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6. 5. 29. 08:42

피부(皮) 동의보감/외형편2016. 5. 29. 08:42

피부[皮]

« 동의보감(東醫寶鑑)

피부[皮]

피부가 가렵고 아픈 것[痒痛] » · 반진(반疹) » · 음증의 반진[陰證發반] »

내상으로 반진이 돋은 것[內傷發반] » · 반진이 돋으려는 증후[發반候] »

반진의 예후[반疹吉凶證] » · 은진(은疹) » · 비사와 뾰두라지, 땀띠[사좌비] »

단독(丹毒) » · 마목(麻木) » · 색택증(索澤證) »

전풍(전風), 역양풍(영瘍風), 백철(白철) » · 자전풍을 치료 처방[治紫전風方] »

자전풍과 백전풍을 치료하는 처방[治赤白汗斑方] »

검은 사마귀와 기미[黑지엽子] » · 기미를 없애는 방법[去黑엽子方] »

 

피부에는 부분이 있다[皮有部分]

대체로 12경의 낙맥(絡脈)은 피부 부분에 있다. 그러므로 피부에 있는 낙맥을 보고 푸른 빛이 많으면 아픈 증이고 검은 빛이 많으면 저린증이다. 누르고 붉은 빛이 많으면 열증이고 흰빛이 많으면 한증이다. 5가지 빛이 다 있으면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증이다. 낙맥이 성하면 사기가 경맥으로 들어가는데 양경맥으로 들어가면 겉에 나타나고 음경맥에 들어가면 속에 나타난다[내경].

○ 피부는 경맥의 부분이다. 12경맥은 모두 부분이 있는데 한결같지 않으면 중병[大病]이 생긴다. 한결같지 않다는 것은 다른 맥과 빛이 같지 않다는 말이다[내경].

피부와 털은 폐에 속한다[皮毛屬肺]

『내경』에는 “폐와 배합되는 것은 피부이고 폐의 상태가 겉에 나타나는 곳은 털이다. 또한 폐는 피부와 털을 주관한다. 또한 장에 있어서는 폐가 되고 형체에 있어서는 피부와 털이 된다”고 씌어 있다.

○ 사기가 폐에 있으면 피부가 아프다[영추].

○ 피부는 주리(주理)라고도 하는데 진액이 스며나가는 곳을 주(주)라 하고 살금이 모인 곳을 이(理)라고 한다[내경].

○ 주리를 현부(玄府)라고도 하는데 현부는 땀구멍이다. 땀은 빛이 검붉고 구멍을 따라 나오는데 땀이 속에 모여 있기 때문에 현부라고 한다. 부(府)는 모이는 곳이라는 말이다[내경].

풍한의 사기는 먼저 피모로 들어온다[風寒之邪先入皮毛]

온갖 병은 처음 생길 때는 반드시 피모에서부터 시작한다. 사기(邪氣)가 들어오면 주리(주理)가 열리고 주리가 열리면 사기가 낙맥(絡脈)으로 들어간다. 낙맥에 머물러 있을 때에 없애지 않으면 경맥으로 전해 들어가고 경맥에 머물러 있을 때에 없애지 않으면 6부로 전해 들어가서 창자에 자리잡는다. 사기가 처음 피부에 들어오면 오싹오싹하면서 솜털이 일어서고 주리가 열린다. 낙맥에 들어가면 낙맥이 성(盛)해져서 빛이 변한다. 경맥에 들어가면 허한 것을 따라 처져 내려간다. 힘줄과 뼈 사이에 들어가 찬 기운이 많을 때는 힘줄이 조여들고 뼈가 아프며 열이 많으면 힘줄이 늘어지고 뼈가 녹는 듯하며 살이 여위고 깊은 살이 빠지며 털이 꼿꼿해지고 부스러진다[내경].

맥 보는 법[脈法]

맥은 부(浮)하면서 대(大)하다. 부한 것은 풍(風)으로 허(虛)해진 것이고 대한 것은 기가 강한 것이다. 풍과 기가 서로 부딪치면 두드러기가 생겨서 온몸이 가렵다. 가려운 것을 설풍(泄風)이라고 하는데 오래되면 문둥병처럼 된다[중경].

○ 반진(斑疹)의 양맥은 부(浮)하면서 삭(數)하고 음맥은 실(實)하면서 대(大)하다. 화(火)가 표(表)에서 성(盛)하기 때문에 양맥은 부삭(浮數)하고 하초(下焦)에 실열(實熱)이 있기 때문에 음맥은 실대(實大)하다[정전].

○ 맥은 대개 침복(沈伏)하고 혹 세(細)하면서 산(散)하기도 하고 혹 아주 끊어지기도 한다[정전].

○ 활백인(滑伯仁)은 “맥은 피가 파동치는 것이다”고 하였다. 반진이 생기면 피가 피부에 흩어지기 때문에 맥이 복(伏)하다[정전].

○ 맥이 부하면서 유(濡)하면 기가 허한 것인데 촌부에서 맥이 유하면 윗도리에 감각이 없고 척부에서 맥이 부유하면 아랫도리에 감각이 없다[정전].

○ 맥이 부하면서 완(緩)한 것은 습증(濕證)에 속하며 마비증(麻痺證)이 되고 맥이 긴(緊)하면서 부한 것은 한증에 속하며 통비(痛痺)가 되고 맥이 색하면서 규(규)한 것은 어혈증(瘀血證)에 속하고 감각이 둔해져서 아프며 가려운 줄을 모른다[정전].

피부가 가렵고 아픈 것[痒痛]

가렵고 아픈 것은 피모에서 생긴다.

○ 『내경』에 “여러 가지의 가려운 증은 모두 허증(虛證)이다”고 씌어 있다. 혈이 살과 주리를 잘 영양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렵게 된다. 이때는 반드시 몹시 보하는 약으로 음혈을 보양해서 혈이 고르게 되면 살이 윤택해지면서 가려운 증이 저절로 멎는다[단심].

○ 가려울 때 긁으면 멎는 것은 긁는 것이 화(火)의 작용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약간 긁으면 오히려 더 가렵고 몹시 긁으면 가려운 것이 멎는 것은 피부가 얼얼하게 되면서 금(金)의 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얼얼한 것이 화의 작용을 멎게 하기 때문에 금의 기운이 작용하면 화의 기운이 풀린다[하간].

○ 불기운을 가까이 할 때에 약간 뜨거우면 가렵고 몹시 뜨거우면 아프며 불에 닿으면 데어서 헌데가 생기는 것은 모두 화의 작용이다. 여름에 화기가 왕성하면 만물이 번영하고 아름다워지는 것처럼 가려운 증은 아름다운 병이라고 한다. 혹은 아픈 것은 실증이고 가려운 것은 허증이라고 하는데 이 허증이라는 것은 한증을 의미한 것이 아니라 바로 열증이 약간 심한 것을 말한 것이다[하간].

○ 온갖 통증은 다 화(火)에 속한다[내경].

○ 피부가 아픈 것은 심(心)이 실(實)한 데 속한다. 『내경』에는 “여름 맥은 심의 맥이다. 여름 맥이 너무 지나치면 몸에서 열이 나고 피부가 아프며 헌데가 난다”고 씌어 있다[강목].

○ 몸이 허해서 가려운 증이 나는 데는 사물탕에 속썩은풀(황금)을 더 넣어 달인 물에 개구리밥가루를 타 먹는다[단심].

○ 몸에 벌레가 기어가는 것처럼 가려운 것은 혈허(血虛)한 것이므로 사물탕의 양을 많이 먹으면서 겸하여 씻는 약으로 씻는다[단심].

○ 술을 마신 뒤 온몸이 가려워진 것이 풍창(風瘡)과 같아서 피가 나올 때까지 긁는 데는 선태산을 쓴다[입문].

씻는 약[조洗藥]

풍(風), 조(燥)로 몸이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으아리(위령선), 영릉향, 모향(茅香) 각각 300g, 마른연잎(乾荷葉), 고본, 곽향, 구릿대(백지), 감송향 각각 15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150g을 물 3통에 넣고 몇 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바람이 들어오지 않는 방 안에서 목욕을 한다[단심].

선태산(蟬퇴散)

술을 마신 뒤에 몸이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매미허물(선각), 박하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술과 물을 탄 것으로 먹는다. 일명 선퇴산(蟬退散)이라고도 한다[득효].

반진(반疹)

피부에 빛이 다른 점이 나타나면서 싸라기와 같은 것이 돋아 올라오지 않는 것을 반(반)이라 하고 피부가 약간 들뜨면서 싸라기와 같은 것이 돋는 것을 진(疹)이라고 하는데 방금 내돋았다가 금방 들어가고 또 돋는 것이다[단심].

○ 반진이 나오는 것은 위(胃)의 열이 수소음(手少陰)의 화(火)를 도와 수태음(手太陰)폐경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붉은 점이 아롱아롱하게 피모 사이에 돋은 데는 백호탕, 사심탕,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처방은 모두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등에서 골라 쓴다[단심].

○ 상한에 반진이 나온 것을 양독(陽毒)이라 하고 춘온병(春溫病)에 반진이 나온 것을 온독(溫毒)이라 하고 여름철의 열병에 반진이 나온 것을 열독(熱毒)이라 하고 돌림병에 반진이 나온 것을 시독(時毒)이라 한다. 이름은 비록 다르나 원인은 다 같이 열인데 모두 심화(心火)가 폐에 들어갔기 때문에 붉은 점이 폐의 배합인 피모(皮毛)에 나타난다. 경한 것은 모기가 문 자리와 같은 반진이 손과 발에만 돋는데 처음에는 붉다가 차츰 누렇게 된다. 중한 것은 가슴과 배에 비단무늬와 같이 돋으며 처음에는 약간 불그스름하다가 새빨갛게 된다. 절대로 땀 내는 약을 써서 다시 땀구멍이 열리게 해서는 안 된다. 만일 땀 내는 약을 써서 병이 심하게 되면 피부가 짓무른다[입문].

○ 양독(陽毒)으로 발반(發반)이 된 데는 인삼백호탕, 삼황석고탕(三黃石膏湯, 처방은 모두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소반청대음을 쓴다.

○ 온독(溫毒)으로 발반이 된 데는 흑고, 갈근귤피탕. 현삼승마탕을 쓴다.

○ 열독으로 발반이 된 데와 돌림병으로 발반이 된 데는 화반탕, 저담계자탕, 서각현삼탕을 쓴다. 반이 성하여 진무른 데는 망초저담즙법을 쓴다[입문].

○ 겨울철에 이상기후로 따뜻한 때에 사람들이 그 부정한 기운을 받으면 봄철에 가서 겨울에 받은 온독이 발작한다. 처음 피부에 비단무늬 같은 반이 돋으며 기침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멀건 물만 구토하는 데는흑고를 쓰는 것이 좋다[활인].

○ 반은 비단무늬같이 아롱아롱하고 빛이 붉은 것은 위에 열이 있는 것이고 빛이 검붉은 것은 위가 헌 것이다[해장].

○ 임신부가 상한으로 반이 돋은 데는 치자대청탕을 쓴다[입문].

○ 반의 빛이 검붉고 목구멍이 막히면서 아프며 헛소리하고 번조해 하는 데는 자설(紫雪, 처방은 화문(火門)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소반청대음(消반靑黛飮)

양독과 열독(熱毒)으로 비단무늬처럼 반진이 돋은 것을 치료한다.

황련, 석고, 지모, 시호, 현삼, 생지황, 산치자, 서각, 청대 각각 4g, 인삼,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1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인 다음 1숟가락의 식초를 타 먹는다[입문].

흑고(黑膏)

온독으로 반진이 돋은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106g, 좋은 약전국 66g, 돼지기름(저지) 400g.

위의 약들을 한데 달여 3분의 1쯤 줄면 찌꺼기를 버리고 석웅황(웅황), 사향 각각 0.4g씩 가루를 낸 것을 넣고 고루 섞어서 다시 달여 세번에 나누어 끓인 물에 타 먹으면 그 독이 피부로 나오고 곧 낫는다[입문].

갈근귤피탕(葛根橘皮湯)

동온(冬溫)으로 반진이 돋은 것을 치료한다.

칡뿌리(갈근), 귤껍질(陳皮), 살구씨(행인), 지모, 속썩은풀(황금), 마황,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달여 먹는다[원융].

현삼승마탕(玄蔘升麻湯)

상한으로 반진이 돋으면서 번조(煩躁)해하고 헛소리를 하며 목구멍이 막히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현삼, 승마,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화반탕(化반湯)

양독과 온독, 열독으로 반진이 돋은 것을 치료한다. 즉 인삼백호탕(人參白虎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이다.

저담계자탕(猪膽鷄子湯)

열독과 시독(時毒)으로 반진이 돋은 것을 치료한다.

돼지열물(저담즙) 2홉, 식초 3홉, 달걀(생것) 1개.

위의 약들을 세번 끓어오르게 달여 실한 사람은 한번에 다 먹고 약한 사람은 다섯번에서 여섯번 끓어오르게 달여 먹는다[활인].

서각현삼탕(犀角玄蔘湯)

반진이 돋은 것을 치료한다.

서각(가루를 낸 것) 4g, 승마 8g, 속썩은풀(황금) 6g, 향부자, 현삼 각각 4g, 인삼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청 4g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회춘].

치자대청탕(梔子大靑湯)

임신부가 상한으로 반진이 돋아 빛이 거멓게 된 것을 치료한다.

산치자, 대청, 속썩은풀(황금) 각각 6g, 승마 4g, 살구씨(행인) 3.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망초저담즙법(芒硝猪膽汁法)

반진이 헐어서 빛이 검붉게 짓물러서 고약한 냄새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망초와 돼지열물(저담즙)을 한데 개어 닭의 깃에 묻혀 바른다[입문].

음증의 반진[陰證發반]

음증의 반진이 가슴, 잔등과 손발에 드물게 돋고 약간 붉은 것을 열증으로 알고 성질이 서늘한 약을 먹이면 큰 잘못이다. 이것은 화(火)가 제자리를 지키지 못하고 떠올라 가슴에 모여서 폐만 훈증하여 피부로 전해서 반점이 돋은 것이다. 이것은 마치 모기, 등에(맹충), 벼룩, 이 등이 문 것 같고 비단무늬 같지는 않다. 이런 데는 조중탕, 승마별갑탕 등의 약을 쓰면 반진이 저절로 없어진다[활인].

조중탕(調中湯)

내상(內傷)과 외감(外感)으로 음증의 반진이 돋은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6g, 귤껍질(陳皮) 4g, 사인, 곽향,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도라지(길경), 끼무릇(반하), 구릿대(백지), 강호리(강활), 지각, 감초 각각 2.8g, 궁궁이 2g, 마황, 계지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승마별갑탕(升麻鼈甲湯)

음독으로 음반(陰반)이 돋은 것을 치료한다.

승마 8g, 당귀, 감초 각각 4.8g, 자라등딱지(별갑, 구운 것) 4g, 석웅황(웅황, 가루를 낸 것) 1.6g, 조피열매(천초) 2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내상으로 반진이 돋은 것[內傷發반]

내상으로 반진이 돋는 것은 위기(胃氣)가 극도로 허해서 온몸의 화(火)가 겉으로 나와 돌아다니기 때문이다. 이때는 반드시 보하여 화를 내려야 한다[단심].

○ 내상으로 반진이 돋는 것은 혹 담열(痰熱)이 원인이 되어 돋는 것도 있다. 화(火)이면 보하여 화를 내리고 담열(痰熱)이면 약간 땀을 내어 흩어지게 한다. 절대로 설사를 시키지 말아야 한다[단심].

○ 내상으로 돋은 반진이 경하면 모기 문 자리 같은 것이 손발에 많이 돋지만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나는 일은 없다. 이런 데는 조중익기탕(調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內傷門)에 있다), 황기건중탕(黃 建中湯, 처방은 허로문(虛勞門)에 있다)을 쓴다[입문].

반진이 돋으려는 증후[發반候]

대체로 땀을 내거나 설사시켜도 병이 풀리지 않고 발이 차고 귀가 먹으며 안타깝게 답답하고[煩悶] 구역이 나며 기침을 하는 것은 반진이 돋으려는 증후이다. 이런 데는 반진이 돋지 않게 하는 약을 써서 막는 것이 좋다[입문].

○ 반진이 돋을 듯하면서 돋지 않을 때에는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을 먹어서 먼저 그 독을 헤쳐 버려야 한다[회춘].

반진의 예후[반疹吉凶證]

빛이 붉은 반진이 돋으면 다섯은 죽고 하나가 살 수 있다. 빛이 검은 반진이 돋으면 열 사람은 죽고 한 사람쯤 산다. 이런 데는 모두 화반탕에 자설(紫雪, 처방은 화문(火門)에 있다)을 겸하여 쓰는 것이 좋다[강목].

○ 대체로 반진의 빛이 붉고 몸이 달며 가슴과 배에서부터 돋아 팔다리로 퍼져 나가는 것은 좋고 빛이 검고 몸이 차며 팔다리에서부터 가슴과 배로 들어오면서 돋는 것은 죽는다[입문].

○ 양독으로 생긴 반진은 빛이 붉으며 광택이 나고 드물게 돋으며 생긴 지 5-6일이면 스스로 낫는다. 만약 음맥(陰脈)이 나타나면서 반진의 빛이 검고 빽빽하게 돋아서 전각처럼 몰리고 몸이 차면 6-7일에 가서 죽는다[입문].

○ 반진이 먼저 붉어졌다가 뒤에 검어지면서 과실씨와 같이 되는 것도 역시 죽는다[입문].

○ 반진이 돋으면서 설사가 나는 것은 치료하지 못한다. 반진의 빛이 처음은 벌개졌다가 뒤에 검어지고 얼굴빛도 검어지면 치료하지 못한다[득효].

○ 새빨간 반진이 돋으면 절반은 살고 절반은 죽으며 검은 반진이 돋으면 아홉은 죽고 하나가 산다[정전].

○ 반진이 새빨간 것은 위(胃)에 열이 있는 것이고 자줏빛이면서 붉지 않은 것은 열이 심한 것이며 검자색[紫黑]은 위(胃)가 헌 것이다. 때문에 벌건 반진은 경하고 검은 반진은 중하다. 대체로 빛이 새빨갛고 말간 것은 좋고 검자색은 치료하기 어려우며 검은 반진이 섞이고 짓무른 것은 죽는다[회춘].

○ 대체로 단독(丹毒)이 먼저 팔다리에 생겨 배로 올라오면 죽는다[정전].

○ 단독이 생겨 온몸이 검어지거나 배나 음부로 들어가면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은진(은疹)

은진이 돋는 것은 대부분 비(脾)에 속하는데 은은히 피부 사이에 비치기 때문에 은진이라고 한다. 은진이 돋으면 몹시 가렵거나 감각을 잘 모르게 된다. 풍(風)과 열(熱)과 습(濕)을 겸한 것들이 있다. 또 빛이 붉은 것은 화(火)를 겸한 것이다[단심].

○ 은진이라는 것은 벌건 헌데딱지 같은 것이 피부 표면에 은은히 나타나면서 가렵기만 하고 붓거나 아픈 일은 없기 때문에 은진이라고 한다. 몸에 생기는 것이 가장 중하다. 이것은 즉 온독(溫毒)으로 생긴다. 이런 데는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에 우엉씨(대력자), 형개, 방풍 등을 더 넣어 쓰는 것이 좋다[입문].

○ 은진에는 붉은 것과 흰 것의 구별이 있다. 붉은 은진은 양에 속하므로 서늘하게 하면 낫고 흰 은진은 음에 속하므로 따뜻하게 하면 낫는다[정전].

○ 붉은 은진에는 호마산이 좋고 흰 은진에는 소풍산(消風散, 처방은 머리문[頭門]에 있다)이 좋다[입문].

○ 은진이 붉거나 흰 데는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처방은 풍문(風門)에 있다)에서 망초를 빼고 약전국과 파밑(총백)을 더 넣고 마황을 곱으로 넣어 달여 먹고 땀을 내는 것이 좋다[구선].

○ 온몸에 흰 은진이 돋아 계속 가려운 것이 날씨가 흐리고 차면 더하고 날씨가 개이고 따뜻하면 좀 나은 것은 한사(寒邪)가 기육(肌肉)과 피부에 잠복해 있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이런 데는 지실술을 먹고 또 지실을 달인 물로 아픈 곳을 씻는다. 이와 함께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 처방은 풍문(風門)에 있다)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 은진에 식초를 먹으면 풍진(風疹)이 되어 좋지 않을 수 있다[직지].

○ 풍진(風疹)을 앓는 환자는 흔히 눈이 어두워 보지 못하는 일이 있다. 풍만 치료하면 어둡던 눈이 스스로 낫는다[입문].

○ 은진에는 화피산, 청기산, 강미강활산, 서각소독음을 쓰는 것이 좋으며 은진이 헐었을 경우에는 가미오형원을 쓴다.

호마산(胡麻散)

풍열(風熱)로 은진이 돋아서 온몸이 가렵거나 옴처럼 된 것과 자전풍(紫 風), 백전풍(白 風) 등을 치료한다.

참깨(호마) 100g, 너삼(고삼), 형개수, 은조롱(하수오) 각각 40g, 으아리(위령선, 닦은 것), 방풍, 석창포, 우엉씨(대력자, 닦은 것), 단국화(감국), 순비기열매(만형자), 남가새열매(백질려, 닦은 것), 감초 각각 3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박하를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지실주(枳實酒)

온몸에 흰 은진이 돋아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지실 적당한 양을 밀기울과 함께 노랗게 닦은 다음 썰어서 한번에 12g씩 따뜻한 술 1잔에 2시간쯤 담갔다가 지실을 버리고 술만을 마신다[득효].

화피산(樺皮散)

폐에 풍사(風邪)가 있어 온몸에 은진이 돋아 가려워서 긁은 것이 헌데가 된 것과 혹은 옴처럼 된 것을 치료한다.

화피(약성이 남게 태운 것), 지각(밀기울과 함께 닦은 것) 각각 80g, 살구씨(행인), 형개수 각각 40g, 감초(닦은 것)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서 하루 두번 먹는다[국방].

청기산(淸肌散)

은진이 붉거나 희면서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에 천마, 박하, 매미허물(선각) 등을 더 넣고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가미강활산(加味羌活散)

은진이 돋아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전호 각각 4.8g, 인삼, 도라지(길경), 지각, 궁궁이(천궁), 천마,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 각각 2.8g, 매미허물(선각), 박하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가미오형원(加味烏荊元)

은진독이 위로 치밀어 머리와 얼굴이 벌겋게 부으면서 가려운데 긁으면 피부가 떨어져서 헌데가 생겨 진물이 나온다. 그것이 사방으로 퍼져서 마치 벌레가 기어가는 것 같은 것을 치료한다.

오두(끓는 물에 세번에서 다섯번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형개수 각각 160g, 박하 100g, 당귀(씻어서 3일 동안 담가 두었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3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식초를 두고 쑨 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득효].

비사와 뾰두라지, 땀띠[사좌비]

『내경』에 “일을 하고 난 뒤에 땀이 났을 때 풍한을 받아 상박되면 비사[사]가 되고 그것이 몰리면 뾰두라지가 된다”고 씌어 있다. 뾰두라지는 일을 했을 때 땀구멍에서 땀이 나와 기름기와 엉켜서 생기게 된다. 이런 데는 방풍통성산에서 망초를 빼고 집함박꽃뿌리(백작약)와 당귀를 곱절 넣어 땀구멍에 들어 있는 풍사(風邪)를 발산시키고 영위(榮衛)를 조화시켜야 한다. 이것을 민간에서 풍자(風刺)라고 한다[강목].

○ 『내경』에 “땀이 난 뒤에 습사를 받으면 좌(좌)와 비(비)가 생긴다”고 씌어 있다. 좌라는 것은 뾰두라지인데 크기가 메대추씨(산조인)나 콩알만하며 빛이 붉으면서 속에 피고름이 차 있다[강목].

○ 여름철에 땀을 지나치게 흘려 피부에 좁쌀알만한 것들이 붉게 돋은 것을 땀띠[비子]라고 한다. 이것이 짓무르고 헤져서 헌데가 된 것을 비창(비瘡)이라고 한다. 이런 데는 옥녀영을 쓴다[기효].

○ 뾰두라지와 땀띠는 제비쑥(靑蒿)을 달인 물로 씻는다[입문].

○ 땀띠가 돋아 가렵고 아픈 데는 우물물에 제비쑥(靑蒿)을 담가 주물러 즙을 내어 조가비가루(蛤粉)와 함께 개어 붙인다[득효].

○ 땀띠로 생긴 헌데는 음력 섣달의 눈 녹인 물로 씻으면 좋다. 진주조개가루를 물로 개어 붙이면 더욱 좋다[입문].

○ 대추잎을 짓찧어 낸 즙을 땀띠로 생긴 헌데에 바르면 좋다[본초].

○ 좁쌀을 여러 날 물에 담가 약간 썩게 한 다음 갈아서 가라앉힌 웃물로 땀띠로 생긴 헌데를 치료하면 매우 좋다. 이것을 영분(英粉)이라고 한다[본초].

○ 땀띠로 생긴 헌데는 옥분산을 쓰는 것이 좋다.

옥녀영(玉女英)

땀띠로 생긴 헌데가 가렵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녹두가루(綠豆粉)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솜에 묻혀 헌데에 뿌려 준다. 혹은 황백, 대추잎(棗葉) 각각 20g, 용뇌 조금을 넣으면 더 좋다. 또 한 가지 처방에는 좁쌀가루를 썼다[입문].

옥분산(玉粉散)

더워서 땀이 축축하게 난 탓으로 헌데가 생겨 붓고 가려우며 달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조가비가루(蛤粉) 190g, 곱돌(활석) 170g, 한수석(달군 것), 좁쌀가루(粟米粉) 각각 40g, 연분 20g, 석고, 백석지, 용골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마른 것을 헌데에 뿌려 준다[단심].

단독(丹毒)

단독이란 갑자기 몸에 연지를 바른 것같이 벌겋게 된 것이다. 민간에서는 적류(赤瘤)라고 한다. 간혹 헌데를 잘못 다쳐서 그 둘레가 달고 벌겋게 된 것을 창류(瘡瘤)라고 하는데 이것은 모두 일정치 않은 구름 발 같은 붉은 줄이 사방으로 뻗쳐 나간다. 어린이가 이 병에 걸리면 좋지 않다. 백일도 못 되는 갓난아이에게 생긴 것은 태류(胎瘤)라고 하는데 제일 치료하기 어렵다[동원].

○ 단진(丹疹)은 모두 나쁜 독과 열혈(熱血)이 명문(命門)에 몰렸다가 군화(君火)와 상화(相火)가 성할 때를 만나면 생긴다. 더운 시기에는 통성산 등 맵고 성질이 서늘한 약을 써서 풀어 주고 추운 시기에는 칡뿌리(갈근), 승마와 같은 맵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풀어 준다. 대체로 단독은 팔다리에서 생겨 배로 올라오면 죽는다[단심].

○ 어린이의 단독(丹毒)과 태단(胎丹)은 모두 소아문에 자세히 씌어 있다.

○ 단독에는 남엽산, 발독산, 서각소독음 등을 쓴다.

남엽산(藍葉散)

단독을 치료한다.

쪽잎(藍葉), 칡뿌리(갈근), 승마, 생지황, 함박꽃뿌리(작약), 궁궁이(천궁), 살구씨(행인), 지모, 시호, 구릿대(백지), 감초(생것) 각각 4g, 석고, 산치자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발독산(拔毒散)

단독이 여기저기로 퍼져 나가는 것을 치료한다.

한수석, 석고(생것) 각각 80g, 황백, 감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새로 길어온 물로 개어 닭의 깃에 묻혀 아픈 곳에 발라준다. 종이에 발라서 붙이기도 한다[동원].

서각소독음(犀角消毒飮)

단독과 반진, 은진을 치료한다.

우엉씨(대력자) 16g, 형개, 방풍 각각 8g, 감초 4g, 서각 (따로 물로 갈아 즙을 낸다)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서각즙을 타 먹는다[단심].

마목(麻木)

『영추』에 “위기(衛氣)가 돌지 못하면 마목(麻木)이 된다”고 씌어 있다.

○ 『영추』에 “잠을 깨면 양(陽)의 길이 열려 양기가 온몸에 퍼지고 잠을 자면 양의 길이 막히므로 양기가 돌지 못하는 것이 마치 낮과 밤이 갈라지는 것과 같다. 양이 쇠약하면 음(陰)이 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래 앉았다가 일어나도 마목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기가 잘 돌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데는 반드시 폐(肺)의 기를 보하면 마목(麻木)이 스스로 풀린다”고 씌어 있다[동원].

○ 만일 살이 뻣뻣하면 반드시 영기(榮氣)를 사해야 낫는다[강목].

○ 여러 가지 비증[痺] 가운데서 착비(着痺)에 마목이 되면서 쓰기가 불편하게 된다[강목].

○ 하간(河間)은 “착비는 한 곳에 머물러 있으면서 없어지지 않고 팔다리가 마목이 되면서 가드라든다”고 하였다. 『내경』에는 “병이 오래되면 깊이 들어가 영위(榮衛)가 잘 돌지 못하고 경락이 때로 통하지 않기 때문에 아프지 않으며 피부가 영양을 받지 못하므로 감각을 알지 못한다”고 씌어 있다. 대체로 감각을 알지 못한다는 것은 온몸이나 팔다리가 마목되어서 아프고 가려운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마치 노끈으로 꼭 매었다가 풀어 놓았을 때와 같은 것이다. 옛 의서에 있는 마비(麻痺)란 바로 이것이다[정전].

○ 마(麻)는 기가 허한 것이 원인이고 목(木)은 습담(濕痰)과 어혈로 되는 것이다. 그래서 마와 목으로 감각을 알지 못하는 것을 둘로 구분한 것이다[단심].

○ 열 손가락이 마목된 것은 위(胃) 속에 습담과 어혈이 있는 것이다. 습담이면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에 삽주(창출), 흰삽주(백출),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을 더 넣으며 부자를 조금 넣어 경혈을 잘 통하게 하고 어혈이면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血門)에 있다)에 삽주(창출),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흰솔풍령(백복령), 강호리(강활), 소목, 잇꽃(홍화)을 더 넣어 쓴다[의감].

○ 손발이 마목된 원인이 습(濕)이라면 향소산(香蘇散,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에 삽주(창출), 마황, 계지, 강호리(강활), 구릿대(백지), 모과를 더 넣어 쓴다[의감].

○ 손발이 마목(麻木)된 데는 사물탕과 이진탕을 합한 것에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흰겨자(白芥子), 참대기름, 생강즙을 더 넣어 경락을 잘 통하게 한다[의감].

○ 온몸이 마목된 것은 기가 허한 것이다. 이런 데는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內傷門)에 있다)에 목향, 오약, 향부자, 선귤껍질(청피), 방풍, 궁궁이(천궁)를 더 넣고 계지를 조금 넣어 경락을 잘 돌게 한다[의감].

○ 마목에는 인삼익기탕, 신효황기탕, 충화보기탕, 쌍합탕, 개결서경탕, 마골방을 쓴다.

인삼익기탕(人蔘益氣湯)

여름철에 습열(濕熱)이 성할 때 두 손의 감각이 둔해지고 나른한 것을 치료한다.

황기 8g, 인삼, 감초(생것) 각각 6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2.8g, 시호 2.4g, 승마, 감초(닦은 것) 각각 2g, 오미자 3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하루 두번씩 먹고 감각이 둔해진 곳을 자주 문질러 주면서 굽혔다 폈다 한다[동원].

신효황기탕(神效黃기湯)

온몸의 감각이 둔해진 것을 치료한다.

황기 8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감초(닦은 것) 각각 6g, 인삼 4g, 귤껍질(陳皮) 2.8g, 순비기열매(만형자)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충화보기탕(충和補氣湯)

잠을 자면 감각이 둔해지고 깨어나면 풀리며 팔다리가 나른하고 싸늘하며 눈 앞이 아찔하고 머리가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황기 8g, 삽주(창출), 귤껍질(陳皮) 각각 6g, 인삼, 흰삽주(백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택사, 저령 각각 4g, 강호리(강활) 2.8g, 승마, 감초 각각 2g, 따두릅(독활), 당귀, 황백 각각 1.2g, 시호, 약누룩(신국), 목향, 초두구, 마황, 황련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쌍합탕(雙合湯)

습담과 어혈로 감각이 둔해진 것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생건지황,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흰솔풍령(백복령), 흰겨자(백개자) 각각 4g, 복숭아씨(도인) 3.2g, 잇꽃(홍화, 술로 법제한 것),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참대기름(竹瀝)과 생강즙을 타 먹는다[의감].

개결서경탕(開結舒經湯)

부인이 7정(七情)과 6울(六鬱)로 기가 경락을 막아 손발의 감각이 둔해진 것을 치료한다.

차조기잎(자소엽), 귤껍질(陳皮), 향부자, 오약, 궁궁이(천궁), 삽주(창출), 강호리(강활), 천남성, 끼무릇(반하), 당귀 각각 3.2g, 계지, 감초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인 다음 참대기름(죽력)과 생강즙을 타 먹는다[의감].

마골방(麻骨方)

머리에서부터 명치까지 감각이 둔해지면 죽을 수 있다. 혹은 발바닥에서 무릎까지 감각이 둔해져도 죽을 수 있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 또 한 가지 처방은 고련자를 태워 가루를 낸 다음 한번에 12-20g씩 황주에 타 먹으면 곧 낫는다[회춘].

색택증(索澤證)

『내경』에 “이양(二陽)에 병이 들어 추웠다 열이 났다 하다가 전변되어 색택(索澤)이 된다”고 씌어 있다. 왕씨(王氏)의 주해에는 “색(索)이란 없어졌다는 말인데 정혈(精血)이 말라들기 때문에 피부의 윤택한 기운이 다 없어진 것이다”고 씌어 있다.

○ 족소양의 경맥에 병이 들면 몸에 기름기가 없어진다[영추].

○ 허손증에서 첫째가 폐를 상하여 피부가 주름지고 털이 빠지는 것이다. 이런 데는 사군자탕(四君子湯, 처방은 기문(氣門)에 있다)을 쓰고 심폐(心肺)가 모두 허하면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虛勞門)에 있다) 을 쓴다[강목].

○ 피부가 색택하다는 것은 즉 중경이 말한 것처럼 피부가 고기비늘처럼 까슬까슬하게 되면서 윤기가 없는 것이다[강목].

○ 폐는 기를 돌아가게 해서 피모(皮毛)를 덥게 하는데 기가 잘 돌지 못하면 피모가 마르고 진액이 줄어든다. 진액이 줄어들면 피부가 상하고 진액이 다 없어지면 손톱이 마르고 털이 바스라지면서 죽는다[강목].

○ 5로(五勞)로 허하면 몹시 여위고 속에 피가 마르면 피부가 마르고 거칠게 된다[중경].

전풍(전風), 역양풍(역瘍風), 백철(白철)

대체로 몸의 피부와 살빛이 변하여 벌건 것은 자전풍(紫전風)이고 흰 것은 백전풍(白전風)이다. 혹은 역양풍(역瘍風)이라고도 한다. 백철(白철)이란 피부에 흰 점이 생겨 점점 더 커지고 버짐 같으면서 헐지는 않는다. 이것은 모두 풍사가 피부에 부딪쳐서 혈기가 조화되지 못해서 생긴다. 이런 데는 호마산(胡麻散, 처방은 위에 있다), 창이산, 추풍환, 삼황산, 가감하수오산, 여성고를 쓴다.

창이산(蒼耳散)

자전풍, 백전풍, 파창, 옴, 반진, 백철, 피부가 마르고 거칠어지면서 진물이 흐르는 것 등을 치료한다.

음력 5월초에 도꼬마리잎을 따서 햇볕에 말려 가루를 낸 다음 한번에 8g씩 하루 두번 술에 타 먹는다. 1백일만 먹으면 병독이 피부로 나와 딱지가 앉았다가 떨어지고 살은 기름이 엉긴 것같이 된다. 혹은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50알씩 술로 먹어도 좋다[본초].

추풍환(追風丸)

백전풍(白전風)을 치료한다.

은조롱, 형개수, 너삼(고삼), 삽주(창출) 각각 16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잘 여문 주염열매(조협) 1.2kg(껍질과 시울, 씨를 버린다)을 사기그릇에 넣고 달여 고약처럼 만든 것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술이나 찻물로 빈속에 먹는다[단심].

삼황산(三黃散)

백전풍을 치료한다.

석웅황(웅황), 유황 각각 20g, 황단, 천남성, 백반(구운 것), 밀타승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낸다. 먼저 생강즙으로 병 있는 곳을 문지른 다음 약가루를 묻힌 생강쪽으로 문지르면 점차 검어진다. 다음날에 재차 문지르면 검은 것이 없어지고 낫는다[의감].

자전풍을 치료하는 처방[治紫전風方]

석웅황 20g, 유황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달걀 흰자위로 개어 바른다[의감].

가감하수오산(加減何首烏散)

자전풍, 백전풍, 역양풍, 백철, 은진, 옴, 버짐 등을 치료한다.

은조롱, 순비기열매(만형자), 석창포, 형개수, 너삼(고삼), 으아리(위령선), 단국화, 구기자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꿀을 둔 찻물에 타 먹는다[강목].

여성고(如聖膏)

노래에는 “자전풍과 백전풍에 부자 유황 제일일세. 생강즙에 고루 섞어 가지꼭지 약을 묻혀 두번쯤만 발라 주면 다시는 도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 부자와 유황을 각각 같은 양으로 가루를 낸다. 식초에 적신 가지꼭지로 약가루를 묻혀 바른다. 자전풍에는 붉은 가지를 쓰고 백전풍에는 흰 가지를 쓴다[득효].

○ 단계의 처방에는 노랑돌쩌귀를 썼다.

자전풍과 백전풍을 치료하는 처방[治赤白汗斑方]

석웅황(웅황), 유황, 전갈, 백강잠, 노랑돌쩌귀(백부자), 밀타승(密陀僧) 각각 20g, 사향 0.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쪽으로 묻혀 하루에 서너번씩 바른다. 5일만 바르면 완전히 낫는다[의감].

검은 사마귀와 기미[黑지엽子]

검은 사마귀는 검은 주근깨이다. 풍사(風邪)가 변해서 생긴다[유취].

○ 빛이 검고 큰 것은 기미[엽]라고 한다.

○ 노회고는 사마귀를 빼는 떡이다. 기미도 없애는 처방이다.

노회고(爐灰膏)

검은 사마귀에 바르면 잘 빠진다.

향당로 속의 재 1되 5홉, 풍화된 석회(벌겋게 달군 것) 1되.

위의 약들을 참대광주리에 담아 끓는 물 3사발을 천천히 부어 잿물 1사발을 받는다. 이것을 가마에 넣고 약한 불로 졸여서 묽은 풀처럼 되면 먼저 파두가루 8g을 넣은 다음 두꺼비진(섬소) 8g, 백정향가루 2g, 석회가루(닦은 것) 4g을 넣고 고루 저으면서 다시 졸이되 된 밀가루풀처럼 되면 식혀서 사기그릇에 담아 약 기운이 새 나가지 않게 보관한다. 약을 쓸 때마다 젓가락 끝으로 조금 떼어서 입김을 쏘이면서 풀지게 비빈 다음 바늘로 사마귀를 조금 뒤적거리고 약을 바르면 빠진다[입문].

사마귀를 빼는 약떡[取지餠藥]

찹쌀(나米) 100알, 석회(엄지손가락만한 것), 파두(껍질을 버리고 간다) 3알.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떡을 만들어 사기그릇에 담아 움에 3일간 두었다가 꺼내어 참대꼬챙이로 좁쌀만큼 떼어 사마귀에 바르면 저절로 떨어진다[강목].

기미를 없애는 방법[去黑엽子方]

석회를 물 1잔에 넣고 묽은 풀처럼 되게 갠다. 여기에 온전한 찹쌀을 꽂아 놓되 찹쌀이 석회 속으로 절반 정도 들어가게 해서 하룻밤 두면 찹쌀은 마치 수정같이 변한다. 먼저 바늘로 기미를 약간 들치고 그 위에 쌀을 조금 놓는다. 반나절쯤 지나서 기미에서 진물이 나오면 약을 떼버리고 물을 치지 않으면 2-3일에 없어진다[강목].

단방(單方)

모두 32가지이다.

염탕(鹽湯, 소금 끓인 물)

여러 가지 풍증[風痒]으로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소금 1말을 물 10말에 두고 끓여 절반쯤 줄면 따뜻하게 해서 세번 목욕한다.

○ 가려움증 때 목욕하는 데는 소금보다 나은 것이 없다. 목욕은 진하게 달인 소금물로 하는 것이 제일 좋다[강목].

○ 해수욕을 하면 더 좋다[속방].

적토(赤土, 붉은 흙)

풍진(風疹)으로 참을 수 없이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붉은 흙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찬물에 타 먹는다. 또한 꿀물에 타서 바르기도 한다[본초].

석회(石灰)

백전풍(白전風)과 역양풍(역瘍風)을 치료한다. 석회즙을 따뜻하게 하여 씻는다.

○ 갑자기 은진(은疹)이 돋았을 때 석회를 신좁쌀죽(醋漿水)으로 개어 바르면 곧 낫는다[본초].

반천하수(半天河水, 나뭇구멍이나 왕대그루에 고인 빗물)

백철(白철)을 치료한다. 이 물로 그곳을 씻고 계피를 가루를 내어 물로 갠 다음 하루에 두번씩 백철이 난 곳에 바른다[본초].

망초(芒硝)

일체 반진을 치료한다. 망초를 물에 달여 바른다. 염초도 좋다[본초].

유황(硫黃)

자전풍과 백전풍을 치료한다. 유황(풍화된 것을 식초에 두고 하루동안 달인 것) 40g과 오징어뼈(오적골) 2개를 한데 가루를 내어 목욕한 뒤에 생강쪽에 약가루를 묻혀 여러 번 잘 문지르면 완전히 낫는다[득효].

충위경모(충蔚莖葉, 익모초의 줄기와 잎)

은진(은疹)으로 가려운 데는 진하게 달인 물로 목욕한다[본초].

남옆즙(藍葉汁, 쪽잎즙)

풍진(風疹)과 단독(丹毒)을 치료한다. 마시거나 바르거나 다 좋다[본초].

질려자(질藜子, 남가새열매)

풍으로 가려운 데와 백전풍에 쓴다. 달여 먹기도 하고 씻기도 한다[본초].

경천(景天, 꿩의 비름)

은진으로 몹시 가려운 데는 짓찧어 낸 즙을 바른다[본초].

인진(茵蔯, 더위지기)

온몸이 풍으로 가렵고 헌데가 난 것을 치료한다. 더위지기(인진)를 진하게 달여 씻는다[본초].

창이(蒼耳, 도꼬마리)

부인이 풍으로 가렵거나 은진으로 몸이 계속 가려운 데 쓴다. 꽃과 잎, 열매를 각각 같은 양으로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두림주(豆淋酒)에 타 먹는다[본초].

고삼(苦蔘, 너삼)

풍열(風熱)로 온몸에 아주 작은 두드러기가 돋아서 참을 수 없이 가렵고 아픈 데 쓴다. 너삼가루 40g, 주염열매(조각) 80g을 물 1되에 넣고 비벼서 즙을 내어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고약처럼 졸인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30-50알씩 따뜻한 물로 끼니 뒤에 먹으면 다음날에는 낫는다[본초].

우방자(牛蒡子, 우엉씨)

피부에 풍열이 있어 온몸에 은진이 나서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우엉씨(대력자)와 개구리밥(부평초)을 각각 같은 양으로 가루를 내어 박하를 달인 물에 8g씩 타서 하루 두번 먹는다[본초].

나마초(蘿摩草)

백전풍에 쓴다. 줄기 속의 흰 즙을 세번만 바르면 낫는다[본초].

하고초(夏枯草, 꿀풀)

자전풍과 백전풍에 쓴다. 꿀풀을 진하게 달인 물로 하루 여러 번 씻는다[단심].

파초유(芭蕉油, 파초진)

유풍(遊風), 풍진(風疹), 단독(丹毒) 등을 치료한다. 진을 내어 바른다[본초].

삭조(삭조, 말오줌나무)

풍으로 가려운 것과 은진이 돋아서 몸이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말오줌나무를 진하게 달인 물로 목욕하면 곧 낫는다[본초].

양제근(羊蹄根, 소루쟁이뿌리)

역양풍(역瘍風)을 치료한다. 뿌리를 캐어 철판 위에 놓고 좋은 식초를 치면서 갈아낸 즙을 바른다. 유황가루를 조금 넣으면 더욱 좋다[본초].

능소화(凌소花)

온몸이 풍으로 가렵거나 은진이 돋은 것을 치료한다. 능소화를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술에 타 먹으면 낫는다[단심].

유목중충설(柳木中蟲屑, 버드나무의 좀똥)

풍으로 가렵거나 은진이 돋은 데 쓴다. 물에 달여 목욕하면 낫는다[본초].

화피(樺皮, 봇나무껍질)

폐의 풍독(風毒)으로 몸이 가려운 데 쓴다. 봇나무껍질을 달여 먹는다[본초].

노봉방(露蜂房, 말벌집)

풍으로 계속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말벌집(구운 것)과 매미허물(선태)을 같은 양으로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술에 타서 하루 두세번 먹는다[본초].

제조(제조, 굼벵이)

적유진(赤遊疹)과 백유진(白遊疹)을 치료한다. 생베로 헌데를 문질러 껍질이 약간 벗겨지게 한 다음 굼벵이의 즙을 바른다[본초].

만려어(鰻려魚, 뱀장어)

풍으로 가려운 것과 백철, 역양풍을 치료한다. 뱀장어를 구워 늘 먹는다. 또는 불에 구워 기름을 내어 바르기도 한다[본초].

사태(蛇태, 뱀허물)

백전풍, 백철, 역양풍을 치료한다. 뱀허물을 구워 가루를 낸 다음 식초로 개어 바른다. 뱀허물을 달인 물로 바르기도 한다[본초].

강랑(강랑, 말똥구리)

역양풍(역瘍風)에 주로 쓴다. 길가에서 죽은 말똥구리를 짓찧어 뜨겁게 하여 붙인다[본초].

백화사(白花蛇)

갑자기 풍으로 가려운 것과 몸에 백전풍, 역양풍, 얼룩점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백화사의 살을 발라 가루를 낸 다음 4-8g씩 술에 타 먹는다. 검은 뱀이 더욱 좋다[본초].

단웅계관혈(丹雄鷄冠血, 붉은 수탉볏의 피)

백전풍과 역양풍을 치료한다. 그 피를 바른다[본초].

발합(발합, 집비둘기)

풍으로 가려운 것, 백전풍, 역양풍을 치료한다. 집비둘기 고기를 구워 먹는다[본초].

우락(牛酪, 졸인 젖)

붉은 은진을 치료한다. 졸인 젖(酪)에 소금을 조금 넣어 끓인 다음 바르면 곧 낫는다[본초].

계란(鷄卵, 달걀)

자전풍과 백전풍을 치료한다. 달걀(생것) 1개를 식초에 하룻밤 담갔다가 바늘로 찔러서 흰자위를 뺀 다음 비상과 녹두가루를 조금씩 넣어 고루 섞어서 돌로 전풍을 문질러 껍질이 벗겨진 다음 쪽물 들인 천에 약을 묻혀 문지르면 낫는다[득효].

뜸치료[灸法]

전풍(전風)과 역양풍(역瘍風)에는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 마디의 오목한 곳에 뜸 15장을 뜬다. 군살이나 여러 가지 사마귀에도 다 효과가 있다[입문].


대상포진(살에 끓는 물을 붓는 느낌) : 소장정격

화상(감자를 찧어서 싸맨다/황백가루를 붙인다) : 소장정격+피부침

동상 : 음릉천 내양구+소장정격

刺傷(칼에 베임, 열나고 에리다) : 소장정격

痛風(어딘가 닿으면 불로 지지는 것 같고 아픈 부위에 청색 나타난다,  :  류머티스) : 담정격

몸이 어디에 접촉되어도 찬바람이 나는 느낌 : 소장정격

사마귀 : 피부침+(소장정격/간정격/신정격)

티눈 또는 굳은 살(티눈 떼어내고 자침) : 비승격

몸에 밤알 또는 손바닥만한 멍울이 여기저기 생긴다 : 담승격

백반증(백납, 폐실간허) : 폐승격 / 간정격

알레르기 자반증(대장절제수술) : 대장정격

피부가 검으면서 윤기 없다(방사과도), 面垢 : 신정격

피부가 누렇고 검은 빛이 나고 붓는다 : 비열격

황달(얼굴 노랗다, 간염으로 인한 것) : 비정격

황달(채독으로 인한 것) : 비정격

황달(肉疸 고기 먹고 체해서 생김) : 심정격

황달(食疸) : 위정격

황달(勞疸) : 간정격

황달(色疸) : 신정격

황달(酒疸) : 기해 대돈 소충

피부색이 황색이다 : 비한격

피부건조(눈꼬리 올라가고 공격적인 성격) : 담승격

피부건조(담실비허의 의미) : 비정격

피부건조, 부들부들하고 :  비듬같은 흰가루날림 : 폐정격/소장정격(여름甚 겨울無)

피부건조, 가죽처럼 딱딱하고 진물난다 : 대장정격

피부건조, 오래 안 씻은 듯이 보임 : 대장정격

튼살, 닭살 : 대장정격

두드러기 : 대장정격

심한 두드러기 : 간정격

두드러기(더운 곳으로 가면 생김) : 심정격

冷두드러기(찬데 나가거나, 물에 들어갔다 오면 생김) : 신정격

丹毒, 風丹(몸에 흰얼룩 생겼다가 물집되고 다시 누런 진물나고 헐고 아프다) : 삼리양계

아토피성, 가죽처럼 딱딱하고 진물난다 : 대장정격

아토피성, 좁쌀처럼 도돌도돌 두드러기같은 것이 나고 진물이 남 : 소장정격

상처나 종기가 진물이 나면서 아물지 않는다(산성체질) : 위승격

온몸에 헌데 : 대장정격/위정격

머리에 부스럼, 髮際瘡(목뒤로 뽀드락지, 종기, 부스럼) : 대장정격

종기(속에서 밖으로 곪아 나오는 것) : 위정격/대장정격

종기(밖에서 안으로 곪아 들어감) : 소장정격

종기가 불을 가까이 하면 심해지고 주위가 빨갛다(+밀가루+황백가루 반죽) : 소장정격

옹저, 궤양(농이 나오며 딱지 생김) : 위정격

입술이 빨갛고 잘 헐고 종기가 난다 : 비한격

고름 초기 : 밀가루+꿀 붙이고 잔다

살이 깊은 곳의 피부병(겨드랑이, 살이 겹치는 곳) : 심정격

접촉성 피부염 : 대장정격/소장정격(여름)

수술자리 뜸자리가 볼록 튀어나온 것 : 대장정격/소장정격

부르트거나 상처가 난 뒤 벌겋게 남는 경우 : 소장정격

수두(피부에 물집생기는 급성 발진성 전염병) : 소장정격

살이 밀려 속에 물이 찬것 : 소장정격

찬데 나가면 가렵다, 건조감 : 신정격

벌레 물려 가려움 : 소장정격(/비정격)+후지

피부가 따끔따끔하거나 물방울이 흘러내리는 것 같다 : 소장정격

 

遍身痒如蟲行(전신 또는 신체의 어느 부위에 벌레가 기어 다니는 것처럼 굼실거려서 

      긁어도 멈추지 않고 가려워 참기가 어려운 증 心實) : 태충(迎後正)광명()음곡대돈

着痺濕勝(벌레가 기는 듯하고 긁어도 멈추지 않는다 :  

        꼬집어도 아픈거 모름, 마목이 있는 듯, 관절이 붓는다) : 비승격

皮痹(긁어도 아픈거 모름, 처음에는 벌레가 굼실굼실 기어 다니는 것 같다) : 폐정격

脈痹(肢節부위 마비감으로 저리고, 피부 벌레기어가고 열나고 가렵고 에리고 따갑다) : 소장정격

                                                                       / 대릉 심해

肉痿(사지가 마비되는 느낌, 꼬집어도 모른다) : 비정격

肌痺(만지면 몸살처럼 살갗이 아프다, 저리다) : 위승격

몸이 저리거나 남의 살처럼 감각이 둔하다 : 간정격

전신에 뭔가 척 달라붙어 있는 것 같다 : 비승격/대돈 은백

骨痺(骨髓不行하여 피부 감각이 둔하고 肌肉重着, 四肢가 緩弱하고 뼈속이 시리며

          骨이 중압감 느껴 쉽게 들지 못함, 뻐근함) : 방광정격/ 골비방/소장정격

'동의보감 > 외형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리(腰)  (0) 2016.05.29
옆구리(脇)  (0) 2016.05.29
살(肉)  (0) 2016.05.29
맥(脈)  (0) 2016.05.29
힘줄(筋)  (0) 2016.05.29
:
Posted by doc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