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1

« 2024/1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2016. 5. 29. 08:40

발(足) 동의보감/외형편2016. 5. 29. 08:40

다리[足]

« 동의보감(東醫寶鑑)

다리[足]

한궐(寒厥) » · 열궐(熱厥) »

각기를 달리 부르는 이름[脚氣異名] »

각기병의 원인[脚氣病因] » · 각기병의 증상[脚氣病證] »

각기병을 치료하는 방법[脚氣治法] » · 각기 때 위험한 증상[脚氣危證] »

각기병 때 꺼려야 할 것[脚氣禁忌法] » · 각기병 때 안마법[脚氣按摩法] »

위증의 원인[ 病之因] » · 위증을 치료하는 방법[ 病治法] »

열궐로 생긴 위증[熱厥成 ] » · 학슬풍(鶴膝風) »

다리병 때 예후가 나쁜 증상[脚病凶證] »

갑저창(甲疽瘡) » · 티눈[肉刺] »

 

다리의 부위별 치수[足部度數]

『영추』에 “치골[橫骨] 윗변두리에서 아래로 안쪽 비골[內輔] 윗변두리까지의 길이는 1자 8치이고 안쪽 비골 윗변두리에서 아래 변두리까지의 길이는 3치 5푼이다. 안쪽 비골 아래 변두리에서 안쪽 복사뼈까지의 길이는 1자 3치이고 안쪽 복사뼈에서 발바닥까지의 길이는 3치이다. 또한 무릎 오금에서 발뒤축까지의 길이는 1자 6치이고 발뒤축에서 발바닥까지의 길이는 3치이다.

○ 고관절[ 樞]에서 아래로 무릎 가운데까지의 길이는 1자 9치이고 무릎에서 아래로 바깥쪽 복사뼈까지는 1자 6치이다. 바깥 복사뼈에서 아래로 경골혈[京骨]까지의 길이는 3치이고 경골혈에서 발바닥까지의 길이는 1치이다.

○ 양쪽 자개미 사이[ 之間]의 너비는 6치 5푼이다. 발의 길이는 1자 2치이고 너비는 4치 5푼이다[영추].

다리에는 넓적다리, 허벅지, 무릎, 종지뼈, 장딴지, 정강이, 발목이 포함된다[足領 股膝 脛腕]

무릎 위를 넓적다리[ ]라 하고 무릎 위에 있는 뼈를 넓적다리뼈라고 하며 넓적다리뼈와 엉덩이뼈가 맞붙은 곳을 비추( 樞, 혈의 이름이다)라고 한다. 넓적다리 안쪽을 허벅지[股]라고 하고 넓적다리의 바깥쪽을 허벅다리[腿]라고 한다. 넓적다리 아랫부분과 정강이 윗부분이 맞붙은 곳을 무릎[膝]이라고 하며 무릎에 덮인 뼈를 종지뼈[ ]라고 하고 무릎 아래를 정강이[脛]라고도 하고 종아리[ ]라고도 한다. 무릎 아래의 뼈를 경골[ 骨]이라고도 하고 경골의 바깥쪽의 뼈를 비골[輔骨]이라고 한다. 정강이 뒤쪽 물고기 배같이 생긴 데를 장딴지[ ]라고 하고 또 족두(足 )라고도 한다. 장단지 및 정강이 아랫부분과 발뒤축 윗부분이 맞붙은 곳을 발목[腕]이라고 하며 발목뼈를 과( )라고 한다[동인].

○ 발을 보통 다리 ‘각(脚)’자를 써서 각(脚)이라고 하는데 각이라는 말은 물리칠 ‘각(却)’자의 뜻을 취한 것이다. 그것은 앉을 때에 뒤로 보내기 때문에 한 말이다[회춘].

맥 보는 법[脈法]

각기병(脚氣病) 때 맥은 4가지 형태가 있다. 즉 부현(浮弦)한 것은 풍으로 생긴 것이고 유약(濡弱)한 것은 습으로 생긴 것이며 지색(遲 )한 것은 한으로 생긴 것이고 홍삭(洪數)한 것은 열이 몰려서 생긴 것이다[맥결].

○ 맥이 미활(微滑)한 것은 허증이고 뇌견(牢堅)한 것은 실증이다[정전].

○ 각기병 때 맥이 부(浮)한 것은 풍으로 생긴 것이고 긴(緊)한 것은 한으로 생긴 것이며 완세(緩細)한 것은 습으로 생긴 것이고 홍삭(洪數)한 것은 열로 생긴 것이다. 또한 침현(沈弦)한 것은 풍으로 생긴 것이고 침긴(沈緊)한 것은 한으로 생긴 것이며 침세(沈細)한 것은 습으로 생긴 것이고 침삭(沈數)한 것은 열로 생긴 것이다[삼인].

○ 비맥(脾脈)이 몹시 완(緩)한 것은 위궐( 厥)이 생긴 것이다[내경].

[註] 위궐( 厥) : 위증과 궐증이 겸해서 나타나는 증을 말한다. 위증이란 손발이 약해지고 힘이 없어서 잘 쓰지 못하는 것이고 궐증이란 손발이 싸늘해지는 것을 말한다.

○ 척맥(尺脈)이 허(虛), 약(弱), 완(緩), 색( )하면서 긴(緊)한 것은 발이 아프거나 위증( 證)이 생긴 것이다[맥결].

○ 위증 때의 맥은 대체로 부대(浮大)하다[자화].

○ 위벽( ) 때에 맥이 허하면 살고 긴급(緊急)하면서 빠르면 위험하다[맥경].

궐에는 한증과 열증이 있다[厥有寒熱]

왕태복(王太僕)은 “궐(厥)이란 기가 위로 거슬러올라가는 것이다”고 하였다. 이것이 후에 각기(脚氣)라고 잘못 전해졌다. 『내경』에 “한궐(寒厥)이란 손발이 찬 것이고 열궐(熱厥)이란 손발이 다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대체로 아랫도리의 양기가 쇠약해지면 한궐이 되고 아랫도리의 음기가 쇠약해지면 열궐이 되는데 이것은 음기와 양기가 서로 접촉되지 못하여 생기는 궐이다[강목].

○ 궐증(厥證)이란 이기지 못하던 것이 도리어 이기는 것과 같은 것이다. 예를 들면 신(腎)에 있던 한사가 비(脾)로 전해가면 한궐이 되고 심(心)에 있던 열이 신으로 전해가면 열궐이 된다[입문].

○ 궐론(厥論)에 “한궐이나 열궐은 다 신(腎)의 정기가 고갈되어 생기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강목].

한궐(寒厥)

황제가 “한궐로 싸늘해질 때에는 반드시 다섯발가락에서부터 시작하여 무릎까지 올라가면서 싸늘해지는데 이것은 무엇 때문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은 “음기(陰氣)는 다섯발가락 속에서 시작하여 무릎 아래에 모였다가 무릎 위에서 뭉친다. 그러므로 음기가 성하면 다섯발가락에서부터 무릎 위까지 싸늘해진다. 이것은 밖에서 찬 기운이 들어와서 생긴 것이 아니라 모두 속에서 생긴 것이다”고 대답하였다[내경].

○ 황제는 “한궐은 어찌하여 그렇게 되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전음(前陰)은 종근(宗筋)이 모인 곳이며 족태음[太陰]과 족양명[陽明]이 합쳐진 곳이다. 봄과 여름에는 양기(陽氣)가 많고 음기(陰氣)는 적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음기가 성하고 양기는 쇠약해지는데 한궐이 있는 사람이 가을과 겨울에 성생활을 하면 기운이 빠지고 아래에 있던 기가 올라왔다가 내려가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정기가 넘쳐나면서 사기(邪氣)도 따라 올라오게 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속에 찬 기운이 있어서 양기가 쇠약해져 경맥을 축여 주거나 영양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되면 양기는 날로 쇠약해지고 음기만 홀로 남아 있게 된다. 때문에 손발이 싸늘해진다”고 대답하였다[내경].

○ 『내경』에 “신(腎)이 허약해지면 한궐이 생기고 기분이 좋지 않다”고 씌어 있다. 또한 “아랫도리가 허약하면 궐(厥)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

○ 한궐 때에 맥이 침삭(沈數)하고 실(實)한 것은 열이 있는 것이다. 동원(東垣)이 다리와 무릎, 엉덩이가 다 차고 맥이 침삭하면서 힘이 있는 어떤 환자에게 자신환(滋腎丸, 처방은 오줌문[小便門]에 있다)을 두번 먹여서 치료하였는데 나았다. 또 어떤 환자가 윗도리는 덥고 아랫도리가 차다고 하기에 기제해독탕을 써주었는데 잘 나았다. 한궐에 약을 쓸 때에는 반드시 주의하여야 한다[강목].

○ 한궐에는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처방은 허로문(虛勞門)에 있다)에 부자를 더 넣어 쓰거나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을 쓴다[입문].

열궐(熱厥)

황제가 “열궐로 달아 오를 때에는 반드시 발에서부터 시작되는데 이것은 무엇 때문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양기(陽氣)는 다섯발가락 겉에서부터 시작되고 음맥(陰脈)은 발바닥에 모였다가 발바닥 가운데 몰린다. 그러므로 양기가 성하면 발바닥이 단다”고 대답하였다[내경].

○ 황제가 “열궐은 어찌하여 그렇게 되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위(胃)에 술이 들어가면 낙맥(絡脈)이 가득 차고 경맥(經脈)이 허해진다. 비는 주로 진액을 위(胃)로 돌게 한다. 그러나 음기가 허하면 위로 양기가 들어가게 된다. 그러면 위가 조화되지 못하고 위가 조화되지 못하면 정기가 고갈되는데 정기(精氣)가 고갈되면 팔다리를 영양하지 못하게 된다. 이것은 반드시 자주 술에 취하거나 배불리 먹은 다음 성생활을 하여 비에 기가 몰려서 흩어지지 못하고 또 술 기운과 음식의 기운이 서로 부딪쳐서 속에 열이 성해졌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리고 그 열이 몸에 퍼지기 때문에 속이 달아 오르고 오줌도 벌겋게 된다. 대체로 술 기운은 몹시 세고 빠르기 때문에 신기(腎氣)를 날로 쇠약해지게 한다. 그러면 양기만 혼자 성하게 된다. 때문에 손발이 단다”고 대답하였다[내경].

○ 열궐에는 승양산화탕이나 화울탕(火鬱湯, 처방은 다 화문(火門)에 있다)을 쓴다.

○ 궐론에 “한궐이나 열궐은 다 신의 정기가 고갈되면 생긴다”고 씌어 있다[강목].

각기를 달리 부르는 이름[脚氣異名]

각기를 옛날에는 완풍(緩風)이라고도 하고 궐(厥)이라고도 하였다. 그러므로 옛날 이름과 지금 이름이 다르다. 지금은 건각기(乾脚氣), 습각기(濕脚氣)로 나눈다. 즉 다리가 붓는 것을 습각기라고 하고 붓지 않는 것을 건각기라고 한다. 그리고 발에서부터 정강이까지 점차 부어 올라 오이나 박모양처럼 되는 것도 있다[의감].

각기병의 원인[脚氣病因]

각기병은 실지 수습(水濕)으로 생긴다. 이 병은 증상만 있고 이름은 없었다. 그러다가 각기라는 이름을 처음에 소경(蘇敬)이라는 사람이 지었다. 이런 병은 서북지방에는 없고 오직 남쪽에만 있는데 그곳은 지대가 낮고 물이 차며 서늘하고 습한 기운이 있어서 그것이 사람의 몸에 침범하기 때문이다. 이 병은 반드시 발에서부터 시작된다. 『내경』에 “서늘하고 습한 기운이 몸이 허약할 때 침범하면 아래에서부터 병이 생긴다”고 씌어 있는 것이 바로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강목].

○ 남쪽은 지대가 낮고 수토(水土)가 나빠서 자주 안개가 끼고 이슬이 생긴다.

[註] 수토(水土) : 그 지방의 물과 기후풍토를 말한다.

강동(江東)과 영남(嶺南)은 봄과 여름이 바뀔 때마다 산림에서 더운 습기가 떠오르기 때문에 풍습의 독기가 심하다. 이것이 혹 발에 침범하면 곧 장독각기( 毒脚氣)가 생긴다[동원].

○ 물은 눅여 주고 아래로 내려가는 성질이 있으므로 그 기운은 증발되지 못하고 발과 정강이로 내려가서 오랫동안 쌓여 있게 된다. 그러면 붓고 아픈데 이것은 음식의 기운이 내려 몰려서 생긴 것이다. 『내경』에 “습기가 성하면 화기(火氣)가 속에 몰리면서 습기를 겉으로 헤쳐지게 한다. 그러므로 발과 정강이가 붓는다. 물이 속으로 퍼지면 아랫도리가 붓는다”고 씌어 있다. 이런 때에 성생활을 조절하지 못하면 음이 성해지고 양이 허약해져서 결국 고질이 된다. 손진인(孫眞人)이 “옛날 사람들에게는 이 병이 적었는데 진나라 영가(永嘉)시기 수도를 남쪽으로 옮긴 후부터 지식있는 사람들에게 이 병이 많이 생겼다”고 하였다. 이것도 역시 위와 같은 뜻으로 한 말이다[동원].

○ 대체로 각기병이 생기는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여 환자도 알지 못한다. 먹는 것과 노는 것과 운동하는 것과 기운은 이전과 같다가 갑자기 다리를 폈다 구부렸다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 이 병의 특징이다[천금].

○ 『내경』에 “습에 상할 때에는 먼저 아랫도리가 상한다”고 씌어 있다. 발은 아래에 있으므로 습기를 많이 받게 된다. 발에 습이 몰리면 열이 생긴다. 그러면 습과 열이 서로 부딪치게 되어 각기병이 생긴다. 동남쪽은 지대가 낮고 습기가 많으므로 사람들이 대부분 다 이런 병이 있다. 서북쪽은 지대가 높고 건조하므로 이런 병이 드물다. 고방(古方)에는 “이 병을 완풍(緩風)이라 한다”고 씌어 있다. 이 병은 송나라, 원나라 때부터 각기라고 불렸다. 외감(外感)으로 되었는가 내상(內傷)으로 되었는가 하는 것은 달라도 이 병이 습열(濕熱)로 생긴다는 것은 같다[정전].

각기병의 증상[脚氣病證]

『영추』에 “비(脾)에 있는 사기는 양 허벅지(어떤 데는 넓적다리[ ])로 들어가고 신(腎)에 있는 사기는 양 무릎 오금[ ]으로 들어간다”고 씌어 있다.

○ 다리를 절면서 싸늘한 것은 풍습(風濕)으로 생긴 병이다[내경].

○ 각기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다 상한 때와 비슷하다. 그러나 처음 병이 생길 때에는 다리와 무릎이 연약해지고 감각이 없어지며 힘줄이 뒤틀리면서 아프고 벌겋게 붓는데 이것이 다르다[입문].

○ 각기병은 발에서부터 시작되나 실지는 온몸에 다 퍼지기 때문에 열이 심하고 머리가 아프다. 그리고 혹 모든 뼈마디가 가드라들고 병이 열발가락으로 몰리거나 힘줄이 뒤틀리고 켕기며 아프거나 아랫배에 감각이 둔해지면서 가슴이 그득하고 숨이 차며 안타깝게 답답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정신이 어질어질하고 눈이 부시며 배가 아프고 설사가 나며 딸꾹질이 나고 담음이 생기며 음식 냄새를 싫어하며 대소변이 흔히 잘 나오지 않고 허벅다리에서 무릎까지 또는 정강이에서 복사뼈까지 힘이 없거나 감각이 없어지며 가드라들고 시글며[ ] 아프고 혹 달아 오르기도 하며 달아 오르지 않을 때도 있다. 그리고 혹 붓기도 하고 붓지 않기도 하는데 이것이 다 이 병의 증상이다. 이 병은 발에 있는 6경(六經)맥에도 전해지는데 이때에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도 상한 때와 아주 비슷하나 갑자기 다리가 아픈 것이 다르다[직지].

○ 환자의 피부색이 거멓고 몸이 여위었으면 치료하기 쉽고 살쪄서 살이 두텁고 벌거면서 허여면 치료하기 어렵다. 피부빛이 검은 사람은 풍습을 견뎌 내고 벌겋고 허연 사람은 풍습을 견뎌 내지 못한다. 여윈 사람은 살이 단단하고 살찐 사람은 살이 연하다. 살이 연한 사람이 이 병에 걸리면 치료하기 어렵다[천금].

각기병을 치료하는 방법[脚氣治法]

각기병은 막혀서 생긴 병이기 때문에 치료는 퍼지게 하고 통하게 하는 약을 써서 기가 막히지 않게 해야 한다. 기가 이미 막혀서 왕성해졌을 때에는 침으로 궂은 피[惡血]를 빼내야 중한 증상이 없어진다. 『내경』에 “기가 몰려 쌓이면 붓고 열이 난다”고 씌어 있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침으로 찔러서 피를 빼낸 다음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강목].

○ 각기병에는 옛날부터 모두 설사약을 쓰는 것을 좋아하였는데 그것은 막혀서 생긴 병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설사약을 너무 지나치게 써서는 안 된다. 너무 지나치게 쓰면 비위(脾胃)가 상한다. 또한 설사약을 너무 적게 써도 안 된다. 너무 적게 쓰면 막힌 기를 헤쳐 버리지 못한다[동원].

○ 각기병으로 죽는 것은 다 기가 실(實)해져서 죽는 것이지 약을 먹고 허(虛)해져서 죽는 것은 하나도 없다. 그러므로 이 병 때에는 모두 몹시 보(補)해도 안 되고 몹시 사(瀉)하여 심히 허약해지게 하여도 안 된다. 그리고 몸이 여위었어도 반드시 설사를 약간 시켜야 한다. 또한 적당한 때에 땀도 내게 해야 한다[천금].

○ 각기병을 치료하는 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대변을 잘 통하게 하여 독기(毒氣)를 모두 나오게 한 뒤에 보하는 탕약을 쓰겠는가[補湯] 씻는 약을 쓰겠는가[淋洗] 하는 것인데 이것은 다 의사들이 몹시 주의해야 할 일이다[직지].

○ 다리가 아픈 것은 풍습(風濕)이 있기 때문이다. 풍이 있으면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 처방은 풍문(風門)에 있다)을 쓰고 습이 있으면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에 벌건솔풍령(적복령)과 건강을 더 넣어 쓴다[직지].

○ 치료하는 법은 삽주(창출)와 흰삽주(백출)를 써서 습(濕)을 없애고 속썩은풀(황금), 황백, 지모를 써서 열(熱)을 내리며 당귀, 함박꽃뿌리(작약), 지황을 써서 피를 고르롭게[調血] 하고 모과, 빈랑을 써서 기(氣)를 고르게 하며[調氣]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을 써서 뼈마디를 윤활하게 하고 풍습을 헤치며 으름덩굴(목통), 방기, 쇠무릎(우슬)을 겸하여 써서 모든 약들을 아래로 끌고 내려가게 하는 것이다. 이것이 중요한 치료법이다. 청열사습탕을 써도 된다[의감].

○ 습열(濕熱)이 3양경[三陽]에 다 있으면 신비좌경탕을 쓰고 태양경[太陽]에 있으면 마황좌경탕을 쓰며 소양경[少陽]에 있으면 반하좌경탕을 쓰고 양명경[陽明]에 있으면 대황좌경탕이나 가미패독산을 쓴다. 소통시키는 약으로는 빈소산을 쓴다[입문].

○ 습열이 3음경[三陰]에 다 있으면 강활도체탕과 제습단(除濕丹, 처방은 입문[口門]에 있다),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 처방은 설사문[下門]에 있다), 수풍환, 지실대황탕, 개결도인환, 당귀점통탕 등을 쓴다[입문].

○ 기혈(氣血)이 허약(虛弱)하면 독활기생탕, 강활속단탕을 쓴다[입문].

○ 한습(寒濕)이 성한 데는 승준환, 착호단을 쓴다.

○ 각기병이 오래된 데는 권백산을 쓰고 열이 심한 데는 이초창백산, 가미창백산을 쓰며 몹시 부은 데는 승습병자, 상백피산을 쓴다.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습열(濕熱)로 각기병이 생겨 붓거나 아픈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황백(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g, 차조기잎(자소엽), 함박꽃뿌리(작약), 모과, 택사, 으름덩굴(목통), 방기, 빈랑, 지각, 향부자, 강호리(강활),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아프면 목향을 넣고 부었으면 대복피를 넣으며 열이 나면 황련과 대황을 넣어 쓴다[정전].

신비좌경탕(神秘左經湯)

풍사[風], 한사[寒], 서사[暑], 습사[濕]가 족3양경(足三陽經)으로 내려와서 다리와 무릎이 가드라들며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마황, 계심, 속썩은풀(황금), 지각, 시호, 벌건솔풍령(적복령), 끼무릇(반하), 강호리(강활), 방풍, 후박, 건강, 원지싹(小草), 방기, 맥문동, 칡뿌리(갈근),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마황좌경탕(麻黃左經湯)

풍사, 한사, 서사, 습사가 족태양경(足太陽經)으로 내려와 몰려서 허리와 다리가 가드라들면서 저리고 무거우며 아프고 찬 것을 싫어하며 열이 나면서도 땀이 나지 않고 오한이 나거나 혹 땀이 절로 나오며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운 것 등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4g, 마황, 칡뿌리(갈근), 흰삽주(백출), 족두리풀(세신), 벌건솔풍령(적복령), 방기, 계심, 방풍,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위의 처방과 같은 방법으로 달여 먹는다[삼인].

반하좌경탕(半夏左經湯)

족소양경(足少陽經)에 풍사, 한사, 서사, 습사가 내려와 몰려서 열이 나고 부으며 아픈 것과 허리와 다리가 켕기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시호 6g, 칡뿌리(갈근), 끼무릇(반하),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삽주(백출), 족두리풀(세신), 맥문동, 계심, 방풍, 건강, 속썩은풀(황금), 원지싹(小草),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위의 처방과 같은 방법으로 달여 먹는다[삼인].

대황좌경탕(大黃左經湯)

풍, 한, 서, 습의 사기(四氣)가 족양명경(足陽明經)으로 내려와 몰려서 허리와 다리가 벌겋게 붓고 아파서 걸어 다니지 못하고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 4g, 강호리(강활), 솔풍령, 족두리풀(세신), 전호, 지각, 후박, 속썩은풀(황금), 살구씨(행인),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위의 처방과 같은 방법으로 달여 먹는다[삼인].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

3양경(三陽經)에 생긴 각기병이 아래로 내려와 몰려서 다리와 복사뼈가 화끈화끈 달고 벌겋게 부으며 추웠다 열이 나고 땀이 저절로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패독산(人參敗毒散,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약재 40g, 대황, 삽주(창출)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박하 7잎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빈소산(檳蘇散)

풍습(風濕)으로 생긴 각기(脚氣)로 붓고 아프며 가드라드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기가 막힌 것을 잘 통하게 한다.

삽주(창출) 8g, 향부자, 차조기잎(자소엽), 귤껍질(陳皮), 모과, 빈랑, 강호리(강활), 쇠무릎(우슬)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달여 먹는다[십삼방].

강활도체탕(羌活導滯湯)

각기(脚氣)가 처음 생겨서 온몸이 다 아프거나 팔다리뼈 마디가 붓고 아프면서 대소변이 막힌 것을 치료할 때에는 먼저 이 약을 써서 통하게 한 다음 당귀점통탕을 써서 낫게 해야 한다.

대황(술에 축여 잿불에 묻어 구운 것) 9.6g,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각각 4.8g, 방기, 당귀(잔뿌리) 각각 2.3g, 지실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으면 설사가 약간 나고 곧 낫는다[동원].

당귀점통탕(當歸拈痛湯)

습열(濕熱)로 생긴 각기로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더위지기(인진, 술에 축여 볶은 것),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감초(닦은 것) 4g, 지모, 택사, 벌건솔풍령(적복령), 저령, 흰삽주(백출), 방기 각각 2.4g, 인삼, 너삼(고삼), 승마. 칡뿌리(갈근), 당귀, 삽주(창출)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 2잔에 잠깐 동안 담가 두었다가 절반이 되게 달여서 아침 빈속과 잠잘 무렵에 각각 한번씩 먹는다[보감].

[註] 보감(寶鑒): 나경보(천익)가 1343년에 24권으로 편찬한 『위생보감』을 말한다.

○ 이전에 한 상공(相公)이 군대를 거느리고 남쪽 땅에 왔다가 갑자기 각기병에 걸렸는데 온몸이 약간 붓고 손도 대지 못하게 아파하였다. 그런데 발과 정강이가 더 심하였다.

[註]상공(相公): 봉건사회에서 임금을 도와 모든 관원들을 지휘하는 재상을 높이 부르는 말이다.

『내경』에 “수음[飮]이 속에서 퍼지면 아랫도리가 붓는다”고 씌어 있다. 그리고 또 “모든 통증은 다 실증(實證)이다”고 씌어 있다. 그런데 이 사람은 혈이 실하므로 피를 빼내야 한다. 그리하여 삼릉침(三稜鍼)으로 부은 곳을 두어번 찔렀다. 그러자 피가 2자 남짓하게 솟구쳐 오르다가 점차 실같이 가늘어지면서 멎었는데 핏빛은 검은 자줏빛이었다. 그 후 조금 지나서 부은 것이 내리고 통증도 덜해졌다. 그리하여 다시 당귀점통탕을 먹였더니 그날 밤에는 잠을 잘 잤다. 그 이튿날에 다시 달여 먹였는데 병이 나았다[보감].

수풍환(搜風丸)

각기(脚氣)로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나팔꽃검은씨(견우자, 생것으로 맏물가루 낸 것) 80g, 대황, 빈랑, 지실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단심].

지실대황탕(枳實大黃湯)

습열(濕熱)로 생긴 각기(脚氣)로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대황(술에 축여 잿불에 묻어 구운 것) 12g, 강호리(강활) 6g, 당귀 4g, 지실 2g.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보감].

○ 염평장(廉平章)이 몸이 뚱뚱한데 각기병에 걸려서 온몸이 약간 벌겋게 부었다. 그리고 정강이가 붓고 참을 수 없이 아파서 손도 가까이 대지 못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당귀점통탕 1첩을 먹였는데 통증이 절반이나 덜했다. 그래서 다시 이 약을 먹였는데 부어 아프던 것이 다 없어졌다. 그 다음 삼릉침으로 손톱 끝을 찔러 검은 피를 많이 빼내자 벌겋게 부었던 것도 다 없어졌다. 며칠 후에 국수를 먹었는데 그것이 원인이 되어 다시 아팠다. 그리하여 지실대황탕을 썼는데 나았다[보감].

개결도인환(開結導引丸)

식적(食積) 기운이 내리몰려서 각기병이 생겨 명치 밑이 트직하고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흰삽주(백출), 택사, 솔풍령(복령),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끼무릇(반하, 생강즙에 법제한 것) 각각 40g, 지실, 선귤껍질(청피), 건강 각각 20g, 파두상 6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증병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더운물로 먹는다[보감].

○ 일명 개울도음환(開鬱導飮丸)이라고도 한다[단심].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간(肝)과 신(腎)이 허약하여 힘줄이 가드라들고 뼈가 아프며 한쪽 다리와 무릎을 쓰지 못하고 늘어지며 약하고 시리면서 저린 것을 치료한다.

따두릅(독활),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각각 2.8g, 찐지황(숙지황), 궁궁이(천궁),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쇠무릎(우슬), 두충, 진교, 족두리풀(세신), 방풍, 육계 각각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빈 속에 먹는다[회춘].

강활속단탕(羌活續斷湯)

간(肝)과 신(腎)이 허하여 각기(脚氣)가 생겨 힘줄이 가드라들고 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방풍, 구릿대(백지), 족두리풀(세신), 두충, 쇠무릎(우슬), 진교, 속단, 찐지황(숙지황), 당귀, 인삼,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벌건솔풍령(적복령), 계심, 궁궁이(천궁)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 독활기생탕을 쓸 때에 진짜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가 없어서 대신 다른 겨우살이를 썼다가 적지 않게 해를 입었다. 후세 사람들이 이 처방을 쓸 때 뽕나무겨우살이를 빼고 대신 속단을 쓰거나 강호리(강활) 대신 따두릅(독활)을 써보았는데 효과가 좋았다[변의].

승준환(勝駿丸)

각기병(脚氣病)으로 다리가 가드라들고 아파서 걷지 못하는 것과 다리가 약해지는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모과 160g, 당귀(술에 담갔던 것), 천마(술에 담갔던 것), 쇠무릎(우슬, 술에 담갔던 것),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찐지황(숙지황, 술에 담갔던 것), 방풍 각각 80g, 전갈(독을 없앤 것) 40g, 부자(싸서 구워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1개, 유향, 몰약, 강호리(강활), 목향, 감초 각각 20g, 사향 8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생지황 1.2kg을 깨끗하게 씻어서 풀기가 나도록 잘 짓찧은 다음 좋은 술 4되에 넣고 고약처럼 될 때까지 달인다. 여기에 위의 약들을 넣고 찧어서 놓아 두었다가 굳어진 다음 40g으로 알약을 10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잘 무렵에 잘 씹어서 술로 넘긴다.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알씩 술로 먹어도 된다. 반달 동안 쓰면 걸음걸이가 날아갈 듯이 가벼워진다. 그러므로 승준환이라고 한다[삼인].

○ 겨울에는 생지황을 쓰지 않고 졸인 꿀(煉蜜)로 알약을 만든다[입문].

착호단(捉虎丹)

각기병(脚氣病)이 몰려서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오령지, 백교향, 바꽃(초오, 검정콩과 함께 달여서 콩을 버린 것), 목별자, 지렁이(구인) 각각 60g, 유향, 몰약, 당귀 각각 30g, 사향, 송연묵(달군 것)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찹쌀풀에 반죽해서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데운 술에 풀어서 빈속에 먹으면 약 기운이 발등을 따라 내려가서 벌겋게 부은 것을 없어지게 하는데 그렇게 되지 않으면 다시 1알을 먹어야 한다. 그러면 발바닥에서 거무스름한 땀이 나고 곧 병의 근원까지 없어진다[입문].

○ 일명 일립금단(一粒金丹)이라고도 한다[단심].

권백산(卷栢散)

오래된 각기병은 치료하기 어려운데 이 처방을 쓰면 특별한 효과가 있다.

바위손(권백, 동쪽으로 뻗었던 것이 좋은데 먼저 소금물에 한나절 동안 끓인 다음 곧 물에 다시 한나절 동안 끓여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나팔꽃검은씨(傷裏昴, 맏물가루), 감수, 빈랑.

위의 약들을 각기 가루내서 섞이지 않게 한다. 먹을 때에는 한번에 각각 4g씩 쓰는데 빈랑만은 8g을 쓴다. 날샐 무렵에 파밑(총백)을 진하게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그러면 그날 9-11시경에 언 물고기[魚凍]같이 생긴 궂은 것이 뒤로 나온다. 허약한 사람은 약의 양을 절반으로 하여 먹은 다음 멀건 죽을 먹고 청열사습탕을 달여 먹어서 조리해야 한다[득효].

이초창백산(二炒蒼栢散)

습열(濕熱)로 생긴 각기(脚氣)를 치료하는데 발과 무릎이 아프거나 벌겋게 붓고 다리뼈가 달면서 아픈 것이 비록 한 곳만이 그렇다고 하여도 걷기가 힘들고 다리가 힘이 없이 늘어져서 잘 쓰지 못하는 데 쓴다. 쓰면 다 효과를 본다.

삽주(창출, 쌀 씻은 물에 하루동안 담갔다가 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황백(술에 하루동안 담갔다가 눋도록 볶은 것) 각각 16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는다. 가루내어 물에 반죽해서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입문].

○ 일명 창출산(蒼朮散)이라고도 한다[득효].

○ 이 약재로 알약을 만든 것을 이묘환(二妙丸)이라고 한다.

가미창백산(加味蒼栢散)

습열(濕熱)로 생긴 각기(脚氣)로 다리가 힘이 없이 늘어져서 잘 걷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4g, 흰삽주(백출) 3.2g, 지모, 황백, 속썩은풀(황금) 각각 2.4g, 당귀, 함박꽃뿌리(작약), 생지황 각각 1.6g, 모과, 빈랑,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으름덩굴(목통), 방기, 쇠무릎(우슬) 각각 1.2g, 감초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승습병자(勝濕餠子)

오랜된 각기로 발과 정강이가 부어서 마치 오이나 박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나팔꽃검은씨(흑축, 맏물가루 20g을 낸다) 80g, 나팔꽃흰씨(백축, 맏물가루 20g을 낸다) 80g, 감수 2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낸다. 다음 메밀가루(蕎麥麵) 60g을 물에 타서 약가루와 반죽하여 떡같이 빚어 돈잎(銅錢) 3개 만큼씩 베내서 밥 위에 쪄 익힌다. 한번에 1개씩 찻물로 빈속에 먹는데 설사가 날 때까지 쓴다[정전].

상백피산(桑白皮散)

각기(脚氣)로 붓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몹시 괴롭고 배가 붓는 것을 치료한다.

벌건솔풍령(적복령) 8g, 목향, 방기, 대복자 각각 4.8g,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이스라치씨(욱리인) 각각 4g, 차조기잎(자소엽), 으름덩굴(목통), 빈랑, 선귤껍질(청피)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활인].

각기 때 위험한 증상[脚氣危證]

각기병 때 증상이 좀 다르다고 느껴지면 빨리 치료해야 한다. 만일 조금이라도 늦어지면 그 기운이 위로 올라가게 되므로 숨쉴 때 어깨가 들먹거리고 가슴과 옆구리가 벅차고 그득해지면서 손쓸 사이 없이 죽게 된다. 병이 약간 덜하다고 하는 것도 수일 후에 반드시 죽는다. 그러므로 반드시 빨리 치료해야 한다. 명치 아래가 켕기며 계속 숨이 차거나 절로 땀이 나거나 잠깐 동안 열이 났다 추웠다 하며 맥이 촉단(促短)하면서 삭(數)하고 계속 구토하는 것은 죽는다[천금].

○ 기가 치밀어 오르면서 맥이 삭(數)하고 눕지 못하는 것도 죽는다[천금].

○ 각기병으로 아랫배의 피부에 감각이 둔해질 때에는 대체로 붓지 않는다. 아랫배의 피부에 감각이 둔해진 지 3-5일이 지나지 않아서 토하는 것을 각기입심(脚氣入心)이라고 하는데 이렇게 되면 곧 죽는다[천금].

○ 각기병 때에 맥이 부대(浮大)하면서 긴(緊)하고 빠른 것이 제일 나쁜 맥이고 세(細)하면서 빠른 것도 역시 나쁜 맥이다[천금].

○ 각기입심으로 정신이 얼떨떨하고 헛소리를 하며 토하고 먹지 못하면서 왼쪽 촌맥[左寸脈]이 잠깐 동안 커졌다 작아졌다 하거나 나타났다 없어졌다 하는 것은 죽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때에는 삼절탕이나 혹은 삼완산이나 삼화산(三和散, 처방은 기문(氣門)에 있다)에 오약(烏藥)을 넣어 써서 살려야 한다[강목].

○ 각기병이 신(腎)으로 들어가서 허리와 다리가 붓고 오줌이 나오지 못하며 기가 치밀어 올라 숨이 몹시 차고 눈과 이마가 다 거멓게 되고 왼쪽 척맥[左尺脈]이 끊어지는 것은 죽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때에는 팔미원에서 마(서여)를 빼고 써서 살려야 한다. 소음신경(少陰腎經) 각기병이 심으로 들어가면 기가 치밀어 올라 숨이 몹시 찬데 이것이 제일 위급한 증상이다. 신이 심(心)을 이기는 것은 물이 불을 억누르는 것과 같은 것인데 이렇게 되면 손쓸 사이 없이 죽을 수 있다. 이 약으로 치료하거나 사물탕(四物湯)에 황백(닦은 것)을 넣어서 달여 먹어야 한다. 외용약으로는 부자가루를 쓰는데 물에 개어 용천혈(湧泉穴) 부위에 붙인 다음 그 위에 약쑥(애엽)으로 뜸을 뜨면 열기가 아래로 내려간다[단심].

○ 각기병이 심[腹]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숨이 몹시 차서 죽을 것같이 되었을 때에는 목유탕, 삼절탕, 삼장군원, 오약평기탕 등으로 치료해야 한다[입문].

삼절탕(杉節湯)

각기충심[脚氣入腹衝心]으로 위급하게 되어 숨이 끊어질 것같이 된 것을 이 약으로 치료한다.

삼목절 160g, 대복피 40g, 빈랑 7개, 귤잎(靑橘葉) 49잎(이것이 없으면 껍질을 쓴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 유자후(柳子厚)가 남쪽 지방에 갔다가 각기병에 걸렸는데 그것이 각기충심으로 되어 가슴이 몹시 더부룩하고 겨드랑이 밑[脇下]에 돌 같은 큰 덩어리가 생기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였다. 그런데 어떤 사람이 이 처방을 알려 주기에 먹었더니 잠깐 있다가 세게 설사를 세번 하였다. 그 다음 기운이 통하면서 덩어리가 헤쳐지고 정신이 들었다. 약을 먹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약에 물 3되를 넣고 1되가 되게 달여 두번에 나누어 먹였다[강목].

삼완산(三脘散)

각기충심(脚氣衝心)으로 속이 그득하고 답답하며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따두릅(독활), 흰삽주(백출), 모과, 대복피,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4g, 빈랑(밀가루떡에 싸서 잿불에 묻어 구워 거칠게 가루낸 것), 귤껍질(陳皮), 침향, 목향, 궁궁이(천궁) 각각 2.8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물에 달여서 설사가 날 때까지 먹으면 낫는다[활인].

목유탕(木萸湯)

각기병이 심[腹]으로 들어가서 숨이 차고 답답하여 죽을 것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모과, 빈랑 각각 10g, 오수유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삼장군원(三將軍元)

각기충심(脚氣衝心)으로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오수유, 모과, 대황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쌀풀(米糊)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지각을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오약평기탕(烏藥平氣湯)

각기병의 기운이 위로 치밀어 올라 어지럼증이 나서 어질어질하며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한다.

오약 4g, 복신, 인삼, 흰삽주(백출), 궁궁이(천궁), 당귀, 모과, 구릿대(백지), 오미자,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2.8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각기병 때 꺼려야 할 것[脚氣禁忌法]

첫째로 성[嗔]을 내지 말아야 한다. 성을 내면 가슴이 답답해지면서 각기병이 도진다. 둘째로 말을 크게 하지 말아야 한다. 말을 크게 하여도 역시 폐가 상하면서 각기병이 도진다. 또한 발을 벗고 바람을 쏘이거나 물에 들어가거나 찬물로 다리를 씻는 것도 좋지 않다. 비록 여름이라고 해도 반드시 늘 덥게 입어야 한다. 겨울에는 다리에 땀이 약간 날 정도로 입어서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늘 안마를 하고 자주 뼈마디를 움직여 기혈(氣血)을 잘 통하게 하는 것이 양생(養生)에서 중요한 것이다. 이것이 풍습(風濕)을 막는 방법이다[외대].

○ 축일(丑日)과 인일(寅日)마다 손발톱을 깎되 살이 좀 깎이도록 바투 깎아서 기를 나가게 해야 한다[외대].

○ 대체로 음식을 먹은 뒤에는 200-300보 천천히 걸어서 피곤을 풀어야 한다. 이렇게 해야 기혈이 막히지 않는다[동원].

○ 매일 아침밥은 마음대로 배 부르게 먹고 점심밥은 좀 적게 먹으며 저녁밥은 먹지 않는 것이 더 좋다. 밤에 밥을 먹으면 혈기(血氣)가 막히기 때문에 붓는 것과 아픈 것이 더 심해진다[보감].

○ 여러 가지 음식 가운데서 술, 국수, 연유[潼酪]는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많이 먹으면 각기병이 도진다. 성생활을 마음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역시 각기병이 도진다[동원].

○ 각기병 때에는 성생활을 아주 주의해야 하며 쇠고기, 양고기, 물고기, 파, 마늘, 부추, 배추, 술, 국수, 졸인 젖(酪), 기름, 돼지고기, 닭고기, 게사니고기(鵝), 오리고기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오직 쌀밥이나 조밥에 간장, 된장, 생강, 후추, 생과실 등만을 먹어야 한다. 만약 이렇게 하지 않으면 병이 낫지 않는다[천금].

○ 반드시 꺼려야 할 것은 성질이 더운약[熱藥]과 찌거나 물에 우린 약이다. 왜냐하면 이런 약은 사기를 몰아서 경맥[經絡]으로 들어가게 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입문].

각기병 때 안마하는 방법[脚氣按摩法]

용천혈(涌泉穴)은 발바닥 가운데 있는데 습기(濕氣)는 다 여기로 들어온다. 늘 낮과 저녁 사이에 양쪽 발의 벌건 살 부분을 비비되 한 손으로 발가락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한참동안 비비면 발바닥에 뜨거운 감이 느껴진다. 이때에 곧 발가락을 약간 움직여야 한다. 피곤할 때에는 좀 쉬어야 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이 비벼 주는 것도 좋으나 자기가 비비는 것보다는 못하다. 이와 같이 하면 다리 힘이 세지면서 다리가 여위거나 약해지는 병[ 弱]과 시글고 아픈 병[ 痛]이 생기지 않는다[양로].

위증의 원인[ 病之因]

『내경』에 “폐(肺)는 장기들 가운데에서 맨 위에 있는 장기인데 심장을 덮고 있다”고 씌어 있다. 무엇을 잃어버리거나 바라던 일이 뜻대로 되지 않으면 폐에 병이 생기게 된다. 폐에 병이 생기면 폐에 열이 생겨서 폐엽(肺葉)이 마르게 된다. 5장 가운데서 폐에 열이 생겨 폐엽이 마르면 위벽( )이 생긴다고 한 것이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

○ 양명(陽明)은 5장 6부에 기를 보내는 원천인데 주로 종근(宗筋)을 눅여 준다. 종근은 주로 뼈를 묶어 놓고 뼈마디가 잘 놀려지게 한다. 그러므로 양명이 허해지면 종근이 늘어지기 때문에 대맥(帶脈)을 끌어당기지 못한다. 그러면 다리에 힘이 없어져 잘 쓰지 못하게 된다[내경].

○ 심기(心氣)에 열이 있어서 맥위(脈 )가 생기면 정강이가 늘어지기 때문에 땅을 디딜 수 없게 된다. 간기(肝氣)에 열이 있어서 근위(筋 )가 생기면 힘줄이 켕기면서 가드라든다. 비기(脾氣)에 열이 있어서 육위(肉?)가 생기면 위(胃)가 마르면서 갈증이 나고 기육(肌肉)의 감각이 둔해진다. 신기(腎氣)에 열이 있어서 골위(骨 )가 생기면 허리와 등골[腰脊]을 쓰지 못하고 뼈가 마르면서 골수가 줄어든다[내경].

○ 위증( 證)이라는 것은 팔다리가 늘어지고 약해져 움직일 힘이 없는 것을 말한다. 폐금(肺金)의 성질은 본래 조(燥)한데 조해서 병이 생기면 피가 적어져서 온몸의 뼈를 영양하지 못한다. 때문에 팔다리가 늘어지고 약해져 잘 움직이지 못하는데 이것은 마치 가을 기운이 성하면 풀과 나무잎이 시들어 떨어지는 현상과 같다. 위( )라는 것은 시든다는 것과 같은 말이다[하간].

○ 위증은 다 음력 5월, 6월, 7월경에 생긴다. 그런데 5월은 소음군화(少陰君火)가 작용하는 시기이고 6월은 습토(濕土)와 경금(庚金)이 화(火)에게 굴복하는 시기이며 7월은 소양상화(少陽相火)의 시기이다. 그러므로 위증 때의 맥은 부대(浮大)하다[자화].

위증을 치료하는 방법[ 病治法]

폐금(肺金) 자체는 조(燥)하다. 이것은 위[上]에 있으면서 기를 주관하는데 화(火)를 무서워한다. 비토(脾土)의 성질은 습하며 가운데 있다. 이것은 팔다리를 주관하는데 목(木)을 무서워한다. 화(火)의 성질은 타오르는 것이다. 만약 성생활을 절도없이 하면 수(水)가 자기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어 화를 누르는 힘이 적어진다. 그러면 화는 자기가 억제하던 장기를 더 억제하게 된다. 그러면 폐가 화의 사기를 받게 되어 열이 생긴다. 목(木)의 성질은 굳세고 급(急)하다. 폐금(肺金)이 열을 받아서 자기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어 간목[養木]을 억제하는 힘이 적어지면 목이 자기가 억제하던 장기를 더 억제하게 된다. 그러면 비(脾)가 목의 사기를 받아서 상하게 된다. 폐에 열이 생기면 폐가 온몸을 관할하고 통솔할 수 없다. 비가 상하면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게 되고 여러 가지 위증( 證)이 생긴다. 남방(南方) 화를 사하면 폐금이 서늘해지기 때문에 동방(東方) 목이 날치지[滿實] 못한다. 그러면 비가 상하지 않는다. 북방(北方) 수를 보하면 심화가 내려가므로 서방(西方)이 허해지지 않는다. 그런데 어찌 폐열(肺熱)이 생길 수 있겠는가. 양명이 실하면 종근이 윤활해지고 뼈가 든든해져서 뼈마디를 잘 놀릴 수 있다. 위증치료는 이 방법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단심].

○ 동원은 황백을 주약으로 하고 황기 등을 보조약으로 하여 써서 여러 가지 위증을 치료하였지 일정한 처방은 가지고 있지 않았다. 위증과 담적(痰積)이 겹쳤을 때에도 습(濕)이 많은 환자가 있고 열(熱)이 많은 환자가 있으며 습과 열이 상반되어 있는 환자도 있고 기를 낀 환자도 있다. 그러므로 병상태에 따라서 처방을 내는 것이 위증을 치료하는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이 원리를 정확히 알지 못하면 치료할 수 없다. 하늘은 양을 생기게 하고 기름기가 있고 맛좋은 음식은 열이 나게 하고 위증을 생기게 한다. 그러므로 위증환자는 슴슴하고 기름기가 없는 음식을 먹어야 반드시 안전하다[단심].

○ 위증을 풍증으로 보고 풍증에 맞는 약을 써서는 절대로 안 된다[단심].

○ 삽주와 황백은 위증을 치료하는 데 중요하게 쓰이는 약이다[정전].

○ 간과 신(腎)이 다 허약하여 힘줄이 늘어지고 뼈가 약해진 데는 가미사근원, 오수상궤환, 녹각교환, 양혈장근건보환을 쓴다.

○ 습열로 위증이 되어 약해진 데는 신구자음환, 삼묘환, 가미이묘환, 가미사물탕, 자혈양근탕을 쓴다.

○ 늦은 여름에 습열로 위증이 생긴 데는 건보환, 사제창백환, 이초창백산(二炒蒼栢散, 처방은 위에 있다), 청조탕을 쓴다.

○ 습담(濕痰)을 겸한 데는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에 삽주(창출), 황백, 속썩은풀(황금), 흰삽주(백출), 참대기름(죽력), 생강즙을 넣고 혈이 허(虛)한 데는 사물탕에 삽주, 황백을 넣으며 기가 허한 데는 사군자탕에 삽주, 황백을 넣어서 쓴다.

가미사근원(加味四斤元)

간(肝)과 신(腎)이 다 허약하여 다리와 무릎이 시글고 아프며[ 疼] 여위고 약한 것과 풍(風), 한(寒), 습(濕)의 사기에 상하여 다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쇠무릎(우슬, 술에 담갔던 것) 60g, 오두, 범정강이뼈(虎脛骨), 육종용 각각 40g, 유향, 몰약 각각 20g, 모과(쪄서 익힌 것) 1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모과고(木瓜膏)와 섞어서 술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제생].

오수삼궤환(五獸三 丸)

간(肝)과 신(腎)이 허하여 양다리가 여위고 약한 것을 치료한다.

녹용(연유를 발라 구운 것), 혈갈, 범정강이뼈(호경골, 연유를 발라 구운 것), 쇠무릎(우슬, 술에 담갔던 것), 구척(불에 그슬려 털을 없앤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낸 것이 오수(五獸)이다. 그리고 부자 1개를 껍질을 버리고 속을 파낸 다음 주사(보드랍게 가루낸 것) 40g을 가득 채워 넣는다. 다음 모과 1개를 껍질을 버리고 속을 파낸다. 여기에 위의 부자를 넣고 파내 놓았던 부자가루로 아가리를 막는다. 이것이 바로 3궤(三 )이다. 이것을 항아리 안에 바로 세워 놓고 푹 무르도록 중탕하여 꺼낸다. 다음 오수가루와 함께 넣고 짓찧어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모과술에 풀어 먹는다. 혈갈(血竭)을 기린갈(麒麟竭)이라고도 한다[담료].

녹각교환(鹿角膠丸)

양다리가 여위고 약하여 오랫동안 누워 있으면서 일어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아주 좋다.

녹각교 600g, 녹각상, 찐지황(숙지황) 각각 320g, 당귀 160g, 쇠무릎(우슬), 흰솔풍령(백복령), 새삼씨(토사자), 인삼, 흰삽주(백출), 두충 각각 80g, 범정강이뼈(호경골, 연유를 발라서 구운 것), 남생이배딱지(龜板, 연유를 발라서 구운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다음 녹각교를 술에 넣고 녹인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생강을 달인 물에 소금을 탄 것으로 먹는다[정전].

양혈장근건보환(養血壯筋健步丸)

기혈(氣血)이 다 허(虛)하여 양다리가 여위고 허해져서 걷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160g, 쇠무릎(우슬, 술에 담갔던 것), 두충(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당귀(술에 씻은 것), 삽주(창출), 황백(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각각 80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에 축여 볶은 것), 마(서여), 오미자, 보골지(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인삼, 구기자, 새삼씨(토사자), 흰삽주(백출, 닦은 것), 범정강이뼈(호경골, 연유를 발라서 구운 것), 남생이배딱지(귀판, 연유를 발라서 구운 것) 각각 40g, 방풍 24g, 방기(술에 씻은 것) 20g, 강호리(강활, 술에 씻은 것)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돼지등뼈 속의 골수(猪脊髓) 7마리분과 함께 졸인 꿀[煉蜜]에 넣고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소금 끓인 물에 타 먹는다[의감].

신구자음환(神龜滋陰丸)

기름진 음식만 먹는 사람이 습열(濕熱)에 신(腎)이 상하여 다리와 무릎이 여위고 약하며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남생이배딱지(귀판, 연유를 발라서 구운 것) 160g, 황백(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지모(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각각 80g, 구기자, 오미자, 쇄양 각각 40g, 건강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에 쑨 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소금 끓인 물에 풀어 먹는다[강목].

삼묘환(三妙丸)

습열(濕熱)이 아래로 내려가서 양다리에 감각이 둔해지고 여위며 약해지고 혹 불에 덴 것같이 다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쌀 씻은 물에 담갔던 것) 240g,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160g, 쇠무릎(우슬)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麵糊]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생강을 달인 물에 소금을 탄 것으로 먹는다[정전].

가미이묘환(加味二妙丸)

양쪽 발이 불에 쪼이는 것같이 다는데 다는 것이 발등에서부터 시작하여 점차 허리에까지 미치고 다리가 마비되면서 여위고 약해지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다 습열로 생긴 병이다.

삽주(창출, 쌀 씻은 물에 담갔던 것) 160g, 황백(술에 담갔던 것) 80g, 쇠무릎(우슬), 당귀 잔뿌리(當歸尾, 술에 씻은 것), 비해, 방기, 남생이배딱지(귀판, 연유를 발라서 구운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에 쑨 밀가루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빈속에 생강을 달인 물에 소금을 탄 것으로 먹는다[정전].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

습열(濕熱)로 양다리가 여위고 약해져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8g, 당귀, 맥문동, 황백, 삽주(창출) 각각 4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두충 각각 2.8g, 인삼, 황련 각각 2g, 지모, 쇠무릎(우슬) 각각 1.2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정전].

자혈양근탕(滋血養筋湯)

기혈(氣血)이 다 허하여 양다리가 여위고 약해져서 걷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6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당귀, 맥문동,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쇠무릎(우슬, 술에 담갔던 것), 두충(술에 축여 볶은 것), 삽주(창출), 율무쌀(의이인) 각각 3.2g, 인삼, 궁궁이(천궁), 방풍, 지모 각각 2g, 강호리(강활), 감초 각각 1.2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건보환(健步丸)

습열(濕熱)이 성(盛)해서 다리와 무릎에 힘이 없고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며 허리와 넓적다리가 몹시 무거워 걷기 힘든 것을 치료한다.

방기 40g, 강호리(강활), 시호, 곱돌(활석),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술에 씻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0g, 택사, 방풍 각각 12g, 너삼(고삼), 오두 각각 4g, 육계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에 쑨 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파밑(총백)과 형개(荊芥)를 넣고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사제창백환(四製蒼柏丸)

습열이 성하여 다리와 무릎이 여위고 약해진 것을 치료하는데 음(陰)을 보하여 화(火)를 내리게 한다.

황백 1.2kg을 소젖(우유), 동변(童便), 쌀 씻은 물에 각각 300g씩 담근다. 나머지 300g은 연유를 발라서 굽는다. 담갔던 것들은 각기 13번씩 굽는다. 그리고 삽주(창출) 300g을 조피열매(산초), 보골지, 오미자, 궁궁이(천궁) 각각 80g씩과 함께 닦아서 삽주(창출)만 쓰고 나머지 약들은 쓰지 않는다. 다음 삽주와 황백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아침에는 술, 점심에는 찻물, 저녁에는 더운물로 먹는다[입문].

청조탕(淸燥湯)

늦은 여름에 습열이 성해서 양다리가 다 여위고 싸늘해지면서 쓸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황기, 흰삽주(백출) 각각 6g, 삽주(창출) 4g, 귤껍질(陳皮), 택사 각각 2.8g, 벌건솔풍령(적복령), 인삼, 승마 각각 2g, 생지황, 당귀, 저령, 맥문동, 약누룩(신국), 감초 각각 1.2g, 황련, 황백, 시호 각각 0.8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열궐로 생긴 위증[熱厥成 ]

어떤 사람이 복사뼈에서부터 그 아래가 늘 다는 것같이 느껴지기 때문에 겨울에도 버선을 신지 못하였다. 그는 늘 말하기를 나는 본래부터 몸이 건강하기 때문에 찬 것을 무서워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나는 그에게 “족삼음경[足三陰]이 허약하니 성생활을 하지 말고 음혈(陰血)을 보(補)하여 낫게 하기를 바란다”고 말해 주었다. 그러나 그는 웃으면서 대답도 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50살이 거의 되어 위증( 證)에 걸려 반년 만에 죽었다[단심].

○ 어떤 한 상공이 양다리가 다 여위어 연약해졌고 배꼽에서부터 음부까지 다 차고 유정[精]이 있었다. 그래서 녹용환을 먹었는데 낫지 않았다. 동원이 그의 맥을 짚어 보았는데 침삭(沈數)하면서 힘이 있었다. 그래 그는 상공에게 “이것은 좋은 술을 마시고 지나치게 기름진 음식을 먹어서 속에 화기(火氣)가 생겨 음기를 밖으로 내몰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러나 의사가 이것을 알지 못하고 성질이 더운약을 썼기 때문에 도리어 음기는 더 없어지고 양기는 세졌다. 이것이야말로 실(實)한 것을 더 실(實)하게 하고 허(虛)한 것을 더 허(虛)하게 한 것이다”고 하면서 곧 자신환을 두번 먹였는데 나았다. 그러자 어떤 사람이 그 이유를 물어 보았는데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이 병은 상화(相火)가 몹시 성(盛)하여 음이 있는 곳까지 왔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러므로 성질이 매우 찬약을 써서 상화를 사(瀉)하고 진음(眞陰)을 회복시켰다. 음이 제대로 회복되면 피부 속에 있던 찬 기운은 저절로 없어진다”고 하였다[동원].

학슬풍(鶴膝風)

이질(痢疾)을 앓은 뒤에 다리가 아프며 마비되고 약해져서 잘 걷지 못하는 것을 이풍(痢風)이라고 한다. 양 무릎이 붓고 몹시 아프며 넓적다리와 정강이가 여위어 피부와 뼈만 남아서 학의 다리 마디처럼 되고 가드라들었기 때문에 누워서도 구부렸다 폈다 하지 못하는 데는 대방풍탕을 쓴다[국방].

○ 학슬풍(鶴膝風)이란 족삼음경[足三陰]이 허손(虛損)되어 풍사(風邪)가 침범했기 때문에 아픈 것을 말하는데 이런 데는 오적산(五積散,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에 송절(松節)을 넣어 쓴다. 이질을 오랫동안 앓은 뒤에 혹 손발이 붓거나 뼈마디의 여기저기가 아픈 것은 남아 있는 어혈(瘀血)이 헤쳐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대방풍탕이나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다리가 가늘어진 데는 창구환을 쓴다[입문].

○ 학슬풍으로 붓고 아픈 데는 경험이방음을 쓴다[정전].

○ 또한 사물탕에 인삼, 황기, 흰삽주(백출), 부자, 쇠무릎(우슬), 두충, 방풍, 강호리(강활), 감초를 넣어 쓰기도 한다[의감].

대방풍탕(大防風湯)

학슬풍(鶴膝風)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6g, 흰삽주(백출), 방풍,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두충, 황기 각각 4g, 부자, 궁궁이(천궁), 쇠무릎(우슬), 강호리(강활), 인삼,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이 약은 풍(風)을 몰아내고 기(氣)를 잘 돌게 하며 혈맥(血脈)을 잘 통하게 하고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정전].

창구환(蒼龜丸)

이질(痢疾)을 앓은 뒤에 다리가 약해지고 점차 가늘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남생이배딱지(귀판),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100g, 황백(소금물이나 술에 축여서 볶은 것)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죽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사물탕에 귤껍질(陳皮)과 감초를 넣어서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경험이방음(經驗二防飮)

이질(痢疾)을 앓은 뒤에 다리가 칼로 베내거나 범이 물어 뜯는 것같이 아프면서 무릎의 종지뼈 부위가 부어서 걷지 못하는 것(鶴膝風)을 치료한다. 이것이 학슬풍이다.

찐지황(숙지황), 인삼 각각 4g, 흰삽주(백출), 황기,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두충, 비해 각각 2.8g, 방풍, 방기, 강호리(강활), 쇠무릎(우슬), 감초 각각 2g, 부자(동변에 3일 동안 담가 두었다가 싸서 구운 것) 2.8g(겨울에는 4g을 쓴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다리병 때 예후가 나쁜 증상[脚病凶證]

각기충심(脚氣衝心)으로 정신이 어리둥절하고 숨이 몹시 차며 맥이 잠깐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것은 위험하다[입문].

○ 골위(骨 )로 자리에서 일어서지 못하는 것은 위험하다[입문].

○ 발등이 붓고 무릎이 부어서 말박[斗]만해진 것은 10여 일 만에 죽는다[편작].

갑저창(甲疽瘡)

일명 감갑(嵌甲)이라고도 한다. 손톱을 깎다가 살이 상해서 헌데가 생겨 붓는 것과 볼이 좁은 신을 신었기 때문에 발 둘레가 눌려서 화끈화끈 달며 붓고 누런 진물이 나와 젖어 있고 그것이 옮아가서 다섯발가락이 다 진물며 점차 발등과 다리로 옮아가는 것을 말한다. 이런 데는 녹반 20g을 불에 달구었다가 식혀서 가루내어 쓰는데 먼저 소금물로 헌데를 씻고 닦아 말린 다음 보드라운 천에 싸서 붙인다. 하루 한번씩 갈아붙이면 저절로 낫는다[본초].

○ 다른 한 처방에는 “백반(구운 것) 20g과 노회 6g에 사향을 조금 섞어서 위의 방법대로 쓰면 더 좋다”고 씌어 있다[입문].

○ 또 한 가지 처방은 다음과 같다. 귤껍질(陳皮)을 진하게 달여서 그 물에 상한 부위를 한참 동안 담그고 있으면 발톱이 살에서 떨어지는데 이때에 발톱을 잘 깎고 겉에 뱀허물(사퇴) 태운 가루와 석웅황(웅황) 4g과 함께 가루내서 마른 채로 뿌리거나 참기름에 개어 붙인다[입문].

○ 발가락 사이가 진물거나 발톱 끝이 살에 배겨서 헌데가 생겼기 때문에 신을 신지 못하는 데는 백반(구운 것) 12g, 황단 2g을 쓰는데 가루내서 뿌리면 궂은 살[惡肉]이 없어지고 새살이 나온다. 이때에 발톱을 조금씩 깎아 버리면 곧 낫는다. 또는 게사니발바닥의 누런 껍질(鵝掌黃皮)을 태워서 가루내어 뿌리거나 좋은 차잎을 잘 짓찧어 붙이기도 한다[입문].

티눈[肉刺]

발가락 사이에 티눈이 생겨 말째고[碍] 아프기 때문에 신을 신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볼이 좁은 신을 신어서 생긴 것이다.

○ 또 한 가지 방법은 미치광이풀뿌리( 根)를 속옷 끈에 매달아 두는 것인데 이와 같이 하면 감응(感應)되어 아주 아프지 않게 된다[본초].

○ 또한 탱당실(撑黨實)을 잘 짓찧어 붙여도 곧 빠진다[속방].

○ 또한 대추(大棗)를 씨를 버리고 붙여 두면 티눈이 불어나는데 이때에 파내 버려도 된다[속방].

단방(單方)

모두 23가지이다.

우슬(牛膝, 쇠무릎)

다리와 무릎이 아프며 여위고 약해져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 먹거나 알약을 먹거나 술에 담가 두고 그 술을 마셔도 다 좋다. 허리나 다리 병에는 이 약을 반드시 써야 한다[본초].

석곡(石斛)

다리와 무릎이 아프고 시리며 약해지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으면 좋다[본초].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건각기(乾脚氣)와 습각기(濕脚氣)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이스라치씨(욱리인)와 함께 죽을 쑤어 늘 먹는 것이 좋다[본초].

위령선(威靈仙, 으아리뿌리)

어떤 사람이 다리에 병이 생겨 걸음을 걷지 못한 지가 수십 년이 되었는데 어떤 사람이 이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서 먹으라고 알려 주었다. 그리하여 며칠 동안 먹었는데 걸어 다닐 수 있게 되었다[본초].

하수오(何首烏, 은조롱)

뼈가 연약한 것과 풍으로 허리와 무릎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은조롱 600g과 쇠무릎(우슬) 300g을 섞어서 검정콩(흑두) 3되를 삶은 물에 버무려 세번 찐 다음 풀기있게 짓찧는다. 이것을 볕에 말려 가루내서 대추살(棗肉)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술로 먹는다[입문].

피마엽( 麻葉, 아주까리잎)

각기병(脚氣病)으로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잎을 쪄서 하루 세번 다리에 찜질하면 낫는다[본초].

견우자(牽牛子, 나팔꽃씨)

각기병으로 다리가 퉁퉁 붓는 데 쓴다. 맏물가루를 내어 꿀로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으면 오줌이 잘 나오면서 낫는다[본초].

송절(松節, 소나무마디)

다리가 약해지면서 저리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끓여서 즙을 내어 술을 만들어 맑은 술을 먹으면 좋다[본초].

오가피(五加皮)

위벽( )으로 다리가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술을 빚어 먹거나 물에 달여서 차처럼 마신다[본초].

상지다(桑枝茶, 뽕나무가지차)

각기병을 치료하는데 오랫동안 먹으면 좋다[본초].

천초(川椒, 조피열매)

한습(寒濕)으로 생긴 각기병을 치료하는데 설핀 베주머니에 넣어서 미지근한 불돌 위에 놓은 다음 발로 조피열매 주머니를 밟고 있으면 한습이 빠지고 낫는다[입문].

빈랑(檳 )

각기충심(脚氣衝心)으로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한다. 좋은 빈랑을 가루내어 8g을 생강즙과 술 각각 반잔씩 섞은 데 타서 먹는다[본초].

여어장여어( 魚鰻 魚, 가물치와 뱀장어)

이것은 다 각기병을 치료하는데 회를 쳐서 늘 먹어야 한다. 붕어회[ 魚膾]도 좋다[본초].

전라(田螺, 우렁이)

주로 각기병이 위로 올라간[上衝] 것을 치료하는데 삶아서 먹는다. 가막조갯살( 肉)도 좋다[본초].

생율(生栗, 생밤)

각기병과 다리가 약해지고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하는데 자루에 넣어서 바람에 말려 매일 열알씩 빈속에 먹는다[본초].

목과(木瓜, 모과)

각기병과 각기병이 위로 올라간 것을 치료하는데 1개를 진하게 달여서 마신다[본초].

흑두(黑豆, 검정콩)

각기충심(脚氣衝心)을 치료한다. 검정콩을 진하게 달여서 그 물을 마신다. 감초와 함께 달여 먹으면 더 좋다[본초].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각기병과 수종(水腫)병을 치료하는데 잉어[鯉魚]와 함께 끓여서 먹으면 아주 좋다[본초].

자소(紫蘇, 차조기)

각기병을 치료하는데 잎을 달여서 찻물처럼 늘 마신다. 또한 차조기씨(자소자) 80g을 갈아서 즙을 낸 다음 여기에 입쌀(粳米), 파, 간장, 후추, 생강을 넣고 죽을 쑤어 먹어도 된다[본초].

녹제육(鹿蹄肉, 사슴발족고기)

다리와 무릎이 시글고 아파서[ 痛] 땅을 밟을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사슴발족 4개를 보통 먹는 것처럼 손질한 다음 양념을 두고 삶아 익혀서 먹는다[본초].

견간저간(犬肝猪肝, 개간과 돼지간) 이것은 다 각기병이 위로 올라간 데 쓴다. 회를 만들어 생강과 식초를 쳐서 먹으면 설사가 난다. 만일 약을 먹기 전에 먼저 설사가 나면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오우뇨(烏牛尿, 까마귀와 소의 오줌)

[번역생략]

인뇨(人尿, 사람의 오줌)

[번역생략]

침뜸치료[鍼灸法]

환도혈(環跳穴)에 양다리의 건강상태가 나타난다[자생].

○ 다리와 무릎이 가드라들면서 아프거나 다리가 마르면서 거멓게 되는 데는 풍시(風市), 양릉천(陽陵泉), 곡천(曲泉), 곤륜혈(崑崙穴)을 쓴다[강목].

○ 넓적다리와 정강이가 아프고 켕길 때에는 풍시(風市), 중독(中瀆), 양관(陽關), 현종혈(懸鍾穴)을 쓴다[강목].

○ 허리와 다리가 아플 때에는 위중(委中), 곤륜, 인중(人中), 음시혈(陰市穴)을 쓴다[강목].

○ 무릎이 아파서 다리를 절 때에는 환도, 현종, 거료(居 ), 위중혈을 쓴다[강목].

○ 넓적다리가 아프고 정강이가 시글 때에는 양릉천, 절골(絶骨), 중봉(中封), 입읍(臨泣), 족삼리(足三里), 양보혈(陽補穴)을 쓴다[강목].

○ 무릎 안쪽 변두리가 아프면 슬관(膝關), 태충(太衝), 중봉혈(中封穴)을 쓴다[강목].

○ 무릎 바깥쪽 변두리가 아프면 협계(俠谿), 양관(陽關), 양릉천혈(陽陵泉穴)을 쓴다[강목].

○ 발목이 아프면 곤륜, 태계(太谿), 신맥(申脈), 구허(丘墟), 상구(商丘), 조해(照海), 태충(太衝), 해계혈[解谿]을 쓴다[강목].

○ 다섯발가락이 다 아프면 용천(涌泉), 연곡혈[然谷]을 쓴다[강목].

○ 각기병만 있을 때에는 침을 놓는 것이 제일 좋다. 열이 있을 때에는 뜸을 뜨지 말아야 한다[자생].

○ 각기병이 생긴 초기에는 먼저 풍시(風市)혈에 뜸을 뜬 다음 복토(伏兎)혈, 독비(犢鼻)혈, 삼리(三里)혈, 상렴(上廉)혈, 하렴(下廉)혈, 절골(絶骨)혈 등의 순서로 날마다 뜸을 1백장씩 뜬다[자생].

○ 습열(濕熱)로 생긴 각기로 벌겋게 붓고 헌데가 생긴 데는 중봉(中封), 양보(陽輔), 풍시(風市), 절골혈(絶骨穴)을 쓴다[자생].

○ 각기병 때에는 열발가락 끝에 혈을 잡는데 이 혈이름을 기단(氣端)이라고 한다. 즉 발가락 끝에서부터 1푼 떨어져 잡는다. 매일 3장씩 뜸을 뜨면 잘 낫는다[자생].

○ 무릎 속이 아프면 독비(犢鼻)혈에 침을 놓는다[강목].

○ 무릎이 부었으면 삼리(三里)혈에 화침한다. 그러면 부었던 것이 내린다. 또는 행간(行間)혈도 쓴다[자생].

○ 각기병 때에는 빨리 풍시(風市), 삼리혈에 뜸을 떠서 독기(毒氣)를 뽑아내야 한다[자생].

○ 다리가 약(弱)하고 몹시 여윈 데[瘦削]는 삼리(三里), 절골(絶骨)혈을 쓴다. 절골혈을 쓰면 각기병(脚氣病)이 잘 낫는다[자생].


脚足寒冷(배꼽아래~발가락) : 신정격/여태 신수

사지냉(따뜻함 음식 좋아함 朝食暮吐 맑은 침) : 위열격

수족냉(구토를 잘 한다) : 비열격

수족냉(무엇에 홀린 듯이 멍하고 가슴이 두근거린다) : 심열격

수족냉(피부건조 귀밑멍울) : 대장정격

수족냉(소변량 많고 오리똥 같은 청흑색 설사) : 대장열격

수족냉(대맥 압통,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다) : 비정격

수족냉통(바람 맞는 것도 싫어함) : 소장정격

무릎이 시렵다 : 신정격/담정격

발은 냉하지만 이마에 땀을  흘린다 : 신정격

발이 시리다 : 신정격/신수 여태

무릎이 뜨겁고 관절염있다 : 비정격+소장정격

손발에 열이 많다 : 소장정격

발이 뜨겁다 : 방광정격/곤륜 부양

 

偏身痒如蟲行方(긁어도 멈추지 않고 가려워 참기어렵다) : 태충(迎後正)광명()음곡대돈

着痺濕勝(벌레가 기는 듯하고 긁어도 멈추지 않고 

          꼬집어도 아픈거 모름, 마목이 있는 듯, 관절이 붓는다) : 비승격

皮痹(긁어도 아픈거 모름, 처음에는 벌레가 굼실굼실 기어 다니는 것 같다) : 폐정격

脈痹(肢節부위 마비감으로 저리고, 피부 벌레기어가고 열나고 가렵고 에리고 따갑다) : 소장정격

                                                                       / 대릉 심해

痛風(아픈 부위에 청색 나타나고, 어딘가 닿으면 불로 지지는 것 같다 :  류머티스) : 담정격

肉痿(사지가 마비되는 느낌, 꼬집어도 모른다) : 비정격

肌痺(만지면 몸살처럼 살갗이 아프다, 저린다) : 위승격

몸이 저리거나 남의 살처럼 감각이 둔하다 : 간정격

足膝이 저리고 힘 없다(寒痰, 腰背가 강통하고 肢節이 시렵고 뼛속이 아프다) : 신정격

다리 못 구부리고 못 펴고 발 저림 : 방광정격/승산 사혈(患側)

筋痺(근육이 경련하고 굴신불리하고 관절이 아파 걷지 못함, 붓고 벌겋다) : 간정격

근육이 땡겨서 무릎관절이 불거지고 굴신 안됨(엉거주춤) : 간정격

근육경련이 일어나며 오그라들거나 땡긴다 : 간한격

손발이 급성으로 오그라들며 뻣뻣해지며 경련이 온다 : 간승격

다리 힘줄이 땡기고 만지면 찌릿찌릿하다(추우면 甚) : 신정격

 

전신의 유주통 : 비승격

濕鬱(周身關節에 流走痛, 머리에 젖은 모자 쓴 것 같고, 陰寒 만나면 재발) : 비정격

骨痺(四肢가 緩弱하고 뼈속이 시리다, 骨髓不行하여 皮膚不仁, 肌肉重着

          骨이 중압감 느껴 쉽게 들지 못함, 뻐근함) : 방광정격/골비방/신정격/소장정격

四肢관절과 肩背가 아프고 음식생각 없고 소화 안되고 吐瀉를 하다 : 비정격

白虎歷節風(四肢骨節이 호랑이가 무는 것 같이 아프고 돌아다닌다) : 폐승격

사지골절이 심하게 아픈 것이 돌아다니고 손이 마비되면서 아픈 것이 삔 것 같다 : 간정격

行痺風勝(여기저기 붓고 아픈 것이 돌아다닌다) : 담승격

 

사지무력(血鬱 루게릭, 음식소화안됨 소변림 대변붉다) : 소장정격(+비정격)

사지무력(루게릭, 허리 힘없어짐-앉혀도 쓰러진다) : 신정격

사지무력(근무력증) : 폐정격

하지무력(筋痿, 入房太甚으로 인해 힘줄이 늘어져서 行步못함, 간열) : 간정격

하지무력(痿癖, 筋脈이 늘어져 脚足이 힘없이 연약하여 行步못함, 폐열) : 폐정격

하지무력(脈痿證, 大絡이 공허하여 맥이 늘어져서 足膝을 못움직임) : 심정격

하지무력 : 곤륜 양보

하지무력(중풍환자) : 족삼리

 

엉덩이가 베겨서 잘 못 앉는다 : 소장승격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제대로 앉지 못함) : 방광정격

대전좌 동통 : 위승한격

좌골신경통 : 임읍 후계 통곡 협계

좌골신경통(부인) : 방광정격+중극

좌골신경통 치료 중 땡기는 것 오래남음 : 천주

하지의 염좌(삔것) : 어혈방/삼리 현종 태계 협계 행간

다리 다침(치료 후 다시 쑤시면 금간 것) : 삼리 현종 태계 협계 행간

자다가 다리떤다(다리에 힘이 들어가서 펄쩍 뛰기도 한다) : 폐정격

갑자기 팔다리가 끊어질 듯이 아프다(痛痺寒勝, 통처고정 :  통증 심함) : 대장승격

팔다리가 욱씬욱씬 쑤시고 아프다, 팔이 끊어질듯 갑자기 저녁에 아픈 경향 : 대장승격

       (파스 바르고 시원하면 : 대장정격

        파스 바르고 더 심하면 : 대장승격)

한쪽 다리가 가늘다(땡기고 아프다) : 방광정격

안짱다리(젊어서 속 썩은 사람 心火) : 심정격/비정격/소장정격/방광정격

대퇴 후면 : 폐정격

다리에 뭔가 척 달라붙어 있는 것 같다 : 비승격/대돈 은백

학슬풍(슬관절이 붓고 아프고 다리 살이 여윈다) : 양릉천 透음릉천 현종 透삼음교

관절염 : 신정격

무릎이 뜨겁고 관절염있다 : 비정격+소장정격

뚱뚱한 사람의 관절염(관절주위에 살이 뭉쳐있다) : 비승격

날씬한 아가씨의 관절염 : 담정격

무릎 외측이 아픈 퇴행성 관절염 : 임읍 함곡 양곡 해계

무릎 속이 콕콕 쑤시는 관절염 : 위승격/담정격

무릎 연골이 닳음(뼈가 뻑뻑하고 소리남) : 방광정격

무릎이 뻑뻑하다 : 견중

무릎이 뻑뻑하고 다리 못구부림 : 방광정격

무릎이 시큰거리고 아프다(슬산통) : 폐정격

무릎 속 : 견중, 양릉천 透음릉천 현종 透삼음교

무릎 외측 : 담정격+풍시

무릎 내측이 시큰거리고 아프다(음곡 곡천등이 합수혈) : 방광정격

무릎 앞쪽 : 위정격

무릎 뒤쪽 : 방광정격

관절에 물이 찬다 : 소장정격/양릉천 透음릉천 현종 透삼음교

종아리가 땡김(신체후면부, 방광1, 대퇴후면 제외/대맥압통↑) : 방광정격(+비정격)

종아리나 아킬레스건이 땅김 : 정근 정종 실면

다리에 쥐가 난다(脚足轉筋-저리다가 쥐난다, 치매가능성 높다) : 담정격

족 외과 굳은 살 : 위승격/ 담승격

족 외과가 붓고 아프다 : 방광정격

발 외측 마비되거나 아프다 : 방광정격

족 내과 : 신정격

발목 주위 통증 : 방광정격/음릉천 내양구

구허 부위 통증 : 담정격

발목을 잘 삔다 : 담정격

手足多汗 : 담정격

발등이나 족과에 뼈가 튀어나온 듯 할 때 : 함곡

발등 붓고 아프다 : 신정격

연곡혈 통증 : 용천

티눈 또는 굳은 살(티눈 떼어내고 자침) : 비승격

발뒤꿈치 통증 : 방광정격/실면 정근 정종

발뒤꿈치 땅에 대지 않고 걸을때 : 폐정격

발바닥이 열나고 아프다 : 방광정격/곤륜 부양

발바닥이 아프다 : 노궁

걸을 때 발바닥이 아프다 : 용천 용천상하 5푼 실면

발바닥의 살이 밀려서 못걸음(물집, 오르막길 내리막길, 肌와 肉의 분리) : 소장정격

발바닥 손바닥이 가렵다 따갑다 : 소장정격

발바닥 손바닥이 딱딱하여 갈라져서 피가 나고 아프다 : 폐정격

발바닥이 감각이 없다(비실 방광허) : 방광정격/비승격

발가락이 굴신이 안되고 감각이 둔하다 : 방광정격/골비방

발 꼬린내가 심하다 : 대장한격

엄지발가락 본절 붓고 튀어나오고 아프다 : 신정격/태백 태계

발가락 본절 전체 통증 : 신정격

4~5지 쪽 마비, 통증, 땡긴다 : 방광정격

사지가 썩어들어감(당뇨병 버거씨병 동상) : 음릉천 내양구/위승격/요퇴점

무좀(건성) : 대장정격

무좀 : 위정격

발톱무좀 : 간한격/비정격

손발톱이 말라서 갈라지거나 부서진다(얇다) : 간정격

손발톱이 잘 부서지고 뒤집어진다 : 간한격

손발톱을 자를 때 튄다(간열) : 간한격

메니큐어 바르면 가슴답답 : 담정격

'동의보감 > 외형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뼈(骨)  (0) 2016.05.29
손(手)  (0) 2016.05.29
머리털(毛髮)  (0) 2016.05.29
생식기(前陰)  (0) 2016.05.29
항문(後陰)  (0) 2016.05.29
:
Posted by doc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