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2

« 2024/1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6. 5. 29. 08:57

폐장(肺臟) 동의보감/내경편2016. 5. 29. 08:57

폐장(肺臟)

« 동의보감(東醫寶鑑)

폐장(肺臟)

폐병의 허증과 실증[肺病虛實] »

폐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肺病間甚] »

 

폐장의 형태[肺形象]

폐장의 형태는 어깨와 비슷한데 2개의 퍼진 엽(布葉)과 여러 개의 작은 엽(小葉)으로 되어 있다. 속에는 24개의 구멍[孔]이 줄을 지어 있는데 여기로 여러 장기에 맑거나 흐린 기를 보낸다. 그리고 주로 백(魄)을 간직한다[내경주].

○ 폐장의 무게는 1.92kg이며 엽이 6개이고 귀가 2개이기 때문에 모두 8개의 엽으로 되어 있다[난경].

○ 폐장의 형태는 어깨와 비슷한데 경쇠[磬] 같기도 하다. 그리고 모든 장[五藏]들의 위에 있기 때문에 덮개[華盖]라고도 한다[입문].

폐의 위치[肺部位]

폐는 오른쪽에 감추어져 있다[내경].

○ 폐에는 2개의 줄기가 있는데 한 줄기는 위로 올라와 울대[喉롱] 속으로 들어가서 그 속에서 심장의 줄과 서로 통했다. 다른 한 줄기는 심장에서부터 폐로 들어온 것인데 2개의 큰 엽 사이에 들어와서 꼬부라져 뒤로 향하였다[입문].

○ 중부혈(中府穴) 2개가 다 폐의 모혈(募穴)인데 이것은 젖에서 곧추 위로 올라가 3번째 갈비뼈 사이에 있다. 잔등에는 폐유혈(肺兪穴)이 있는데 제3흉추와 제4흉추의 극상돌기 사이에서 옆으로 각각 2치 되는 곳에 있다. 이것이 폐에 해당한 부위이다[동인].

폐가 주관하는 날짜[肺主時日]

폐는 가을을 주관한다. 수태음(手太陰)과 수양명(手陽明)이 주치하는 날은 경(庚)일과 신(辛)일이다.

○ 서쪽은 조(燥)한 것을 생기게 하고 조한 것은 금(金)을 생기게 하며 금은 매운 것을 생기게 하고 매운 것은 폐를 생(生)한다.

○ 폐는 양중의 태음[陽中之太陰]에 속하는데 가을철과 통한다[내경].

폐에 속한 것들[肺屬物類]

하늘에서는 조(燥)한 기운이고 땅에서는 금(金)이며 괘(卦)에서는 태(兌)이고 몸에서는 피모(皮毛)이며 5장에서는 폐(肺)이고 빛깔에서는 흰 것이며 음(音)에서는 상(商)이고 소리에서는 울음이며 변동(變動)에서는 기침이며 구멍에서는 코이고 맛에서는 매운 것이며 지(志)에서는 근심하는 것이다. 경맥에서는 수태음(手太陰)이고 진액에서는 콧물이며 겉에 나타난 것은 털이고 냄새에서는 비린내이며 숫자에서는 9이고 곡식에서는 벼이며 집짐승에서는 닭(혹 말이라고도 한다)이고 벌레에서는 딱지가 있는 벌레이고 과실에서는 추리(李)이며 채소에서는 부추[ ]이다[내경].

○ 경맥은 수태음이다[내경].

폐장이 크고 작은 것[肺臟大小]

5장 6부에서 폐장은 덮개가 된다.

○ 얼굴빛이 희고 살결이 부드러운 사람은 폐가 작고 살결이 거친 사람은 폐가 크다. 어깨가 퍼지고 가슴이 나오고 목이 밭은 사람은 폐가 높이 위치해 있고 겨드랑이가 맞붙고 갈비뼈가 벌어진 사람은 폐가 아래로 처져 있다. 어깨와 잔등이 두터운 사람은 폐가 든든하고[堅] 어깨와 잔등이 엷은 사람은 폐가 약하다. 잔등과 가슴이 두터운 사람은 폐의 위치가 똑바르고 한쪽 옆구리가 치우쳐 올라간 사람은 폐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 폐가 작으면 적게 마셔서 천갈병(喘喝病)이 생기지 않으며 폐가 크면 많이 마셔서 흉비(胸痺), 후비(喉痺), 기운이 치미는 병 [逆氣] 등이 잘 생긴다. 폐가 높이 위치해 있으면 기가 치밀어 올라 어깨를 들먹거리면서 숨을 쉬고 기침을 한다. 폐가 아래로 처져 있으면 기가 폐를 누르므로 옆구리 아래가 늘 아프다. 폐가 든든하면[堅] 기침이나 기운이 치미는 병이 생기지 않고 폐가 약하면 소갈이나 황달병이 쉽게 생긴다. 폐의 위치와 모양이 똑바르면 기가 잘 돌기 때문에 폐가 잘 상하지 않는다. 폐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한쪽 가슴이 아프다[영추].

폐가 상한 증상[肺傷證]

몸이 찰 때 찬 것을 마시면 폐가 상한다[영추].

○ 폐를 상한 사람이 피로하고 노곤해지게 되면 기침이 나면서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온다. 이때에 맥이 세(細), 긴(緊), 부(浮), 삭(數)하면 피를 토하게 된다. 이것은 몹시 날뛰면서 성을 낸 것[躁擾嗔怒]으로 말미암아 폐가 상하여 기가 막혔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맥경].

○ 상초(上焦)에 열이 있으면 기침이 나고 폐위(肺위)가 생긴다. 기침이 나면서 입 안에 걸쭉한 침[濁唾]과 거품침[涎沫]이 생기고 촌구맥(寸口脈)이 삭(數)한 것은 폐위(肺위)이다. 입 안이 뻣뻣하고 마른 기침[燥咳]이 나는데 기침할 때에 가슴이 은은히 아프면서 맥이 도리어 활삭(滑數)한 것은 폐옹(肺癰)이다[중경].

폐병의 증상[肺病證]

폐에 사기(邪氣)가 있으면 피부가 아프고 춥다가 열이 나며 기가 위로 치밀어 올라 숨이 차고 땀이 나며 기침할 때에 어깨와 잔등을 들먹거린다[영추].

○ 풍한사(風寒邪)가 폐에 침범한 것을 폐비(肺痺)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기침이 나고 기운이 치밀어 오른다.

○ 폐병 때에는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기운이 치밀어 오르고 어깨와 잔등이 아프며 땀이 나고 엉치와 다리, 무릎과 허벅다리, 종아리, 정강이, 발이 다 아프다. 폐가 허하면 기운이 적기 때문에 숨결이 약하고 제대로 숨을 쉬지 못하며 귀가 먹고 목구멍이 마른다.

○ 폐에 열이 있으면 얼굴빛이 허옇고 머리털이 바스러진다[毛敗][내경].

○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얼굴빛이 허옇고 재채기를 잘하며 슬퍼하고 근심하면서 즐거워하지 않고 울려고만 하는 것이다. 속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배꼽의 오른쪽에 동기(動氣)가 있으며 눌러 보면 뜬뜬하고[牢] 아픈 것 같다. 이 병 때에는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으쓱으쓱 춥다가 열이 나기도 한다[난경].

○ 여위어 큰 뼈가 두드러지고 큰 힘살이 움푹 들어가며 가슴 속에 기가 그득 차서 숨이 차고 말째며[不便] 숨쉴 때 몸을 들먹거리면 6달 만에 죽는데 진장맥(眞藏脈)이 나타나면 날짜까지 미리 정할 수 있다. 폐의 진장맥이 나타나면 180일 이내에 죽는다[내경].

폐병의 허증과 실증[肺病虛實]

폐기가 허하면 코로 숨을 쉬기가 힘들고 숨결이 약하다. 실(實)하면 숨이 차서 헐떡거리며 가슴에 손을 대고 고개를 잦히고 숨을 쉰다[영추].

○ 폐는 기(氣)를 간직하는데 폐기가 지나치면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기가 치밀어 오른다. 폐기가 부족할 때에도 숨은 제대로 쉬나 숨결이 약하다.

○ 폐가 실(實)하면 기가 치밀어 올라서 잔등[背]이 아프고 지긋지긋하다[온온然]. 허하면 숨이 차고 숨결이 약하며 기침이 나면서 기가 치밀어 오르고 피가 나오며 목구멍에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난다[내경].

폐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肺病間甚]

폐병은 겨울이 되면 낫는데 겨울에 낫지 못하면 여름에 가서 심해진다. 그리고 여름에 죽지 않으면 늦은 여름에는 그대로 지내다가 가을에 가서 완전히 낫는다.

○ 폐병은 임(壬)일이나 계(癸)일에 낫는데 임일이나 계일에 낫지 못하면 병(丙)일이나 정(丁)일에 가서 심해진다. 그리고 병일이나 정일에 죽지 않으면 무(戊)일이나 기(己)일에는 그대로 지내다가 경(庚)일이나 신(辛)일에 가서 완전히 낫는다.

○ 폐병은 해질 무렵에는 좀 낫고 한낮에는 심해지며 밤중에는 안정된다[내경].

폐병을 치료하는 법[肺病治法]

폐는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괴로워하므로 이런 때에는 빨리 쓴 것을 먹어서 내려가게 해야 한다. 주해에 폐기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은 기가 지나치게 세기 때문이라고 씌어 있다. 폐는 걷어들이는[收] 것을 요구하므로 빨리 신 것을 먹어서 걷어들이게 해야 한다. 신 것은 보(補)하고 매운 것은 사(瀉)한다[내경].

○ 폐는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괴로워하는데 이런 때에는 가자피를 쓰는 것이 좋다(어떤 데는 속썩은풀(황금)이라고 하였다). 폐가 걷어들이게 하는 데는 집함박꽃뿌리(백작약)가 좋다. 신 것으로 보하는 데는 오미자가 좋다. 매운 것으로 사하는 데는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이 좋다[동원].

○ 폐병에는 기장쌀, 닭고기, 복숭아, 파를 먹는 것이 좋은데 이것은 본(本) 장기의 맛을 취하는 것이다[갑을경].

○ 폐병에는 보리, 양고기, 살구(杏), 염교(해)를 먹는 것이 좋다. 쓴 맛은 기를 잘 내려가게 한다[내경].

○ 폐병 때에는 찬 음식을 먹거나 옷을 차게 입지 말아야 한다[내경].

○ 폐가 허한 데는 보폐산이나 독삼탕(獨蔘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이 좋다. 폐가 실(實)한 데는 사백산이나 인삼사폐탕이 좋다.

보폐산(補肺散)

일명 아교산(阿膠散)이라고도 하는데 폐가 허한 것을 치료한다.

아교주 8g, 우엉씨(대력자), 찹쌀(나미, 닦은 것) 각각 4.8g, 쥐방울(마두령, 닦은 것) 2.8g, 감초(닦은 것) 2g, 살구씨(행인, 밀기울과 함께 닦은 것) 9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어떤 데는 기장쌀을 썼다)[전을].

사백산(瀉白散)

일명 사폐산(瀉肺散)이라고도 하는데 폐가 실(實)한 것을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골피 각각 8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그리고 지모(知母), 패모(貝母), 도라지(길경), 산치자, 맥문동(麥門冬), 생지황(生地黃)을 넣어서 쓰는 것도 좋다[입문].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

폐의 실열증(實熱證)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지각, 박하, 연교, 살구씨(행인),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대황(술에 축여 찐 것),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폐의 기가 끊어진 증후[肺絶候]

수태음(手太陰)의 기가 끊어지면 피모(皮毛)가 마른다[焦]. 태음은 기를 돌게 하여 피모를 따뜻하게 한다. 그러므로 기가 잘 돌지 못하면 피모가 마르는데 피모가 마르면 진액이 없어지고 피부와 뼈마디가 상한다. 피부와 뼈마디가 상하면 손발톱이 마르고 털이 바스러진다[毛折]. 털이 바스러지는 것은 털이 먼저 상했기 때문인데 병일(丙日)에 위독해졌다가 정일(丁日)에 가서 죽는다.

○ 폐기가 끊어지면 3일 만에 죽는다고 하는데 그것은 무엇을 보고 알 수 있는가. 입을 벌리고(어떤 데는 입을 벌리고 코를 벌름거리며 숨을 가쁘게 쉰다고 하였다) 오직 날숨만 쉬며 들숨은 쉬지 못하는 것[氣出而不返]을 보고 안다[맥경].

○ 땀이 나서 머리털이 축축하고 계속 숨찬 것은 폐기가 끊어졌기 때문이다[중경].

폐를 수양하는 법[肺臟修養法]

항상 음력 7월, 8월, 9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해뜰 무렵에 서쪽으로 향하고 앉아서 천고(天鼓)를 일곱번 퉁기고[鳴] 옥장(玉漿)을 세번 삼킨 다음 눈을 감고 마음을 단정히 한다. 다음 태궁백기(兌宮白氣)를 일곱번 삼키고 70번 숨쉴 동안만큼 숨을 멈추고 있는다[양성서].

[註] 옥장(玉漿) : 입 안의 침을 말한다.

폐에 대한 도인법[肺臟導引法]

단정하게 앉아서 양손으로 땅을 짚고 몸을 오그리고 잔등을 구부린 다음 위로 향하여 다섯번 들면 폐에 들어왔던 풍사(風邪)와 몰렸던 피로가 없어진다. 또한 주먹으로 등뼈의 왼쪽과 오른쪽을 각각 세번에서 다섯 번씩 치면 가슴 사이에 있던 풍독(風毒)이 없어진다. 그 다음 숨을 멈추고 눈을 감고 한참 동안 있다가 침을 삼키고 세번 이를 맞쫏고[叩] 그만둔다[구선].

단방(單方)

모두 22가지이다.

운모(雲母)

폐를 보한다.

○ 운모는 금(金)을 본받아서 빛이 허옇고 그 기운은 폐로 들어가는데 수비(水飛)하여 쓴다[본초].

인삼(人蔘)

폐의 양기(陽氣)를 보한다.

○ 갑자기 기가 치밀어 올라서 숨이 차고 가래가 끓으며 어깨를 들먹이면서 숨을 쉬다가 숨이 끊어질 것같이 되는 것은 폐기가 끊어지려는 증상이다. 이런 데는 인삼고(人蔘膏)나 독삼탕(獨蔘湯)을 쓰며

인삼을 가루내어 하루에 다섯번에서 여섯번씩 먹어도 된다[본초].

천문동(天門冬)

폐기(肺氣)를 안정시키는데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술에 담갔다 먹어도 좋다[본초].

맥문동(麥門冬)

폐열(肺熱)을 치료한다.

○ 맥문동, 인삼, 오미자로 된 약을 생맥산(生脈散)이라고 하는데 폐에 열이 잠복되어 있어서 폐기가 끊어질 것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탕액].

오미자(五味子)

폐기를 걷어들인다[收]. 차나 알약을 만들어 늘 먹는다[본초].

사삼(沙蔘, 더덕)

폐기를 보하는데 폐 속의 음기(陰氣)도 보한다. 달여서 먹거나 김치를 만들어 늘 먹으면 좋다[본초].

편황금(片黃芩, 속썩은풀)

폐열(肺熱)을 치료한다.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으면 좋다[본초].

자원(紫 , 개미취)

폐를 보하고 폐의 열을 내린다. 달여서 먹으면 좋다[본초].

패모(貝母)

폐를 눅여 준다[潤]. 가루내어 사탕과 섞은 다음 알약을 만들어 입에 물고 녹여 먹거나 달여서 먹으면 좋다[본초].

길경(桔梗, 도라지)

폐기를 고르롭게[理] 하는데 폐열로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어도 다 좋다[본초].

마두령(馬兜鈴, 쥐방울)

폐를 보하고 열을 없애며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서 먹는다[본초].

상백피(桑白皮, 뽕나무뿌리껍질)

폐를 사하고 폐 속의 물기를 없애는데 달여서 먹는다[본초].

정력자(정력子, 꽃다지씨)

폐기가 막혀서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한다. 닦은 것으로 20g을 대추 5알과 함께 달여서 먹는다.

귤피(橘皮, 귤껍질)

폐기를 잘 돌게 하는데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지각(枳殼)

폐기를 사[泄]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호도(胡桃, 호두)

폐기를 걷어들이고 숨찬 것을 멈추는데 늘 먹어야 한다[탕액].

오매(烏梅)

폐기를 걷어들이는데 차를 만들어 마신다[탕액].

행인(杏仁, 살구씨)

폐의 병을 치료하는데 마른 것을 눅여 주고 맺힌 것[結]을 헤친다[散]. 죽을 쑤어 먹는 것이 좋다[본초].

도(桃, 복숭아)

폐의 병에 먹으면 좋다[본초].

서미(黍米, 기장쌀)

폐의 병에 쓰면 좋은데 밥을 지어 먹는다[본초].

우유(牛乳, 소젖)

폐를 눅여 주고 보한다. 죽을 쑤어 늘 먹으면 좋다[본초].

계자백(鷄子白, 달걀 흰자위)

폐를 눅여 주고 열을 내리는데 생것을 먹는다[본초].


숨이 가쁘고 목구멍이 마른다 : 폐정격

숨이 차서 헐떡거리지만 목은 마르지 않다 : 폐열격

숨이 차서 가랑가랑하다 : 대돈 태백

숨이 짧고 고르지 못하며 편하지 않다 : 신정격

숨을 내쉴 때 탁탁 맞힌다 : 비정격

숨을 들이쉴 때 탁 맞힌다(蔽骨痛 心下牽 명치가 당기고 아프다) : 심정격

숨차고 눕기 어렵다, 반듯이 누우면 숨차고 기침 나오기도 함 : 폐승격

숨이 차고 기침을 하며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온다 : 폐정격

기침을 하면서 기가 치밀어 올라, 숨이 차면서 호흡이 옳지 않고 잘 눕지 못함 : 간정격

기운이 치밀어 오르면서 숨이 차고 기침이 난다 : 폐승격

胸滿하며 움직이면 숨이 차고 자꾸 누우려한다 : 간정격

말하거나 움직이려고 하면 숨이 차오르면서 기침한다(肝風嗽) : 간정격

                                          /슬관 透곡천, 대돈 용천 태연 태충(우측)

건구역질+ 숨차서 눕지 못함(거품섞인 가래, 가슴 옆구리 땡기고 아프다) : 폐승격

기관지 확장증 또는 삼출성 늑막염으로 인한 가래, 호흡곤란 : 간정격

한숨을 자주 쉬며 가슴이 답답하다 : 담정격

'동의보감 > 내경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장(心臟)  (0) 2016.05.29
비장(脾臟)  (0) 2016.05.29
신장(腎臟)  (0) 2016.05.29
담부(膽腑)  (0) 2016.05.29
위부(胃腑)  (0) 2016.05.29
:
Posted by doc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