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1

« 2024/1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2016. 5. 28. 22:31

학질( 疾) 동의보감/잡병편2016. 5. 28. 22:31

학질[?疾]

« 동의보감(東醫寶鑑)

학질[ 疾]

학질 원인[ 病之源] » · 학질 형태 증상[ 疾形證] » · 맥 보는 법[脈法] »

오한과 열 선후차[寒熱先後] » · 오한 났다 열 났다 하는 것[寒熱往來] »

방예하는 법[禳法] » · 꺼릴 것[禁忌法] »

단방(單方) » · 침뜸치료[鍼灸法] »

학질의 원인[ 病之源]

『내경』에는 “여름철에 더위에 상하면 가을에 가서 학질( 疾)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

○ 여름철 더운 때에 땀이 나지 않으면 가을에 가서 풍학(風 )이 생긴다[내경].

○ 가을에는 풍학에 잘 걸린다. 또 백한(魄汗)이 다 나오지 않고 몸이 약해지면서 기(氣)가 소모되고 수혈이 막히면 풍학이 생긴다[내경].

[註] 백한(魄汗): 사기를 몰아내는 땀.

○ 풍사가 침범하면 추워하다가 열이 난다. 또한 바람과 이슬에 상해도 추워하다가 열이 난다[내경].

○ 풍기(風氣)가 피부 속에서 성하면 속으로도 통하지 못하고 밖으로도 나가지 못하다가 주리( 理)가 열리면 오싹오싹 춥고 막히면 열이 나면서 답답한데 이것을 한열(寒熱)이라고 한다.

○ 여름에 더위에 상하면 가을에 가서 반드시 학질이 생기는데 대체로 약간 상하였으면 금방 심하게 발작하고 몹시 상하였으면 병이 오래 있다가 천천히 발작한다. 해학( )이란 학질이 오래된 것을 말한다. 여름에 더위에 상하여 습열(濕熱)이 속에 몰려서 밖으로 배설되지 못하면 사기가 속에서 돌아다니다가 가을에 가서 학질이 생기게 한다[보명].

○ 학질은 영위(榮衛) 속에 서사(暑舍)가 들어와 있는데 가을에 풍한(風寒)에 상하면 생긴다. 그러나 서사가 들어와 있을 때 풍한에 상해도 생기지 않는 것도 있다. 사기가 양에 있으면 열이 나고 음에 있으면 오한이 난다. 정기와 사기가 뒤섞이면 병이 발작하고 갈라지면 멎으므로 발작했다 멎었다 하는 일정한 시간이 있게 된다. 사기가 기(氣)분에 있으면 빨리 발작하고 혈(血)분에 있으면 늦게 발작한다. 사기가 얕은 곳에 있으면 날마다 발작하고 깊은 곳에 있으면 하루 건너 발작한다. 그리고 사기가 머리나 목에 있거나 잔등의 한가운데 있거나 허리뼈에 있어서 위아래와 멀고 가까운 것이 같지 않지만 태양경에 있는 것은 하나와 같이 발작한다[동원].

○ 대체로 풍사나 서사가 침범했을 때에는 반드시 땀을 내야 하는데 여름에 바람이 불고 서늘한 곳에만 있으면서 땀을 흘리지 않으면 학질이 생긴다[단심].

○ 앓는 증상이 사람을 견디지 못하게 포악스럽다고 하여 학질이라고 한다. 또는 견디지 못하게 포악한 증상이 있기 때문에 학질이라고도 한다. 상한(傷寒)이 오래되면 괴증(壞證)이 되고 내상(內傷)이 오래되면 노채(勞 )가 되는데 이것들도 다 좋지 못한 병이다[입문].

학질의 형태와 증상[ 疾形證]

학질이 처음 발작할 때에는 먼저 솜털이 일어나고 하품이 나고 춥고 떨리면서 턱이 맞쪼이고 허리와 잔등이 다 아프다. 춥던 것이 멎으면 겉과 속으로 다 열이 나면서 머리가 터지는 것 같이 아프고 갈증이 나서 찬물만 마시려고 한다[내경].

○ 음양이 위와 아래에서 서로 부딪쳐서 허증(虛證)과 실증(實證)이 번갈아 나타나고 음과 양이 뒤섞이게 되는데 양이 음에 가서 뒤섞이면 음은 실해지고 양은 허해진다. 양명경(陽明經)이 허하면 추워서 턱까지 떨리고 태양경이 허하면 허리, 잔등, 머리, 목이 아프고 3양경이 다 허하면 음기가 성해진다. 음기(陰氣)가 성[勝]하면 뼈까지 시리면서 아프고 속에 찬 기운이 생긴다. 그러므로 겉과 속이 다 차진다. 양이 성하면 겉이 달고 음이 허하면 속이 달며 속과 겉이 다 달면 숨이 차고 목이 말라 찬물을 마시려고 한다[내경].

○ 대체로 학질이 처음 발작할 때에는 양기가 음기에 뒤섞인다. 이렇게 되면 양이 허해지고 음은 성해지면서 겉에 기가 약해지므로 먼저 추워하면서 떨게 된다. 그리고 음기가 성해져 극도에 이르면 그것이 양분으로 나가서 양과 겉에서 또 뒤섞이게 된다. 그러면 음은 허해지고 양은 성해지기 때문에 열이 나고 갈증이 난다. 학질 기운이 양분에서 뒤섞이면 양기가 성해지고 음분에서 뒤섞이면 음기가 성해진다. 음기가 성해지면 오한이 나고 양기가 성해지면 열이 난다[내경].

○ 위기(衛氣)가 허하면 먼저 오한이 나고 영기(榮氣)가 허하면 먼저 열이 나며 사기(邪氣)가 표(表)에 많으면 오한이 심하고 사기가 이(裏)에 많으면 열이 심하며 사기가 반표반리(半表半裏)에 있으면 오한이 나는 것과 열이 나는 것이 같다[입문].

○ 영위(榮衛)가 낮에는 양(陽)분(양분이란 바로 표(表)이다)으로 돌고 밤에는 음(陰)분(음분이란 바로 이(裏)이다)으로 돈다. 영위가 돌다가 병든 곳에 이르면 돌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곧 오한이 나면서 머리와 턱이 떨린다. 속과 겉이 다 차고 허리와 잔등 뼈가 다 아픈 것은 사기가 속에 들어간 것이다. 오한과 떨리는 것이 멎는 것은 속과 겉에 다 열이 있는 것이다. 머리가 터지는 것 같이 아프고 갈증이 나서 찬물을 마시려고 하며 답답하고 그득하며 토하려 하고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은 사기가 겉으로 나오는 것이다[단심].

○ 서학(暑 ) 때는 열만 나고 습학(濕 ) 때는 오한이 난다. 한학(寒 ) 때에는 먼저 오한이 난 다음에 열이 나고 풍학(風 ) 때에는 먼저 열이 나다가 오한이 난다. 그밖의 학질 때에는 다 먼저 오한이 나다가 열이 난다[입문].

맥 보는 법[脈法]

학질 때의 맥(脈)은 현(弦)한데 현삭(弦數)한 것은 열이 심한 것이고 현지(弦遲)한 것은 오한이 심한 것이다. 현소(弦小)하면서 긴(緊)하면 설사시키는 것이 좋고 현지(弦遲)하면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다. 현긴(弦緊)하면 땀을 나게 하고 부대(浮大)하면 토하게 해야 한다. 현삭한 것은 풍으로 생긴 것인데 이것은 음식을 조절해서 멈추게 해야 한다[요략].

○ 학질 때의 맥은 현(弦)한데 미(微)한 것은 허한 것이고 대산(代散)하면 위험하다[맥경].

○ 학질 때의 맥은 현(弦)한데 현지(弦遲)한 것은 오한이 심한 것이고 현삭(弦數)한 것은 열이 심한 것인데 때때로 변한다[맥결].

○ 학질 때의 맥은 흔히 현(弦)한데 열이 있을 때에는 현(弦)하면서 삭(數)하고 오한이 있을 때에는 현(弦)하면서 지(遲)하다. 또한 병이 오래되면 맥이 몹시 허(虛)하고 미(微)하면서 힘이 없어져서 마치 현맥(弦脈)이 아닌 것같이 된다. 그렇지만 허삭(虛數)한 가운데서도 반드시 현맥이 나타난다. 다만 손에 잘 알리지 않을 뿐이다. 이런 때에는 맥을 세밀하게 짚어 보아야 한다[단심].

○ 맥이 현(弦)하면서 단(短)한 것은 음식에 상한 것이고 현(弦)하면서 활(滑)한 것은 담(淡)이 많은 것이며 허(虛)하고 미(微)하면서 힘이 없는 것은 학질이 오래된 것이다[의감].

○ 학질 때 맥이 지(遲)하고 완(緩)해지면 병이 저절로 낫는다[회춘].

오한과 열이 나는 선후차[寒熱先後]

학질 때 먼저 오한이 나고 후에 열이 나는 것은 여름에 심한 더위에 상하여 땀이 많이 나고 주리( 理)가 열렸을 때 금방 찬물에 씻어서 찬 기운이 주리를 통하여 피부 속에 들어가 있는데 가을에 또 풍에 상하여 생긴 것이다. 찬 기운은 음기(陰氣)이고 풍은 양기(陽氣)이다. 먼저 찬 기운에 상하고 다음에 풍에 상하였기 때문에 먼저 오한이 나고 후에 열이 나는 것이며 이런 것이 일정한 시간을 정해놓고 발작하는 것을 한학(寒 )이라고 한다[내경].

○ 먼저 열이 난 다음에 오한이 나는 것은 먼저 풍에 상한 다음 찬 기운에 상한 것이다. 때문에 먼저 열이 나다가 오한이 나는 것이다. 이런 것이 일정한 시간을 정해놓고 발작하는 것을 온학(溫 )이라고 한다[내경].

○ 오직 열만 나고 오한이 나지 않는 것은 음기가 먼저 끊어져서 양기만 발작하는 것인데 이때에는 기운에 약해지고 답답하며 손발이 달면서 구역이 나려고 한다. 이것을 단학( )이라고 한다. 단( )이란 달아오른다는 말이다[내경].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寒熱往來]

병으로 오싹오싹 오한이 나다가 열이 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것은 음맥(陰脈)이 부족하면 양기가 뒤따르고 양맥(陽脈)이 부족하면 음기가 뒤따라와서 억누르기 때문이다. 양이 부족하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그것은 가령 촌맥(寸脈)이 미(微)하면 양기가 부족하다고 하는데 이때에는 음기가 올라와 양 속으로 들어간다. 그러므로 오싹오싹 오한이 난다. 음기가 부족하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그것은 가령 척맥(尺脈)이 약하면 음기가 부족하다고 하는데 이때에는 양기가 아래로 처져 내려가 음 속으로 들어간다. 그러므로 열이 나게 된다[중경].

○ 양이 약하면 오한이 나고 음이 약하면 열이 난다. 대체로 음이 부족하면 양이 뒤따라가 속으로 들어가므로 열이 나게 된다. 양이 부족하면 음이 뒤따라와서 억누르기 때문에 음기가 위로 올라가 양 속으로 들어간다. 때문에 오한이 나게 된다[중경].

○ 양이 부족하면 음사(陰邪)가 겉으로 나와 양과 싸워서 이기므로 오한이 나게 되고 음이 부족하면 양사(陽邪)가 속으로 들어가 음과 싸워서 이기므로 열이 나게 된다. 만일 사기(邪氣)가 들어와 정기(正氣)와 싸우지 않으면 열만 나지 오한은 나지 않는다. 양이 부족하면 먼저 오한이 나고 음이 부족하면 먼저 열이 난다. 표(表)에 사기가 많으면 오한이 심하고 이(裏)에 사기가 많으면 열이 몹시 나며 사기가 반표반리(半表半裏)에 있으면 오한과 열이 꼭 같이 번갈아 났다 멎었다 한다[입문].

○ 학질은 소양병(少陽病)인데 소양은 동쪽의 기운이다. 이것이 거꾸로 돌면 오한이 나고 제대로 돌면 열이 난다. 이와 같이 도는 것이 바뀌는데 따라 오한이 나다가 열이 나는데 일정하지는 않다[동원].

○ 몸의 뒷면은 태양경(太陽經)에 속하는데 태양은 방광수(膀胱水)이므로 찬 것이고 몸의 앞면은 양명경에 속하는데 양명은 대장금(大腸金)이므로 조(燥)한 것이다. 소양(小陽)의 사기가 그 속에 있어서 몸의 뒷면인 방광수에 가깝게 있으면 오한이 나고 앞면인 양명의 조(燥)한 기운에 가깝게 있으면 열이 나게 된다. 그러므로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한다[동원].

○ 이것이 심하면 안팎이 위치를 지키지 못하게 되고 진기(眞氣)와 사기(邪氣)가 갈라지지 않으며 음양이 엇바꾸어 이기기 때문에 오한과 열이 나는 것이 일정한 시간이 없이 발작했다 멎었다 하게 된다[직지].

학질이 발작하는 날짜가 길거나 짧은 것[ 發日數多少]

여름에 더위에 상하면 열기가 피부 속과 장위(腸胃)의 밖에 머물러 있다. 그러다가 가을에 가서 바람을 맞거나 목욕을 하면 피부 속에 머물러 있던 열기가 위기(衛氣)와 함께 있게 된다. 그런데 이 위기가 낮에는 양분으로 돌고 밤에는 음분으로 도는데 위기가 양분으로 돌 때 열기는 겉으로 나오고 음분으로 돌 때는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서 겉과 속이 서로 부딪치게 되므로 날마다 발작하게 된다[내경].

○ 위기와 사기가 뒤섞이면 병이 발작하고 사기와 갈라지면 병이 발작하지 않는다. 위기가 음과 뒤섞이면 오한이 나고 양과 뒤섞이면 열이 나며 음에서 갈라지면 오한이 멎고 양에서 갈라지면 열이 내린다. 다음날에 다시 몰려 뒤섞이면 병이 또 발작한다[강목].

○ 하루 건너 발작하는 것은 사기(邪氣)가 5장(五藏)에 침범하여 모원(募原)과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기가 깊은 곳에 있고 더디게 돌기 때문에 위기(衛氣)가 함께 돌아가지 못한다. 그러므로 하루 건너 발작하게 된다[내경].

○ 때로는 이틀 사이를 두고 혹은 며칠 사이를 두고 발작하기도 한다. 그리고 혹 갈증이 나기도 하고 갈증이 나지 않기도 하는데 그것은 무엇 때문인가. 며칠 건너서 발작하는 것은 사기와 위기가 6부(六府)에 들어갔다가 때로 갈라져서 만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생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멎었다가는 며칠이 지나서 발작하게 된다. 학질은 음양이 서로 엇바꾸어 이기기 때문에 생기는 것인데 어느 하나가 심한가 심하지 않은가 하는 차이에 따라 갈증이 나기도 하고 갈증이 나지 않기도 한다[내경].

○ 3일에 한번씩 발작하는 것은 병이 생긴 지 1년 정도 된 것이고 하루 건너 한번씩 발작하는 것은 병이 생긴 지 반 년 정도 된 것이며 매일 발작하는 것은 병이 생긴 지 1달 정도 된 것이고 이틀 동안 계속 발작하다가 하루씩 멎는 것은 기혈(氣血)에 다 병이 생긴 것이다. 그리고 3일에 1번씩 발작하는 것은 음경(陰經)이 병든 것이므로 제일 중하다[단심].

○ 양(陽)이란 부(府)를 말하는데 사기가 얕은 곳에 있어서 영위와 함께 돌게 되면 하루에 1번씩 발작하게 된다.

○ 음(陰)이란 장(藏)을 말하는데 사기가 깊은 곳에 있어서 모원(募原)과 연결되게 되어 정기(正氣)와 함께 돌아가지 못하면 하루 건너 발작하거나 3∼4일에 1번씩 발작하게 되는데 이것이 오래되면 반드시 학모( 母)가 생긴다[입문].

학질이 낮 밤, 일찍이 또는 늦게 발작하는 차이가 있다[ 發有晝夜早晏之異]

황제가 “학질이 발작하는 것이 늦기도 하고 빠르기도 한데 이것은 어떤 기운이 그렇게 되게 하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이 “사기(邪氣)는 풍부(風府)에 침범하여 등골을 따라 내려간다. 그리고 위기(衛氣)는 하루 낮과 밤이 지나야 풍부에 모인다. 그런데 사기가 침범하면 그 이튿날부터 하루에 1마디씩 내려가기 때문에 늦게 발작하게 된다. 이것은 사기가 먼저 등골에 침범하여 생기는 것이다. 사기가 풍부에 이르면 항상 주리( 理)가 열리고 주리가 열리면 사기가 침범하고 사기가 침범하면 병이 발작하므로 발작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게 되는 것이다. 사기가 풍부에서부터 하루 1마디씩 내려가기 때문에 25일 만에 꽁무니뼈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26일 만에 등뼈 속으로 들어가 복려(伏 )의 맥에 몰리면 그 기운이 위로 올라가는데 9일 만에 결분(缺盆) 가운데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 그 기운이 날마다 높아지므로 더 빨리 발작하게 된다”고 대답하였다[내경].

○ 사기가 양에 있으면 낮에 발작하는데 그것은 사기가 얕은 곳에 있고 영위가 낮에는 잔등과 등뼈 속으로 돌기 때문이다.

○ 사기가 음에 있으면 밤에 발작하는데 그것은 사기가 깊은 곳에 있고 영위가 밤에는 가슴과 배 속으로 돌기 때문이다.

○ 양학(陽 )은 밤 1시부터 오전 11시경에 발작하고 음학(陰 )은 오전 11시부터 밤 11시경에 발작한다. 만일 새벽 3시부터 7시경에 발작했다가 오후 1시부터 5시 사이에 멎는 것과 오후 1시부터 5시 사이에 발작했다가 밤 11시부터 새벽 3시 사이에 멎는 것은 다 음학인지 양학인지 가를 수 없는 것들이다. 약은 발작하기 전에 쓰거나 발작한 다음에 음학인가 양학인가를 갈라내고 써야 하는데 양학이면 세게 눌러주어야 하고 음학이면 끌어 올려 발산시켜야 한다[입문].

○ 새벽 5시부터 오후 1시 사이에 발작하는 것은 사기가 겉에 있는 것이고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 사이에 발작하는 것은 사기가 속에 있는 것이다.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 사이에 발작하는 것은 사기가 속에 있는 것이고 오후 5시부터 새벽 1시 사이, 또는 새벽 5시까지 사이에 발작하는 것은 사기가 혈분(血分)에 있는 것이다[보명].

6경 학질[六經 ]

여름에 더위에 상하면 가을에 가서 반드시 학질에 걸린다. 그러나 처음에는 어느 경(經)에 병이 생겼는지 알 수 없다. 병이 생긴 경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 3양경(三陽經)에 병이 생긴 것도 있고 3음경(三陰經)에 병이 생긴 것도 있는데 사기를 받은 경에 따라 그 증상이 각기 다르다. 태양경(太陽經)에 병이 생긴 것을 한학(寒 )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땀을 내야 한다. 양명경(陽明經)에 병이 생긴 것을 열학(熱 )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설사시키는 약을 써야 한다. 소양경(少陽經)에 병이 생긴 것을 풍학(風 )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화해시켜야 한다. 이것은 3양경에 병이 생긴 것이므로 모두 폭학(暴 )이라고 한다. 이것은 하지 후부터 처서 전에 발작하는데 약간 상해도 금방 심하게 앓는다.

○ 음경(陰經)에 병이 생겼을 때에는 3음(三陰)을 갈라보지 않고 다 온학(溫 )이라고 한다. 이것은 처서 후 동지 전에 발작하는데 몹시 상해도 오래 있다가 서서히 앓는다. 해학이란 노학(老 )을 말한다. 즉 오래된 학질이다[보명].

○ 상한(傷寒)으로 아직 열이 남아 있는데 이때에 또 찬 기운에 감촉되어 학질이 된 것을 온학 또는 풍학이라고 한다. 이것을 상한괴병(傷寒壞病)이라고 하는데 증상은 먼저 열이 나고 후에 오한이 나는 것이다[입문].

학질이 3양경과 관련된 것이면 땀을 내거나 토하게 하는 것이 좋고 3음경과 관련된 것이면 설사시키거나 화해시키거나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다[정전].

○ 태양학(太陽 )에는 계지강활탕(桂枝羌活湯)이나 마황강활탕(麻黃羌活湯)을 쓴다.

○ 양명학에는 인삼백호탕(人蔘白虎湯)이나 시령탕(柴 湯, 이 2가지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쓴다.

○ 소양학에는 시호계지탕(柴胡桂枝湯)이나 시호가계탕(柴胡加桂湯)을 쓴다.

○ 3음경 온학에는 백호계지탕(白虎桂枝湯)이나 마황백출탕(麻黃白朮湯)이나 소시호탕(小柴胡湯)에 사물탕(四物湯)을 섞은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을 쓴다.

○ 태양학과 양명학이 겹친 데는 계지작약탕(桂枝芍藥湯)이나 계지석고탕(桂枝石膏湯)을 쓰고 3양학이 겹친 데는 계지황금탕(桂枝黃芩湯)을 써서 화해시켜야 한다[보명].

계지강활탕(桂枝羌活湯)

태양학으로 저절로 땀이 나고 머리와 목이 아프며 허리뼈가 뻣뻣한 것을 치료한다.

계지, 강호리(강활), 방풍, 감초 각각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마황강활탕(麻黃羌活湯)

태양학 때에 땀이 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위의 처방에서 계지를 빼고 마황을 넣은 것이다. 약을 만드는 방법과 먹는 방법은 위의 처방과 같다[강목].

시호계지탕(柴胡桂枝湯)

소양학으로 잠깐 오한이 났다 잠깐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8g, 계지, 속썩은풀(황금), 인삼,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끼무릇(반하)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시호가계탕(柴胡加桂湯)

소양학으로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아주 좋다. 시호 12g, 속썩은풀(황금), 계지 각각 8g, 끼무릇(반하) 4g, 감초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백호계지탕(白虎桂枝湯)

온학 때 맥은 정상이고 오한은 나지 않으면서 오직 열만 나고 뼈마디가 안타깝게 아프고 때때로 대변을 누기가 힘든 것이 아침에 생겼다가 저녁에 풀리거나 저녁에 생겼다가 아침에 풀리는 데 쓴다.

석고 16g, 지모 8g, 계지, 감초 각각 4g, 멥쌀 1홉.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 일명 가감계지탕(加減桂枝湯)이라고도 한다[득효].

마황백출탕(麻黃白朮湯)

풍학(風 )을 치료한다.

마황, 계피, 선귤껍질(靑皮), 귤껍질(陳皮),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반하국, 차조기잎(자소엽),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삽주(백출), 도라지(길경), 족두리풀(세신), 빈랑,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

3음경 온학(溫 )이 혹 밤에만 발작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생건지황 각각 8g, 인삼, 끼무릇(반하), 속썩은풀(황금), 감초, 궁궁이(천궁), 당귀, 함박꽃뿌리(적작약)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계지작약탕(桂枝芍藥湯)

학질로 오한과 열이 심한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태양학과 양명학이 겹친 것인데 찬 기운과 열기가 몹시 싸우는 것이다. 발작하면 반드시 떨리고 열이 나면서 땀이 난다. 『내경』에 땀이 난 다음에도 낫지 않는 것은 열증(熱證)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씌어 있다. 이것을 치료하지 않고 오래 두면 음경(陰經)으로 옮아갈 우려가 있으므로 이 약을 써야 한다.

계지 4g, 함박꽃뿌리(적작약), 지모, 석고, 속썩은풀(황금)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보명].

계지석고탕(桂枝石膏湯)

태양학과 양명학이 겹친 간일학(間日 )으로 열이 심하고 오한이 약간 나는 것을 치료한다.

석고, 지모 각각 12g, 속썩은풀(황금) 8g, 계지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註] 간일학(間日 ): 하루 건너 발작하는 학질을 말한다.

계지황금탕(桂枝黃芩湯)

계지작약탕을 먹은 다음에 오히려 오한과 열이 심해지면 태양학, 양명학, 소양학이 겹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런 때에는 이 약을 먹어서 화해시켜야 한다.

시호 8g, 석고, 지모 각각 6g, 속썩은풀(황금), 인삼, 끼무릇(반하), 감초 각각 4.8g, 계지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보명].

학질은 낮과 밤에 발작하는 것을 반드시 갈라서 치료해야[ 晝發夜發宜分治]

기(氣)가 허(虛)하여 낮에 발작하는 데는 육군자탕(六君子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끼무릇(반하), 속썩은풀(황금)을 넣어서 쓴다.

○ 혈이 허하여 밤에 발작하는 데는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 처방은 위에 있다),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마황황금탕(麻黃黃芩湯), 시호궁귀탕(柴胡芎歸湯)을 쓴다[저방].

마황황금탕(麻黃黃芩湯)

밤에 발작하는 학질을 치료한다.

마황 12g, 속썩은풀(황금) 8g, 감초 6g, 계심 4g, 복숭아씨(도인) 15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잠잘 무렵에 먹는다.

○ 복숭아씨는 맛이 쓰고 달며 맵다. 간은 혈(血)이 모이는 곳이므로 혈이 사기를 받으면 간기(肝氣)가 조(燥)해진다. 『내경』에 간이 조여들어 괴로울 때에는 빨리 맛이 단 것을 써서 완화시켜야 한다고 씌어 있는데 그것이 이런 것을 두고 한 말이다. 복숭아씨는 어혈을 헤치고 간기를 완화시킨다. 사기(邪氣)가 몹시 깊이 혈 속에 들어가면 밤에 발작한다. 이것을 보고 음경에 사기가 있다고 한다. 이 마황황금탕은 혈 속에 있는 풍한(風寒)을 발산시킨다[강목].

시호궁귀탕(柴胡芎歸湯)

밤에 발작하는 음학(陰 )을 치료하는데 사기를 양분으로 끌어내서 발산시킨다. 그 다음 인삼절학음(人蔘截 飮)을 써서 낫게 해야 한다.

시호, 칡뿌리(갈근), 궁궁이(천궁) 각각 4g, 도라지(길경), 당귀, 함박꽃뿌리(적작약), 인삼, 후박,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귤피) 각각 2.8g, 잇꽃(홍화),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여러 가지 학질의 증후와 치료[諸 證治]

학질에는 풍학(風 ), 한학(寒 ), 열학(熱 ), 습학(濕 ), 담학(痰 ), 식학(食 ), 노학(勞 ), 귀학(鬼 ), 역학(疫 ), 장학( ), 해학( ), 노학(老 )이 있다[저방].

풍학(風 )

풍사에 감촉되어 생긴 학질인데 이때에는 먼저 열이 나다가 오한이 난다. 이런 데는 마황백출탕(麻黃白朮湯)을 쓴다. 땀이 나지 않으면 산사탕(散邪湯)을 쓰고 땀이 나면 정기탕(正氣湯)을 써야 한다[입문].

한학(寒 )

찬 기운에 감촉되어 생긴 학질인데 이때에는 오한이 심하고 열은 약간 난다. 이런 데는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교해음(交解飮), 과부탕(果附湯), 초과음(草果飮), 시호계강탕(柴胡桂姜湯)을 쓴다.

○ 일명 빈학(牝 )이라고도 한다[입문].

열학(熱 )

더운 때에 열기에 심하게 감촉되어 생긴 것인데 이것을 일명 단학( ) 또는 서학(暑 )이라고도 한다. 이런 데는 인삼백호탕(人蔘白虎湯), 시령탕(柴 湯, 이 2가지 처방은 다 상한문에 있다), 시호지모탕(柴胡知母湯), 쟁공산(爭功散), 용호탕(龍虎湯)을 쓴다[입문].

습학(濕 )

비를 맞아 습사가 침범하였거나 땀이 났을 때 목욕을 하여 생긴 것인데 이때에는 오한과 열 나는 것이 같으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다. 이런 데는 오령산(五 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삽주(창출), 궁궁이(천궁), 강호리(강활)를 넣어서 쓴다[입문].

담학(痰 )

외감(外感)되었거나 내상으로 울기(鬱氣)가 몰려서 담이 생겨 된 것인데 이때에는 머리가 아프고 살이 푸들거리며[肉跳] 음식물과 거품침[沫]을 토한다. 그리고 심하면 정신이 아찔해져 넘어진다. 이런 데는 시진탕(柴陳湯)에 초과를 넣어 쓰거나 사수음(四獸飮), 냉부탕(冷附湯)을 쓴다. 오랫동안 낫지 않으면 노강음(露薑飮)을 써서 낫게 해야 한다[입문].

○ 어떤 사람이 갑자기 학질을 앓으면서 이상하게 토할 때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인삼과 사인을 넣고 백두구는 다른 약보다 곱으로 하여 넣어서 1∼2첩 먹었는데 오한과 열이 저절로 내렸다. 백두구는 담을 삭히고 없애는 작용이 있고 3초(三焦)로 들어가서 영위를 1번 전변시켜 오한과 열이 나는 것을 저절로 없어지게 한다[직지].

식학(食 )

일명 위학(胃 )이라고도 한다. 음식을 절도 없이 먹어서 지나치게 배가 고팠거나 지나치게 배부르게 해서 생긴 것이다. 이때에는 오한이 멎으면 다시 열이 나고 열이 나던 것이 멎으면 다시 오한이 나면서 오한과 열이 엇바꾸어 나고 배고파도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데 먹으면 담을 토하게 된다. 『내경』에는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배가 쉽게 고프며 음식은 잘 먹지 못하고 먹으면 가슴이 그득해지며 배가 불러 오르면서 학질이 매일 발작하는 것은 위학(胃 )인데 그것이 바로 이것이다”라고 씌어 있다. 이런 데는 평진탕(平陳湯)에 지실, 흰삽주(백출), 찔광이(산사자), 약누룩(신국), 선귤껍질(靑皮)을 넣은 것이나 청비음(淸脾飮), 소청비탕(小淸脾湯)을 쓴다. 또는 이진탕(二陳湯)에 선귤껍질, 빈랑, 사인, 백두구를 넣어 써도 좋다[저방].

노학(勞 )

즉 오랜 학질이다. 오한과 열이 나는 것이 약한데 오한이 나면서도 열이 나고 열이 나면서도 오한이 나기 때문에 치료하기 제일 어려운 것이다. 이것은 표(表)와 이(裏)가 다 허하여 원기가 회복되지 못해서 생긴 것이기 때문에 좀 나았다가도 일을 약간만 하면 다시 발작하는데 여러 해가 지나도록 낫지 않는다. 이런 데는 궁위별갑산(芎歸鱉甲散), 상산음(常山飮), 오로원(五勞元), 육화탕(六和湯), 오두칠조탕(烏頭七棗湯),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십장군환(十將軍丸), 일보일발단(一補一發丹), 진사원(辰砂元), 양위단(養胃丹)을 쓴다[저방].

○ 오랜 학질은 원기가 허하고 찬 데 속한다. 대체로 기(氣)가 허하면 오한이 나고 혈이 허하면 열이 나며 위가 허하면 오한이 나고 비가 허하면 열이 난다. 음화가 아래로 내려가면 오한과 열이 엇바꾸어 난다. 혹 담을 토하면서 음식을 먹지 못하거나 설사가 나면서 배가 아프며 팔다리가 싸늘해지고 추워서 부들부들 떨리는 것은 다 비위가 허약한 것이다. 이런 데는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써야 모든 증상이 다 낫는다. 만일 비(脾)를 차게 하고 학질을 치는 약을 쓰면 위험하다[의감].

귀학(鬼 )

시주(尸 )나 객오(客 )로 생긴 것인데 이때에는 오한과 열이 나며 꿈자리가 사납고 무서움을 잘 탄다. 이런 데는 벽사단, 웅주단을 쓴다. 혹은 인장토를 구워 둥글게 만들어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 코에 막기도 한다[입문].

역학(疫 )

한 지방에서 어른이나 어린이가 서로 비슷하게 앓는데 이것은 돌림병을 앓다가 된 학질이다. 이런 때에는 운기(運氣)를 참작하여 약을 써야 하는데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여의단(如意丹), 오온단(五瘟丹), 장달환( 疸丸, 이 3가지 처방은 온역문(瘟疫門)에 있다)을 쓴다.

장학( )

산골 시냇가에서 생긴 산람장기의 독[嵐 蒸毒]을 받아 생긴 것인데 이때에는 정신이 흐릿하거나 미치고 혹 말을 못하며 잠깐 오한이 나다가 잠깐 열이 나며 병이 나았다 도졌다 한다. 이런 병은 남쪽 지방에 많다. 이런 데는 쌍해음자(雙解飮子), 지룡음(地龍飮), 강활창출탕(羌活蒼朮湯), 장달환( 疸丸, 처방은 황달문에 있다), 관음원(觀音元)을 쓴다[저방].

해학( )

해학이란 오랜 학질을 말하는데 3일 간격으로 1번씩 발작하면서 오랫 동안 낫지 않는다[강목].

○ 3일에 1번씩 발작하는 것은 사기가 음경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자일(子日), 오일(午日), 무일(戊日), 유일(酉日)에 발작하는 것은 소음경(少陰經) 학질이고 인일(寅日), 신일(申日), 사일(巳日), 해일(亥日)에 발작하는 것은 궐음경(厥陰經) 학질이며 진일(辰日), 술일(戌日), 축일(丑日), 미일(未日)에 발작하는 것은 태음경(太陰經) 학질이다. 더위로 생긴 학질 때에는 땀을 내야 한다. 감모(感冒)나 풍증(風證)은 다 밖으로부터 사기를 받아서 생긴 것이므로 땀을 내지 않으면 풀리지 않는다. 이런 데는 먼저 인삼, 흰삽주(백출) 등 보하는 약을 주약으로 하고 시호, 칡뿌리(갈근) 등 발산시키는 약을 넣어 써서 점차 땀이 나게 해야 한다. 땀을 내서 허해지면 다시 보약을 써야 한다. 그리고 아랫도리는 음에 속하는데 여기에 땀이 나게 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보약을 써서 그 기운으로 땀이 발끝까지 나게 해야 좋다[단심].

○ 노학은 풍사와 서사가 음분에 들어가서 생긴 것이므로 이때에는 반드시 혈병에 쓰는 약을 써서 사기를 양분으로 끌어내어 발산시켜야 한다. 옛날 처방에 약 기운이 센 약을 많이 넣어서 쓴 것은 그리 좋은 방법이 아닌 것 같다[단심].

○ 만일 병사가 깊이 들어갔으면 땀을 많이 낸다고 하여도 들어온 사기는 반드시 5장(五藏)에서 6부(六府)로 옮겨가게 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시간이 없이 발작하게 된다. 만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 이후나 새벽 3시부터 5시 전에 발작하는 것은 혈(血)에 병이 생긴 것으로서 낫기 어렵다. 점차로 일찍이 발작하는 것은 좋은 징조이다. 이런 병은 치료하기가 봄과 여름에는 쉽고 가을과 겨울에는 어렵다. 그것은 다른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땀내기 어려운가 쉬운가에 따라 치료가 잘 되거나 안되기 때문이다[단심].

○ 모든 학질이 여러 해가 지나도록 낫지 않는 것을 노학(老 )이라고 한다. 이때에는 반드시 담수(痰水)나 어혈(瘀血)이 뭉쳐서 덩어리가 배나 옆구리에 생기므로 배가 불러 오르고 또 아프다. 이것이 바로 학모(?母)이다. 속이 허(虛)한 것은 상산(常山)과 빈랑(檳 )이 아니면 결코 낫게 하지 못한다. 그리고 이 약을 잘 법제하여 쓰면 위가 상하지 않는다. 노학환(老 丸)이 바로 그런 것이다. 혈(血)이 허(虛)한 데는 별갑환(鱉甲丸)이 좋고 수벽이 있는 데는 얼마간 소벽원(消癖元)을 써서 비(脾)를 보한 다음 담을 풀리게 하는 약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허한가 실한가를 보아서 노학음(老 飮)을 써야 한다[입문]

○ 노학에는 칠조탕(七棗湯), 별갑음자(鱉甲飮子), 삼귀별갑산(蔘歸鱉甲散), 비방청비환(秘方淸脾丸), 경효학단(經效 丹), 황갑환(黃甲丸)을 쓴다.

산사탕(散邪湯)

풍학이 처음 발작한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마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방풍, 형개, 차조기잎(자소엽), 강호리(강활)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달여서 하룻밤 이슬을 맞힌다. 이른 새벽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의감].

정기탕(正氣湯)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시호, 전호,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끼무릇(반하), 맥문동, 빈랑, 초과, 선귤껍질(靑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계지,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교해음(交解飮)

한학(寒 )을 치료한다. 이것이 쌍해음자(처방은 아래에 있다)이다.

과부탕(果附湯)

비(脾)가 차서 생긴 학질로 얼굴이 퍼렇게 되고 추워서 떨리는 것을 치료한다.

초과, 부자(싸서 구운 것) 각각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초과음(草果飮)

한학(寒 )을 치료한다.

초과, 구릿대(백지), 양강, 선귤껍질(靑皮), 궁궁이(천궁), 차조기잎(자소엽),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시호계강탕(柴胡桂薑湯)

사기가 반표반리(半表半裏)에 있어서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아주 좋다.

시호 12g, 계지, 굴조개껍질(모려) 각각 6g,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건강, 감초 각각 3.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시호지모탕(柴胡知母湯)

열학(熱 )과 장학( )을 치료한다.

시호, 지모 각각 6g, 삽주(창출), 속썩은풀(황금), 칡뿌리(갈근),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궁궁이(천궁) 각각 4g, 감초(닦은 것)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오매 2알과 함께 물에 달여서 새벽에 먹고 그날 오전에 또 1번 먹어야 한다. 오랜 학질에는 인삼과 당귀를 더 넣어서 쓴다[절재].

쟁공산(爭功散)

열학(熱 )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많다.

지모, 패모, 시호, 상산, 산치자, 빈랑, 지골피, 감초 각각 4g, 매미허물(선퇴) 14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복숭아나무가지, 버드나무가지 각각 5치와 함께 달여 먹는다. 효과가 없으면 길 건너 뻗었던 칡덩굴(葛藤) 5치와 함께 달여서 먹어야 한다[득효].

용호탕(龍虎湯)

열학(熱 )으로 화(火)가 성(盛)하여 혀가 말려들고 입술이 마르며 코가 연기에 그슬린 것같이 되고 6맥(六脈)이 홍긴(洪緊)한 것을 치료한다.

석고 10g, 황련, 시호 각각 6g, 속썩은풀(황금), 지모, 황백 각각 4g, 산치자 3.2g, 끼무릇(반하) 2.8g, 멥쌀(粳米) 1백 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시진탕(柴陳湯)

담학(痰 )을 치료한다.

시호, 끼무릇(반하) 각각 8g, 인삼, 속썩은풀(황금),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사수음(四獸飮)

7정(七情)으로 담(痰)이 몰리고 5장(五藏)의 기가 허해서 학질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초과, 감초, 오매, 생강, 대추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소금 조금과 함께 버무린다. 다음 한참 있다가 피지에 싸서 물에 담갔다가 잿불에 묻어 고소한 냄새가 나도록 구워 꺼낸다. 이것을 물에 달여서 먹는데 발작하기 전에 연이어 몇 첩 쓰면 곧 효과를 본다[득효].

냉부탕(冷附湯)

학질은 담이 성하고 비위가 허해져서 생긴다. 가슴에 담이 뭉쳐 있어서 생긴 학질에 이 약을 쓰는데 날샐 무렵에 차게 하여 먹는다. 약 기운이 아래로 내려가면 비위가 든든해지고 성하던 담도 삭는다.

부자(큰 것으로 싸서 구워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1개.

위의 약을 쪽지게 썰어서 2첩으로 나눈다. 매 첩에 생강 10쪽을 넣어서 물에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하룻밤 이슬을 맞혀 식혀서 날샐 무렵에 먹는다[득효].

노강음(露薑飮)

담학(痰 )을 치료한다.

생강 160g.

위의 약을 껍질째로 잘 짓찧어 즙을 내어 발작하기 전날 밤에 얇은 생명주를 덮어 밖에 내놓아 하룻밤 이슬을 맞힌다. 날샐 무렵에 그 윗물을 마신다. 그러면 혹 담을 토할 수도 있는데 그대로 두어도 곧 안정된다[득효].

평진탕(平陳湯)

식학(食 )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끼무릇(반하) 각각 8g, 후박,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5g, 감초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청비음(淸脾飮)

식학(食 )을 치료한다.

시호, 끼무릇(반하), 속썩은풀(황금), 초과,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후박, 선귤껍질(靑皮)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 이 처방은 소시호탕(小柴胡湯), 평위산(平胃散), 이진탕(二陳湯)을 섞어서 만든 처방이다. 어떤 처방에는 상산 8g을 더 넣어서 이슬을 맞혀 날샐 무렵에 먹으면 학질을 낫게 하고 토하지 않게 하는 데 제일 좋다고 하였다.

○ 일명 청비탕(淸脾湯)이라고도 한다[입문]

소청비탕(小淸脾湯)

위학(胃 )을 치료한다.

후박 8g, 오매살, 끼무릇(반하), 선귤껍질(靑皮), 양강 각각 4g, 초과,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궁귀별갑산(芎歸鱉甲散)

노학(勞 )을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별갑) 8g, 궁궁이(천궁), 당귀, 벌건솔풍령(적복령), 함박꽃뿌리(적작약),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선귤껍질(靑皮) 각각 4g, 오매 1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상산음(常山飮)

노학(勞 )을 치료한다.

상산, 지모, 초과 각각 6g, 양강 4g, 오매살,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오로원(五勞元)

노학(勞 )과 장학( )을 치료한다.

상산 140g, 복숭아씨(도인) 48g, 육계 30g, 담두시 140g, 오매살 100g.

위의 약들을 햇볕에 말려 가루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4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직지].

육화탕(六和湯)

학질이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상산 8g, 지모, 패모, 인삼, 초과, 구릿대(백지), 오매, 빈랑, 시호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여서 하룻밤 이슬에 맞혀 발작할 날에 먹는다[단심].

오두칠조탕(烏頭七棗湯)

노학(勞 )과 한학(寒 )을 치료한다.

오두(큰 것으로 소금물에 담갔다가 싸서 굽기를 일곱번 하여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1개.

위의 약을 2첩으로 나눈다. 매 첩에 생강 7쪽, 대추 7알, 파밑(총백) 3대를 넣어서 물에 달여 약간 식힌 다음 먼저 달인 대추를 먹고 이어 약물을 먹는다[직지].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오랜 학질이 3-5일에 한번씩 발작하는 것을 치료한다.

생강 160g.

위의 약을 즙을 내어 하룻밤 이슬을 맞힌다. 그리고 다음날 아침에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1첩을 대추 2알, 오매 1알과 함께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위의 약즙을 타서 빈속에 따뜻하게 먹는다[의감].

십장군환(十將軍丸)

오랜 학질과 학모( 母)를 치료한다.

사인, 빈랑, 상산, 초과 각각 80g, 삼릉, 봉출, 선귤껍질, 귤껍질(陳皮), 오매, 끼무릇(반하) 각각 40g.

위의 약 가운데서 먼저 상산과 초과를 술과 식초 각각 1사발씩 섞은데 담가서 하룻밤 둔다. 여기에다 그 이튿날 아침에 나머지 8가지 약을 넣고 저녁 때까지 담가두었다가 숯불에 달여서 말려 가루낸다. 다음 술과 식초를 각각 절반씩 섞은 데 넣고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40알씩 하루 두번 먹는데 300g을 먹으면 다 낫는다[단심].

일보일발단(一補一發丹)

오랜 학질로 내상(內傷)이 되었는데 외감(外感)까지 겹쳐서 가끔 발작하는 것을 치료한다. 속으로는 담을 치료하고 겉으로는 땀이 나게 한다.

벌건솔풍령(적복령) 40g,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시호, 속썩은풀(황금), 삽주(창출), 칡뿌리(갈근) 각각 28g, 상산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진사원(辰砂元)

오랜 학질을 치료하는데 원기도 상하지 않게 한다.

주사, 아위(좋은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고루 갈아서 멀건 쌀풀에 반죽한 다음 주염열매씨(조각자)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인삼을 달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득효].

양위단(養胃丹)

오랜 학질이 2-3년 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상산(술에 찐 것) 각각 80g,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후박 각각 60g, 벌건솔풍령(적복령), 곽향, 초과 각각 40g, 감초(닦은 것) 20g, 오매 49알(살만 쓴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연한 생강 달인 물에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의감].

벽사단( 邪丹)

장학[嵐 ]과 귀학(鬼 )을 치료한다.

녹두(菉豆), 검정콩(흑두) 각각 49알, 신석 2g(따로 가루낸다), 황단 4g, 주사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반죽하여 알약 30알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쓰는데 동남 쪽으로 뻗었던 복숭아나무가지 7개를 갈아 즙을 내서 깨끗한 물에 탄 것으로 해뜰 무렵에 먹는다. 허약한 사람은 쓰지 말아야 한다[하간].

웅주단(雄朱丹)

귀학(鬼 )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큰 것) 49알(약 20g 정도).

위의 것을 단오날 새벽에 찬물에 담가서 11시경까지 두었다가 껍질을 버리고 햇볕에 말려 간다. 여기에 신석가루 4g을 넣고 다시 고루 갈아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젊고 건강한 사람은 벽오동씨만하게 만들어 쓰고 늙은이는 노란 콩알만하게 만들어 쓰며 어린이는 녹두알만하게 만들어 쓰는데 겉에 석웅황과 주사를 입혀서 햇볕에 말려 쓴다. 한번에 1알씩 발작할 날 해뜰 무렵에 깨끗한 물로 먹는다[입문]

○ 일명 학령단( 靈丹)이라고도 한다[의감].

[註] 이 분책에서 약을 채취할 때와 약을 만들 때, 약을 쓸 때 “단오날에 약을 만들어 쓴다”, “약을 동짓날에 가루낸다”, “닭이나 개 소리가 들리지 않는 곳에서 약을 만든다”, “음력 섣달 그믐날 우물에 담갔다가 정월 초하룻날 아침에 꺼내서 가루낸다”, “음력 섣달 24일 아침에 물을 떠온 데다가 유향을 담가두었던 것을 다음해 정월 초하룻날 새벽에 달여 먹는다”, “알약을 만들어 붉은 비단주머니에 넣어 남자는 왼쪽 팔에, 여자는 오른쪽 팔에 차고 다니다가 음력 정월 초하룻날 새벽에 먹는다”, “입춘이 지난 첫 경자일에 약을 먹는다” 등의 내용들이 씌어져 있다.

쌍해음자(雙解飮陰子)

장학( )과 한학(寒 )을 치료하는 데 신기한 효과가 있다.

육두구, 초두구 각각 2개(1개는 잿불에 묻어 굽고 1개는 생것으로 쓴다), 후박 2치(1치는 생강즙에 담갔다가 볶아 쓰고 1치는 생것으로 쓴다), 감초(굵은 것) 80g(절반은 닦아 쓰고 절반은 생것으로 쓴다), 생강 2덩어리(1덩어리는 잿불에 묻어 구워 쓰고 1덩어리는 생것으로 쓴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하고 여기에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인 다음 따뜻하게 하여 빈속에 먹는다[국방].

○ 일명 교해음(交解飮) 또는 생숙음(生熟飮)이라고도 한다[유취].

지룡음(地龍飮)

장학( )으로 열이 몹시 나고 번조한 것을 치료한다.

산 지렁이(生地龍, 큰 것) 3마리.

위의 것을 보드랍게 갈아서 생강즙, 박하즙, 생꿀 각각 조금씩과 함께 새로 길어온 물에 타서 먹는다. 열이 심한 데는 용뇌를 조금 넣어서 쓴다[득효].

강활창출탕(羌活蒼朮湯)

산람장기[嵐 ]에 감촉되어 생긴 학질로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6g, 삽주(창출), 시호, 속썩은풀(황금), 지실, 귤홍, 끼무릇(반하), 궁궁이(천궁),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절재].

관음원(觀音元)

장학( )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생것), 오매살, 모정향, 파두살 각각 10개.

위의 약들을 햇볕에 말려 가루내어 생강즙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알씩 잠잘 무렵에 찬물로 먹는다. 어떤 사람이 바닷가에서 흰 옷을 입은 사람을 만나서 그로부터 이 처방을 받았다고 하여 이름을 이렇게 지었다[직지].

노학환(老 丸)

해학( )이 오래도록 낫지 않고 배가 아프며 학모( 母)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위에 있는 십장군환 처방과 같으나 상산과 초과가 각각 80g씩이고 나머지 8가지 약은 각각 40g씩이다. 그리고 약 만드는 방법과 먹는 방법은 같다[입문].

별갑환(鱉甲丸)

해학( )에 학모까지 있어서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별갑, 식초에 달인 것) 40g, 삼릉, 봉출, 향부자, 선귤껍질(靑皮),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조가비가루(海粉)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 일명 학모환( 母丸)이라고도 한다[단심].

○ 여기에 궁궁이(천궁), 당귀, 함박꽃뿌리(적작약)를 넣어서 밤에 발작하는 학질을 치료하는데 이것을 음학환(陰 丸)이라고 한다[입문].

소벽원(消癖元)

학질이 여러 해 되었을 때 땀을 내거나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킨 탓으로 영위가 상하고 사기가 옆구리로 몰려 징벽( 癖)이 생겨서 배와 옆구리가 뜬뜬하고 아픈 것을 학모라고 하는데 이런 것을 치료한다.

원화(닦은 것), 주사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대추를 달인 물로 먹는다. 벽을 없애려면 반드시 원화

나 버들옻(대극)처럼 물을 몰아내는 약을 써야 한다[득효].

○ 일명 원화환( 花丸)이라고도 한다[입문].

노학음(老 飮)

오랜 학질로 배와 옆구리에 징벽( 癖)이 생겨 여러 가지 약을 써도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초과, 도라지(길경), 선귤껍질(靑皮), 귤껍질(陳皮) 양강 각각 2.8g, 구릿대(백지), 벌건솔풍령(적복령), 끼무릇(반하), 지각, 계심, 건강, 감초 각각 2g, 차조기잎(자소엽), 궁궁이(천궁)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소금을 조금 넣어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 일명 해학음( 飮)이라고도 한다[의감].

칠조탕(七棗湯)

5장의 기가 허하고 음양이 서로 성하여 생긴 해학이 갓 생겼거나 오래되었거나를 불문하고 다 치료한다.

부자(싸서 터지도록 구워 소금물에 담갔다가 다시 싸서 굽기를 일곱번 하여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1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 대추 7알과 함께 물 1사발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따뜻하게 하여 빈속에 먹는다. 그 다음 약과 함께 삶은 대추 3-5알을 먹는다[득효].

별갑음자(鱉甲飮子)

오랜 학질로 뱃속에 징가( )가 생긴 것을 학모( 母)라고 하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별갑) 8g, 흰삽주(백출), 속썩은풀(황금), 초과, 빈랑, 궁궁이(천궁), 귤껍질(陳皮), 후박,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삼귀별갑음(蔘歸鱉甲飮)

오랜 학질로 배와 옆구리에 덩어리가 생겨서 학모가 된 것을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별갑, 식초에 달인 것) 5.2g, 단너삼(황기, 꿀물에 축여 볶은 것), 선귤껍질, 당귀, 흰솔풍령(백복령), 흰삽주(백출), 후박, 궁궁이(천궁), 향부자 각각 3.2g, 인삼, 사인, 찔광이(산사), 지실 각각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회춘].

비방청비환(秘方淸脾丸)

학질이 3일에 한번씩 발작하거나 10일에 한번씩 발작하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60g, 끼무릇(반하), 선귤껍질, 속썩은풀(황금) 각각 40g, 인삼, 빈랑, 초과, 봉출, 후박 각각 20g, 강황,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밥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6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단심].

경효학단(經效 丹)

학모( 母)로 벽이 생기고 오한과 열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아위(좋은 것), 석웅황(웅황) 각각 10g, 주사 6g

위의 약에서 아위를 끓는 물에 우려서 간 다음 석웅황(웅황)과 주사를 가루내어 함께 고루 섞는다. 다음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빈속에 인삼을 달여서 식힌 물로 먹는다. 장학( )에는 복숭아씨(도인)를 달여 식힌 물로 먹는데 발작하기 전에 1알을 갈아서 입과 코 둘레에 발라야 한다[직지].

황갑환(黃甲丸)

학모로 덩어리가 생겨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주사, 아위, 천산갑(졸인 젖을 발라 구운 것), 빈랑 각각 20g, 석웅황(웅황), 목향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검정콩을 물에 불려서 껍질을 버리고 풀지게 짓찧는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의감].

학질로 오한이 멎지 않는 것은 병 뿌리가 있기 때문[ 寒熱不歇有根]

학질로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은 병의 뿌리가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뿌리란 무엇인가. 그것은 음(飮)과 수(水)와 궂은 피[敗血]이다. 벽(癖)은 학모로 생기고 궂은 피는 더위독[暑熱之毒]으로 생긴다. 음과 수는 다 오한과 열이 나게 한다. 때문에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수와 음이 같이 있으면 수를 몰아내고 음을 삭게 해야 한다. 벽이 있을 때에는 반드시 옆구리가 아픈데 이때에는 벽을 없어지게 해야 한다. 더위독으로 생긴 궂은 피가 있을 때에는 증상에 따라 잘 나가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오한이나 열이 나던 것이 저절로 없어진다.

○ 모든 학질 때 누런 물이 차거나 옆구리에 벽이 생기면 그것으로 인하여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한다. 그러나 그 독물을 빼내면 병뿌리가 없어지면서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저절로 없어진다. 때문에 학질을 치료하는 데는 흔히 상산(常山)을 쓴다. 그것은 상산이 물이 상초(上焦)에 있으면 토하게 하고 중초(中焦)나 하초(下焦)에 있으면 벽을 헤쳐서 물을 잘 나가게 하기 때문이다[직지].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한 것[寒熱似 ]

황제가 “몹시 열이 나다가 오한이 나고 또 열이 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하면서 매일 발작하거나 하루 건너서 발작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이 “이기는[勝] 것과 보복하려는[復] 기운이 부딪칠 때에 어느 것이 센가 약한가에 따라서 그렇게 된다. 음기(陰氣)가 세고 양기(陽氣)가 약하면 발작하는 날짜가 길고 양기가 세고 음기가 약하면 발작하는 날짜가 짧다. 이것이 이기는 것과 보복하려는 기운이 부딪칠 때에 어느 것이 성한가 약한가에 따라 생기는 것이다. 학질도 이와 마찬가지이다”[내경].

○ 감모(感冒)에 걸리면 갑자기 추우면서 솜털이 일어서고 허벅지가 떨리며 온몸의 뼈가 후들후들하고 구역이 나서 먹지 못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열이 나는데 마치 학질과 비슷하다. 이때에 맥이 반드시 현하지는 않다. 이런 때에는 증상에 따라 치료하여야 한다. 열이 심한 데는 소시호탕을 쓰고 오한이 심한 데는 인삼양위탕을 써서 화해시켜야 한다. 내상(內傷)으로 허해진 데는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찔광이(산사), 보리길금(맥아), 백두구를 넣어 써서 비(脾)를 보해야 저절로 낫는다[입문].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 疾治法]

『내경』에는 서사(暑邪)와 풍사(風邪)를 학질의 주되는 원인으로 보았고 『국방』에는 음식에 상한 것을 주되는 원인으로 보았으며 단계(丹溪)는 담(痰)을 주되는 원인으로 보았지만, 이 3가지 원인이 복잡하게 얽히어 기혈(氣血)을 혼란시켜서 생긴다. 그렇지만 빨리 낫게 하려면 서사를 몰아내고 담을 삭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데는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을 두루 쓰는데 땀이 나지 않으면 칡뿌리(갈근)와 시호를 넣어 쓰고 기가 허하면 인삼과 흰삽주(백출)를 넣어 쓰며 열이 심하면 속썩은풀(황금)과 황련을 넣어 쓰고 오한이 심하면 초과를 넣어 쓰며 갈증이 있으면 오매를 넣어 쓴다[입문].

○ 땀이 나지 않을 때에는 땀을 내서 사기(邪氣)를 발산시키는 것을 위주로 하면서 겸해 보해야 한다. 땀이 날 때에는 땀이 나지 않게 하여 정기(正氣)를 보존하면서 겸해 사기를 발산시켜야 한다. 이런 데는 산사탕(散邪湯), 정기탕(正氣湯) 등을 쓴다[단심].

○ 한학(寒 )에 초과와 후박을 쓰지 않으면 덥게 하여 발산시킬 수 없고 열학(熱 )에 시호와 속썩은풀(황금)을 쓰지 않으면 서늘하게 하여 풀리게 할 수 없다. 양학(陽 ) 때 땀이 나지 않으면 반드시 시호, 삽주(창출), 칡뿌리(갈근)를 써야 하고 음학(陰 ) 때 땀이 나지 않으면 시호, 승마, 궁궁이(천궁)를 써야 하며 땀이 많이 나면 흰삽주(백출)와 오매를 써서 수렴시켜야 한다[입문].

○ 먼저 열이 나고 후에 오한이 나는 데는 소시호탕(小柴胡湯)이 좋고 먼저 오한이 나고 후에 열이 나는 데는 시호가계탕(柴胡加桂湯)이 좋으며 열이 심하거나 열만 나는 데는 백호계지탕(白虎桂枝湯)이 좋고 오한이 심하거나 오한만 나는 데는 시호계강탕(柴胡桂薑湯)이 좋다[강목].

○ 해학으로 열이 많이 날 때에는 절반은 성질이 찬 약을 쓰고 절반은 더운 약을 써서 발산시켜 음과 양이 갈라지게 한 다음 오한과 열이 나는 것을 멎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 그리고 발작하기 2시간 전에 치는 성질이 있는 약으로 담수(痰水)를 없어지게 해야 효과가 있다. 오한이 심한 데는 약을 절반은 생것으로 절반은 익혀서 써야 하는데 비(脾)를 든든하게 하고 음식을 잘 먹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 그 다음 치는 성질의 약을 쓰면 담벽(痰癖)이 없어지고 병이 낫는다. 그 다음 반드시 음식을 주의하고 일상생활에 조심해야 다시 앓지 않는다[득효].

○ 계지탕(桂枝湯)으로 태양증(太陽證)을 치료하며, 백호탕(白虎湯)으로 양명증(陽明證)을 치료하며 소시호탕(小柴胡湯)으로 소양증(少陽證)을 치료하는 것은 뚜렷한 협담(挾痰)이 있으면 이진탕(二陳湯)과 섞어서 쓰고 식적(食積)이 있으면 평위산(平胃散)과 섞어서 쓰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으면 오령산(五 散)과 섞어서 쓰고 변비가 있으면 대시호탕(大柴胡湯)과 섞어서 쓰며 땀이 나지 않으면 칡뿌리(갈근)와 삽주(창출)를 넣어서 쓰고 땀이 나면 단너삼(황기), 흰삽주(백출)를 넣어서 쓰며 밤에 발작하면 복숭아씨(도인), 함박꽃뿌리(적작약)을 넣어 쓰고 병이 오래되었으면 상산과 빈랑을 넣어 써서 토하게 하는 것이 학질 치료법의 전부이다[입문].

시평탕(柴平湯)

여러 가지 학질을 치료한다.

시호, 삽주(창출) 각각 8g, 후박,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인삼,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

○ 일명 평호음자(平胡飮子)라고도 한다[입문].

초과평위산(草果平胃散)

비(脾)가 허하여 생긴 학질을 치료하는데 먼저 열이 나거나 먼저 오한이 나거나를 불문하고 다 낫게 한다.

삽주(창출) 8g, 후박, 귤껍질(陳皮), 선귤껄질(靑皮), 빈랑껍질(대복피), 빈랑, 초과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가감청비탕(加減淸脾湯)

여러 가지 학질을 치료한다. 이것이 소시호탕(小柴胡湯)과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을 섞은 것이다. 오한이 심하고 열이 약간 나는 데는 양위탕(養胃湯) 약재를 많이 넣고 열이 심하고 오한이 약간 나는 데는 소시호탕(小柴胡湯, 이 2가지 처방은 다 상한문에 있다) 약재를 많이 넣으며 오한과 열이 나는 것이 같을 때에는 이 2가지 약을 같은 양으로 넣어 쓰는데 매 첩에 생강 5쪽, 대추 2알, 복숭아나무가지, 버드나무가지 각각 3치를 넣어서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득효].

사장군음(四將軍飮)

학질이 발작하면 엎드러져서 어깨를 푸들푸들 떨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은 속이 답답하고 안타까워서인데 이것은 음기와 양기가 서로 부딪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이런 것을 치료한다.

부자(싸서 구운 것) 40g, 가자(訶子, 잿불에 묻어 구워서 씨를 버린 것) 4개, 귤껍질(陳皮, 온전한 것) 4개, 감초(닦은 것) 4치.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나눈다. 매 첩에 생강 7쪽, 대추 7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천천히 떠넣어 준다. 네번만 먹이면 깨어난다[득효].

구학탕(驅 湯)

여러 가지 학질과 오랜 학질을 치료한다.

초과, 선귤껍질(靑皮), 귤껍질(陳皮),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끼무릇(반하), 후박, 삽주(창출), 흰삽주(백출), 빈랑 각각 4g, 양강,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5쪽,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구사탕(驅邪湯)

여러 가지 학질을 치료한다.

시호 8g, 흰삽주(백출) 6g, 칡뿌리(갈근) 5.2g, 삽주(창출) 4g, 귤껍질(陳皮) 2.8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필용].

○ 일명 시호이출탕(柴胡二朮湯)이라고도 한다[속방].

인삼죽력음(人蔘竹瀝飮)

허해서 생긴 학질로 정신이 흐릿하고 나른하며 땀이 많이 나오고 담이 성하여 혀가 부어서 말이 잘 되지 않고 맥(脈)이 허하면서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흰솔풍령(백복령), 인삼, 흰삽주(백출), 당귀, 생지황,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맥문동, 지모, 귤껍질(陳皮),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알, 오매 1개와 함께 물에 달인 다음 참대기름(竹瀝)과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회춘].

학질 치료 때 반드시 음양이 갈라지게 하는 약을 써야[治 須用分陰陽之藥]

학질 때에는 음기와 양기가 부딪치기 때문에 오한과 열이 번갈아 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약은 절반은 생것으로 절반은 익혀서 쓰되 절반은 성질이 찬 약을 절반은 성질이 더운 약을 써서 치료해야 완전한 효과를 볼 수 있다.

○ 속담에 담(痰)이 없으면 학질이 생기지 않는다고 하였다. 약을 절반은 생것으로 절반은 익혀서 쓰는 것은 음과 양이 갈라지게 하고 오한과 열을 풀기 위해서이다[득효].

학질이 장차 낫겠는가를 알 수 있는 것[知 將差]

소양증(少陽證)이 낫겠는가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알 수 있다.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날짜와 시간이 변동되지 않는 것은 사기(邪氣)가 없어지지 않은 것이다. 이때에

시호를 써 보아 그 시간이 변동되어 빨리 발작하던 것이 늦어지거나 늦게 발작하던 것이 빨라지면 그것은 기(氣)에 있던 병이 혈(血)로 넘어가고 혈에 있던 병이 기로 넘어간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사기가 있을 곳이 없어지므로 병이 나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해장].

○ 만일 발작하는 시간이 변동되어 혹 빨라지거나 늦어지는 것은 사기가 있을 곳이 없어진 것이므로 학질이 장차 나을 수 있다[의감].

학질이 발작하지 못하도록 세게 치료하는 방법[截 法]

학질이 자주 발작할 때에는 곧 세게 쳐서 낫게 해야 한다. 학질이 오래되면 중기가 허약해져서 사기가 속으로 깊이 들어가게 되므로 치료하기 어렵다. 민간에서는 신석, 황단 같은 세게 치는 성질이 있는 약을 쓰고 있는데 그것들은 독이 많으므로 경솔하게 쓰지 말아야 한다[정전].

○ 만일 세게 치는 성질이 있는 약을 써서 누런 갖풀[黃膠] 같은 물을 토하게 되면 학질은 저절로 낫는다. 그러나 하루나 이틀 동안 발작하였을 때에는 일찍이 세게 치는 성질이 있는 약을 쓰지 말아야 한다. 일찍이 쓰면 사기가 막히게 되며 괴증(壞證)이 생긴다. 또는 세게 치는 성질이 있는 약을 너무 늦게도 쓰지 말아야 한다. 늦게 쓰면 원기가 약해져 몸이 허약해진다. 그리고 3-4일 발작한 다음에 반드시 세게 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열이 내리고 몸이 식은 다음에 음식을 먹게 해야 한다. 열이 있는 때에는 음식을 먹지 못하게 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소화되지 않아서 비기( 氣)가 생기는데 비기가 퍼지면 고창(鼓瘡)이 될 수도 있다[회춘].

○ 학질 때에는 반드시 음양이 갈라지게 해야 한다. 이런 데는 시령탕(柴 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 제일 효과가 있다. 심하면 세게 쳐서 낫게 해야 하는데 불이음(不二飮), 승금환(勝金丸) 같은 것으로 세게 쳐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는 것은 기가 몹시 허한 것인데 이때에는 위기(胃氣)를 보하는 것이 기본이므로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양위단(養胃丹, 처방은 위에 있다) 같은 것을 쓴다. 또 여러 해 동안 학질을 앓으면서 땀을 내기도 하고 토하게 하기도 하고 설사도 시켰으나 낫지 않아서 영위가 허약해지고 사기가 옆구리에 잠복되어 징비가 생긴 것을 학모라고 하는데 이런 데는 해학음( 飮), 황갑환(黃甲丸, 처방은 위에 있다) 같은 것을 쓴다[의감].

○ 음분에 사기가 있을 때에는 약을 써서 양분으로 끌어낸 다음 금방 세게 치는 성질의 약을 써야 한다[단심].

○ 학질을 세게 치는 데는 절학상산음(截 常山飮), 절학칠보음(截 七寶飮), 절학음자(截 飮子), 인삼절학음(人蔘截 飮), 귀곡단(鬼哭丹), 승금단(勝金丹), 삼귀양영탕(蔘歸養榮湯)을 쓴다[저방].

절학상산음(截 常山飮)

상산, 초과, 빈랑, 지모, 오매, 천산갑(싸서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인 다음 하룻밤 이슬을 맞혀서 발작할 날 새벽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그 다음 토하면 좋다[정전].

절학칠보음(截 七寶飮)

상산, 귤껍질(陳皮), 선귤껍질, 빈랑, 초과, 후박,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생강 5쪽, 오매 2개와 함께 넣어서 달인 다음 하룻밤 이슬을 맞힌다. 새벽에 따뜻하게 하여 먹으면 반드시 토하고 낫는다[정전].

○ 일명 칠보탕(七寶湯)이라고도 한다[이간].

절학음자(截 飮子)

오랜 학질이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한번만 먹어도 곧 낫고 영원히 도지지 않는다.

상산 6g, 빈랑 4g, 정향 2g, 오매 1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좋은 술 1잔에 하룻밤 담가두었다가 그 윗물을 받아 발작할 날 새벽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 이것이 바로 『정전』에 있는 절학방(截 方)이다[정전].

인삼절학음(人蔘截 飮)

허약한 사람이 학질을 앓을 때 세게 치려면 반드시 이것을 써야 한다. 여러 가지 학질도 다 세게 치는 약이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당귀, 선귤껍질(靑皮), 후박, 시호, 속썩은풀(황금), 지모, 상산(술에 담갔던 것), 초과, 자라등딱지(별갑, 식초를 발라 구운 것) 각각 3.2g, 계지,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개, 복숭아씨 7알을 넣어서 물에 달인다. 다음 하룻밤 이슬을 맞혀서 발작할 날 이른 새벽 빈속에 먹는다. 다음 찌꺼기를 다시 달여 아침에 먹는다. 그 다음 사탕에 오매를 버무려 먹어서 약 기운을 내리워야 한다. 닭고기, 물고기, 두부, 밀가루음식 등 열이 나게 하는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회춘].

귀곡단(鬼哭丹)

해학을 치료한다.

상산(썰어서 봄에는 5일, 여름에는 3일, 가을에는 7일, 겨울에는 10일간 식초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것) 600g, 빈랑 160g, 끼무릇(반하), 패모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달걀 흰자위와 밀가루를 버무린 데 넣고 고루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잠잘 무렵에 찬 술로 먹고 다음날 아침에 또 한번 먹는데 하루씩 사이를 두고 먹는다[단심].

승금단(勝金丹)

여러 가지 학질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세게 쳐서 낫게 한다.

상산(술에 축여 쪄서 햇볕에 말린 것) 160g, 빈랑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잠잘 무렵에 찬 술로 먹고 다음날 새벽에 또 15알을 찬 술로 먹는데 하루씩 사이를 두고 먹는다. 그 다음 일체 뜨거운 국이나 죽을 먹지 말아야 한다[국방].

불이음(不二飮)

여러 가지 학질에 1첩만 먹어도 신기한 효과가 있다.

빈랑(암컷 1개, 수컷 1개, 만일 무게가 8g이면 다른 약도 각각 8g씩 넣어서 써야 한다), 상산, 지모, 패모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 1종지에 넣고 8분이 되게(지나치게 익히지 말아야 한다. 지나치게 익히면 효과가 없다) 달인다. 다음 하룻밤 이슬을 맞혀 발작할 날 새벽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의감].

○ 일명 지학산(止 散)이라고도 한다[십삼방].

승금환(勝金丸)

여러 가지 학질을 치료하는데 세게 쳐서 낫게 한다.

상산(하룻밤 술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것) 160g, 삽주(창출,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것), 빈랑, 초과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상산을 담갔던 술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발작하기 전날 잠잘 무렵에 데운 술로 먹은 다음 곧 누워서 자다가 발작할 날 새벽에 다시 70알을 먹는다. 생것, 찬 것, 뜨거운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의감].

삼귀양영탕(蔘歸養榮湯)

학질 때 세게 치는 약을 쓴 다음 쓰는데 기혈(氣血)을 보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당귀, 귤껍질(陳皮), 사인, 후박, 마(산약), 연밥(연육),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찐지황(숙지황), 감초 각각 3.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알과 함께 술에 달여 먹는다[회춘].

방예하는 법[禳法]

[註] 방예하는 법은 옛날 병이나 나쁜 신수 등을 예방한다는 것이다.

신선벽하단(神仙碧霞丹), 단학여성환(斷 如聖丸)을 쓰는데 일체 학질을 치료한다.

신선벽하단(神仙碧霞丹)

동방, 파두(껍질을 버리고 기름을 뺀 다음 따로 간 것), 남방, 육계(따로 간 것), 중앙, 석웅황(웅황, 따로 간 것), 서방, 백반(따로 간 것), 북방, 청대(따로 간 것).

위의 약들을 각각 12g씩 음력 5월 5일 이른 아침에 법제하여 각기 그릇에 처방 순서대로 가지런히 담아서 놓아 둔다. 고양이, 개가 가까이 오지 못하게 하고 부인이 보지 못하게 해야 한다. 그 다음날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경에 다섯 집에서 만든 떡에 반죽하여 개암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솜에 싸서 발작하는 날 이른 아침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 콧구멍을 막는다. 그 다음 마음을 안정하고 가만히 있어야 하며 잡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유취].

단학여성환(斷 如聖丸)

신석 8g, 말거미(지주) 3개, 검정콩(흑두) 49알.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반죽하여 가시연밥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만일 내일이 발작할 날이면 오늘 저녁에 북두칠성을 향하여 제사 지내고 다음날 일찍 1알을 속에 싸서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 귀를 막으면 낫는다. 1알이면 두 사람을 낫게 할 수 있다[하간].

꺼릴 것[禁忌法]

모든 학질 때에는 배부르게 먹지 말아야 한다. 발작할 날에 배불리 먹으면 병이 더 심해진다[정전]. 모든 학질이 발작할 때에는 반드시 뜨거운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비괴( 塊)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회춘].

○ 모든 학질이 곧 발작하려고 할 때와 발작하였을 때에는 약을 먹지 말고 발작하기 4시간 전에 먹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약 기운과 병사가 부딪쳐서 도리어 해를 입게 된다.

○ 약은 발작하기 4시간 전에 먹는 것이 좋다. 혹 발작할 날 아침 빈속에 먹기도 한다[직지].

○ 음식을 절도 있게 먹고 바람과 추위에 주의하며 술과 성생활을 삼가하고 일상생활에 조심하면 낫지 않는 것이 없다[단심].

○ 학질은 돼지고기나 쇠고기를 먹으면 반드시 도진다[본초].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

양학(陽 )은 쉽게 치료할 수 있고 음학(陰 )은 치료하기가 어렵다[입문].

○ 오랜 학질이 나았다가 도져서 맥이 허(虛)하고 부(浮)하며 먹지 못하는 것은 치료하지 못한다[득효].

○ 학질이 오래되어서 허리등뼈가 켕기고 뻣뻣하며 경련이 이는 것은 치료하지 못한다[의감].

○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며 몸이 여위면서 견(堅)맥이 나타나는 것은 역증(逆證)이므로 치료하지 못한다[영추].

단방(單方)

모두 19가지이다(비한단(脾寒丹)이 들어 있다).

우슬(牛膝, 쇠무릎)

노학(老 )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살찌고 큰 쇠무릎 1줌을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여 먹는데 3제(三劑)만 쓰면 낫는다[본초].

인진(茵蔯, 더위지기)

장학( )을 치료하는데 달여서 먹거나 국을 끓여 먹거나 김치를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갈근(葛根, 칡뿌리)

학질을 치료하는데 40g을 달여서 먹는다[본초].

마황(麻黃)

온학 때 땀이 나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서 먹은 다음 땀이 나면 낫는다[본초].

지모(知母)

열학에 달여서 먹으면 좋다[본초].

반하(半夏, 끼무릇)

담학을 치료하는데 40g을 달여서 생강즙을 타 먹는다[본초].

송라(松蘿, 소나무겨우살이)

온학을 치료하는데 달여서 먹으면 담을 토하게 된다[본초].

사태(蛇 , 뱀허물)

학질이 발작할 날에 뱀허물로 양쪽 귓구멍을 막고 또 손에 조금 쥐고 있으면 좋다[본초].

별갑(鱉甲, 자라등딱지)

온학, 노학에 자라등딱지를 구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데 연이어 세번 먹으면 낫지 않는 것이 없다[본초].

오공(蜈蚣, 왕지네)

온학, 장학에 구워 가루내어 한번에 2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본초].

서부(鼠婦, 쥐며느리)

한학과 열학에 3마리를 갈아서 데운 술에 타 먹는다. 어린이에게 더 좋다[본초].

백규화(白葵花)

해학에 쓰는데 꽃을 따서 그늘에 말린 다음 가루내어 술에 타 먹는다[본초].

오매(烏梅)

열학으로 답답하고 목이 마르는 데 쓴다. 달여서 마신다[본초].

호두골(虎頭骨, 범대가리뼈)

온학을 치료한다. 졸인 젖을 발라 누렇게 되도록 구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로 먹는다. 또는 고기를 삶아서 먹기도 한다. 또는 가죽을 몸에 덮기도 한다[본초].

이분(狸糞)

귀학을 치료한다. 이것을 태워 가루내어 술에 타 먹은 다음 고기를 삶아 먹는다. 또는 개대가리뼈를 쓰는데 범뼈를 먹는 방법으로 먹기도 한다[본초].

호육(狐肉, 여우고기)

한학과 열학을 치료한다. 5장과 창자를 빼버리고 보통 먹는 방법대로 손질하여 양념을 쳐서 삶아 먹으면 좋다[본초].

연시(燕屎)

학질을 치료하는데 8g을 술 1되에 타서 사발에 담아놓고 발작할 날 아침에 코에 냄새를 쏘인다[본초].

야명사(夜明砂)

편복시( 屎)인데 5가지 학질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식은 찻물에 타서 먹으면 낫는다[본초].

소산(小蒜, 달래)

학질을 치료하는데 잘 짓찧어 황단과 함께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7알씩 복숭아나무가지와 버드나무가지를 달인 물로 먹는다. 이것은 비한단(脾寒丹)이라고 한다[유취].

침뜸치료[鍼灸法]

학질이 다시 발작하려고 하고 음양이 옮겨 가려고 할 때에는 반드시 팔다리에서부터 시작된다. 양이 이미 상하였으면 음이 따르기 때문에 발작하기 전에 먼저 단단히 억제한 다음 증상을 보아 손락(孫絡)에 몰린 피를 빼내야 한다[내경].

○ 손락(孫絡)을 보고 삼릉침(三稜鍼)으로 피를 빼야 한다[정전].

○ 모든 학질 때에는 반드시 먼저 병이 처음 발작한 경력을 알아보고 침을 놓아야 한다.

○ 오랜 학질이 낫지 않을 때에는 먼저 대추혈(大椎穴)에 침을 놓은 다음 뜸 21장을 떠야 한다. 혹은 세번째 등뼈마디 위에 뜨기도 한다.

○ 모든 학질 때 맥이 잘 나타나지 않으면 열 손가락 사이를 찔러서 나오는 피를 다 빼면 반드시 낫는다. 먼저 몸에 붉은 팥알 같은 것이 있는가를 보고 피를 빼야 한다.

○ 모든 학질에는 간사혈에 놓는 것이 좋다.

○ 학질 때 맥이 완대(緩大)하면서 허(虛)하면 약만 쓰고 침을 놓지 않는 것이 좋다[강목].

'동의보감 > 잡병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갈(消渴)  (1) 2016.05.28
황달(黃疸)  (0) 2016.05.28
온역(瘟疫)  (0) 2016.05.28
사수(邪수)  (0) 2016.05.28
옹저(癰疽)  (0) 2016.05.28
:
Posted by doc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