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6. 5. 29. 08:57

심장(心臟) 동의보감/내경편2016. 5. 29. 08:57

심장(心臟)

« 동의보감(東醫寶鑑)

심장(心臟)

심병의 허증과 실증[心病虛實] »

심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心病間甚] »

 

심장의 형태[心形象]

심장의 형태는 피어나지 않은 연꽃 같고 가운데 9개의 구멍[九空]이 있는데 이곳을 천진(天眞)의 기(氣)를 이끌어 가는 정신이 들어 있는 곳이라고 한다[내경주].

○ 심장의 무게는 480g이다. 속에 구멍이 7개[七孔] 있고 털이 3개[三毛]가 있으며 정즙(精汁) 3홉이 들어 있는데 정신을 주관한다[난경].

○ 지식이 많은 사람은 심장에 구멍이 7개 있고 털이 3개 있다. 지식이 보통인 사람은 심장에 구멍이 5개 있고 털이 2개 있다. 지식이 밭은 사람은 심장에 구멍이 3개 있고 털이 1개 있다. 보통사람은 심장에 구멍이 2개 있고 털이 없다. 우둔한 사람은 심장에 구멍이 1개 있다. 몹시 우둔한 사람은 심장에 구멍이 1개 있는데 그나마도 몹시 작다. 구멍이 없는 것은 정신이 나드는 문이 없는 것이다.

○ 심장에는 구멍 7개와 털 3개가 있는데 7개의 구멍은 북두칠성에 상응하고 3개의 털은 3태성(三台星)에 상응하기 때문에 마음이 지성이면 하늘과 통한다[입문].

○ 심포락(心包絡)이란 실지 심장을 싸고 있는 막인데 심장의 겉을 싸고 있기 때문에 심포락이라고 한다[정전].

○ 심장의 형태는 피어나지 않은 연꽃 같아서 위는 크고 아래는 뾰족한데 폐(肺)에 거꾸로 붙어 있다[유취].

[註] 심장 속에 7-9개의 구멍과 털이 3개가 있으며 또 정즙 3홉과 정신이 들어 있다고 한 것과 지식이 많고 적은 데 따라 구멍과 털난 것이 차이가 있으며, 이것은 북두칠성과 3태성에 상응해 있고 마음이 지성이면 하늘과 통한다고 한 것은 도교의 학설을 그대로 인용한 것. 또한 심장에 7개의 구멍이 있다는 것은 심장이 화(火)에 속하고 그 숫자가 7이라고 하는 5행설에서 나온 것.

심장의 위치[心部位]

심장은 폐장의 아래, 간장의 위에 있다[입문].

○ 5장의 줄이 심장과 통해 있어서 심장이 5장과 통하게 된다. 그리고 심장의 줄이 5장의 줄과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5장에 병이 생기면 먼저 심장이 침범을 받는다. 그 줄이 위로는 폐와 연결되어 있다. 그중 한줄은 양 폐엽(肺葉)의 가운데서부터 시작하여 뒤로 가서 잔등[背]을 통한 다음 신(腎)으로 갔다가 방광으로 가서 방광막(膀胱膜)의 낙맥(絡脈)과 같이 오줌이 나가는 곳까지 간다. 이곳이 심(心)과 관련된 부위이다 [입문].

○ 거궐혈(巨闕穴)은 심의 모혈(募穴)이다. 잔등에는 심유혈(心兪穴)이 등뼈의 제5흉추와 제6흉추 극상돌기 사이에서 옆으로 각각 2치 되는 곳에 있다. 이것이 심장과 관련된 부위이다[동인].

심이 주관하는 날짜[心主時日]

심은 여름을 주관하는데 수소음(手少陰)과 수태양(手太陽)이 주치하는 날은 병(丙)일과 정(丁)일이다. 남쪽은 열(熱)을 생기게 하고 열은 화(火)를 생기게 하며 화는 쓴 것을 생기게 하고 쓴 것은 심을 생(生)한다.

○ 심은 생명의 근본이고 정신이 변화하는 곳이다. 심은 양(陽) 중의 수태양인데 여름철과 통한다[내경].

심에 속한 것들[心屬物類]

하늘에서는 열(熱)이고 땅에서는 불[火]이며 괘(卦)에서는 이(이)이고 몸에서는 맥(脈)이며 5장에서는 심(心)이고 빛깔에서는 벌건 빛[赤]이며 음(音)에서는 치(徵)이고 소리에서는 웃음이고 변동(變動)에서는 근심이고 구멍[竅]에서는 혀이며 맛에서는 쓴 것이고 지(志)에서는 기쁨이며 진액에서는 땀이고 겉으로 나타나는 표현은 색깔이고 냄새에서는 타는 냄새이며 숫자에서는 7이고 곡식에서는 보리(기장이라고 한 데도 있다)이며 집짐승에서는 양(말이라고 한 데도 있다)이며 벌레에서는 날개가 있는 벌레이고 과실에서는 살구이며 채소에서는 염교[ ]이다[내경].

○ 경맥은 수소음(手少陰)이다[내경].

심장이 크고 작은 것[心臟大小]

5장 6부에서는 심장이 기본인데 결분(缺盆)이 그의 길이다. 괄골(괄骨)의 길이를 보고 갈우(갈우, 명치뼈)가 어떠한가를 알 수 있다(위의 글자는 갈(曷)자이고 아래글자는 우(于)자인데 이것은 심장을 가린 뼈라는 말이다)

○ 얼굴빛이 벌겋고 살결이 부드러운 사람은 심장이 작고 살결이 거친 사람은 심장이 크며 명치뼈가 없는 사람은 심장이 높이 위치해 있고 명치뼈[갈우]가 작고 짧은 사람은 심장이 아래로 처져 있다. 명치뼈가 긴 사람은 심장이 든든하고 명치뼈가 약하고 작으면서 엷은 사람은 심장이 약하다. 명치뼈가 직선으로 드리워 있지 않는 사람은 심장의 위치와 모양이 똑바르고 명치뼈가 한쪽으로 치우친 사람은 심장도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

○ 심장이 작으면 근심으로 병들기 쉽고 심장이 크면 근심하여도 병들지 않는다. 심장이 높이 위치해 있으면 폐 속이 그득하고 답답하며 잘 잊어버리고(잊어버린다는[만] 문자는 답답하다는 민(悶)자와 뜻이 같다) 말을 힘들게 한다. 심장이 아래로 처져 있으면 찬 것에 쉽게 상하고 말로 쉽게 겁을 먹게 할 수 있다. 심장이 든든하면 5장이 편안하고 병을 잘 막아 낸다. 심장이 약하면 소갈[消]이나 황달[ ]이나 속에 열이 잘 생긴다. 심장의 위치와 모양이 똑바르면 조화되어 내보내는 것이 순조롭고 잘 상하지 않는다. 심장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으면 마음이 일정하지 못하고 지킬 성[守司]이 없다[영추].

심이 상한 증상[心傷證]

근심과 걱정을 하거나 지나치게 생각을 하면 심(心)이 상한다[난경].

○ 사기(邪氣)가 침범하면 정신이 불안해지는 것은 혈기(血氣)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혈기가 부족한 것은 심에 속하는데 심기가 허한 사람은 흔히 잘 무서워하며 눈을 감고 있고 자려고만 하며 멀리 가는 꿈을 꾸고 정신이 산만하며 혼백이 마구 나다닌다. 음기(陰氣)가 쇠약하면 전증[癲]이 생기고 양기(陽氣)가 쇠약하면 광증[狂]이 생긴다.

○ 심이 상하면 몹시 피로하고 노곤하며 머리와 얼굴이 벌겋게 되고 아랫도리가 무거우며 가슴 속이 아프면서 답답하고 열이 나며 배꼽 위가 뛰고 맥이 현(弦)하다. 이것이 심이 상한 증상이다[중경].

심병의 증상[心病證]

심에 사기(邪氣)가 있어서 앓을 때에는 가슴이 아프고 잘 슬퍼하며 때로 어지럼증이 나서 넘어진다[영추].

○ 신(腎)의 병이 심에 옮아가면 힘줄이 켕기면서 급하게 앓는데 이것을 계병( 病)이라고도 한다.

○ 심에 열이 있으면 얼굴빛이 벌겋고 낙맥(絡脈)으로 피가 많이 나간다[내경].

○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얼굴이 벌겋고 입이 마르며 잘 웃는 것이다. 속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배꼽 위에 동기(動氣)가 있으며 눌러 보면 뜬뜬하고[牢] 아픈 것 같다. 병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심장 부위가 아프며 손바닥이 달고 헛구역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심병이다. 이런 증상이 없으면 심병이 아니다[난경].

○ 여위어 큰 뼈들이 두드러지고 큰 힘살들이 움푹 들어가며 가슴 속에 기운이 그득 차서 숨이 차고 말째며[不便] 속이 아프다가 어깨와 목이 맞당기는 것은 1달 이내에 죽는데 진장맥(眞藏脈)이 나타나면 죽을 날짜까지 정할 수 있다. 주해에 “이것은 심기가 다 없어진 것이므로 30일 이내에 죽는다”고 씌어 있다[내경].

○ 잘 잊어버리고 기억해 두지 못하며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하며 가슴 속이 몹시 답답하고 참을 수 없이 괴로우며 즐거운 때가 없는 것은 다 심혈(心血)이 부족하기 때문이다[입문].

심병의 허증과 실증[心病虛實]

심은 혈맥[脈]을 간직하는데 혈맥에는 정신이 머물러 있다. 심기가 허하면 슬퍼하고 실하면 계속 웃는다.

○ 심이 실하면 가슴 속이 아프고 옆구리[脇支]가 그득하며 옆구리 아래[脇下]가 아프고 가슴과 잔등과 어깻죽지 사이가 아프며 양팔의 안쪽이 아프다. 심이 허하면 가슴과 배가 커지며 옆구리 아래와 허리, 잔등(背)이 맞당기면서 아프다[영추].

○ 심은 신기(神氣)를 간직하는데 신기가 지나치면 계속 웃고 신기가 부족하면 슬퍼한다[내경].

심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心病間甚]

심병은 늦은 여름에 낫는데 늦은 여름에 낫지 못하면 겨울에 가서 심해진다. 그리고 겨울에 죽지 않으면 봄에는 그대로 지내다가 여름에 가서 완전히 낫는다.

○ 심병은 무(戊)일이나 기(己)일에 낫는데 무일이나 기일에 낫지 못하면 임(壬)일이나 계(癸)일에 가서 심해진다. 그리고 임일이나 계일에 죽지 않으면 갑(甲)일이나 을(乙)일에는 그대로 지내다가 병(丙)일이나 정(丁)일에 가서 완전히 낫는다.

○ 심병이 한낮에는 좋아졌다가 밤중에는 심해지며 아침에는 안정된다[내경].

수소음은 수혈이 없다[手少陰無輸]

황제가 “수소음경맥[手少陰之脈] 하나만이 수혈(輸血)이 없다고 하는데 이것은 무엇 때문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기伯)이 “소음(少陰)이란 심의 경맥이다. 심은 5장 6부를 주관하며 사람에게서 첫자리를 차지하는 정신이 머물러 있는 곳이다. 그러므로 몹시 든든해서[堅固] 사기가 잘 들어가지 못한다. 그러나 사기(邪氣)를 받아서 심이 상하면 정신이 나가는데 정신이 나가면 죽는다. 그러니 여러 가지 사기가 심에 있다고 하는 것은 다 심포락(心包絡)에 있는 것을 말한다. 심포락은 심이 주관하는 경맥이다. 그러므로 소음에는 수혈이 없다”고 대답하였다. 황제가 “소음에는 수혈이 없으니 심에는 병이 생기지 않을 것이 아닌가”고 물었다. 이에 기백이 “심의 겉에 있는 경맥은 병들 수 있지만 심은 병들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경맥의 혈은 오직 손바닥 뒤의 뾰족한 뼈 끝[掌後銳骨之端](즉 신문혈이다)에서 잡는 것이다”고 대답하였다[영추].

심병을 치료하는 방법[心病治法]

심은 늘어지는 것[緩急]을 괴로워하는데 이런 때에는 빨리 신 것을 먹어서 거두어들이게 해야 한다. 주해에 “심이 늘어지는 것을 괴로워하는 것은 심기가 허하기 때문이다”고 씌어 있다. 심이 연(연)해지는 것을 요구하면 빨리 짠 것을 먹어서 연하게 되게 해야 한다. 또한 짠 것으로 보(補)하고 단것으로 사(瀉)해야 한다[내경].

○ 심은 늘어지는 것을 괴로워하는데 이런 때에는 오미자를 써야 한다. 또한 심이 허하면 닦은[炒] 소금으로 보해야 한다. 심을 연하게 하려면 망초로 보하고 감초로 사해야 하는데 이것은 심기가 실(實)한 때 쓴다[동원].

○ 심병에는 신 것을 먹어야 하는데 팥(小豆), 개고기, 추리(李), 부추(구) 등 여러 가지 신 것을 먹으면 잘 거두어들일 수 있다[내경].

○ 심병에는 보리, 양고기, 살구(杏), 염교( )를 먹는데 이것은 본 장기의 맛을 취하는 것이다[갑을경].

○ 심이 허한 데는 전씨안신환, 주사안신환(朱砂安神丸, 처방은 신문에 있다), 성심산을 쓰고 심이 실한 데는 사심탕, 도적산, 십미도적산을 쓴다[강목].

○ 심병 때에는 더운 것을 먹거나 덥게 입지 말아야 한다[내경].

전씨안신환(錢氏安神丸)

심이 허한 것을 보한다.

주사(수비(水飛)한 것) 40g, 맥문동, 마아초, 흰솔풍령(백복령), 마(서여), 한수석, 감초 각각 20g, 용뇌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40g으로 30알씩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사탕물에 타서 먹는다[전을].

성심산(醒心散)

심이 허하여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맥문동, 오미자, 원지, 복신, 생지황, 석창포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

사심탕(瀉心湯)

심에 열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 적당한 양.

위의 약을 몹시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 또는 4g씩 따뜻한 물에 타서 먹는다(일명 황련사심탕(黃連瀉心湯)이라고도 한다)[전을].

도적산(導赤散)

심에 열이 있는 것을 치료하지만 실지는 소장병(小腸病)에 쓰는 약이다. 처방은 아래에 있다.

십미도적산(十味導赤散)

심장에 실열(實熱)이 있어서 입과 혀가 헐고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고 번갈(煩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 속썩은풀(황금), 맥문동, 끼무릇(반하), 지골피, 복신, 함박꽃뿌리(적작약), 으름덩굴(목통), 생지황,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활인서].

또 한가지 처방

(생것)을 주약[君]으로 하고 육계(官桂)를 좌약(佐藥)으로 조금 넣어서 1백여 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꿀을 넣어서 빈속에 먹으면 심신(心腎)이 제때에 잘 어울리게 된다[단심].

심기가 끊어진 증후[心絶候]

수소음(手少陰)의 기(氣)가 끊어지면 맥이 통하지 않는데 맥이 통하지 않으면 혈(血)이 잘 돌지 못한다. 그리고 혈이 돌지 못하면 윤택한 빛이 나지 못하므로 얼굴이 옻빛같이 거멓게 된다. 이것은 혈이 먼저 상한 것이므로 임(壬)일에 위독해졌다가 계(癸)일에 죽는다[영추].

○ 몸이 연기에 그을린 것같이 되고 눈을 곧추뜨며[直視] 머리를 흔드는 것은 심기가 끊어졌기 때문이다[중경].

○ 심기가 끊어지면 하루 만에 죽는다고 하는데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숨쉴 때 어깨를 들먹거리고 눈알이 돌아가면 곧 죽거나 2일 만에 죽는데 이것을 보고 안다[맥경].

심장을 수양하는 법[心臟修養法]

항상 음력 4월, 5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이른 아침에 남쪽을 향하고 단정하게 앉아서 이빨을 아홉번 맞쫏고[叩] 현천(玄泉, 침)으로 세번 입을 가셔서 삼킨 다음 조용히 생각하면서 이궁적색기(이宮赤色氣)를 세번 들이마시고 30번 숨쉴 동안만큼 숨을 쉬지 않고 참는다[양생서].

심장에 대한 도인법[心臟導引法]

똑바로 앉아서 두 주먹을 쥐고 힘을 써서 왼쪽과 오른쪽을 각각 여섯번씩 친다. 다음 똑바로 앉아서 한 손으로 다른 팔목을 누르고 눌린 손은 아래를 향하여 밀면서 무거운 돌을 드는 것같이 든다. 다음 양손을 마주 놓고 발로 손바닥을 각각 다섯번에서 여섯번씩 밟으면 가슴에 있는 풍사(風邪)와 여러 가지 병이 없어진다. 그 다음 한참 동안 숨을 쉬지 않고 참으면서 눈을 감고 침을 세번 삼킨 다음 이빨을 맞쪼고[叩] 그만둔다[구선].

단방(單方)

모두 22가지이다

주사(朱砂)

화(火)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빛이 벌건데 심으로 들어가서 심신(心神)을 안정시킨다[본초].

○ 심열(心熱)은 이 약이 아니면 없앨 수 없다. 수비(水飛)하여 약에 넣어 쓰거나 조금씩 먹는다[탕액].

적석지(赤石脂)

심기를 돕는다. 불에 달구었다가 수비하여 약에 넣어 쓰거나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금박, 은박(金箔, 銀箔)

2가지가 다 마음을 진정시킨다. 약에 넣어서 먹는다[본초].

황단(黃丹)

마음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안정시킨다. 수비하여 약에 넣어 쓴다[본초].

석창포(石菖蒲)

심규(心竅)를 열어 주고 심을 보호하며 정신이 좋아지게 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어도 다 좋다[본초].

맥문동(麥門冬)

심열을 없애고 심기가 약한 것을 보한다. 심을 빼버리고 달여서 먹으면 아주 좋다[본초].

원지(遠志)

심기를 안정시킨다. 심을 빼버리고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어도 다 좋다[본초].

생지황(生地黃)

심혈(心血)을 보(補)하고 심열(心熱)을 내리는데 즙을 내서 먹거나 달여서 먹는다[본초].

황련(黃連)

심열을 내리고 가슴 속에 있는 궂은 피[惡血]를 잘 없앤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복신(茯神)

심기를 통하게 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어도 다 좋다[본초].

구갑(龜甲, 남생이배딱지)

심을 보한다. 남생이는 영리한 동물이기 때문에 심을 보하는 데는 효과가 많다. 가루내어 물에 조금씩 타서 먹는 것이 좋다[단심].

연자(蓮子, 연씨)

심을 도와주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심기를 통하게 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어도 다 좋다. 그리고 어떤 처방은 연씨 600g을 검은 껍질이 있는 채로 닦아서 잘 짓찧어 보드랍게 가루내어 쓰게 되어 있는데 찧어지지 않은 검은 껍질은 버린다. 다음 약간 닦은[炒] 감초 40g을 가루내어 넣고 섞는다. 한번에 8g씩 소금 끓인 물에 조금씩 타 먹으면 허(虛)해진 심을 크게 보하고 기를 도와준다[거가필용].

행(杏, 살구)

심병에 먹으면 좋다[본초].

소맥(小麥, 밀)

심기를 도와주므로 심병에 먹으면 좋다[본초].

서각(犀角, 무소뿔)

정신을 진정시킨다. 가루내어 약에 넣어 쓰거나 물에 갈아 즙을 내서 먹는다[본초].

계자(鷄子, 달걀)

마음을 진정시킨다. 그리고 흰자위는 명치 아래에 잠복해 있는 열을 없앤다. 생것으로 1알씩 먹는다[본초].

고채(苦菜, 씀바귀)

정신을 안정시키는데 늘 먹어야 좋다[본초].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심규(心竅)를 열어 준다. 죽을 쑤어 먹거나 달여서 물을 마신다[본초].

죽엽(竹葉, 참대잎)

가슴을 시원하게 하여 가슴이 답답한 것을 없앤다. 달여서 먹는다[본초].

박하즙(薄荷汁)

심열을 없앤다. 즙을 내서 마신다[본초].

연교(連翹, 개나리열매)

심열을 없앤다. 달여서 먹는다[본초].

치자(梔子, 산치자)

심열을 없애는데 가슴 속이 몹시 답답하고 괴로우며 번조증(煩躁證)이 나는 것도 치료한다. 달여서 먹는다[본초].

'동의보감 > 내경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장 6부(五臟六腑)  (0) 2016.05.29
간장(肝臟)  (0) 2016.05.29
비장(脾臟)  (0) 2016.05.29
폐장(肺臟)  (0) 2016.05.29
신장(腎臟)  (0) 2016.05.29
:
Posted by doc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