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2

« 2024/1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6. 5. 28. 22:33

구토(嘔吐) 동의보감/잡병편2016. 5. 28. 22:33

구토[嘔吐]

« 동의보감(東醫寶鑑)

구토[嘔吐]

구토의 원인[嘔吐之因] » · 맥 보는 법[脈法] »

토하기 치료법[嘔吐治法] » · 오심과 헛구역[惡心乾嘔] »

열격과 반위 원인[ 反胃病因] » · 열격과 반위 치료법[ 反胃治法] »

단방(單方) » · 침뜸치료[鍼灸法] »

구토의 원인[嘔吐之因]

『내경』에는 “여러 가지로 토하면서 올려미는(逆衝上) 것은 다 화(火)에 속한다”고 씌어 있다.

○ 위(胃)와 가슴[膈]에 열이 심하면 구역질이 나는데 이것은 불기운이 타오르는 형상과 같은 것이다[하간].

○ 구(嘔)와 토(吐), 얼( )은 다 위(胃)에 속한다. 그리고 위는 모든 것을 관할한다. 구, 토, 얼도 기혈(氣血)이 많은가 적은가에 따라 다른 것이다. 구(嘔)라는 것은 양명경(陽明經)과 관련되어 생기는 것인데 양명경에는 혈도 많고 기도 많기 때문에 소리도 나고[有聲] 나오는 물건도 있다[有物]. 이것은 기혈이 다 병든 것이다. 토(吐)라는 것은 태양경과 관련되어 생기는 것인데 태양경(太陽經)에는 혈이 많고 기가 적기 때문에 나오는 물건은 있으나 소리가 없다. 이것은 혈에 병이 든 것이다. 음식물이 들어가면 곧 토하거나 먹고 난 다음에 토하는 데는 귤홍을 주로 쓴다. 얼( )이라는 것은 소양경(少陽經)과 관련되어 생기는 것인데 소양경에는 기가 많고 혈이 적기 때문에 소리는 있으나 나오는 물건이 없다. 이것은 기에 병이 든 것이다. 이런 때에는 끼무릇(반하)을 주로 쓴다. 이 3가지 병의 원인은 비기(脾氣)가 허약하거나 찬 기운이 위(胃)에 침범했거나 음식물에 상한 데 있다. 이런 때에는 정향, 곽향, 끼무릇(반하),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생강 등을 주로 쓴다[동원].

○ 습(濕)으로 생기는 구역(嘔逆) 때에는 나오는 물건도 있고 소리도 나는데 음식먹은 뒤에 생긴다. 건구(乾嘔)라는 것은 헛구역만 하고 나오는 물건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들은 다 양명경에 속하는데 기와 혈이 다 병든 것이다. 구(嘔)라는 것은 토(吐)보다 더 중하다[입문].

○ 유하간(劉河間)이 “구(嘔)라는 것은 불기운이 타오르는 것과 같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극히 일면만 말한 것이다. 구라는 것은 담(痰)이 중초(中焦)에 막혀서 음식물이 내려가지 못해서 되는 것도 있고 기(氣)가 치밀어 올라서 되는 것도 있으며 찬 기운이 위의 입구에 몰려서 되는 것도 있다. 그리고 음식물이 명치에 머물러 있어서 새로 먹은 것이 내리지 못하고 도로 나올 때도 있고 위(胃)속에 화(火)와 담(痰)이 있어서 구역할 때도 있다[단심].

○ 구역하는 환자에게는 양명병의 증상이 있다고 하여도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그렇게 하면 역증(逆證)으로 되기 때문이다[중경].

맥 보는 법[脈法]

촌구맥(寸口脈)이 삭(數)하면 토한다.

○ 촌구맥이 세삭(細數)하다면 삭한 것은 열증(熱證)이고 세한 것은 한증(寒證)이다. 맥이 삭하면 토한다[맥경].

○ 환자의 맥이 삭하다면 그것은 열증인데 이때에 소화가 잘 되어 음식이 몹시 당기고 토하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이것은 지나치게 땀을 내어 양기가 쇠약해지고 격기(膈氣)가 허해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맥이 삭한 것이다. 그리고 또한 밖에서 침입한 열은 음식물이 소화되지 못하게도 한다. 그리고 위(胃)가 허하고 차기 때문에 토하는 것이다[중경].

○ 양맥(陽脈)이 긴(緊)하고 음맥(陰脈)이 삭(數)하면 음식을 먹은 다음에 곧 토하게 된다.

○ 촌맥(寸脈)이 긴(緊)하고 척맥(尺脈)이 색( )하면 가슴이 그득하면서 먹지 못하고 토하게 된다[맥경].

○ 맥이 활(滑)하면 토한다[맥결].

○ 토할 때에는 촌맥이 긴하면서 활삭(滑數)한데 미삭(微數)한 것은 혈이 허한 것이고 단순한 부맥(浮脈)은 위(胃)가 약한 것이며 규맥( 脈)은 어혈(瘀血)이 있는 것이다. 가장 좋지 못한 맥은 색맥( 脈)과 약맥(弱脈)이다[회춘].

○ 부양맥(趺陽脈)이 부삽(浮澁)하면 부한 것은 허한 것이고 삽한 것은 비(脾)를 상한 것이다. 비를 상하면 음식물을 소화시키지 못하게 되는데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고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한다. 전혀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을 토하는 것을 반위(反胃)라고 한다[맥경].

○ 맥이 긴하면서 삽하면 그때의 병은 치료하기 어렵다.

○ 맥이 현(弦)하면 허한 것이다. 위기(胃氣)가 여유가 없어지면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고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하게 된다[맥경].

○ 반위와 열격 때에 촌맥은 긴하고 척맥은 삽하다[회춘].

○ 열격과 반위 때에 맥이 부완(浮緩)하면 살고 침삽(沈澁)하면 죽는다. 맥이 삽하면서 소(小)한 것은 혈이 부족한 것이고 맥이 대(大)하면서 약한 것은 기가 부족한 것이다[의감].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토하기에는 냉증(冷證)과 열증(熱證) 2가지 증이 있는데 냉증 때에는 얼굴빛이 푸르고 손발이 싸늘하며 음식을 먹은 다음 오래 있다가 토한다. 이때에는 가미이진탕, 정향안위탕, 가감이중탕 등을 쓴다.

○ 열증 때에는 얼굴빛이 벌겋고 손발이 달며(熱) 음식을 먹자마자 곧 토한다. 이런 데는 보중탕, 화중길경탕, 황련죽여탕, 청열이진탕, 갈근죽여탕, 가미귤피죽여탕 등을 쓴다.

○ 중병[大病]을 앓은 뒤에 위(胃)에 열이 있어 허번증(虛煩證)이 나면서 구역할 때에는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약재에 생강즙을 타 먹으면 곧 멎는다[입문].

○ 늘 멀건 물[淸水]을 토하거나 서늘한 침[冷涎]이 아래에서부터 올라오는 것은 비(脾)에 열이 있기 때문인데 이때에는 이진탕 약재에 흰삽주(백출),집함박꽃뿌리(백작약), 승마,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생강(말린 것으로 흙과 함께 닦은 것), 속썩은풀(황금), 황련, 산치자를 더 넣어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증병(蒸 )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입문].

○ 간화(肝火)가 위(胃)로 치밀어서 토하는 데는 억청환(抑靑丸, 처방은 화문(火門)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생강은 구역할 때에 주로 쓰는 약이다. 위(胃)가 허해서 구역이 날 때에는 반드시 음식의 기운이 잘 퍼져나가게 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사미곽향탕, 가감사군자탕을 주로 쓴다[강목].

○ 오랜 병으로 위가 허해져서 토할 때에는 곽향안위산, 곽향평위산, 비화음 등을 쓴다.

○ 담음(痰飮)으로 토할 때에는 복령반하탕, 소반하탕(小半夏湯, 처방은 입문[口門]에 있다), 대반하탕(大半夏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을 쓴다.

○ 신출환(神朮丸,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은 멀건 물을 토할 때에 쓰면 신기하게 멎는다.

○ 물이 속에 차 있어서 구역이 나는데 명치 밑이 두근거리면서 갈증이 난 다음에 구역이 날 때에는 적복령탕(赤茯 湯, 처방은 가슴문[胸門]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고 먼저 구역이 나고 뒤에 갈증이 날 때에는 저령산을 쓴다. 물을 마시자마자 곧 토할 때에는 오령산(五 散,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을 쓴다[입문].

○ 구역할 때에[嘔家] 쓰는 좋은 약[聖藥]은 생강이라고 한 천금방(千金方)의 말이 틀림없다. 그러나 기가 치밀어 올라 구역할 때에는 생강으로 헤쳐 주고 담수(痰水)로 구역할 때에는 끼무릇(반하)으로 몰아내야 한다. 생강은 한증(寒證) 때 가장 좋은 약이다. 만일 열로 구역이 날 때에는 오매가 없어서는 안된다[의감].

○ 토할 때에는[嘔家] 염교흰밑죽( 白粥)을 먹는다.

○ 구역하는 사람이 옹저가 생겨서 곪았을 때에는 구태여 구역을 치료할 필요가 없다. 고름이 다 나오면 구역은 저절로 멎는다[중경].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위가 차서[胃冷]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 1첩에 사인 4g, 정향 2g을 더 넣어 쓴다[단심].

정향안위탕(丁香安胃湯)

위가 차서 생기는 토하기와 딸꾹질( )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8g, 오수유, 초두구, 인삼, 삽주(창출) 각각 4g, 정향, 시호, 승마, 당귀, 귤껍질(陳皮), 감초(닦은 것) 각각 2g, 황백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가감이중탕(加減理中湯)

위가 차서 멀건 물과 찬 침을 토하며 맥이 침지(沈遲)한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건강(싸서 구운 것), 귤껍질(陳皮), 곽향, 정향, 끼무릇(반하), 사인(간 것), 계피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보중탕(保中湯)

담화(痰火)로 토하고 음식이 내리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흙과 함께 닦은 것) 8g, 속썩은풀(황금), 황련(이 2가지는 흙과 함께 닦는다), 곽향, 산치자(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g,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3.2g, 사인 1.2g, 감초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이는데 강물에 누런 흙을 풀어서 가라앉힌 웃물에 넣고 달인다.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약간 식혀서 자주 먹는다[의감].

화중길경탕(和中桔梗湯)

상초(上焦)에 열이 있어서 먹으면 토하고 맥이 부홍(浮洪)한 것을 치료한다.

반하국 8g, 도라지(길경), 흰삽주(백출) 각각 6g, 귤껍질(陳皮), 후박, 지실,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가라앉혀 웃물을 받는다. 여기에 목향과 빈랑가루 각각 4g씩 타서 빈속에 먹는다. 세번을 먹어서 토하는 것이 좀 멎으면 목향과 빈랑가루는 빼고 다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8g, 단너삼(황기) 6g을 넣어서 달여 먹는다[정전].

황련죽여탕(黃連竹茹湯)

위(胃)에 열이 있어서 토하고 번갈이 나며 맥이 삭한 것을 치료한다.

황련(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산치자(거멓게 되도록 닦은 것), 푸른참대속껍질 각각 4g, 인삼 2.8g,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귤껍질(陳皮), 맥문동,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알,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청열이진탕(淸熱二陳湯)

담화로 토하면서 거품침[涎沫]을 흘리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 인삼, 흰삽주(백출), 참대속껍질(죽여), 사인, 산치자, 맥문동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갈근죽여탕(葛根竹茹湯)

위에 열이 있어서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칡뿌리(갈근) 12g, 끼무릇(반하, 썰어서 생강즙과 신좁쌀죽웃물을 섞은데 넣고 달여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8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참대속껍질(죽여, 달걀 노른자위만한 것) 1뭉치를 넣어서 달여 먹는다[단심].

○ 술을 마신 다음 구역이 나는데 더 좋다[입문].

○ 위(胃)속에 열이 있는가는 손발바닥이 다 다는가[熱]를 보고 아는데 손발바닥이 달면 위에 열이 있는 것이다[입문].

가미귤피죽여탕(加味橘皮竹茹湯)

위에 열이 있어서 갈증이 몹시 나고 구역과 딸꾹질이 나서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참대속껍질(죽여), 벌건솔풍령(적복령), 비파엽, 맥문동, 끼무릇(반하) 각각 4g, 인삼,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 비파엽이 없으면 꿀을 발라 구운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을 대신 쓴다[입문].

사미곽향탕(四味藿香湯)

위가 허하여 토하는데 죽이나 약을 넘겨도 곧 도로 올라오는 것을 치료한다.

곽향, 인삼,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가감사군자탕(加減四君子湯)

오래된 병으로 위가 약해져서 전혀 먹지 못하고 음식냄새만 맡아도 곧 구역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사군자탕(四君子湯, 처방은 기문(氣門)에 있다) 약재에서 흰솔풍령(백복령)을 빼고 인삼, 단너삼(황기), 향부자 각각 4g씩 넣는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곽향안위산(藿香安胃散)

비위가 허약하여 음식이 소화되기 전에 다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홍 20g, 인삼, 정향, 곽향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생강 3쪽과 함께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보감].

곽향평위산(藿香平胃散)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8g, 곽향, 후박, 귤껍질(陳皮) 각각 6g, 사인, 약누룩(신국) 각각 4g, 감초(닦은 것)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비화음(比和飮)

위가 허약하여 토한지 1달이 지나서도 음식을 먹지 못하면서 음식냄새나 약냄새만 맡아도 구역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약누룩(신국, 닦은 것) 각각 4g, 곽향, 귤껍질(陳皮), 사인, 감초 각각 2g, 묵은 쌀(陳倉米) 1홉.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한다. 그리고 먼저 물 3되에 복룡간(伏龍肝)을 풀어서 가라앉혀 웃물 1되 반을 받는다. 여기에 위의 약을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넣고 7분이 되게 달인다.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좀 식혀서 하루 두세번 먹는데 토하는 것이 멎으면 따로 묵은 쌀을 달여서 수시로 먹어야 완전히 낫는다[의감].

복령반하탕(茯 半夏湯)

위(胃)속에 담음(痰飮)이 차 있어서 토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8g, 벌건솔풍령(적복령), 귤껍질(陳皮), 삽주(창출), 후박 각각 4g, 곽향 3.2g, 사인, 건강, 감초(닦은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저령산(猪 散)

먼저 구역이 나다가 갈증이 나고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물 생각이 날 때에 빨리 먹어야 한다.

저령,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삽주(백출)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8g씩 물에 타서 먹는다.

○ 어떤 사람이 한번에 물을 2-3사발씩 토했는데 여러 가지 약을 써도 효과가 없었다. 그리하여 날 샐 무렵에 우물물(井華水)을 남 먼저 떠다가 한 모금 먹였는데 토하던 것이 멎었다. 그 후에 이 약을 먹였는데 곧 나았다[중경].

해백죽( 白粥)

구역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가장 효과가 있다.

염교흰밑( 白) 3대, 달걀 흰자위 3알분, 좁쌀 3홉.

위의 약들을 섞어서 죽을 쑨다. 다음 인삼 40g을 잘게 썰어서 물 1되에 넣고 3홉이 되게 달여 찌꺼기는 버린다. 여기에 쑤어 놓은 죽을 고루 타서 단번에 먹으면 곧 멎는다[득효].

오심과 헛구역[惡心乾嘔]

오심(惡心)이라는 것은 토할듯 하면서도 토하지 않고 음식을 보면 곧 속이 메슥메슥한 것이다. 이런 데는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에 백두구, 향부자, 사인을 넣어서 달여 먹는다[입문].

○ 오심이라는 것은 토할듯 하면서도 토하지 않는 것인데 이것은 위의 입구(胃口)에 열(熱)과 담(痰)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이진탕에 속썩은풀(황금, 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과 황련을 넣어서 쓴다[단심].

○ 헛구역[乾嘔]이라는 것은 소리만 나고 나오는 것이 없는 것인데 헛구역이 나면서 손발이 싸늘한 데는 생강귤피탕을 쓴다[활인].

○ 오심이라는 것은 소리도 나지 않고 나오는 것도 없으며 다만 속이 메슥메슥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고 토할 듯하나 토하지도 않고 구역이 날 것 같으면서도 나지 않는 것이다. 오심이 실지는 심경(心經)의 병이 아니라 다 위의 입구[胃口]에 생긴 병이다. 그러므로 생강을 쓴다. 오심 때에는 멀건 물을 토하는데 이것은 위의 입구에 담과 열이 있고 허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생강을 쓰는데 생강반하탕을 쓰기도 한다[중경].

○ 헛구역[乾嘔]이 나고 거품침[涎沫]을 뱉을 때에는 반하건강산을 쓴다[중경].

○ 위 속에 본래 열이 있어서 메스껍고 헛구역이 멎지 않고 나는 데는 치자죽여탕을 쓴다[의감].

생강귤피탕(生薑橘皮湯)

헛구역이 나면서 혹 손발이 싸늘해지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160g, 생강 30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 7잔에 넣고 3잔이 되게 달여 약간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활인].

○ 일명 진피탕(陳皮湯)이라고도 하는데 헛구역에 제일 좋다. 이 약을 먹으면 곧 낫는다[중경].

생강반하탕(生薑半夏湯)

가슴 속이 숨찬 것 같으면서도 숨은 차지 않고 토할 것 같으면서도 토하지 않으며 딸꾹질이 날 것 같으면서도 나지 않으면서 속이 메슥메슥하여 어떻게 할지 모르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20g.

위의 약을 물 1잔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인 다음 여기에 생강즙 반 잔을 타서 고루 저어 먹는다[중경].

○ 대체로 토하게 하는 약은 한꺼번에 급하게 먹지 말고 천천히 먹어야 한다[입문].

반하건강산(半夏乾薑散)

헛구역이 나고 거품침을 뱉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건강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末) 한번에 12g씩 물에 달여 천천히 먹는다[중경].

치자죽여탕(梔子竹茹湯)

위에 열이 있어서 메스껍고 헛구역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산치자(닦은 것) 12g, 귤껍질(陳皮) 8g, 푸른참대속껍질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의감].

식비로 먹은 것을 토하는 것[食痺吐食]

식비(食痺)라는 것은 음식을 먹고 나면 명치 밑[心下]이 무엇이라고 말할 수 없이 은은히[陰陰然] 참을 수 없이 아프다가도 토하면 멎는 것이다. 이것은 위기가 치밀어 올라와 내려가지 못해서 생긴 것이다[내경].

○ 아프면서 토하는 것은 찬 기운 때문이다. 『내경』에 “찬 기운이 장위(腸胃)에 침범하면 궐역(厥逆)이 생겨 치밀어 오르기 때문에 아프고 토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강목].

○ 토할 때 맥이 현(弦)한 것은 간목(肝木)이 비토(脾土)를 억누르기 때문이다. 풍담(風痰)이 비위 사이에 얽혀 있으면 메스껍고 토할 것같으면서 음식이 내려가지 않는다. 이런 때에는 먼저 비토를 실하게 하여야 하는데 복령반하탕, 맥천탕, 백출복령탕, 금화환, 수자금화환을 쓴다[동원].

복령반하탕(茯 半夏湯)

풍담이 비위 사이에 엉겨 있어서 메스꺼우면서 토할 것같은 것을 치료한다. 이런 때에는 반드시 비토를 실하게 하여야 한다.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6g,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끼무릇(반하), 약누룩(신국, 닦은 것) 각각 5.2g, 귤홍, 천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거칠게 가루낸 다음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백출복령탕(白朮茯 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끼무릇(반하) 각각 12g, 약누룩(신국, 닦은 것) 4g, 보리길금(맥아, 가루낸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금화환(金花丸)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40g, 빈랑 8g, 석웅황(웅황, 수비(水飛)한 것) 6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불린 증병(蒸餠)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생강 달인 물로 먹는데 토하지 않을 때까지 쓴다. 풍담이 비에 엉켜 있어서 음식이 내리지 않는 데도 이 약을 쓴다. 이 약은 풍담을 치료하는데 쓰는 약이다[역로].

○ 일명 안비환(安脾丸)이라고도 한다[입문].

수자금화환(水煮金花丸)

풍담이 비위에 엉켜 있어서 음식이 내려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밀가루 160g, 끼무릇(반하), 천남성(이 2가지는 끓는 물에 씻은 것), 한수석(달군 것) 각각 40g, 천마 20g, 석웅황(웅황) 6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신좁쌀죽웃물[漿水]을 끓이는데 넣고 약이 물위에 뜰 때까지 끓인다. 다음 건져 내어

생강을 달인 물로 끼니 전에 먹는다[역로].

○ 풍사(風邪)가 위에 있어서 편안치 않을 때나 혹은 신물이 올라와서 전혀 먹지 못할 때에는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이나 안비환(安脾丸)을 쓴다. 그러나 인삼, 흰삽주(백출)는 함부로 쓰지 말아야 한다. 오래된 병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은 간목(肝木)이 비토(脾土)를 억제하기 때문이므로 이 때에는 육군자탕(六君子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에 선귤껍질,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시호, 승마, 궁궁이(천궁), 사인, 약누룩(신국)을 넣어서 달여 먹는 것이 좋다[입문].

맥천탕(麥天湯)

비위에 풍사가 엉켜 있어서 담이 생기고 메스꺼워 토할 것 같은 것을 치료한다.

맥문동 6g, 천마 5.2g,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끼무릇(반하), 약누룩(신국), 귤껍질(陳皮)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토하는 병에는 3가지가 있다[吐病有三]

기가 위[上]에서 막힌 것은 상초(上焦)에 속한다. 음식을 먹은 다음 갑자기 토하는 것이 지금 말하는 토하기이다.

○ 음식을 넘기자 도로 나오는 것과 아래가 막혀[下膈] 먹은 것이 2시간만에 도로 나오는 것은 중초(中焦)와 하초(下焦)에 속한다.

○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고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하는 것은 격기(膈氣) 또는 반위(反胃)이다[강목].

○ 토하는 데는 3가지 원인이 있다. 즉 기(氣)와 적(積), 한사(寒邪)이다. 이것을 다 3초와 결부시켜 말하면 상초는 위(胃)의 입구에 해당되는데 위[上]로는 천기(天氣)와 통하며 주로 받아들이기만 하고 내보내지는 않는다. 중초는 중완(中脘)에 해당되는데 위로는 천기와 통하고 아래로는 지기(地氣)와 통하며 주로 음식을 소화시킨다. 하초는 배꼽 아래에 속하는데 아래로는 지기와 통하고 주로 내보내기만 하며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 상초에서 생기는 토하기는 기와 연관된 것인데 이 기는 하늘의 양기(陽氣)를 말한다. 이 때에 맥은 부(浮)하면서 홍(洪)하고 그 증상은 먹은 다음 갑자기 토하고 목이 말라 물을 마시려고 하며 대변이 몹시 굳고 기가 가슴으로 치밀어 올라 아픈 것이다. 그러므로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기를 내리고 속을 편안하게 해야 한다.

○ 중초에서 생긴 토하기는 다 적(積)으로 생긴 것인데 음증(陰證)도 있고 양증(陽證)도 있다. 이것은 음식과 기가 뒤섞여져 적(積)이 생겨서 아픈 것인데 그 맥은 부현(浮弦)하고 증상은 혹 먼저 토한 다음에 아프기도 하고 먼저 아프다가 후에 토하기도 한다. 이것을 치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성질이 약간 독한 약으로 적을 삭히고 목향과 빈랑으로 기를 고르롭게[和] 해야 한다(자침환(紫沈丸)으로 적을 삭히는 것이 좋다).

○ 하초에서 생긴 토하기는 다 한사(寒邪)로 생긴 것인데 이것은 지기[地道]와 연관된다. 이 때에 맥은 침지(沈遲)하고 증상은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고 저녁에 먹은 것은 아침에 토하며 오줌은 맑고 잘 나오며 대변은 굳어져 잘 나오지 못하는 것이다. 치료는 반드시 성질이 독한 약으로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 찬것을 따뜻하게 하여 대변이 점차 통하게 해야 한다. 그리고 중초에 쓰는 약으로 조화시켜 대장이 막히지 않게 해야 한다[역로].

열격과 반위의 원인[ 反胃病因]

『내경』에는 “3양(三陽)이 몰린 것을 격( )이라 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3양과 대소장(大小腸)에 다 열이 몰린 것이다”고 씌어 있다. 대체로 소장에 열이 몰리면 혈맥이 조(燥)해지고 대장에 열이 몰리면 대변이 나오지 못하고 방광에 열이 몰리면 진액이 줄어든다. 3양에 열이 몰리면 맥이 홍삭(洪數)하면서 힘이 있으며 대소변이 막혀서 아래로 나가지 못하고 도로 올라온다. 그러므로 음식물이 목에 걸려 내려가지 못하고 내려갔다가도 도로 올라오는데 이것은 양화(陽火)가 위로 올라오기만 하고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기 때문이다[입문].

○ 『내경』에 “소양이 주관하는 해[少陽所至]에는 구역이 나고 음식이 도로 올라오면서 내리지 않는다”고 씌어 있는데 이에 대한 이치는 명백하다[입문].

○ 또한 음식이 내리지 않는 것은 위완(胃脘)이 막힌 것이다[입문].

○ 혈과 진액이 다 줄어들면 위완이 마르는데 목구멍 가까이가 마르면 물을 마실 수 있으나 음식은 넘기기 어렵다. 간혹 넘긴다고 하여도 많이 넘기지 못하는데 이것을 열( )이라고 한다. 아래로 내려가면서 위(胃)가까이가 마르면 음식을 넘긴다고 해도 다 위에 들어가지 못하고 한참 있다가 도로 올라오는데 이것을 격( )라고 한다. 또한 반위(反胃)라고도 한다. 이때에 대변은 굳어져 양의 똥같이 되어 나온다. 열( )과 격( )은 이렇게 이름은 같지 않으나 사실은 한 가지 병이다.

○ 분문(賁門)이 마르면 음식이 내려가자마자 명치 밑이 아픈데 조금 있다 토하면 아픈 것이 멎는다. 이것은 상초의 열격이다. 혹 음식을 먹는다고 해도 다 위에 들어가지 못하고 한참 있다가 도로 올라오는 것은 유문(幽門)이 말랐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것은 중초의 열격이다. 혹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거나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하는 것은 난문( 門)이 말랐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것은 하초의 열격이다[단심].

○ 음식이 내려가지 않고 대변이 나가지 않는 것을 열격이라고 하는데 격이라는 것은 가로 막힌다는 뜻이다. 즉 먹은 것이 가로 막혔다가 도로 올라온다는 것이다[입문].

○ 열과 격에는 각각 5가지가 있다. 5가지 격이라는 것은 우격(憂 ), 에격( ), 한격(寒 ), 열격(熱 ), 기격(氣 )이다. 심(心)과 비(脾)의 사이에 병이 있어서 위아래가 통하지 않거나 목구멍에 무엇이 맺혀 있는 것같으며 토하려고 하여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고 해도 넘어가지 않는 것은 기가 몰리고 담(痰)이 맺혔기 때문이다. 5가지 열이라는 것은 우열(憂 ), 식열(食 ), 노열(勞 ), 기열(氣 ), 사열(思 )을 말하는데 이것은 음식이 갑자기 걸려서 내려가지 않고 도로 올라오는 것이다. 격이나 열이 생기는 원인은 같다[의감].

○ 장계봉(張 峯)이 “열은 지나치게 정신을 쓰고 생각해서 생기는 병이기 때문에 자체로 정신을 수양해야 치료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 말이 병의 증상과 맞는다[단심].

○ 열격증은 허증(虛證), 실증(實證), 냉증(冷證), 열증(熱證)에도 속하지 않는다. 이것은 정신을 지나치게 써서 생기는 한 가지의 병이다[의림].

○ 열증은 다 혈이 말라서 생기는 것이다. 혈이 마르면 몸이 마른다. 이 병에 대하여 『내경』에 씌어 있는 것처럼 설명한 것은 단계(丹溪) 한사람뿐이다[강목].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 反胃治法]

열증( 證)은 혈(血)이 마르면 생긴다. 혈은 음기(陰氣)인데 음기는 안정한 것을 주관하기 때문에 속과 겉이 다 안정하면 5장 6부에서 화가 생기지 않고 폐금(肺金)과 신수(腎水), 이 두 기운이 자라므로 음혈(陰血)이 저절로 생긴다. 장위(腸胃)의 진액이 전화(傳化)되는 것을 알맞게 하면 열증이 생기지 않는다.

○ 위완(胃脘)이 말라도 과연 치료할 수 있는가고 물었다. 이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옛날에는 인삼으로 폐(肺)를 보하고 아편꽃씨(앵자속)로 독을 풀며 참대기름(죽력)으로 담(痰)을 삭히고 건강으로 혈을 보양하며 좁쌀(粟米)로 위(胃)를 든든하게 하고 꿀로 마른 것을 눅여 주며 생강으로 더러운 것을 없앴는데 이것이 바로 치료법이라고 하였다.

○ 열격과 반위는 대체로 혈이 허하여 생기는 것, 기가 허하여 생기는 것, 담으로 생기는 것, 열로 생기는 것이 있다. 혈이 허하여 생긴 데는 사물탕(四物湯)을 쓰고 기가 허하여 생긴 데는 사군자탕(四君子湯)을 쓰며 담으로 생긴 데는 이진탕(二陳湯)을 쓰고 열로 생긴 데는 해독탕(解毒湯, 즉 황련해독탕)을 쓴다. 기혈이 다 허한 데는 팔물탕(八物湯)을 쓰는데 반드시 여기에 참대기름(죽력), 부추즙, 생강즙을 타서 쓰고 소젖이나 양의 젖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대신 사람의 젖은 쓰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7정과 더운 음식에는 화(火)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냄새가 향기롭고 성질이 조(燥)한 약은 절대로 쓰지 말며 담박(薄滋)한 음식을 먹어야 좋다.

○ 술을 마시는 환자는 거기에 사탕을 넣어 먹어서 충이 생기지 않게 미리 막아야 한다[단심].

○ 열격에는 평즉환, 신선탈명단, 정향두격탕, 오격관중산, 조육평위산(棗肉平胃散, 처방은 내상문(內傷門)에 있다), 과루실환, 산기산, 당귀양혈탕, 생진보혈탕, 성회산, 팔선고 등을 쓴다.

○ 반위에는 유홍환, 구미평위환, 저강환, 구선탈명단, 순기화중탕, 안중조기환, 회생양위단, 정생단, 안위탕, 태창환, 탈명단, 부자산 등을 쓴다[제방].

평즉환(平 丸)

격기(膈氣)로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붕어(큰 것) 1마리.

위의 것을 내장만 버리고 비늘은 그대로 둔다. 그 다음 마늘을 썰어서 고기 뱃속에 채워 넣는다. 다음 이것을 젖은 종이로 싸고 진흙으로 싸 발라서 약한 불에 묻어 굽는다. 그 다음 비늘과 뼈는 버리고 가루내어 평위산 가루와 섞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빈속에 미음으로 먹는다[입문].

신선탈명단(神仙奪命丹)

기가 몰려서 토하는 것과 목이 메서 음식이 넘어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백초상(간것) 20g, 석웅황(웅황), 붕사 각각 8g, 유향 6g, 녹두, 검정콩(흑두) 각각 49알.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오매 30알을 물에 담갔다가 씨를 버리고 살만 발라서 약가루와 고루 섞어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다음 주사 8g을 알약들의 겉에 입힌다. 한번에 1알씩 차(茶)를 우린 물로 먹은 다음 더운 떡(熱餠)을 먹어서 약 기운을 내려보내야 한다. 그 다음 토하지 않으면 효과가 있는 것이다. 만약 토하면 1알을 더 먹어야 한다. 기름진 것, 짠 것, 식초를 먹지 말고 성(怒)을 내지 말아야 한다[입문].

○ 일명 이두회향단(二豆回香丹)이라고도 한다[회춘].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5열(5 )과 10격(十 )으로 막혀서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5.2g, 감초 3.6g,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사인, 향부자 각각 2.8g, 침향, 곽향, 귤껍질(陳皮), 후박 각각 2g, 정향, 목향, 보리길금(맥아), 선귤껍질, 육두구, 백두구 각각 1.2g, 초과, 약누룩(신국), 끼무릇(반하)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10격이라는 것은 냉격(冷 ), 풍격(風 ), 기격(氣 ), 복격(伏 ), 열격(熱 ), 비격(悲 ), 우격(憂 ), 수격(水 ), 식격(食 ), 희격(喜 )이다[강목].

오격관중산(五 寬中散)

5격으로 음식이 내리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후박, 향부자 각각 6g, 감초 2g,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정향, 사인 각각 1.6g, 목향 1.2g, 백두구 0.8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생강 3쪽, 소금 조금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과루실환(瓜蔞實丸)

열격으로 가슴이 더부룩하면서 등까지 아프고 숨이 몹시 차서 말째고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하늘타리씨(과루인), 지각,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도라지(길경)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과 쌀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정전].

신기산(神奇散)

열격과 반위로 혈이 허하고 화가 있어서 3양(三陽)이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생지황(다 술에 축여 볶은 것), 귤껍질(陳皮), 사인, 끼무릇(반하), 흰솔풍령(백복령), 흰삽주(백출, 흙과 함께 볶은 것), 향부자, 지실, 오매살, 곽향, 벌건솔풍령(적복령), 빈랑, 으름덩굴(목통), 저령, 속썩은풀(황금, 닦은 것), 황백(젖에 축여 볶은 것), 지모(젖에 축여 볶은 것), 함박꽃뿌리(적작약), 천문동, 맥문동,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당귀양혈탕(當歸養血湯)

늙은이가 담이 뭉치고 피가 말라서 열격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닦은 것), 찐지황,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황련(오수유와 함께 닦아 오수유는 버린 것) 3.2g, 패모(닦은 것), 하늘타리씨(과루근), 지실, 귤껍질(陳皮), 후박, 향부자, 궁궁이(천궁), 차조기씨(자소자) 각각 2.8g, 침향(물에 갈아서 짜낸 즙)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1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여기에 침향즙과 참대기름(죽력)을 타서 먹는다[회춘].

생진보혈탕(生津補血湯)

젊은 사람이 열격증으로 위완의 혈이 말라서 윤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변이 막히고 음식이 내리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찐지황, 생지황,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지실, 귤껍질(陳皮), 황련(닦은 것), 차조기씨(자소자), 패모 각각 2.8g, 사인, 침향(물에 갈아 짜낸 즙)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1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인다. 여기에 사인즙과 침향즙을 타서 먹는다[회춘].

성회산(聖灰散)

열식병( 食病)과 회식병(回食病, 회식병이라는 것은 밥을 넘기자마자 곧 토하는 것이다)을 치료한다. 방금 구워낸 석회를 끓는 물에 풀어서 찌꺼기는 버리고 맑은 웃물만 누렇게 될 때까지 졸여서 말리어 쓰는데 누르벌거면 쓸 수 있다. 이것을 사기그릇에 담아 두고 아가리를 막아 기운이 빠지지 않게 한다. 1-2년 지나면 쓰지 못하게 된다. 대체로 나이가 40여살이고 몸이 건장한 사람은 1.6g, 늙은이와 기운이 약한 사람은 0.8g 또는 1.2g을 소주에 타서 1-2종지 먹는다. 술을 잘 마시면 3-4종지를 마신다. 그러면 토하거나 설사하면서 회충이 나가고 병이 낫는다. 만일 토하지 않고 설사도 하지 않으면서 다시 도지면 약을 다시 써야 낫는다[회춘].

[註] 열식병( 食病) : 목이 막혀서 음식이 넘어가지 않는 것.

팔선고(八仙膏)

열식병을 치료한다.

생연뿌리즙, 생강즙, 생배즙, 생무우즙(생나복즙), 사탕수수즙(없으면 대신 사탕을 쓴다), 은행씨즙(白果汁), 참대기름(죽력), 꿀(봉밀) 각각 1잔.

위의 약들을 그릇에 담아 섞어서 밥시루에 쪄서 마음대로 먹는다[회춘].

유홍단(硫汞丹)

반위로 토하거나 구역질하는 것을 치료한다.

수은 32g, 유황(생것으로 가루낸 것) 8g.

위의 약들을 도가니에 넣고 약한 불에 녹이면서 버들가지로 젓다가 불이 붙게 되면 식초를 뿌려서 모래알처럼 되게 한다. 이것을 다시 갈아 송편부스러기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생강과 귤껍질(陳皮)을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구미평위환(拘米平胃丸)

반위증이 여러 가지 약을 써도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좁쌀과 부추밑을 두고 죽처럼 되게 끓인 다음 침향 8g을 넣는다. 여기에 평위산가루를 고루 섞어서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묵은 쌀초에 쑨 미음으로 먹는다.

저강환(杵糠丸)

5격증을 치료한다.

절구공이에 붙은 겨, 우전초 각각 300g, 찹쌀 60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사탕 120g과 섞어서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이것을 냄비에 담아 약한 불에 끓여서 하루 두번 먹는다[입문].

○ 일명 탈명환(奪命丸)이라고도 한다[정전].

구선탈명단(九仙奪命丹)

반위(反胃)와 열식( 食)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좋다.

지각 80g, 백반(구운 것) 40g, 끼무릇(반하), 후박(이 2가지는 생강즙에 법제한 것) 각각 20g, 목향, 천남성(생강즙에 법제한 것) 각각 8g, 인삼, 감초 각각 4g, 약전국(간 것)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하룻밤 이슬을 맞힌 다음 인삼과 후박을 달인 물에 풀을 섞은 것으로 반죽해서 작은 돈잎만하게 떡을 만든다. 이것을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한번에 1개씩 씹어서 생강을 달인 물에 평위산(平胃散)을 탄 것으로 넘긴다. 생것과 찬 것, 술, 국수를 먹지 말아야 한다[활인].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

구토와 반위로 속이 쓰리고 생목이 괴는 것과 열격으로 담수를 토하면서 명치 밑이 찌르는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향부자(식초에 축여 볶은 것), 산치자(생강즙에 축여 눋도록 볶은 것) 각각 4g, 흰삽주(백출, 흙과 함께 닦은 것) 3.2g, 흰솔풍령(백복령) 2.8g, 끼무릇(반하), 약누룩(신국), 황련(생강즙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돼지담즙에 축여서 볶은 것) 각각 2.4g, 지실 2g, 사인 1.2g, 감초(닦은 것)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강물에 누런 흙을 풀어서 가라앉힌 웃물에 넣고 달인다. 여기에 참대기름(죽력), 생강즙을 타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의감].

안중조기환(安中調氣丸)

반위(反胃)와 담기(痰氣)를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흙과 함께 닦은 것), 향부자(3일 동안 강물에 담갔다가 누렇게 되도록 볶은 것) 각각 120g, 귤껍질(陳皮) 80g, 끼무릇(반하, 법제하여 기름에 볶은 것), 백복신, 지실, 약누룩(신국, 닦은 것), 황련(생강즙에 담갔다가 돼지담즙에 축여서 볶은 것) 각각 40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32g, 차조기씨(자소자, 닦은 것), 무씨(나복자, 닦은 것) 각각 24g, 궁궁이(천궁), 당귀(술에 씻은 것), 백두구(닦은 것) 각각 20g, 감초(닦은 것) 12g, 목향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참대기름(죽력)과 생강즙에 약누룩(신국)을 풀어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의감].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비토가 허하고 찬 기운이 몰려서 담연(痰涎)이 생기면 대변이 말라 잘 나오지 않고 오줌이 벌겋고 신물을 토하면서 점차 반위나 결장(結腸)증이 되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쌀 씻은 물에 6일 동안 담가두는데 날마다 물을 갈아 붓는다), 연밥(연실, 술에 담갔던 것) 각각 160g, 불깐 돼지의 위( 猪 , 벽의 흙을 발라 놓았다가 깨끗하게 씻어버리고 속에 삽주(창출)와 연밥(연실)을 넣고 실로 잡아맨 다음 술에 달여 짓찧어 작은 떡을 만들어 말린다) 1개, 천남성(잘게 썰어서 생강즙에 하룻밤 담갔다가 복룡간과 함께 닦은 다음 복룡간은 버린다), 끼무릇(반하, 끓인 물에 씻은 다음 식초에 7일 동안 담갔다가 다시 찐 것), 귤홍(복룡간과 함께 닦은 다음 복룡간은 버린다), 좁쌀(속미, 생강즙에 담갔다가 쪄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각각 160g,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후박, 봉출(식초에 축여 볶은 것), 삼릉(식초에 축여 볶은 것), 필징가( 澄茄), 사인, 백두구, 곡아(닦은 것),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감초 각각 40g, 정향, 목향, 침향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묽은 밀가루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60-7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의감].

[註] 결장(結腸): 창자가 통하지 않는 것 즉 대변이 막힌 것.

정생단(定生丹)

반위증을 치료하는데 살겠는가 죽겠는가를 알 수 있다.

석웅황(웅황), 주사, 유향, 끼무릇(반하), 목향, 육두구, 백초상(알약 겉에 입힌다) 각각 12g, 침향 4g, 아위, 노사 각각 2g, 녹두 40알, 오매 40알(끓는 물에 담갔다가 씨를 뺀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오매살을 짓찧은데 넣고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다음 겉에 백초상을 입혀서 그늘에 말린다. 한번에 1알씩 입에 머금고 녹여 먹은 다음 곧 생강을 달인 물로 양치하고 묵은 보리떡을 구워 잘 씹어 먹어서 약 기운이 내려가게 해야 한다. 그리고 약을 입에 머금고는 곧 관향 1대에 불을 달아놓는데 향이 타는 사이에 약이 다 녹지 않으면 치료하기 어려운 것이고 약은 다 녹았는데도 향은 다 타지 않으면 나을 수 있는 것이다[의감].

안위탕(安胃湯)

반위를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마(산약, 닦은 것), 당귀,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곽향 각각 4g, 황련(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연밥(연실) 각각 3.2g, 인삼, 사인 각각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태창환(太倉丸)

반위와 열격을 치료한다.

백두구, 사인 각각 80g, 묵은 쌀(누런 흙과 함께 닦아서 흙은 버린 것) 1되.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회춘].

탈명단(奪命丹)

반위를 치료하는데 죽게 된 것을 살린다.

토당구( ) 1개, 사향 0.4g, 해아다(孩兒茶) 0.8g, 금빛줄이 있는 황반 1.2g, 주사(봄에는 0.8g, 여름에는 1.6g, 가을에는 2.4g, 겨울에는 3.2g).

배가 고프면 좁쌀죽을 쑤어 조금씩 하루 2-3번 먹어야 한다. 많이 먹지 말고 하루에 한사발 정도 먹으면 좋다. 많이 먹으면 병이 다시 도져서 고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생것, 찬것, 기름진 것과 파, 마늘, 술, 국수 등을 먹지 말아야 하며 성내거나 근심하지 말아야 한다. 50살이상인 사람은 한두번 정도 먹으면 낫는다[회춘].

부자산(附子散)

반위를 치료한다.

부자(큰 것) 1개.

위의 약을 벽돌 위에 놓고 사방에 불을 놓아 뜨겁게 된 다음 생강즙에 담그기를 생강즙 반사발이 다 없어질 때까지 한다. 다음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좁쌀미음에 타서 먹는다. 세번 넘지 않아 낫는다. 혹 정향가루 4g을 더 넣어 쓰기도 한다[입문].

구토, 열격, 반위 때에는 대변을 통하게 해야 한다[嘔吐 反胃宜通大便]

환자가 토하려고 할 때에는 절대로 설사를 시키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토하는 것은 치미는 것이기 때문이다[중경].

○ 양명경의 기는 내려가야 순조로운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이 치밀어오를 때에는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토할 때에는 대변이 굳어져 위아래가 막히기 때문에 기가 잘 돌지 못한다. 이것을 잘 갈라보고 설사시켜야 한다[직지].

○ 음이 허할 때 사기가 치밀어올라 막혀서 토하거나 딸꾹질하는 것은 부족해서 생긴 병이다. 이것은 하초가 잘 통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런 데는 생지황, 당귀,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에 감초를 넣고 대황, 망초를 조금 넣어 써서 막힌 것을 통하게 해야 한다. 대변이 통하게 되면 토하던 것과 딸꾹질이 저절로 멎는다[동원].

○ 토하는 데는 설사시키는 약을 쓰지 못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오직 토하기만 하고 대소변은 막히지 않았을 때 반드시 설사시키는 약을 금해야 한다는 일반적인 원칙을 말한 것이다. 만일 대소장과 방광에 열이 몰려 통하지 못하게 되어 토하고 격식(隔食)이 된 때에 설사시키는 약을 써서 통하게 하지 않는다면 토하는 것이 어떻게 멎을 수 있겠는가. 옛사람들이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을 쓴 것은 바로 이러한 이치이다[단심].

○ 대변을 통하게 하여 하초가 막힌 것을 열리게 하는 데는 자침환, 후박환, 부자환, 인삼이격환, 삼일승기탕, 사자조중탕, 향백원, 대황탕, 윤장고 등이 좋다[제방].

○ 토할 때에는 대부분 대변이 굳어지는데 허랭하여 생긴 데는 소감원(蘇感元, 처방은 대변문(大便門)에 있다)을 써서 따뜻하게 하여 통하게 해야 하고 열로 대변이 굳어졌을 때에는 밀도법(蜜導法, 처방은 대변문(大便門)에 있다)을 써야 하는데 혹 돼지담즙에 식초를 타서 관장해도 좋다[직지].

자침환(紫沈丸)

중초와 관련되어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식적과 찬 기운이 서로 부딪쳐서 토하면서 아픈 것이다.

귤껍질(陳皮) 20g, 반하국, 대자석, 사인, 오매살 각각 12g, 정향, 빈랑 각각 8g, 침향, 목향, 살구씨(행인), 흰삽주(백출) 각각 4g, 백두구, 파두상 각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기장쌀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

○ 또 한 가지 방법은 귤껍질(陳皮, 흰 속을 버린 것) 1개와 생강 1덩어리(잿불에 묻어 구운 것) 달인 물로 자침환을 한번에 1백알씩 하루 2번 먹는 것이다. 먹은 다음 대변이 통하고 토하지 않으면 낫는다[역로].

후박환(厚朴丸)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처방은 만병자원환(萬病紫 丸, 처방은 적취문(積聚門)에 있다)과 같다. 한번에 3-5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동원].

부자환(附子丸)

하초와 관련되어 토할 때에는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고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하며 대변이 통하지 못하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부자(싸서 구운 것) 20g, 파두상 4g, 비상 2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녹인 황랍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2알씩 찬물로 설사가 날 때까지 먹는다. 설사한 다음에는 늘 자원환(紫 丸)을 1알씩 먹어서 다시 막히지 않게 해야 한다[보명].

인삼이격환(人蔘利膈丸)

열격으로 대변이 굳고 숨이 차며 가슴이 그득하고 막힌 것을 치료하는데 격기( 氣) 치료에 좋은 약이다.

인삼, 당귀, 곽향, 지각, 대황, 후박, 감초 각각 40g, 목향, 빈랑 각각 3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강목].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

토하면서 대변이 막히고 3양(三陽)이 맺혀서 통하지 못하여 열격이나 반위가 된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하간]).

사자조중탕(四子調中湯)

반위로 담이 성하고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8g, 복숭아씨(도인) 6g, 향부자, 지실, 하늘타리씨(과루인), 차조기씨(자소자, 닦은 것), 흰겨자(닦은 것) 각각 4g, 황련(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2.8g,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침향, 흰솔풍령(백복령), 으름덩굴(목향), 망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망초를 고루 타서 빈속에 먹는다[의감].

향백원(香白元)

담연(痰涎)이 몹시 상하여 토하는 것이 멎지 않고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청주백원자(靑州白元子, 처방은 풍문(風門)에 있다)와 청목향원(靑木香元, 처방은 전음문(前陰門)에 있다)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대황탕(大黃湯)

찬 담연이 나오는 반위를 치료한다. 증상이 발작하려고 할 때에 찬 담연이 나온 다음 음식물을 토하는 것은 허로(虛勞)로 생긴 것이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죽을 수 있다.

대황 40g, 생강(제 몸의 즙을 낸 것) 반 잔.

위의 대황을 구워 말려서 생강즙에 담그기를 생강즙이 다 없어질 때까지 한 다음 썰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이것을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묵은 쌀 한자밤, 파밑(총백) 2대와 함께 물 1잔에 넣고 7분이 되게 달여서 먼저 파를 먹은 다음 약을 먹으면 10일이 못 되어 병이 다 낫는다[본사].

○ 열격으로 대변이 굳은 데는 대황을 쓰는데 이것은 급할 때에 표(標)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사물탕에 부추즙, 참대기름(죽력)을 넣어서 많이 먹으면 좋다[정전].

윤장고(潤腸膏)

열격과 반위를 치료한다.

으아리 160g(새로 캔 것으로 짓찧어 즙을 낸다), 생강 160g(즙을 낸다), 참기름 80g, 흰꿀 160g(졸이면서 거품을 걷어버린 것).

위의 약들을 은이나 돌그릇에 함께 넣고 약한 불에 엿처럼 되게 달인다. 한번에 1숟가락씩 수시로 먹는데 한번 만든 약을 다 먹으면 현저한 효과가 있다[정전].

치료하기 어렵거나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

토할 때에 맥이 약하고 오줌이 잘 나가며 몸에 열이 약간씩 나면서 싸늘한 것은 몹시 허약한 것이기 때문에 치료하기 어렵다[맥경].

○ 멀건 나물국 같은 것을 토하는 것은 죽을 수 있다. 왜냐하면 이렇게 토하는 것은 잠깐 사이이나 이것이 반위증과는 대비도 되지 않게 중한 것이기 때문이다[입문].

○ 열격이나 반위증 때에 나이가 많으면 치료하기 어렵다(50살 이상이면 치료할 수 없다).

○ 대변이 양의 똥 같은 것은 치료할 수 없다(대장에 피가 없기 때문이다).

○ 담박한 음식을 먹거나 성생활을 끊지 않으면 치료할 수 없다.

○ 기혈이 다 허하면 입으로 거품침이 많이 나오는데 거품이 많이 나오면 반드시 위험하다[단심].

○ 반위 때에 흰 거품을 토하면 치료할 수 있고 누런 거품을 토하면 치료하기 어렵다[종행].

단방(單方)

모두 30가지이다.

황단(黃丹)

반위증을 치료한다. 황단 40g과 백반 80g을 약탕관에 넣어 불에 달구었다가 식힌 다음 가루내어 증병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7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강목].

흑연(黑鉛)

을 토하면서 구역하는 것을 치료한다. 흑연을 닦아서 재를 만들어 빈랑과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서 미음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단심].

활석(滑石, 곱돌)

반위와 뭉친 담음을 치료한다. 곱돌가루를 생강 제 몸의 즙에 가라앉힌 녹마로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때때로 먹는다[단심].

○ 갑자기 토하거나 구역이 나는 데는 곱돌가루를 따뜻한 물에 8g씩 타서 먹으면 좋다[본초].

적석지(赤石脂)

담음으로 물을 토하다가 반위증이 된 것을 치료한다. 적석지를 수비하여 한번에 4g씩 빈속에 술이나 물에 타서 먹는다. 양을 늘려서 8-12g까지 먹을 수 있다. 이것이 없으면 대신 벌건 흙 좋은 것으로 쓴다[본초].

인삼(人蔘)

반위증으로 죽을 것 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인삼가루 12g, 생강즙 5홉, 좁쌀 1홉으로 죽을 쑤어 빈속에 먹는다[입문].

○ 또는 인삼 40g을 썰어서 물에 달여 단번에 먹는데 하루 번 쓴다[본초].

생강(生薑)

대체로 토하는 것은 기가 거슬러오르기 때문인데 이 때에는 맛이 매운 생강으로 헤쳐 주어야 한다.

○ 반위로 토하는 데는 생강즙에 좁쌀을 넣고 죽을 쑤어 먹는다.

○ 헛구역은 생강즙 2홉 반을 먹으면 곧 낫는다[본초].

반하(半夏, 끼무릇)

토하는 것과 딸꾹질에 쓰는데 그것은 이 약이 몰린 기운을 헤치기 때문이다. 반위와 토하는 데는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40g과 생강 80g을 썰어서 2첩으로 나누어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 토하는데 끼무릇(반하)을 쓰는 것은 물을 없애려는 것이다. 물이 없어지면 토하는 것이 저절로 멎는다[금궤].

노근(蘆根, 갈뿌리)

헛구역과 딸꾹질, 5열로 안타깝게 답답해 하는 것을 치료한다. 갈뿌리(노근) 200g을 물에 달여 2홉 반을 단번에 먹는데 7홉 반을 먹지 않아 곧 낫는다[본초].

죽여(竹茹, 참대속껍질)

토하는 데와 딸꾹질하는데 주로 쓴다. 푸른 참대속껍질 1되를 물에 달여 단번에 먹는다.

○ 토하는 데와 딸꾹질하는 데는 참대속껍질(죽여)을 쓰는데 그것은 이 약이 위를 수렴시키고 답답한 것을 풀어 주기 때문이다[입문].

즉어( 魚, 붕어)

반위를 치료한다. 붕어 큰 것으로 내장을 빼버리고 열은 그대로 둔 다음 녹반을 채워 넣어서 불에 눋도록 구워 가루낸다. 한번에 4g씩 미음으로 하루 3번 먹는다[강목].

○ 모든 물고기 태운 가루는 다 물고기가시가 목에 걸린 데 쓴다[본초].

방합분(蚌蛤粉, 대합조개가루)

반위증으로 토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가루내어 한번에 4-8g씩 미음에 타서 먹는다. 가막조개껍질, 말조개껍질, 우렁이껍질은 다 반위증에 주로 쓰는 약인데 태워 가루내서 미음에 타 먹는다[본초].

위(蝟, 고슴도치)

반위증으로 토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살만 양념하여 구워 먹는다. 그리고 가죽을 태워 가루내어 술에 타서 먹기도 한다. 또한 달여서 그 물을 마시기도 한다[본초].

귤피(橘皮, 귤껍질)

반위증으로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귤피)과 해가 늘 비치는 서쪽벽의 흙을 가루낸 것과 함께 고소한 냄새가 나도록 닦는다. 다음 귤껍질(귤피)만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연하게 달인 생강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모과(木瓜, 모과)

토하기를 멎게 하는데 달여서 그 물을 마시면 좋다. 생강과 함께 달여 먹으면 더 좋다.

○ 명사는 메스껍고 헛구역이 나는데 달여서 먹는다[본초].

포도근(蒲萄根, 포도나무뿌리)

토하는 것과 딸꾹질을 멎게 한다. 진하게 달여서 조금씩 마신다[본초].

미후도( 桃, 다래)

열이 몰려서 반위증이 생긴 것을 치료하는데 즙을 내서 생강즙에 타 먹는다.

○ 다래넝쿨의 즙은 몹시 미끄럽기 때문에 주로 위가 막혀 토하는 것과 구역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서 생강즙에 타 먹으면 아주 좋다[본초].

저두강(杵頭糠, 절구공이에 붙어 있는 겨)

음식이 목에 메어 내리지 않는 것과 목구멍이 막힌 것을 치료한다. 보드라운 겨를 꿀에 반죽하여 달걀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

○ 또는 보드라운 겨 40g을 흰죽웃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앵자속( 子粟, 아편꽃씨)

반위증으로 음식이 내리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참대기름에 타서 죽을 쑤어 먹는다[본초].

순(蓴, 순채)

붕어와 함께 넣고 국을 끓여 먹는다. 반위증으로 음식이 내리지 않는데 주로 쓴다. 구역도 멎게 한다[본초].

노우구중(老牛口中)

[번역생략]

여뇨(驢尿)

[번역생략]

우유(牛乳, 소젖)

반위증과 열격을 치료하는 중요한 약이다. 부추즙 2잔, 소젖 1잔, 참대기름 반잔, 생강 20g으로 낸 즙을 함께 고루 타서 단번에 먹는다[의감].

○ 어떤 사람이 반위증이 있으면서 대변이 굳어 나오지 않았다. 이것은 정혈(精血)이 몹시 줄어들었기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먼저 사탕수수즙으로 육군자탕(六君子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에

부자, 대황을 넣어서 달여 먹은 다음 소젖만 15일 동안 마시면서 다른 음식은 먹지 않았다. 그랬더니 대변이 묽어지면서 나았다[단심].

전라(田螺, 우렁이)

반위증을 치료하는데 큰 것으로 많이 잡아 깨끗한 물에 넣어 진흙을 토하게 한다. 다음 그 진흙을 가라앉히고 맑은 웃물은 버린다. 그리고 채 위에 재(灰)를 펴고 그 위에 종이를 편 다음 여기에 위의 흙을 펴놓아 물기를 빼고 쓰는데 흙이 절반 정도 말랐을 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곽향 달인 물로 먹으면 곧 낫는다. 일명 나니환(螺泥丸)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우렁이는 버린다. 우렁이를 삶아 먹지 말아야 한다[강목].

방합( 蛤)

반위증과 열격을 치료한다. 방합을 깨끗하게 씻어 병에 넣고 물을 4손가락 너비 정도 올라오도록 부은 다음 여기에 참기름 1술잔을 넣어서 또 2손가락 너비 정도 올라오게 한다. 다음 여기에 밀가루를 뿌리면 우렁이가 침을 곧 뱉는다. 다음날 방합을 버리고 물채로 햇볕에 말려서 밀가루를 가루낸다. 한번에 2g씩 주정이 약한 소주[淡燒酒]에 타서 먹으면 낫는다[의감].

마박아(馬剝兒)

일명 마도아(馬匏兒)라고도 하는데 즉 쥐참외(王瓜)이다. 열격과 반위증을 치료한다.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쓰는데 평위산 8g과 함께 대추살에 버무려서 데운 술에 풀어 먹는다. 그러면 먹은 것이 내려간다. 그 다음 증상에 맞게 조리해야 한다.

○ 어떤 처방에는 약성이 남게 태워서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 먹게 되어 있다[정전].

취건반(炊乾飯, 누룽지)

열격으로 오랫동안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여러 해가 된 누릉지를 강물에 달여서 아무 때나 마신다. 그 다음 음식을 먹게 되면 약으로 조리해야 한다[정전].

계곡대( 穀袋, 닭의 사낭)

목이 메는 것을 치료한다. 사낭(穀袋) 속에 있는 것은 하나도 버리지 않고 쓰는데 진흙에 싸서 불에 약성이 남게 굽는다. 사낭 한 개분을 생강즙에 닦은 향부자가루 20g과 섞어서 약누룩으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생강을 달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강목].

묘태의(猫胎衣, 고양이태)

반위증을 치료한다. 고양이태를 그늘에서 말린 다음 태워 가루내서 술에 타 먹으면 효과가 아주 좋다. 고양이가 새끼를 낳을 때 빨리 빼앗지 않으면 고양이가 그것을 먹어 버린다[종행].

구담(狗膽, 개열)

반위증으로 누런 거품을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주사 40g, 대황 80g을 가루내어 구담(狗膽)에 2일 동안 담가두었다가 말려서 다시 가루낸다. 이것을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알씩 빈속에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종행].

갈호(蝎虎, 도마뱀)

열식과 반위증을 치료한다. 산 도마뱀 1마리를 소주에 7일 동안 담가두었다가 따뜻하게 데운다. 다음 뱀은 버리고 그 술을 마시면 곧 낫는다.

○ 또는 수탉을 하루 굶겼다가 도마뱀을 탕쳐서 먹인 다음 그 계시[糞]를 받아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소주에 타 먹는다[회춘].

침뜸치료[鍼灸法]

수없이 토하고 헛구역이 계속 날 때에는 척택혈(尺澤穴)과 대릉혈(大陵穴)에 뜸을 3장씩 뜬다. 또는 젖에서 아래로 1치 떨어진 곳에 30장을 뜨고 간사혈(間使穴)에 30장을 떠도 된다. 만일 팔다리가 싸늘해지고 맥이 침(沈)하면서 끊어지려고 할 때에는 간사혈(間使穴)에 뜸을 뜨면 대변이 통하게 된다. 이것은 죽게 된 것을 살리는 방법이다[득효].

○ 토할 때 쓴맛이 나는 것이 나오는 것은 담병(膽病)이 위를 침범했기 때문이다. 이 때에는 삼리혈(三里穴)과 양릉천혈(陽陵泉穴)에 놓는다[내경].

○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을 토할 때에는 상완(上脘), 중완(中脘), 하완혈(下脘穴)에 놓는다[동원].

○ 반위증 때 고황유혈(膏 兪穴)에 1백장, 단중(亶中), 삼리혈(三里穴)에 각각 7장씩 뜸을 뜨면 효과가 아주 좋다[회춘].

○ 또는 노궁(勞宮), 중괴(中魁), 완골(腕骨), 심유(心兪), 중완혈(中脘穴)에 놓는다[강목].

○ 오늘 먹은 것을 내일 토할 때에는 심유(心兪), 격유(膈兪), 단중(團中), 거궐(巨厥), 중완혈(中脘穴)에 놓는다[강목].

○ 5열과 5격 때에는 천돌(天突), 단중(亶中), 심유(心兪), 상완(上脘), 중완(中脘), 하완(下脘), 비유(脾兪), 위유(胃兪), 통관(通關), 중괴(中魁), 대릉(大陵), 삼리혈에 놓는다[강목].

○ 반위증 때 견정혈(肩井穴)에 뜸을 3장 뜨면 곧 낫는다. 이것은 신기하게 낫게 하는 뜸법이다[회춘].

○ 또는 수분혈(水分穴)과 기해혈(氣海穴)에 뜸을 떠도 된다[자생].


어지러우면서 구토 두통 : 담열격

광대뼈가 붉고 피를 토하기도 한다 : 폐정격

피를 토함 : 위한격/심한격/음곡 중봉 삼리()

건구역질, 숨차서 눕지 못함(거품섞인 가래, 가슴 옆구리 땡기고 아프다) : 폐승격

(건구역질, 소리만 있고 내용물 없다) : 위정격

(소리 없이 울컥 토함, 되새김질, 술 먹고 토함) : 비정격

嘔吐(소리 있고 내용물 있다) : 심정격

뱃속이 편치 않고 구역질하며 토한다(밥맛은 좋다) : 위한격

뱃속이 편치 않고 구역질하며 토한다(화딱지 난다) : 군화방/심한격

속이 니글니글하고 맑은 침을 흘리고 구역질하고 토한다 : 간열격

구역질하며 쓴물 토한다 : 담한격

신물을 토한다 : 심한격

신물을 토하며 아랫배가 땡긴다 : 간승격

트림할 때 썩는 냄새나고 신물 토한다 : 위승격

트림하면서 신물 토하고, 음식 생각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함 : 위정격

음식생각 없고 소화 안되고 吐瀉를 하고 四肢관절과 肩背가 아프다 : 비정격

食入則吐(음식먹고 바로 토함) : 위승격/위승한격/위한격

(유문암, 위암 : 위승한격

식도암 : 해계)

朝食暮吐(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함) : 위열격

대변불통, 구토(천추혈 압통, 피부 거칠고 노랗다) : 대장정격

대변불통, 구토(천종혈 압통, 어깨통증, 팔 안돌아감) : 소장정격

대변불통, 구토(뒷목뻣뻣, 발가락 외측통) :  방광정격

수족이 냉하며 구토를 잘 한다 : 비열격

아이가 토할 때 : 사관+대돈 소충

울다가 속아지 부리고 토하는 아이 : 군화방/대돈 소충


'동의보감 > 잡병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로(虛勞)  (0) 2016.05.28
내상(內傷)  (0) 2016.05.28
기침(咳嗽)  (0) 2016.05.28
적취(積聚)  (0) 2016.05.28
부종(浮腫)  (0) 2016.05.28
:
Posted by doc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