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眼)
내장(內障) »
원예(圓예) » · 빙예(氷예) » · 활예(滑예) » · 삽예(澁예) » · 산예(散예) »
횡개예(橫開예) » · 부예(浮예) » · 침예(沈예) » · 언월예(偃月예) »
조화예(棗花예) » · 황심예(黃心예) » · 흑화예(黑花예) » · 태환(胎患) »
오풍변(五風變) » · 뇌두풍(雷頭風) » · 경진(驚振) » · 녹풍(綠風) »
오풍(烏風) » · 흑풍(黑風) » · 청풍(靑風) »
간허작목(肝虛雀目) » · 고풍작목(高風雀目) » · 간허목암(肝虛目暗) »
○ 내장이란 것은 눈동자가 흐려져서 보지 못할 뿐이지 앓지 않는 눈과 비슷하면서 눈동자 속에서 청백색이 은은히 나타나는 것이다. 청백색이 은은히 나타나지 않는 것도 있다[강목].
○ 내장은 먼저 한쪽 눈에 왔다가 양쪽 눈에 다 오게 되는데 어느 것이나 검은자위 속에 예막이 생겨 눈동자를 가리게 된다. 검은자위로 통한 맥이 목계(目系)인데 이것은 족궐음(足厥陰), 족태양(足太陽), 수소음(手少陰)이 3경맥에 속한다. 이 3경맥이 허하면 사기가 목계를 따라 검은자위 속으로 들어가서 예막이 생기게 한다. 이런 때에 침을 놓으려면 반드시 이 3경맥의 유혈(兪穴) 즉 천주(天柱), 풍부(風府), 태충(太衝), 통리(通里) 등 혈에 놓아야 한다[강목].
○ 내장 때에는 아프지도 쏘지도 않으며 눈물이나 눈꼽도 없다. 그러나 자세하게 보면 안개가 연하게 낀 것같고 오랫동안 보면 연기가 약간 낀 것같다. 또한 거미가 허공에 파리를 잡아쥐고 매달려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날이 갈수록 더 심해지면서 뇌지(腦脂)가 검은자위에 내려와 뭉쳐 점차 눈동자에까지 예장(예障)이 생기게 된다[유취].
○ 내장 때에는 눈 앞이 어렴풋할 뿐 겉으로 보기에는 예막(예膜)이 알리지 않는다. 뇌지가 검은자위에 내려와 뭉치면 하얗게 되거나 금빛이나 녹두빛 또는 구름이나 연기처럼 되기도 하며 혹 5가지 빛이 나기도 한다. 내장은 외장을 치료하기 보다 훨씬 힘들다. 뇌지(腦脂)가 뭉쳐서 눈동자를 가리면 치료하지 못한다[입문].
○ 내장은 혈이 부족하고 정신이 피로하며 신이 허한데 속한다. 그러므로 혈을 자양하고 신을 보하며 정신을 안정시켜 조화되게 하여야 한다[단심].
○ 대체로 눈이 어둡거나 시력이 약하여 보려고 하지 않는 것과 내장으로 눈 앞에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고 동공이 산대(散大)되는 것은 다 이증[裏病]이다[단심].
○ 성생활을 지나치게 해서 신정(腎精)이 허해진 데는 익음신기환을 쓰는 것이 좋다. 간혈(肝血)이 허한 데는 양간환, 생숙지황환을 쓰는 것이 좋다. 간과 신이 다 허한 데는 주경원, 가감주경원, 명목장수환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혈이 부족하고 정신이 피로하며 신이 허한 데는 자음지황환, 자신명목탕을 쓰는 것이 좋다.
○ 내장에는 보간산, 추예환, 양간원, 본사방양간원, 보신환, 기령환, 오퇴산, 밀몽화산, 충화양위탕, 당귀탕, 환정환(還睛丸, 처방은 두루 치료하는 문에 있다), 발운퇴예환정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내장에는 원예, 빙예, 활예, 삽예, 산예, 횡개예, 부예, 침예, 언월예, 조화예, 황심예, 흑화예, 태환, 오풍변, 뇌두풍, 경진, 녹풍, 오풍, 흑풍, 청풍, 간허작목, 고풍작목, 간허목암 등 모두 23가지가 있다[득효].
익음신기환(益陰腎氣丸)
『내경』에 “신수[壯水]를 주로 보충해서 양기를 억누르고 음을 자양하게 한다”고 한 약이 이것이다.
찐지황 80g, 생건지황(술에 축여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산수유 각각 40g, 오미자, 마(서여), 모란뿌리껍질(목단피), 시호, 당귀잔뿌리(당귀미, 술에 씻은 것) 각각 20g, 복신, 택사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정전].
○ 어떤 처방에는 주사(朱砂)가 없다.
○ 일명 자음신기환(滋陰腎氣丸)이라고도 한다.
양간환(養肝丸)
간기가 부족하여 눈 앞이 아찔하거나 꽃무늬 같은 것이 어른거리면서 혹 눈꼽이 끼거나 눈물이 나는 것과 부인이 혈(血)이 허하여 생긴 눈병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찐지황 각각 40g, 방풍, 닥나무열매(저실자, 닦은 것), 길짱구씨(차전자, 술에 축여 볶은 것), 유인(끓는 물에 담갔다가 껍질을 버린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끼니 사이에 끓인 물로 먹는다[의감].
생숙지황환(生熟地黃丸)
혈이 허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생건지황, 찐지황, 현삼, 석고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찻물로 먹는다[입문].
주경원(駐景元)
간(肝)과 신(腎)이 허하여 눈 앞에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고 물건이 잘 보이지 않는 것과 혹 예장( 障)이 생기는 것을 치료한다.
새삼씨(토사자, 술에 법제한 것) 200g, 길짱구씨(차전자, 닦은 것), 찐지황 각각 1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데운 술로 먹는다[국방].
○ 어떤 처방에는 구기자 50g을 넣으면 더 좋다고 하였다.
가감주경원(加減駐景元)
간과 신이 허하여 양쪽 눈이 다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새삼씨(토사자) 320g, 구기자, 오미자, 길짱구씨(차전자), 닥나무열매(저실자), 조피열매(천초, 닦은 것) 각각 40g, 찐지황, 당귀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간이].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간(肝)과 신(腎)의 기운이 부족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면서 늘 검은 꽃 같은 것이 나타나고 찬 눈물이 많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주로 신수를 보충하여 양기를 억누르고 신과 간을 보하며 피가 생기게 하고 눈이 밝아지게 한다.
황백, 지모(다 젖에 버무려 햇볕에 말려서 닦은 것) 각각 100g, 찐지황, 생건지황(술에 씻은 것), 천문동, 맥문동, 산수유(술에 축여 찐 것), 단국화(감국) 각각 80g, 구기자(술에 씻은 것) 64g, 쇠무릎(우슬, 술에 씻은 것) 52g, 인삼, 당귀(술에 씻은 것), 오미자, 새삼씨(토사자), 백복신, 마(서여), 측백씨(백자인, 닦은 것), 택사, 모란뿌리껍질(목단피, 술에 씻은 것) 각각 40g, 백두구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빈속에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의감].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
혈이 부족하고 정신이 피로하며 신(腎)이 허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면서 동공이 산대(散大)되어 물건이 어렴풋하게 보이고 꽃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치료는 반드시 혈을 보하고 혈에 있는 열을 내리우며 화(火)를 헤쳐 버리고 풍(風)을 없애야 한다.
찐지황 40g, 시호 32g, 생건지황(술에 축여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30g, 당귀(술에 씻은 것), 속썩은풀(황금) 각각 20g, 천문동, 지골피, 오미자, 황련 각각 12g, 인삼, 지각, 감초(닦은 것)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녹두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찻물로 먹는다[단심].
○ 일명 숙지황환(熟地黃丸)이라고도 한다. 대체로 눈이 점차 어두워지면서 금방 어두워졌다 금방 밝아졌다 하는 것은 피를 많이 흘렸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이 약과 정지환(定志丸, 처방은 신문에 있다)을 같이 먹는 것이 더 좋다[보명].
자신명목탕(滋腎明目湯)
혈이 부족하고 정신이 피로하며 신이 허하여 생긴 눈병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생지황, 찐지황 각각 4g, 인삼, 도라지(길경), 산치자, 황련, 구릿대(백지), 순비기열매(만형자), 단국화(감국),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작설차 한자밤, 골풀속살(등심초) 2g과 함께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회춘].
보간산(補肝散)
간풍(肝風)으로 내장이 생겨 아프지도 가렵지도 않으면서 눈 앞에 5가지 빛의 꽃 같은 것이 나타나고 하나의 물건이 둘로 보이는 것을 치료한다.
영양각, 방풍 각각 40g,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30g, 강호리(강활), 길짱구씨(차전자), 족두리풀(세신), 현삼, 속썩은풀(황금, 닦은 것) 각각 1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
○ 영양각(羚羊角)은 궐음경으로 가고 현삼, 족두리풀(세신)은 소음경으로 가며 강호리(강활), 방풍, 길짱구씨(차전자)는 태양경으로 간다. 만약 근맥이 땅겨서 작용하지 못하면 꿀풀(하고초)을 넣어 쓴다. 일찍이 써보았는데 잘 들었다[강목].
추예환(墜예丸)
내장(內障)으로 예막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푸른 양의 쓸개(靑羊膽), 청어쓸개(靑魚膽), 잉어쓸개(鯉魚膽) 각각 7개, 곰쓸개(웅담) 10g, 소쓸개(우담) 20g, 사향 1.2g, 전복껍질(석결명, 수비한 것)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밀가루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빈속에 찻물로 먹는다[입문].
○ 만일 청어쓸개(靑魚膽)이 없으면 대신 수달의 쓸개(獺膽) 3개를 써도 되는데 이것도 없으면 저담 1개를 쓴다[강목].
양간원(羊肝元)
여러 가지 눈병과 내장, 예막, 청맹(靑盲)을 치료한다.
황련(따로 가루낸 것), 흰양의 간(白羊子肝) 1보(막을 버린다).
위의 약들을 함께 사기그릇에 넣고 갈아서 여러 사람이 빨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빈속에 따뜻한 물로 먹는데 연이어 5재를 먹으면 낫는다. 푸른 양의 간을 쓰면 더 좋다.
○ 어떤 관리가 사형선고를 받은 한 죄수를 살려 주었다. 그런데 그 죄수는 몇 해 지나서 병으로 죽었다. 그 후 관리는 눈에 내장(內障)이 생겨 몹시 고통스러워 혼자 앉아 한탄만 하고 있었는데 뜰 아래서 사람의 소리가 들려왔다. 그리하여 누군가고 물어보니 대답하기를 “나는 이전에 당신이 살려 준 죄수인데 지금 당신이 눈병으로 고생하는 것을 알고 처방을 알려 주려고 왔다”고 하면서 이 처방을 알려 주기에 그대로 약을 지어먹고 나았다고 한다.
본사방양간원(本事方羊肝元)
내장(內障)과 청맹(靑盲)을 치료한다.
불깐 흰양의 간(白갈羊肝, 작은 쪽 하나만 쓰는데 얇게 설어서 새기왓장위에 놓고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찐지황 60g, 새삼씨(토사자), 결명씨(결명자), 길짱구씨(차전자), 댑싸리씨(지부자), 오미자, 구기자, 익모초, 꽃다지씨(정력자), 개맨드라미씨(靑箱子), 유인, 맥문동, 택사, 방풍, 속썩은풀(황금), 흰솔풍령(백복령), 계심, 살구씨(행인), 족두리풀(세신)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하루 세번 따뜻한 물로 먹는다.
○ 어떤 사람이 내장(內障)으로 눈이 어두워졌을 때 이 약을 먹었다. 그런데 어느날 밤 그는 등불 아래 앉아서 말하기를 “지금 눈이 약간 보이는데 마치 창문 틈으로 방안의 불빛을 보는 것 같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이튿날 아침에 집안 사람들이 그의 눈을 보니 예막이 실처럼 가늘게 터져 있었다. 그 후에 나았다. 가루를 내어 8g씩 찻물에 타서 먹었는데도 역시 효과가 있었다[강목].
보신환(補腎丸)
신(腎)이 허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면서 점차 내장이 되려고 하는 것을 치료한다.
자석(磁石, 달구었다가 식초에 담그기를 일곱번 하여 갈아서 수비한 것), 새삼씨(토사자, 술에 법제한 것) 각각 80g, 찐지황, 육종용(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석곡, 오미자, 구기자, 닥나무열매(저실자), 복분자(술에 담갔던 것), 길짱구씨(차전자, 술에 축여서 찐 것) 각각 40g, 침향, 돌소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빈속에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제생].
기령환(杞령丸)
신(腎)이 허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면서 점차 내장(內障)이 되려고 하는 것을 치료한다.
솔풍령(복령) (절반은 흰솔풍령(백복령), 절반은 벌건솔풍령(적복령)) 160g, 구기자(술에 담갔던 것) 80g, 새삼씨(토사자, 술에 법제한 것), 당귀 각각 40g, 돌소금(청염)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더운물로 먹는다[단심].
오퇴산(五退散)
내장(內障)을 치료한다.
매미허물(선퇴), 뱀허물(사퇴), 누에껍질(잠퇴), 검정닭의 알껍질(烏 卵殼), 난발회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돼지간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입문].
밀몽화산(密蒙花散)
16가지 내장과 여러 해 동안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밀몽화 80g, 영양각, 굼벵이(제조, 뽕나무 속에 있던 굼벵이를 쓴다), 인삼, 복분자, 댑싸리씨(지부자), 구기자, 감초 각각 40g, 익모초씨, 석명자, 단국화(감국), 홰나무꽃(괴화)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 먹는다[득효].
충화양위탕(沖和養胃湯)
비위(脾胃)가 허약해지고 심화(心火)와 3초(三焦)가 동시에 성해져서 내장이 된 것을 치료한다.
황기, 강호리(강활) 각각 4g, 인삼, 흰삽주(백출), 승마, 칡뿌리(갈근), 당귀, 감초(닦은 것) 각각 2.8g, 시호,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2g, 방풍,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1.2g, 오미자 0.8g, 건강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인다. 다음 여기에 속썩은풀(황금), 황련 각각 2g씩 넣고 다시 몇 번 끓어오르게 달여서 찌꺼기를 짜 버리고 따뜻하게 하여 끼니 사이에 먹는다[동원].
당귀탕(當歸湯)
간(肝)과 신(腎)을 보하고 눈을 밝게 한다.
시호 8g, 생지황 6g,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g, 속썩은풀(황금), 황련(다 술에 담갔던 것) 각각 3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의림].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예還睛丸)
내장(內障)을 치료한다. 늘 먹으면 일생 동안 눈이 잘 보이지 않거나 눈 앞에 꽃 같은 것이 나타나는 일이 없다.
검은 참깨(흑지마) 200g, 밀몽화, 속새(목적), 남가새열매(백질려), 매미허물(선퇴), 돌소금(청염) 각각 40g, 박하, 구릿대(백지), 방풍, 궁궁이(천궁), 지모, 형개수, 구기자,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감초(생것) 각각 20g, 단국화(감국) 24g, 당귀(술에 씻은 것)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끼니 뒤에 잘 씹어서 찻물로 넘긴다[회춘].
검은자위에 동그란 점이 하나 생겨서 햇볕에서 보면 좀 작은 것 같고 그늘에서 보면 큰 것 같으며 물건이 똑똑히 보이지 않고 눈 앞에 검은 꽃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간과 신이 다 허하여 생긴 것이다. 이런 데는 보간산이나 보신원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얼음처럼 단단한 예막이 생겨서 다른 사람이 옆에서 보면 눈동자에까지 들어간 것 같은데 그늘에서 보나 햇볕에서 보나 똑같고 아프며 눈물이 나오는 것이다. 이것은 간(肝)과 담(膽)의 병으로 생긴 것이다. 이런 데는 통간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수은알 같으면서 약간 누런 빛을 띤 예막이 생겼으나 쓰리지도 아프지도 않으며 눈물도 나오지 않고 오직 예막이 눈동자만을 가린 것이다[득효].
약간 벌건 예막이 생긴 것이 두터워졌다 엷어졌다 하는데 그 양 옆은 약간 광채가 있고 눈동자 위는 엉킨 고기기름 빛깔 같은 빛이 돌며 때때로 깔깔하면서 아프고 눈물은 나오지 않는 것이다[득효].
마치 고기 비늘쪽같이 생긴 예막이 생기거나 눈두덩 안에 좁쌀알 같은 것이 돋아서 밤낮 아픈데 눈동자가 제일 아프면서 늘 뜨거운 눈물이 나오는 것이다. 이상 3가지는 다 간과 폐가 서로 전해서 생긴 병이다. 이런 데는 팔미환정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예막이 위로 가로질러 갔는데 그 모양이 마치 칼등같이 아래로 내려오면서는 점차 얇아져서 끝은 몹시 얇고 벌겋지도 아프지도 않은 것이다. 이런 병은 드물다[득효].
겉이 얼음처럼 흰 예막으로 눈동자가 둘러싸였는데 외자(外 )에서부터 생겨서 검은자위로 들어갔고 아프지도 가렵지도 않고 핏기도 없는 것이다[득효].
흰점이 눈동자의 속 깊은 곳에 생겨서 햇볕에서 자세히 보아야 그 흰점을 볼 수 있고 눈알이 아픈 것이 낮에는 덜하고 밤에는 심하면서 간혹 눈물이 나오는 것이다. 이런 데는 공청원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엉킨 기름 같은 예막이 생겼는데 한쪽은 두텁고 한쪽은 얇아서 마치 반달 같고 빛이 희면서 번쩍이고 티 하나 없는 것이다. 이상 4가지는 다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4-5조각의 예막이 한 데 모여 둘레가 톱날 같고 붉으며 바늘로 찌르는 것같이 아프고 무엇이나 연기처럼 보이며 낮에는 쑤시고 아프면서 눈물이 많이 나오며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이다[득효].
예막의 변두리는 희고 한가운데만이 누러면서 동그랗고 눈동자를 덮었으며 때로 깔깔하고 눈물이 나오는 것이다. 이상 2가지 증상은 간(肝)과 폐(肺)에 풍열(風熱)이 있어서 생긴 것인데 환정산, 추예환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푸른 예막이 생기고 내자와 외자가 깔깔하며 아프고 눈물이 자주 나오고 입이 쓴 것이다. 이것은 담(膽)이 풍한(風寒)을 받은 것이므로 양담원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갓난아이에게서 볼 수 있는데 눈알을 잘 돌리지 못하다가 4-5살이 되면 눈동자가 허옇게 되면서 눈 앞이 어렴풋해지며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 병은 나이가 많아질 때까지 끄는데 약으로는 치료할 수 없다. 이것은 태 속에 있을 때 열을 받아서 상했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득효].
눈에 5가지 빛이 나타나다가 내장(內障)으로 변하여 머리가 몹시 아프고 눈물은 나오지 않으며 햇볕에 나가도 캄캄한 방에 있는 것같은 것이다. 이 병이 있으면 늘 근심하고 한탄만 하게 되는데 이것은 독풍(毒風)으로 뇌에 열이 생겨 된 것이다[득효].
열독(熱毒)의 기운이 위로 들어갔기 때문에 눈동자가 켕겨서 조금씩 커졌다 작아졌다 하면서 눈 앞이 캄캄해지고 전혀 보이지 않는 것이다[득효].
눈을 앓으면서 또 무엇에 맞아 내장이 되어 밤낮 아프고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것이다. 위의 4가지 증상은 다 치료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환정산을 먹어보는 수 밖에 없다[득효].
처음에는 머리가 핑핑 돌다가 이마의 양 모서리가 서로 맞당기며 눈동자에서 콧속까지 다 아프고 혹 눈 앞에 벌거면서 흰 꽃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이다. 간이 열을 받으면 먼저 왼쪽 눈에 병이 생기고 폐가 열을 받으면 먼저 오른쪽 눈에 병이 생기며 간과 폐가 동시에 병들면 양쪽 눈을 동시에 앓는다. 이런 데는 먼저 영양각산이나 영양각환을 먹은 다음 환정산을 먹어야 한다[득효].
눈은 가렵고 아프나 머리는 어지럽지 않으면서 눈이 점차 어두워져 마치 무엇이 가리운 것 같은데 예장( 障)은 전혀 없고 혹 눈 앞에 꽃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것은 간에 실열(實熱)이 있어서 생긴 것인데 사간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녹풍(綠風)과 비슷하나 때때로 눈 앞에 검은 꽃 같은 것이 나타난다. 이것은 신(腎)이 풍사(風邪)를 받아서 열이 눈으로 치밀어 올랐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러므로 신을 서늘하게 하는 것이 좋다[득효].
이것은 눈이 아프지도 가렵지도 않고 눈동자도 앓지 않는 사람과 꼭 같은데 오직 머리가 약간 핑핑 돌면서 눈 앞에 꽃 같은 것이 나타나다가 점차 눈이 어두워지는 것이다. 이상 2가지 병에는 환정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작목(雀目)이라는 것은 해가 지면 아무것도 보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강목].
○ 간이 허하여 피가 적어지면 때때로 눈 앞에 꽃 같은 것이 나타나면서 간혹 머리가 아프다가 여러 해 되면 두 눈을 다 멀게 된다. 어린이들은 감질(疳疾)로 이런 병이 생긴다. 이런 데는 합분환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어린이들이 간감(肝疳)으로 작목이 된 데는 풍감환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낮에는 잘 보지만 밤에는 보지 못하는 것을 작목이라고 한다. 참새가 밤이 되면 아무것도 보지 못하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유취].
○ 작목에는 작맹산을 쓰는 것이 좋다[직지].
○ 참새를 잡아 대가리에서 피를 내어 눈에 떨구어 넣으면 곧 낫는다. 양의 간을 양념하지 않고 삶아서 먹는 것도 좋다[본초].
○ 계맹작목( 盲雀目)을 치료하는 데는 생지황과 돼지간을 볶아서 먹는다[종행].
○ 소간으로 회를 만들어 먹어도 좋다[속방].
대체로 증상은 위와 같으면서 해가 뉘엿뉘엿 넘어가려고 할 때부터 아무것도 보지 못하고 여러 해 되면 눈동자가 금빛처럼 되는 것을 황풍(黃風)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치료하지 못한다[득효].
○ 작목(雀目)의 증상은 해가 저물면 아무것도 보지 못하다가 새벽이 되면 도로 잘 보는 것인데 이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것은 간이 허하기 때문이다. 『내경』에 “눈은 혈을 받아야 잘 볼 수 있다”고 씌어 있다. 간에 혈이 없으면 눈 앞이 뿌옇게 되어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저녁에 눈이 어두워졌다가 아침에 다시 밝아지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것은 간목의 기가 23시에 생기를 받아 7시부터 왕성해지고 17시부터는 끊어지기 시작하여 19-21시 사이에는 극도로 쇠약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눈이 어두워졌다가 7시가 되면 간목의 기가 점차 왕성해지면서 눈이 다시 밝아지는 것이다. 작목이 오래되면 누렇게 부으면서 죽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것은 간목(肝木)의 기는 17시에 끊어지지만 신수(腎水)와 비토(脾土)는 이때에 자란다. 이와 같이 간목은 쇠약해지고 비토는 왕성해지기 때문에 누렇게 붓는다. 이런 데는 평위산(平胃散,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써서 비토의 기를 고르게 하고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을 써서 간이 허한 것을 보하는 것이 좋다[정전].
○ 고풍작목에는 환정환을 쓰는 것이 좋다[유취].
멀리는 똑똑히 보이지 않고 눈 앞에 꽃 같은 것이 자주 나타나며 내자와 외자가 벌겋게 되고 아프며 때로 하나가 둘로 보이는 것이다. 이런 데는 보간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눈이 잘 보이지 않는 증에 대한 부문을 참고하여야 한다.
보간산(補肝散)
검은자위에 원예(圓예)가 생겨 눈이 잘 보이지 않고 눈 앞에 꽃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6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4g, 찐지황, 흰솔풍령(백복령), 단국화(감국),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2.8g, 측백씨(백자인), 방풍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보신원(補腎元)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육종용, 구기자 각각 40g, 파극, 마(서여), 파고지(닦은 것), 회향,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각각 20g, 돌소금(청염)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득효].
통간산(通肝散)
빙예(氷 )를 치료한다.
산치자, 남가새열매(백질려), 지각, 형개, 감초 각각 20g, 길짱구씨(차전자), 우엉씨(대력자, 닦은 것)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고죽엽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득효].
팔미환정산(八味還睛散)
내장(內障)과 여러 가지 예막, 눈이 잘 보이지 않고 눈 앞에 꽃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결명씨(결명자) 40g, 남가새열매(백질려), 방풍, 속새(목적), 산치자, 감초 각각 20g, 매미허물(선각), 개맨드라미씨(청상자, 약간 닦은 것)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맥문동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단국화(감국)를 달인 물로 먹어도 좋다[득효].
공청원(空靑元)
침예(沈예)를 치료하는데 자세히 보면 병이 몹시 깊은 곳에 있다.
방풍, 생건지황, 지모 각각 80g, 오미자, 길짱구씨(차전자), 전복껍질(석결명), 족두리풀(세신) 각각 40g, 공청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빈속에 찻물로 먹는다[득효].
양담원(凉膽元)
담(膽)이 풍한(風寒)을 받아서 흑화예(黑花 )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방풍, 노회 각각 40g, 황련, 속썩은풀(황금), 형개수, 용담초 각각 20g, 댑싸리씨(지부자), 황백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빈속에 박하를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영양각산(羚羊角散)
녹풍(綠風)이나 내장으로 눈이 잘 보이지 않고 눈 앞에 꽃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단국화(감국), 방풍, 궁궁이(천궁), 강호리(강활), 길짱구씨(차전자), 오두, 족두리풀(세신) 각각 20g, 반하국, 영양각, 박하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생강과 형개를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또는 썰어서 한번에 28g씩 생강 3쪽과 함께 달여 먹어도 된다[득효].
영양각환(羚羊角丸)
녹풍과 내장(內障)을 치료한다.
영양각(가루낸 것) 40g, 전복껍질(석결명), 결명씨(결명자), 길짱구씨(차전자), 서각(가루낸 것) 각각 30g, 따두릅(독활), 방풍, 순비기열매(만형자), 단국화(감국), 남실, 산치자, 감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유취].
사간산(瀉肝散)
오풍(烏風)으로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 감초 각각 20g, 이스라치씨(욱리인), 형개수 각각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나누어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득효].
합분환(蛤粉丸)
밤눈이 어두운 것을 치료한다.
조가비가루(합분), 황랍 각각 같은 양.
위의 약에서 황랍을 녹인 다음 여기에 조가비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대추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다음 80g 정도 되는 돼지간(저간)을 쪼개고 거기에 알약 1알을 넣고 삼실[麻線]로 동여맨다. 이것을 물 1사발에 넣고 익도록 삶아서 꺼내어 뜨거운 김을 눈에 쏘이다가 간이 따뜻해지면 먹는데 나을 때까지 써야 한다[강목].
풍감환(風疳丸)
어린이가 간감(肝疳)으로 밤눈이 어두운 것을 치료한다.
청대, 황련, 천마, 오령지, 야명사, 궁궁이(천궁), 노회 각각 8g, 용담초, 방풍, 매미허물(선각) 각각 6g, 전갈 2개, 두꺼비대가리(蟾頭, 마른 것)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저담즙에 불쿤 설기떡(浸 )에 반죽해서 삼씨(마자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박하를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작맹산(雀盲散)
밤눈이 어두워 아무것도 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수퇘지의 간(웅저간)을 참대칼로 쪼갠 다음 거기에 야명사를 넣고 실로 동여매어 쌀 씻은 물에 넣어 10분의 7 정도 익도록 삶아 꺼내서 간을 잘 씹어 간 삶은 물로 넘긴다[직지].
○ 밤눈이 어두운 것을 치료하는 데는 수퇘지의 간을 삶아 익혀서 야명사가루와 섞어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입문].
환정환(還睛丸)
고풍작목(高風雀目)이 점차 내장이 된 것을 치료한다.
전복껍질(석결명, 달구어 가루를 내어 수비한 것), 복분자, 익모초씨 각각 80g, 홰나무열매(괴실, 닦은 것), 인삼, 족두리풀(세신), 방풍, 흰솔풍령(백복령), 단국화(감국), 측백씨(백자인), 궁궁이(천궁)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유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