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1

« 2024/1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2016. 5. 29. 08:45

코(鼻) 동의보감/외형편2016. 5. 29. 08:45

코[鼻]

« 동의보감(東醫寶鑑)

코[鼻]

비연증[鼻淵] » · 비구(鼻구) » · 코피(鼻뉵) » · 코가 메는 것[鼻塞] »

코 안에 군살이 생긴 것[鼻痔] » · 코 안이 허는 것[鼻瘡] »

코가 아픈 것[鼻痛] » · 비사(鼻사) »

콧물이 나오는 것[鼻涕] » · 재채기[鼻체] »

 

코는 신려라고도 한다[鼻曰神廬]

『황정경(黃庭經)』에는 “코를 잘 통하게 해야 코로 드나드는 기운이 단전(丹田)으로 들어간다”고 씌어 있다. 신려(神廬)라는 것은 코인데 이곳이 바로 신기(神氣)가 드나드는 문이다[유취].

코는 현빈의 문호이다[鼻爲玄牝之門戶]

노자는 죽지 않은 곡신(谷神)을 현빈(玄牝)이라고 하며 현빈의 문호(門戶)는 천지의 근원으로 계속 존재하므로 피로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러니 무엇이 현빈의 문호인가. 코는 맑은 기가 통하는 곳이므로 현문(玄門)이라 하고 입으로는 탁한 기가 통하므로 빈호(牝戶)라고 한다. 그러니 입과 코가 바로 현빈의 문호이다[정리].

코는 폐와 통하는 구멍이다[鼻爲肺之竅]

『내경』에 “서쪽의 흰빛이 폐(肺)와 통하는데 폐는 콧구멍과 통해 있다”고 씌어 있다.

○ 코는 폐의 구멍이다[정리].

○ 5가지 기가 코로 들어가서 심(心)과 폐(肺)에 저장된다. 그러므로 심과 폐에 병이 생기면 따라서 코도 순조롭지 못하다[정리].

○ 『난경(難經)』에 “폐기(肺氣)는 코로 통하므로 폐가 순조로워야 코가 좋고 나쁜 냄새를 맡을 수 있다”고 씌어 있다.

맥 보는 법[脈法]

왼쪽 촌맥(寸脈)이 부완(浮緩)한 것은 바람에 상한 것인데 이때에는 코가 메고 콧물이 나온다. 오른쪽 촌맥이 부홍(浮洪)하면서 삭(數)하면 코피가 나오거나 코끝이 벌겋게 되는 증상이 있다[정전].

비연증[鼻淵]

『내경』에 “담(膽)에 있던 열(熱)이 뇌(腦)로 가면 콧마루가 괴롭고 비연증이 생긴다. 비연(鼻淵)이라는 것은 탁한 콧물이 멎지 않고 흐르는 것인데 이것이 심해지면 코피가 나오고 눈이 어두워진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 “뇌액이 흘러 내리면 탁한 콧물이 멎지 않고 샘물처럼 나오는데 이것을 비연이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 비연은 밖의 찬 기운이 속에 있는 열을 억눌러서 생긴 증후이다[정전].

○ 탁한 콧물을 흘리는 것은 풍열(風熱)에 속한다[회춘].

○ 비연증에는 황련통성산, 방풍탕, 창이산, 형개연교탕을 쓴다.

○ 어떤 사람이 탁하고 더러운 냄새가 나는 콧물을 흘리는데 맥은 현소(弦小)하였다. 그리고 오른쪽 촌맥은 활(滑)하고 왼쪽 촌맥은 삽(澁)하였다. 그리하여 먼저 상성(上星), 삼리(三里), 합곡(合谷) 혈에 뜸을 뜬 다음 속썩은풀(황금, 법제한 것) 80g, 삽주(창출), 끼무릇(반하) 각각 40g, 목련꽃봉오리(辛夷), 족두리풀(세신),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석고, 인삼, 칡뿌리(갈근) 각각 20g 등 위의 약들을 썰어서 7첩으로 나누어 먹었는데 다 나았다[단계].

○ 코에서 늘 냄새가 나는 누런 물이 몹시 나오면서 골 속까지 아픈 것을 민간에서는 공뇌사(控腦砂)라고 하는데 이것은 벌레가 뇌 속을 파먹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이런 데는 수세미오이덩굴(絲瓜藤)을 뿌리에서부터 3-5자 정도 되게 갈라서 쓰는데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를 내어 술에 타 먹으면 곧 낫는다[정전].

황련통성산(黃連通聖散)

비연증(鼻淵證)을 치료한다.

풍문에 있는 방풍통성산에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과 박하잎을 넣어서 달여 먹는다[의감].

방풍탕(防風湯)

비연증(鼻淵證)으로 탁한 콧물이 계속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방풍 80g,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인삼, 궁궁이(천궁), 맥문동, 감초(닦은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을 끼니 뒤에 끓인 물로 먹는데 조금씩 여러 번 나누어 먹는다. 하루 세번 쓴다. 또한 썰어서 28g씩 물에 달여 먹어도 좋다[하간].

창이산(蒼耳散)

비연증(鼻淵證)을 치료한다.

구릿대(백지) 40g, 목련꽃봉오리(신이) 20g, 도꼬마리(창이자, 닦은 것) 10g, 박하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끼니 뒤에 파밑(총백)을 달인 물이나 찻물에 타서 먹는다[삼인].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

비연증(鼻淵證)을 치료한다.

형개, 시호, 궁궁이(천궁), 당귀, 생지황, 함박꽃뿌리(작약), 구릿대(백지), 방풍, 박하, 산치자, 속썩은풀(황금), 도라지(길경), 연교 각각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비구(鼻구)

비구란 맑은 콧물이 나오는 병이다[입문].

○ 코 안에서 물이 나오는 것을 구(구)라고 한다[내경].

○ 풍사에 상하면 맑은 콧물이 줄줄 흐른다[강목].

○ 맑은 콧물이 나오는 것은 폐(肺)가 차기 때문이다[회춘].

○ 맑은 콧물이 나오는 병에는 천초산이 좋다.

○ 비구에는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궁궁이(천궁), 당귀, 족두리풀(세신), 구릿대(백지), 방풍, 강호리(강활), 도라지(길경), 박하, 생강을 넣어서 달여 먹은 다음 세신고로 코를 막아야 한다[입문].

○ 늙은이가 맑은 콧물을 흘리는 것이 계속 멎지 않는 데는 외톨마늘을 쓰는데 4-5개를 짓찧어 종이에 발라 발바닥에 붙이면 저절로 멎는다[종행].

천초산(川椒散)

비구(鼻 )를 치료한다.

조피열매(천초, 닦은 것), 가자육, 건강, 계심, 궁궁이(천궁), 족두리풀(세신), 흰삽주(백출)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득효].

세신고(細辛膏)

코가 메고 골 속이 차며 맑은 콧물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족두리풀(세신), 조피열매(천초), 건강, 궁궁이(천궁), 오수유, 부자 각각 30g, 주염열매(조협, 가루를 낸 것) 20g, 계심 40g, 돼지기름(저지) 240g.

위의 약가운데서 돼지기름(저지)을 따로 달여 고약같이 만든다. 다음 나머지 약을 식초에 하룻밤 동안 담갔다가 꺼내서 고약에 넣고 부자빛(附子色)이 누렇게 될 때까지 달여 솜에 싸서 콧구멍을 막는다[입문].

코피(鼻뉵)

(혈문(血門)에 자세하게 있다).

코가 메는 것[鼻塞]

코가 메는 것은 다 폐(肺)에 속한다[강목].

○ 한사에 피모(皮毛)가 상하면 코가 메서 순조롭지 못하다. 그리고 화(火)가 기도에 몰리면 좋고 나쁜 냄새를 알지 못한다. 갑자기 찬바람을 맞아서 코가 메고 목소리가 변하여 맑은 콧물이 나오고 재채기가 나는 데는 강활충화탕과 삼소음(蔘蘇飮, 처방은 모두 상한문에 있다)을 쓴다. 이것이 오래되면 찬바람을 약간 쏘여도 곧 코가 메는데 이때에는 폐금을 맑게 하고 심화를 내려야 한다. 그러므로 양격산(凉膈散, 처방은 화문에 있다)에 궁궁이(천궁), 형개, 구릿대(백지)를 넣어서 쓴다[입문].

○ 코가 몹시 메면 어한탕, 필징가환을 쓰고 냄새를 맡지 못하는 데는 여택통기탕을 쓰고 콧구멍 속에 뜬뜬한 것이 생긴 데는 남성음을 쓴다. 그리고 필발병을 숫구멍자리에 붙여야 한다. 또한 석창포와 주염열매가루(조角末)를 솜에 싸서 코를 막아도 된다[입문].

○ 코가 막히는 것(鼻옹)은 폐가 풍랭(風冷)에 상했기 때문인데 이때에는 진액이 잘 돌지 못하며 비기(鼻氣)가 잘 퍼지지 못하므로 냄새를 맡지 못한다. 이런 데는 궁궁산을 쓴다[직지].

○ 코가 메서 냄새를 맡지 못하는 데는 온폐탕, 온위탕, 통규탕, 창포산 등을 쓰는 것이 좋다.

어한탕(禦寒湯)

한사(寒邪)에 감촉되어 코가 멘 것을 치료한다.

황기 4g, 삽주(창출) 2.8g, 귤껍질(陳皮), 인삼, 승마 각각 2g, 방풍, 구릿대(백지), 불이초(佛耳草), 관동화, 감초 각각 1.2g, 황련, 황백, 강호리(강활)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필징가환(필澄茄丸)

코가 막혀서 숨이 잘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박하잎 12g, 형개수 6g, 필징가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늘 입에 물고 녹여 먹는다[강목].

여택통기탕(麗澤通氣湯)

폐경(肺經)에 풍열(風熱)이 있어서 코로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황기 4g, 삽주(창출),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방풍, 승마, 칡뿌리(갈근) 각각 2.8g, 감초(닦은 것) 2g, 마황, 조피열매(천초), 구릿대(백지)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 파밑(총백) 3치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하간].

남성음(南星飮)

풍사(風邪)가 뇌에 침범하여 오랫동안 머물러 있으면서 없어지지 않고 콧구멍 안에 뜬뜬한 것이 꽉 막혀 있어 뇌의 기가 잘 통하지 못하다가 콧물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크고 흰 천남성을 썰어서 끓는 물에 두번 우린다. 이것을 약한 불기운에 말려 한번에 8g씩 대추 7알, 감초 조금과 함께 달여 끼니 뒤에 먹는데 서너번 먹으면 뜬뜬하던 것이 저절로 없어지고 뇌의 기도 잘 돌게 되어 콧물도 흐르지 않는다. 연이어 필발병을 숫구멍에 붙이고 다리미로 다림질하여 더운 기운이 속으로 들어가게 해야 한다[득효].

필발병(필撥餠)

코가 메고 탁한 콧물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필발, 향부자, 마늘.

위의 약들을 함께 넣고 짓찧어 떡을 만든 다음 얇은 천에 발라 숫구멍에 붙이고 다리미로 다림질한다[입문].

궁궁산(芎궁散)

코가 몹시 멘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빈랑, 마황, 육계, 방기, 으름덩굴(목통), 족두리풀(세신), 구릿대(백지), 석창포 각각 2.8g, 목향, 조피열매(천초), 감초 각각 1.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차조기잎(자소엽) 5잎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온폐탕(溫肺湯)

코로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8g, 황기, 승마 각각 6g, 방풍, 칡뿌리(갈근), 강호리(강활) 감초(닦은 것) 각각 4g, 정향 0.8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파밑(총백) 3개와 함께 물 2잔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인다.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끼니 뒤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동원].

온위탕(溫衛湯)

코로 냄새를 맡지 못하고 눈 앞에 불꽃 같은 것이 생기며 음낭이 차지고 다리에 힘이 없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6g, 황기, 삽주(창출), 승마, 지모, 시호, 강호리(강활) 각각 4g, 인삼, 방풍, 구릿대(백지), 황백, 택사, 감초 각각 2g, 귤껍질(陳皮), 선귤껍질(청피), 황련, 목향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통규탕(通竅湯)

풍한사에 감촉되어 코가 메고 목소리가 변하며 콧물이 나오면서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방풍, 강호리(강활), 고본, 승마, 칡뿌리(갈근), 궁궁이(천궁), 삽주(창출) 각각 4g, 구릿대(백지) 2g, 마황, 조피열매(천초),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파밑(총백) 2개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창포산(菖蒲散)

코가 메서 숨쉬기 곤란한 것을 치료한다.

석창포, 주염열매(조각)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짓찧어 가루를 내서 한번에 4g씩 솜에 싸서 코를 막은 다음 잠시 동안 반듯하게 누워 있으면 낫는다[강목].

코로 냄새를 맡지 못하는 데 쓰는 처방[鼻不聞香臭方]

박하 12g, 족두리풀(세신), 구릿대(백지), 방풍, 강호리(강활), 당귀, 궁궁이(천궁), 끼무릇(반하), 도라지(길경),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코 안에 군살이 생긴 것[鼻痔]

폐에 열이 경(輕)하면 코 안이 헐고 폐에 열이 심하면 코 안에 군살[痔]이 생긴다[입문].

○ 코 안에 군살이 생기는 것은 폐에 심한 열이 오랫동안 계속되어 탁한 것이 엉키고 뭉치기 때문인데 대추씨만한 군살이 생겨 콧구멍을 막게 된다. 이것이 심한 것을 비옹(鼻 )이라고 한다. 이때에는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에 삼릉(三稜)과 듬북[海藻]을 가루를 내어 넣어서 먹은 다음 신이고(辛夷膏)로 코를 막으면 곧 낫는다[입문].

○ 코 안에 군살이 생기는 것은 위 속에 식적(食積)과 열담(熱痰)이 돌아다니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천남성, 끼무릇(반하), 삽주(창출), 약누룩(신국), 족두리풀(세신), 구릿대(백지), 감초,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을 달여서 먹은 다음 과반산을 외용약으로 쓰면 낫는다[강목].

○ 콧구멍에 군살이 생겨서 냄새가 몹시 나고 다치지 못하게 아픈 데는 백반가루에 망사를 약간 양 넣어 쓰는데 아픈 곳에 불어 넣으면 군살이 물로 되어 나오고 낫는다. 또한 승습탕(勝濕湯, 처방은 습문에 있다)이나 사백산(瀉白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도 쓴다. 이 병은 기름진 음식을 지나치게 먹은 것이 옹체(壅滯)되어 습열(濕熱)이 생겨서 폐문(肺門)을 훈증하기 때문에 생긴다. 이것은 마치 여름철 장마가 진 뒤에 버섯이 돋아나는 것과 같다[의감].

○ 코 안에 생긴 군살을 치료하는 데는 과정산, 백황산, 양폐산 등이 좋다.

신이고(辛夷膏)

코 안에 군살이 생겨서 숨이 막히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목련꽃봉오리(신이) 80g, 족두리풀(세신), 으름덩굴(목통), 목향, 구릿대(백지), 살구씨(행인) 각각 20g.

위의 약들을 양의 골수(羊髓), 돼지기름(저지) 80g과 함께 섞어서 돌그릇에 넣고 약한 불에 벌거누르스름한 빛이 나도록 졸여 고약을 만들어 식힌다. 다음 여기에 용뇌와 사향 각각 4g씩 넣고 알약을 만든다. 이것을 솜에 싸서 콧구멍을 막고 며칠 있으면 군살이 떨어지고 낫는다[어원].

○ 어린이가 맑은 콧물을 흘리는 데는 이 약을 숫구멍에 붙이고 콧구멍에도 발라 주어야 한다[단심].

과반산(瓜礬散)

코 안에 생긴 군살을 없앤다.

참외꼭지(과체) 16g, 감수 4g, 백반(구운 것), 소라껍질(螺殼, 태워 재를 낸다), 바꽃(초오, 끝) 각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참기름에 개서 콧구멍 크기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매일 한번씩 군살이 있는 곳까지 밀어 넣으면 군살이 뭉크러져 나오고 곧 낫는다[입문].

과정산(瓜丁散)

코가 메고 냄새가 나며 군살이 생겨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코 안에 군살이 생긴 것을 민간에서는 비치(鼻痔)라고 한다.

참외꼭지(과체), 족두리풀(세신)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콩알만큼을 솜에 싸서 콧구멍을 막으면 곧 누런 물이 나오는데 3-4일이 지나지 않아 낫는다, 이 약을 세신산(細辛散)이라고도 한다[득효].

백황산(白黃散)

코가 메거나 군살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백반, 석웅황(웅황), 족두리풀(세신), 참외꼭지(과체)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수캐의 담즙(膽汁)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이것을 솜에 싸서 콧구멍을 막는다[단심].

양폐산(羊肺散)

폐기(肺氣)가 막혀서 코에 군살이 생겨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양의 폐 1마리분, 흰삽주(백출) 160g, 육종용, 으름덩굴(목통), 건강, 궁궁이(천궁) 각각 40g.

위의 5가지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양의 폐 속에 들어갈 만한 양(量)의 물에 멀건 풀처럼 되게 타서 폐 속에 넣는다. 이것을 푹 삶아서 약한 불기운에 말려 보드랍게 가루를 낸다. 한번에 8g씩 끼니 뒤에 미음으로 먹는다[삼인].

코 안이 허는 것[鼻瘡]

코 안에 헌데가 생기는 것은 폐(肺)에 열(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황금탕, 세폐산을 쓴다[회춘].

○ 코 안에 생긴 헌데에는 사백산(瀉白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에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산치자, 도라지(길경), 박하를 넣어서 쓴다.

○ 코 안에 생긴 헌데에는 살구씨기름(杏仁油)에 소금을 넣어서 바른다[입문].

○ 코 안에 생긴 헌데에는 황백, 너삼(고삼), 빈랑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를 내서 돼지기름(저지)에 반죽하여 코 안에 바르거나 청대, 홰나무꽃(괴화), 살구씨(행인) 등을 갈아서 코 안에 바르기도 한다[득효].

○ 대풍창(大風瘡)과 천포창(天疱瘡) 때에도 코 안에 헌데가 생기고 코가 뭉크러진다(이것들은 다 해당한 문에 있다).

황금탕(黃芩湯)

폐(肺)에 화(火)가 성하여 콧구멍이 마르거나 헌데가 생겨 부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산치자(껍질째로 술에 축여 볶은 것), 도라지(길경), 함박꽃뿌리(작약),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맥문동, 형개수, 박하, 연교 각각 4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회춘].

세폐산(洗肺散)

코 안에 헌데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8g, 오미자, 천문동, 맥문동, 끼무릇(반하), 살구씨(행인)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회춘].

코가 아픈 것[鼻痛]

코가 아픈 것은 풍사(風邪)가 정기(正氣)와 서로 부딪쳐서 코 안이 잘 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인삼순기산이나 통기구풍탕(通氣驅風湯, 처방은 모두 풍문에 있다)을 쓴다. 만약 담화(痰火)가 폐로 치밀면 코가 막히면서 은근히 아픈데 이때에는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도라지(길경), 맥문동을 넣어서 쓰는데 달여 먹는다[입문].

비사(鼻사)

비사라는 것은 코 끝이 붉어지는 것인데 심하면 자줏빛이나 검은 빛이 난다. 이런 병은 술을 즐겨 마시는 사람에게 많다. 그것은 혈의 열기가 폐에 들어가 오랫동안 몰려 있어서 혈이 엉키고 탁해지기 때문에 코가 붉어진다. 간혹 술은 먹지 않아도 코가 붉어지는 것은 폐풍창(肺風瘡)이라고 하는데 이것도 혈의 열기가 폐에 침입한 것이다. 이런 데는 다 청혈사물탕에 치자인환을 겸하여 쓰고 유황산을 겉에 바른다[입문].

○ 폐(肺)는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형체는 연하다. 그의 성질은 찬 기운을 싫어하고 뜨거운 기운도 싫어한다. 그러므로 뜨거운 술을 잘 마시는 사람은 우선 폐를 상하게 된다. 열이 오랫동안 몰려 있으면 코 끝이 붉어진다. 콧마루가 붉어지는 병이 생길 때에 더운 기운을 만나면 벌겋게 되고 찬 기운을 만나면 거멓게 된다[정전].

○ 술을 마셔 코 끝이 붉어지는 것은 혈(血)의 열(熱)이 폐(肺)로 들어갔기 때문이다[정전].

○ 술을 마셔 코 끝이 붉어진 때와 폐풍창(肺風瘡) 때에는 백룡환으로 매일 얼굴을 씻고 늘 용호단을 먹어야 보름이 지나서 깨끗해진다[직지].

○ 술을 마셔 코 끝이 붉어지는 데는 능소화산이나 삼귀환을 쓴다.

○ 폐풍창 때에는 페풍환과 승마탕, 청폐음자 등을 쓴다.

청혈사물탕(淸血四物湯)

술을 마셔 코 끝이 붉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당귀, 함박꽃뿌리(작약), 생지황,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잇꽃(홍화, 술에 축여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벌건솔풍령(적복령), 귤껍질(陳皮)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2쪽과 함께 달인 물에 오령지가루 4g을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회춘].

치자인환(梔子仁丸)

술을 마셔 코 끝이 붉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산치자(가루를 낸 것), 황랍 각각 같은 양.

위의 약에서 황랍을 녹인 다음 약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찻물로 먹는다. 열이 생기게 하는 음식은 15일 동안 먹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 효과가 있다[득효].

유황산(硫黃散)

코 끝이 붉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생유황 20g, 살구씨(행인) 10g, 경분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에 개서 자기 전에 코에 발랐다가 다음날 아침에 씻어 버린다[회춘].

백룡환(白龍丸)

술을 마셔 코 끝이 붉어지는 것과 얼굴이 다 검붉게 된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고본, 족두리풀(세신), 구릿대(백지),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낸 것 160g에 구운 석고가루 600g을 넣고 물로 반죽해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매일 이 약으로 조두( 豆)를 쓰는 법처럼 얼굴을 씻는다. 혹은 저녁에 이 약을 발랐다가 새벽에 씻어 버려도 좋다[단심].

[註] 조두(조豆) : 파두나 녹두 같은 것을 갈아 만든 가루비누.

능소화산(凌소花散)

술을 마셔 코 끝이 붉어진 것을 치료하는데 세번을 바르지 않아서 다 낫는다.

능소화, 산치자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서 끼니 뒤에 먹는다[득효].

삼귀환(蔘歸丸)

술을 마셔 코 끝이 붉어진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혈(血)의 열(熱)이 폐(肺)에 들어간 것이다.

너삼(고삼) 160g, 당귀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로 쑨 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80알씩 뜨거운 찻물로 먹는다[의감].

폐풍환(肺風丸)

얼굴과 코에 생긴 풍사(風사)와 사포(사포)증을 치료한다.

족두리풀(세신), 선복화, 강호리(강활) 각각 80g, 만잠아(晩蠶蛾, 닦은 것),너삼(고삼)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진밥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끼니 뒤에 찻물로 먹는다[동원].

[註] 풍사(風사) : 코 끝이 벌겋게 되는 병인데 술을 먹지 않는 사람에게 생긴다.

[註] 사포(사포) : 코 끝이 벌겋게 되면서 겉이 약간 두툴두툴해지는 병.

승마탕(升麻湯)

폐풍창(肺風瘡)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4g, 삽주(창출) 칡뿌리(갈근), 도라지(길경), 승마 각각 2.8g, 함박꽃뿌리(작약), 대황(술에 축여 찐 것) 각각 2g, 끼무릇(반하), 벌건솔풍령(적복령), 구릿대(백지), 당귀 각각 1.2g, 지각, 건강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골풀속살(등심초) 한자밤과 함께 달여 먹는다[단심].

청폐음자(淸肺飮子)

코가 붉어진 것과 폐풍창을 치료한다.

박하 40g, 산다화(山茶花), 검은 참깨(胡麻仁),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산치자, 칡뿌리꽃(葛花), 너삼(고삼), 감초 각각 2.8g, 연교, 형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방풍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서 먹은 다음 바르는 약을 쓴다[의감].

차비거홍방(차鼻去紅方)

백반, 수은, 참먹(京墨) 각각 4g, 살구씨(행인) 49개, 경분 2.8g, 백양나무잎(白楊葉) 7잎, 대풍자 49개, 오미자 49알, 호두 7개.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달걀 흰자위에 개어 붉어진 곳에 바른다[의감].

얼굴과 코에 검은 자줏빛이 나는 것[面鼻紫黑]

얼굴은 양 중에서도 양(陽)이고 코는 얼굴 한복판에 있다. 그러므로 온몸의 혈이 돌아가다가 얼굴과 코에 와서는 아주 맑고 정미한 혈로 된다.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은 그 술 기운이 얼굴과 코를 훈증하게 된다. 혈이 술기운을 만나면 몹시 더워지는데 이 더운 혈이 찬 기운을 만나면 걸쭉하게 엉켜서 잘 돌아가지 못하고 검붉어진다. 치료는 막힌 피를 잘 돌게 하고 새 피가 생기게 해야 한다. 이런 데는 청혈사물탕(淸血四物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기가 약할 때에는 여기에 황기(술에 법제한 것)을 넣어서 써야 한다[정전].

콧물이 나오는 것[鼻涕]

(진액문에 자세하게 있다)

재채기[鼻체]

(언어문에 자세하게 있다)

코의 빛깔을 보고 병을 알아내는 것[鼻色占病]

『영추』에 “코 끝의 빛깔이 퍼런 것은 아픈 증상이 있는 것이고 코 끝이 거먼 것은 허로증이며 벌건 것은 풍증이다. 누런 것은 대변 보기가 힘든 증상이 있는 것이고 빛이 선명한 것은 유음(留飮)이 있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 코빛이 퍼렇게 되면 배가 몹시 아픈데 몸이 찬 사람이면 죽는다[정전].

○ 코 끝이 약간 허연 것은 피를 많이 흘린 것이고 벌건 것은 피에 열이 있는 증인데 이런 증상은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에게 많다[삼인].

수양하는 방법[修養法]

가운뎃손가락으로 늘 콧마루 양쪽을 20-30번씩 문지르되 코 안팎이 다 뜨거워질 때까지 한다. 이것은 코에 영향을 주어 폐(肺)를 눅여(潤) 주려는 것이다[양성].

○ 코 안의 털은 항상 뽑아 버려야 한다. 그것은 코가 신기(神氣)가 드나드는 문호이기 때문이다[양성].

[註] 이 방법읕 고려하여야 한다.

단방(單方)

모두 15가지이다.

백염(白鹽, 소금)

술을 마셔서 코가 벌겋게 된 것을 치료한다. 물에 개어 코를 늘 문지르면 잘 낫는다[득효].

백반(白礬)

코 안에 생긴 군살을 없앤다. 백반가루(구운 것)를 돼지기름(저지)에 개어 솜에 싸서 코를 막으면 아주 잘 낫는다[본초].

유황(硫黃)

코가 벌겋게 된 것을 치료하는데 아주 잘 낫는다. 유황을 녹여서 소주(燒酒)에 세번 담가 낸 다음 가루를 내어 가자즙(茄子汁)에 개서 세번만 바르면 곧 낫는다[종행].

웅황(雄黃, 석웅황)

코 안에 생긴 군살을 치료한다. 대추씨만한 것으로 콧구멍을 막으면 군살이 저절로 떨어진다[본초].

경분(輕粉)

술을 마셔서 코가 벌겋게 된 것을 치료한다. 경분과 유황을 가루를 내어 물에 개서 문지른다. 또한 경분, 유황, 유향, 족두리풀(세신)을 가루를 내어 물에 개어 붙이기도 한다[강목].

세신(細辛, 족두리풀)

코가 메고 냄새가 나며 군살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참외꼭지(과체)와 섞으면 과정산(瓜丁散)이 된다. 어떤 사람이 코 안에 군살이 생긴 것이 밖에까지 나왔을 때 외용약으로 이 약을 씻는데 삭아졌다[강목].

궁궁(芎궁, 궁궁이)

콧물이 많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건강(乾薑)

코가 멘 것을 치료한다.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콧구멍을 막는다[본초].

신이(辛夷, 목련꽃봉오리)

코가 멘 것을 열리게 한다.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파밑(총백)과 차를 달인 물로 먹는데 조금씩 자주 먹는다. 또는 솜에 싸서 콧구멍을 막아도 된다[본초].

조각(조角, 주염열매)

코가 멘 것을 치료한다. 닦아서 가루를 내어 조금씩 코 안에 불어넣는다. 또는 음식물이 콧속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을 때 이 약가루를 코에 불어넣은 다음 쪄서 기를 하면 곧 나온다[본초].

백초상(百草霜)

코에 생긴 헌데가 오래되어 고름이 나오면서 냄새가 몹시 나는 것을 치료한다.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찬물에 타 먹는다[강목].

과체(瓜체, 참외꼭지)

코 안에 생긴 군살을 없앤다. 가루를 내어 솜에 싸서 코를 막는다. 양기름이나 족두리풀(세신)과 섞어서 써도 잘 듣는다[본초].

호유(胡유, 고수)

코 안에 생긴 군살을 치료한다. 짓찧어 코를 막으면 군살이 저절로 떨어진다[단심].

견담(犬膽, 개쓸개)

코가 몹시 막힌 것과 코 안에 군살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참외꼭지(과체)와 족두리풀(세신)을 가루를 내어 개담즙에 개서 코를 막으면 곧 낫는다[본초].

구두골회(狗頭骨灰, 개대가리뼈)

태워 가루를 낸 다음 망사(망砂)를 조금 섞어서 코 안에 밀어 넣으면 군살이 저절로 삭는다[단심].

○ 『약성가(藥性歌)』에 “개대가리뼈 태운 가루 4g에 정향 2g을 섞어서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코 안에 불어넣으면 군살이 삭아 물이 된다”고 씌어 있다[유취].

침뜸치료[鍼灸法]

맑은 콧물이나 탁한 콧물이 나올 때에는 상성(上星)혈에 뜸 14장을 뜬다. 또한 인중(人中)혈과 풍부(風府)혈에도 뜨는데 그래도 낫지 않으면 백회(百會), 풍지(風池), 풍문(風門), 대추(大椎) 혈에 떠야 한다[강목].

○ 코가 메서 냄새를 맡지 못하면 영향(迎香), 상성(上星), 합곡(合谷) 혈에 뜸을 떠야 하는데 그래도 낫지 않으면 인중, 풍부, 백로(百勞), 전곡(前谷) 혈에 뜸을 떠야 한다[강목].

○ 코에서 냄새가 나는 더러운 콧물이 나올 때에는 상성, 곡차(曲差), 합곡, 인중, 영향(迎香) 혈에 놓는다[강목].

○ 코 안에 군살이 생겼으면 풍지, 풍문, 풍부, 인중, 화료(和료) 혈에 놓는다[동원].

○ 콧물이 많이 나오면 신회(신會), 전정(前頂), 영향 혈에 뜸을 뜨는 것이 좋다[자생].


코뼈가 아프다(안경 닿는 부분 아프다, 코는 폐, 뼈는 腎 丙辛合水) : 소장정격

코 속에 군살이 생김(鼻痔及瘡) : 신정격/간정격/위승한격

코안이 미친 듯이 가려울때 : 소장정격

:  酒痰方

코끝이 반들반들하다(코피가 나기도한다) : 폐한격

코막힘, 코의 건조감, 열감, 코딱지, 코피 :  소장정격

코피(지혈이 잘 안됨, 탈수 안면부종 혼수상태 肝熱-이마 뒷목 냉찜질) : 간한격

코피(코 막으면 멈춤, 음식은 잘 먹음) : 위한격

코피(濁涕가 오래되어 생김, 출혈이 적다) : 위승한격/비정격

코피(가슴이 답답하고 쓰라리다) : 심한격

맑은 콧물을 흘림(鼻涕, 폐가 풍한을 감하여 피모를 상함) : 폐정격

맑은 콧물이 줄줄, 신경예민 : 위승한격

신경예민, 비염 상악동염 축농증 :  위승한격

알러지성 비염, 건초열(비염의 일종) : 폐정격 / 위승한격

비염+ 냄새 잘못맡음 : 임읍 함곡 중저 통곡 액문

몸살감기(, 신통, 콧물) : 위승한격

鼻寒하여 냄새맡지 못함(폐가 풍한을 감하여 피모를 상함) :  폐정격

코막힘(鼻塞, 감기후 냄새 맡지 못함) : 폐정격

코막힘(찬바람 쐬지 않아도 감기도 아닌데 코막히고 냄새 못 맡음) :  삼초정격

냄새 너무 잘 맡는다 :  소장정격/ 폐정격

'동의보감 > 외형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장(外障)  (0) 2016.05.29
귀(耳)  (0) 2016.05.29
입과 혀(口舌)  (0) 2016.05.29
이빨(牙齒)  (0) 2016.05.29
목구멍(咽喉)  (0) 2016.05.29
:
Posted by doc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