몹시 상한다. 정신이 피로하면 마음도 지치기 쉬우며 기가 약하면 병이 따라온다. 슬퍼하고 기뻐하기를 지나치게 하지 말며 음식을 늘 적당히 먹고 밤에 취하지 않게 해야 한다. 첫새벽부터 성내는 것을 삼가 해야 하며 오후 10-11시가 되면 잘 때에 천고(天鼓)를 울리고 새벽 4-5시에 일어나서 입안의 침을 양치해서 삼키면 사기가 침범하지 못할 것이며 정기가 자연히 충족해질 것이다. 만약 여러 가지 병에 걸리지 않으려면 늘 5가지 매운 채소를 조절해 먹어야 한다. 그리고 정신을 편안히 하여 마음을 기쁘게 하며 기를 아끼고 고르게 하며 보전해야 한다. 오래 살고 빨리 죽는 것을 운명에 맡기지 말아야 한다. 오래 사는 것을 좌우하는 것은 사람의 수양에 달려 있다. 만약 이 도리를 잘 지킨다면 오래 살 수 있을 것이다”고 씌어있다.
[註] 5가지 매운 채소 : 마늘, 파, 생강, 겨자, 여귀 등.
○ 상진자(常眞子)의 『양생문』에 “술을 많이 마시면 혈기가 모두 문란해지며 기름기 없는 음식을 먹으면 정신이 자연히 안정된다. 밤에 양치하는 것은 오히려 아침에 양치하는 것보다 나으며 밤참을 먹는 것은 새벽밥을 먹는 것만 못하다. 이명(耳鳴)이 있으면 곧 신기(腎氣)를 보 해야 하며 눈이 어두우면 반드시 간(肝)을 치료해야 한다. 술을 적당히 마시면 자연히 비위가 건전해지고 사색을 적게 하면 반드시 정신이 안정된다. 땀이 났을 때 바람을 쏘이지 말며 배고플 때에 차를 마시지 말아야 한다”고 씌어 있다.
○ 동원의 『생언잠(省言箴)』에 “기(氣)는 곧 신(神)의 아버지 격이며 정(精)은 기의 아들 격이다. 기는 정신의 근본이다. 기가 쌓여서 정을 이루고 정이 쌓여서 정신을 건전케 한다. 반드시 정신을 맑게 하고 정숙하게 하면서 그것을 잘 활용하면 자연에 잘 적응된 사람이 될 것이다. 이 이치를 아는 사람이라야 할 수 있는 일인데 내가 별다른 사람인가. 말이나 적게 할뿐이다”고 씌어 있다.
○ 단계의 『음식잠(飮食箴)』에 “사람의 몸이 귀중한 것은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몸이기 때문이다. 음식 때문에 몸을 상하는 사람이 세상에 그득하다. 사람은 목이 마르고 배고플 때 음식을 먹음으로써 살아 나간다. 암둔한 사람은 입에서 당기는 대로 음식을 지나치게 먹는 데서 병이 계속 생기게 된다. 병이 처음 생길 때에는 그 증상이 똑똑하지 않아서 음식을 먹고 싶은 대로 먹어 병이 생기는 것을 소홀히 하다가 병이 심하게 되면 음식을 전혀 먹지 못한다. 그리하여 부모에게 근심을 끼치고 의사를 찾으며 기도를 드리는 등 온갖 짓을 다 한다. 일하는 사람은 기름기 없는 음식을 먹고 산이나 들에서 살면서 부지런히 일하므로 몸이 편하다. '다 같은 기온과 체격을 타고나서 나 혼자만 왜 병이 많은가?'하고 한번 뉘우칠 때에 정신이 번쩍 들게 된다. 그러므로 『주역』의 상사에 음식을 조절하라 하였고 맹자는 조그마한 음식을 탐내 먹고 큰 것을 잃지 말라고 하였다. 입은 병을 생기게 할 뿐 아니라 사람의 위신까지 손상시킨다. 입을 조심하여 음식을 함부로 먹지 말라고 하였다”고 씌어 있다.
○ 단계의 『색욕잠(色慾箴)』에 “사람이 날 때에 자연의 기운을 타고난다. 남녀가 배합 되어 부부가 되면 아이가 생기게 된다. 남녀가 성숙되어서 혈기가 왕성할 때 결혼을 하여 때맞춰 성교를 하면 아이가 태어나게 된다. 그 요점이 여기에 있는 것이다. 그런데 암둔한 사람은 정욕이 통하는 대로 성생활을 하고서도 욕심을 더 채워보려고 성질이 조(燥)하고 독이 있는 약을 보약으로 자주 먹는다. 기는 양이고 혈은 음이다. 이것들은 몸의 신기이다. 음이 고르고 양이 든든해야 몸이 언제나 건강할 수 있다. 혈기가 얼마나 되기에 스스로 아끼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음양관계에서 생긴 몸이 음양관계에 의해서 해를 보게 된다. 여자가 성욕에 치우치면 욕심을 막을 길이 없는 것이다. 남녀관계가 엄격하면 집안이 화합할 것이다. 남자가 정색을 탐낸다면 그 집은 자연히 망하게 되고 위신을 잃을 뿐 아니라 몸이 역시 여위게 된다. 여자를 멀리하면 음탕한 마음이 없어지며 음식을 맛있고 알맞게 먹으면 몸도 편안해지며 병도 낫는다”고 씌어 있다.

병들지 않게 하며 건강하고 오래 살게 하는 약[養性延年藥餌]

경옥고, 삼정환, 연년익수불로단, 오로환동단, 연령고본단, 반룡환, 이황원, 현토고본환, 고본주 등은 모두 건강하게 하고 오래 살게 한다.

경옥고(瓊玉膏)
정(精)과 수(髓)를 불쿠어 주고 진기를 고르게 하며 원기를 보하여 늙은이를 젊어지게 하고 모든 허손증(虛損證)을 보하며 온갖 병을 낫게 한다. 또한 정신이 좋아지고 5장이 충실해지며 흰머리가 다시 검어지고 빠진 이가 다시 나오며 걸음걸이가 뛰는 말과 같이 빨라진다. 하루에 두세번 먹으면 종일토록 배고프거나 목이 마르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이 약의 효과는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1제를 5몫으로 나누어 쓴다면 5명의 반신불수 환자를 치료할 수 있고 1제를 10몫으로 나누어 쓰면 10명의 노채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 만약 이 약을 27살부터 먹기 시작하면 360살까지 살 수 있고 만약 64살부터 먹기 시작하면 500살까지 살게 될 것이다. 생지황(生地黃, 짓찧어 즙을 낸다) 9,600g, 인삼(보드랍게 가루낸 것) 900g, 흰솔풍령(백복령, 보드랍게 가루낸 것) 1,800g, 꿀(졸여서 찌꺼기를 버린 것) 6,000g. 위의 약들을 한데 고루 버무려 사기항아리에 넣고 기름먹인 종이로 항아리 아가리를 5겹으로 싼 다음 또 두꺼운 베천 한 겹으로 단단히 싸서 봉한다. 이것을 물을 넣은 구리 솥 안에 띄워 놓되 항아리 아가리가 물 밖으로 나오게 한다. 그 다음 뽕나무장작으로 3일 동안 불을 땐다. 만약 솥의 물이 줄면 더운물을 더 붓는다. 3일 동안 달인 다음 꺼내 다시 밀 먹인 종이로 항아리 아가리를 잘 싸서 봉한다. 이것을 우물물 속에 하루동안 담가 두었다가 꺼내 다시 먼저 끓이던 물에 넣고 24시간 동안 달인다. 물기가 다 없어지면 꺼낸다. 먼저 조금 떼 내 천지신명에게 제사를 지내고 나서 한번에 한두 숟가락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 술을 마시지 못 하면 끓인 물로 먹는다. 하루에 두세 번씩 먹는다. 만약 여름철 더울 때에는 서늘한 곳이나 얼음 속이나 땅 속에 파묻어 두어야 한다. 반드시 닭과 개소리가 들리지 않는 조용한 곳에 두어야 한다. 약을 만들 때에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무쇠그릇을 쓰지 말 것이며 먹을 때에는 파, 마늘, 무, 식초, 신 것들을 먹지 말아야 한다[입문].
○ 『위생방』에는 “생지황 4.8kg, 인삼 1.2kg, 흰솔풍령(백복령) 900g, 꿀(봉밀) 3kg을 쓴다”고 씌어 있다.
○ 영락 때에 태의원회의에서 천문동, 맥문동, 지골피 각각 300g을 더 넣어 약을 만들어 임금에게 올려 먹게 하였는데 임금이 그 약이름을 익수영진고(益壽永眞膏)라고 불렀다.

삼정환(三精丸)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오래 살게 되며 얼굴이 젊은이와 같이 된다.
삽주(창출, 천정(天精)이다), 지골피(지정(地精)이다) 각각 깨끗하게 가루 낸 것 600g, 익은 오디(인정(人精)이다) 12,000g.
위의 익은 오디를 주물러서 명주자루에 넣고 즙을 짜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위의 두 가지 약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단지에 넣고 아가리를 꼭 봉한다. 이것을 시렁 위에 얹어 낮에는 햇빛을 받게 하고 밤에는 달빛을 받게 하면서 자연히 끓어올라 마르게 한다. 이것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팥알 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술이나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연년익수불로단(延年益壽不老丹)
적하수오 160g, 백하수오 160g(위의 두 가지 약을 쌀 씻은 물에 담가서 만문하게[軟] 되면 참대칼로 껍질을 벗겨버리고 썰어서 검정콩을 달인 물에 담갔다가 물이 잦아들면 그늘에서 말린다. 그 다음 다시 감초즙에 버무리 햇볕에 말려 짓찧어서 가루 내는데 찌지는 말아야 한다), 지골피(술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 것), 흰솔풍령(백복령, 술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 것) 각각 200g, 생건지황(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것), 찐지황(숙지황, 술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 것), 천문동(술에 3시간 담갔다가 심을 버리고 햇볕에 말린 것), 맥문동(술에 3시간 담갔다가 심을 버리고 햇볕에 말린 것), 인삼(노두를 버린 것) 각각 12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 내어 졸인 꿀(煉蜜)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 씨 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 이 약은 천 가지 백 가지로 몸을 좋게 하고 보 한다. 이 약을 10일 혹은 한달 동안 먹으면 좋아져서 몰라보게 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늘 먹으면 그 효과를 다 말할 수 없다. 여조(呂祖)가 신선 공부를 할 때에 이 약을 쓴 데로부터 알려졌다[필용방].

하령만수단(遐齡萬壽丹)
『시(詩)』에“하령만수단 먹으면 정신이 든다네. 암탉이 알 품듯이 알껍질에 약을 넣어, 품안에 고이 품어 날짜를 채우며, 으슥한 방문을 닫아 사람 하늘 뵈지 않게 하여, 갑자일과 경신일 두 날 밤에 알약 지어 먹는다네, 한번 품어 60번을 두번 품어 120번, 가루내어 품는 대로 수명연장 할 것이며, 이 알약을 먹어두면 뼈마저 변화되어, 세상처럼 끝이 없이 장생불사 할 수 있네, 비방 중의 비방으로 묘하고도 묘하도다”고 씌어 있다.
복신, 적석지, 조피열매(산초, 진이 나게 약간 볶은 것) 각각 40g, 주사(가루 내어 수비한 것), 유향(골풀속살(등심초)과 같이 간 것) 각각 40g.
위의 약에서 따로 가루 낸 주사와 유향을 제각기 달걀 2개(흰자위와 노른자위를 다 꺼낸 것)의 껍질 속에 넣고 7겹의 종이를 바르고 퍼런 비단주머니에 넣어서 정력이 왕성한 부인의 품에 품어서 늘 따뜻하게 한다. 주사는 35일 동안, 유향은 49일 동안 품었다가 꺼내 다시 갈아서 위의 3가지 약을 고루 섞이게 가루낸 다음 찐 대추살로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날마다 3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 혹은 인삼을 달인 물로 먹기도 한다. 한달 후에는 양을 더 늘려 40알씩 먹는다. 갑자일이나 경신일 깊은 밤 조용한 곳에서 알약을 만들되 부인들에게 보이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닭과 개가 보는 데서 만들지 말아야 한다[단계심법].
○ 『회춘』에는 일명 오로환동단(五老還童丹)이라고도 한다고 하였다.
[註] 갑자일과 경신일 조용한 곳에서 약을 만들라고 한 것은 6갑으로 표현한 연월일을 가지고 좋은 일과 언짢은 일, 화와 복을 받는 날이 각각 따로 있다는 것을 믿는데서 나온 말이며 부인들에게 약을 보이지 말아야 하고 또 닭과 개가 보는 데서 만들지 말라는 것은 약을 정하고 깨끗하게 만들라는 것을 강조한 끝에 이렇게 말한 것. 개와 닭은 더러운 것을 먹기 때문이고 부인은 월경을 한다는 것과 남존여비사상에 나온 말.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온갖 허증(虛證)과 여러 가지 허손증(虛損證), 중년에 성기능이 약해진 것, 50살도 되기 전에 수염과 머리털이 희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을 반달만 먹으면 성기능이 세지고 한달을 계속 먹으면 얼굴이 젊은이와 같아지고 눈은 10리를 능히 볼 수 있다. 3달 동안 먹으면 흰머리가 검어지고 오랫동안 먹으면 정신과 기운이 쇠약해지지 않으며 몸이 가뿐해지고 건강해져서 오래 살 수 있다.
새삼씨(토사자, 술로 법제한 것), 육종용(술에 씻은 것) 각각 160g, 천문동, 맥문동, 생지황, 찐지황(숙지황, 모두 술로 법제한 것), 마, 쇠무릎(우슬, 술에 씻은 것), 두충(생강즙을 축여 볶은 것), 파극(술에 담갔다가 심을 버린 것), 구기자, 산수유(술에 쪄서 씨를 버린 것), 흰솔풍령(백복령), 오미자, 인삼, 목향, 측백씨(백자인) 각각 80g, 복분자, 길짱구씨(차전자), 지골피 각각 60g, 석창포, 조피열매(산초), 원지(감초를 달인 물에 담갔다가 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택사 각각 4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술을 두고 쑨 묽은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 부인이 쓸 때에는 당귀(當歸)와 적석지(赤石脂)를 각각 40g씩 더 넣어 쓴다. 무, 파, 마늘, 쇠고기, 식초, 신 것, 엿, 사탕, 양고기 등은 먹지 말아야 한다[회춘].

반룡환(斑龍丸)
늘 먹으면 더 오래 살 수 있다.
녹각교, 녹각상, 새삼씨(토사자), 측백씨(백자인), 찐지황(숙지황) 각각 300g, 흰솔풍령(백복령), 보골지 각각 16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술을 두고 쑨 쌀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혹은 녹각교를 좋은 술에 넣고 끓여 녹인 것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생강과 소금을 끓인 물로 먹는다. 옛날 촉나라에 한 늙은이가 있었는데 이 약을 시장에서 팔 때마다 하는 말이 나이가 380이라고 하면서 자주 다음과 같은 노래를 불렀다.“미려(尾閭)활동 계속하면 창해(滄海)도 마르거든, 구전금단(九轉金丹) 있단 말을 누구라서 믿을손가, 이마 위에 야광주로 반룡환이 나왔다네, 가슴속에 피를 도와 장생불사 시킨다네” 이것을 배운 사람들이 이 처방을 전해 받았다. 그 늙은이는 백학이 되어 날아갔는데 그 종적은 알 수 없다[정전].

인삼고본환(人蔘固本丸)
일명 이황원(二黃元)이라고도 한다. 대체로 사람의 심(心)은 혈(血)을 저장하고 신(腎)은 정액을 저장한다. 정(精)과 혈(血)이 충실하면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으며 얼굴빛이 좋아지며 오래 산다. 약으로 보양하려면 생지황과 찐지황(숙지황) 보다 나은 것이 없다. 세상사람들은 생지황과 찐지황(숙지황) 을 먹을 줄만 알고 천문동과 맥문동으로 약 기운을 이끌어가게 할 줄은 모른다. 대개 생지황은 심혈을 생기게 하는데 맥문동을 쓰면 약 기운을 혈기가 생기게 하는 곳까지 잘 이끌어간다. 그리고 찐지황(숙지황)은 신과 정을 보 하는데 천문동을 쓰면 약 기운을 보 하는 곳까지 잘 이끌어간다. 이렇게 4가지 약은 상호 작용한다. 또 여기에 심기를 통하게 하는 인삼을 넣어 주약으로 했다.
천문동(심을 버리고 생강즙에 2일 동안 담갔다가 또 술에 2일 동안 담근다), 맥문동(심을 버리고 술에 2일 동안 담갔다가 쌀 씻은 물에 3일 동안 담근다), 생건지황, 찐지황(숙지황, 둘 다 술에 담근다)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갈아서 진흙같이 하거나 혹은 절구로 짓찧어 살구씨를 달인 물에 풀어서 깨끗이 거른 다음 찌꺼기를 다시 갈아서 거른다. 이 즙을 가라앉혀서 농마가 앉으면 웃물을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여기에 인삼가루 40g을 더 넣어 꿀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무, 파, 마늘을 먹지 말아야 한다[필용방].

현토고본환(玄 固本丸)
위와 같은 병들을 치료한다.
새삼씨(토사자, 술로 법제한 것), 찐지황(숙지황) , 생건지황(둘 다 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천문동, 맥문동(둘 다 술에 담갔다가 심을 버린것), 오미자, 복신 각각 160g, 마(약간 닦은 것) 120g, 연밥(연실), 인삼, 구기자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심법].

고본주(固本酒)
허로병(虛勞病)을 치료하는데 허한 것을 보하고 오래 살게 하며 머리털을 검게 하고 얼굴빛을 좋게 한다.
생건지황, 찐지황(숙지황) , 천문동, 맥문동(둘 다 심을 버린다),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80g, 인삼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좋은 술 10병을 둔 사기단지에 넣는다. 3일 동안 담가 두었다가 약하지도 세지도 않은 불에 2-4시간 달인다. 술빛이 거멓게 되면 빈속에 3-5잔을 마신다[위생편].

오수주(烏鬚酒)
위와 같은 병들을 치료한다.
황미(밥을 짓는다) 3말, 맥문동320g, 생지황, 은조롱(☞3963;하수오) 각각 160g, 천문
동, 찐지황(숙지황) , 구기자, 쇠무릎(우슬), 당귀 각각 80g, 인삼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좋은 누룩과 함께 찰기장쌀밥에 섞어 보통 술을 빚는 것처럼 넣어 두었다가 술이 된 후에 청주만 떠서 매일 1-2잔씩 조금 취할 정도로 이른 새벽에 마신다. 소주, 무, 파, 마늘, 쇠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황미는, 즉 찰기장쌀이며 빛이 누른 것을 말한다[회춘].

단방(單方)

단지 한 가지 약만을 가지고 알약을 만들거나 가루를 내거나 달여 먹는다. 알약이나 가루약으로 먹을 때에는 한번에 8g씩 먹는다. 달여 먹을 때에는 한번에 20g씩 먹는다. 모두 23가지이다.

황정(黃精, 낚시둥글레)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얼굴이 좋아지며 늙지 않고 배가 고프지 않다. 낚시둥글레의 뿌리, 줄기, 꽃, 열매를 다 먹는다. 뿌리를 캐서 먼저 물에 우려 쓴맛을 뺀 다음 아홉번 찌고 아홉번 말려 먹는다. 혹은 그늘에서 말려 가루낸 다음 날마다 깨끗한 물에 타 먹는다.약 먹을 때에 매화열매를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창포(菖蒲, 석창포)
몸이 가뿐해지고 오래 살며 늙지 않는다. 석창포뿌리를 캐서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다. 이것을 가루내어 찹쌀죽과 함께 졸인 꿀[煉蜜]에 섞어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이 약을 술이나 미음으로 먹되 아침에 30알, 저녁에 20알을 먹는다[본초].
○ 석창포술을 만드는 방법은 석창포뿌리를 짓찧어 낸 즙 5말과 찹쌀 5말로 지은 밥과 보드랍게 가루내어 만든 약누룩 3kg을 함께 고루 섞어서 반죽한 다음 보통 술을 빚는 것처럼 담근다. 술이 익은 다음 청주를 떠 오랫동안 마시면 정신이 좋아지고 더 오래 산다[입문].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몸이 가뿐해지고 늙지 않으며 오래 산다. 단국화의 싹, 잎, 꽃, 뿌리를 다 먹는다. 그늘에 말린 다음 가루내어 술에 타 먹거나 꿀로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두고 오랫동안 먹기도 한다[본초].
○ 국화술을 만드는 방법은 단국화, 생지황, 지골피 각각 5되에 물 10말을 두고 5말이 되게 달인 것과 찹쌀 5말로 지은 밥과 보드랍게 가루내어 만든 누룩을 함께 버무려 항아리에 넣는다. 술이 익은 다음 청주만을 떠서 태워 먹으면 뼈와 힘줄이 든든해지고 골수를 보하며 오래 살게 된다. 흰 국화가 더 좋다[입문].

천문동(天門冬)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오래 살며 배고프지 않다. 천문동뿌리를 캐 겉껍질과 심을 버린 다음 가루내어 술에 타 먹는다. 혹은 생것을 짓찧어 즙을 내 달인 다음 고약을 만들어 1-2숟가락씩 술에 타 먹는다. 한(漢)나라 태원(太原)사람 감시(甘始)는 천문동을 먹고 300여 년이나 살았다고 한다[본초].
○ 천문동술을 만드는 방법은 천문동뿌리를 캐 짓찧어 낸 즙 2말과 찹쌀밥 2말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만든 누룩과 함께 섞어서 보통 술을 빚는 것처럼 담근다. 술이 익은 다음 청주를 떠서 마신다. 마른 것으로 가루내어 술을 빚어 먹는 것도 좋다. 약 먹을 때 잉어를 먹지 말아야 한다[입문].

지황(地黃)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늙지 않는다. 지황뿌리를 캐 씻어서 짓찧어 낸 즙을 달인다. 이것이 걸쭉해졌으면 꿀을 넣고 다시 달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하루 세번 술로 빈속에 먹는다. 파, 마늘, 무를 먹지 말며 약을 만들 때 쇠그릇을 쓰지 말아야 한다[본초].
○ 지황술을 만드는 방법은 찹쌀 1말을 100여 번 씻은 것과 생지황 1.8kg을 잘게 썬 것을 함께 찐 다음 흰누룩을 두고 버무려 술을 빚는 것처럼 담근다. 술이 익으면 청주를 떠서 마신다[입문].

출(朮, 삽주)
이 약을 달여서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오래 산다. 일명 산정(山精) 이라고도 한다. 『신농약경』에는 반드시 오래 살고 싶거든 늘 산정을 먹으라고 하였다. 삽주뿌리를 캐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검은 겉껍질을 벗겨버리고 닦아서 짓찧어 가루낸 것 600g에 쪄낸 솔풍령(복령) 300g을 섞어서 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혹은 즙을 내 달여 술에 타 먹거나 졸여 걸쭉한 것으로 알약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복숭아, 오얏, 참새고기, 조개, 파, 마늘, 무를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선출탕(仙朮湯)을 늘 먹으면 오래 살고 눈이 밝아지며 얼굴빛이 좋아지고 몸이 가뿐해지며 늙지 않는다. 삽주 840g, 대추살 6되, 살구씨(행인) 96g, 건강(싸서 구운 것) 20g, 감초(닦은 것) 200g, 흰 소금(닦은 것) 400g 등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끓인 물로 빈속에 타 먹는다[국방].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오랫동안 먹으면 눈이 밝아지고 몸이 가뿐해지며 오래 산다. 새삼씨를 술에 담갔다가 쪄서 햇볕에 말리기를 아홉번 하여 가루낸다. 한번에 8g씩 하루 두번 데운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본초].

백초화(百草花)
온갖 병을 치료하며 오래 살게 된다. 100가지 풀의 꽃을 따서 그늘에 말린다. 이것을 가루내어 술에 타 먹는다. 또한 꽃을 달여서 즙을 내 술을 빚어 먹기도 한다[본초].
하수오(何首烏, 은조롱) 오랫동안 먹으면 수염과 머리털이 검어지고 정수(精髓)가 불어나며 오래 살고 늙지 않는다. 약을 먹을 때 파, 마늘, 무, 비늘이 없는 고기를 먹지 말며 쇠그릇을 쓰지 말아야 한다[본초].
○ 은조롱뿌리를 캐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만문해지면[軟] 참대칼로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잘게 썰어서 검정콩을 달인 물에 담가 둔다. 물이 스며들었으면 그늘에 말린다. 이것을 다시 감초를 달인 물로 버무려서 햇볕에 말린 다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 먹는다. 혹 꿀로 알약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 하수오환(何首烏丸)은 오래 살게 한다. 600g을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잘게 썰어서 첫아들을 낳은 어머니의 젖에 버무려 햇볕에 말리기를 한두번 한다. 이것을 가루내어 대추살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첫날에는 20알을 먹고 그 다음부터는 날마다 10알씩 더 먹되 100알 이상은 먹지 말아야 한다.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이 약은 양기가 몹시 허한 사람이 아니면 한 가지 약으로만 먹지 못한다[입문].

송지(松脂, 송진)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늙지 않으며 오래 산다. 달이는 방법은 송진 4.2kg을 뽕나무잿물 10말에 넣고 세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찬물에 넣어 엉기면 다시 달이기를 열번만 하면 빛이 희어진다[득효방].
○ 먹는 방법은 달인 송진을 짓찧어 채로 쳐서 꿀을 탄 좋은 술로 반죽한 다음 엿처럼 만들어 하루 40g을 먹는다[득효방].
○ 솔잎 먹는 방법은 솔잎을 따서 잘게 썬 다음 다시 갈아서 술로 12g을 먹는다. 또는 미음에 타 먹기도 한다. 또는 닦은 검정콩과 같이 짓찧어 가루낸 다음 더운물에 타 먹는 것이 더욱 좋다[속방].

괴실(槐實, 홰나무열매)
오랫동안 먹으면 눈이 밝아지고 수염과 머리털이 검어지며 오래 산다. 홰나무는 허성(虛星)의 정기인데 음력 10월 첫 사일(巳日)에 열매를 따먹으면 온갖 병이 없어지고 오래 산다[본초].
[註] 허성(虛星) : 28수의 하나. 황도를 중심으로 둘러싸고 있는 28개의 성좌의 하나.
○ 괴담환(槐膽丸)은 눈이 밝아지고 머리털이 검어지며 이가 든든해지고 오래 살게 한다. 음력 10월 첫 사일(巳日)에 홰나무열매를 따서 항아리에 넣고 아가리를 덮은 다음 소금을 두고 이긴 진흙으로 싸발라서 뒤뜨락 그늘진 담장에 3자 깊이로 구덩이를 파고 묻는다. 음력 12월 8일에 꺼내어 껍질은 버리고 검은 씨를 우담(牛膽) 속에 넣어 그늘에다 높이 매달아서 말린다. 다음해 청명날에 꺼내어 날마다 1알씩 끓인 물로 빈속에 먹되 첫날에는 1알, 다음날에는 2알을 먹는다. 점차 양을 늘려서 15알까지 먹는다. 그 다음부터는 날마다 1알씩 줄여 먹되 1알까지 이르게 먹는다. 이렇게 몇 번이고 되풀이하면서 먹는다[입문].

백엽(柏葉, 측백잎)
오랫동안 먹으면 모든 병이 없어지고 오래 산다. 측백잎을 따서 그늘에서 말린다. 이것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81알을 술로 먹는다. 1년을 먹으면 10년 더 살 수 있고 2년을 먹으면 20년을 더 살 수 있다. 여러 가지 고기와 5가지 매운 남새를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측백잎차는 동쪽으로 뻗은 측백나무의 잎을 따다가 시루나 밥가마에 넣고 찐다. 이것을 물로 여러 번 씻어 그늘에서 말린 다음 날마다 달여 먹는다[입문].
[註] 모든 나뭇가지나 잎이 동쪽에 있는 것은 태양빛을 제일 먼저 받기 때문에 효과가 더 많다는 것과 동쪽은 해가 뜨는 좋은 방위라고 생각한 데서 나온 말.

구기(枸杞, 구기자나무)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늙지 않으며 추위와 더위를 잘 견디고 오래 산다. 구기는 줄기의 껍질, 지골은 뿌리의 껍질, 구기자는 빨갛게 익은 열매를 반드시 쓰는데 잎도 같은 효과가 있다. 뿌리, 줄기, 잎, 씨를 다 먹을 수 있다. 연한 잎으로 국을 끓여 먹거나 나물을 무쳐 먹을 수도 있다. 껍질과 열매를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늘 먹는다. 또 술에 담갔다가 그 술을 마시기도 한다.
○ 금수전(金髓煎)은 새빨갛게 익은 구기자를 따서 두 달 동안 술에 담갔다가 건져내어 문드러지게 갈아서 천으로 걸러 찌꺼기는 버린다. 이 즙을 약을 담갔던 술과 함께 은이나 돌그릇에 넣고 달여 고(膏)를 만든다. 날마다 큰 숟가락으로 두 숟가락씩 하루 두번씩 따뜻한 술로 먹는다. 오랫동안 먹으면 날아갈 것같이 된다[본초].
복령(茯령, 솔풍령) 오랫동안 먹으면 배고프지 않고 오래 살며 늙지 않는다. 흰솔풍령(백복령)에 흰국화를 섞거나 흰삽주(백출)를 섞어서 알약이나 가루약을 만들어 마음대로 먹을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흰솔풍령껍질을 버리고 술에 15일 동안 담가 두었다가 건져내어 가루를 낸 다음 한번에 12g씩 하루 세번 물로 먹는다. 오랫동안 먹으면 오래 살고 늙지 않으며 얼굴이 젊은이와 같이 된다[본초].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늙지 않는다. 오갈피의 뿌리와 줄기를 달여 보통 술 빚는 방법과 같이 술을 만들어 마신다. 주로 보한다. 혹은 달여서 차 대신에 마셔도 좋다. 세상에 오갈피술과 오가피산을 먹고 오래 산 사람이 헤아릴 수 없이 많다[본초].

상심(桑심, 오디)
오랫동안 먹으면 흰머리가 검어지고 늙지 않는다. 오디가 새까맣게 익은 것을 따서 햇볕에 잘 말리어 가루낸 다음 꿀로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오랫동안 먹는다. 또한 많이 따서 술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이 술은 주로 보 한다[본초].

연실(蓮實, 연밥)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늙지 않으며 배고프지 않고 오래 산다. 연밥의 껍질과 심을 버리고 가루내어 죽을 쑤거나 갈아서 싸라기를 내어 밥을 지어 늘 먹기도 하는데 다 좋다. 또는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 오랫동안 먹으면 오래 산다[본초].

검인(검仁, 가시연밥)
이것이, 즉 계두실(鷄頭實)이다.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배고프지 않으며 늙지 않는다. 『선방(仙方)』에는 이것을 따서 연밥(연실)과 같이 먹는 것이 퍽 좋다고 하였다. 가루내서 먹으면 효과가 아주 좋다. 이 약은 장수하는 약이므로 먹으면 오래 산다.
○ 가시연밥죽(검仁粥)은 흰쌀 1홉에 가시연밥 2홉을 섞어서 죽을 쑨 것인데 빈속에 먹으면 정기를 보하고 귀와 눈이 밝아지며 오래 산다[본초].

해송자(海松子, 잣)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오래 살며 배고프지 않고 늙지 않는다. 죽을 쑤어 늘 먹는 것이 제일 좋다[본초].

호마(胡麻, 참깨)
즉 검은참깨(黑脂麻)이다.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늙지 않으며 배고프거나 목이 마르지 않으며 오래 산다. 참깨를 일명 거승(巨勝)이라고도 한다. 꿀 1되에 참깨 1되를 합해서 만든 것을 일명 정신환(靜神丸)이라고 한다. 먹는 방법은 참깨를 아홉번 찌고 아홉번 햇볕에 말려 고소하게 닦아서 가루 낸 다음 꿀로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알씩 술로 먹는다. 독 있는 물고기나 채소를 먹지 말아야 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오래 산다.
○ 노나라 여자가 참깨와 삽주(창출)를 먹고 곡식으로 만든 음식을 끊은 지 80년이 되었는데 매우 젊고 건강하여 하루에 300리 길을 걸었다고 하였다.
○ 참깨와 콩, 대추를 같이 아홉번 찌고 아홉번 햇볕에 말려 단(團)을 만들어 먹으면 오래 살 수 있고 곡식으로 만든 음식을 끊을 수 있다[본초].

만청자(蔓菁子, 순무씨)
오랫동안 먹으면 곡식을 먹지 않고도 살 수 있고 오래 살 수 있다. 아홉번 쪄서 아홉번 햇볕에 말려 가루낸 다음 한번에 8g씩 하루 두번 물로 먹는다[본초].

인유즙(人乳汁, 젖)
5장을 보하고 오래 살게 하며 살찌고 윤기가 나게 한다. 달고 향기가 나는 젖을 짜서 은그릇에 넣고 푹 끓여 새벽 4-5시경에 뜨겁게 해서 먹는다. 젖을 한번 빨아들인 다음 곧 손가락으로 콧구멍을 막고 입술과 이를 맞붙이며 꿀꺽거려 젖과 침이 잘 섞이게 한 다음에 코로 공기를 들이쉬어 공기가 콧대를 거쳐 뇌로 들어가게 하면서 천천히 젖을 삼킨다. 이와 같이 모두 다섯에서 일곱번 하는 것을 한 차례로 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매우 좋다.
○ 장창(張蒼)이란 사람은 늘 젖을 먹었기 때문에 나이 100여 살이 지났어도 살이 찌고 그 빛이 박[瓠]과 같았다고 한다[본초심법].

백죽(白粥, 흰죽)
새벽에 일어나서 죽을 먹으면 가슴이 시원하고 위를 보하며 진액을 생기게 하고 하루종일 마음을 상쾌하게 하며 보하는 힘이 적지 않다. 저녁에 흰쌀을 푹 퍼지게 끓여 먹는다[입문].

신기한 베개를 만드는 방법[神枕法]

옛날 태산 아래에 한 늙은이가 살았는데 이름은 알 수 없다. 무제가 동쪽지방을 지나다가 길 옆에서 김을 매는 한 늙은이를 보았다. 잔등에 두어 자 되는 흰 광채가 있으므로 무제가 이상하게 여겨서 그에게 '도술을 쓰지 않는가'고 물었다. 늙은이가 대답하기를 “제가 일찍이 85살 때에 노쇠하여 죽을 지경이었고 머리가 희며 이가 빠졌는데 도사란 사람이 저에게 알려주기를 대추를 먹고 물을 마시면서 음식을 끊는 동시에 신기한 베개를 만들어 베라고 하였다. 그 베갯속에는 32가지 약을 넣었는데 그 가운데서 24가지의 좋은 약은 24절기에 맞는 것이고 나머지 8가지는 독약인데 8풍(八風)에 상응한다고 하였다. 제가 그 방법대로 만들어 베었더니 도로 젊어져서 흰머리가 검어지고 빠진 이가 다시 나오고 하루에 300리 길을 걸을 수 있게 되었다. 저는 금년에 180살이며 인간 세상을 떠나 산 속에 들어가지 못하고 자손들이 그리워 인간 세상에서 도로 곡식을 먹은지 이미 20여 년이 되었는데도 아직 신기한 베개의 효력으로 늙지 않았다”고 하였다. 무제가 그 늙은이의 얼굴을 보니 한 50살쯤 되는 사람같이 보이므로 의심스러워서 그 동네 사람에게 물어보니 다 그렇게 말했다. 무제가 그 방법대로 베개를 만들어 베었으나 곡식을 끊고 물만 마시는 것을 하지 못했다.
○ 신기한 베개를 만드는 법은 음력 5월 5일이나 7월 7일에 산에서 측백나무를 베어다가 길이 1자 2치, 높이 4치가 되는 베개를 만든다. 그 속을 파내어 1말 2되가 들어가게 하고 측백나무 속이 붉은 것으로 2푼 두께의 뚜껑을 만들되 열고 닫을 때 꼭 맞게 한다. 또 뚜껑 위에 3개의 줄을 긋고 송곳으로 1줄에 구멍(좁쌀알이 들어갈 만한 크기)을 40개씩 모두 120개를 뚫는다.
○ 여기에 쓰는 약은 궁궁이(천궁), 당귀(當歸), 구릿대(백지), 목련꽃봉오리, 두충, 흰삽주(백출), 고본(藁本), 목란(木蘭), 조피열매(산초), 계피(桂皮), 건강(乾薑), 방풍(防風), 인삼(人蔘), 도라지(길경), 흰솔풍령(백복령), 형실(荊實), 육종용(肉 蓉), 뻐꾹채, 측백씨(백자인), 율무쌀(의이인), 관동화(款冬花), 백미(白薇), 분지, 미무(靡無) 등 모두 24가지인데 이 약들은 24절기에 상응하고 독한 약 8가지는 8풍에 상응한다. 즉 오두(烏頭), 부자(附子), 박새뿌리, 주염열매(조협), 붓순, 반석(礬石), 끼무릇(반하), 족도리풀(세신) 들이다. 이 32가지의 약들을 각각 40g씩 썰어서 독약을 밑에 넣은 후 나머지 약을 넣어 속을 채워서 베천으로 베갯잇을 만든다. 이 베개를 100일만 베면 얼굴에 윤기가 나고 1년만 베면 몸에 있는 온갖 병이 다 낫고 몸에서 향기가 풍긴다. 4년을 베면 흰머리가 검어지고 빠진 이가 다시 나오며 귀와 눈이 밝아진다. 이와 같은 신기한 처방은 비밀히 간직하고 전할 만한 사람을 만나지 못하면 전하지 말아야 한다. 무제가 “동방삭(東方朔)에게 그럴 수 있는가”고 물으니 대답하기를 “옛날 여렴(女廉)이 이 방법을 옥청에게 전하니 옥청(玉靑)은 광성자(廣成子)에게 전하고 광성자는 황제에게 전하였다. 근래에는 곡성도사(穀城道士) 순우공(淳于公)이 이 약베개를 베었는데 나이 100여 살이 되어도 머리털이 희지 않았다. 대체로 병이 나는 것은 다 양맥을 따라 일어나는데 이 약베개를 베면 풍사가 사람에게 침범하지 못하는 것이 당연하다. 또 베천으로 베갯잇을 하여 씌웠다 해도 다시 가죽주머니로 잘 싸두었다가 누워 자려고 할 때에 그것을 벗기고 베어야 한다”고 하였다. 무제가 그 늙은이를 불러 상으로 천[匹帛]을 주었더니 그 늙은이는 받지 않고 말하기를 “신하 임금에 대해서 말한다면 자식이 아는 도를 아버지에게 올렸으니 도리상 상을 받을 수 없고 또한 신하는 도를 파는 사람이 아니며 임금님이 도를 좋아하시기 때문에 이것을 말씀드렸을 뿐입니다”고 하였다. 무제가 그만두고 다시 여러 가지 약을 내주었다[운급칠첨].

연제(煉臍)하는 법

즉 팽조(彭祖)가 말한 양기와 배꼽을 든든하게 해서 오래 살게 하는 방법이다(자세한 것은 배꼽문[臍門]에 있다).
[註] 연제법(煉臍法) : 양생법의 한 가지. 배꼽에 약을 채워 넣고 그 위에 뜸을 떠서 배꼽을 덥게 하는 방법이다. 훈제, 증제라고도 한다.

배꼽에 훈증하는 비방[重臍秘方]
온갖 병을 없애고 생명을 보호하며 오래 살게 한다(자세한 것은 배꼽문[臍門]에 있다).

배꼽에 뜸을 뜨는 방법[灸臍法]
어떤 사람이 늙어서도 얼굴이 젊은이와 같았다. 그는 매년 쥐똥으로 배꼽 한가운데다 뜸을 1장씩 떴기 때문이라고 했다[자생경].
○ 한옹(韓雍)이라는 사람이 대등형[侍]을 치고 한명의 적을 잡았는데 그는 100살이 넘었고 매우 건강하였다. 그 이유를 물으니 그가 말하기를 젊었을 때는 병이 많았는데 어떤 이인(異人)을 만나서 그가 가르쳐준 대로 배꼽에 뜸을 뜬 후부터 건강해졌다고 하였다[휘언].
[註] 이인(異人) : 보통사람과는 달리 앞일까지를 안다는 전설적인 사람.

노인보양[附養老]

늙는 것은 혈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老因血衰]
사람의 양쪽 신장 사이에 있는 흰 막 안에는 젓가락 크기만한 한 점의 동기(動氣)가 있는데 그것이 발동하고 변화하여 온몸을 돌면서 3초(三焦)를 훈증하여 음식을 소화시키고 밖으로부터 들어오는 6음(六淫)의 사기를 막아내고 안으로는 온갖 사고를 담당하여 밤낮 쉬지 않는다. 나이가 많아지면 정(精)과 혈(血)이 모두 줄어들어 젊었을 때에 하던 7규(七窺)가 정상적인 작용을 하지 못한다. 오히려 울 때에는 눈물이 나오지 않고 웃을 때는 오히려 눈물이 나온다. 또 걸쭉한 콧물이 많이 나오고 귀에서는 매미 우는 소리가 나며 음식을 먹었을 때 입이 마른다. 잘 때에 침을 흘리고 오줌이 자기도 모르게 나가며 대변이 몹시 굳거나 설사하기도 한다. 낮에는 졸음이 많고 밤에 누워도 정신이 또릿또릿하면서 잠이 들지 않는다. 이것이 늙은이의 병이다[입문].
[註] 6음(六淫) : 병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풍, 한, 서, 습, 조, 화를 말하는데 여러 가지 외감병의 원인.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풍, 한, 서, 습, 조, 화를 6기라 함.
[註] 7규(七竅) : 몸에 있는 일곱 개의 구멍, 즉 두 눈, 두 귀, 두 콧구멍, 입.

노인의 병을 치료하는 법[老人治病]

늙은이는 비록 외감(外感)이 있어도 쓰고 성질이 찬약과 땀을 많이 내거나 몹시 토하게 하거나 세게 설사시키는 약을 절대로 쓰지 말고 성질이 순한 약으로 조리하면서 치료할 것이다.
○ 늙은이가 오줌이 잦으면서 적게 나오는 것이 알리면[覺] 이것은 병이 더해진다는 것을 알고 곧 각병연수탕을 쓰는 것이 좋다. 병을 앓고 난 뒤에 허약한 데는 증손백출산을 쓴다.
오줌이 잦은 데는 신기환(腎氣丸)에서 택사(澤瀉)를 빼고 복신(茯神)과 익지인을 넣어 쓴다(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대변이 굳은 데는 소풍순기환(疎風順氣丸), 소마죽(蘇麻粥, 처방은 다 대변문에 있다)을 쓴다. 담병(痰病)에는 육군자탕(六君子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삼자양친탕(三子養親湯, 처방은 기침문에 있다), 윤하환(潤下丸), 이현산(二賢散, 처방은 다 담음문에 있다) 등을 쓴다[입문].

노인의 보양(老人保養)

만약 늙은이가 점점 피곤해 하고 수척해지면 반드시 덥게 보하는 약을 더 넣어 써야 하며 된죽을 먹으면서 보양해야 한다. 약으로는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이공산(異功散, 처방은 다 내상문에 있다), 위생탕(衛生湯), 고진음자(固眞飮子, 처방은 다 허로문에 있다)를 쓴다. 또한 병이 들지 않게 하고 건강하게 하며 오래 살게 하는 약 가운데서 골라 쓴다. 소젖(牛乳)을 일상적으로 먹는 것이 더욱 좋다[입문].

각병연수탕(却病延壽湯)
늙은이가 오줌이 적게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人蔘), 흰삽주(백출) 각각 4g, 쇠무릎(우슬),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2.8g, 귤껍질(陳皮), 흰솔풍령(백복령), 찔광이(산사), 당귀,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썬 것에 생강 3쪽을 넣고 달여 아무 때나 먹는다. 봄에는 궁궁이(천궁)를 더 넣고 여름에는 속썩은풀(황금)과 맥문동을 더 넣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당귀와 생강을 곱을 넣어 쓴다. 오줌이 전과 같이 나오면 약을 끊는다. 이것은 늙은이가 양생하는 데서 제일 빠른 방법이다[입문].

증손백출산(增損白朮散)
쇠약한 늙은이를 보양한다.
인삼(人蔘),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귤피), 곽향, 칡뿌리(갈근) 각각 2.8g, 목향, 생강(말린 것),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아무 때나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단계부여].

사람의 젖을 먹는 법[服人乳法]
젖을 먹는 방법은 병 없는 여자의 젖 2잔에 좋은 청주 반잔을 타서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끓여 단번에 먹되 매일 새벽 4-5시경에 한번씩 먹는다[종행].

우유죽(牛乳粥, 소젖죽)
소젖 1되에 싸라기를 조금 넣고 죽을 푹 쑤어 늘 먹는 것이 늙은이에게 가장 좋다[종행].

'동의보감 > 내경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경편(內景篇)  (0) 2016.05.29
정(精)  (0) 2016.05.29
기(氣)  (0) 2016.05.29
신(神)  (0) 2016.05.29
혈(血)  (0) 2016.05.29
:
Posted by docstory
2016. 5. 29. 09:01

정(精) 동의보감/내경편2016. 5. 29. 09:01

« 동의보감(東醫寶鑑)

정(精)

 

정은 신체의 근본[精爲身本]

『영추』에 “두 사람의 신(神)이 서로 합쳐서 육체가 생기는데 육체보다 먼저 생기는 것이 정(精)이다. 정은 몸의 근본이 된다. 또한 5곡(五穀)의 진액이 합쳐서 영양분이 되는데 속으로 뼛속에 스며들면 골수(骨髓)와 뇌수(腦髓)를 영양하고 아래로 내려가 음부로 흐르게 된다. 음양이 고르지 못하면 정액이 넘쳐나서 아래로 흘러 내리게 된다. 이것이 지나치면 허해지고 허해지면 허리와 잔등이 아프며 다리가 시큰거린다. 또한 수(髓)란 것은 뼛속에 차 있는 것이고 뇌는 수해(髓海)가 된다. 수해가 부족하면 머리가 핑 돌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다리가 시큰거리고 정신이 아뜩해지곤 한다”고 씌어 있다.

정은 지극한 보배[精爲至寶]

대체로 정(精)이란 아주 중요하다는 말이다. 사람에게 있어서 정은 가장 귀중하면서도 매우 적다. 사람의 몸에는 정이 통틀어 1되 6홉이 있다. 16살 나는 남자가 아직 정액을 내보내기 전의 그 양은 1되이다. 정액이 쌓여서 그득 차게 되면 3되까지 되나 허손[損]되거나 내보내서 적어지면 1되도 못 된다. 정과 기가 서로 보충해 주는데 기가 모이면 정이 그득하게 되고 정이 그득하면 기가 왕성해진다. 매일 먹는 음식의 영양분이 정으로 되기 때문에 쌀 ‘미(米)’자와 푸를 ‘청(靑)’자를 합쳐서 ‘정(精)’자를 만든 것이다. 16살이 되면 정액이 나오게 된다. 보통 한번 성생활을 하면 반 홉 가량 잃는데 잃기만 하고 보태주지 않으면 정액이 줄어들고 몸이 피곤해진다. 때문에 성욕을 조절하지 않으면 정이 소모된다. 정이 소모되면 기가 쇠약해지고 기가 쇠약해지면 병이 생긴다. 병이 생기면 몸이 위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과연 정이라는 것은 사람의 몸에서 가장 중요한 보배라고 말할 수 있다[양생].
○ 『선서(仙書)』에 “음양을 수행하는 데서 정액은 가장 귀중하다. 그것을 잘 간수하면 나이보다 뒤늦게 늙어질 수 있다”고 씌어 있다. 『경송(經頌)』에 “음양(陰陽)의 수양에는 정액이 보배일세, 중요한 이 보배를 고이고이 간직하소, 남의 몸에 들어가면 사람이 생겨나고, 자기 몸에 간직하면 자기 몸이 든든하리, 아이 밸 때 쓰는 것도 좋은 일은 아니어든, 아까운 이 보배를 헛되이 버릴손가, 함부로 막 버려 허튼 생각 자주 하면, 몸 약하고 쉬이 늙어 제 목숨 다 못 살리”라고 씌어 있다. 사람에게서 가장 귀중한 것은 목숨이며 아껴야 할 것은 몸이고 귀중히 여겨야 할 것은 정이다. 간(肝)의 정이 든든치 못하면 눈이 어지럽고 눈정기가 없으며 폐(肺)의 정이 부족하면 살이 빠지고 신(腎)의 정이 든든치 못하면 신기가 줄어든다. 비(脾)의 정이 든든치 못하면 이뿌리가 드러나고 머리털이 빠진다. 만약 진정(眞精)이 소모되고 흩어지면 곧 병이 생기고 이어 죽게 된다.
[註] 진정(眞精) : 사람이 태어날 때 가지고 난 정, 정기, 원정.
○ 상천옹(象川翁)은 “정(精)은 기(氣)를 생기게 하고 기는 신(神)을 생기게 하며 영위(榮衛)가 온몸을 도는 데서 이보다 더 귀중한 것은 없다. 그러므로 양생하는 사람은 먼저 그 정을 귀중히 여겨야 한다. 정이 그득하면 기가 충실해지고 기가 충실하면 신이 왕성해진다. 신이 왕성하면 몸이 건강해지고 몸이 건강하면 병이 잘 생기지 않는다. 속으로는 5장이 편안하며 겉으로는 살과 살갗이 윤택하고 얼굴에 윤기가 나며 귀와 눈이 밝아져서 늙을수록 기운이 더 난다”고 하였다.
○ 『황정경(黃庭經)』에 “정액을 간직하면서 허투루 쓰지 말아야 한다. 정을 보배처럼 아끼면 오래 살 수 있다”고 씌어 있다.
[註] 황정경(黃庭經) : 도교의 교리를 쓴 책의 하나.

5장에는 모두 정이 있다[五藏皆有精]

『난경』에 “심(心)에는 3홉의 정액이 들어 있고 비(脾)에는 엉키지 않은 기름이 300g이나 있으며 담에는 3홉의 정액이 들어 있다”고 씌어 있다.
○ 『내경』에 “신(腎)은 수(水)를 주관하고 5장 6부의 정(精)을 받아서 저장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신은 다른 장기의 정액을 도맡아 보는 곳이다. 정은 신에만 홀로 있는 것이 아니다”고 하였다.
○ 5장은 각각 정을 간직하고 있으나 그곳에 오랫동안 저장해 두지는 못한다. 대개 사람이 성생활을 하지 않을 때에는 정이 혈맥 속에서 풀려 있어 형체가 없다. 그러나 성생활을 하게 되면 성욕이 몹시 동하여 온몸을 돌아다니는 피가 명문(命門)에 와서 정액으로 되어 나가게 된다[진전].
[註] 명문(命門) : 명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난경에 양쪽 신장 가운데서 오른쪽 신장을 명문이라 하였고 또 상화의 장기라고도 하였다. 남자는 이 명문에 정이 간직되었고 여자는 자궁이 명문에 연결되어 있다고 보았다.
명문의 작용을 보면 : ①원기의 기본으로 되고 몸의 열을 생기게 하는 작용. ②삼초의 기화작용을 잘 도와준다. ③명문의 화는 비위를 덥게 하여 음식의 소화를 돕는 작용. ④성기능과 생식기계통, 호흡기계통과 밀접한 관계.

맥 보는 법[脈法]

『맥경』에 “남자의 맥이 미약(微弱)하면서 삽(澁)하면 자식이 없다. 그리고 정액은 멀겋고 차다”고 씌어 있다.
○ 『맥결』에 “유정(遺精)과 백탁증(白濁證)에 척부맥이 결(結)하거나 규( )하거나 동(動)하거나 긴(緊)하지 않는가를 반드시 살펴야 한다. 이 맥들은 유정, 백탁 두 병증을 앓게 하는 징표로 된다”고 씌어 있다. 또한 “색맥( 脈)은 정혈이 부족한 증상이다. 남자의 맥이 색한 것은 정액이 부족한 것이다”고 씌어 있다.
[註] 백탁(白濁) : 오줌빛이 뿌여면서 맑지 못한 것.
○ 또한 “맥이 색( )한 것은 정액이 줄어들고 혈이 부족해진 것이다”고 하였다.
○ 『의감』에는 “맥이 미하고 색한 것은 정이 상한 것이다”고 씌어 있다.

정액은 잘 간직해야 한다[精宜秘密]

『내경』에 “음양을 보양하는 데서 중요한 것은 양기(陽氣)를 잘 간직하고 굳건히 하는 것이다. 양기가 강하기만 하고 잘 간직되지 못하면 음기(陰氣)가 결국 끊어진다. 음기가 고르고 양기가 잘 간직되어야 정신이 온전해진다. 음과 양이 서로 갈라지면 정기도 끊어진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음양이 조화되는 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양기를 굳건히 간직하면서 허투루 쓰지 않는 것이다. 양기를 굳건히 간직하고 허투루 쓰지 않으면 양기가 든든해져서 오래 살게 된다. 이것이 성인들이 지킨 도이다. 양기 자체가 강하여도 잘 간직하지 못하면 음기가 고르로워지고[和平] 양기(陽氣)가 잘 간직되면 정신은 날로 더욱 좋아진다”고 씌어 있다.
○ 정액을 잘 간직하려면 금쇄사선단, 대봉수단, 비진환, 옥로환, 금쇄단을 쓴다.

금쇄사선단(金鎖思仙丹)
정기가 든든하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연화예, 연씨(연자), 가시연밥(검인)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된엿처럼 달인 금앵자(金櫻子)와 함께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 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소금을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한달만 먹으면 효과가 나타난다. 그리고 정액이 빨리 나가지 않는다. 이 약을 오랫동안 먹으면 정신이 좋아져서 총명한 사람이 된다[입문].

대봉수단(大鳳髓丹)
심화(心火)가 왕성하고 신수(腎水)가 부족하여 마음만 먹으면 곧 발동하여 정액이 나가는 증상을 치료한다.
황백(닦은 것) 80g, 사인 40g, 감초 20g, 끼무릇(반하, 닦은 것), 저령, 흰솔풍령(백복령), 홍련예, 익지인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소금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찹쌀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해장].
○ 일명 봉수단(封髓丹)이라고도 한다.

비진환(秘眞丸)
일명 비원단(秘元丹)이라고도 한다. 정기가 든든하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백룡골 40g(따로 간다), 가자피(큰 것) 5개, 주사 20g(절반은 알약 겉에 입힌다), 사인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찹쌀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2알씩 소금을 탄 술로 빈속에 먹고 잘 무렵에 3알을 찬물로 먹는다.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많이 먹으면 정액이 잘 나오지 않게 된다[하간].

옥로환(玉露丸)
백룡골(아홉번 찌고 아홉번 햇볕에 말린 것), 새삼씨(토사자, 술로 법제한 것), 부추씨(기와 위에 놓고 약간 닦은 것) 각각 1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소금을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처음 먹을 때에는 성생활을 삼가해야 한다[활인심방].

금쇄단(金鎖丹)
육종용(술에 담갔다가 짓찧어 고약처럼 만든다)200g, 파고지(약간 닦은 것) 160g, 파극(심을 버린 것), 부자(싸서 구운 것) 각각 80g, 호두살 20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육종용고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소금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먹는다. 끼니 전에는 옥로환을 먹고 끼니 뒤에는 금쇄단을 먹는다. 한달 동안 먹으면 비록 늙고 허약한 사람일지라도 신기가 쇠약해지지 않고 오랫동안 정액을 나오지 않게 한다. 만약 정액을 내보내려면 길짱구씨(차전자) 1홉을 물에 달여 먹으면 잘 나온다[활인심방].

성욕을 조절하여 정액을 간직한다[節慾儲精]

『내경』에 64살을 정(精)과 수(髓)가 줄어 없어지는 시기로 보았다. 그러므로 반드시 성욕을 조절해야 한다.『천금방』의 소녀론에는 “사람이 60살이 되면 정액을 간직하고 내보내지 말아야 한다”고 씌어 있다. 이것은 성욕을 끊어야 한다는 것이다. 조절해야 할 것을 조절할 줄 모르고 끊어야 할 것을 끊지 못한다면 이로 인하여 생명을 잃게 된다. 이것은 자신이 그렇게 만드는 것이다[자생경].
○ 40살 전에 성생활이 몹시 지나치면 40살이 지나서 갑자기 기력이 쇠약해지는 것을 느끼게 된다. 쇠약해지면 여러 가지 병이 마구 생겨나고 오래도록 낫지 않으며 나중에는 구원할 수 없게 된다. 만약 나이 60이 되어서 수십 일 동안 성생활을 하지 않아도 아무 생각이 없는 사람은 정액이 절로 줄어든 것이다. 또한 성욕이 갑자기 왕성한 것을 느끼면 반드시 삼가고 억제해야 한다. 마음내킨 대로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제 몸을 스스로 죽게 하지 말아야 한다. 만약 한번 억제하면 이것은 일어나려는 불을 한번 끄고 기름을 한번 더 친 것으로 된다. 만약 억제하지 않고 마음내킨 대로 정액을 내보내면 이것은 기름불이 곧 꺼지려는데 그 기름을 쏟아 버리는 것과 같다. 어찌 깊이 생각하여 스스로 억제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양생서].
○ 『선서』에 “성욕대로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면 정기를 상하고 성생활을 조절하면 오래 살 수 있다”고 씌어 있다.
○ 조용히 앉아 있으면 신수가 자연히 올라가고 혼자 살면 성욕이 절로 약해진다[입문].
○ 음경이 일어났을 때 쭈그러지게 하는 비방을 쓴다.

축양비방(縮陽秘方)

거머리(수질, 물통에 넣어 기르다가 음력 7월 7일에 꺼내 그늘에서 말린 것) 9마리, 사향, 소합향 각각 같은 양.
위의 3가지 약들을 함께 보드랍게 가루내어 꿀을 조금 넣고 떡을 만든다. 음경이 일어났을 때에 왼쪽 발바닥 한가운데에 앞의 약을 조금 문지르면 곧 쭈그러진다. 다음날 다시 일어나면 또 문지른다[의감].

정을 단련하는 비방[煉精有訣]

이 비결은 전적으로 신(腎)에 달려 있다. 내신(內腎)의 한 개 구멍을 현관(玄關)이라고 하며 외신(外腎)의 한 개 구멍을 빈호(牝戶)라고 한다. 정액이 나오지 않아 파정[破]이 안되면 외신의 양기는 23-1시 사이에 발생하는데 사람 몸의 기와 천지의 기가 서로 합치된다. 그러나 정액이 나와 파정이 된 사람은 몸의 양기가 발생하는 시기가 점차 늦어져 밤 1-3시가 되어서야 발생하는 사람, 3-5시가 되어서 발생하는 사람, 5-7시가 되어서 발생하는 사람이 있다. 그리고 끝내 발생되지 않는 사람도 있으나 이는 처음부터 천지의 기와 서로 응하지 않은 것이다. 성욕을 강하게 하는 방법은 반드시 밤중 23-1시에 옷을 헤치고 일어나 앉아서 두 손을 마주 뜨겁게 비벼서 한 손으로 외신을 덮어주고 한 손으로는 배꼽을 덮고 정신을 내신에로 집중시킨다. 오랫동안 계속하여 습관이 되면 성욕이 왕성해진다[진전].
[註] 내신(內腎) : 동의학에서 신장과 신상선을 합하여 신장(신)으로 보면서 내신이라 하고 여기에 생식기작용이 있는 것을 내신의 한개 구멍이라고 했으며 고환과 음경을 합하여 외신이라 하고 고환의 정관을 외신의 한개 구멍이라고 한 것.
○ 서번(西蕃)사람들은 장수하였는데 매일밤 잠잘 때면 언제나 외신을 손으로 덮어 쥐고 따뜻하게 하였다. 이것도 역시 한 가지 방법이다[휘언].

음식물로 정을 보한다[補精以味]

『내경』에 정(精)은 음식물에서 생긴다 하였고 또한 정이 부족한 사람은 음식물로써 보하라고 하였다. 그러나 달고 향기로운 맛을 가진 음식물에서는 정이 잘 생기지 않는다. 오직 보통 맛을 가진 음식물이라야 정을 잘 보할 수 있다. 홍범론(洪範論)에는 맛에 대하여 쓰기를 곡식에는 단맛이 있다. 세상의 음식물 가운데서 5곡(五穀)만이 온전한 맛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는데 맛이 평순한 5곡을 먹는 것으로써 정을 가장 많이 보충할 수 있다. 대개 죽이나 밥이 거의 끓어갈 무렵에 가운데에 걸쭉한 밥물이 모인다. 이것을 먹으면 정액이 제일 잘 생긴다. 먹어보면 효과가 있다[진전].
[註] 5곡(五穀) : 다섯 가지 주요 곡식, 즉 벼, 보리, 조(팥), 기장, 콩.

정 유설은 심(心)에 속한다[遺泄精屬心]

단계는 “정(精)을 굳건히 간직하는 것은 신(腎)이 주관하고, 내보내는 것은 간(肝)이 주관한다. 이 두 장기에는 모두 상화(相火)가 있고 그 줄이 위[上]로 심(心)에 속해 있다. 심은 군화(君火)이다. 다른 것에 감응되면 동하기 쉽다. 심이 동하면 상화가 역시 동하고 상화가 동하면 정액이 저절로 나온다. 상화가 몹시 발동하면 비록 성생활은 하지 않아도 정액은 암암리에 흘러서 소실된다. 때문에 성인들은 사람들에게 깨끗한 마음으로 심을 수양하라고 하였는데 그 뜻이 깊다”고 하였다.
[註] 상화(相火) : ①명문의 화. 심화(군화)에 상대되는 말이며 심화를 돕는다는 뜻으로 상화를 쓰고 있다. ②상화에는 소양(간, 담, 삼초)의 상화와 명문의 상화가 있다.
○ 정을 주관하는 것은 심이 하고 정을 간직하며 통제하는 것은 신이 한다. 심과 신의 기가 허해서 정을 잘 통솔하지 못하여 오줌을 따라 정액이 나오는 것을 요정(尿精)이라 하고 성생활에 대한 말을 듣거나 보기만 해도 정액이 나오는 것을 누정(漏精)이라고 한다[직지].
○ 처음에는 군화(君火)가 안정하지 못한 데 원인이 있지만 오래되면 상화가 홀로 작용해 정액이 나오면서 멎지 않는다. 심하면 밤마다 나오고 낮에도 나오면서 멎지 않는다. 이때에는 감리환과 황련청심음을 쓴다[입문].
[註] 군화(君火) : 심의 화를 말한다. 상화에 상대되는 말로 군화라고 한다. 심장의 작용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감리환(坎리丸)
황백, 지모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동변으로 축여 아홉번 찌고 아홉번 햇볕에 말리며 아홉번 이슬을 맞힌다. 이것을 가루내어 된엿처럼 달인 지황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소금을 끓인 물로 빈속 먹는다[입문].

황련청심음(黃連淸心飮)
군화가 이미 동(動)하고 상화가 따라 동하여 정액이 저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 생지황, 당귀, 감초, 복신, 메대추씨(산조인), 원지, 인삼, 연밥(연실)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몽설은 심에 속한다[夢泄屬心]

『직지』에 “사기(邪氣)가 음에 침범하면 신(神)이 제자리를 지키지 못하기 때문에 마음이 흥분되어 성교하는 꿈을 꾸면서 정액이 나오는데 그 증상에는 3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기력이 왕성한 젊은이가 오랫동안 홀아비로 있으면서 성욕을 억제하게 되면 자기도 모르게 정액이 나오는데 이것은 마치 병에 물이 차면 넘쳐나는 것과 같다. 이런 일은 간혹 있으나 약을 쓰지 않아도 좋다. 다른 하나는 심기(心氣)가 허하여 정액을 잘 주관하지 못하거나 심이 열사(熱邪)를 받아서 양기가 수습되지 못해도 정액이 흐르는데 이것은 마치 기울어진 병에서 물이 나오는 것과 같다. 이런 증상은 흔히 있는데 이것은 경한 증상이므로 성질이 평순한 약을 쓰는 것이 적당하다. 또 하나는 5장 6부가 계속 약해지고 진기가 오랫동안 부족하면 마음이 성욕을 억제하지 못하고 신이 정액을 잘 간직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되어 정액이 나오는 것이 마치 금이 난 병에서 물이 새는 것과 같다. 이것은 드물게 있으나 매우 중한 상태이다. 이때는 반드시 크게 보 하는 탕약을 써야 한다.
○ 몽설[夢]을 허랭으로만 보는 것은 옳지 않다. 경락(經絡)에 열이 있어도 몽설이 생긴다.
전에 이 병을 앓는 사람 한명을 치료하였는데 밤중이 되면 등골 속이 뜨거워지면서 몽설이 있었다. 그래서 진주분환과 저령환을 먹였더니 몽설이 멎었고 나중에 자설(紫雪)을 써서 등골이 뜨거워지던 것이 비로소 없어지게 되었다. 청심환을 쓰는 것도 좋다[본사].
○ 몽설은 전적으로 심(心)과 관련된다. 대개 성생활 때 나오는 정액은 한 개의 흰 막에 쌓여서 신에 간직되어 있지만 이 정액의 기본으로 되는 것은 사실 심에 있다. 낮에 생각하던 것이 밤에 꿈으로 나타나면서 몽설하는 것이다. 이런 데는 황련청심음을 쓴다[입문].
○ 꿈에 헛것과 성교하여 정액이 나오는 것을 몽유(夢遺)라고 한다. 이것은 주로 열에 관계된다. 이때는 황백, 지모, 굴조개껍질(모려), 조가비가루(합분)를 쓴다. 만약 안으로 기혈이 상하여 정액을 잘 간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몽유에는 반드시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가감하여 달인 물로 저근피환을 먹어서 보하여야 한다.
[註] 몽유(夢遺) : 몽설과 유정.
○ 『본사』에 “나이가 젊고 건강한 청년들이 성욕을 억제하여 유정을 하는 데는 청심환, 진주분환을 쓴다”고 씌어 있다.
○ 대씨(戴氏)는 “몽설과 유정은 모두 상화가 발동하기 때문에 생기며 오래되면 허(虛)해지지만 찬 증상은 없다”고 하였다.
○ 『정전』에는 “어떤 사람이 몽설 때문에 몸이 파리해졌는데 정지진주분환(定志珍珠粉丸)을 쓰고 나았다”고 씌어 있다.
○ 고진단, 녹각산, 보정탕, 귀원산은 모두 몽설을 치료한다.

고진단(固眞丹)
유정과 몽설을 치료한다.
만잠아 80g, 육종용, 흰솔풍령(백복령), 익지인 각각 40g, 용골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녹각교를 술에 담가 녹인 것과 함께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고 마른 음식을 먹어 약 기운이 내려가게 한다[나겸보].

녹각산(鹿角散)
오랫동안 허하여 생긴 몽설을 치료한다.
녹각(가루낸 것), 녹용(졸인 젖을 발라 구운 것) 각각 40g, 흰솔풍령(백복령) 30g, 인삼, 백복신, 사마귀알집(상표초), 궁궁이(천궁), 당귀, 파고지, 용골, 부추씨(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각각 20g, 측백씨, 감초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생강 5쪽, 대추 2개, 흰쌀 100알과 함께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직지].

보정탕(保精湯)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해서 몽설과 유정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생지황(생강즙을 축여 볶은 것), 맥문동, 황백(술을 축여 볶은 것), 지모(꿀로 축여 볶은 것), 황련(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산치자(동변으로 축여 볶은 것), 건강(거멓게 닦은 것), 굴조개껍질(모려, 달군 것), 산수유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의감].

귀원산(歸元散)
오랜 몽설로 기가 아래로 처진 것을 치료하는데 신기(腎氣)를 끌어올려서 제자리로 돌아가게 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원지,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맥문동, 황백(동변으로 축여 볶은 것), 지모(동변으로 축여 볶은 것), 계두실(鷄頭實), 연화예, 구기자, 귤껍질(귤피), 궁궁이(천궁) 각각 2g, 승마, 감초 각각 1g.
[註] 계두실(鷄頭實) : 가시연밥(검인, 검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연밥 3개, 대추 1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따뜻하게 해 빈속에 먹는다[회춘].

진주분환(珍珠粉丸)
몽설과 유정을 치료한다.
황백(새 기와 위에 놓고 새빨갛게 닦은 것), 좋은 조가비가루 각각 600g, 진주 1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 『법(法)』에 “양이 성하여 음을 누르기 때문에 정액이 저절로 나온다. 황백은 심화를 내리고 조가비가루는 짜서 신음을 보한다”고 씌어 있다. 『역로방(易老方)』에는 진주 한 가지가 없다[정전].

저령환(猪령丸)
나이가 젊고 기력이 왕성하여 정욕이 동하나 소원대로 하지 못하여 몽설이 된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콩알만하게 썬 것) 40g, 저령가루 80g.
위의 약들에서 먼저 저령가루의 절반량을 끼무릇과 같이 닦는데[炒] 끼무릇의 빛이 누렇게 되고 타지지 않게 한 다음 꺼내 화독을 뺀다. 단지 끼무릇만을 가루내어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마르면 다시 남겨 놓았던 저령가루를 넣고 알약이 약간 터질 정도로 같이 볶아서 사기병에 넣어 잘 보관한다. 한번에 30-5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대개 끼무릇은 잘 나가게 하는 성질이 있고 저령은 물기를 이끄는 성질이 있다. 그러므로 이 처방에는 신기가 막힌 데, 기를 이끌어 통하게 하는 뜻이 여기에 있다.
○ 일명 반령환(半령丸)이라고도 한다[본사].

청심환(淸心丸)
경락에 열이 있어서 생기는 몽설과 심에 열이 있어서 정신이 얼떨떨한 것을 치료한다.
두터운 황백 40g.
위의 약을 가루낸 것에 용뇌 4g을 넣고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5알씩 맥문동을 달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본사].

저근피환(樗根皮丸)
성생활이 너무 지나쳐서 몸이 상하여 생긴 유정과 몽설을 치료한다.
가죽나무뿌리껍질(저근백피, 닦은 것).
위의 약을 가루내어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이 약은 성질이 차고 조(燥)해서 이 한 가지만을 먹을 수 없다. 반드시 팔물탕을 달인 물로 먹는 것이 좋다[입문].

정지진주분환(定志珍珠粉丸)
심이 허해서 나는 몽설을 치료한다.
조가비가루, 황백(닦은 것),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120g, 원지, 석창포, 청대 각각 80g, 가죽나무뿌리껍질(저근백피)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청대를 입힌다. 한번에 50알씩 생강과 소금을 달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정전].

몽설은 울증과도 관련된다[夢泄亦屬鬱]

『본사』에 “신기(腎氣)가 막히면 유정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 『소문』에 “신은 작강지관(作强之官)인데 기교가 여기서 나온다. 또한 신장은 정(精)을 간직하고 있다”고 씌어 있다. 대체로 신은 정기를 잘 받아들이므로 임신하고 자라게 한다. 아이를 가지게도 하고 안 가지게도 하는 것은 모두 신과 관련된다. 신기가 쇠약해지면 온몸의 정기가 통제를 받는 곳이 없어지므로 아무 때나 허투루 나간다. 저령환 처방은 바로 이런 데 쓰자고 만든 것이다.
[註] 작강지관(作强之官) : 신. 작강은 힘을 강하게 한다는 뜻인데 신에서 강한 힘이 나온다고 해서 이렇게 이름을 붙인 것.
○ 『강목(綱目)』에“몽설은 울체와 관련되는 것이 태반이다. 그런데 서투른 의사들은 울체와 관련된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단지 삽제(澁劑)를 써서 정액이 나가는 것을 막으려고만 한다. 그것을 막으면 막을수록 울체가 더욱 심해지며 그 병이 오히려 더해진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이전에 한 남자가 몽설과 백탁(白濁)이 있으면서 아랫배로부터 기가 치밀어 올라 매일 오전 6-8시에 허리가 달았다가 오후 6-8시에는 식어지곤 하였다. 그런데 허리가 달 때[熱]에는 손발이 차고 음경에 힘이 없어진다. 그러나 허리가 달던 증상이 없어지면 음경에 힘이 있고 손발이 따뜻해진다. 또한 아침에는 방귀가 많이 나가고 저녁에는 트림이 자주 나오며 상순이나 중순에 반드시 유정이 있었다. 맥은 현활(弦滑)하면서 대(大)하였고 점심 때면 홍대(洪大)하였다. 나는 이 병을 치료하면서 그 사람이 울체증이 있다는 것을 알고 먼저 침향화중환(沈香和中丸,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써서 설사시키고 다음에 가감팔미탕(加減八味湯,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달인 물로 자신환(滋腎丸, 처방은 오줌문에 있다) 100알을 먹게 하였다. 만약 이때 막히게 하는 약을 먹인다면 유정과 백탁이 오히려 심해져서 혹 하룻밤에 두번씩 유정이 있게 된다. 이때는 치료방향을 바꾸어서 도적산(導赤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곱으로 하여 달여 먹으면 유정과 백탁이 다 멎게 된다”고 씌어 있다.
[註] 『강목(綱目)』 : 1565년 누영이 쓴 책 40권으로 된 『의학강목』.
[註] 삽제(澁劑) : 10제 또는 12제의 하나. 늘어지고 미끄러워서 빠져 나가고 흘러 나가는 것을 막는(수렴시키는) 약제.
예 : 굴조개껍질(모려), 용골, 오배자, 금앵자 등.
○ 또 어떤 남자가 몽설이 있었는데 의사가 막히는 약을 주기에 먹고 오히려 심해졌다. 그래서 먼저 신궁환(神芎丸, 처방은 입문에 있다)을 주어 몹시 설하게 하고 다시 이 저령환을 먹였는데 역시 병이 나았다. 이것으로써 몽설은 울체와 관련되는 것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이 절로 나가는 것은 허증에 속한다[精滑脫屬虛]

중경(仲景)은 “정액이 절로 나가는 사람은 아랫배가 몹시 땅기고 음경이 차며 눈이 어지럽고 머리털이 빠진다”고 하였다. 맥이 몹시 허(虛)하고 규(규)하며 지(遲)한 맥이 나타나면 삭지 않은 대변이 나오고 피를 많이 흘리며 정액이 절로 나온다. 남자에게서 정액이 절로 나오거나 여자가 꿈에 성생활을 하는 병에는 계지용골모려탕을 주로 쓴다.
○ 『영추』에 “무서운 일을 겪고 그것을 풀지 않으면 정기를 상한다. 정기가 상하면 뼈가 시큰거리고 마르며 팔다리가 싸늘해지고 때로 정액이 절로 나온다. 또한 정액이 절로 나오는 사람은 귀가 먹는다”고 씌어있다.
○ 『내경』에 “이성에 대한 생각이 한이 없지만 소원대로 하지 못하여 흥분된 감정을 지나치게 나타내거나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종근(宗筋)이 늘어져서 근위증(筋위證)과 백음증(白淫證)이 된다. 대체로 신(腎)은 수기(水氣)를 저장하였으므로 아끼기에 노력하여야 한다. 마음을 든든하게 먹으면 정이 보전되어 저절로 나오지 않으나 흥분된 감정을 지나치게 나타내거나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면 반드시 정액은 힘없이 넘치는데 이때 오줌을 따라 나오는 증상이 생기게 된다. 그런데 본래 근위증이 생긴 것은 종근이 늘어졌기 때문이다[겸보].
[註] 종근(宗筋) : 몸의 중요한 힘줄인데 3음 3양의 경근이 전음 부위에 와서 모인 것. 이 힘줄은 골격과 관절을 잘 운동하게 하고 정액을 잘 통섭한다. 또한 종근은 치골의 아래위에 있는 제고근을 말하며 남자 음경을 말하기도 한다.
[註] 근위증(筋 證) : 힘줄이 늘어져서 수축하지 못하는 병증. 위증의 하나.
[註] 백음증(白淫證) : 하초에 습열이 많거나 성생활을 지나치게 해서 남자에게서는 정액이 절로 나오고 여자에게서 흰 이슬이 많이 나오는 증.
○ 여자와 관계하지 않고도 정액이 나오는 것, 혹은 음탕한 말을 듣거나 고운 여자를 보았거나 이성에 대한 생각이 나지만 소원대로 되지 않거나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종근이 늘어져서 근위증이 생기면서 정액이 따라 나오는 것을 백음(白淫)이라고 한다. 이것이 조금씩 나오면서 멎지 않는 데는 가감진주분환(加減珍珠粉丸, 처방은 오줌문에 있다)을 쓴다.
○ 또 씌어 있기를 성욕이 한번 동하면 정액이 따라 나오고 성욕이 없어서 정액이 오랫동안 몰려 있으면 음경 속이 가려우면서 아프고 늘 오줌이 마려운 것 같다. 그리고 정액이 오줌을 따라 나오거나 오줌과 관련이 없이 절로 흘러나오는 것을 유정(遺精)이라고 한다. 이것을 몽유와 대비하면 더 심한 증상이다. 이때에는 팔물탕을 가감하여 달인 물로 진주분환(珍珠粉丸, 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는다.
○ 젊었을 때에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양기가 허해지고 유정이 있는 데는 금쇄정원단(金鎖正元丹, 처방은 입문에 있다), 비진단을 쓴다[입문].
○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은 주로 습열이 있어서 생기는데 이때에는 황백, 지모, 굴조개껍질(모려), 조가비가루를 쓴다[단계].
○ 어떤 사람이 허하면서 정액이 절로 나오고 맥이 현대(弦大)하였는데 여러 가지 약을 써도 효과가 없었다. 후에 붉나무벌레집(오배자) 40g, 흰솔풍령(백복령) 80g으로 알약을 만들어 먹였더니 나았다. 붉나무벌레집은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막는 힘이 용골이나 조가비가루보다 매우 빠르다[강목].
○ 총각이 양기가 왕성하여 성욕이 마음 속으로 동하고 생각나는 데가 있으나 소원대로 하지 못하여 밤에 꿈을 꾸면서 정액이 절로 나왔다. 이런 경우에 보해서는 안 된다. 청심(淸心)하는 약을 쓰면 낫는다. 아침에 청심련자음(淸心蓮子飮, 처방은 소갈문에 있다)을 먹고 저녁에는 정지환(定志丸, 처방은 신문에 있다)을 먹는다[의감].
○ 대씨는 “꿈을 꾸지 않고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정활(精滑)이라고 한다. 이것은 다 상화가 발동했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 정액이 절로 나오는 데는 파극환, 보진옥로환, 고정환, 검실환, 쇄양단, 옥쇄단, 비원단, 약정환, 구룡단을 쓰는데 그 중에서 골라 쓸 것이다.

파극환(巴戟丸)
얼굴빛이 희고 윤기가 없으며 슬픔과 걱정으로 울고 싶어하고 맥은 꾹 누르면 빈 것 같은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정기와 신기가 허탈된 것이므로 빨리 간과 신을 세게 보하여 정기를 수렴시키고 원양(元陽)을 보해 주어야 한다.
오미자, 파극, 육종용, 새삼씨(토사자), 인삼, 흰삽주(백출), 찐지황, 골쇄보, 회향, 굴조개껍질(모려), 용골, 복분자, 익지인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하루 세번 미음으로 먹는다. 몹시 허하면 팔물탕을 달인 물로 먹는다[동원].
[註] 원양(元陽) : 사람의 생명활동에 근본이 되는 원기, 진양, 신양, 진화, 명문의 화.

보진옥로환(補眞玉露丸)
양기가 허해서 정액이 절로 계속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흰솔풍령(백복령), 백룡골(수비한 것), 부추씨(술에 담갔다가 볶은 것), 새삼씨(토사자, 술에 담갔다가 달인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은 뒤에 맛좋은 음식을 먹어 약 기운을 내려가게 한다. 화일(火日)에 약을 만드는 것이 좋다[보감].
[註] 옛날 역서에 날짜마다 6갑을 붙이고 6갑 밑에 금, 목, 수, 화, 토를 붙였는데 그중 화가 붙어 있는 날을 택해서 약을 만들면 좋다는 것은 6갑과 오운륙기를 믿는데서 나온 말.

계지용골모려탕(桂枝龍骨牡蠣湯)
실정(失精)을 치료한다.
계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용골(달군 것), 굴조개껍질(모려, 달군 것), 생강 각각 120g, 감초80g, 대추 12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 7되에 달여 3되가 되면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중경].
[註] 실정(失精) : 때아닌 때에 정액이 나가는 것. 유정, 몽설, 누정 등.

고정환(固精丸)
신(腎)이 허(虛)하여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정액을 간직하게 하고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나오지 않게 한다.
지모, 황백(다 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각각 40g, 굴조개껍질(모려, 달군 것), 가시연밥(검인), 연화예, 흰솔풍령(백복령), 원지 각각 12g, 용골 8g, 산수유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마를 넣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50알씩 소금을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심법].

검실환(검實丸)
양기가 허하여 성생활을 하려고 할 때에 미리 정액이 나오는 것과 몽설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매우 좋다.
가시연밥(검인) 500개, 7월 초순에 따온 연화수, 산수유 각각 40g, 남가새열매 200g, 복분자 80g, 용골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60-70알씩 연밥(연실)을 달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쇄양단(鎖陽丹)
정액이 절로 계속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사마귀알집(상표초, 구운 것) 120g, 용골,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솔풍령과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득효].

옥쇄단(玉鎖丹)
정기(精氣)가 허하여 유정이 계속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용골, 연화예, 가시연밥(검인), 오매육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마를 넣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득효].

비원단(秘元丹)
유정이 멎지 않아 위급하게 된 것을 치료한다.
용골(술에 달여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영사(수비한 것) 각각 40g, 사인, 가자(작은 것으로 잿불에 묻어 구워 살만 쓴다)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찹쌀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5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 양을 늘려서 30알까지 먹을 수 있다[단심].

약정환(約精丸)
오줌으로 계속 정액이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부추씨(햇것으로 서리를 맞힌 뒤에 따서 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600g, 백룡골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찹쌀가루에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직지].

구룡단(九龍丹)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구기자, 금앵자, 찔광이(산사), 연씨, 연화예, 찐지황, 가시연밥(검인), 흰솔풍령(백복령), 당귀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을 두고 쑨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정액이 절로 나오면서 오줌이 뿌연 것도 2-3일 동안 먹으면 오줌이 물같이 맑고 음식을 평상시보다 곱절 먹으며 걸음걸이가 가볍고 건강하게 된다[정전].

오줌이 뿌여면서(白濁) 골수와 같이 흰 줄기가 보일 때의 치료법[治小便白濁出髓條方]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흰삽주(백출),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파고지, 익지인, 회향, 굴조개껍질(모려, 달군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돌소금과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데운 술이나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심법].

백음증(白淫證)

『내경』에 “이성에 대한 생각이 한이 없지만 소원대로 하지 못하거나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종근(宗筋)이 늘어져서 근위증(筋 證)과 백음증(白淫證)이 된다”고 씌어 있다.
○ 장자화(張子和)는 음경 속이 아프고 또 몹시 아프다가 가려우며 음경이 늘어져서 일어나지 못하거나 정액 같은 흰 물이 오줌에 섞여 나오는 것은 성생활이 지나쳐서 몸을 상했거나 수음 등에 의하여 생기게 된다. 이때에는 심화를 내리는 약제를 써야 하는데 사심탕(瀉心湯, 처방은 5장문에 있다),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 처방은 소갈문에 있다)을 쓴다.
○ 백음증에는 진주분환(珍珠粉丸, 처방은 위에 있다), 금박환, 백룡환을 쓴다.
○ 백음증은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하는 조항을 같이 참고해서 치료하는 것이 좋다.

금박환(金箔丸)
백음증을 치료하며 또한 몽설도 치료한다.
만잠아(닦은 것), 파고지(닦은 것), 부추씨(닦은 것), 쇠무릎(우슬, 술에 담갔다 낸 것), 육종용(술에 담갔다 낸 것), 용골, 산수유, 사마귀알집(상표초, 구운 것), 새삼씨(토사자, 술에 담갔다 낸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술로 빈속에 먹는다[보감].

백룡환(白龍丸)
허로로 신기가 상해서 생긴 백음증과 유정을 치료한다.
녹각상, 굴조개껍질(모려, 달군 것) 각각 80g, 용골(생것)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을 두고 쑨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이 약은 유정을 치료할 뿐 아니라 정액을 간직하고 양기를 세게 하는 데 효과가 매우 좋다[의감].

습담(濕痰)이 스며들어 유정(遺精)이 생긴다[濕痰渗爲遺精]

가미이진탕과 저근백피환을 쓴다[의감].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끼무릇(반하, 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벌건솔풍령(적복령, 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산치자(거멓게 닦은 것), 감초각각 6g, 귤껍질(陳皮) 흰삽주(백출), 도라지(길경), 승마(술로 축여 볶은 것), 시호(술로 축여 볶은 것), 감초 각각 4g, 석창포 2.8g, 황백, 지모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빈속에 먹는다.

저근백피환(樗根白皮丸)
습열(濕熱)이 비(脾)를 상해서 유정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부추씨(닦은 것) 40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닦은 것) 20g, 황백, 지모(다 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굴조개껍질(모려, 달군 것) 각각 12g, 흰삽주(백출), 지실, 솔풍령, 시호, 승마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약누룩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인삼고본환, 경옥고, 반룡환, 지황원, 연년익수불로단, 연령고본단, 고진음자 등을 쓴다.

인삼고본환(人蔘固本丸)
정(精)을 보하고 피[血]를 생기게 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경옥고(瓊玉膏)
정(精)을 생기게 하고 기(氣)를 보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반룡환(斑龍丸)
정혈(精血)을 보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지황원(地黃元)
즉 전씨(錢氏)의 처방인 육미지황원을 말한다. 주로 신수(腎水)를 보하며 정을 생기게 하고 또 보하며 음기(陰氣)를 불쿠어 준다(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연년익수불로단(延年益壽不老丹)
정(精)을 잘 생기게 하고 신(腎)을 보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정을 잘 보하고 혈기도 보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고진음자(固眞飮子)
정액이 절로 나오면서 허로증이 되려는 것을 치료하는데 신정(腎精)을 잘 보하고 음을 불쿠어 준다(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註] 신정(腎精) : 신의 정기, 정혈이라는 뜻으로도 쓴다. 신의 정기에는 5장 6부의 정기(후천적인 기)와 신장 자체의 정기(선천적인 기)가 있다.

단방(單方)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기도 하며 혹은 술에 담갔다가 먹기도 한다. 모두 21가지이다.

지황(地黃)
생지황즙에 담갔다가 술을 뿌려 아홉번 찌고 아홉번 햇볕에 말린 것을 찐지황(숙지황)이라 한다. 지황을 쪄서 햇볕에 말리지 않고 그늘에서 말린 것을 생건지황이라고 한다. 찐지황은 성질이 따뜻하여 신기(腎氣)를 불쿠고 혈을 보하며 골수를 보하고 정을 채워 준다. 생건지황은 성질이 평순하여 역시 정혈을 보한다.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고 술에 담갔다가 먹어도 좋다[본초].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정을 불쿠어 주고 골수를 보하는데 음경 속이 찬 것과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헛것과 성교하여 정액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새삼씨를 가루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기도 하는데 다 좋다[본초].

육종용(肉종蓉)
정과 수를 보하고 남자가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또는 정기가 소모되어 얼굴이 거멓게 된 것을 치료한다. 육종용 160g을 물에 달여 보드랍게 잘 간 것에 양의 살코기를 넣어서 4몫으로 나누어 양념과 쌀을 두고 죽을 쑤어 빈속에 먹는다[본초].

오미자(五味子)
남자의 정(精)을 보한다[본초].
○ 오미자고는 정액을 잘 나가지 않게 하는데 몽설과 유정을 치료한다. 오미자 600g을 깨끗한 물에 씻어서 하룻밤 물에 담갔다가 주물러서 씨를 버린다. 그 즙을 베 자루로 걸러서 냄비에 넣고 겨울에 뜬 꿀 1.2kg을 넣어서 약한 불로 천천히 달여 고를 만든다. 한번에 1-2숟가락씩 끓인 물에 타 빈속에 먹는다[본초].

하수오(何首烏, 은조롱)
정(精)과 수(髓)를 보한다. 뿌리를 캐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참대칼로 껍질을 긁어 버리고 검정콩을 달인 물에 버무려 햇볕에 말린 다음 가루내어 술에 타 먹는다.혹은 꿀로 알약을 만들어 먹는 것도 다 좋다[입문].

백복령(白茯령, 흰솔풍령)
술에 담갔다가 주사와 같이 쓰면 정(精)을 굳건히 간직하게 한다[동원 탕액].
○ 심이 허하여 몽설(夢泄)하는 것을 치료한다. 흰솔풍령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16g씩 하루 세번 미음에 타 먹는다[직지].

구기자(枸杞子)
정기를 보한다. 알약을 만들어 먹기도 하고 혹은 술에 담갔다가 먹기도 하는데 다 좋다[본초].

금앵자(金櫻子)
정액을 나가지 않게 하고 유정을 멎게 한다. 금앵자를 가시연밥(검인)과 섞어서 수륙단(水陸丹, 처방은 정전에 있다)을 만들어 먹으면 진기(眞氣)를 보하고 정을 굳건히 간직하게 하는 데 매우 좋다[본초].

산수유(山茱萸)
정과 수를 보충하고 정액을 굳건히 간직하게 한다. 산수유를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모려(牡蠣, 굴조개껍질)
꿈에 헛것과 성교하면서 정액이 나오는 것과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굴조개껍질을 불에 달구어 식초에 담갔다 내기를 일곱번 반복한 후 가루내어 식초를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이것을 고진환(固眞丸)이라고 한다[동원].

상표초(桑표초, 사마귀알집)
정기를 보하고 또한 누정(漏精)을 치료한다. 사마귀알집을 쪄서 가루내어 미음에 타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본초].
[註] 누정(漏精) : 유정.

원잠아(原蠶蛾)
정기를 보하고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멎게 한다. 원잠아를 구워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청령(청령, 잠자리)
즉 청정(청정)이다.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멎게 한다. 잠자리를 닦아서[炒]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계두실(鷄頭實, 가시연밥)
즉 검인(검仁)이다. 정기를 보하고 정기를 굳건히 간직하게 한다. 가시연밥을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죽을 쑤어 먹기도 한다[본초].

복분자(覆盆子)
신정(腎精)이 허약하고 줄어든 것을 치료한다. 복분자를 술에 담갔다가 쪄서 말려 가루낸 다음 그대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본초].

호마(胡麻, 참깨)
즉 흑지마(黑脂麻)이다. 정(精)과 수(髓)를 보한다. 참깨에 술을 축여 반날 동안 쪄서 햇볕에 말려 가루낸 다음 그대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구자(구子, 부추씨)
몽설을 치료하고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멈춘다. 부추씨를 사마귀알집(상표초), 용골과 함께 쓰면 주로 누정(漏精)을 치료한다. 부추씨를 약간 닦아서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용골(龍骨)
몽설(夢泄)을 치료한다. 용골과 부추씨는 정액이 절로 나올 때 중요하게 쓰는 약이다. 용골을 불에 달구어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강목].

녹용(鹿茸)
몽설을 치료하고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멈춘다. 녹용을 구워 솜털을 훔쳐 버리고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황구육(黃狗肉, 누렁이의 고기)
정과 수를 보한다. 양념을 두고 푹 삶아서 빈속에 먹는다[본초].

올눌제(올눌臍, 물개신)
주로 정액이 차고 정기가 쇠약한 것을 치료한다. 올눌제를 구워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도인법(導引法)

유정을 치료하는 데 한 손으로는 음경을 받들어 들고 한 손으로는 배꼽 좌우를 엇바꾸어가면서 오랫동안 문질러 주면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멎게 할 뿐 아니라 하초(下焦)의 원기를 보 하게 한다. 또 신유혈(腎兪穴) 부위, 앞가슴과 옆구리, 용천혈(湧泉穴)을 문지르는 것이 좋다. 그러나 명치를 문질러서는 안된다[입문].
[註] 도인법(導引法) : 호흡과 운동으로 온몸의 근육과 관절을 놀려서 온갖 병을 낫게 하는 방법. 옛날 도교를 믿는 사람들이 양생법의 한 가지로 이용.
○ 또 한 가지 방법은 유정(遺精)을 멈춘다. 짧은 침대나 포단 위에서 옆으로 누워 다리를 꼬부리고 자면서 다리를 펴지 않는다. 이렇게 하면 병이 자연히 낫는다[회춘].
○ 또 한 가지 방법은 밤 23-1시에 음경이 처음 발기할 때 똑바로 누워서 눈을 감고 입을 다물며 혀끝을 입천장에 닿게 한다. 그리고 허리를 쳐들고 왼손 가운뎃손가락 끝으로 미려혈(尾閭穴)을 누르고 오른손 엄지손가락 끝을 약손가락 밑에 넣고 주먹을 쥔다. 또 양쪽 다리를 쭉 펴고 양쪽 발가락 10개는 다 세우게 한 다음 숨을 한번 들이쉰다. 이때 마음속으로 생각해 보기를 미려혈에서부터 척주로 해서 뒤통수를 지나 정수리까지 갔다가 천천히 내려와 단전(丹田)에까지 오게 한다. 그 다음 허리와 다리, 손발을 조용히 늦추어 놓는다. 만약 위와 같이 다시 하면 음경이 쭈그러든다. 만일 쭈그러들지 않으면 다시 두세번 더 한다. 이 방법은 정액이 절로 나오는 병을 낫게 할 뿐 아니라 오래 계속하면 수화가 잘 조화되면서 영영 병이 생기지 않게 된다[회춘].

침뜸치료[鍼灸法]

유정과 몽설에는 심유(心兪), 백환유(白環兪), 고황유(膏황兪), 신유(腎兪), 중극(中極), 관원(關元) 등의 혈에 침을 놓거나 뜸을 뜨기도 한다[강목].
○ 정액이 절로 나오거나 정액이 많아서 절로 나오는 데는 중극, 대혁(大赫), 연곡(然谷), 태충(太衝) 등의 혈에 주로 놓는다[강목].
○ 허로로 정액이 절로 나오는 데는 대혁, 중봉(中封)혈에 놓는다[강목].
○ 유정과 5장이 허약하고 마르는 데는 곡골(曲骨)끝 한 혈에 28장의 뜸을 뜬다. 이 혈은 음경 위의 치골 중앙(橫骨 中央, 반달처럼 구부러진 곳)에 있다[강목].
○ 오줌이 뿌옇고 정액이 절로 나오는 데는 신유혈에, 몽설이 있는 데는 삼음교(三陰交)혈에 각각 14장의 뜸을 뜨면 효과가 매우 좋다[득효].


유정 몽설(傷精과 勞極이 오래됨) : 신정격/정력방

성생활 전 : 삼리 곡지 뜸

'동의보감 > 내경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경편(內景篇)  (0) 2016.05.29
신형(身形)  (0) 2016.05.29
기(氣)  (0) 2016.05.29
신(神)  (0) 2016.05.29
혈(血)  (0) 2016.05.29
:
Posted by docstory
2016. 5. 29. 09:00

기(氣) 동의보감/내경편2016. 5. 29. 09:00

« 동의보감(東醫寶鑑)

기(氣)

숨쉬기를 조절하는 비결[調氣訣] »

7기(七氣) » · 9기(九氣) »

중기(中氣) » · 상기(上氣) » · 하기(下氣) »

단기(短氣) » · 소기(少氣) »

기로 생긴 통증[氣痛] » · 기가 치미는 것[氣逆] » · 기울(氣鬱) »

 

기는 정과 신의 근본이다[氣爲精神之根 ]

동원은 “기는 신(神)의 조상격이 되고 정(精)은 기의 아들격이 된다. 그러므로 기는 정과 신의 근본이 된다”고 하였다.
○ 모진군(茅眞君)은 “기(氣)란 오래 살게 하는 약이고 심(心)은 기(氣)와 신(神)을 주관한다. 만약 기가 주가 되어 돌아가는 것을 안다면 곧 신선이 될 사람이다”고 하였다[양성].

기는 음식물에 의해 생긴다[氣生於穀]

『영추』에 “사람은 음식물에서 기를 받는다. 음식물이 위에 들어온 것을 폐에 전해 주면 5장 6부가 모두 기를 받게 된다. 그의 맑은 것은 영(榮)이 되고 그의 흐린 것은 위(衛)가 된다. 영은 맥 속에 있고 위는 맥 밖에 있다. 영이 쉬지 않고 50번을 돈 다음 다시 처음 돌기 시작한 데서 위와 만나게 된다. 이렇게 음양이 서로 관통되어 하나의 고리와 같이 끝이 없다”고 씌어 있다.
○ 또한 “상초가 작용하여 5곡의 기를 고루 퍼져 나가게 하며 살갗을 덥게 하고 몸을 충실히 하며 털을 윤기나게 하는 것이 마치 안개와 이슬이 축여 주는 것과 같다. 이것을 기(氣)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 『정리』에 “매일 먹는 음식의 영양분은 기를 보한다. 이 기가 곡식에서 생기기 때문에 ‘천기 기(기) 자에 ‘쌀 미(米)’자가 들어 있다. 사람의 몸에는 천지의 음양을 조화하는 기가 완전히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응당 삼가해서 써야 한다. 사람이 20살이 되면 기운이 왕성하여지는데 성욕을 억제하고 피로를 적게 하면 기운이 왕성하면서도 숨이 고르게 되지만 성생활을 많이 하고 피로가 심해지면 기운이 적어지고 숨이 가쁘게 된다. 기운이 적어지면 몸이 약해지고 몸이 약해지면 병이 나고 병이 나면 생명이 위험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

기는 위가 되어 몸의 겉을 호위한다[氣爲衛衛於外]

『영추』에 “위기[衛]란 분육(分肉)을 따뜻하게 하고 살갗을 충실하게 하며 주리(주理)를 좋게 하고 열었다 닫았다 하는 작용을 맡았기 때문에 위기(衛氣)가 따뜻하면 몸이 충실해진다”고 씌어 있다.
○ 『내경』에는 “위기란 음식물의 날랜 기이다. 그 기가 날래고 미끄러워서 혈맥에 들어가지 못한다. 그러므로 살갗 속과 분육 사이로 돌면서 황막(황膜)을 훈증하고 가슴과 배로 퍼진다”고 씌어 있다.
○ 또한 “양기(陽氣)는 온종일 몸의 겉을 주관한다. 아침에 양기가 생기고 낮에는 양기가 왕성하고 날이 저물게 되면 양기가 허해지고 기가 닫히게 된다. 그러므로 저물어지면 몸을 움직이지 말며 뼈와 힘줄을 과로하지 말고 안개와 이슬을 맞지 말아야 한다. 이 3가지를 위반할 때는 몸이 피곤하고 약해진다” 고 씌어 있다.
○ 또한 “양기는 하늘이나 해와 같은데 그것이 작용하지 못하면 수명이 짧아지며 몸이 튼튼해지지 못하게 된다. 하늘이 돌아가야 날이 밝아지는 것처럼 양기도 해가 솟으면 위로 올라가 겉을 보호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 주석에는 “양기는 움직이는 것을 주관한다. 사람에게 있어서 지각하는 것, 운동하는 것, 보고 듣는 것, 말하는 것, 냄새를 맡는 것 등의 기능은 모두 양기가 살갗을 훈증하고 몸을 충실케 하며 털을 윤기나게 하는 것이 마치 안개와 이슬이 축여 주는 것과 같은 것이다. 만일 양기가 한번이라도 자기 위치를 잃으면 흩어져서 제대로 돌지 못하여 훈증하고 충실케 하며 윤기나게 축여 주는 작용이 막히기 때문에 9규(九竅)가 속으로 막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기육(氣肉)이 막히면 지각하는 것, 운동하는 것, 보고 듣는 것, 말하는 것, 냄새를 맡는 것 등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사람의 양기는 하늘의 햇빛과 같으므로 사람이 양기를 잃으면 수명이 쉽게 짧아진다. 이것은 마치 하늘이 햇빛을 잃으면 만물이 생길 수 없는 것과 같다”고 씌어 있다.
○ 『입문(入門)』에는 “사람의 몸의 기는 돌아가는데 매일 23-1시에 왼쪽 발바닥 한가운데 있는 용천혈(涌泉穴)에서 양기가 일어나 왼쪽 다리와 배, 옆구리와 팔을 돌아 위로 정수리의 숫구멍까지 올라가 오(午)의 위치에서 멎었다가 11-13시에는 숫구멍에서 떠나 오른쪽 옆구리, 배, 다리 부위를 돌아 내려와 오른쪽 발바닥 한가운데에 와서 멎는다. 이것은 감리(坎離)가 음양과의 관계를 말한 것이다”고 씌어 있다.
[註] 황막(황膜) : ①횡격막. ②소장 겉에 있는 가름막 즉 장간막.
[註] 주리(주理) : 피부의 가는 금, 땀과 기운이 통하는 피부의 구멍. 즉 한선. 피부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註] 분육(分肉) : ①겉에 있는 살갗과 속에 있는 살의 사이. ②살가죽과 살의 사이. ③살과 뼈 사이.
[註] 『입문(入門)』 : 1624년에 이천이 쓴 책 8권으로 된 『의학입문』.
[註] 오(午) : 몸을 4방위로 귀속시킬 때 머리는 남방 오의 방위에 해당시킨데 근거하여 숫구멍을 오라고 하였다.
[註] 감(坎) : 북방수(물)를 말하는데 발을 말한 것.
[註] 이(離) : 남방화(불)를 말하는데 머리를 말한 것. 몸에서 음양이 잘 조화되는 것을 감리기제 혹은 수화기제라고 한다.

위기가 돌아가는 횟수[衛氣行度]

『영추』에 “위기는 하룻동안에 몸을 50번 돌아간다. 낮에는 양(陽)부위를 25번 돌고 밤에는 음(陰)부위를 25번 돈다. 그렇기 때문에 아침에는 음기가 없어지고 양기가 눈으로 나온다. 눈을 뜨면 기가 머리로 올라갔다가 목덜미를 따라 족태양경맥에 내려와서 잔등을 따라 내려가 새끼발가락 끝에 와서 끝난다. 다른 한 가닥은 눈초리에서 갈라져 수태양경맥을 따라 내려가 새끼손가락의 바깥쪽에 와서 끝난다. 또 한 가닥은 눈초리에서 갈라져 족소양경맥을 따라 내려와서 새끼발가락과 넷째발가락 사이로 빠진다. 위로 돌아가는 것은 갈라진 수소양경맥쪽으로 올라가서 새끼손가락에 와서 끝난다. 여기에서 갈라진 것이 귀의 앞으로 올라가서 족양명경맥으로 들어간다. 아래로 내려가는 것은 다시 발등으로 내려와서 새끼발가락 사이에 들어간다. 다른 한 가닥은 귀밑에서 수양경맥으로 내려와서 엄지손가락을 거쳐 손바닥 한가운데로 들어간다. 발에 도달한 것이 발바닥 한가운데로 들어가서 안쪽 복사뼈로 나와 음분(陰分)을 돌아 눈에서 다시 합해지기 때문에 한번 도는 것으로 된다. 몸을 25번 돌고 나서 양분(陽分)에로 도는 것은 끝나고 음으로 가게 되어 음이 기를 받는다. 처음에 음으로 들어가는데 언제나 족소음경맥을 거쳐 신(腎)에 가고 신에서는 심(心)으로 가며 심에서는 폐(肺)로 가고 폐에서는 간(肝)으로 가며 간에서는 비(脾)로 가고 비에서는 다시 신으로 간다. 역시 양기와 같이 25번을 돌아 다시 눈에서 합친다”고 씌어 있다.
○ 또한 “사람의 경맥이 상하, 좌우, 전후로 뻗어 있는 것이 28경맥인데 온몸을 돌아간 길이가 162자이므로 28수(二十八宿)에 상응하며 누수(漏水)의 백각(百刻)으로 일주야를 나누었기 때문에 1만 3천5백 번 숨을 쉬고 기는 50번을 돌아서 몸을 영양한다”고 씌어 있다.
○ 동원은 “원기(元氣)가 오는 것은 천천히 오고 고르게 오면서 실과 같이 가늘다. 사기가 오는 것은 빠르고 세서 큰 냇물과 같으므로 막아내지 못한다”고 하였다.
[註] 28수(二十八宿) : 고대 천문학에서 황도를 중심으로 둘러 있는 28개의 성좌. 사방에 각각 7개씩 분포되어 있는데 동쪽은 각, 항, 저, 방, 심, 미, 기이며 북쪽은 두, 우, 여, 허, 위, 실, 벽이며 서쪽은 규, 루, 위, 묘, 필, 자, 삼이며 남쪽은 정, 귀, 류, 성, 장, 의, 진이다.
[註] 누수(漏水) : 고대 물시계를 말하는데 물시계에서 물이 방울방울 떨어져 일정한 눈금까지 차오르는 것을 1각이라 하고 1주야를 100각으로 계산한 것.

영과 위는 따로 돌아간다[榮衛異行]

『강목』에 “영기는 수태음(手太陰)에서 시작하여 족궐음(足厥陰)에 와서 끝나는데 몸을 한번 돌아간다. 그 도는 것을 보면 겉으로는 몸체와 팔다리로 가고 안으로는 5장 6부에 가서 돌아가지 않는 곳이 없다. 그것이 50번을 도는데 밤과 낮, 음과 양의 차이가 없다. 그러나 위기가 돌아가는 것은 그렇지 않다. 낮에는 양부위인 몸체와 팔다리의 밖으로는 나오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50번을 돌아서 아침이 되면 영기(榮氣)와 수태음에서 또다시 만난다”고 씌어 있다.

기가 생기는 근원[生氣之原]

『난경』에 “12경맥은 모두 기가 생기는 근원과 연계되어 있다. 기가 생기는 근원이라는 것은 양쪽 신장 사이에 있는 동기(動氣)를 말한다. 이것이 5장 6부의 기본이며 12경맥의 근원이고 호흡하는 문호이며 삼초의 근본이다. 또한 사기(邪氣)를 받는 신(神)이라고도 한다. 때문에 기란 것은 사람의 몸에서 근본이다”고 씌어 있다.
○ 또한 “기해(氣海)와 단전(丹田)은 실제로 기를 생기게 하는 근원이 된다. 기해혈은 배꼽 아래에서 1치 5푼 되는 곳에 있고 단전은 일명 관원(關元)이라고도 하는데 배꼽 아래에서 3치 되는 곳에 있다”고 하였다.

기는 호흡의 근원이 된다[氣爲呼吸之根]

『정리』에는 “사람이 처음 생겨날 때 태(胎)중에 있을 때에는 어머니를 통해서 호흡하다가 태어나서 탯줄을 끊으면 한 점의 신령스러운 기운이 배꼽 밑에 모인다. 대개 사람에게는 오직 기(氣)가 제일 먼저이다. 기는 호흡에서부터 시작된다. 눈, 귀, 코, 혀, 살갗, 의식(이것을 6욕이라 한다) 등은 모두 기에 의해서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기가 아니면 빛깔, 소리, 냄새, 맛, 촉감, 예법을 모두 모르게 된다. 숨을 내쉴 때에는 하늘의 근본과 맞닿고 숨을 들이쉴 때에는 땅의 근본에 적응하는 것이다. 기가 사람의 몸을 하루에 810장을 돈다”고 씌어 있다.
○ 『주역』에 “한번 닫히고 한번 열리는 것을 변화라고 하며 오가는 것을 끊임없이 하는 것을 통한다고 한다”고 씌어 있다. 정이천(程伊川)은 “수양하는 방법에서 숨을 내쉬고 들이쉬는 것은 열고 닫고 하는 작용이다. 또한 열렸다 닫혔다, 갔다왔다 하는 현상은 코로 숨쉬는 데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장횡거(張橫渠)는 “사람이 숨을 쉬는 것은 대개 굳센 것과 부드러운 것이 서로 마찰하고 건곤(乾坤)이 열렸다 닫혔다 하는 것을 상징한 것이다”고 하였다. 주자양(朱紫陽)의 『조식잠(調息箴)』에 “천지의 기운이 배합되는 것은 열렸다 닫혔다 하는 묘한 작용에 의해 끝없이 진행되며 그 누가 맡아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하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 『참동계(參同契)』에 “호(呼)와 흡(吸) 두 가지는 정한 방위가 없이 작용하여 6허로 두루 돌아간다. 6허란 것은 상하, 전후, 좌우 등 괘의 6획을 말한다. 한번 내쉬고 한번 들이쉬는 숨이 올라가고 내려가며 오가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오래되면 신(神)이 모이고 호흡이 안정됨으로써 변화가 생기는 것이다. 숨을 내쉴 때 기가 나오는 것은 양이 열리는 작용이고 숨을 들이쉴 때 기가 들어가는 것은 음이 닫히는 작용이다. 대개 사람 몸의 음양이 천지의 음양과 서로 통한다. 만일 상하로 호흡하는 것을 조절해서 쉬지 않고 돌게 한다면 천지에서 열렸다 닫혔다, 갔다왔다 하는 묘한 작용이 모두 내 몸 가운데 있을 것이다”고 씌어 있다.
원화자(元和子)는 “사람의 몸은 대체로 천지와 같다는 것이 곧 이것이다”고 하였다.
○ 장주(莊周)는 “수양이 높은 사람의 숨은 발꿈치까지 가게 깊이 쉬고 보통사람의 숨은 목구멍에서 나온다. 대개 기가 하초에 있으면 그 숨결이 길고 기가 상초에 있으면 그 숨결이 빠르다는 뜻도 역시 이와 비슷한 것이다”고 하였다.

태식법(胎息法)

『진전(眞詮)』에 “사람은 태(胎)중에 있을 때에 입과 코로써 호흡하지 않고 오직 배꼽줄을 통하여 어머니의 임맥(任脈)에 매달려 숨을 쉰다. 임맥은 폐에 통하고 있으며 폐는 코와 서로 통해 있기 때문에 어머니가 숨을 내쉬면 태아도 내쉬고 어머니가 숨을 들이쉬면 태아도 들이쉰다. 그 기가 모두 배꼽 위에서 오간다. 천태(天台)를 식신(識神)이라고 한다. 태어나려고 할 때에는 정혈과 서로 합하여 배꼽에 뿌리를 박고 있다. 그리하여 태어날 때 배꼽줄이 서로 달려 있는 것이다. 호흡조절을 처음 배우려면 반드시 그 기운이 나올 때에는 배꼽에서 나오고 들어갈 때에는 배꼽에 가서 사라지도록 해야 한다. 호흡을 조절하여 아주 적게 쉬다 나중에는 입과 코로 쉬지 않고 다만 배꼽으로써 호흡하는 것이 태중에 있는 것과 같이하기 때문에 태식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숨을 한번 들이쉰 다음 숨을 쉬지 않고 배꼽으로써 호흡하되 수를 세어서 81에 이르거나 혹은 120에 이르렀을 때 입으로 숨을 내쉬어 공기가 나가게 하되 몹시 적게 하여 기러기 털을 입과 코 위에 붙여 놓고 숨을 내쉬어도 털이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한다. 점차 연습하여 점점 수를 늘이고 1,000에 이르게 되면 늙은이가 다시 젊어지며 하루 지나면 그만큼 더 젊어진다. 갈선옹(葛仙翁)이 매해 혹심한 더위 때에 갑자기 깊은 물밑에 들어갔다가 10일 만에 나오곤 하였다. 그는 능히 숨쉬는 것을 참고 태식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숨쉬는 것을 참을 줄만 알고 태식할 줄을 모르면 아무 소용이 없다”고 씌어 있다.
○ 『양성서(養性書)』에 “태식이란 것은 아이가 태 속에 있을 때 숨을 쉬는 것처럼 숨을 마음껏 들이쉬어 위로는 기관(氣關)에까지 가게 하고 아래로는 기해(氣海)에까지 가게 하며 입과 코로 숨을 쉬지 않는 것 같이 되기 때문에 숨을 쉬지 않고 깊은 물속에 들어가서 10일 동안 있다가 나올 수 있다”고 씌어 있다.
○ 또한 “내관(內觀)하는 요령은 정신과 마음을 안정하고 잡념을 없게 하며 옳지 못하고 허튼 생각이 들어가지 않게 하여서 기가 배꼽에 돌아가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을 식(息)이라고 한다. 신(神)이 기(氣)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 태(胎)다. 이 태(胎)와 식(息)이 서로 배합하여 하나로 뭉친 것을 태을(太乙)이라 한다”고 씌어 있다.
[註] 태식법(太息法) : 양생법의 하나인데 숨을 아주 약하게 천천히 쉬어서 숨을 쉬지 않는 것같이 보이게 숨을 쉬는 방법이다. 이 태식법에 씌어진 내용들은 모두 어떠한 과학성이나 실용성도 없는 허황한 말이다.

숨쉬기를 조절하는 비결[調氣訣]

팽조(彭祖)는 “정신을 고르게 하고 기를 인도하는 방법은 반드시 조용한 방에서 문을 닫고 자리를 편안하게 하고 따뜻하게 하며 베개를 2치 반 높이로 베고 똑바로 눕는다. 그리고 눈을 감고 숨을 가슴속으로 들이쉰 후 멈추는데 이 때 기러기털을 콧구멍에 붙인다. 그것이 움직이지 않게 300여 번 숨을 쉬고 귀로는 아무 것도 들리지 않게 한다. 또한 눈에 보이는 것이 없게 하고 마음속으로는 아무 것도 생각하는 것이 없게 한다.이렇게 하면 추운 것과 더운 것을 잘 이겨내고 벌이 쏘아도 독을 타지 않으며 360살을 살게 되는데 진인(眞人)에 가까운 사람이 된다”고 하였다.
○ 『양성서』에 “사람의 몸을 따지고 보면 아무 것도 없고 단지 돌아다니는 기가 있을 뿐이다. 이 기(氣) 즉 숨쉬는 기가 잘 조절되면 온갖 병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섭생을 잘하는 사람은 우선 숨쉬는 것을 잘 조절할 줄 알아야 한다. 숨쉬는 것을 조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밤 12시부터 낮 12시까지는 기가 생기는 때이므로 조절할 수 있지만 낮 12시부터 밤 12시까지는 기가 죽는 때이므로 조절하지 못한다. 숨쉬는 것을 조절할 때는 똑바로 누워 포단의 두께나 베개의 높이가 몸에 알맞게 하고 팔다리는 쭉 펴고 두 주먹을 꽉 쥐어 몸에서 4-5치 떨어지게 놓고 두 다리는 서로 4-5치 떨어지게 벌리며 자주 이빨을 쪼고 입에서 나오는 침을 삼킨다. 그리고 코로 공기를 들이켜 배에 들어가게 한다. 마음껏 들이켰으면 멈춘다. 더 들이쉴 힘이 있으면 더 들이쉰다. 오랫동안 참다가 숨이 답답해지면 입으로 천천히 모두 내보내고 다시 코로 천천히 숨을 들이쉬는 것을 전과 같이 반복하면서 입을 다물고 마음속으로 셈을 센다. 그리고 귀에 들리지 않게 하여 천까지 셈을 세게 되면 멀지 않아 신선이 된다. 만약 날씨가 음침하고 비바람이 있어서 몹시 차거나 더우면 공기를 마시지 말고 단지 숨만 참는다”고 씌어 있다.
○ 또한 “숨을 내쉬는 것은 나쁜 공기를 내보내는 것이므로 이것을 사기(死氣)라고도 한다. 숨을 들이쉬는 것은 깨끗한 공기를 마시는 것이므로 역시 생기(生氣)라고도 한다. 때문에 노자는 현빈의 문(玄牝之門, 코, 현문(玄門)이라 하고 입을 빈호(牝戶)라고 한다)은 천지의 근본이기 때문에 끊어질 듯하면서도 아무리 써도 없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것은 입과 코로써 하늘과 땅 사이에 있으면서 죽고 사는 것이 달려 있는 음양의 기를 호흡한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고 하였다.
○ 『정리』에 “기를 간수하는 묘리는 정을 온전히 하는 것이며 반드시 잠을 자지 않는 것이다. 대체로 사람이 달리면 숨이 가쁘고 목이 쉬며 깊이 잠들면 숨결이 거칠어지면서 코를 곤다. 오직 조용히 앉아 있어야 숨이 고르고 완화해진다”고 씌어 있다.
○ 『의감』에 “사람의 몸은 16살이 되면 정기가 점차 줄어든다. 그것은 단지 남녀간의 정욕을 지나치게 하는데서 정기를 줄어들게 할 뿐만 아니라 한 가지 일을 할 때 보고 듣는 것, 말하고 행동하는 것들이 모두 정기를 소모하며 흩어지게 하는 원인으로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석씨(釋氏)는 벽을 향하였고 선가(仙家)는 집에 앉아 모두 기초를 쌓고 자기의 몸을 단련하는데 애써서 신기가 소모되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것이 오래 살게 하는 방법이다”고 씌어 있다.

폐는 기를 주관한다[肺主氣]

『내경』에 “폐(肺)는 기(氣)를 주관한다. 또한 모든 기는 폐에 속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폐에는 6엽(六葉)과 두 귀로 되어 있으며 엽 속에 24개의 구멍이 줄지어 있어 음기(陰氣), 양기(陽氣), 청기(淸氣) , 탁기(濁氣)가 퍼져 있다”고 씌어 있다.
○ 또한 “폐는 기를 간직하는데 기가 지나치게 많으면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기가 부족하면 숨을 잘 쉬나 기운이 적다”고 씌어 있다.
○ 『영추』에 “단중(단中)은 기가 모이는 곳이다(단중은 폐의 방과 같다). 기가 지나치게 많으면 가슴과 얼굴이 다 벌겋고 기가 부족하면 기력이 적고 말을 많이 하지 못한다”고 씌어 있다.

맥 보는 법[脈法]

『중경』은 “맥이 부(浮)하면서 구슬 같은 땀이 흐르면 위기(衛氣)가 쇠약한 것이다”고 하였다.
○ 또한 “촌구맥이 미(微)하면서 삽미(澁微)한 것은 위기가 쇠약한 것이다. 삽한 것은 영기(榮氣)가 부족한 것이다”고 씌어 있다.
○ 『맥경』에는 “촌구맥이 국 위에 기름덩이가 뜬 것같은 것은 양기가 미약한 것이며 거미줄을 만지는 것같은 맥은 음기가 쇠약한 것이다”고 씌어 있다.
○ 또한 “대맥(代脈)은 기가 쇠약한 것이며 세맥(細脈)은 기가 적은 것이고 맥이 부(浮)하면서 끊어지는 것은 기가 끊어지려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또한 “부양맥(趺陽脈)이 부(浮)하면서 삽(澁)한데 삽하면 위기가 허한 것이고 위기가 허하면 숨결이 가쁘다”고 씌어 있다.
[註] 부양맥(趺陽脈) : 충양맥이라고도 하는데 족양명위경의 해계혈에서 1치 5푼 앞에 있는 충양혈 부위(발등 한가운데)에서 뛰는 맥. 옛날 9후맥을 볼 때 부양맥을 보았다. 9후맥은 머리, 손, 발의 각각 3곳 즉 9곳의 맥을 보는 것.
○ 『맥결』에는 “손으로 눌러서 맥이 침(沈)하면 곧 기병(氣病)인 줄 알아야 한다. 몹시 침한 것을 복맥(伏脈)이라고 한다. 색약맥( 弱脈)은 치료하기 어렵다. 그 맥이 침활(沈滑)하면 기병에 담음(痰飮)을 겸한 것이다”씌어 있다.
○ 또한 “맥이 침현(沈弦)하고 세동(細動)한 것은 모두 기통증(氣痛證)이다. 심통(心痛)이 있으면 촌맥 부위에 나타나고 복통(腹痛)인 경우에는 관맥 부위에 나타난다. 아랫도리에 병이 있을 때에는 척맥 부위에 나타나고 맥상(脈象)이 현저하게 나타난다”고 씌어 있다.
[註] 기통증(氣痛證) : 기로 인한 통증. 기가 잘 돌지 못하여 막히고 몰리면 아픈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註] 심통(心痛) : 명치가 아픈 것. 가슴앓이라고도 한다. 심통에는 9가지가 있다.
○ 『중경』에는 “부양맥(趺陽脈)이 미(微)하고 긴(緊)한데 긴한 것은 한증(寒證)이고 미한 것은 허증(虛證)이며 미맥(微脈)과 긴맥(緊脈)이 서로 어울리면 숨이 차게 된다”고 하였다.

기(氣)로부터 여러 가지 병이 생긴다[氣爲諸病]

단계는 “기는 온몸을 돌면서 사람을 살아나가게 한다. 만일 속으로 상한 일이 없고 겉으로 사기를 받지 않으면 어찌 기병이 생기겠는가. 최근에 냉기(冷氣), 체기(滯氣), 역기(逆氣), 상기(上氣)라는 것들은 모두 폐가 화사(火邪)를 받아 기가 타오르면서 변한 것이다. 기는 올라가기만 하고 내려오지 않거나 숨길[淸道]을 훈증하는데 이것이 심하면 병이 된다. 『국방(局方)』에 “보통 맵고 향기롭고 성질이 조열한 약을 쓰는데 이것은 불로써 불을 끄자는 것이다”고 하였다.
[註] 국방(局方) : 태평혜민화제국방의 약칭. 진사문 등이 쓴 10권으로 된 의서.
○ 장자화(張子和)는 “여러 가지 병은 모두 기에서 생기고 모든 통증도 기에서 생긴다”고 하였다.
○ 『회춘(回春)』에는 “풍사(風邪)가 기를 상하면 통증이 오고 한사(寒邪)가 기를 상하면 오한이 나면서 몸이 떨린다. 더위가 기를 상하면 열이 나고 답답하며 습사(濕邪)가 기를 상하면 부종이 오고 조사(燥邪)가 기를 상하면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다”고 씌어 있다.
[註] 『회춘(回春)』 : 공신이 쓴 책 8권으로 된 『만병회춘』.
○ 『서례(序例)』에 “사람이 기(氣) 속에서 사는 것은 물고기가 물 속에서 사는 것과 같다. 물이 흐리면 물고기가 여위고 기가 흐리면 사람이 병든다. 사기(邪氣)가 사람을 상하면 아주 심중하다. 경락(經絡)이 사기를 받으면 장부(藏府)에 전해 들어가는데 그 허실, 냉열에 따라 병이 된다. 또한 장부의 상생관계가 있기 때문에 병이 전달되고 변화되는 것이 광범해진다”고 씌어 있다.

기는 가만히 있으면 막힌다[氣逸則滯]

구선은 “사람에게 나른해지는 병이 까닭없이 발생하는 것이 있으니 반드시 무겁거나 가벼운 것을 가지고 종일 바쁘게 다닌데서만 오지 않는다. 오직 한가한 사람에게 이 병이 많이 생긴다. 대개 한가하고 편안한 사람은 흔히 운동을 하지 않으며 배불리 먹고 앉아 있거나 잠이나 자기 때문에 경락이 잘 통하지 않고 혈맥(血脈)이 응체(凝滯)되어 그렇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귀인의 얼굴은 즐거운 듯하나 마음은 괴롭고 천한 사람의 마음속은 한가하나 얼굴은 고통스러워 보인다. 귀인은 때없이 성생활을 하며 꺼려야 할 것을 지키지 않는다. 또한 영양분이 많은 음식만 먹고 잠만 잘 것이 아니라 항상 몹시 피곤하지 않을 정도로 일을 해야 한다. 영위가 잘 돌아가고 혈맥이 잘 조화되게 해야 한다. 비유하면 흐르는 물이 썩지 않으며 문지방이 좀이 먹지 않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 『입문』에 “가만히 있으면 기가 막힌다. 기가 막혀 몰린 것이 경한 것은 움직이면 낫지만 중한 것은 귤피일물탕을 써야 한다”고 씌어 있다.

귤피일물탕(橘皮一物湯)
귤껍질(橘皮, 깨끗이 씻은 것) 40g을 깨끗한 물에 달여 먹는다.

7기(七氣)

7기란 기뻐하는 것, 성내는 것, 슬퍼하는 것, 생각하는 것, 근심하는 것, 놀라는 것, 무서워하는 것들을 말한다. 혹은 추워하는 것, 열이 나는 것, 원망하는 것, 성내는 것, 기뻐하는 것, 근심하는 것, 슬퍼하는 것이라고도 하는데 모두 서로 통한다[직지].
○ 『직지』에 “사람에게 7정(七精)이 있고 병은 7기(七氣)에서 생긴다. 기가 몰리면 담이 생기고 담이 성하면 기가 더욱 몰리게 된다. 때문에 기를 고르게 하려면 반드시 먼저 담을 삭게 해야 한다. 칠기탕과 같이 끼무릇(반하)을 주약으로 하고 육계를 좌약으로 해서 치료하는 것이 대체로 좋은 방법이다”고 씌어 있다.
○ 또한 “7기가 서로 어울려서 담연(痰涎)이 뭉친 것이 솜 같기도 하고 엷은 막 같기도 하며 심하면 매화씨 같기도 하다. 이러한 것이 목구멍을 막아서 뱉으려고 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고 해도 넘어가지 않으며 혹은 속이 그득하면서 음식을 먹지 못하거나 기가 치밀면서 숨이 몹시 차게 된다. 이것을 기격(氣隔), 기체(氣滯), 기비(氣秘), 기중(氣中)이라고 한다. 심해지면 5적(五積), 6취(六聚), 산증(疝證), 벽증(癖證), 징가(징가)가 되어 명치 밑과 배에 덩어리가 생겨서 아프다. 이 통증이 발작하면 숨이 끊어지는 것같고 안 가는 데가 없이 돌아다니면서 작용한다”고 씌어 있다. 이런 때에는 칠기탕, 사칠탕, 분신기음, 향귤탕을 쓴다.
[註] 적(積)과 취(聚) : 뱃속에 병적으로 생긴 덩어리.
[註] 5적(五積) : 주로 5장과 관련되어 덩어리가 일정한 곳에 생기면서 통증도 국한되어 있다.
[註] 6취(六聚) : 6부와 관련되어 생기면서 일정한 곳에 덩어리가 있지 않고 또 아픈 곳도 일정치 않다.

칠기탕(七氣湯)
7정(七精)이 울결되어 명치 밑과 배가 비트는 듯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12g, 인삼, 육계, 감초(닦은 것)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을 넣어 달여 먹는다[국방].

사칠탕(四七湯)
7기(七氣)가 엉켜서 생김새가 마치 헌솜 같거나 매화씨 같은 것이 목구멍에 막혀 있으면서 뱉아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내려가지 않으며 혹은 가슴이 더부룩하고 그득하며 가래가 성한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8g, 벌건솔풍령(적복령) 6.4g, 후박(법제한 것) 4.8g, 차조기잎(자소엽) 3.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7쪽, 대추 2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국방].

분심기음(分心氣飮)
7정(七情)이 몰리고 막힌 것을 치료한다. 대변을 잘 나가게 하고 오줌을 맑게 하면서 시원히 나가게 한다.
차조기잎(자소엽) 4.8g 감초(닦은 것) 2.8g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지각 각각 2.4g,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으름덩굴(목통), 대복피,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목향, 벌건솔풍령(적복령), 빈랑, 봉출, 맥문동, 도라지(길경), 계피, 향부자, 곽향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 대추 2개, 골풀속살(등심초) 10줄기와 함께 넣고 달여 먹는다[직지].

향귤탕(香橘湯)
7정에 상해서 중완(中脘)이나 배와 옆구리가 불러오르고 그득한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닦은 것),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귤껍질(橘皮) 각각 6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5쪽, 대추 2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직지].

9기(九氣)

황제가 묻기를 “나는 모든 병이 기(氣)에서 생긴다는 것을 알고 있다. 성내면 기가 올라가고 기뻐하면 기가 늘어지며 슬퍼하면 기가 가라앉는다. 그리고 두려워하면 기가 내려가고 추워하면 기가 졸아들며 더우면 기가 빠져 나가고 놀라면 기가 혼한[亂]해진다. 또 피로하면 기가 소모되고 생각을 지나치게 하면 기가 뭉치게 되는 등 9기가 같지 않다. 그런데 어떤 병이 생기는가” 기백이 대답하기를 “성내면 기가 치미는데 심하면 피를 토하고 삭지 않은 설사를 하기 때문에 기가 올라가는 것이다. 기뻐하면 기가 고르게 되고 뜻이 통하며 영위가 잘 돌아가기 때문에 기가 늘어진다. 슬퍼하면 심계(心系)가 당기고 폐엽(肺葉)이 들떠서 상초가 잘 통하지 않으며 영위가 잘 헤쳐 나가지 않으면서 열기가 속에 있기 때문에 기가 가라앉게 된다. 무서워하면 정기가 없어지고 정기가 없어지면 상초가 막힌다. 상초가 막히면 기가 되돌아온다. 기가 되돌아오면 하초가 불러 오르고 그득해지기 때문에 기가 돌아가지 못한다. 추우면 주리(주理)가 막히고 기가 잘 돌지 못하기 때문에 기가 줄어든다. 더우면 주리가 열리고 영위가 잘 통하여 땀이 많이 나기 때문에 기가 빠져나간다. 놀라면 마음이 의지할 곳이 없어지고 정신이 귀착할 곳이 없어지며 생각하는 것이 일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가 혼란해진다. 피로하면 숨이 차고 땀이 나서 안팎으로 모두 넘쳐 나기 때문에 기가 소모된다. 생각하면 마음이 붙어 있을 곳이 있고 정신이 돌아가는 데가 있어 정기가 머물러 있으면서 돌아가지 못하기 때문에 기가 뭉친다”고 하였다[내경].
○ 또한 9가지 기가 있는데 첫째는 격기(膈氣), 둘째는 풍기(風氣), 셋째는 한기(寒氣), 넷째는 열기(熱氣), 다섯째는 우기(憂氣), 여섯째는 희기(喜氣), 일곱째는 경기(驚氣), 여덟째는 노기(怒氣), 아홉째는 산람장기(山嵐장氣)이다. 이것이 모이고 쌓여서 술잔을 덮어 놓은 것같으면서 배가 찌르는 것처럼 아픈데 발작하면 죽을 것같다. 이런 때는 신선구기탕, 정기천향탕을 쓴다[득효].
○ 9기(九氣)로 생기는 병을 치료하는 방법 : 위로 올라오는 것은 내리누르고 처진 것은 들어올리며 찬 것은 덥게 하고 더운 것은 차게 하며 놀란 것은 편안하게 하고 노곤한 것은 따뜻하게 하며 뭉친 것은 풀어 주고 기뻐하는 것은 무서운 감정으로써 이겨내게 하며 슬퍼하는 것은 기뻐하는 것으로써 이겨내게 한다[심법].

신선구기탕(神仙九氣湯)
9기(九氣)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 강황, 감초(닦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소금 끓인 물에 타 먹는다[득효].

정기천향탕(正氣天香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부인이 기로 인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 12g, 오약, 귤껍질(陳皮),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4g, 건강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소금 끓인 물에 타 먹어도 좋다[단계].

중기(中氣)

『본사』에 “대체로 사람이 갑자기 너무 기뻐하면 양기(陽氣)를 상하고 갑자기 몹시 성내면 음기(陰氣)를 상하며 근심과 수심으로 불안한 기운이 많아지면 기가 위로 치밀면서 갑자기 목으로 담이 올라와 막히는 것같은 감을 느끼다가 까무러치고 이를 악문다. 이때 중풍으로 보고 약을 쓰면 흔히 사람을 죽일 수 있다. 만일 이런 증상이 있으면 급히 소합향원을 풀어 먹여서 정신이 든 다음에 증상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고 씌어있다.
○ 『득효(得效)』에 “중풍(中風)이면 맥이 부(浮)하고 몸이 따뜻하며 입에 느침[痰涎]이 많이 나온다. 중기(中氣)이면 맥이 침(沈)하고 몸이 싸늘하며 입에 느침이 없다. 중풍은 중기에 쓰는 약으로 치료하여도 사람을 상하지 않지만 중기(中氣)는 중풍에 쓰는 약을 쓰면 곧 해를 본다. 먼저 소합향원을 쓰고 다음에 칠기탕에 석창포를 더 넣어 쓴다”고 씌어 있다.
○ 방씨(方氏)는 “중풍은 많은 경우에 잘 치료되지 않지만 중기는 얼마 가지 않아서 곧 깨어난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 하면 중풍, 중기의 원인은 한 가지이다. 모두 몹시 성을 냈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사람에게는 5지(五志)에서 성내는 것이 제일 심하다. 그러므로 병도 갑자기 생긴다. 대개 젊은 사람은 기혈이 허하지 않고 진수(眞水)가 마르지 않으므로 화기(火氣)가 물에 눌려서 올라가지 못하여 몸이 싸늘하게 되며 느침[痰涎]이 없고 얼마 안 가서 곧 깨어난다. 그러나 노쇠한 사람은 기혈이 모두 허하고 진수(眞水)가 이미 말라서 화기(火氣)는 눌리는 데가 없이 올라가므로 몸이 덥고 담연이 있는 것이다. 많은 경우에 치료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 『입문』에 “중기로 허한 사람은 팔미순기산을 쓰고 실한 사람은 사칠탕을 쓴다”고 씌어 있다.
○ 『회춘』에 “중기란 서로 다투다가 갑자기 몹시 성내는 기가 올라가서 까무라쳐 넘어지는 것이다. 이때는 먼저 생강을 달인 물을 먹여 정신이 든 다음에 목향순기산을 쓴다”고 씌어 있다.
○ 『의감』에는 “『내경』에 '원인 없이 벙어리가 되고 맥이 뛰지 않는 것은 치료하지 않아도 낫는다'고 한 것은 기가 갑자기 치밀기 때문인데 기가 돌아서면 낫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약을 먹지 않아도 역시 좋다”고 씌어 있다.
[註] 『득효(得效)』 : 1337년 위역림이 쓴 20권으로 된 책. 『세의득효방』.
[註] 중기(中氣) : ①갑자기 기절하여 넘어지면서 이를 악물고 몸이 싸늘해지는 것. ②속에 있는 정기 즉 비위의 기, 중초의 기.
[註] 5지(五志) : 5정. 기뻐하는 것, 성내는 것, 근심하는 것, 생각하는 것, 겁내는 것들. 5지를 5장과 결부시켜 보았다.
[註] 진수(眞水) : 신음, 진음, 원음.

팔미순기산(八味順氣散)
중기를 치료하는 데 매우 좋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선귤껍질(청피), 구릿대(백지), 귤껍질(귤피), 오약 각각 2.8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목향순기산(木香順氣散)
중기를 치료한다.
오약, 선귤껍질(청피), 향부자,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후박, 지각 각각 4g, 목향, 사인 각각 2g, 계피, 건강, 감초(닦은 것)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회춘].

상기(上氣)

『영추』에 “사기(邪氣)가 폐(肺)에 있으면 추웠다 열이 나고 기가 위로 치민다”고 씌어 있다.
○ 『내경』에 “폐는 기를 간직하는데 기가 너무 많으면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면서 기가 위로 치민다”고 씌어 있다.
○ 기가 위로 치밀면 내쉬는 숨이 많아지고 들이쉬는 숨은 적어지며 숨쉬기가 몹시 가쁘다. 이때는 소자강기탕, 비전강기탕, 지성래복단(至聖來復丹, 처방은 아래에 있다), 침향강기탕, 쾌기탕 등을 쓴다.
[註] 상기(上氣) : ①기가 아래에서 위로 치미는 것. ②상초의 기운, 몸 웃도리의 기운.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기가 위로 치밀어서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한다.
반하국, 차조기씨(자소자, 닦아서 간 것) 각각 4g, 육계, 귤껍질(陳皮, 흰 속을 버린 것) 각각 3g, 당귀, 전호, 후박, 감초(닦은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 대추 2개, 차조기(자소엽) 5잎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국방].

비전강기탕(秘傳降氣湯)
기가 위로 치미는 것과 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여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아찔하여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4g, 귤껍질(陳皮), 지각, 시호, 감초(닦은 것) 각각 2g, 지골피, 오갈피, 골쇄보, 가자피, 초과, 도라지(길경), 반하국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 차조기 3잎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국방].

침향강기탕(沈香降氣湯)
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거나 기가 위로 치밀어서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160g, 감초(닦은 것) 48g, 사인 20g, 침향 16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소금과 차조기(자소)를 두고 달인 물에 타 먹는다[정전].

쾌기탕(快氣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향부자 140g, 사인 32g, 감초 (닦은 것) 16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소금 끓인 물에 타 먹는다[득효].

한 가지 처방
갑자기 기가 치밀어 올라서 숨이 몹시 차고 가래 끓는 소리가 나며 곧 숨이 끊어질 듯한 것을 치료한다.
인삼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하루 다섯에서 여섯번 따뜻한 물에 타 먹는다. 진하게 달여 먹어도 좋다[본초].

또 한 가지 처방
기가 위로 치미는 것을 치료한다. 흰 겨자 1되를 짓찧어 주머니에 넣어서 술 2되에 담갔다가 7일이 지나면 한번에 3홉씩 하루 두번 데워 먹는다[본초].

하기(下氣)

『강목』에 “하기(下氣)는 심에 속한다”고 씌어 있다. 『경』에는 “여름의 맥은 심(心)이 주관하는데 심맥(心脈)이 제대로 뛰지 못하고 처지면 기설증(氣泄證)이 된다”고 씌어 있다.
○ 또한 “전간(癲癎)이나 노채(勞채)에 걸린 환자가 만약 기가 처져 내려가 계속 설사하면 반드시 죽는다. 이것은 진기가 말라 없어지고 장위(腸胃)와 주리(주理)가 막혀서 곡기(穀氣)가 장위의 밖으로는 퍼져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장위를 따라 설사로 나간다”고 씌어 있다.
○ 하간(河間)은 “장위(腸胃)가 울결되어 곡기가 안으로만 쏠리고 장위의 밖으로는 퍼져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트림이 나가고 혹은 방귀가 잘 나간다”고 하였다.
○ 중경은 “상한 양명병에 속에 마른 대변이 있을 때는 반드시 방귀가 나간다. 설사시키면 곧 낫는다. 방귀가 나오는 것은 기가 처져 밖으로 나오는 것이다”고 하였다.(자세한 것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註] 하기(下氣) : ①기가 위로 치민 것이 가라앉는 것. ②하초의 기운, 몸 아랫도리의 기운. ③방귀가 나가는 것.
[註] 기설증(氣泄證) : ①기로 인해서 생긴 설사증. ②기운이 빠져 나가는 것.
[註] 곡기(穀氣) : 음식을 먹어서 생긴 기(기운).

단기(短氣)

『명리(明理)』에 “단기란 기력이 아주 약해서 숨을 잘 이어가지 못 하는 것이다.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같으나 사실은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이 아니다. 숨쉬기가 비록 잦아도 연달아 되지 않고 천식 같으나 어깨를 들먹이지 않으며 신음하는 듯하나 아파하지 않으므로 실지 구분하기 어려운 증상이다. 그런데 그 증상을 알고 보면 숨이 가쁘고 몹시 밭은 것이다”고 씌어 있다.
○ 중경은 “보통 사람이 추웠다가 열이 나면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 것은 실증(實證)이다. 또한 숨결이 밭으면서 담음이 약간 있으면 반드시 오줌으로 나가게 해야 한다. 그러므로 영계출감탕을 주로 쓰며 또는 신기환(腎氣丸,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고 하였다.
○ 『입문』에는 “기단(氣短)이란 숨을 연달아 쉬지 못하는 것이다. 결흉(結胸)으로 생기는 것, 물이 고여서 정충증(정충證)이 생긴 것, 풍습이 서로 어울려서 생기는 것, 평시부터 약하고 기가 허해서 생기는 것도 있다. 대개 명치 밑이 불러오르고 그득한 것은 실증이고 사기가 속에 있는 것이다. 명치 밑이 유연하면서 그득한 것은 허증이고 사기가 겉에 있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 동원은 “숨결이 밭고 오줌이 잘 나오는데는 사군자탕에서 솔풍령(복령)을 빼고 황기를 더 넣어 보한다”고 하였다.
○ 『입문』에는 “기가 흩어지면 속이 허해서 권태증이 나며 힘이 없고 숨결이 밭으면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데는 조중익기탕(調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쓴다”고 씌어 있다.
○ 『맥경』에는 “촌구맥이 침한 것은 가슴 속에 단기증(短氣證)이 있다”고 씌어 있다.

영계출감탕( 桂朮甘湯)
가슴에 담음(痰飮)이 있어서 숨결이 밭은 것을 치료한다.
벌건솔풍령(적복령) 8g, 계지, 흰삽주(백출) 각각 6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중경].

소기(少氣)

『강목』에 “소기란 기운이 약해서 말을 할 수 없을 만큼 된 것이다”고 씌어 있다.
○ 『영추』에 “폐(肺)는 기를 간직하는데 기가 부족하면 숨결이 약해지고 기운이 적어진다. 또한 폐가 허하면 기가 적어져서 숨을 잘 쉴 수 없게 된다. 또한 신(腎)은 기를 생기게 한다. 신이 허하면 기운이 없어서 말하기 힘들어 하고 말을 채 잇지 못하며 뼈가 시리고 몸이 나른하여 잘 움직이지 못한다. 또한 단중( 中)은 기가 모이는 곳이다. 단중이 약하면 기운이 적어져서 말할 힘도 없다”고 씌어 있다.
○ 『내경』에 “몸이 몹시 나른해서 기운이 없는 것같은 것은 수기(水氣)가 잘 돌아가지 못하고 살이 빠지고 기운이 소모된 것이다.말할 힘이 없어서 한마디하고는 하루종일 하지 않다가 또 한마디 하는 것은 기운이 빠진 것이다. 이때는 생맥산(生脈散, 처방은 서문에 있다), 인삼고, 독삼탕, 황기탕 등을 쓴다”고 씌어 있다.
○ 『역로』는 “진기(眞氣)가 허약하고 맥이 약하며 기운이 없이 말하는 데는 사군자탕, 인삼황기탕, 익기환 등을 쓴다”고 하였다.
[註] 진기(眞氣) : ①원기, 정기, 진원. 선천적으로 받은 정기와 후천적으로 생기는 곡기가 합쳐서 진기가 되는데 생명활동에 주요한 작용. ②심의 기운.
○ 『동원』은 “속으로 비위를 상하여 중기가 허해지고 적어진 데는 보중익기탕,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 처방은 모두 내상문에 있다) 등이 좋다”고 하였다.

인삼고(人蔘膏)
원기가 허약하고 정신이 부족하며 말을 연달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원기를 완전히 회복시키는 데 좋은 처방이다.
인삼 600g.
위의 약을 썰어서 사기냄비에 넣고 물은 약보다 한 손가락 길이만큼 더 올라오게 두고 세지도 약하지도 않은 불에 달여 절반쯤 줄면 물을 다른 그릇에 따라 둔다. 그리고 약 찌꺼기는 먼저와 같이 세번 달인다. 인삼을 씹어 보아 아무 맛도 없으면 더 달이지 않고 앞의 달인 물을 남비에 넣고 졸여 고약처럼 만든다. 하루에 5-6숟가락씩 먹는다. 폐에 열이 있을 때에는 천문동과 같이 쓰면 효과가 매우 좋다[입문].
○ 인삼은 비(脾)와 폐(肺)의 양기부족을 치료하고 기촉(氣促), 단기(短氣), 소기(少氣) 등을 보하는 작용을 한다. 승마를 인경약으로 쓰지 않으면 올라가는 기를 보하지 못한다. 승마 1, 인삼 3의 비례로 합해서 쓰는 것이 좋다. 만약 하초의 원기를 보하고 신(腎)의 화사(火邪)를 사(瀉)하려면 솔풍령(복령)을 사약(使藥)으로 써야 한다[동원].
○ 인삼고와 독삼탕은 반드시 흐르는 물로 달여 먹어야 아주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의설].
[註] 기촉(氣促) : 숨이 몹시 가쁜 것

독삼탕(獨蔘湯)
인삼 한 가지만을 진하게 달여 먹는다[의설].

황기탕(黃기湯)
기가 허하여 열이 나고 온몸의 혈맥에 벌레가 기어다니는 것 같으며 상화(相火)가 발에서부터 위로 올라와서 가슴이 늘 안타까우면서 두근거리며 머리가 무겁고 띵한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열을 내리고 기를 고르게 하며 마음을 진정시킨다.
황기 8g, 인삼, 감초 각각 4g, 당귀 2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달여 먹는다[활인심방].

사군자탕(四君子湯)
진기(眞氣)가 허약한 것을 보하는데 기력이 아주 약하고 기운이 적은 것을 치료한다.
인삼(노두를 버린 것), 흰솔풍령(백복령), 흰삽주(백출), 감초(닦은 것) 각각 5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 방씨(方氏)는 “인삼은 폐를 보하고 비를 든든하게 해준다. 흰삽주는 비를 든든하게 하고 습기를 없앤다. 흰솔풍령(백복령)은 기를 내리고 습기를 빠져나가게 한다.
감초는 위를 보하고 속을 편안하게 한다. 비유하면 너그럽고 후하며 마음씨 좋은 사람은 간사하고 험하며 무리한 행동을 하지 않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 『의감』에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흰삽주는 비위를 든든하게 한다. 흰솔풍령(백복령)은 습기를 빠지게 하는 것과 함께 인삼을 이끌어 내려가게 해서 하초의 원기를 보한다”고 씌어 있다[입문].

인삼황기탕(人蔘黃기湯)
허손증(虛損證)과 기운이 적은 것을 치료한다.
인삼 8g, 황기,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각각 4g, 당귀, 흰솔풍령(백복령), 감초(닦은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 대추 2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빈속에 먹는다[역로].

익기환(益氣丸)
말을 많이 하여 기를 상하거나 기운이 적어서 말하기를 싫어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상초를 보하고 기운을 도와준다.
인삼, 맥문동 각각 28g, 귤껍질(橘皮), 도라지(길경), 감초(닦은 것) 각각 20g, 오미자 21알.
위의 약들을 아주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물에 불린 유병(油餠)으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잘 씹어 먹는다. 유병은 기름을 쳐서 구운 떡이다[회춘, 역로].

기로 생긴 통증[氣痛]

『입문』에 “사람 몸의 원기는 혈과 같이 돌아가는데 그것이 장부(藏府)의 사이를 잘못 돌아가게 되면 통증이 생기고 적취(積聚)와 현벽(현癖)이 가슴에 몰리거나 치밀면 더부룩하고 그득하며 쑤시는 것같이 아픈 증상이 나타난다. 이것은 흔히 7정(七情)과 음식으로 담음(痰飮)이 된 것이다. 그것이 처음 생겼을 때에는 맵고 성질이 더운 약으로 몰린 것을 헤쳐 주고 기를 잘 돌아가게 하며 담을 삭이고 적취를 없애야 한다. 오래된 것은 맵고 성질이 찬 약으로 화를 내려가게 하여 근원을 없애야 한다[입문].
○ 기가 상초(上焦)에 막혀서 가슴이 더부룩하고 아픈 데는 지귤탕, 길경지각탕(桔梗枳殼湯, 처방은 가슴문에 있다), 청격창사환(淸膈蒼莎丸,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쓴다.
○ 기가 중초(中焦)에 막혀서 배와 옆구리가 찌르는 듯이 아픈 데는 신보원, 목향파기산, 당기아위환을 쓴다.
○ 기가 하초(下焦)에 막혀서 허리가 아프고 산가증(疝 證)이 생긴 데는 반총산(蟠총散, 처방은 전음문에 있다), 사마탕(四磨湯,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 목향순기환, 목향빈랑환을 쓴다.
[註] 산가증(疝가證) : 아랫배에 기가 몰리고 막혀서 산증처럼 아프고 당기면서 때로 위로 치미는 증.
○ 기가 겉에 막히면 온몸이 쑤시는 것같이 아프거나 부종이 생긴다. 이때는 유기음자, 목향유기음, 삼화산, 오피산(五皮散, 처방은 부종문에 있다)을 쓴다.
○ 대개 기로 생긴 통증에는 오침탕, 부원통기산, 신선침사원, 일립금단, 소오침탕 등이 좋다.

지귤탕(枳橘湯)
기가 막혀서 가슴이 더부룩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橘皮) 32g, 지각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4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막힌 것이 심하면 강황을 조금 더 넣어 쓴다[입문].

청격창사환(淸膈蒼莎丸)
습열증(濕熱證)을 치료하는데 기가 몰린 것을 헤쳐 통증을 멎게 한다.
삽주 80g,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60g, 황련, 속썩은풀(황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잘 익은 하늘타리(껍질을 버린 것)와 함께 짓찧어서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 어떤 책에는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고 하였다[입문].

신보원(神保元)
여러 가지 기가 몰려서 아픈 것과 가슴아픔, 배와 옆구리의 아픔, 신기통(腎氣痛) 등을 치료한다.
전갈(온전한 것) 7개, 파두 10개(껍질을 버리고 상을 만든다), 목향, 후추 각각 10g, 주사 4g(절반은 약에 넣고 절반은 겉에 입힌다).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5-7알씩 생강을 달인 물이나 데운 술로 먹는다[국방].

목향파기산(木香破氣散)
기로 생긴 통증을 치료한다.
향부자 160g,오약,강황 각각 80g, 목향, 감초(닦은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소금 끓인 물에 타 먹는다[심법].

당기아위원(撞氣阿魏元)
일체 기로 생긴 통증을 치료한다.
봉출(닦은 것), 정향피(닦은 것), 귤껍질(陳皮), 선귤껍질, 궁궁이(천궁), 회향(닦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40g, 사인, 계심, 구릿대(백지) 각각 20g, 아위(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갈아서 풀을 만든다), 후추 각각 10g, 생강 160g(썰어서 소금 40g을 두고 버무려서 하룻밤 두었다가 갈색이 나게 볶는다)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아위풀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3알씩 소금과 생강을 달인 물로 잘 씹어서 빈속에 먹는다[득효].

목향순기환(木香順氣丸)
여러 가지 기가 몹시 막혀서 찌르는 듯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나팔꽃검은씨(흑견우자, 맏물가루), 파고지 각각 80g, 지각, 귤껍질(陳皮), 향부자 각각 40g, 목향, 무씨(나복자), 빈랑껍질(대복피)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 기를 잘 오르내리게 하고 신(腎)에 가게 한다[심법].

목향빈랑환(木香檳 丸)
습열(濕熱)로 기가 막혀서 더부룩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160g, 나팔꽃검은씨(맏물가루), 속썩은풀(황금) 각각 80g, 목향, 빈랑, 황련, 당귀, 지각,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향부자, 봉출, 황백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서죽당방].

유기음자(流氣飮子)
기가 몰려서 아프거나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빈랑씨(대복자) 4g,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황기, 지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방풍, 감초 각각 3g, 차조기잎(자소엽), 오약, 선귤껍질(청피), 도라지(길경) 각각 2g, 목향 1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 대추 2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여러 가지 기로 더부룩하고 아프거나 배가 불러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4g, 곽향, 목향, 후박, 선귤껍질, 향부자, 맥문동, 구릿대(백지), 침향 각각 3g, 흰삽주(백출), 육계, 으름덩굴(목통), 빈랑,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2.4g, 초과, 감초 각각 2g, 빈랑껍질(대복피), 모과, 인삼, 봉출, 정향피,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벌건솔풍령(적복령), 석창포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나누어 생강 3쪽, 대추 2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정전].

삼화산(三和散)
여러 가지 기가 울체(鬱滯)되어서 혹 배가 불러 오르거나 아픈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4g, 침향, 차조기잎(자소엽), 빈랑껍질(대복피), 강호리(강활), 모과 각각 2g, 목향, 흰삽주(백출), 빈랑, 귤껍질(陳皮), 감초(닦은 것)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오침탕(烏沈湯)
여러 가지 기로 등골과 명치 밑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오약 40g, 침향 20g, 감초(닦은 것) 16g, 인삼 12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소금과 생강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국방].

복원통기산(復元通氣散)
기가 잘 돌아가지 못하여 왔다갔다 하면서 몸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나팔꽃씨(견우자, 맏물가루) 80g, 회향(닦은 것), 천산갑(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각각 60g, 귤껍질(陳皮, 흰 속을 버린 것), 현호색, 감초 (닦은 것) 각각 40g, 목향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생강 달인 물이나 데운 술에 타 먹는다[국방].

신선침사원(神仙沈麝元)
일체 기로 인해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감초 80g, 몰약, 혈갈, 침향, 사향, 주사 각각 40g, 목향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감초를 졸여 고(膏)를 만든 것으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소금과 생강을 달인 물로 씹어 먹는다. 혈기(血氣)로 아픈 데는 식초를 끓인 물로 먹는다[직지].

일립금단(一粒金丹)
기로 생긴 통증을 치료한다.
아부용(즉 아편) 10g, 아위 4g, 목향, 침향 각각 2g, 우황 1g.
위의 약들에서 먼저 침향, 목향, 우황을 가루를 내어 아편과 아위를 담은 사발에 물을 부어 녹인 것과 함께 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금박을 입힌다. 한번에 1알씩 먹되 열기로 생긴 통증이면 찬물로 먹고 냉기로 생긴 통증이면 끓인 물로 먹는다. 아주 잘 낫는다[회춘].

소오침탕(小烏沈湯)
여러 가지 기로 명치 밑이 찌르는 듯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 80g, 오약 40g, 침향, 감초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소금 끓인 물에 타 먹는다[국방].

한 가지 처방
일체 기로 생긴 통증을 치료한다.
향부자(닦은 것) 160g, 귤껍질(陳皮, 흰 속을 버린 것) 40g, 감초(생 것) 1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소금 끓인 물에 타 먹는다[강목].

기가 치미는 것[氣逆]

『영추』에 “황제가 묻기를 ‘무엇이 치밀어서 문란[亂]하게 하는가’ 기백이 대답하기를 ‘맑은 기는 음에 있고 탁한 기는 양에 있는데 영기(榮氣)는 혈맥을 따라 돌고 위기(衛氣)가 거슬러 올라가 맑은 기와 탁한 기가 서로 어울려서 가슴속에서 혼란하게 되어 몹시 답답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슴에서 기가 혼란하면 가슴이 답답하고, 아무 말 없이 머리를 숙이고 엎드려 있는다. 폐에서 기가 혼란하면 몸을 숙일 때나 젖힐 때나 숨이 차서 손으로 폐를 누르고 숨을 내쉬게 된다. 장위에서 혼란하면 곽란증(곽亂證)이 생기며 팔다리에서 혼란하면 팔다리가 싸늘해진다. 머리에서 혼란하면 정신을 잃고 넘어지거나 머리가 무겁고 어지러워 넘어진다”고 씌어 있다.
○ 『입문』에 “기가 치민다는 것은 기가 배에서부터 때때로 치밀어 오르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 『내경』에 “여러 가지로 치밀어 오르는 것은 모두 화(火)에 속한다”고 씌어 있다.
○ 단계는 “환자 자신이 찬 기운이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라온다고 하는 것은 올라오는 기가 간장에서 나와 속에 상화(相火)를 끼고 있어 열이 심한 것이다. 환자 자신이 찬 기운을 느끼게 되나 진짜 찬 기운은 아니다. 또한 기가 위로 올려 치미는 것은 양에 속하는데 찬 기운이 있을 리가 없다. 오한을 느끼는 것은 곧 화가 심하여 수(水)와 비슷하게 된 것이다”고 하였다.
○ 『입문』에 “화를 해치는 방법은 반드시 먼저 기를 쳐야 한다. 기가 내려가면 화는 절로 내려 간다”고 씌어 있다.
○ 기가 치미는 데는 퇴열청기탕, 도기지각환을 쓰고 화가 성한 데는 자음강화환에 향부자(香附子, 동변으로 법제한 것)와 복신, 침향을 더 넣어 쓴다(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퇴열청기탕(退熱淸氣湯)
기가 치미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지각 각각 3.2g,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2.8g, 궁궁이(천궁) 2g, 사인 7알(간다), 목향, 감초(닦은 것)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도기지각환(導氣枳殼丸)
기가 위로 치밀어서 가슴이 더부룩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지각(밀기울과 함께 닦은 것), 으름덩굴(목통, 닦은 것), 선귤껍질, 귤껍질(陳皮),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구운 것), 무씨(나복자, 닦은 것), 나팔꽃흰씨(백축, 맏물가루를 내서 닦은 것), 나팔꽃검은씨(흑축, 맏물가루 내서 닦은 것), 봉출(잿불에 묻어 구운 것), 삼릉(잿불에 묻어 구운 것), 회향(닦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즙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귤껍질(橘皮)을 달인 물로 먹는다[선명].

기울(氣鬱)

단계는 “기에 처음 병이 생길 때는 그 원인이 매우 애매하다. 혹 7정(七情)으로 생기거나 6기(六氣)에 감촉되거나 음식 관계로 진액이 잘 돌아가지 못하여 맑은 기와 탁한 기가 서로 어울려서 기로부터 적(積)이 된다. 적에서 담(痰)이 생기고 기가 울체되어 혹 막히기도 하고 혹 아프기도 하다”고 하였다.
○ 『정전(正傳)』에는 “기가 울체되면 습(濕)이 막히고 습이 막히면 열이 나기 때문에 기울병(氣鬱病)은 흔히 부종과 창만증(脹滿證)을 겸한다”고 씌어 있다.
[註] 『정전(正傳)』 : 1515년에 우박이 쓴 8권으로 된 『의학정전』.
○ 『입문』에 “울(鬱)이란 병으로 기가 몰려서 풀리지 않는 것이다. 기가 몰려서 풀리지 않는 데는 이진탕을 달인 물로 교감단을 먹는다. 또한 피가 엉키고 기가 막힌 데는 복원통기산을 쓰며 담이 뭉치고 기가 막힌 데는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 처방은 풍문에 있다)을 쓴다”고 씌어 있다.
○ 기울증(氣鬱證)에는 교감단, 목향균기단,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 처방은 적취문에 있다), 상하분소도기탕을 쓰고 울증에 부종과 창만증(脹滿證)을 겸한 데는 유기음자, 목향유기음, 침향강기탕(沈香降氣湯, 3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 오피산(五皮散, 처방은 부종문에 있다)을 쓴다.

교감단(交感丹)
여러 가지 기가 울체된 것을 치료한다. 일체 공무나 사사로운 일에 마음이 맞지 않거나 명예와 재물을 모으려는 것이 뜻대로 되지 않아 억울하게 생각하면서 고민하거나 7정(七情)에 상하여 음식을 먹고 싶지 않고 얼굴이 누렇고 몸이 여위며 가슴 속이 그득하고 답답한 것 등의 모든 증에 잘 들으며 수화(水火)를 잘 오르내리게 한다.
향부자(흐르는 물에 3일간 담갔다가 꺼내어 볶은 것) 600g, 복신 16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강기탕 달인 물로 잘 씹어 먹는다[회춘].

강기탕(降氣湯)
향부자(법제한 것), 복신,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물에 달여 먹는다.

목향균기산(木香勻氣散)
기가 울체된 것을 치료한다.
곽향, 감초(닦은 것) 각각 32g, 사인 16g, 침향, 목향, ☞4070;정향, ☞4076;백단향, 백두구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생강 3쪽과 차조기잎(자소엽) 5개 소금을 조금 넣고 달인 물에 타 먹는다[입문].

상하분소도기탕(上下分消導氣湯)
기울증(氣鬱證)을 치료하는데 그 효과가 분심기음보다도 좋다. 늘 기병(氣病)으로 앓는 사람이 이 약을 쓰는 것이 좋다.
지각, 도라지(길경),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궁궁이(천궁), 벌건솔풍령(적복령), 후박, 선귤껍질, 향부자(동변으로 축여 볶은 것) 각각 80g, 황련(생강즙을 축여 볶은 것),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하늘타리씨(과루인), 택사, 으름덩굴(목통), 빈랑,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각각 40g, 감초(닦은 것)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40g씩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혹은 가루를 내어 약누룩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70-8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 일명 분소환(分消丸)이라고 한다 [회춘].

기가 부족하면 병이 생긴다[氣不足生病]

『영추』에 “사기(邪氣)가 들어 있는 것은 모두 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상초(上焦)에 기가 부족하면 뇌수[腦]가 그득 차지 못하게 되어 심한 이명(耳鳴)이 있고 머리를 잘 들지 못하게 되며 눈이 어둡게 된다. 중초(中焦)에 기가 부족하면 대소변이 달라지고[變] 배가 몹시 끓는다. 하초(下焦)에 기가 부족하면 위궐(위厥)이 되어 가슴이 답답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
○ 또한 “상초에 기가 부족하면 밀어 올라가게 하고 하초에 기가 부족하면 내려가게 해야 한다. 음양이 모두 허(虛)하면 불로 치료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씌어 있다.

기가 끊어진 증후[氣絶候]

『영추』에 “5가지의 음기가 모두 끊어지면 목계(目系)가 뒤집혀진다. 목계가 뒤집혀지면 눈알이 돌아간다. 눈알이 돌아가는 것은 지(志)가 먼저 죽는 것이다. 지가 먼저 죽으면 늦어도 하루 반이면 죽는다. 6가지 양기가 모두 끊어지면 음과 양이 서로 떨어진다. 음양이 떨어지면 주리( 理)가 열려서 절한(絶汗,땀방울이 구슬 같으나 흐르지는 않는 것이다)이 나온다. 때문에 아침에 그렇게 되면 저녁에 죽게 되고 저녁에 그렇게 되면 아침에 죽는다는 것을 미리 알 수 있다”고 씌어 있다.
[註] 목계(目系) : 눈알이 뇌와 연결되는 맥락. 눈에 달린 줄.
○ 또한 “6부의 기가 겉에서 끊어지면 기가 위로 치밀고 다리가 가드라든다[不仁]. 5장의 기가 속에서 끊어지면 설사가 멎지 않고 심하면 손발을 쓰지 못한다”고 씌어 있다.
○ 또한 “만약 양기가 먼저 끊어지고 음기가 뒤에 끊어지면 그 사람은 죽는데 그의 몸빛은 반드시 누렇고 겨드랑이 밑이 따뜻하고 명치 아래가 뜨겁다”고 씌어 있다[중경].

꺼려야 할 것[禁忌]

『내경』에 “오랫동안 누워 있으면 기를 상한다”고 씌어 있다.
○ 『서산기』에 “더러운 기운을 가까이 하면 진기(眞氣)를 상하고 죽은 사람의 기운을 가까이 하면 원기(元氣)를 혼란하게 한다”고 씌어 있다.
○ 대체로 사람은 빈속일 때에는 시체를 보지 말아야 한다. 시체의 냄새를 맡으면 혀에 백태가 끼며 입에서 늘 냄새가 난다. 시체를 보려면 반드시 술을 마시고 보아야 독을 피할 수 있다[득효].
○ 대체로 전염성 열병이 생긴 집으로 들어갈 때는 반드시 그 독기를 미리 막아야 한다. 독기라는 것은 땀이 몹시 나는 더러운 독한 기운이다[유취].

약 쓰는 법[用藥法]

『정전』에 “남자는 양에 속하기 때문에 기를 얻어도 흩어지기 쉽다. 여자는 음에 속하므로 기를 만나면 막히는 일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남자의 기병은 언제나 적고 여자의 기병은 언제나 많다. 그러므로 치법(治法)에는 ”여자는 피를 고르게 하여 그 기를 소모시켜야 하며 남자는 그 기를 고르게 해서 그 피를 보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
○ 『입문』에 “7정(七情)은 모두 마음에서 생기고 7기(七氣)는 모두 기에 속한다. 기는 양인데 발동하면 화가 되기 때문에 화를 내리고 담을 삭히며 적을 없애는 것으로 갈라 치료해야 한다. 대개 기허증(氣虛證)에는 사군자탕을 쓰고 기실증(氣實證)에는 소오침탕을 쓰는데 화가 많으면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합하여 쓴다. 담이 많으면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합하여 쓰고 적이 많으면 평위산(平胃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합하여 쓴다”고 씌어 있다.
○ 단계(丹溪)는 “오랫동안 기병(氣病)을 앓으면서 기가 제자리로 돌아가지 않아서 오랫동안 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을 때에는 파고지를 주약으로 해서 쓰면 낫는다. 그 처방은 다음과 같다. 파고지(닦은 것) 40g, 회향(닦은 것), 유향 각각 20g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고 하였다.
○ 방씨(方氏)는 “기병에 기약을 써도 낫지 않는 것은 기를 간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개 폐는 기를 주관하고 신은 기를 간직하기 때문에 청목향원과 목향순기환에 모두 파고지를 넣은 것은 기로 하여금 잘 오르내리게 하고 신에 잘 돌아가게 하자는 데 있다”고 하였다.
○ 『입문』에 “기병에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두루 쓰는데 상초에 기가 막혔을 때에는 지각, 도라지(길경), 향부자, 사인을 더 넣어 쓴다. 중초에 기가 막혔을 때에는 후박, 지실, 삼릉, 봉출을 더 넣어 쓴다. 하초에 기가 막혔을 때에는 선귤껍질, 목향, 빈랑을 더 넣어 쓴다. 기로 생긴 통증에는 지각을 더 넣으며 기실증(氣實證)에는 오약, 향부자를 더 넣어 쓴다. 기허증(氣虛證)에는 인삼, 흰삽주(백출), 목향을 더 넣어 쓴다”고 씌어 있다.
○ 단계는 “기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치료하는데는 향부자, 황련, 속썩은풀(황금), 산치자를 쓴다. 또한 기병에 보하는 법이 없다는 것은 민간에서 하는 말이다. 정기(正氣)가 허하면 기가 잘 돌아가지 못하여 사기(邪氣)가 침범해서 병이 되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는 것이다”고 하였다. 『경』에 “건강한 사람은 기가 잘 돌아가기 때문에 낫고 약한 사람은 기가 잘 돌지 않아서 병이 된다. 만일 기가 약한데 보법(補法)을 쓰지 않으면 기가 어떻게 돌아가겠는가. 또한 기가 몰린 데는 반드시 궁궁이(천궁), 향부자, 산치자, 속썩은풀(황금), 황련을 쓴다”고 하였다.
○ 또한 “목향은 중초, 하초의 기를 잘 돌아가게 하고 향부자는 막힌 기를 잘 통하게 하며 귤껍질(陳皮)은 치미는 기를 잘 내보내고 차조기는 표(表)의 기를 헤치고[散] 후박은 위기(衛氣)를 내보내게 하며 빈랑은 높은 곳에 있는 기를 내리고 곽향은 위기를 올라가게 하며 침향은 진기(眞氣)를 잘 오르내리게 하고 용뇌와 사향은 진기를 헤치게 한다. 대체로 이것은 모두 기로 인하여 겉에 나타나는 증상을 없애는 것이고 기병의 근본을 치료하지는 못한다”고 씌어 있다.

기의 병증에 두루 쓰는 약[通治氣藥]

소합향원, 지성래복단, 교감단, 사칠탕, 분심기음, 상하분소도기탕, 오침탕, 유기음자,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7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소합향원(蘇合香元)
일체 기병(氣病)과 중기(中氣), 상기(上氣), 기역(氣逆), 기울(氣鬱), 기로 생긴 통증 등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목향, 침향, 사향, 정향, 안식향, 백단향, 주사(수비(水飛)하여 절반은 겉에 입힌다), 서각, 가자피, 향부자, 필발 각각 80g, 소합유(안식향고에 넣는다), 유향, 용뇌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안식향고를 섞은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천여 번 짓찧어서 40g으로 40알을 만든다. 한번에 2-3알씩 깨끗한 물이나 따뜻한 물 또는 데운 술, 생강을 달인 물에 풀어 먹는다[국방].
[註] 수비(水飛) : 약을 아주 보드랍게 가루를 내는 방법의 하나. 대체로 광물성 약재를 물과 같이 보드랍게 갈아 가루를 내어 물을 휘저은 다음 그 물을 다른 그릇에 찌워 넣으면 물에 떴던 보드라운 가루가 밑에 가라앉는 것을 말려 약으로 쓴다.
○ 용뇌를 넣으면 용뇌소합원이라 하고 용뇌를 빼면 사향소합원이라 한다.

지성래복단(至聖來復丹)
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는 일체 위급한 증상을 치료한다. 냉증, 열증, 천천히 진행되는 증과 급하게 진행되는 증에 모두 쓴다. 그리고 중기(中氣), 상기(上氣), 기로 생긴 통증, 기울(氣鬱) 같은 것들에도 쓰면 모두 효과가 있다.
초석, 유황 각각 40g(2가지를 함께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그릇에 넣고 약한 불로 따뜻하게 볶으면서 버드나무주걱으로 쉼없이 저어 섞이게 한다. 불을 너무 세게하는 것은 약효를 약하게 할 염려가 있으므로 좋지 않다. 이것을 다시 갈아서 아주 보드랍게 가루를 낸다. 이것을 2기말(二氣末)이라고 한다), 현정석(갈아서 수비한 것) 40g, 오령지(갈아서 수비하여 모래는 버리고 햇볕에 말린 것), 선귤껍질, 귤껍질(陳皮, 모두 흰 속을 버린 것)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고루 섞어서 좋은 식초를 두고 쑨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완두콩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죽물로 빈속에 먹는다[국방].

단방(單方)

모두 24가지이다.

인삼(人蔘)
5장(五藏)의 기가 부족한 것을 보한다. 또한 기운이 약한 것, 기력이 아주 미약한 것, 기가 허한 것들을 치료한다. 달이거나 가루를 내거나 고약처럼 만들어 많이 먹으면 좋다.

목향(木香)
명치 밑과 배에 생긴 일체 기병을 치료한다[본초].
○ 속에서 생기는 기병에는 반드시 목향을 써서 기가 돌아가게 해야 한다[입문].
○ 단계는 “목향은 중초와 하초의 기를 잘 돌아가게 하는데 빈랑을 사약(使藥)으로 하여야 한다. 또한 목향은 맛이 매운데 만일 기울이 되어 잘 돌아가지 못하면 반드시 써야 한다. 만약 음화(陰火)가 치밀어 오르면 황백, 지모를 쓰면서 목향을 좌약으로 조금씩 넣어 쓴다”고 하였다.
[註] 음화(陰火) : 신화. 음분에서 생기는 화.
○ 『탕액편』에는 “모든 기를 고르게 하고 막힌 기를 헤치며 뱃속에 기가 잘 돌아가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목향을 가루를 내어 먹거나 달여 먹어도 다 좋다”고 씌어 있다.

편자강황(片子薑黃, 강황)
기병을 치료하는데 제일 좋다. 냉기로 찌르는 듯이 아픈 것을 잘 낫게 한다. 강황을 가루를 내어 먹거나 달여 먹어도 다 좋다[본초].

황기(黃기)
탕액편에 “위기(衛氣)를 실하게 하고 분육(分肉)을 따뜻하게 하며 살갗을 충실하게 하고 주리( 理)를 든든하게 한다. 또한 3초의 속과 겉의 기를 보한다”고 씌어 있다.
○ 『동원』에 “살빛이 희고 기가 허한 사람은 황기를 많이 먹는 것이 좋다. 얼굴이 검푸르고 기가 실한 사람은 황기를 쓰지 말고 달여 먹으면 좋다”고 하였다.

생강(生薑)
단계는 “생강은 기를 보한다”고 하였다.
○ 탕액편에 “이 약은 양기를 잘 돌게 하고 기를 헤치는데 달여 먹는 것이 좋다”고 씌어 있다.

향부자(香附子)
기를 잘 내린다[본초].
○ 단계는 “향부자는 기분(氣分)의 병에 주로 쓰는데 목향을 좌약으로 하면 막힌 기를 헤치고[散] 폐기(肺氣)를 잘 내보낸다.침향을 좌약으로 쓰면 기가 잘 오르내리게 된다. 또한 침향은 향부자를 도와서 모든 기를 잘 돌아가게 하는데 매우 좋다. 대체로 사람이 병들면 기가 막혀서 여위기 때문에 향부자는 기분(氣分)에 들어가서 주약이 된다. 향부자를 가루를 내어 먹거나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기도 하는데 다 좋다”고 하였다.
[註] 기분(氣分) : ①기에 해당한 부분 ②기가 잘 통하지 않아서 생긴병. 부종의 한 가지.

백두구(白豆구)
기를 내린다[본초].
○ 단계는 “상초의 원기를 보하며 그 향기로운 냄새와 맛은 위기(胃氣)를 올라가게 한다. 백두구를 가루를 내어 먹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견우자(牽牛子, 나팔꽃씨)
검은 것은 수(水)에 속하고 흰 것은 금(金)에 속하는데 기를 상하게 하는 약이다[심법].
○ 일체 기가 막힌 것을 내린다[본초].
○ 나팔꽃씨(견우자)를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

침향(沈香)
진기(眞氣)를 잘 오르내리게 한다. 또한 여러 가지 기를 잘 보양하며 기를 위로는 머리까지 가게 하고 아래로는 발바닥까지 가게 한다. 사약(使藥)으로도 쓴다[탕액].
○ 오약(烏藥)을 좌약으로 해서 쓰면 기를 잘 헤친다[본초].
○ 『입문』에 “위기(衛氣)를 보하고 조화시킨다. 탕약에 넣어 쓰기도 하고 갈아서 즙을 내어 먹기도 한다. 알약이나 가루약에 넣어 쓰는 데는 아주 보드랍게 가루를 낸다”고 씌어 있다.

지각(枳殼)
기를 내린다[본초].
○ 『정전』에 “체질이 본래 튼튼한 사람이 기로 찌르는 듯이 아픈 데는 지각과 오약을 같이 쓴다. 만약 기가 펴지 못하여 찌르는 듯이 아픈 데는 반드시 목향을 쓴다”고 씌어 있다.
○ 냉기가 침범하여 찌르는 듯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는 지각 80g, 향부자, 감초 각각 40g을 함께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파흰밑(총백)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득효].

오약(烏藥)
일체 기병을 치료한다. 침향과 같이 갈아서 달여 조금씩 먹는다. 가슴과 배에 냉기가 심한 것도 치료하는데 곧 편안해진다[본초].

빈랑(檳랑)
일체 기를 내린다[본초].
○ 탕액편에 “쓴 맛은 막힌 기를 헤치고[破] 매운 맛은 사기(邪氣)를 몰아낸다. 주로 체기(滯氣)를 내려가게 하며 또한 가슴에 있는 기를 내려가게 한다.
빈랑을 가루를 내어 먹으면 좋다”고 씌어 있다.

후박(厚朴)
5장의 모든 기병에 주로 쓴다. 또한 냉기를 몰아낸다. 이 약을 달여 먹으면 좋다[본초].

가자피(訶子皮)
기를 내리고 일체 기병을 치료한다. 기가 허하면 천천히 조금씩 먹는다. 가자피는 비록 장의 배설을 막아주기는 하지만 또한 기를 내보내기도 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용뇌(龍腦)
좋지 못한 기를 내보낸다. 약의 성질이 가볍고 떠올라서 관규(關竅)를 뚫고 들어간다. 다른 약에 넣어 먹는다[본초].

사향(麝香)
좋지 못한 기를 없앤다[본초].
○ 사향은 약 기운을 이끌어 병 있는 곳까지 뚫고 들어간다[직지].
○ 관규에 들어가며 겉으로는 살갗에 가고 속으로는 골수(骨髓)에 들어가는 것이 용뇌와 같으나 향기로워서 헤치는 힘은 더 세다[입문].
○ 사향을 가루를 내어 먹거나 또는 알약에 넣어 쓰기도 한다.

진피(陳皮, 귤껍질)
기를 내리며 또는 기가 치미는 것을 치료한다[본초].
○ 『탕액』에 “가슴에 막힌 기를 잘 돌아가게 한다. 또한 기를 보하기도 한다. 만약 체기를 없애려면 귤껍질(橘皮) 1.2g, 선귤껍질 0.4g 을 넣어 달여 먹는다”고 씌어 있다[본초].

청피(靑皮, 선귤껍질)
기가 막힌 데 주로 쓴다. 쌓여서 맺힌 것과 격기(膈氣)를 헤친다. 이 약을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註] 격기(膈氣) : 기운이 막히는 것. 열격증으로 음식물이 잘 내려가지 않고 또 기운이 막히는 것.

나복(蘿蔔, 무)
기를 잘 내린다. 풀이나 나무 가운데서 오직 무만이 기를 내리는 데 가장 빠르다. 그것은 맵기 때문이다. 생강은 비록 맵지만 기를 헤칠 뿐이다. 그러나 무는 맵고 또 달기 때문에 기를 천천히 헤치는 동시에 빨리 내리는 성질이 있다. 무씨(나복자)는 기를 더 잘 내린다. 무씨를 닦아서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총백(총白, 파밑)
양기(陽氣)를 통하게 하는데 위아래의 양기를 모두 통하게 한다. 푸른 것은 버리고 뿌리가 붙은 흰밑만 달여 먹는다[본초].

자소엽(紫蘇葉, 차조기잎)
기를 내린다. 귤껍질(橘皮)과 함께 기병을 치료하는 처방 중에 많이 쓴다. 또한 표에 있는 기를 헤치기도 한다. 진하게 달여 먹는다[본초].

인유(人乳, 사람의 젖)
기를 보하며 모든 약가운데서 제일이다. 오래 먹을수록 좋다[본초].

우육(牛肉, 쇠고기)
허(虛)한 것을 보하고 기도 보하며 기와 혈을 불쿠어 주고 좋게 한다. 소의 위가 매우 좋은데 푹 쪄서 먹는다[본초].

황구육(黃狗肉, 누런 개고기)
기를 돕고 양기를 보한다. 잘 삶아서 양념을 쳐서 먹는다[본초].

6자기결(六字氣訣)

천천히 부는 것은 간(肝)의 기운이고 불어 덥히는 것은 심(心)의 기운이다. 보통으로 내쉬는 것은 비(脾)의 기운이고 가쁘게 내쉬는 것은 폐(肺)의 기운이다. 그리고 세게 부는 것은 신(腎)의 기운이고 한숨을 내쉬는 것은 3초(三焦)의 기운이다. 그 방법은 입으로 내쉬고 코로 들이쉬면 병을 없애고 오래 살게 된다.
○ 간병(肝病)으로 천천히 불 때에는 눈에 정기를 모으고 폐병(肺病)으로 가쁘게 내쉴 때에는 두 손을 쳐든다. 심병(心病)에 불어서 덥힐 때에는 두 손을 정수리 위에 올려 깍지를 끼고 신병(腎病)에 세게 불 때에는 무릎을 두 손으로 껴안는다. 비병(脾病)에 보통으로 내쉴 때에는 입을 오므린다. 3초(三焦)에 객열(客熱)이 있으면 누워서 한숨을 내쉰다.
○ 봄에는 천천히 불어 간을 보양한다. 여름에는 불어 덥혀서 심을 보양한다. 가을에는 가쁘게 내쉬어 폐를 보양한다. 겨울에는 세게 불어 신을 보양한다. 사철에는 보통으로 내쉬어 비를 보양하고 때없이 한숨을 내쉬어 3초를 보양해야 할 것이다. 입에서 나오는 소리가 절대로 귀에 들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구선].
○ 간병에는 천천히 세게 30번 내어 분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심병에는 불어 덥히기를 세게 30번 한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비병에는 보통 숨쉬기를 세게 30번 한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신병에는 세게 불기를 50번 한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여기서 어느 것이나 모두 반드시 좌우로 도인법(導引法)을 한 후에 해야 한다[득효].
[註] 육자기결(六字氣訣) : 숨을 내보내는(呼氣) 형태를 6가지(천천히 내쉬는 것, 불어서 덥히는 것, 보통으로 내쉬는 것, 가쁘게 내쉬는 것, 세게 내쉬는 것, 한숨을 내쉬는 것)로 구분하여 실시해서 5장의 기운을 보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도가들이 하는 양생도인법의 하나이다.

침뜸치료[鍼灸法]

일체 기병에는 기해혈(氣海穴)에 놓고 기가 치미는 데는 척택(尺澤), 상구(商丘), 태백(太白), 삼음교(三陰交) 등의 혈에 놓는다. 트림이 올라올 때에는 태연(太淵)과 신문혈(神門穴)에 놓고 숨결이 밭을 때에는 대릉(大陵)과 척택혈(尺澤穴)에 놓는다. 기운이 적을 때에는 간사(間使), 신문, 대릉, 소충(少衝), 족삼리(足三里), 하렴(下廉), 행간(行間), 연곡(然谷), 지음(至陰), 간유(肝兪), 기해(氣海) 등의 혈에 놓는다[신응].
○ 기가 치미는 데는 뜸을 태충혈(太衝穴)에 뜬다. 기가 몰려서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을 때에는 뜸을 태창혈(太倉穴)에 뜬다. 냉기가 있어서 배꼽 아래가 아플 때에는 관원혈(關元穴)에 뜸을 100장 뜬다. 숨결이 밭을 때에는 나이수만큼 뜸을 대추혈(大椎穴)에 뜨고 폐유혈(肺兪穴)에 100장, 신궐혈(神闕穴)에 14장 또는 나이수만큼장수의 뜸을 제5추 아래에 뜬다[득효].
○ 숨결이 밭은 데는 천정(天井), 대추, 폐유, 간유, 어제(魚際), 척택(尺澤) 등의 혈에 놓는다[갑을]
○ 기가 심에서 문란해졌을 때에는 신문혈과 대릉혈에 놓는다. 기가 폐에서 문란해졌을 때에는 어제혈과 태계혈(太谿穴)에 놓는다.
○ 기가 창자에서 문란해졌을 때에는 태백혈(太白穴), 함곡혈(陷谷穴), 족삼리혈에 놓는다. 기가 머리에서 문란해졌을 때에는 천주(天柱), 대저(大 ), 통곡(通谷), 속골(束骨) 등의 혈에 놓는다. 기가 팔과 다리에서 문란해졌을 때에는 침을 이간(二間), 삼간(三間), 내정(內庭), 함곡, 액문(液門), 중저(中諸), 협계(俠谿), 임읍(臨泣) 등의 혈에 놓는다[영추].


기허증(기운없고 게으름, 얼굴마르고 창백, 말소리에 힘없고 나지막, 오풍 자한) : 폐정격

기허두통(우측) : 폐정격

현기증 : 비정격+(담정격 또는 소장정격)

현기증+저혈압 : 심정격

어지럽고 귀가 운다 : 간정격

어지럽고 귀 안 들린다 : 간승격

어지러우면서 두통 구토 : 담열격

어지럽고 속이 울렁거림 : 담정격

머리가 어지럽고 자꾸 눕고 싶다 : 담정격

머리가 어지러워서 자꾸 눕고 싶다 : 간정격

머리가 어지러우며 피로가 심하다, 시차적응 : 노극방

風眩(가슴 답답하고 어지러워 잘 넘어진다-손만 올려도 어지러워, 惡風 自汗) : 간승격

'동의보감 > 내경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형(身形)  (0) 2016.05.29
정(精)  (0) 2016.05.29
신(神)  (0) 2016.05.29
혈(血)  (0) 2016.05.29
꿈(夢)  (0) 2016.05.29
:
Posted by doc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