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6. 5. 29. 08:48

외장(外障) 동의보감/외형편2016. 5. 29. 08:48

외장(外障)

« 동의보감(東醫寶鑑)

« 눈(眼)

외장(外障) »

간장적열(肝臟積熱) » · 혼정(混睛) » · 노육반정(努肉攀睛) »

양검점정(兩瞼粘睛) » · 막입수륜(膜入水輪) » · 정예근심(釘예根深) »

흑예여주(黑예如珠) » · 화예백함(花예白陷) » · 수하심예(水瑕深예) »

옥예부만(玉예浮滿) » · 순생예와 역생예[順逆生예] » · 계관현육(鷄冠현肉) »

검생풍속(瞼生風粟) » · 포육교응(胞肉膠凝) » · 누정농출(漏睛膿出) »

해정동통(蟹睛疼痛) » · 돌기정고(突起睛高) » · 풍기와편(風起와偏) »

도첩권모(倒睫拳毛) » · 풍견검출(風牽瞼出) » · 신수동통(神수疼痛) »

선라첨기(旋螺尖起) » · 골안응정(골眼凝睛) » · 녹로전관(녹로轉關) »

피물당타(被物撞打) » · 동자생예(撞刺生예) » · 혈관동인(血灌瞳人) »

눈에 티나 먼지, 연가시가 들어간 것[미目飛塵飛絲] »

천행적목(天行赤目) » · 눈에 피가 진 다음에 예막이 생긴 것[赤眼後生예] »

태풍적란(胎風赤爛) » · 풍적창질(風赤瘡疾) »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나오는 것[衝風淚出] » · 폭풍객열(暴風客熱) »

검경정통(瞼硬睛痛) » · 통여침자(痛如鍼刺) » · 양극난임(痒極難任) »

동인건결(瞳人乾缺) » · 황막상충(黃膜上衝) » · 적막하수(赤膜下垂) »

소자적맥(小자赤脈) » · 소아통정(小兒通睛) »

소아태중생췌(小兒胎中生贅) » · 소아청맹(小兒靑盲) »

투침(偸鍼) » · 예막(예膜) »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眼花] »

눈이 아픈 것[眼疼] » ·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眼昏] »

늙은이의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老人眼昏] »

멀리 보지 못하는 것과 가까이 보지 못하는 것[不能遠視不能近視] »

눈을 뜨지 못하는 것과 감지 못하는 것[目不得開合] »

눈꼽이 나오는 것[眼生치糞] » · 하나의 물건이 둘로 보이는 것[視一物爲兩] »

책을 많이 읽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讀書損目] »

지나치게 울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哭泣喪明] »

 

이것은 폐(肺)의 병이다[회춘].

○ 눈알 겉면에 가리운 것이 있어서 보지 못하는 것이다[강목].

○ 『영추』에 “눈병 때에 벌건 핏줄이 위에서부터 내려온 것은 태양경병이고 아래서부터 올라간 것은 양명경병이며 밖에서부터 안으로 들어간 것은 소양경병(少陽經病)이다”고 씌어 있다.

○ 대체로 벌건 핏줄과 예막이 처음에 위에서부터 내려온 것은 태양경에 속하는데 이 경맥은 표(表)를 주관하기 때문에 반드시 미릉골(眉稜骨)이 아프다. 그리고 혹 속골과 목이 아프거나 머리 한쪽이 부으면서 아프다. 치료는 덥게 하고 발산시키는 것이 좋다. 덥게 하는 데는 납다음(臘茶飮), 발산시키는 데는 하고초산이나 선기탕(選奇湯, 처방은 머리문에 있다) 같은 약을 쓰는 것이 좋다.

○ 벌건 핏줄과 예막이 처음에 아래로부터 올라간 것이나 내자에서 외자로 나간 것은 다 양명경에 속하는데 양명경은 이를 주관하기 때문에 그 증상은 열이 심하고 혹 변비가 있다. 그러므로 치료는 설사시키고 차게 하는 방법을 써야 한다. 설사시키는 데는 명목유기음, 전씨사청환(錢氏瀉靑丸, 처방은 5장문에 있다), 국방온백원(局方溫白元, 처방은 적취문에 있다)에 황련, 황백 같은 것을 넣어서 쓴다. 이것을 여러 번 써보았는데 효과가 있었다. 차게 하는 데는 황련 1가지나 양간원 같은 약을 쓴다.

○ 벌건 핏줄과 예막이 처음에 외자에서부터 내자로 들어간 것은 소양경에 속하는데 이 경맥은 반표반리(半表半裏)를 주관하므로 치료는 화해시키는 방법을 쓰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신선퇴운환 같은 약을 쓴다[강목].

○ 외장(外障)에는 간장적열, 혼정, 노육반정, 양검점정, 막입수륜, 정예근심, 흑예여주, 화예백함, 수하심예, 옥예부만, 순생예와 역생예, 계관현육, 검생풍속, 포육교응, 누정농출, 해정동통, 돌기정고, 풍기와편, 도첩권모, 풍견검출, 신수동통, 선라첨기, 골안응정, 녹로전관, 피물동타, 동자생예, 혈관동인, 눈에 티나 먼지, 연가시가 들어간 것, 천행적목,눈에 피진 다음에 예막이 생긴 것, 태풍적란, 풍적창질,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나오는 것, 폭풍객열, 검경정통, 통여침자, 양극난임, 동인건결, 황막상충, 적막하수, 소자적맥, 투침, 소아통정, 소아태중생췌, 소아청맹 등이 있다[득효].

간장적열(肝臟積熱)

눈에 먼저 피가 지고 붓고 아프며 눈이 부셔서 햇빛을 볼 수 없고 눈물이 나며 깔깔하여 뜰 수 없다가 갑자기 예막이 생기는 것이다. 그리고 처음에는 한쪽 눈만 앓으면서 보지 못하다가 나중에는 양쪽 눈을 다 같이 잃게 된다. 이것은 간장에 열이 몰렸기 때문이므로 석결명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풍(風)으로 눈이 부은 것은 말랑말랑하고 열로 눈이 부은 것은 뜬뜬하다[직지].

○ 눈에 피가 지고 아픈 것은 간에 실열(實熱)이 있기 때문이다[회춘].

○ 눈에 피가 지고 부으면서 발이 차면 더운물로 발을 자주 씻는 것이 아주 좋다[강목].

○ 간장에 풍열이 있는 데는 발운산, 국방밀몽화산, 선화산, 세간명목탕, 산열음자가 좋다.

○ 간장에 풍열이 쌓인 데는 세간산(洗肝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 사간산(瀉肝散, 처방은 위에 있다), 사청환(瀉靑丸, 처방은 5장문에 있다), 시호탕, 사물용담탕을 쓴 다음 탕포산(湯泡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으로 씻는 것이 좋다.

혼정(混睛)

먼저 흰자위에 피가 지고 그 다음에 가렵고 아프며 눈물이 나오고 눈이 깔깔하여 감고 있으면서 보지 못하는 것이다. 여러 해가 되면 흰자위가 푸르스름하게 되고 눈 전체가 기름이 엉킨 것같이 되면서 핏줄이 가로 질러간다. 이런 데는 지황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노육반정(努肉攀睛)

눈에 먼저 피가 지고 눈시울이 진물면서 여러 해 끌다가 생긴다. 이것은 간경(肝經)의 풍열(風熱)이 치밀어 올라서 생기거나 혹 힘겨운 일을 하해도 생긴다. 그런데 가렵기도 하고 아프기도 하다가 양쪽 눈귀에 군살[努肉]이 나오는데 이것으로 마음이 편안치 않아 걱정하는 사이에 군살이 눈알을 덮게 된다. 이런 데는 이황산, 정심원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양쪽 눈 구석에서 군살이 돋아나는 것은 심(心)에 열(熱)이 있고 혈(血)이 왕성해졌기 때문이다[직지].

○ 군살이 눈알을 덮은 것은 심에 열이 있는 것이다.

○ 내자에 벌건 군살이 돋아나는 것은 심경(心經)에 실열(實熱)이 있는 것이고 외자에 벌건 핏줄이 불어난 것은 심경에 허열(虛熱)이 있는 것이다[회춘].

○ 군살이 돋아났을 때에는 속효산을 쓰는 것이 좋다[의감].

○ 군살이 눈알을 덮은 것을 없애려면 당귀(잔뿌리), 형개수, 황련, 방풍, 박하, 박초, 붕사 각각 같은 양을 썰어서 달인 물을 따뜻하게 하여 씻어야 한다[입문].

○ 배즙(梨汁)에 황련을 담가서 쓰거나 또 첫아들이 먹는 젖에 웅작시(雄雀屎)를 타서 넣으면 효과가 있다(자세한 것은 단방에 있다).

양검점정(兩瞼粘睛)

이것이 바로 난현풍(爛弦風)인데 양쪽 눈이 벌겋게 진물어 가렵고 아프면서 여러 해가 되도록 낫지 않는다[득효].

○ 눈시울이 벌겋게 진물어 여러 해 가는 것인데 민간에서는 적할(赤 )이라고 한다. 삼릉침으로 눈시울 바깥을 찔러서 습열(濕熱)을 없애면 곧 낫는다[동원].

○ 난현풍이란 눈시울에 풍(風)이 있는 것이다. 이것은 가름막 위에 열이 몰려 있을 때 음식을 먹다가 성을 내서 또 더 몰린 것이 오래 가면 생긴다. 이때에는 눈시울이 곪아터지면서 붓고 그 속에 가늘고 작은 실모양의 벌레가 있어서 여러 해가 되도록 낫지 않고 몹시 가렵다. 이런 때에는 환정자금단을 은비녀 끝에 묻혀서 발라 주는 것이 좋다. 그래도 가려우면 충을 죽여 병의 근원을 없애야 한다. 또한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에서 망초, 대황을 빼고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술에 버무려 햇볕에 말렸다가 약 먹는 방법대로 먹는다. 이때에는 기름진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강목].

○ 노감석산을 눈에 넣고 구풍산, 광대중명탕으로 씻는다.

○ 충을 없애는 데는 성초산이 좋다.

○ 갓난아이가 두 눈에 피가 지고 눈시울이 벌겋게 진물면서 3-4살이 되도록 낫지 않는 데는 소풍산(消風散, 처방은 머리 부문에 있다)을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을 달인 물에 타서 먹이는 것이 좋다[입문].

막입수륜(膜入水輪)

이것은 검은자위에 헌데가 생겼다가 좀 나았으나 흠집이 없어지지 않고 눈동자로 들어간 것이다. 빛을 아주 못 보지는 않아도 치료하기는 어렵다[득효].

정예근심(釘예根深)

심(心)과 간(肝)에 열이 몰려 있어서 눈이 아프다가 예막이 생기고 이것이 오래되어서 은못 같은 것이 검은자위로 들어간 것인데 치료할 수 없다[득효].

○ 눈에 생긴 예막이 은못대가리 같기 때문에 정예(頂 )라고 한다. 이런 데는 석결명산을 넣는 것이 좋다[유취].

흑예여주(黑예如珠)

이것은 눈동자에 검은콩 같은 것이 생겨 아프면서 눈물이 나오는 것인데 약을 넣어서는 안 된다. 이것은 신(腎)이 허할 때 풍열(風熱)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먼저 영양각산을 먹고 나중에 보신원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화예백함(花예白陷)

흰 예막이 눈동자를 둘러싸는데 마치 꽃잎이 고기비늘같이 겹쳐 있는 것같이 된 것은 간(肝)과 폐(肺)에 열(熱)이 몰려 있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마예고를 넣은 다음에 영양각산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 화예(花 )라는 것은 검은자위에 갑자기 대추꽃 같은 흰 예막이 고기비늘이 쌓여있는 것처럼 생기는 것인데 이런 데는 용뇌산을 넣는 것이 좋다[유취].

수하심예(水瑕深예)

동자 속에 티 같은 예막이 가로생겨서 푸른 빛이 나고 점점 깊이 들어가서 때없이 아픈 것이다. 이것은 5장(五藏)이 다 열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청량산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옥예부만(玉예浮滿)

검은자위에 옥빛 같은 것이 생겨서 아프지도 않고 예막의 둘레가 벌겋지도 않은 것이다. 침으로 긁어 내는 것은 좋지 않고 환정산을 먹고 마예고를 눈에 넣으면 곧 낫는다[득효].

순생예와 역생예[順逆生예]

예막이 아래에서부터 위로 퍼진 것은 순생예(順生예)라고 하고 위에서부터 아래로 퍼진 것은 역생예(逆生예)라고 한다. 순생예는 치료하기 쉽고 역생예는 치료하기 어렵다. 이때에는 차전산을 먹고 마예고를 눈에 넣는 것이 좋다[득효].

계관현육(鷄冠현肉)

이것은 눈꺼풀 속에 예막이 생긴 것이 마치 닭의 볏이나 가막조갯살 같으면서 푸르거나 검은 빛이 나는 것이다. 뒤집어 보아야 아는데 잘 뒤집어지지 않으면서 몹시 쏘고 햇볕에 나가면 눈이 몹시 부신다. 이것은 먼저 비경(脾經)이 받은 열이 눈에 전해진 것이다. 이때에는 석결명산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 눈꺼풀 속에서 닭의 볏이나 가막조갯살 같은 것이 나오는 것인데 이것은 비(脾)의 풍열(風熱)로 되는 것이다. 반드시 눈을 뒤집어보고 매일 관음초(즉 용담초)로 살살 긁어 내야 하는데 피가 조금 나오면 은숟가락에 풍독을 없애는 약물을 묻혀 눌러 주어서 멎게 해야 한다. 긁어 낸 다음에 자주 약물을 넣으면 다시 붓지 않는다[입문].

검생풍속(瞼生風粟)

위아래의 눈꺼풀 속에 처음에는 좁쌀 같은 것이 생겼다가 점차 커져서 흰 쌀알만하게 되면서 벌겋기도 하고 희기도 한 것인데 몹시 아프지는 않다. 이것은 간에 어혈(瘀血)이 뭉쳤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소독음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 검생풍속(瞼生風粟)이란 것은 눈에 티가 들어간 것처럼 아픈 것인데 이것을 속안(粟眼)이라고 한다. 아래위의 눈꺼풀 속에 좁쌀알 같은 살이 돋고 눈물이 나오면서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아프면 눈꺼풀을 뒤집고 침으로 터뜨린 다음 달임약이나 가루약을 먹어 풍열(風熱)을 헤쳐 버려야 한다[유취].

○ 위아래의 눈두덩이나 눈시울에 옴 같은 점이 생기는 것은 비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가미형황탕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포육교응(胞肉膠凝)

눈두덩이에 갖풀(아교)이 엉킨 것처럼 부어 올라서 복숭아나 추리[李]처럼 되면서 때로 더운 눈물을 흘리는 것이다. 이것은 풍독(風毒)이 몰린 것인데 소풍산(消風散, 처방은 머리문에 있다)을 먹고 화초고를 눈에 넣는 것이 좋다[득효].

○ 위아래의 눈두덩이 부어서 복숭아처럼 된 것은 비(脾)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회춘].

○ 열기(熱氣)가 몰렸을 때 지나치게 배불리 먹으면 상하게 되어 눈두덩이 맞붙는다[직지].

○ 영양각산이나 세안탕을 쓰는 것이 좋다.

누정농출(漏睛膿出)

눈구석에 생긴 멍울이 헌데가 되어 고름이 나오고 예장(예障)은 없으나 아프지는 않은 것이다. 이것은 심기가 편안치 못하고 동시에 눈꺼풀속에 풍열이 몰렸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이런 데는 백미원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풍열이 눈꺼풀 안과 눈구석에 들어가서 멍울이 생겼을 때 진액이 겹치면 고름이 생겨 멎지 않고 나오게 된다. 민간에서는 누정(漏睛)이라고 한다. 혹 눈에 헌데가 생겨서 피고름이 나온 다음에 눈 내자에서 늘 고름이 나오는 것도 누정(漏睛)이라고 한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눈에 검은 점이 생기고 손상되어 치료하기 어렵게 된다. 이때에는 황기산을 먹고 눈에 약을 넣는 것이 좋다[유취].

해정동통(蟹睛疼痛)

콩알 같은 것이 검은자위에 생겨 견딜 수 없이 아픈 것이다. 이것을 손예(損예)라고도 하는데 이때에는 석결명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간에 몰린 열이 눈으로 치밀어서 눈이 몹시 아프면서 검은자위에 게눈 같은 것이 생겨 도드라져 나오기 때문에 해정(蟹睛)이라고 한다. 그리고 콩알처럼 도드라져 나오는 것을 손예라고 하는데 이것은 치료하기 대단히 어렵다. 이런 때에는 영양각산을 먹고 눈에 약을 넣는 것이 좋다[유취].

돌기정고(突起睛高)

풍독(風毒)이 5장(五藏)으로 돌아다니면서 흩어지지 않아 갑자기 눈알이 도드라져 나오면서 가렵고 아픈 것인데 이것은 열이 심하여 생긴 것이다. 이때에는 사간산(瀉肝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풍열(風熱)과 담음(痰飮)이 장부(藏府)에 몰려 열이 생기고 그 열이 눈으로 치밀어 올라서 눈알이 도드라져 나온 것을 정창(睛脹)이라고 하는데 이런 데는 성질이 서늘한 약을 먹어서 간을 사(瀉)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눈동자가 부어 오른 것을 수륜창(水輪脹)이라고 한다[유취].

○ 눈알이 도드라져 나오고 속이 달면서(熱) 쑤시고 아픈 것을 열안(熱眼)이라고 한다[직지].

○ 우물물을 눈에 넣는다(자세한 것은 아래에 있다).

○ 검은자위가 부어 오른 데는 용담산이 좋고 흰자위가 부어 오른 데는 청폐산이 좋다.

풍기와편(風起와偏)

한쪽 몸이 풍(風)을 맞아 켕겨서 두 눈이 비뚤어지고 눈물이 자주 나오며 예막은 없고 가렵지도 아프지도 않은 것이다. 이런 데는 소풍산(消風散, 처방은 머리문에 있다)을

형개를 달인 물에 타 먹거나 선화무비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한쪽으로만 보는 것은 풍사(風邪)가 간에 들어가서 눈동자를 끌어당기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괴자환을 먹는 것이 좋다[유취].

도첩권모(倒睫拳毛)

눈물이 줄줄 나오면서 점차 예막이 생기고 눈꺼풀이 당기며 속눈썹이 안으로 꼬부라져서 눈을 뜨기 어렵고 눈동자가 찌르는 것처럼 아픈 것을 말한다. 이것은 비(脾)가 풍열(風熱)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먼저 사간산(瀉肝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고 난 후에 오퇴산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 신효명목탕, 명목세신탕을 쓰기도 한다[동원].

○ 도첩권모란 바로 속눈썹이 안으로 꼬부라져서 눈을 찌르는 것이다[강목].

○ 눈시울이 당겨 쭈그러들어 작아진 것은 도첩권모(倒睫券毛)가 되려는 것이다. 대체로 양이 허하면 눈시울이 당기고 음이 허하면 동자가 커진다[강목].

○ 도첩권모는 눈시울이 당겨 눈꺼풀이 쭈그러지기 때문에 생긴다. 이것은 대체로 속에 잠복되어 있던 열이 치밀어 음기(陰氣)가 밖으로 나오기 때문에 생긴다. 그러므로 속에 있는 열과 화사(火邪)를 없애어 눈꺼풀이 늘어지게 하면 속눈썹이 곧 펴지고 예막이 저절로 없어진다. 손으로 눈꺼풀을 뒤집고 삼릉침(三稜鍼)으로 밖을 향하여 찔러 열이 있는 피를 빼내는데 왼손톱으로 침 끝을 움직이지 않게 하고 빼내면 곧 낫는다[강목].

○ 치료법은 무명이(無名異, 돌로 된 약이다)를 가루를 내어 종이에 놓고 말아 심지를 만들어 불을 붙였다가 불을 죽이고 그 연기를 쏘이는 것이다. 그러면 꼬부라졌던 속눈썹이 절로 일어선다. 또는 꼬부라진 털을 빼버리면 곧 낫는다[강목].

○ 또 한가지 방법은 목별자 1개를 껍질을 버리고 짓찧어 솜에 싸서 콧구멍을 막는 것인데 왼쪽 눈이면 오른쪽 콧구멍을 막고 오른쪽 눈이면 왼쪽 콧구멍을 막은 다음 하룻밤이나 이틀밤 있으면 속눈썹이 절로 펴진다[정전].

풍견검출(風牽瞼出)

아래위의 눈꺼풀이 다 벌겋게 되거나 밖으로 뒤집혀지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은 풍독(風毒)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오퇴산을 쓰는 것이 좋다. 만일 여러 해 되어서 눈꺼풀 속이 다 벌거면 치료하지 못한다[득효].

신수동통(神수疼痛)

본래 눈병을 앓은 일이 없는데 갑자기 침으로 찌르는 것같이 아프기도 하고 불로 지지는 것 같기도 하며 양쪽 태양혈(太陽穴) 부위가 켕기고 아픈 것인데 아침에는 덜하고 저녁에는 더하다. 이런 데는 먼저 석결명산을 먹는다[득효].

○ 흙을 다루다가 눈을 상해서 아픈 데는 삼광고를 넣는다[의감].

선라첨기(旋螺尖起)

눈이 아프면서 예막(예膜)이 생겨 뾰족 나온 것이 우렁이 밑처럼 벌건 데는 먼저 통간산을 쓴 다음에 석결명산을 쓴다[득효].

골안응정(골眼凝睛)

눈알이 굳어져서 잘 돌지 않는 것인데 치료할 수 없다[득효].

녹로전관(녹로轉關)

눈알이 위아래로는 잘 돌지만 눈 가운데로는 잘 돌지 못하는 것이다. 이것을 녹로(녹로)라고 하는데 치료하기 어렵다. 이런 때에는 천문동음자나 사간산을 먹는다[득효].

○ 풍한(風寒)이 눈동자를 지나 들어가서 목계(目系)에 침범하면 눈동자가 끌려서 아래로 내려가는데 이것을 추정안(墜睛眼) 또는 녹로전관이라고 한다. 그리고 오래되면 동자가 당겨 찢어진다. 그러면 두 눈이 다 푹 꺼져들어가서 아무것도 보지 못하게 되는데 이런 때에는 서각산을 먹는 것이 좋다[유취].

피물당타(被物撞打)

눈을 얻어맞아 언제나 아프고 눈동자가 상하여 아물아물하면서 보이지 않고 눈시울에 어혈(瘀血)이 뭉쳐 있는 것이다. 이런 때에는 지황고를 붙이고 다음에 석결명산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 눈을 얻어맞아 눈알이 튀어 나왔지만 목계(目系)가 끊어지지 않았으면 곧 눈확[堆] 속으로 밀어 넣고 손대지 못하게 한 다음 생지황을 보드랍게 짓찧어 눈둘레에 두텁게 붙여 주고 생지황산을 먹인다. 만일 어혈이 있으면 침으로 찔러 피를 빼고 눈에 약을 넣는다. 만일 목계[眼帶]가 끊어지고 눈알이 상했으면 치료하지 못한다[유취].

동자생예(撞刺生예)

얻어맞거나 찔린 다음 예막이 생겨 아프거나 풍열(風熱)을 겸하여 더욱 쑤시고 아프며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는 먼저 경효산을 먹고 다음에 석결명산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혈관동인(血灌瞳人)

눈동자에 피가 몰려 송곳으로 찌르는 것처럼 아픈데 예막은 하나도 없고 잘 보이지만 않는 것이다. 이것은 간기(肝氣)가 막혀 피가 간으로 돌아오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피를 끌어서 간으로 돌아오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통혈원과 차전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또한 눈에 꽃 같은 것이 보일 염려가 있으면 환정산을 먹는 것이 좋다[입문].

○ 만일 예장(예障)이 생겼으면 생지황즙에 대황가루를 고약처럼 되게 개어 천에 2치 정도 발라서 눈에 대고 찜질하는데 오랫동안 한 다음 갈아댄다[득효].

눈에 티나 먼지, 연가시가 들어간 것[미目飛塵飛絲]

먼지가 눈알에 들어붙어 나오지 않거나 연가시[飛絲]가 들어갔거나 모래알이 들어가서 아프고 깔깔하며 문질러도 뜰 수 없는 데는 구맥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연가시가 눈에 들어가서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아프면서 뜰 수 없는 데는 좋은 먹을 진하게 갈아 새 붓에 묻혀 눈 안에 넣은 다음 눈을 감고 한참 있다가 떠보면 그 연가시가 덩이로 되어 눈알에 붙어 있다. 이때 솜으로 가볍게 묻혀 내면 곧 낫는다. 낫지 않으면 다시 먹을 넣는다[강목].

○ 연가시가 눈에 들어간 데는 삼씨(마자인)를 쓰는데 1홉을 짓찧어 우물물 1사발에 넣고 휘저은 다음 여기에 혀를 담그고 있으면 군침이 절로 나오면서 잘 낫는다. 또 한 가지 처방에는 가지잎을 짓찧어 삼씨와 같은 방법으로 하면 더욱 좋다고 하였다[강목].

○ 어떤 것이 눈에 들어가 나오지 않다가도 소의 힘줄을 두드려 실처럼 만든 것으로 살살 훔쳐 내면 절로 나온다. 또 새 붓에 묻혀 내기도 한다. 또는 좋은 먹을 갈아 눈에 넣어도 곧 나온다[강목].

천행적목(天行赤目)

눈에 갑자기 피가 지고 부어서 아침 저녁으로 계속 아프고 깔깔한 것인데 이것은 어른이나 어린이에게 유사하게 생기는 돌림병이다. 이런 때에는 사간산을 먹고 오행탕으로 씻는 것이 좋다[득효].

○ 석결명산, 구고탕을 먹고 세안탕으로 씻어도 좋고 오황고나 지황고를 붙여도 효과가 있다[단심].

눈에 피가 진 다음에 예막이 생긴 것[赤眼後生예]

이 병은 경하면 별일이 없으나 중하면 아프면서 흰자위에 꽃같이 퍼졌던 것이 예막(예膜)으로 된다. 이것은 5장에 열이 쌓인 것이다. 이런 때에는 지황고를 붙이고 다음에 사간산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 갑자기 몹시 피진 다음에 열이 폐경(肺經)으로 들어가서 생긴 것인데 경(輕)하면 눈이 흐릴 뿐이고 중(重)하면 구름 같은 막이 생긴다. 누런 막이 아래에서부터 검은자위로 올려 퍼지는 것을 치료할 수 있다. 벌건 막이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와 검은자위를 덮은 것을 수렴막(垂簾膜)이라고 하는데 치료하기 어렵다[입문].

○ 관음몽수환을 먹는 것이 좋다.

태풍적란(胎風赤爛)

갓난 어린이에게도 생긴다. 이런 증이 3-4살에 생겼을 때에도 두 눈에 다 피가 지고 눈시울이 벌겋게 진물어서 때때로 가렵고 아프다. 이때에는 먼저 소풍산(消風散, 처방은 머리문에 있다)을 먹이고 탕포산으로 씻어 주며 용뇌고를 붙여 주는 것이 좋다[득효].

풍적창질(風赤瘡疾)

양쪽 눈꺼풀이 주사(朱砂)를 바른 것처럼 벌겋게 되면서 헌데가 생기고 눈알은 아무렇지도 않은 것이다. 이것은 비장(脾藏)에 풍열(風熱)이 있기 때문인데 오래되도록 치료하지 않으면 예막이 생긴다. 이때에는 오퇴산을 먹고 탕포산으로 씻는 것이 좋다[득효].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나오는 것[衝風淚出]

겨울에 더욱 심하다. 이것은 폐가 허한데 풍랭(風冷)을 받아서 생긴 것이다. 이런 데는 백강잠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나오는 것을 민간에서는 냉루(冷淚)라고 하는데 그것은 잘못된 말이다. 풍이 속으로 치밀고 화가 밖으로 나와서 풍과 열이 부딪치기 때문에 눈물이 나는 것이다. 이때에는 당귀음자(當歸飮子, 처방은 잘 모른다)를 먹고 외용으로는 크면서 희고 좋은 패모 1개에 후추 7알을 넣고 구리나 쇠에 닿지 않게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잠잘 때에는 눈에 넣으면 아주 좋다[자화].

○ 눈꼽이 끼고 뜨거운 눈물이 번갈아 나와서 양쪽 눈꺼풀이 벌겋게 되는 것은 간열(肝熱)이 심하기 때문인데 이때에는 당귀용회환(當歸龍 丸,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끼니 뒤에 먹는 것이 좋다. 간이 허하고 열이 침습했을 때 찬바람을 쏘이면 찬 눈물이 나오는데 이런 때에는 귀규탕이나 목적산을 쓴다[입문].

○ 눈에서 찬 눈물이 나오는 것이 허증이면 사물탕에 속새(목적), 방풍, 단국화(감국), 구릿대(백지)를 넣어 쓰고 실증(實證)이면 창출산을 쓴다[유취].

폭풍객열(暴風客熱)

눈이 심한 풍열(風熱)의 침습을 받아 흰자위에 예장이 생겼다가 그것이 검은자위까지 덮이고 눈꺼풀이 붓고 가려우며 아픈 것을 말한다. 이런 때에는 사간산이나 청폐산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검경정통(瞼硬睛痛)

눈꺼풀 속이 벌거면서 뜬뜬하고 눈알이 아프며 눈물이 나오고 눈이 부셔서 햇볕이 싫은 데는 통간산을 쓰는 것이 좋다. 예장( 障)이 생기면 춘설고를 눈에 넣는다[득효].

통여침자(痛如鍼刺)

눈알이 갑자기 바늘로 찌르는 것처럼 아프고 두 눈알이 안으로 잡아당겨 앉으나 누우나 편안치 않은 것인데 이것은 열독(熱毒)이 심(心)에 있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먼저 세심산(洗心散, 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먹고 다음에 환정산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양극난임(痒極難任)

눈동자에서부터 양쪽 눈구석까지가 몹시 가려워서 눈을 뜰 수 없는 것인데 이것은 담(膽)이 풍열(風熱)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구풍일자산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동인건결(瞳人乾缺)

눈알이 깔깔하고 눈물은 전혀 나오지 않으며 처음에는 아프다가 나중에는 좀 진정되며 희게 보이거나 혹 거멓게 보이기도 하다가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것이다. 이 증은 치료할 수 없다[득효].

황막상충(黃膜上衝)

검은자위 아래에 누런 막이 생겨 올려 밀면서 아픈 것인데 심하면 눈이 감기고 깔깔하여 뜨기 어렵다. 이것은 비(脾)가 풍독(風毒)과 식독(食毒)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런 데에는 서각음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적막하수(赤膜下垂)

예막이 눈의 위에서부터 생겨 아래로 내려 드리워 검은자위를 가린 것인데 이것을 수렴막(垂簾膜)이라고 한다. 바람을 쏘이면 눈물이 나오고 눈이 부셔서 햇볕을 싫어한다. 이것은 밖에서 들어온 사기가 위로 치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먼저 백점고를 눈에 넣고 통간산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소자적맥(小자赤脈)

바깥쪽 눈구석에 생긴 핏줄이 점차 안으로 퍼지면서 아픈 것인데 빨리 치료하여야 한다. 이것은 삼초(三焦)에 열이 쌓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서각음을 먹는 것이 좋다. 그리고 열을 생기게 하는 것이나 독이 있는 슬캣걋멎먹지 말고 성생활을 삼가해야 한다[득효].

소아통정(小兒通睛)

갓난아이의 두 눈알이 서로 모여져서 동쪽을 보려할 때에는 눈알이 서쪽으로 돌아가고 또 머리를 흔들어야 눈알이 도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은 간이 경풍(驚風)을 받은 것이다. 우황환을 먹이는 것이 좋다[입문].

소아태중생췌(小兒胎中生贅)

눈꺼풀 안에 처음에는 삼씨(마자인)만한 사마귀가 생겼다가 점차 커져서 콩알만하게 되어 눈꺼풀이 내려 드리우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비경(脾經)이 풍열(風熱)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오퇴산을 가감하여 쓰는 것이 좋다[득효].

소아청맹(小兒靑盲)

태 속에 있을 때에 풍사를 받았기 때문에 5장(五藏)이 조화되지 못해서 누런 물을 토하고 두 눈을 잘 보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한 치료방법은 없다[득효].

○ 청맹(靑盲)이라는 것은 검은자위와 흰자위는 다 명확한데 물건을 보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회춘].

투침(偸鍼)

눈귀[目자]에 종기가 생긴 것을 민간에서는 투침이라고 한다[강목].

○ 눈귀에 작고 벌건 점이 생겼다가 물집으로 되면 헌데같이 된다. 그러나 침으로 터뜨리면 곧 낫기 때문에 투침이라고 한다. 이것은 태양경(太陽經)에 맺힌 열을 풀어 주는 것이다[의림].

○ 비(脾)에 열이 쌓이고 겸하여 오랜 식체로 소화되지 않으면 투침이 생긴다. 이런 데는 물푸레나무껍질(진피)을 썰어서 사탕과 함께 섞어 물에 달인 다음 대황가루 4g을 타서 먹는다. 그 다음 설사가 나면 곧 없어진다[직지].

○ 투침을 치료하는 데는 천남성(생것)과 생지황을 함께 갈아서 고약처럼 되게 만들어 양쪽 태양혈 부위에 붙이면 부은 것이 저절로 삭는다[강목].

○ 속눈썹을 뽑아 버려도 곧 삭는다[속방].

납다음(臘茶飮)

눈에 생긴 붉은 핏줄이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오면서 가리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태양경에 속하는 병인데 성질이 더운약으로 발산시켜야 한다.

작설차, 부자, 구릿대(백지) 각각 4g, 족두리풀(세신), 궁궁이(천궁), 방풍, 강호리(강활), 형개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소금 한자밤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하고초산(夏枯草散)

간(肝)이 허하여 눈알이 아프고 찬 눈물이 멎지 않고 나오며 눈이 부셔서 햇볕을 싫어하는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아래에 있다).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간경(肝經)이 허하여 풍열(風熱)이 치밀기 때문에 무엇이나 똑똑하게 보이지 않고 늘 검은 꽃 같은 것이 보이며 눈물이 많고 깔깔하며 혹 예장( 障)이 생기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40g, 결명씨(결명자) 30g, 대황, 궁궁이(천궁), 족두리풀(세신), 우엉씨(대력자), 단국화(감국), 방풍, 남가새열매(백질려), 형개수, 순비기열매(만형자), 현삼, 속새(목적),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감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잠잘 무렵에 찬 술이나 꿀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일명 발운퇴예환(撥雲退예丸)이라고도 한다. 일체 예막(예膜)과 내장(內障), 외장(外障)으로 검은자위가 알리지 않는[昏無睛] 데 먹여서 여러 번 고쳤다. 참으로 좋은 처방이다.

당귀(술에 씻은 것) 60g, 궁궁이(천궁), 속새(목적, 마디를 버리고 동변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밀몽화, 형개수, 지골피, 남가새열매(백질려), 단국화(감국), 강호리(강활) 각각 40g, 조피열매(산초, 닦은 것) 30g,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지실, 순비기열매(만형자), 박하, 결명씨(결명자, 닦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0g, 뱀허물(사태), 매미허물(선태), 황련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40g으로 10알을 만들어 한번에 1알씩 찻물이나 끓인 물에 풀어 먹는다[정전].

석결명산(石決明散)

간열(肝熱)로 눈에 피지면서 붓고 아프다가 갑자기 예막이 생기는 것이나 비(脾)에 열이 있어서 눈꺼풀 안쪽에 닭의 볏이나 가막조갯살같이 생긴 것이 나오는 것과 해정(蟹睛)으로 아픈 것, 선라첨기(旋螺尖起)를 치료한다.

전복껍질(석결명), 결명씨(결명자) 각각 40g, 강호리(강활), 산치자, 속새(목적), 개맨드라미씨(청상자), 함박꽃뿌리(작약) 각각 20g, 대황, 형개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맥문동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입문].

○ 일명 대결명산(大決明散)이라고도 한다.

발운산(撥雲散)

풍독(風毒)이 치밀어 올라 눈이 잘 보이지 않고 예막이 눈알을 가리며 가렵고 아프며 눈물이 많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80g, 강호리(강활), 방풍, 감초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박하를 달인 물이나 찻물에 타 먹는다. 혹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어도 잘 낫는다[입문].

국방밀몽화산(局方密蒙花散)

풍안(風眼)으로 잘 보이지 않고 눈물이 많이 나오는 것과 갑자기 눈이 벌겋게 붓는 것을 치료한다.

밀몽화, 남가새열매(백질려, 닦은 것), 강호리(강활), 속새(목적), 단국화(감국), 전복껍질(석결명)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찻물에 타 먹는다[국방].

[註]풍안(風眼) : 눈병의 한 가지. 이 병 때에는 눈이 가렵고 눈물이 자주 나오는데 바람을 쏘이면 눈물이 더 나온다. 그러나 눈은 아프지도 않고 피가 지지도 않는다.

선화산(蟬花散)

간경(肝經)에 쌓인 열독기가 치밀어 올라서 눈이 벌겋게 부으며 예막이 생기고 눈물이 많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용담초, 단국화(감국), 밀몽화, 순비기열매(만형자), 형개수, 궁궁이(천궁), 매미허물(선각), 개맨드라미씨(청상자), 결명씨(결명자), 산치자, 방풍, 속새(목적), 남가새열매(백질려),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이나 형개를 달인 물에 타 먹는다[입문].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일체 풍열(風熱)로 눈이 벌겋게 부으며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잔뿌리), 궁궁이(천궁), 함박꽃뿌리(작약), 생지황, 황련,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석고, 연교, 방풍, 형개, 박하, 강호리(강활), 순비기열매(만형자), 단국화(감국), 남가새열매(백질려), 결명씨(결명자),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회춘].

산열음자(散熱飮子)

눈이 갑자기 벌겋게 부으며 아픈 것을 치료한다.

방풍, 강호리(강활), 속썩은풀(황금), 황련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는다[역로].

시호탕(柴胡湯)

간화(肝火)가 성하여 눈이 벌겋게 부으며 아픈 것을 치료한다.

시호, 함박꽃뿌리(작약), 궁궁이(천궁), 당귀, 선귤껍질(청피), 용담초, 산치자, 연교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회춘].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눈이 벌겋게 붓고 아프며 갑자기 운예(雲 )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당귀, 함박꽃뿌리(작약), 생건지황 각각 5.2g, 강호리(강활), 방풍 각각 3.2g, 용담초, 방기 각각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해장].

[註] 운예(雲예) : 눈에 허연 예막이 생겨 눈동자를 가려서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

영양각산(羚羊角散)

양쪽 눈두덩이 복숭아나 추리[李]처럼 뜬뜬하게 부어 눈을 뜨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영양각(가루낸 것), 방풍, 강호리(강활),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승마, 대황, 길짱구씨(차전자), 현삼, 속썩은풀(황금) 각각 2.8g, 산치자, 족두리풀(세신)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유취].

영양각산(羚羊角散)

해정(蟹睛)으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영양각(가루낸 것), 황련, 함박꽃뿌리(작약), 갈뿌리(노근), 으름덩굴(목통), 선복화,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각각 4g, 대황 2.8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참대잎(죽엽) 7잎과 함께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유취].

지황산(地黃散)

혼정(混睛)을 치료한다.

생지황 40g, 함박꽃뿌리(작약), 당귀, 감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이황산(二黃散)

노육반정(努肉攀睛)을 치료한다.

대황, 속썩은풀(황금), 방풍, 박하 각각 5g.

위의 약들을 썰어서 꿀 조금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정심원(定心元)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맥문동 40g, 석창포, 구기자, 단국화(감국) 각각 20g, 원지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득효].

속효산(速 散)

군살과 실 같은 핏줄, 벌겋거나 흰 예장(예障)이 생긴 것과 흰자위에 죽은 피나 벌건 막이 생기고 혹 눈두덩이가 복숭아처럼 부어 밤낮 아프고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 속썩은풀(황금), 황백, 산치자, 연교, 박하, 형개, 시호, 당귀, 생지황, 지골피,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순비기열매(만형자), 단국화(감국), 우엉씨(대력자), 남가새열매(백질려), 결명씨(결명자), 전복껍질(석결명), 지각, 감초 각각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의감].

노감석산(爐甘石散)

난현풍(爛弦風)을 치료한다.

노감석.

적당한 양을 먼저 불에 달구었다가 동변에 담그기를 일곱번 한 다음 다시 달구었다가 황련을 달인 물에 담그기를 일곱번 한다. 그 다음 또 달구었다가 작설차를 달인 물에 담그기를 일곱번 한다. 이 3가지 물을 한데 섞은 다음 여기에 또 노감석을 달구었다가 담그기를 세번 한다. 다음 식혀서 보드랍게 갈아 용뇌와 사향을 각각 조금씩 섞어서 눈시울에 바르면 잘 낫는다[강목].

○ 또 한 가지 처방은 풀빛이 나는 노감석을 불에 달구었다가 동변에 담그기를 세번하고 하루동안 화독(火毒)을 뺀 다음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쓰게 되었는데 동변에 황련가루를 담갔다가 밭은 물에 개어 눈두덩에 바른다[직지].

성초산(聖草散)

난현풍 때에 벌레가 생겨서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복분자잎을 짓찧어 즙을 낸다. 그 다음 검은 생비단으로 눈을 덮고 즙을 붓에 묻혀 비단 위에 두 눈알을 맞추어 눈을 그린다. 다음 약물을 떨구면 반드시 벌레가 나온다[득효].

○ 또 한 가지 방법은 복분자의 연한 잎을 가루를 내어 젖에 개서 알약을 만들어 쓰는 것인데 눈의 외자와 내자에 놓아 두면 벌레가 저절로 나온다[직지].

청량산(淸凉散)

수하심예(水瑕深예)로 푸른 빛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순비기열매(만형자), 형개수, 고죽엽, 감초 각각 6g, 산치자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박하 7잎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차전산(車前散)

간경(肝經)에 열독이 있어 순생예(順生예)나 역생예(逆生예)가 생긴 것과 혈관동인(血灌瞳人)으로 눈이 부시고 눈물이 많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밀몽화, 단국화(감국), 남가새열매(백질려), 강호리(강활), 결명씨(결명자), 길짱구씨(차전자), 속썩은풀(황금), 용담초,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서 먹는다[득효].

소독음(消毒飮)

검생풍속(瞼生風粟)을 치료한다.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형개수 각각 8g, 우엉씨(대력자),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 일명 가미형황탕(加味荊黃湯)이라고도 한다[입문].

백미원(白薇元)

누정농출(漏睛膿出)을 치료한다.

백미 20g, 방풍, 강호리(강활), 남가새열매(백질려, 닦은 것), 석류피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쌀가루 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득효].

황기산(黃기散)

누정농출을 치료한다.

황기, 방풍, 속썩은풀(황금),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각각 4g, 지골피, 원지, 인사, 벌건솔풍령(적복령), 뻐꾹채(누로)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아침 저녁 끼니 뒤에 먹는다[유취].

용담산(龍膽散)

간에 열이 있어서 검은자위가 붓고 벌건 무리[赤暈]가 생기며 잘 보이지 않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용담초, 산치자 각각 8g, 방풍, 궁궁이(천궁), 현삼, 형개, 더위지기(인진), 단국화(감국), 닥나무열매(저실자),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직지].

청폐산(淸肺散)

폐열(肺熱)이 치밀어 올라와 흰자위가 부어 밤낮으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속썩은풀(황금), 단국화(감국), 지각, 방풍, 형개, 시호, 승마, 함박꽃뿌리(작약), 당귀(잔뿌리), 현삼, 너삼(고삼), 남가새열매(백질려), 속새(목적), 선복화, 꽃다지씨(정력자),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의감].

선화무비산(蟬花無比散)

풍안(風眼)과 기안(氣眼)으로 잘 보이지 않고 눈물이 나오면서 가렵고 예막이 생기며 혹 두풍증으로 잡아당기며 눈이 작아지고 눈꺼풀이 짓무른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동변에 2일밤 동안 담갔다가 썰어서 볕에 말린 것),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0g, 남가새열매(백질려, 닦은 것) 32g, 흰솔풍령(백복령) 16g, 전복껍질(석결명, 법제한 것), 당귀, 방풍, 강호리(강활) 각각 12g, 매미허물(선각), 감초 각각 8g, 뱀허물(사태, 주염열매를 달인 물에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형개, 족두리풀(세신)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이나 쌀 씻은 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득효].

괴자환(槐子丸)

풍사(風邪)로 눈동자가 잡아 당겨 사팔뜨기가 된 것을 치료한다.

홰나무열매(괴실) 80g, 복분자,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측백씨(백자인), 길짱구씨(차전자), 순비기열매(만형자), 익모초씨(충위자), 우엉씨(대력자, 닦은 것), 남가새열매(백질려, 닦은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알씩 술로 먹는다[유취].

오퇴산(五退散)

비가 풍독(風毒)을 받아서 도첩권모(倒睫拳毛)가 생겨 찌르는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천산갑(닦은 것), 오두(천오, 싸서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0g, 매미허물(선퇴), 잠퇴, 뱀허물(사퇴, 식초에 삶아낸 것), 돼지발굽발톱(猪蹄退, 닦은 것), 형개수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소금 끓인 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입문].

신효명목탕(神효明目湯)

눈시울이 당겨서 도첩권모가 생겨서 아래위의 눈꺼풀이 다 벌겋게 진물고 눈알이 아프며 눈물이 흐르고 깔깔하여 눈뜨기 힘든 것을 치료한다.

감초 8g, 칡뿌리(갈근) 6g, 방풍 4g, 순비기열매(만형자) 2g, 족두리풀(세신)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동원].

명목세신탕(明目細辛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마황뿌리 각각 6g, 방풍 4g, 형개 2.8g, 고본, 흰솔풍령(백복령), 당귀(잔뿌리) 각각 2g, 생지황, 순비기열매(만형자), 궁궁이(천궁) 각각 1.2g, 복숭아씨(도인) 5알, 조피열매(천초) 4개, 족두리풀(세신), 잇꽃(홍화)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천문동음자(天門冬飮子)

눈알이 똑바로 서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녹로전관( 轉關)이라고 한다.

천문동, 익모초씨(충위자), 지모 각각 4g,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강호리(강활) 각각 2.8g, 오미자, 방풍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입문].

서각산(犀角散)

눈알이 아래로 쏠려 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길짱구씨(차전자), 구기자 각각 40g, 홰나무열매(괴실), 오미자, 개맨드라미씨(청상자), 우엉씨(대력자, 닦은 것), 익모초씨(충위자), 호황련 각각 30g, 서각(가루낸 것), 영양각(가루낸 것) 각각 20g, 토끼간(토간, 약간 굽는다) 1보.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홰나무열매(괴실)를 달인 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유취].

지황고(地黃膏)

눈을 얻어맞아 붓고 아프며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1홉(즙을 낸다), 황련 40g, 황백, 한수석 각각 20g.

위의 3가지 약을 가루를 내어 지황즙에 반죽해서 떡을 만든다. 이것을 종이에 발라서 눈 위에 붙인다. 이 밖에도 풍열(風熱)로 눈이 벌겋고 뜨거운 눈물이 나오는 데도 쓸 수 있다[득효].

생지황산(生地黃散)

눈을 얻어맞아서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생건지황, 궁궁이(천궁), 영양각, 대황, 함박꽃뿌리(작약), 지각, 목향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유취].

경효산(輕효散)

눈을 얻어맞거나 찔려 예막이 생겨서 아프고 물건을 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8g, 대황, 당귀, 함박꽃뿌리(작약), 서각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입문].

통혈환(通血丸)

혈관동인(血灌瞳人)으로 찌르는 것같이 아프고 예막은 생기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당귀(잔뿌리), 방풍, 형개 각각 40g, 생건지황, 함박꽃뿌리(작약), 감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박하와 형개를 달인 물로 끼니 뒤에 먹는다[입문].

구맥산(瞿麥散)

먼지나 모래가 눈에 들어가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패랭이꽃(구맥).

위의 약들을 노랗게 되도록 닦아 가루를 내어 게사니침[鵝涎]에 개서 때때로 눈의 내자와 외자에 바르면 눈이 곧 뜨이면서 낫는다[득효].

구고탕(救苦湯)

눈에 갑자기 피가 지고 부어서 견딜 수 없이 고통스러운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용담초 각각 5.6g, 당귀, 감초 각각 4g, 궁궁이(천궁) 2.4g, 생지황, 황백, 속썩은풀(황금), 지모 각각 2g, 강호리(강활), 승마, 시호, 방풍, 고본, 황련 각각 1.2g, 도라지(길경), 연교, 족두리풀(세신), 잇꽃(홍화)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정전].

오황고(五黃膏)

눈이 피지고 부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황백 40g, 황련, 속썩은풀(황금), 황단, 대황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물에 개서 고약을 만든다. 이것을 붉은 비단천에 발라서 아픈 쪽의 태양혈(太陽穴)에 붙이고 마르면 더운물로 축여 준다[어약].

관음몽수환(觀音夢授丸)

적안(赤眼)을 앓았거나 짠 것을 많이 먹은 것으로 내장이 된 것을 치료한다.

야명사, 당귀, 매미허물(선퇴), 속새(목적) 각각 1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불깐 흰 숫양의 간 160g을 푹 삶아서 고약처럼 되게 짓찧은데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따뜻한 물로 빈속에 먹는다. 1백일만 먹으면 낫는다[득효].

백강잠산(白강蠶散)

폐(肺)가 허하여 찬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나오는 것이 겨울에는 더 심해지는 것을 치료한다.

누런 뽕잎(桑葉) 40g, 속새(목적), 선복화, 백강잠, 형개수, 감초 각각 12g, 족두리풀(세신) 2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8g씩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 혹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형개를 달인 물에 타서 먹기도 한다[입문].

귀규탕(歸葵湯)

무엇을 보나 잘 보이지 않고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며 눈물이 나오고 깔깔하며 눈에서 불이 번쩍 일며 해와 불빛을 싫어하는 것을 치료한다.

승마 4g, 황기, 속썩은풀(황금, 술에 씻은 것), 방풍, 강호리(강활) 각각 2.8g, 순비기열매(만형자), 연교, 생지황, 당귀, 인삼, 홍규화, 감초(생것) 각각 2g, 시호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입문].

목적산(木賊散)

찬 눈물이 많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속새나무에 돋은 버섯(木賊木耳, 약성이 남게 태운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뜨거운 쌀 씻은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창출산(蒼朮散)

간에 풍열(風熱)이 심하여 찬 눈물이 멎지 않고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속새(목적), 남가새열매(백질려), 방풍, 강호리(강활), 궁궁이(천궁),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따뜻한 쌀 씻은 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의감].

구풍일자산(驅風一字散)

눈이 몹시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형개, 오두(천오, 싸서 구운 것) 각각 20g, 강호리(강활), 방풍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박하를 달인 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득효].

서각음(犀角飮)

황막상충(黃膜上衝)으로 눈알이 아파서 눈이 감기고 깔깔한 것을 치료한다.

서각(썰어서 가루낸 것) 8g, 강호리(강활), 속썩은풀(황금), 길짱구씨(차전자) 각각 4g, 노랑돌쩌귀(백부자), 맥문동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득효].

우황환(牛黃丸)

소아통정(小兒通睛)을 치료한다.

서각(가루낸 것) 8g, 우황 4g, 금박, 은박 각각 5편, 감초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알씩 박하를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예막(예膜)

풍열(風熱)이 몹시 심하여 생기거나 혹 마마를 앓고난 다음에 생긴다. 이것은 간기(肝氣)가 성하여 겉으로 나오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므로 발산시켜야 한다. 만약 반대로 소통시키고 설사시키면 사기(邪氣)가 속에 몰리게 되어 예막이 더 심해진다. 대체로 사기가 여기저기로 돌아다니면 열예(熱예)가 생기고 떠돌아다니던 사기가 한곳에 머물러 있게 되면 빙예(氷예)가 생기며 가라앉은 사기가 굳어져서 깊이 들어가면 함예(陷예)가 생긴다. 이런 때에는 흩어지게 하는 성질을 가진 약으로 예막을 떠오르게 한 다음 예막을 없어지게 하는 약을 써야 저절로 낫는다. 병이 오래되면 치료효과가 더디므로 오랫동안 치료해야 한다[강목].

○ 대체로 예막은 폐(肺)와 연관되어 생기는데 열을 적게 받으면 눈이 흐리터분하고 많이 받으면 예막이 생긴다. 예막은 열(熱)에 의하여 생기지만 치료는 먼저 예막을 없앤 다음에 열을 내리게 해야 한다. 열이 극도에 달하면 예막이 생기는데 이런 때에 먼저 피진 것과 열을 없애면 피만 물로 되고 예막은 없어지지 않는다[직지].

○ 예막이 경하고 중한 것에 대하여서는 내장편에 자세하게 씌어 있다.

○ 검은자위에 예막이 생긴 데는 지모와 황백을 쓰는데 익본자신환이나 명목지황환을 쓰는 것도 좋다[단심].

○ 지나치게 힘든 일을 하거나 성생활을 하거나 혹 성질이 찬약을 지나치게 먹어서 9규(九竅)가 순조롭지 못하게 되면 청예(靑예)나 백예(白예)가 내자(內자)에 생기는데 이것은 양기가 쇠약하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보양탕이나 연백익음환, 국정원이 좋다. 『내경』에 “화(火)의 근원을 보하여 음예(陰예)를 없애라”고 한 것이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둥원].

○ 예막이 갓 생긴 데는 강활퇴예탕으로 표(表)를 풀어 주는 것이 좋고 혈이 허하고 열이 있는 데는 신선퇴운환이 좋다. 빙예가 오랫동안 없어지지 않는 데는 영양각산이 좋고 함예(陷예)를 발동시켜 흩어져 나가게 하는 데는 영양각산과 신선퇴운환을 함께 먹는 것이 좋다[강목].

○ 눈병으로 예막이 생기는 데는 결명원, 선화산, 국화산, 지황산이 좋다.

○ 예막에는 발운퇴예환, 정전양간원, 오수중명환, 퇴운산, 마광산, 도인개장산, 보간산, 결명산, 발운탕으로 두루 쓰고 눈에 넣는 약을 겸하여 쓰는 것이 좋다.

○ 부예(膚예)라는 것은 눈알에 파리날개 같은 것이 있는 것이다. 오징어뼈(오적골), 용뇌 각각 4g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서 하루에 서너번 넣으면 좋다[유취].

익본자신환(益本滋腎丸)

검은자위에 예막(예膜)이 생겼거나 혹 음이 허하여 검은자위가 커진 것을 치료한다.

황백, 지모(다 술에 씻어 볶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물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동원].

명목지황환(明目地黃丸)

정(精)을 생겨나게 하고 혈(血)과 신(腎)을 보하며 간(肝)을 좋아지게 하고 검은자위에 가리운 예막과 눈이 부시고 깔깔하며 눈물이 많이 나오는 것을 없앤다. 또한 갑자기 눈에 피지고 열이 나는 병도 치료한다.

생건지황(술에 씻은 것), 찐지황(숙지황) 각각 160g, 쇠무릎(술에 씻은 것), 남가새열매(백질려, 닦은 것) 각각 120g, 지모(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새삼씨(토사자, 술에 법제한 것), 따두릅(독활), 구기자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회춘].

보양탕(補陽湯)

방광(膀胱), 간(肝), 신경(腎經)이 막혀서 눈으로 통하지 못하여 눈의 내자에 청예(靑 )나 백예(白예)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시호 6g,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인삼, 감초, 찐지황(숙지황), 흰삽주(백출), 황기 각각 2g, 택사, 귤껍질(陳皮), 방풍,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생지황, 흰솔풍령(백복령), 지모, 당귀 각각 1.2g, 육계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 새벽에 보양탕을 먹고 잘 때에는 연백익음환을 먹는다[동원].

연백익음환(連柏益陰丸)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결명씨(결명자), 속썩은풀(황금),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황백, 지모(다 소금 물이나 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0g,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오미자, 당귀, 방풍, 감초 각각 20g, 전복껍질(석결명, 달군 것)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찻물로 먹는다. 보양탕은 많이 먹고 이 약은 적게 먹는다[동원].

국정원(菊睛元)

명문[右腎]과 간신(肝腎)의 기가 부족하여 눈에 검은 꽃 같은 것이 보이고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과 청예나 백예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단국화(감국) 160g, 구기자 120g, 찐지황(숙지황), 육종용 각각 80g, 파극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직지].

강활퇴예탕(羌活退예湯)

태양한수(太陽寒水)로 검은자위에 예막(예膜)이 가리워 잘 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6g, 방풍 4g, 형개, 박하, 고본 각각 2.8g, 지모(법제한 것) 2g, 황백(술에 법제한 것) 1.6g,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1.2g, 마황(술에 법제한 것), 생지황 각각 0.8g, 조피열매(천초), 족두리풀(세신) 각각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동원].

영양각산(羚羊角散)

빙예(氷예)가 오래도록 없어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영양각(가루낸 것), 승마, 족두리풀(세신) 각각 80g, 감초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절반은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고 절반은 가루약으로 쓰는데 한번에 4g씩 쌀 씻은 물에 달여 그 물로 알약 50알씩 먹는다[보명].

결명원(決明元)

열로 생긴 눈병과 다른 병을 앓은 뒤에 독기(毒氣)가 눈으로 치밀어서 예막이 생겨 눈동자를 가리운 것을 치료한다.

맥문동, 당귀, 길짱구씨(차전자) 각각 80g, 개맨드라미씨(청상자), 방풍, 지각 각각 40g, 익모초씨(충위자), 족두리풀(세신), 구기자, 택사, 생건지황, 전복껍질(석결명), 황련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맥문동을 달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득효].

선화산(蟬花散)

풍안(風眼)과 열안(熱眼)으로 눈이 잘 보이지 않고 깔깔하며 붓고 아프며 점차로 예막( 膜)이 생기는 것을 치료한다.

매미허물(선각), 단국화(감국), 궁궁이(천궁), 방풍, 강호리(강활), 산치자, 남가새열매(질려자, 닦은 것), 결명씨(결명자, 닦은 것), 형개수, 순비기열매(만형자), 곡정초, 밀몽화, 속새(목적, 마디를 버리고 동변에 담갔다가 볕에 말린 것), 삽주(창출), 감초(닦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서 먹는다[직지].

지황산(地黃散)

심(心)과 간(肝)에 열이 몰려서 눈에 피지고 부으면서 아프고 벌겋거나 흰 예막이 검은자위를 덮은 것을 치료한다. 변두리가 불명확한 것은 치료하기 쉬우나 갑자기 예막이 검은자위를 많이 가리면 눈이 멀게 된다.

찐지황(숙지황), 당귀 각각 20g, 생건지황, 으름덩굴(목통), 감초 각각 12g, 황련, 대황, 방풍, 강호리(강활), 서각(가루낸 것), 매미허물(선퇴), 속새(목적), 곡정초, 현삼, 남가새열매(백질려)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세번 양의 간을 달인 물로 끼니 뒤에 먹는다. 또한 어린이가 마마나 홍역을 앓은 뒤에 그 여독(餘毒)이 눈으로 들어가서 예막이 생긴 것도 치료한다[해장].

국화산(菊花散)

간이 풍독(風毒)을 받아서 눈에 피지고 부으면서 눈물이 많이 나오고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아프다가 점차 예막이 생기는 것을 치료한다.

단국화(감국) 160g, 매미허물(선각), 속새(목적), 강호리(강활), 남가새열매(백질려) 각각 120g, 형개, 감초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발운퇴예환(撥雲退예丸)

예막( 膜)을 없앤다.

단국화(감국), 조피열매(천초), 속새(목적), 남가새열매(백질려), 밀몽화, 뱀허물(사퇴), 매미허물(선퇴), 궁궁이(천궁), 순비기열매(만형자), 형개수, 석연자(달군 것), 황련, 박하,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지실, 강호리(강활), 당귀, 지골피,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찻물로 씹어 넘긴다[의림].

정전양간원(正傳羊肝元)

예장( 障)과 청맹(靑盲)을 치료한다.

황련 40g, 단국화(감국), 방풍, 박하, 형개, 강호리(강활), 당귀, 궁궁이(천궁)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낸다. 그리고 흰 양의 간 한 보를 푹 찐 다음 위의 약가루와 함께 짓찧어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정전].

오수중명환(五秀重明丸)

예막( 膜)이 눈동자를 가려 깔깔하고 잘 보이지 않으며 꽃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단국화(감국, 처음 핀 것) 500송이, 형개 500이삭, 속새(목적, 마디를 버린 것) 500마디, 닥나무열매(저실) 500개, 조피열매(천초, 열매껍질이 벌어진 것) 500알.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과 함께 반죽해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찻물로 씹어 넘긴다[강목].

퇴운산(退雲散)

외장(外障)과 예막이 생겨 눈동자를 가린 것을 치료한다.

당귀, 생건지황, 곡정초, 국화(흰 것), 속새(목적), 강호리(강활), 전복껍질(석결명, 달군 것), 대황(술을 축여 볶은 것), 순비기열매(만형자), 구릿대(백지), 황백, 연교, 용담초 각각 4g, 매미허물(선퇴) 7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사이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회춘].

마광산(磨光散)

풍안(風眼)을 치료하는데 예장(예障)을 없앤다.

남가새열매(백질려, 닦은 것), 방풍, 강호리(강활), 전복껍질(석결명, 달군 것), 단국화(감국), 결명씨(결명자), 매미허물(선퇴), 뱀허물(사퇴), 궁궁이(천궁), 감초(소금물에 담갔다가 볶은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맥문동을 달인 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직지].

도인개장산(道人開障散)

여러 가지 내장과 예막을 치료한다.

뱀허물(사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매미허물(선퇴), 황련 각각 20g, 감초 8g, 녹두껍질(녹두피) 4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직지].

보간산(補肝散)

간(肝)과 신(腎)이 허하여 검은자위에 예막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시호 7.2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5.2g, 찐지황(숙지황), 흰솔풍령(백복령), 단국화(감국), 족두리풀(세신) 각각 3.6g, 측백씨(백자인), 방풍,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결명산(決明散)

풍열(風熱)의 독기(毒氣)가 치밀어 올라 두 눈이 붓고 아프며 혹 예막이 생기거나 피가 지고 군살이 생겨 깔깔하고 가려우며 잘 보이지 않고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다가 점차 내장(內障)이 되는 것을 치료한다.

전복껍질(석결명), 결명씨(결명자), 속썩은풀(황금), 단국화(감국), 속새(목적), 석고, 함박꽃뿌리(작약), 궁궁이(천궁), 강호리(강활), 순비기열매(만형자),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발운탕(撥雲湯)

눈에 흑예(黑예)와 백예(白예)가 생겨 깔깔하여 뜰 수 없으나 아프지는 않은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족태양방광경이 명문상화(命門相火)를 받아 거꾸로 올라갔기 때문에 생긴 한수예막[寒水예]이다.

강호리(강활), 방풍, 황백 각각 4g, 형개, 고본, 승마, 당귀, 지모, 감초(생것) 각각 2.8g, 시호 2g, 궁궁이(천궁), 황기, 칡뿌리(갈근), 족두리풀(세신), 생강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동원].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眼花]

눈에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간(肝)과 신(腎)이 다 허한 것이다[국방].

○ 상초(上焦)가 허하다는 것은 간이 허한 것을 말하는데 이때에는 반드시 머리가 어지럽고 눈 앞이 아찔하며 귀가 먹는다. 하초(下焦)가 허하다는 것은 신이 허한 것을 말하는데 이때에는 반드시 눈 앞에 꽃무늬 같

멎것이 나타나고 눈알이 아프며 귀에서 소리가 난다[입문].

○ 눈이 잘 보이지 않고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기(氣)를 상한 것이고 눈만 보이지 않는 것은 혈(血)을 상한 것이다. 열증(熱證) 때에도 또한 눈이 부셔서 햇빛을 싫어하는데 속이 허한 사람은 햇볕에 나가지 않으려고 한다[입문].

○ 검은 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신(腎)이 허한 것이다. 5가지 빛의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신이 허한데 열이 침범한 것이다. 푸른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담(膽)이 허한 것이고 붉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화가 성한 것이다. 산산히 흩어져서 아득하게 보이는 것은 눈동자가 커진 것이다[입문].

○ 양은 헤치는 것을 주관하기 때문에 양이 허하면 눈시울이 당겨서 도첩권모(倒睫拳毛)가 되고 음은 오므리는 것을 주관하는데 그렇지 못하면 눈동자가 커져서 눈이 잘 보이지 않고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게 된다[동원].

○ 혹 파리가 날아다니는 것 같거나 거미가 공중에 매달린 것같이 산만하게 보이는 것은 다 신이 허하여 내장(內障)이 생긴 증상이다[유취].

○ 신은 뼈를 주관하고 뼈의 정기는 눈동자가 되므로 눈동자가 커지는 것은 신수(腎水)가 허하여 뼈가 마르고 심포락(心包絡)에 화(火)가 침범하기 때문이다. 치료는 맛이 쓰고 시며[苦酸] 성질이 서늘한 약으로 하는 것이 좋고 맵고 성질이 더운약을 쓰는 것은 절대로 삼가해야 한다. 이런 데는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 처방은 위에 있다)이 가장 좋다[동원].

○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데는 숙지황환, 삼화오자환, 환정환, 초목환, 주경원(駐景元, 처방은 위에 있다), 보신환(補腎丸, 처방은 위에 있다), 의감환정환(醫鑑還睛丸, 처방은 아래에 있다), 익본자신환(益本滋腎丸, 처방은 위에 있다),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먹고 오담고를 눈에 넣는 것이 좋다.

숙지황환(熟地黃丸)

신(腎)이 허하여 눈 앞에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석곡, 새삼씨(토사자, 술에 법제한 것), 방풍, 황기, 길짱구씨(차전자), 익모초씨(충위자), 복분자, 육종용(술에 담가 낸 것), 자석(불에 달구어 법제한 것), 댑싸리씨(지부자) 각각 40g, 토끼간(토간, 구워서 말린다) 1보.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술이나 소금 물로 빈속에 먹는다[유취].

삼화오자환(三花五子丸)

눈 앞에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나 파리가 나는 것 같은 것이 보이며 혹 예막이 생기는 것을 치료한다.

밀몽화, 선복화, 단국화(감국), 결명씨(결명자), 구기자, 새삼씨(토사자, 술에 법제한 것), 우엉씨(대력자), 댑싸리씨(지부자), 전복껍질(석결명, 달군 것),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맥문동을 달인 물로 끼니 뒤에 먹는다[의림].

환정환(還睛丸)

눈 앞에 5가지 빛의 꽃무늬 같은 것이 보이는 것을 치료한다.

족두리풀(세신), 오미자 각각 100g, 인삼, 도라지(길경), 속썩은풀(황금), 찐지황(숙지황), 방풍, 지모, 익모초씨(충위자), 길짱구씨(차전자) 각각 80g, 현삼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찻물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초목환(椒目丸)

여러 해 동안 눈 앞에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면서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80g, 조피열매씨(椒目, 닦은 것)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식초에 쑨 풀로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찻물로 먹는다[입문].

오담고(五膽膏)

눈이 잘 보이지 않고 늘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면서 내장(內障)이 되려는 것을 치료한다.

푸른 양의 쓸개(靑羊膽) 1개, 누런 소의 담즙(黃牛膽汁) 1홉, 웅담 10g, 잉어쓸개(鯉魚膽) 30g, 뼈 검은 닭의 쓸개(烏 膽) 5개, 우황 20g.

위의 약에서 여러 가지 담즙을 한 데 푼 다음 우황을 가루를 내어 넣고 고루 저어서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담아 약한 불에 졸여 고약을 만든다. 한번에 2g씩 데운 술에 타서 끼니 뒤에 먹고 조금 떼어서 눈에 넣는다[유취].

눈이 아픈 것[眼疼]

눈이 아픈 데는 2가지가 있다. 첫째는 눈의 내자와 외자, 흰자위가 아픈 것이고 둘째는 눈동자와 검은자위가 아픈 것이다. 눈의 내자와 외자, 흰자위가 아픈 것은 양에 속하기 때문에 낮이면 몹시 아프다. 이런 데는 맛이 쓰고 성질이 찬약을 넣으면 낫는다. 『내경』에 “흰자위와 핏줄은 양(陽)을 상징하기 때문이다”고 씌어 있다. 눈동자나 검은자위가 아픈 것은 음(陰)에 속하기 때문에 밤이면 몹시 아프다. 이때에 맛이 쓰고 성질이 찬약을 넣으면 도리어 심해진다. 『내경』에 “눈동자와 검은자위는 음을 상징한다”고 씌어 있다[강목].

○ 어떤 사람이 눈동자가 아프면서 눈썹 밑 뼈와 이마 모서리가 다 아팠는데 밤이 되면 더 심하였다. 그리하여 맛이 쓰고 성질이 찬약을 눈에 넣었는데 더 심해졌다. 그리고 여러 가지 약을 써도 낫지 않기에 궐음경과 소양경에 뜸을 떴는데 아픈 것이 멎었다. 그러나 15일이 지나서 또 도졌다. 그리하여 곧 하고초산을 찻물에 타 먹였는데 처음 먹었을 때에는 통증이 절반 이상 덜어졌다. 그다음 4-5일 동안 먹고 다 나았다. 그후에도 써보았는데 잘 들었다[강목].

○ 눈에 피지면서 아픈 것은 간에 실열(實熱)이 있기 때문이다[회춘].

○ 눈알이 참을 수 없이 아픈 데는 당귀, 방풍, 족두리풀(세신), 박하를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세번 맥문동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본사].

○ 검은자위가 아픈 데는 지모와 황백으로 신(腎)의 화를 사(瀉)하고 당귀로 음수(陰水)를 보해야 한다[단심].

○ 눈에 피지고 아프며 맥이 실하고 대변이 몹시 굳은 데는 사청환(瀉靑丸,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이나 세간산(洗肝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써서 약간 설사시켜야 낫는다. 혹 구고탕을 쓰기도 한다[입문].

○ 끓는 물이나 불에 눈을 상하여 붓고 아플 때에는 눈에 성질이 찬약을 넣지 말아야 하며 오행탕을 달여 따뜻하게 해서 씻고 지황고(地黃膏, 처방은 위에 있다)를 붙이는 것이 좋다[입문].

○ 지나치게 글을 읽거나 바느질을 하여 눈이 아픈 것을 간로(肝勞)라고 하는데 이것은 눈을 감고 있으면서 잘 보호하고 조리하면 된다[입문].

하고초산(夏枯草散)

일명 보간산(補肝散)이라고도 한다. 간이 허하여 눈이 아프고 찬 눈물이 나오며 햇빛이 싫지 않고 눈이 부시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꿀풀(하고초) 80g, 향부자 40g, 감초 2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 하고초는 검은자위가 아픈 것이 밤이면 더 심해지는 것을 치료하는데 제일 좋다. 대개 검은자위는 목계(目系)와 연결되었고 궐음경(厥陰經)에 속하였는데 이 꿀풀(하고초)은 궐음경의 혈맥을 보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아주 신기한 것이다[본사].

구고탕(救苦湯)

눈이 갑자기 벌겋게 부으며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위에 있다).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眼昏]

5장의 정명(精明)이 눈에 모였기 때문에 눈의 정기가 온전해야 눈이 밝다[득효].

○ 정명(精明)이라는 것은 모든 것을 다 보게 하는데 희고 검은 것과 길고 짧은 것을 갈라보게 하는 것이다. 긴 것을 짧다고 하고 흰 것을 검다고 하는 것은 정기가 쇠약하기 때문이다[내경].

○ 족소음경맥에 병이 생기면 눈 앞이 얼른얼른하면서 보이지 않는다[영추].

○ 간이 허하면 눈앞이 얼른얼른 하면서 보이지 않는다[내경].

○ 『영추』에 “기가 부족하면 눈이 밝지 못하다”고 씌어 있다. 『난경』에 “음혈이 부족하면 눈이 먼다”고 씌어 있다. 대체로 음양이 합쳐져 정명이 되는데 기혈(氣血)이 부족하면 눈이 잘 보이지 않는다.

○ 무엇이나 잘 보이지 않고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신기가 약한 것이다[보명].

○ 눈이 어두워 보이지 않는 것은 열(熱) 때문이다. 그러나 현부(玄府)는 없는 데가 없다. 즉 사람의 장부와 피모, 기육, 골수, 손, 발톱, 이빨에 다 있다. 이곳이 기가 드나들며 오르내리는 길이다. 그런데 막혀서 작용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열기가 몰려서 현부가 꽉 막혔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액(氣液)과 혈맥(血脈), 영위(榮衛), 정기가 오르내리지도 드나들지도 못한다. 몰리고 맺힌 것[鬱結]이 덜하고 더한 데 따라 병이 경하거나 중하다. 그러니 눈에 열이 몰리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혹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면서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열기가 심하여 눈에 퍼진 것이다[하간].

○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은 열이 심하기 때문이다. 상한 때 열이 심하면 눈이 어두워져서 사람도 알아보지 못하게 된다. 눈이 잘 보이지 않는 사람은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이 있는 것도 보지 못한다. 혹 주렴을 쳐놓고 보는 것 같기도 하며 혹 파리가 나는 것같이 보이기도 하며 혹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것은 다 눈의 현부(玄府)가 꽉 막혀서 영위와 정기가 오르내리지 못하기 때문이다[입문].

○ 눈이 갑자기 보이지 않는 것은 다 기(氣)가 허탈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인삼고(人蔘膏, 처방은 기문에 있다)로 보하고 보혈약으로 통하게 해야 한다[단심].

○ 오랜 병으로 잘 보이지 않는 것은 신(腎)의 진음(眞陰)이 허해졌기 때문이다[회춘].

○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는 주경원이나 가감주경원(加減駐景元, 처방은 다 위에 있다), 자음지황원(滋陰地黃元, 처방은 위에 있다), 가미자주환, 사물오자원, 만청자환, 환정환(還睛丸,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상한열병을 앓은 뒤에 눈이 잘 보이지 않거나 예막이 생긴 데는 석결명산(石決明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고 춘설고(春雪膏, 처방은 위에 있다)를 눈에 넣는 것이 좋다. 부인의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는 억청명목탕을 먹는 것이 좋다.

가미자주환(加味磁朱丸)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눈이 밝아져서 100살이 되어도 작은 글자까지 읽을 수 있다.

자석(불에 달구어 식초에 담그기를 일곱번 하여 수비한 것) 80g, 주사(수비한 것) 40g, 침향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약누룩가루 80g으로 쑨 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소금 끓인 물이나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

자석은 물을 상징하므로 신으로 들어가고 주사는 불을 상징하므로 심으로 들어가며 침향은 물과 불을 잘 오르내리게 한다[직지].

○ 일명 신국환(神麴丸)이라고도 한다. 어떤 처방에는 야명사 40g을 더 넣었다.

사물오자원(四物五子元)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구기자, 복분자, 댑싸리씨(지부자), 새삼씨(토사자), 길짱구씨(차전자)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만청자환(蔓菁子丸)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梧子)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술로 먹는다[집성].

억청명목탕(抑靑明目湯)

부인이 성을 낸 것으로 간이 상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이 구름이나 안개 속에 있는 것 같은 것을 치료한다.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생건지황,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용담초, 시호, 황련, 산치자, 모란뿌리껍질(목단피), 백두구,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늙은이의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老人眼昏]

늙으면 눈이 어두워지는 것은 혈기(血氣)가 쇠약하여 간엽(肝葉)이 얇아지고 담즙(膽汁)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맥결].

○ 어린이들은 수기(水氣)가 상초에 있기 때문에 똑똑하게 보이고 늙은이는 화기(火氣)가 위(上)에 있기 때문에 어렴풋하게 보인다[입문].

○ 늙은이의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는 환정환(還睛丸, 처방은 두루 치료하는 약에 있다), 야광육신환, 명안지황환,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 처방은 위에 있다), 여선옹방을 쓰는 것이 좋고 지나치게 힘든 일을 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는 익기총명탕이 좋다.

야광육신환(夜光育神丸)

늙은이의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생건지황, 원지, 쇠무릎(우슬), 새삼씨(토사자), 구기자, 단국화(감국), 지각, 지골피, 당귀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술로 빈속에 먹는다[양로].

명안지황환(明眼地黃丸)

늙은이가 찬 눈물을 흘리며 눈이 잘 보이지 않고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생건지황 각각 160g, 석곡, 단국화(감국), 방풍, 지각 각각 40g, 쇠무릎 30g, 살구씨(행인)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득효].

여선옹방(呂仙翁方)

늙은이가 내장(內障)으로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조피열매(천초, 약간 닦은 것), 단국화(감국)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 옛날에 한 늙은이가 지나가는 중을 대접하곤 하였다. 그런데 우연히 한 도인이 며칠 동안 잘 묵고 떠나면서 그 집 늙은이가 눈을 잘 보지 못하며 눈물을 많이 흘리는 것을 보고 이 처방을 알려 주었다. 그래서 먹었는데 신기하게 나았다고 한다[의설].

익기총명탕(益氣聰明湯)

늙은이가 허로손상(虛勞損傷)으로 귀에서 소리가 나고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내장(內障)으로 눈이 잘 보이지 않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귀가 먹는 증상이 없어지며 또 정신이 상쾌해지고 음식이 곱으로 당기며 귀와 눈이 밝아진다.

감초(닦은 것) 4.8g, 인삼, 황기 각각 4g, 승마, 칡뿌리(갈근) 각각 2.4g, 순비기열매(만형자) 1.2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아침 저녁으로 먹고 잠을 자면 더욱 좋다[단심].

멀리 보지 못하는 것과 가까이 보지 못하는 것[不能遠視不能近視]

멀리는 보나 가까이 보지 못하는 것은 양기(陽氣)는 여유가 있으나 음기(陰氣)가 부족한 것이다. 즉 혈은 허하고 기가 성한 것이다. 기가 성하다는 것은 화(火)가 여유 있다는 뜻이다. 가까이는 보나 멀리 보지 못하는 것은 양기가 부족하고 음기가 여유 있는 것이다. 즉 기가 허하고 혈이 성한 것이다. 혈이 성하다는 것은 음화(陰火)가 여유 있다는 것이다. 기가 허하다는 것은 원기(元氣)가 쇠약하다는 것인데 이것은 늙은이들에게 있는 현상이다[동원].

○ 멀리 있는 것만 보는 것은 화(火)가 있는 탓이다. 가까이 보지 못하는 것은 수(水)가 없는 탓이다. 이때에는 마땅히 신(腎)을 보해야 한다. 그러므로 지지환이나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굴조개껍질(모려)을 넣어 먹는 것이 좋다[해장].

○ 가까운 곳만 잘 보는 것은 수가 있기 때문이고 멀리 보지 못하는 것은 화가 없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마땅히 심(心)을 보해야 한다. 그러므로 정지환(定志丸, 처방은 신문에 있다)에 솔풍령(복령)을 넣어 쓰는 것이 좋다[해장].

○ 가까이 보지 못할 때에는 새벽에 지황원을 먹고 멀리 보지 못할 때에는 잘 때에 정지환을 먹는다[동원].

지지환(地芝丸)

멀리는 잘 보나 가까이 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천문동 각각 160g, 지각, 단국화(감국)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빈속에 찻물로 먹는다[동원].

눈을 뜨지 못하는 것과 감지 못하는 것[目不得開合]

족태양의 경근[筋]은 윗눈두덩이에 얽히고 족양명의 경근은 아랫눈두덩이에 얽혔는데 열이 있으면 경근이 늘어져서 눈을 뜨지 못하게 된다[강목].

○ 눈을 뜨지 못하고 눈이 부셔서 햇볕을 싫어하는 것은 풍열(風熱)이 몰렸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궁지향소산(芎芷香蘇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전호와 파밑(총백) 3대를 뿌리가 달린 채로 넣고 달여 먹는 것이 좋다[득효].

○ 어떤 젖먹이 어머니가 몹시 무서워 한 뒤에 눈을 감지 못하였는데 이스라치씨(욱리인)를 술에 달여 취하게 먹이니 나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눈은 간과 담에 연관되었으므로 무서워하면 기가 맺히고 담기가 막혀 내려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이스라치씨(욱리인)라야 풀 수 있다. 약이 술을 따라 담으로 들어가서 맺힌 것을 풀리게 하고 담기를 내려가게 하면 눈은 감기게 된다[입문].

○ 상초에 기가 부족하면 눈이 감긴다[영추].

눈꼽이 나오는 것[眼生치糞]

눈이 벌겋거나 실 같은 핏줄이 서거나 눈꼽이 끼는 것은 눈에 열(熱)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경효산(經효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 눈꼽이 많이 끼면서 뜬뜬하게 뭉치는 것은 폐(肺)가 실(實)한 것이고 눈꼽이 묽어서 뭉치지 않는 것은 폐가 허한 것이다[회춘].

○ 대체로 눈병으로 아프면서도 눈꼽이 나오지 않는 것은 원기(元氣)가 몹시 쇠약한 것이다. 신경이 허하여 밤 사이에 오줌을 2-3번 누어서 양기가 소모되면 내장(內障)이 되고 혹 뇌지(腦脂)가 흘러내리거나 눈동자가 커지는데 이것은 다 신이 몹시 쇠약하여 눈동자가 흩어진 것이다. 이때에는 팔미환(八味丸,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이나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구기자, 단국화(감국)를 넣어서 먹는 것이 좋다[득효].

하나의 물건이 둘로 보이는 것[視一物爲兩]

어떤 사람이 하나의 물건이 둘로 보여 의사에게 보이니 의사는 간기(肝氣)가 실한 것으로 보고 간을 사(瀉)하는 약을 쓰라고 하기에 그것을 썼으나 효과가 없었다. 그리하여 『영추』에 “목계(目系)가 위로 뇌에 속하고 목 뒤로 내려갔는데 사기가 눈정기에 침입하여 정기가 흩어지면 보는 것이 갈라지므로 물체가 둘로 보인다”고 씌어 있는 것이 생각나서 풍을 몰아내고 뇌로 들어가는 약을 먹였는데 나았다. 이런 데는 구풍일자산(驅風一字散, 처방은 위에 있다)이나 보간산이 좋다[본사].

○ 눈이 잘 보이지 않아 먼 곳을 볼 수 없고 하나가 둘 또는 셋으로 보이는 것은 간과 신이 허한 것이다. 이런 데는 신기환(腎氣丸,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이나 지지환(地芝丸,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보간산(保肝散)

풍사(風邪)가 뇌에 들어가 하나가 둘로 보이고 내장이 되려는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당귀, 지골피, 삽주(창출), 흰삽주(백출), 밀몽화, 강호리(강활), 천마, 박하, 시호, 고본, 석고, 속새(목적), 연교, 족두리풀(세신), 도라지(길경), 방풍, 형개, 감초 각각 2g, 산치자, 구릿대(백지)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회춘].

책을 많이 읽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讀書損目]

『내경』에 “눈은 혈(血)을 받아야 잘 볼 수 있다”고 씌어 있다. 오랫동안 보면 혈을 상하게 되고 따라서 눈도 상하게 된다[강목].

○ 오랫동안 보면 혈을 상한다. 혈은 간(肝)을 주관하기 때문에 글을 많이 읽으면 간이 상하고 간이 상하면 저절로 풍열(風熱)이 생기면서 열기가 올라오므로 눈이 잘 보이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전적으로 보약만 쓰는 것은 좋지 않다. 혈을 보하고 간을 진정시키며 눈을 밝게 하는 약을 쓰면 저절로 낫는다. 이런 데는 지황원을 먹는 것이 좋다[강목].

○ 책을 지나치게 보면 간이 상하여 눈이 못 쓰게 된다. 진나라 범녕(范寧)이 눈병을 앓을 때에 장담(張湛)에게 처방을 요구하였는데 장담이 농담조로 “책을 덜 읽는 것이 첫째이고 사색을 덜하는 것이 둘째이며 눈을 감고 속으로 새기는 것을 많이 하는 것이 셋째이고 밖으로 보는 것을 간단하게 하는 것이 넷째이다. 그리고 늦게 일어나는 것이 다섯째이고 일찍 자는 것이 여섯째이다. 이 6가지를 명심하고 7일 동안만 어김없이 하게 되면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1년 동안만 수양하면 가까이에서는 자기 속눈썹까지 셀 수 있게 되고 멀리에서는 자막대기 끝을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약을 오랫동안 먹으면 담장 밖의 것도 환하게 볼 수 있을 것이다”고 하였다. 이것이 농담이기는 하나 역시 기묘한 방법이다[본사].

○ 옛사람들이 책을 지나치게 오랫동안 읽으면 간이 상하고 눈이 상한다고 한 것은 참으로 옳은 말이다. 글 읽는 것과 도박을 지나치게 하여 눈을 앓는 것을 간로(肝勞)라고 한다. 이것을 치료하려면 3년 동안 눈을 감고 아무것도 보지 말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나을 수 없다. 간을 사한다든가 여러 가지 치료를 한다고 해도 효과가 없을 것이다[자생].

○ 지나치게 책을 읽거나 바느질을 하여 눈이 아픈 것을 간로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눈을 감고 조리하면서 보호하여야 한다[입문].

지황원(地黃元)

『내경』에 “오랫동안 보면 혈을 상한다”고 씌어 있다. 혈은 간을 주관하므로 간이 상하면 눈이 잘 보이지 않는다. 간이 상하면 저절로 풍열(風熱)이 생기므로 반드시 혈을 보하고 간을 진정시켜야 눈이 저절로 밝아진다.

찐지황(숙지황) 60g, 황련, 결명씨(결명자) 각각 40g, 방풍, 단국화(감국), 강호리(강활), 계심, 주사(수비한 것), 몰약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끓인 물로 끼니 전에 먹는다[득효].

지나치게 울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哭泣喪明]

황제는 “슬퍼하면 눈물과 콧물이 나오는 것은 무슨 기가 그렇게 하게 하는가”고 물으니 기백이 대답하기를 “심은 5장 6부를 주관한다. 눈은 종맥(宗脈)이 모이는 곳이고 진액이 올라가는 길이다. 입과 코는 기(氣)의 문호(門戶)이다. 그러므로 슬퍼하거나 근심하면 마음이 움직이고 마음이 움직이면 5장 6부가 다 흔들리고 5장 6부가 흔들리면 종맥(宗脈)이 감동되며 종맥이 감동되면 진액이 통하는 길이 열리고 진액이 통하는 길이 열리면 콧물, 눈물이 나온다. 진액은 정기에 물을 주고 구멍[空竅]들을 축여 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진액이 올라가는 길이 열리면 눈물이 멎지 않고 나오며 눈물이 멎지 않고 나오면 진액이 마른다. 진액이 마르면 정기가 물을 받지 못하고 정기가 물을 받지 못하면 눈이 보이지 않게 된다. 이것을 탈정(奪精)이라고 한다”고 대답하였다[영추].

'동의보감 > 외형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眼)  (1) 2016.05.29
내장(內障)  (0) 2016.05.29
귀(耳)  (0) 2016.05.29
코(鼻)  (0) 2016.05.29
입과 혀(口舌)  (0) 2016.05.29
:
Posted by doc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