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6. 5. 29. 08:59

진액(津液) 동의보감/내경편2016. 5. 29. 08:59

진액

« 동의보감(東醫寶鑑)

진액[津液]

저절로 나는 땀[自汗] » · 식은땀[盜汗] » ·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
머리에서 땀 나는 것[頭汗] » · 심한(心汗) »
손발에서 땀 나는 것[手足汗] » · 음낭 부위에서 땀 나는 것[陰汗] »
혈한(血汗) » · 황한(黃汗) » · 누풍증(漏風證) » · 망양증(亡陽證) »

절한(絶汗) » · 유한(柔汗) »

눈물[泣] » · 콧물[涕] » · 멀건 침[涎] » · 느침[唾] »

 

몸 안에 있는 진액[身中津液]

『영추(靈樞)』에 “주리(주理)가 열려 땀이 축축하게 나는 것을 진(津)이라고 한다. 진이 많이 빠지면 주리가 열려서 땀이 많이 흐른다”고 씌어 있다.
○ 음식물을 먹으면 기운이 충만해지고 윤택해지며 뼈에 잦아들어서 뼈들을 구부렸다 폈다 하게 하고 수분을 내보내며 뇌수(腦髓)를 좋게 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데 이것을 액(液)이라고 한다. 액이 많이 빠지면 으 마음대로 구부렸다 폈다 할 수 없고 얼굴이 마르며 뇌수가 줄어들고 다리가 시글며[ ] 귀에서 소리가 자주 난다[자생].
○ 음식물이 입을 통해 위(胃)에 들어가서 5가지 액으로 갈라지는데 이때에 날씨가 차거나 옷을 얇게 입었으면 액이 오줌과 기로 되고 날씨가 덥거나 옷을 두텁게 입었으면 땀으로 된다. 그리고 슬퍼하는 기운이 겹치면 눈물이 되고 열을 받아 위(胃)가 늘어지면 침[唾]이 되며 사기(邪氣)가 속에 들어가서 치밀면 기가 막혀 잘 돌아가지 못한다. 기가 잘 돌아가지 못하면 수창증(水脹證)이 된다[자생].
○ 주리( 理)가 열려 땀이 축축히 나는 것을 진(津)이라고 한다. 진이 구멍으로 스며들어가 머물러 있으면서 돌아가지 못하면 액(液)이 된다[내경주].
○ 대장(大腸)은 진(津)을 주관하고 소장(小腸)은 액(液)을 주관한다. 대장과 소장은 위의 영기(榮氣)를 받아서 진액을 상초로 올라가게도 하고 피모(皮毛)에 고루 보내기도 하며 주리를 든든하게 한다. 그리고 음식을 조절하지 못해서 위기(胃氣)가 부족해지면 대장과 소장이 받아들이는 것이 없어지기 때문에 진액이 말라 줄어든다[동원].

신은 액을 주관한다[腎主液]

『난경』에는 “신이 5액(五液)을 주관하면서 5장에 나누어주며 변화시킨다. 이 액은 간(肝)에서 눈물로 되고 심(心)에서 땀으로 되며 비(脾)에서 멀건 침[涎]으로 되고 폐(肺)에서 콧물로 되며 신(腎)에서 느침[唾]으로 된다”고 씌어 있다.
○ 『영추』에는 “5장에서 액이 변화하는데 심에서는 땀으로 되고 폐에서는 콧물로 되며 간에서는 눈물로 되고 비에서는 멀건 침으로 되며 신에서는 느침[唾]으로 되는데 이것이 5액이다”고 씌어 있다.
[註] 5액(五液) : 몸에서 나오는 5가지 액체 즉 눈물, 땀, 콧물, 멀건 침, 느침.

맥 보는 법[脈法]

『내경』에 “팔뚝 안쪽 피부가 거칠고 맥이 활(滑)한 것은 땀이 많은 것이다”고 씌어 있다. 주석에는 “팔뚝 안쪽 피부가 거칠고 척맥이 활(滑)한 것은 저절로 땀이 나오면서 피가 마르고 진이 많이 빠졌기 때문이다”고 씌어 있다.
○ 맥이 대(大)하면서 허(虛)하거나 부(浮)하면서 유(濡)한 것은 땀이 나기 때문이다[정전].
○ 『맥결』에는 “땀이 나오면서 맥이 부(浮), 허(虛), 삽(澁), 유(濡), 연(軟), 산(散), 홍(洪), 대(大)할 때에는 목이 말라서 물을 한정없이 마신다”고 씌어 있다.
○ 땀이 날 때에는 간맥(肝脈)이 부, 허, 유, 삽하다.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은 촌맥(寸脈)에서 알리고[在] 식은땀이 나는 것은 척맥(尺脈)에서 알린다[회춘].
○ 『맥경』에는 “남자의 맥이 보통 허, 약(弱), 미(微), 세(細)하면 식은땀이 잘 난다”고 씌어 있다.
○ 촌구맥이 미(微)하고 척맥이 긴(緊)한 것은 몸이 허약하고 땀이 많이 나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음은 항상 있으나 양은 끊어져서 알리지 않는다[중경].
○ 상한 때 맥이 부(浮)하면서 지(遲)하고 얼굴이 달아올라서 벌겋게 되고 몸이 떨릴 때에는 땀을 내야 낫는다. 맥이 지(遲)한 것은 양이 없어진 것인데 이때에는 땀이 잘 나지 않고 반드시 몸이 가볍다[중경].

땀은 습열 때문에 나온다[汗因濕熱]

『내경』에 “심(心)이 땀을 나게 한다. 또한 음(陰)에 양(陽)이 겹치면 땀이 난다”고 씌어 있다. 주석에 “양기가 위로 치밀 때 음이 제자리에 있으면 훈증되기 때문에 땀으로 된다. 또한 양기로 말미암아 땀이 나오는 것은 비가 오는 것과 같다”고 씌어 있다.
○ 『난경』에 “신(腎)에 있던 사기(邪氣)가 심으로 들어가면 땀이 난다”고 씌어 있다.
○ 땀은 심(心)의 액(液)이므로 심이 동(動)하면 갑자기 땀이 나게 된다[의감].
○ 심은 군화(君火)이며 비위(脾胃)는 토(土)에 속하므로 습(濕)과 열(熱)이 서로 부딪치면 땀이 생기는 것은 명백하다. 그리고 시루에다 술을 만들 때 끓는 물이나 불로 덥히는 것과 같이 하지 않으면 땀이 생길 수 없다[정전].
○ 『내경』에 “음식을 지나치게 먹으면 땀이 위(胃)에서 나오고 놀라서 정기(精氣)를 잃으면 땀이 심(心)에서 나오며 무거운 것을 들고 멀리 가면 땀이 신(腎)에서 나오고 빨리 뛰거나 무서운 일을 당하면 땀이 간(肝)에서 나오며 지나치게 일을 하면 땀이 비(脾)에서 나온다”고 씌어 있다.
○ 위기(衛氣)가 허하면 땀이 많고 영혈(榮血)이 허하면 땀이 없다[강목].
○ 풍병(風病) 때 땀이 많이 나오는 것은 풍사(風邪)가 기를 헤쳐 놓기 때문이다(자세한 것은 풍문(風門)에 있다). 담증(痰證) 때도 역시 땀이 나면서 머리가 어지럽고 구역이 난다. 이런 데는 궁하탕(芎夏湯, 처방은담음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화기(火氣)가 훈증하면 위(胃) 속에 있는 습도 역시 땀으로 되는데 이런 데는 양격산(凉膈散, 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단계].

저절로 나는 땀[自汗]

저절로 나는 땀이란 언제나 땀이 축축하게 나다가 운동을 하면 더 심하게 나는 땀을 말한다. 이것은 양기가 허한 것과 관련되는데 위기(胃氣)가 주관한다. 치료할 때에는 양(陽)을 보하고 위(胃)를 고르게 하는 것이 좋다[정전].
○ 『영추』에 “위기(衛氣)는 주리를 든든하게 하고 그의 조절작용을 맡아 한다. 그러므로 위기가 허하여 주리를 조절하는 작용을 잘하지 못하게 되면 땀이 많이 나온다”고 씌어 있다.
○ 『내경』에 “땀이 몸 한쪽에서만 나오면 한쪽 몸을 쓰지 못하며 여위게 된다”고 씌어 있다.
○ 땀이 많이 나오면서 몸이 연약한 것은 습증(濕證)이다. 심(心)은 열(熱)을 주관하고 비(脾)는 습(濕)을 주관하는데 습과 열이 부딪치면 마치 땅의 증기가 구름, 비, 안개, 이슬이 되는 것과 같이 된다. 이런 데는 조위탕과 옥병풍산이 좋은데 위열(胃熱)이 있으면 이감탕이 좋다[입문].
○ 저절로 나는 땀은 기(氣)가 허(虛)한 데와 습(濕)과 담(痰)에 속하는데 기가 허하면 인삼, 황기, 계지를 조금 넣어 쓰고 진양(眞陽)이 허하면 부자를 조금 넣어 달여 써야 한다[단계].
[註] 진양(眞陽) : 일명, 원양, 신양, 진화, 진원, 명문지화, 선천지화라고도 한다. 그리고 원융, 신수, 진수, 진음, 신음에 대한 상대적인 말로도 쓰인다.
○ 모든 내상(內傷)이나 허손증(虛損證)으로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이 멎지 않는 데는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부자, 마황뿌리, 밀쭉정이를 조금 넣어서 쓰면 효과가 매우 좋다. 그러나 승마와 시호는 꿀물에 축여 볶아서 끌어올리고 헤치는[發] 성질이 빠른 것을 없애고 써야 한다. 또한 인삼, 황기 등의 약으로 기표(肌表)에까지 약 기운이 나오게 해야 한다[동원].
○ 『중경』의 계지탕은 풍사에 감촉되어 저절로 땀이 나는 증상에 매우 좋은 약이다. 황기건중탕은 외감(外感)으로 기가 허해져서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은 약이며 보중익기탕은 내상(內傷)으로 기가 허해져서 저절로 땀이 나는 증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은 약이며 보중익기탕은 내상으로 기가 허해져서 저절로 땀이 나는 증을 치료하는 묘한 처방이다[동원].
○ 저절로 땀이 나는 증에는 황기탕, 황기육일탕(黃 六一湯, 처방은 옹저문에 있다), 삼귀요자, 모려산, 소건중탕(小建中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삼기탕, 쌍화탕(雙和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계부탕, 출령탕, 진액단, 삼부탕, 기부탕 등을 다 쓴다.

조위탕(調衛湯)
습(濕)이 많아서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뿌리, 황기 각각 4g, 강호리(강활) 2.8g, 감초(생것), 당귀잔뿌리, 속썩은풀(황금, 생것), 끼무릇(반하) 각각 2g, 맥문동, 생지황 각각 1.2g, 저령 0.8g, 소목, 잇꽃(홍화) 각각 0.4g, 오미자 7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옥병풍산(玉屛風散)
표(表)가 허하여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10g, 방풍, 황기 각각 4.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방풍과 황기는 표(表)의 기(氣)를 든든하게 하고 흰삽주(백출)는 속에 있는 습(濕)을 마르게 하기 때문에 효과가 있다[단심].

이감탕(二甘湯)
위(胃)에 열이 있어서 끼니 뒤에 땀이 비오듯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감초(생것), 감초(닦은 것), 오미자, 오매살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생강 2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황기탕(黃기湯)
음양(陰陽) 가운데서 어느 하나가 허(虛)하여 저절로 땀이 나거나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8.8g, 생건지황, 천문동, 흰솔풍령(백복령), 마황뿌리 각각 6g, 당귀 4.8g, 맥문동 4g, 오미자, 밀쭉정이, 감초 각각 2.8g, 방풍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 이 약은 엄씨황기탕과 같으나 그보다 용골 1가지가 없으며 찐지황(숙지황)을 빼고 생지황을 넣었다.

삼귀요자(蔘歸腰子)
심기(心氣)가 허손(虛損)되어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하는데 심액(心液)을 걷어 들인다.
인삼과 당귀 각각 20g을 썬다. 그리고 돼지염통 1개를 여러 조각으로 쪼갠 다음 그 속에 있는 피채로 물 2사발에 넣고 먼저 1사발 반이 되게 달인다. 여기에 위의 2가지 약을 넣고 다시 8분이 되게 달인다. 다음 맑은 웃물을 받아서 그 물로 염통을 다 먹는다[단심].

모려산(牡蠣散)
여러 가지 허증(虛證)과 부족증으로 몸에 늘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이 밤에 누우면 더 심하고 오래되지 않아 여위며 가슴에 놀란 것처럼 두근거리는 것을 치료한다.
굴조개껍질(모려, 달군 것), 마황뿌리, 황기, 지모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밀쭉정이를 달인 물에 8g씩 타 먹는다. 썰어서 달여 먹어도 좋다[득효].
○ 『단계』의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은 방풍, 황기, 흰삽주(백출), 굴조개껍질(모려), 마황뿌리 각각 같은 양으로 되어 있는데 썰어서 물에 달여 먹으면 좋다.

소건중탕(小建中湯)
표허증(表虛證)으로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 황기건중탕이란 바로 이 처방에 황기를 넣은 것인데 허로(虛勞)로 땀이 저절로 나는 것을 치료한다.
○ 당귀건중탕이란 이 처방에 당귀 40g을 넣은 것인데 혈이 허하며 땀이 저절로 나는 것을 치료한다.
○ 계지부자탕이란 이 처방에 계지 20g과 부자(싸서 구운 것) 반 개를 넣은 것인데 저절로 땀이 계속 나는 것을 치료한다. 한번에 28g씩 생강 7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삼기탕(蔘기湯)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당귀,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에 축여 볶은 것), 메대추씨(닦은 것), 굴조개껍질(모려) 각각 4g, 귤껍질(陳皮) 2.8g, 감초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알, 밀쭉정이 한자밤, 오매 1개와 함께 달여 먹는다[의감].

출령탕(朮령湯)
허(虛)하여 땀이 나는 것을 멎게한다.
황기, 방풍, 흰솔풍령(백복령), 흰삽주(백출), 마황뿌리 각각 20g, 감초(닦은 것)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8g씩 밀쭉정이 1백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직지].

진액단(鎭液丹)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100g, 부자(큰 것을 잿불에 묻어 구워서 껍질과 배꼽을 버리고 동변에 담갔다가 볶은 것) 80g, 방풍(닦은 것), 흰삽주(백출, 닦은 것),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에 축여 볶은 것), 육계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술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빈속에 데운 술로 먹는다. 메대추씨(산조인)를 넣으면 더 좋다[의감].

삼부탕 (蔘附湯)
양(陽)이 허(虛)하여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인삼 20g, 부자(싸서 구운 것)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3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제생].

기부탕( 附湯)
기(氣)가 허(虛)하여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부자(싸서 구운 것) 각각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제생].

계부탕(桂附湯)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이 멎지 않고 계속 나는 것을 치료한다.
계지, 부자(싸서 구운 것) 각각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앞의 약과 같은 방법으로 달여 먹는다[제생].

식은땀[盜汗]

『내경』에 “신(腎)이 병에 생기면 잠잘 때 땀이 나고 바람이 싫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잠잘 때 나는 땀이 식은땀이다”고 씌어 있다. 성무기(成無己)는 “식은땀은 잠자는 사이에만 나다가 깨어나면 멎는다”고 하였다.
○ 식은땀은 잠자는 사이에 나는데 온몸이 목욕한 것같이 된다. 이와 같이 된 것은 깨어나서야 알 수 있다. 이것은 음허증(陰虛證)에 속하는데 영혈(榮血)이 주관한다. 그러므로 반드시 음을 보하고 화(火)를 내려야 한다[정전].
○ 식은땀이 나는 것이 바로 음허증인데 이것은 혈이 허하고 화가 있기 때문이다. 당귀육황탕을 쓰면 아주 잘 낫는다. 또한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지모, 황백을 넣어 써도 되는데 기까지 허하면 인삼, 흰삽주(백출), 황기를 넣어 쓴다[단심].
○ 식은땀이 나면서 신화(腎火)가 몹시 동한 데는 정기탕을 쓰는 것이 좋고 비(脾)에 습(濕)이 성(盛)한 데는 사제백출산이 좋으며 간(肝)에 열이 있는 데는 용담산이 좋다. 자고만 싶고 눈만 감으면 땀이 나는 것은 담(膽)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소시호탕(小柴胡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 좋은데 당귀지황탕, 모려산, 삼기탕들도 두루 쓴다.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
식은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아주 좋은 약이다.
황기 8g, 생지황, 찐지황(숙지황), 당귀 각각 4g, 속썩은풀(황금), 황련, 황백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하간].
○ 황기는 표(表)의 기를 든든하게 하고 당귀, 생지황, 찐지황(숙지황)은 음혈(陰血)을 보하며 속썩은풀(황금), 황련, 황백은 속에 있는 화(火)를 없애기 때문에 효과를 본다[단심].

정기탕(正氣湯)
음화(陰火)를 내리고 식은땀을 멎게 한다.
황백, 지모(닦은 것) 6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사제백출산(四製白朮散)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흰삽주(백출) 160g을 썰어서 4몫으로 나누어 놓는다. 다음 황기, 석곡, 굴조개껍질(모려), 밀기울 각각 40g을 따로따로 썰어서 흰삽주(백출) 1몫과 함께 넣고 흰삽주(백출)가 누렇게 되도록 닦아서 흰삽주(백출)만 골라 가루낸다. 한번에 12g씩 좁쌀미음에 타 먹는데 다 먹으면 아주 좋은 효과가 나타난다[단계].

용담산(龍膽散)
간(肝)에 열(熱)이 있어서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용담초, 방풍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한번에 4g씩 잠잘 무렵에 미음에 타 먹는다[직지].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
식은땀이 나서 기혈(氣血)이 다 허해진 것을 치료한다.
당귀, 찐지황(숙지황), 생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에 축여 볶은 것),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g, 황백, 지모(다 꿀물에 축여 볶은 것), 귤껍질(陳皮) 각각 3.2g, 인삼 2g,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1알, 밀쭉정이 한자밤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모려산(牡蠣散)
식은땀이 나는 것과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굴조개껍질(모려, 달군 것), 황기, 마황뿌리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밀쭉정이 1백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삼인].
○ 다른 한 가지 모려산도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하는데 굴조개껍질(모려), 흰삽주(백출), 방풍 각각 같은 양으로 되어 있다. 이것을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술에 타 먹으면 땀이 곧 멎는다[유취].
[註] 유취(類聚) : 노중례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수십 명의 의학자들이 1477년 12월에 266권으로 편찬하여 출판한 동의학대백과전서인 『의방유취』를 말한다.

삼기탕(蔘 湯)
허(虛)해서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까치콩(백편두), 마(서여), 귤껍질(陳皮), 칡뿌리(갈근), 반하국,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어떤 어린이가 어릴 때부터 소년시기까지 7년 동안 식은땀이 계속 나서 여러 가지 약을 썼으나 효과를 보지 못하다가 양격산과 삼황원(三黃元, 처방은 모두 화문에 있다)을 3일 동안 쓰고 나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신은 5가지 액을 주관하면서 그것을 5가지 습으로 변화시킨다. 상화(相火)가 신수(腎水)를 억누르면 신수는 위로 올라갔다가 심이 허한 틈을 타서 수소음경에 들어간다. 그러면 심화(心火)가 타올라서 폐(肺)로 들어간다. 이것이 바로 신수가 자기가 이기지 못하던 심화를 상화로 속인 것이다. 이와 같이 되어 주리(주理)가 열리고 땀구멍이 닫혀지지 못해서 나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먼저 양격산으로 가슴 속의 상화를 내리고 다음에 삼황환으로 심화를 사(瀉)하여 음분(陰分)을 도와주었기 때문에 신수가 제자리로 돌아가게 되어 땀이 저절로 멎은 것이다[해장].

머리에서 땀이 나는 것[頭汗]

머리는 모든 양(陽)이 모이는 곳이다. 사기(邪氣)가 모든 양과 부딪치면 진액(津液)이 위로 몰리기 때문에 머리에서 땀이 나게 된다[명리].
○ 머리는 3양경이 모이는 곳이다. 3음맥은 가슴에 와서 되돌아서게 된다. 머리에서 땀이 나는 것은 양이 허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양이 약하면 땀이 나지만 음이 허해서는 땀이 나지 않는다[본사].
○ 머리에서 땀이 나다가 목에서까지 땀이 나는 것은 혈증(血證)이다. 이마에서 땀이 더 심하게 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머리는 6양경맥이 모이는 곳이므로 열기가 훈증하면 땀이 나게 된다. 그런데 얼굴을 갈라보면 턱이 신(腎)에 속하고 이마는 심(心)에 속한다. 그러므로 3초(三焦)의 화(火)가 신수(腎水)의 통로를 마르게 하다가 그 나머지가 위[上]로 치밀어 올라 심에 들어가면 머리에서 땀이 나게 되는데 이마에서 더 심하게 나게 된다.(치료법은 상한문에 자세히 씌어 있다)[해장].
○ 습(濕)이 많은 사람은 머리와 이마에서 땀이 난다(자세한 것은 습문(濕門)에 있다).
○ 양명위(陽明胃)가 실(實)해도 역시 머리에서 땀이 난다(자세한 것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수결흉증(水結胸證) 때도 역시 머리에서 땀이 난다(자세한 것은 가슴문[胸門]에 있다).

심한(心汗)

심한이란 다른 곳에서 땀이 나지 않고 오직 심장이 있는 부위에서만 땀이 나는 것을 말한다. 생각을 지나치게 하면 땀도 역시 많이 나는데 이것은 심에 병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진애탕을 쓰는 것이 좋다[단계].
○ 생각을 지나치게 하면 심장이 있는 부위에서만 땀이 나는데 이런 데는 진애탕을 쓰는 것이 좋다. 다른 한가지 방법은 뽕나무가지(상지)에서 2번째 붙어 있는 푸른 잎을 이슬이 있을 때 따서 그늘에 말린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빈속에 미음에 타 먹게 되어 있다. 이것은 또한 식은땀이 나는 것도 멎게 한다[입문].
○ 어른이 명치와 겨드랑이에서 땀이 나는 것은 심혈(心血)이 지나치게 성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얼굴도 늘 벌겋다. 어린이는 놀라면 이와 같이 된다. 어떤 혹자가 명치와 겨드랑이에서 식은땀이 나는 것이 오랫동안 멎지 않았다. 그래서 삼귀요자(蔘歸腰子, 처방은 위에 있다)를 써서 심혈을 걷어 들였는데 곧 나았다[득효].
○ 심장이 있는 부위에서 땀이 나는 데는 복령보심탕을 쓰는 것이 좋다.

진애탕(陳艾湯)
심첨[心頭]이 있는 부위에서 땀이 나는 것을 심한(心汗)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또한 명치와 겨드랑이에서 식은땀이 나는 것도 낫게 한다.
흰솔풍령(백복령)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쓰는데 묵은 약쑥을 진하게 달인 물에 타 먹는다[득효].

복령보심탕(茯 補心蕩)
심한(心汗)을 치료한다. 심한이란 심장이 있는 부위에서만 땀이 나고 다른 곳에서는 땀이 나지 않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은 7정(七情)이 몰리면 생긴다.
흰솔풍령(백복령), 인삼, 흰삽주(백출), 당귀, 생지황,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맥문동, 귤껍질(陳皮), 황련 각각 4g, 감초 1.2g, 주사(따로 가루낸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알, 오매 1개, 밀쭉정이 1백알과 함께 넣고 달인 다음 여기에 주사가루를 타서 먹는다[회춘].

손발에서 땀이 나는 것[手足汗]

손발에서 땀이 나게 되는 것은 진액이 위부(胃府)로부터 사방으로 퍼지면서 겉으로 나오기 때문이다. 열이 몰려서 위부를 억누르기 때문에 땀이 나는 것은 양명증(陽明證)이다. 이때에는 대시호탕(大柴胡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으로 설사를 시켜야 한다[입문].
○ 손발에서 땀이 나기 때문에 속썩은풀(황금), 황련, 황백을 쓰면서 보하는 약까지 겸해 썼으나 완전히 낫지 않았다. 그리하여 팔물탕에 끼무릇(반하), 흰솔풍령(백복령) 을 주약으로 더 넣고 노랑돌쩌귀, 오두를 좌사약으로 더 넣어서 먹였는데 땀이 곧 멎었다[강목].
○ 발에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은 백반, 칡뿌리(갈근) 각각 20g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을 가루내어 물 3사발에 넣고 십여 번 끓어오르게 달여서 그 물로 날마다 발을 씻고 싸맨다. 이와 같이 3-5일동안 하면 땀이 나는 것이 저절로 멎는다[본사].
○ 모반단은 양쪽 겨드랑이에서 땀이 나는 것과 양쪽 발바닥에서 담이 오랫동안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전음문에 있다)

음낭 부위에서 땀이 나는 것[陰汗]

음낭 부위에서 땀이 나는 것은 신(腎)이 허(虛)하고 양기(陽氣)가 쇠약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국방안신환(局方安腎丸, 처방은 허리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 음낭 부위에서 땀이 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소안신환(小安腎丸,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그리고 묵은 된장 마른 것을 끓인 다음 소금을 조금 넣어서 이것으로 대산원을 먹는 것도 좋다.
○ 다른 한 가지 방법은 뱀도랏씨(술에 담갔다가 볶은 것), 백반, 묵은 된장 등을 달인 물에 땀나는 곳을 담그고 씻는 것이다[득효].
○ 음낭 부위에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밀타승을 아주 보드랍게 가루내어 조가비가루와 섞어서 쓰는데 땀이 나는 곳에 뿌린다[단심].
○ 음낭 부위에서 땀이 나는 데는 노감석 10g, 방분, 황련, 오배자 각각 5g 등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쓰는데 먼저 말벌집과 빈랑껍질을 달인 물로 씻은 다음 뿌린다[직지].

대산원(大蒜元)
음낭 부위에 땀이 나서 축축하고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마늘 적당한 양.
위의 약들을 잿불에 묻어 잘 구운 다음 껍질을 벗겨 버리고 잘 짓찧어 담두시가루와 섞는다.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30알씩 대추와 골풀속살(등심초)을 달은 물로 빈속에 먹는다[득효].

혈한(血汗)
(자세한 것은 혈문(血門)에 있다)

황한(黃汗)
(자세한 것은 황달문[疸門]에 있다)

누풍증(漏風證)

황제가 “병이 생겨 몸에 열이 나고 게을러지며 땀이 목욕한 것같이 나고 바람이 싫으며 힘이 없는 것은 무슨 병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그것은 주풍(酒風)이라는 병인데 누풍(漏風)이라고도 한다고 하였다.” 누풍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땀이 몹시 나서 언제든지 홑옷 한가지만 입지 못하며 음식을 먹으면 땀이 난다. 그리고 심하면 몸에 열이 나고 숨이 차며 땀이 나서 옷이 늘 젖어 있고 입과 목이 잘 마르며 힘든 일을 하지 못한다[내경].
이런 데는 백출산을 주로 쓴다.

백출산(白朮散)
술을 마신 다음 풍(風)을 맞았기 때문에 땀이 몹시 나서 홑옷 한 가지만은 입지 못하며 음식을 먹으면 땀이 나서 몸이 물에 씻은 것같이 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을 오랫동안 치료하지 않으면 반드시 소갈증(消渴證)이 된다.
방풍 100g, 흰삽주(백출) 48g, 모려(달군 것)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따뜻한 물에 타 먹는다[하간].

망양증(亡陽證)

땀이 멎지 않고 몹시 나는 것을 망양증이라고 한다. 그리고 땀이 나지 않는 것도 역시 망양증이다. 이때에 가슴이 더부룩하고 답답하여 얼굴빛이 퍼렇고 살이 푸들거리는 것[순]은 치료하기 어렵다. 그러나 얼굴빛이 누렇고 손발이 더운 것은 치료할 수 있다[입문].
○ 땀이 줄줄 흐르는 것이 멎지 않아서 진양(眞陽)이 다 빠진 것을 망양증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반드시 몸이 싸늘하다. 이것이 흔히 한비증(寒痺證)으로 된다[입문].
○ 땀을 지나치게 많이 내면 양이 허해져서 든든하지 못하다. 그리고 땀이 많이 나면 진액이 빠져서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다. 팔다리는 모든 양(陽)의 근본인데 진액이 다 빠지면 뼈마디를 잘 구부렸다 폈다 하지 못한다. 그리고 팔다리가 가드라들면서 켕기는 데는 계지부자탕을 주로 쓴다[입문].
○ 땀을 많이 흘려서 망양증이 생겼으면 땀을 멎게 하는 방법(아래에 있다)을 써야 한다. 양이 허하면 망양증이 생겼으나 땀을 낼 수 없는 데는 도씨재조산(陶氏再造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계지부자탕(桂枝附子湯)
상한(傷寒)에 땀을 지나치게 내서 땀이 줄줄 흐르는 것이 멎지 않고 팔다리가 가드라들면서[拘] 켕기기 때문에 구부렸다 폈다 잘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계지, 부자(싸서 구운 것) 각각 12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8g, 감초(닦은 것)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땀을 멈추는 방법[止汗法]

땀이 나는 것이 멎지 않아 망양증이 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온분(溫粉)이나 홍분(紅粉)을 몸에 뿌리면 좋다. 또한 독승산을 배꼽에 가득 채워 넣어도 된다.
○ 혹 모려, 밀기울, 마황뿌리, 고본, 찹쌀, 방풍, 구릿대(백지)를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서 온몸에 뿌리기도 한다[입문].
○ 마황을 잘못 써서 망양증이 생겨 땀이 멎지 않고 나오면 그 환자로 하여금 머리털을 물에 담그게 하고 몸에는 찹쌀가루나 용골가루나 모려가루를 뿌려 주어야 한다[입문].

온분(溫粉)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흰삽주(백출), 고본,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40g을 좁쌀가루 40g과 고루 섞은 다음 무명천에 싸서 몸에 뿌린다[단심].

홍분(紅粉)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마황뿌리, 모려가루 각각 40g, 적석지, 용골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고루 섞은 다음 무명천에 싸서 뿌린다[득효].

독승산(獨勝散)
저절로 땀이 나는 것과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오배자, 고백반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낸 다음 물에 고루 개서 배꼽에 채워 넣고 천으로 싸매면 곧 낫는다[의감].
○ 어떤 처방은 은조롱을 가루내어 개서 쓰게 되어 있는데 배꼽에 붙이면 잘 낫는다[단심].

땀이 나지 않는 것[無汗]

땀이란 피를 다르게 부른 이름이다. 그러므로 『영추』에는 “피를 몹시 흘린 사람은 땀이 없고 땀을 많이 흘린 사람은 피가 몹시 적다”고 씌어 있다.
○ 한 여름에 목욕을 하고 더운 음식을 먹어도 땀이 나지 않는 것은 표실증(表實證)이다. 표가 실(實)하면 땀이 없다[단계].
○ 3양(三陽)은 실하고 3음(三陰)이 허하면 땀이 나지 않는다. 3음이 실하고 3양이 허하면 땀이 계속 난다[직지].
○ 진기(眞氣)가 이미 부족해지고 위 속에 화(火)가 성하면 땀이 계속 난다. 위(胃) 속의 진기가 이미 없어지고 음화(陰火)도 이미 부족해졌으면 땀이 나지 않고 도리어 마른다. 음양이 동시에 쇠약해지면 4철 동안 땀이 나지 않는데 오랫동안 견딜 수 없다[동원].
○ 상한음증(傷寒陰證) 때는 다 땀이 나지 않는다(자세한 것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 양기(陽氣)가 지나치게 성하면 몸에 열이 나고 땀은 나지 않는다. 음기(陰氣)가 지나치게 성하면 땀이 많이 나고 몸이 차다. 음양이 다 성하면 땀이 나지 않고 몸이 차다[내경].

절한(絶汗)

절한이란 구슬같은 땀이 나기는 하나 흘러내리지는 않다가 곧 마르는 것을 말한다[내경주].
○ 6양(六陽)의 기운이 동시에 끊어지면 절한이 된다. 절한증이 아침에 생기면 저녁에 죽고 저녁에 생기면 아침에 죽는다[영추].

유한(柔汗)

『중경』의 “상한론에 유한의 빛이 누런 것은 비기(脾氣)가 끊어진 것이다”고 씌어 있다.
주석에는 “유는 음(陰)이므로 유한이 곧 찬 땀이다. 또한 기름땀이라고도 하는데 끈적끈적하다”고 씌어 있다.

땀이 나는 것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汗出凶證]

상한열병(傷寒熱病) 때 땀이 나서 머리칼이 축축한 것이 첫째로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 기름 같은 땀이 나는 것이 둘째로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 땀이 맺혀 구슬같이 되는 것이 셋째로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직지].
○ 상한열병 때 머리에서 구슬같은 땀이 나지만 흘러내리지는 않는 것은 양이 다 없어진 증상이므로 곧 죽는다[입문].
○ 상한 때 땀이 나고 머리칼이 축축한 것, 기름같은 땀이 나는 것, 구슬을 꿰어 놓은 것같은 땀방울이 온몸에 나면서도 흘러내리지 않는 것은 모두 치료하지 못할 증상이다[명리].
○ 상한 때 맥이 부홍(浮洪)하며 기름같은 땀이 나서 머리털이 축축하며 천식이 멎지 않는 것은 치료하지 못할 증상인데 죽는다[중경].
○ 상한양증(傷寒陽證) 때 저절로 땀이 나는 데는 9가지 증이 있으며 그에 따르는 치료법도 있다. 음증(陰證) 때에는 땀이 날 수 없고 오직 음독증(陰毒證) 때에만 이마와 손등에 찬 땀이 나는데 심하면 물에 씻은 것같이 땀이 난다. 이것은 양이 허하고 음이 성하여 망양증(亡陽證)이 생겨 다 빠져 나갈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반드시 죽는다[활인].

꺼릴 것[禁忌]

겨울철에는 자연계가 은폐되고 혈기(血氣)도 저장된다. 그러므로 비록 병이 생겼다고 하여도 땀을 많이 내는 것은 좋지 않다[활인].
○ 저절로 땀이 나는 데는 생강을 몹시 꺼려야 한다. 왜냐하면 주리( 理)를 열어 주기 때문이다[단계].
○ 저절로 땀이 나는 데는 매운 것과 5가지 양념을 먹지 말아야 한다.
[註] 5가지 양념 : 마늘, 파, 부추, 염교, 생강.

기가 모여서 액을 생기게 한다[積氣生液]

옛날에 성인은 “양(陽) 가운데서 음(陰)이 생기고 음가운데서 양이 생기면 기가운데서 액(液)이 생기고 액 가운데서 기가 생긴다. 또한 액이 모여서 기를 생기게 하고 기가 모여서 액을 생기게 한다”고 하였다[직격서].
○ 주자(朱子)는 “양이 변하여 음과 합쳐질 때의 초기에는 물과 불이 생기는데 물과 불은 기(氣)이다. 이것은 움직이고 번쩍거리며 타오르나 그 형체의 속은 비었고 생김새는 일정하지 않다. 그 다음에는 나무와 쇠생기는데 이것은 일정한 형체가 명확하게 나타난다. 물과 불은 처음에 저절로 생긴다”고 하였다.
[註] 세계의 시원을 이와 기로 되었다는 것을 주장하는 유교의 성리학에서 인용한 것인데 만물생성의 기본은 기이고 만물의 근원은 물이며 물도 기로 되었다는 관념론적 주기론과 세계의 시원이 이와 기로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가 1차성이며 그것도 하늘에 의해서 이미 정해져 있다고 보는 객관적 주리론의 내용들을 그대로 인용한 것. 이 아래 내용들도 관념론적인 주기론과 객관론적인 주리론의 내용을 인용한 것.
○ 정자(程子)가 “북쪽은 수(水)인데 맨 처음에 생긴 것 가운데에서 제일 먼저 나온 것”이라고 하였다. 노재포(魯齋鮑)는 “물체의 형태가 생기는 것이 처음에는 다 물에서 시작된다. 그러므로 물은 만물의 근원이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이 “하늘이 처음에 물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고 물었다. 그것은 사람의 몸에서 볼 수 있다. 먹고 싶은 마음이 있으면 침이 나오고 마음이 슬프면 눈물이 나오며 마음이 괴로우면 땀이 나고 성욕이 동하면 정액이 나온다. 그리고 마음이 동하지 않고 편안한 때를 태극(太極)이라고 한다. 마음이 동(動)하면 태극이 동하여 양(陽)을 생기게 한다. 그리고 마음이 한번 동하면 물이 생기는데 이것이 바로 하늘이 맨 처음 물을 만들었다는 증거로 된다.
[註] 태극(太極) : 동양철학에서 “천지만물이 생기기 이전에 시원이 되는 실체”를 가리키는 철학적 범주의 하나.
○ 물은 양에서 생겨나 음에서 만들어진다. 기가 처음 동할 때 양이 생기고 기가 모여서 가만히 있으면 물이 생긴다. 이것은 손바닥에 숨을 ‘후’ 내쉬어 보면 알 수 있다. 신(神)은 기(氣)를 주관하는데 신이 동(動)하면 기도 따라 동한다. 기는 물의 어머니격이기 때문에 기가 모이면 물이 생긴다[정리].

눈물[泣]

『난경』에 “신(腎)은 액(液)을 주관하며 액은 간(肝)에 들어가서 눈물이 된다”고 씌어 있다.
○ 황제가 “무슨 기운이 슬플 때 눈물과 콧물이 나오게 하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심(心)은 5장 6부를 주관하며 눈은 종맥(宗脈)이 모인 곳이고 액이 올라가는 길이다. 입과 코는 기가 나드는 곳이다. 그러므로 슬퍼하거나 근심하면 심이 동하는데 심이 동하면 5장 6부가 다 동한다. 또한 심이 동하면 종맥이 감동되고 종맥이 감동되면 액이 통하는 길이 열리는데 액이 통하는 길이 열리면 눈물과 콧물이 나온다”고 하였다. 액은 정기(精氣)를 영양하고 구멍을 적신다. 그러므로 액이 올라가는 길이 열리면 눈물이 나온다. 눈물이 멎지 않으면 액이 마르고 액이 마르면 정기를 영양하지 못하게 된다. 정기가 영양을 받지 못하면 눈을 보지 못하게 되는데 이것을 탈정(奪精)이라고 한다[영추].
[註] 종맥(宗脈) : 여러 개의 경맥이 모인 곳 즉 주되는 경맥인데 폐경의 큰 경맥을 말한다.
○ 또한 5장 6부의 진액은 모두 위[上]로 올라와서 눈으로 스며든다. 그리고 마음이 슬프면 심계(心系)가 켕기고 심계가 켕기면 폐(肺)가 들리기[擧] 때문에 액이 위[上]로 넘쳐나게 된다. 그리고 심계는 늘 들려 있밗수 없기 때문에 잠깐 올라갔다 내려갔다 한다. 그러므로 기침이 나면서 눈물이 나게 된다[영추].
○ 늙은이는 담즙(膽汁)이 부족하기 때문에 울어도 눈물이 나오지 않는다. 웃을 때에 눈물이 나오는 것은 화(火)가 성(盛)하고 수(水)가 모자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담(膽)에 열이 있어도 역시 눈물이 나온다[입문].

콧물[涕]

『내경』에 “눈물과 콧물은 뇌에서 나오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뇌는 음(陰)이므로 뇌에서 스며나오는 것이 콧물이다.
○ 『난경』에 “신(腎)이 액을 주관하는데 액이 폐(肺)에 들어가면 콧물이 된다. 콧물은 폐의 액이다”고 씌어 있다.
○ 담(膽)의 열이 뇌로 옮겨가면 콧마루가 시큰거리고 비연(鼻淵)이 생긴다. 비연이란 걸쭉한 콧물이 멎지 않고 나오는 것을 말한다(자세한 것은 코문[鼻門]에 있다).
○ 폐에 열이 있으면 콧물이 누러면서 걸쭉하여 고름 같은데 이때에는 달걀 노른자위만한 콧덩어리가 나오기도 한다. 이것이 나오지 않으면 폐가 상하는데 폐가 상하면 죽는다(자세한 것은 코문[鼻門]에 있다).
○ 바람에 상하면 반드시 멀건 콧물이 나온다[강목].
○ 걸쭉한 콧물이 나오는 것은 풍열(風熱)에 속하며 멀건 콧물이 나오는 것은 폐가 냉(冷)한 데 속한다[회춘].

멀건 침[涎]

입귀[口角]로 줄줄 흐르는 것이 멀건 침이다[직지].
○ 멀건 침은 비(脾)의 액이다. 비에 열이 있으면 멀건 침이 나온다[내경주].
○ 황제가 “무슨 기가 멀건 침을 흘리게 하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음식은 다 위에 들어가는데 위 속에 열이 있으면 충(蟲)이 동(動)하고 충이 동하면 위가 늘어지고 위가 늘어지면 염천(廉泉)이 열리기 때문에 멀건 침을 흘리게 된다”고 하였다[영추].
○ 어떤 사람이 멀건 침을 계속 흘리고 잘 웃으면 말을 못하고 맥이 홍대(洪大)하였다. 그리하여 속썩은풀(황금), 황련, 산치자, 황백, 삽주, 흰삽주(백출), 끼무릇(반하), 참대기름(죽력), 생강즙을 먹였는데 5일 만에 멀건 침이 멎고 웃음을 그치게 되었다[강목].
○ 입귀로 멀건 침이 흐르는 것이 멎지 않고 입과 눈이 비뚤어졌을 때에는 청심도담환 50알을 통천유풍탕으로 먹으면 낫는다[강목].
○ 늘 멀건 물을 토하고 냉침[冷涎]이 올라오는 것은 비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데는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흰삽주(백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승마(흙과 같이 닦은 것), 속썩은풀(황금), 황련, 산치자,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건생강을 넣어서 알약을 만들어 쓰거나 달여 먹는다[입문].

통천유풍탕(通天愈風湯)
도라지(길경) 12g, 흰삽주(백출) 6g, 인삼, 천남성(싸서 구운 것), 패모(닦은 것) 각각 4g, 으아리(위령선), 연고, 방풍, 형개수, 감초 각각 2g, 하늘타리씨(과루인) 15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인다. 여기에 형력 한모금과 생강즙을 조금 타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강목].

청심도담환(淸心導痰丸)
천남성, 끼무릇(반하, 모두 생강즙에 법제한 것) 각각 80g, 노랑돌쩌귀, 하늘타리뿌리(과루근) 각각 40g, 황련(닦은 것), 울금 각각 30g, 백강잠(닦은 것), 천마, 강호리(강활) 각각 20g, 오두(소금물에 법제한 것)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강목].

느침[唾]

느침은 신(腎)의 액이다. 『내경』에 “느침은 신(腎)에서 생겨서 잇몸으로 나온다”고 씌어 있다.
○ 신(腎)이 차면[冷] 느침이 많고 신에 열이 있으면 느침이 없다.
○ 입 안에 나와 있는 침을 화지(華池)라고도 하고 옥천(玉泉)이라고도 한다. 『황정경』에는 “옥천에 맑은 물이 영근(靈根)을 축여 준다. 이것을 잘 처리할 줄 알면 장수할 수 있다. 영근이란 혀를 말한다”고 씌어있다[활인심].
○ 중병이 나은 다음에 느침을 자주 뱉는 것은 위구(胃口)에 찬 기운[冷氣]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중환으로 덥게 하는 것이 좋다[중경].
○ 중병이 금방 나은 뒤에는 흔히 느침을 뱉거나 거품이 섞인 침을 뱉는 데 이것은 위(胃)의 분문 위에 찬기운이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중환(理中丸,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익지인을 넣어서 써야 한다[동원].
○ 충증(蟲證) 때는 대부분 침을 흘린다(자세한 것은 충문(蟲門)에 있다).

진액을 돌리는 방법[廻津法]

진인(眞人)은 늘 침을 땅에 뱉지 않도록 습관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입 안의 진액은 아주 귀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루종일 침을 뱉지 않고 항상 입에 물고 있다가 다시 삼키면 정기(精氣)가 늘 보존되고 얼굴과 눈에 광채가 돈다. 사람의 몸에서는 진액이 기본인데 이것이 피부에서는 땀이 되고 힘살에서는 피가 되며 신(腎)에서는 정액이 되고 입에서는 침이 되고 비(脾)에 잠복하여서는 담(痰)이 되고 눈에서는 눈물이 된다. 땀이피나 눈물이나 정액은 다 한번은 나온 것을 다시 들어가게 할 수 없지만 오직 침만은 도로 삼킬 수 있다. 침을 도로 삼키면 생겨나는데 생겨난다는 것은 다시 계속된다는 뜻이다. 어떤 사람이 침을 자주 뱉아서 진진액이 말라 몸이 마르게 되었는데 우연히 한 사람을 만나서 침을 삼키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그것을 오랫동안 계속하였는데 몸이 다시 윤택해졌다[연수서].

두루 쓰는 약[通治藥]

저절로 땀이 나는 것, 식은땀이 나는 것 등 여러 가지 땀나는 증에는 황기탕, 모려산(牡蠣散, 처방은 위에 있다),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쌍화탕(雙和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두루 쓴다.

단방(單方)

모두 25가지이다.

석고(石膏)
땀을 나게 하여 독을 푼다. 잘게 부스러뜨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갈근(葛根, 칡뿌리)
해기(解肌)시키거나 발표(發表)시켜서 땀을 나게 하며 주리( 理)를 열어준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마황(麻黃)
마디를 버린 것[去]은 땀을 나게 하여 표(表)를 푼다. 뿌리와 마디는 표를 든든하게 하여 땀나는 것을 멎게 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생강과 건강(生薑及乾薑)
땀을 나게 하여 표(表)를 푸는데 주리(주理)를 열어서 땀을 나게 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부평(浮萍, 개구리밥)
땀을 나게 하는 데는 제일 빠른 약이다. 자세한 것은 풍문의 거풍단 아래에 있다.

형개(荊芥)
땀을 나게 하여 표(表)를 푼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박하(薄荷)
독(毒)을 풀고 땀을 나게 하며 피로를 풀리게 하고 머리와 눈을 시원하게 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총백(총白, 파흰밑)
털뿌리가 달린 채로 쓰면 표리[表]를 풀리게 하고 땀을 나게 하여 풍사(風邪)를 헤친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자소엽(紫蘇葉, 차조기잎)
표(表)에 있는 사기를 헤치고[散] 땀을 나게 한다[본초].
○ 오랫동안 땀이 나지 않는 데는 선귤껍질(청피)과 함께 달여서 먹는데 곧 땀이 나게 된다[단계].

인동등(忍冬藤)
오랜 적(積)과 오랫동안 몰려 있는 기를 헤치게[散] 하고 땀을 나게 하는데 달여서 먹는 것이 좋다[단계].

세신(細辛, 족두리풀)
풍사(風邪)를 헤치고 땀을 나게 하는데 물에 달여서 먹는다. 가루내어 먹는 것은 좋지 않다. 그것은 가루내어 먹으면 기가 막히기 때문이다[본초].

행인(杏仁, 살구씨)
땀을 나게 하는데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두시(豆시, 약전국)
땀을 나게 한다.
○ 식은땀이 오랫동안 나는 데는 약전국 1되를 쓰는데 약간 닦아서 술 3되에 3일간 담가 두었다가 차게 하여 먹거나 데워서 먹되 마음대로 쓴다. 낫지 않으면 다시 만들어 먹어야 한다[본초].

백출(白朮)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 식은땀이 나는 데 쓰면 잘 낫는다. 흰삽주(백출) 적당한 양을 잘게 썰어서 밀쭉정이 1되와 함께 물 1말에 넣고 마르도록 졸여서 꺼낸다. 이것을 약한 불기운에 말린 다음 밀쭉정이는 버리고 가루낸다. 한번에 8g씩 밀쭉정이를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득효].

계지(桂枝)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하는데 표가 허하여 저절로 땀이 나는 데 쓴다. 가을과 겨울에 달여서 먹어야 한다[동원].

산조인(酸棗仁, 메대추씨)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하는데 잠잘 때 땀이 나는 것을 멈춘다.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 먹는다[득효].

상엽(桑葉, 뽕잎)
식은땀이 나는 것을 잘 멎게 한다. 뽕나무가지(상지)에 달린 두번째 푸른 잎을 이슬이 있을 때 따서 그늘에 말린 다음 약한 불기운에 다시 말린다. 이것을 가루내어 미음에 타 먹는다[입문].

모려분(牡蠣粉, 굴조개껍질)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두충과 함께 쓰면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멈추는데 마황뿌리와 함께 가루내어 몸에 발라도 식은땀이 나는 것이 멎는다[본초].

부소맥(浮小麥, 밀쭉정이)
표(表)를 든든하게 하고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멈춘다[본초].
물에 달여서 늘 먹어야 한다.
○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은 밀가루 음식을 많이 먹으면 멎는다[득효].

방풍(防風)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하는데 식은땀이 나는 것도 멈춘다. 물에 달여서 먹는다. 잎도 또한 좋다[본초].

황기(黃기)
표가 허한 것을 든든하게 하여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멈춘다. 꿀물에 축여 볶아서 감초(닦은 것) 조금과 함께 물에 달여 늘 먹어야 한다.
○ 저절로 땀이 나는 데는 황기를 쓰는데 봄과 여름에 써야 한다[동원].

마황근(麻黃根, 마황뿌리)
저절로 땀이 나는 것과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물에 달여서 먹는다. 그리고 굴조개껍질(모려)과 섞어서 몸에 발라도 땀이 멎는다.[본초].

초목(椒目, 조피열매씨)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하는 데는 제일 좋다. 약간 닦아서 아주 보드랍게 가루낸다. 한번에 2g씩 돼지 주둥이의 윗턱을 끓인 물 1홉에 타서 잠잘 무렵에 먹으면 낫지 않는 것이 없다[본초].

오매(烏梅)
침을 많이 뱉는 것을 멎게 하는 데 차를 만들어 먹는다[본초].

백복령(白茯 , 흰솔풍령)
저절로 땀이 나는 것과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오매와 묵은 약쑥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득효].

침뜸치료[鍼灸法]

식은땀이 나는 것이 멎지 않으면 음극(陰극)혈을 사(瀉)해야 한다[강목].
○ 땀이 나지 않는 데는 곡차(曲差)혈을 쓴다. 식은땀이 나는 데는 음도(陰都), 오리(五里), 간사(間使), 중극(中極), 기해(氣海)혈을 쓴다.
○ 허손(虛損)되어 식은땀이 나는 데는 백로(百勞), 폐유(肺兪)혈을 쓴다[갑을경].
○ 상한(傷寒)에 땀이 나지 않으면 합곡(合谷)과 부류(復溜)혈을 다 사(瀉)해야 아주 좋다[강목].
[註] 갑을경 : 282년 황보밀이 12권으로 편찬한 『침구갑을경』.


기허증(自汗, 기운없고 게으르다, 얼굴마르고 창백, 말소리에 힘없고 나지막, 오풍) : 폐정격

風眩(自汗 惡風 가슴 답답하고 어지러워 잘 넘어진다-손만 올려도 어지러워) : 간승격

비 오듯이 땀 흘림(중풍전조) : 비정격

음허증(때때로 열나고 식은땀 도한 관홍 마른 기침) :  폐정격

밤에 몸에서 열나고 식은 땀 난다 : 신정격

식은 밥 먹어도 땀 흘린다 : 대장한격

식은 땀, 盜汗(夢遺도 있다) : 심정격

목욕후 두통(두면에 땀이 많고 오풍하고 두통) : 폐정격

이마에 땀은 흘리지만 발은 냉하다 : 신정격

겨드랑이 땀 냄새 : 심포정격

多汗(겨드랑이 사타구니 옆구리) : 소충

손바닥에 땀이 많다 : 소장정격(+폐정격)

手足多汗 : 담정격

음낭 밑에 땀이 나는 것 : 대장정격

水疝(陰囊腫痛, 땀이 나서 가려워 긁으면 누런 물이 나온다, 소복누르면 물소리) : 신정격

폐허(해수하며 담이 성하고 숨이 가쁘고 담에 피가 섞이기도 한다 :  

    심하면 毛焦(곱슬곱슬)하고 진액이 마름) : 폐정격

'동의보감 > 내경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소리(聲音)  (0) 2016.05.29
언어(言語)  (0) 2016.05.29
담음(痰飮)  (0) 2016.05.29
5장 6부(五臟六腑)  (0) 2016.05.29
간장(肝臟)  (0) 2016.05.29
:
Posted by doc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