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2

« 2024/1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6. 5. 28. 22:32

창만(脹滿) 동의보감/잡병편2016. 5. 28. 22:32

창만[脹滿]

« 동의보감(東醫寶鑑)

창만[脹滿]

창만의 원인[脹滿之源] » · 창만의 형태와 증상[脹滿形證] »

맥 보는 법[脈法] » · 창병에는 7가지가 있다[脹病有七] »

창만을 치료 방법[脹滿治法] » · 창만을 두루 치료 약[脹滿通治藥] »

창만은 진장병[脹滿乃眞臟病也] » · 창만 때 설사 나는 것[脹滿泄瀉] »

단방(單方) » · 침뜸치료[鍼灸法] »

창만의 원인[脹滿之源]

황제(黃帝)가 “창만은 어떻게 되어 생기며 그 원인은 무엇인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이 “위기(衛氣)는 몸에서 늘 혈맥과 같이 분육(分肉)으로 도는데 거꾸로 돌기도 하고 제대로 돌기도 한다. 음양은 자연과 조화되고 5장(五臟)의 기운은 4철의 기후에 상응하면서 음식이 제대로 소화되게 한다. 그러나 싸늘한 기운이 하초에 있어서 영위(榮衛)가 머물러 있게 되면 찬 기운이 치밀어 올라와 진기와 서로 부딪치기 때문에 창만이 생긴다. 영기(榮氣)만 혈맥을 따라 돌고 위기가 거꾸로 돌게 되면 맥창(脈脹)이 생기고 혈맥을 따라 분육으로 돌게 되면 부창(膚脹)이 생긴다”고 하였다[영추].

[註] 맥창(脈脹) : 배에 퍼런 핏줄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 즉 문맥순환장애로 복벽의 정맥이 노장된 것.

[註] 부창(膚脹) : 배가 불러 오르는 증의 하나. 처음에는 배가 불러 오르나 뜬뜬하지는 않다가 오래되면 배가 북처럼 팽팽하게 불러 오르면서 뜬뜬해진다.

○ 속으로 7정(七情)에 상하고 겉으로는 6음(六淫)이 침범하고 음식을 절도 없이 먹고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허약해져서 비토(脾土)의 음기가 상하게 되면 소화시키고 전달하는 기관으로서의 자기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위가 음식을 잘 소화시키지 못한다. 때문에 양이 제멋대로 떠오르고 음이 제멋대로 내려가게 되어[陽自升陰自降] 하늘기운과 땅기운이 어울리지 못하는 것과 같이 된다. 그러면 맑고 흐린 것이 뒤섞이고 혈맥이 돌아가는 길이 막히고 기화작용으로 혈이 흐려지면서 몰리기 때문에 열이 생긴다. 이 열이 오랫동안 머물러 있게 되면 기화작용으로 습이 생긴다. 그러면 습과 열이 서로 뒤섞이기 때문에 창만이 생긴다. 『내경』에는 “고창(鼓脹)이라고 하는 것이 이런 것이다”고 씌어 있다. 이 밖에 비록 겉으로는 뜬뜬하고 그득하나 속은 비어서 아무 것도 없기 때문에 북같이 되는 것도 있는데 이런 병은 오래 가고 치료하기도 매우 힘들다. 그러므로 이것을 고(蠱)라고 한다. 고라고 하는 것은 벌레가 파먹는 것과 같다는 뜻이다[단심].

○ 음식을 절도없이 먹고 일상생활을 일정하게 하지 않으면 음에 병이 생긴다. 음에 생긴 병은 5장으로 들어가는데 5장으로 들어가면 붓고 그득해지며 막힌다[내경].

○ 상초에 탁기(濁氣)가 있으면 진창( 脹)이 생긴다. 주해에 탁기라는 것은 찬 기운을 말한다고 씌어 있다. 상초에 찬 기운이 몰려서 헤쳐지지 않으면 창만이 생긴다[내경].

○ 족태음경맥(足太陰經脈)이 병들면 배가 불러 오르는데 족양명경맥(足陽明經脈)이 병들어도 역시 배가 불러 오른다[영추].

○ 태음(太陰)이 주관하는 해에는 창만이 생긴다. 비(脾)는 음 가운데 태음이다. 여기에 양기(陽氣)가 없으면 음식이 소화되지 못하고 또 몹시 차지면 창만이 생긴다. 그러므로 『맥경』에도 위 속이 차면 창만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동원].

○ 모든 창만이 처음에는 기(氣)로써 생기는데 이것이 오래되면 수병(水病)이 된다. 이것은 수종(水腫)을 치료하기보다 더 힘들다. 대체로 수종 때에는 먹는 것이 평상시와 같다. 고창은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한 지 3-5년 지나서 생기므로 병의 뿌리가 깊고 완고하다. 부종을 치료할 때에는 중기(中氣)를 보(補)하고 습기를 없애야 제대로 치료된다. 창만 때에는 중기를 보하고 습기를 없애는 것과 함께 소화제를 써야 한다. 그리고 절대로 소금, 간장, 된장을 먹지 말고 음악을 듣거나 공상하지 말아야 하며 효과를 빨리 보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입문].

창만의 형태와 증상[脹滿形證]

중만(中滿)이나 복창(復唱)이란 얼굴과 눈, 팔다리는 붓지 않고 배만 불러 오르는 것인데 속이 비어서 북같이 되는 것이다[의감].

[註] 중만(中滿) : 뱃속이 창만한 증. 비위가 약해져 소화장애가 생기면 중만이 된다.

○ 배꼽노리와 팔다리가 모두 붓는 것은 수종이고 단지 배만 팽팽하게 불러 오르고 팔다리가 몹시 붓지 않는 것은 고(蠱)다. 고란 바로 창만을 말한다[본사].

○ 배가 그득하고 불러 오르면서 가슴과 옆구리 아래를 치받치고 아랫도리가 싸늘하며 갑자기 정신이 혼미해지는 것은 족태음(足太陰)과 족양명(足陽明)에 병이 생긴 것이다[내경].

○ 창만에는 허창(虛脹)과 실창(實脹)이 있다. 허창 때에는 토하고 설사하면서 먹지 못하고 부었다 내렸다 하며 손가락으로 누르면 움푹 들어가고 물렁물렁하다. 실창은 양열(陽熱)의 사기로 생기는데 이때에는 몸에 열이 나고 목구멍이 마르며 늘 배가 불러 오르고 속이 아프며 손가락으로 눌러도 움푹 들어가지 않고 뜬뜬하다[입문].

○ 배가 그득해졌으나 눌러도 아프지 않은 것은 허창이고 아픈 것은 실창이다. 실창 때에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

○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이 때로 낮아졌다 불러 올랐다 하는 것은 한증이므로 성질이 더운 약을 쓰는 것이 좋다.

○ 배가 그득해진 것이 내리지 않거나 내린다고 하여도 내렸다고 할 정도가 되지 못할 때에는 반드시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중경].

맥 보는 법[脈法]

맥이 대(大), 견(堅), 색( )한 것은 창만(脹滿)이다[영추].

○ 맥이 성(盛)하면서 긴(緊)한 것은 창만이다[내경].

[註] 성맥(盛脈) : 인영맥이 정상보다 곱이나 될 정도로 크게 뛰는 것, 맥이 몹시 충실하게 뛰는 것.

○ 창만 때 맥이 현(弦)한 것은 비토(脾土)가 간목(肝木)의 억제를 받은 것이고 맥이 홍삭(洪數)한 것은 열창(熱脹)이고 지약(遲弱)한 것은 음한(陰寒)으로 생긴 것이다. 부(浮)한 것은 허창(虛脹)이고 긴(緊)한 것은 속이 실(實)한 것이다. 맥이 부한 것은 치료할 수 있고 맥이 허한 것은 위급하다[맥결].

○ 관맥(關脈)이 허한 것은 뱃속이 불러 오른 것이다.

○ 지(遲)하면서 활(滑)한 것은 창만이다.

○ 허하면서 긴삽(緊澁)한 것은 창만이다.

○ 혹 현(弦)하면서 지(遲)하거나 부(浮)하면서 삭(數)한 것은 창만이다[정전].

○ 여러 가지 기로 생긴 창만 때 맥이 부대(浮大)하면 치료할 수 있고 허소(虛小)하면 살리기 어렵다[득효].

창병에는 7가지가 있다[脹病有七]

창병은 다 5장 6부의 밖에 생긴다. 5장 6부와는 직접 관계가 없이 가슴과 옆구리에 생겨 피부를 붓게 하기 때문에 창(脹)이라고 한다[영추].

○ 창병에는 한창(寒脹), 열창(熱脹), 곡창(穀脹), 수창(水脹), 기창(氣脹), 혈창(血脹), 고창(蠱脹)이 있다.

○ 창병을 고창(鼓脹)이라고도 한다.

○ 옆구리가 아프고 얼굴이 거멓게 되는 것은 기고(氣鼓)이다.

○ 옆구리가 벅차고 아랫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하며 몸에 실 같은 핏줄이 서는 것은 혈고(血鼓)이다.

○ 트림이 나고 생목이 괴며 답답하고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은 식고(食鼓)이다.

○ 오한(惡寒)이 나고 손발이 싸늘하며 물 같은 설사가 나는 것은 수고(水鼓)이다.

○ 가슴과 배가 벅차고 그득하며 배에 덩어리가 생기고 북같이 불러 오르는 것은 비기가 헤쳐져서[ 散] 생긴 고창이다[회춘].

한창(寒脹)

한창이란 배가 그득해지나 뜬뜬하지는 않다가 때로 내리며 토하고 설사하며 온몸이 싸늘해지는 것인데 이런 때에는 따뜻하게 해야 한다[득효].

열창(熱脹)

양이 음과 어울리면 양은 실(實)해지고 음은 허(虛)해진다. 양이 실해지면 겉으로 열이 나고 음이 허해지면 속에 열이 생긴다. 이때에 맥은 반드시 부삭(浮數)한데 부한 것은 허한 것이고 삭한 것은 열이 있는 것이다. 음이 허하여 잘 퍼지지 못하면 음식은 평상시와 같이 먹으나 뱃속이 불러 오르고 그득해진다. 이것이 열창이다[득효].

곡창(穀脹)

지나치게 배고팠다가 많이 먹어서 상하면 트직하고 답답하면서 생목이 괸다. 그리고 아침이면 음기가 약해지고 양기가 성해져서 음식이 잘 소화되므로 잘 먹고 저녁이면 음기가 성해지고 양기가 약해져서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으므로 잘 먹지 못한다. 이것을 곡창이라고 한다.

수창(水脹)

비토가 습사를 받으면 장위(腸胃)에 물이 고인다. 이것이 피부로 스며 나오면 쪼록쪼록하는 소리가 나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숨이 몹시 차다. 이것을 수창이라고 한다[직지].

기창(氣脹)

7정이 울결(鬱結)되어 기가 통하는 길이 막히면 상초의 기가 내려가지 못하고 하초의 기가 올라오지 못하여 몸이 몹시 붓고 팔다리가 여윈다. 이것을 기창이라고 한다[직지].

혈창(血脹)

번조(煩燥)하지만 물을 머금었다가 뱉으며 정신이 혼미하여 잘 잊어버리고 놀라거나 미치며 아프고 답답하며 구역(嘔逆)이 나고 오줌이 많으며 꺼먼 대변이 나오는 증상은 흔히 부인에게 생기는데 이것을 혈병이라고 한다[직지].

창만을 치료하는 방법[脹滿治法]

찬 기운을 받아서 생긴 창만은 설사시켜야 낫는다[내경].

○ 뱃속이 그득할 때에는 설사시켜서 속에 있는 것을 내보내야 한다[내경].

○ 배가 몹시 불러 오르는 여러 가지 병은 다 열증에 속한다. 대체로 한창이 많고 열창은 적다[내경].

○ 고창 때에는 중기를 보하고 습기를 빠지게 하는 것이 좋은데 그것은 고창이 비토가 몹시 허해서 생긴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반드시 음악소리를 듣지 말고 기름진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인삼, 흰삽주(백출)를 많이 넣어서 주약으로 하고 귤껍질(陳皮), 흰솔풍령(복령), 삽주(창출) 같은 것을 좌약으로 써야 한다[단심].

○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비(脾)를 보해야 한다. 또한 폐금(肺金)을 보양하여 간목을 억제하며 비가 적사(賊邪)를 받을 염려가 없게 하고 신수(腎水)를 불쿼주어 심화를 억제하여 폐가 자기작용을 잘하게 해야 한다. 그리고 소금을 금하여 사기가 도움을 받지 못하게 하고 공상하지 말며 원기를 보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낫지 않는 것이 없다. 의사가 병의 원인은 알지 못하고 효과만 빨리 보려고 하면서 환자가 배가 불러 올라서 괴롭다고 하면 서둘러 설사시키는 약을 먹여서 일시적으로 시원하다고 하기를 바란다. 그러나 하루나 한나절이 지나면 창만이 더 심해지고 사기가 성해져서 원기가 손상되므로 얼마 가지 않아 죽게 된다. 이것을 도무지 알지 못한다. 이 병의 증상이 나타난 지는 1년이 못 된다고 하여도 이 병이 생긴 지는 오래된 것이다. 그러므로 빨리 효과만 보려고 하는 것은 스스로 화를 입게 하는 거나 다름이 없다. 원리를 알고 있어야 이런 말을 할 수 있다[단심].

○ 배가 불러 오른 데는 반드시 생강즙에 법제한 후박을 써야 한다. 처음 생긴 기창(氣脹)에는 기를 돌게 하고 소도(疎導)시키는 약인 목향, 빈랑, 지각, 선귤껍질(靑皮), 귤껍질(陳皮) 같은 것이 좋고 오래되어 수창(水脹)이 된 데는 습기를 빠지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는 약인 삽주(창출),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방기 같은 약이 좋다[정전].

○ 살찐 사람이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은 습 때문이므로 삽주(창출), 흰솔풍령(백복령), 곱돌(활석), 택사를 써야 한다.

○ 여윈 사람이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은 열 때문이므로 속썩은풀(황금), 황련, 산치자, 후박을 써야 한다.

○ 살빛이 흰 사람은 기가 허하므로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을 써야 한다[정전].

○ 중만(中滿)은 창만에 비하면 좀 경한 것인데 민간에서는 이것을 도포(倒飽, 자세한 것은 내상문에 있다)라고 한다[입문].

○ 창병에는 곡창, 수창, 기창, 혈창이 있다. 그리고 한창, 열창, 고창도 있다.

곡창(穀脹) 치료법

계시례산, 대이향산을 쓴다.

계시례산(鷄矢醴散)

곡창으로 아침에 먹으면 저녁에 먹지 못하게 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기창, 수창, 고창도 치료한다.

계시백( 矢白, 말린 것), 대황, 복숭아씨(도인)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선명].

○ 또 한 가지 처방은 다음과 같다. 갈계시 1되를 누렇게 되도록 닦아 보드랍게 가루내어 끓는 물 3되에 풀어서 한번에 큰 잔으로 1잔씩 쓰는데 여기에 목향과 빈랑 가루 각각 4g씩 타서 빈속에 먹는다. 나을 때까지 써야 한다. 이것을 일명 계시례음(鷄矢醴飮)이라고 한다[정전].

대이향산(大異香散)

곡창을 치료하는데 기창도 낫게 한다.

삼릉, 봉출, 선귤껍질(靑皮), 귤껍질(陳皮), 곽향, 반하국, 도라지(길경), 익지인, 향부자, 지각 각각 4g, 감초 1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수창(水脹) 치료법

방기초력환, 목향산, 초시환(처방은 부종문에 있다)을 쓴다.

방기초력환(防己椒 丸)

수창을 치료한다. 모든 창병 때 배가 그득하고 입과 혀가 마르는 것은 장위(腸胃) 사이에 수기(水氣)가 있기 때문이다.

방기, 조피열매씨(椒目), 꽃다지씨(정력자, 닦은 것), 대황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끓인 물로 하루 3번 먹는다[중경].

목향산(木香散)

수창을 치료한다.

목향, 버들옻(대극), 나팔꽃흰씨(白丑, 맏물가루)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8g씩 쓰는데 돼지콩팥 1개를 쪼개고 거기에 뿌려서 잿불에 묻어 구워 익힌다. 빈속에 잘 씹어서 데운 술로 넘긴다. 그 다음 눕되 오른쪽 콩팥을 먹었으면 오른쪽 팔을 베고 왼쪽 콩팥을 먹었으면 왼쪽 팔을 베고 눕는다. 완전히 낫지 않을 때에는 배에 감수가루를 가득 바른 다음 감초를 달여서 그 물을 마시면 곧 낫는다[역로].

기창(氣脹) 치료법

삼화탕, 분심기음(처방은 기문에 있다), 기침원, 금섬산을 쓴다.

삼화탕(三和湯)

기창으로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후박 각각 4g, 빈랑,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3g, 으름덩굴(목통), 빈랑껍질(대복피), 흰솔풍령(백복령), 지각, 실고사리알씨(해금사),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 일명 혈구삼화탕( 矩三和湯)이라고도 한다[정전].

기침원(氣鍼元)

기창을 주로 치료한다.

강황, 선귤껍질(靑皮) 각각 40g, 목향, 정향, 후추(호초), 전갈,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무씨(나복자) 80g을 물크러지게 간 데 넣고 고루 갠다. 다음 이것을 홍주(紅酒)와 생강즙을 각각 조금씩 넣고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40-50알씩 차조기잎(자소엽)과 귤껍질(陳皮)을 넣고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금섬산(金蟾散)

기고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

큰 두꺼비(蝦 ) 1마리를 잡아서 사인을 배가 부르도록 먹인 다음 단지에 넣고 진흙으로 잘 싸발라 불에 벌겋게 되도록 굽는데 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구워 꺼내어 식힌다. 다음 흙을 버리고 보드랍게 가루내어 술이나 귤껍질(陳皮)을 달인 물에 타서 단번에 먹는다. 그 다음 방귀가 많이 나가면 효과가 있다[의감].

혈창(血脹) 치료법

인삼궁귀탕, 산혈소종탕, 도노환을 쓴다.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

혈창을 치료한다. 이것은 어혈이 몰려 엉켜서 생긴 창만이다.

궁궁이(천궁) 8g, 당귀, 끼무릇(반하) 각각 6g, 봉출, 목향, 사인, 오약, 감초 각각 4g, 인삼, 계피, 오령자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5쪽, 대추 2알, 차조기잎(자소엽) 4잎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산혈소종탕(散血消腫湯)

혈창으로 번조해 하나 입에 물을 머금기만 하였다가 뱉는 것을 치료한다. 처방은 위의 인삼궁귀탕과 같은데 오약이 없고 집함박꽃뿌리(백작약)가 있다[입문].

도노환(桃奴丸)

혈창과 부인이 월경이 통하지 못하다가 점차 창만이 된 것이 남자의 혈고와 비슷한 것을 치료한다.

도노, 가서분, 현호색, 육계, 향부자, 오령지, 사인, 복숭아씨(도인)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정전].

○ 또는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50알씩 식초 끊인 물로 먹어도 된다[속방].

한창(寒脹) 치료법

중만분소탕, 온위탕, 순기목향산, 후박귤피전을 쓴다.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중만이나 한창으로 대소변이 잘 나오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익지인, 끼무릇(반하), 목향, 벌건솔풍령(적복령), 승마 각각 3g, 궁궁이(천궁), 인삼, 선귤껍질(靑皮), 당귀, 시호, 생강, 건강, 필징가, 황련, 단너삼(황기), 오수유, 초두구, 후박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온위탕(溫胃湯)

위기가 허랭하여 창만이 생겨서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건강(싸서 구운 것) 6g, 부자(싸서 구운 것), 반하국, 후박, 인삼, 귤껍질(陳皮), 감초(닦은 것), 당귀 각각 5g, 조피열매(천초, 닦은 것)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순기목향산(順氣木香散)

한창으로 가슴과 배가 찌르는 것같이 아프고 얼굴이 누렇게 되며 기가 약해져서 혹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사인, 정향피, 양강, 건강(싸서 구운 것), 육계, 귤껍질(陳皮), 후박, 도라지(길경), 회향(닦은 것), 삽주(창출, 닦은 것) 각각 4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 혹은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소금 끓인 물에 타서 먹어도 된다[득효].

후박귤피전(厚朴橘皮煎)

냉(冷)에 상하여 배가 불러 올라 고로( )를 엎어 놓은 것같이 되고 숨쉬기가 몹시 힘든 것을 치료한다.

후박 120g, 지각, 건강, 양강 각각 48g, 선귤껍질(靑皮), 귤껍질(陳皮), 육계, 전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생강과 귤껍질(橘皮)을 넣고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註] 고로( ) : 고리버들의 가지나 참대오리로 엮어서 만든 상자같이 생긴 것인데 고리라고도 한다.

열창(熱脹) 치료법

칠물후박탕, 지각좌산, 중만분소환을 쓴다.

칠물후박탕(七物厚朴湯)

열창을 치료한다.

후박 12g, 지실 6g, 대황, 감초 각각 4g, 계심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득효].

지각좌산(枳殼 散)

열창을 치료한다.

후박, 지각, 도라지(길경) 각각 8g, 대황(찐 것),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중만분소환(中滿分消丸)

중만과 고창, 기창, 수창을 치료한다. 그리고 열창은 치료하지만 한창은 치료하지 못한다.

후박 40g, 인삼, 흰삽주(백출), 강황, 속썩은풀(황금), 황련, 지실, 끼무릇(반하) 각각 20g, 지모 16g, 택사, 귤껍질(陳皮) 각각 12g, 흰솔풍령(백복령), 사인, 생강(말린 것) 각각 8g, 저령,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물에 불린 증병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따끈한 물로 먹는다[단심].

고창(蠱脹) 치료법

소고탕, 소창음자, 제고보명단을 쓴다.

소고탕(消蠱湯)

기로 고창이 생겼으나 배만 불러 오르고 팔다리와 머리, 얼굴은 붓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무씨(나복자, 닦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3g, 차조기의 줄기와 잎, 사인, 육두구, 지각, 선귤껍질(靑皮), 귤껍질(陳皮), 삼릉, 봉출, 빈랑, 육계, 백두구, 필징가, 목향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직지].

소창음자(消脹飮子)

고창과 단복창(單腹脹)을 치료한다.

저령, 택사, 인삼,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선귤껍질(靑皮), 후박, 차조기잎(자소엽), 향부자, 사인, 목향, 빈랑, 빈랑껍질(대복피), 으름덩굴(목통), 무씨(나복자),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저고보명단(諸蠱保命丹)

지주고창(蜘蛛蠱脹)을 치료한다.

육종용 120g, 녹반, 대추, 향부자 각각 600g, 보리길금(맥아) 900g.

위의 약들을 다 가루내서 먼저 육종용, 대추, 녹반을 약탕관에 넣고 약한 불에 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구워서 꺼낸다. 다음 이것을 다른 약가루와 섞어서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끼니 뒤에 술로 먹는다.

○ 노채 때 배가 부어서 커지고 팔다리가 몹시 여위는 것을 지주고(蜘蛛蠱)라고 한다. 옛날 의학책에는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약재에서 지황은 빼고

인삼, 흰삽주(백출)는 양을 곱으로 하고 황련, 후박을 더 넣어 쓰는 것과 저고보명단을 쓰는 것, 두꺼비를 돼지위 속에 넣어서 달여 먹는 방법(부종문에 있다) 등이 씌어 있다. 그러나 이 병은 다 비기가 몹시 허약하여 5장의 진원이 상해서 생긴 병이기 때문에 치료하지 못한다[입문].

창만을 두루 치료하는 약[脹滿通治藥]

반하후박탕, 광출궤견탕, 제생자소자탕, 대정기산, 사향산, 당관음자, 침향음, 분소탕, 사성환, 목향빈랑환, 사초지각환, 목향분기환, 소창원, 목향소창원, 필징가원을 쓴다[제방].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창만 때의 여러 가지 증상을 다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4g, 후박 3.2g, 약누룩(신국) 2.4g, 소목, 잇꽃(홍화) 각각 2g, 삼릉, 당귀(잔뿌리), 저령, 승마 각각 1.6g, 육계, 삽주(창출),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시호, 귤껍질(陳皮), 속썩은풀(황금, 생것), 초두구, 감초(생것) 각각 1.2g, 목향, 선귤껍질(靑皮) 각각 0.8g, 오수유, 황련, 생강(말린 것) 각각 0.4g, 복숭아씨(도인) 7알, 다시마(곤포) 조금.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속이 그득하고 배가 불러 오르며 뱃속에 적취가 있어 돌같이 뜬뜬하고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6g, 황련, 후박, 속썩은풀(황금), 익지인, 초두구, 당귀 각각 2.8g, 귤껍질(陳皮), 선귤껍질(靑皮), 약누룩(신국), 택사, 시호, 감초 각각 2g, 봉출, 승마, 오수유 각각 1.2g, 잇꽃(홍화)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 이 약을 먹어서 속이 그득하던 것은 절반 정도 덜렸으나 적 덩어리가 그대로 있을 때에는 반하후박탕을 쓴다[동원].

제생자소자탕(濟生紫蘇子湯)

지나치게 근심하고 걱정하여 비와 폐가 상해서 명치 밑이 팽팽하게 불러 오르고 숨이 몹시 차며 가슴이 그득하고 배가 끓으며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맥이 허긴(虛緊)하면서 삽(澁)한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8g, 차조기씨(자소자), 인삼 각각 4g, 빈랑껍질, 초과, 끼무릇(반하), 후박, 목향, 귤껍질(陳皮), 지각,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대정기산(大正氣散)

풍, 한, 서, 습에 상하여 생긴 창만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삽주(창출), 귤껍질(陳皮), 후박, 곽향, 끼무릇(반하) 각각 4g, 지각, 빈랑 각각 2.8g, 계지, 건강,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사향산(四香散)

비기와 혈기로 혈고, 기고, 수고, 석고가 생겨 키모양처럼 붓고 불러 오른 것을 치료한다.

목향, 침향, 유향, 감초 각각 10g, 궁궁이(천궁), 후추(호초), 귤껍질(陳皮), 인삼, 백반 각각 20g, 계심, 건강, 사인, 회향 각각 40g, 가지(가자, 큰 것으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20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묵은 쌀로 쑨 미음에 타서 먹는다[입문].

당관음자(撞關飮子)

창만을 치료한다. 이 약을 쓰면 관격(關格)된 것이 풀리고 창만이 절로 낫는다.

향부자 8g, 오약 4.8g, 후박 4g, 사인 3.2g, 삼릉, 백두구, 감초 각각 2g, 정향, 침향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 또는 가루내어 8g씩 차조기를 달인 물에 타서 먹어도 된다[입문].

침향음(沈香飮)

배가 불러 오르고 숨이 차서 앉지도 눕지도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무씨(나복자, 닦아서 간 것) 8g, 침향, 목향 지각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분소탕(分消湯)

중만(中滿)으로 고창이 생겨 속이 그득하고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후박, 지실,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향부자, 저령, 택사, 빈랑껍질(대복피) 각각 3.2g, 사인 2.4g, 목향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2쪽, 골풀속살(등심) 2g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사성환(四聖丸)

어린이의 명치 밑에 허창(虛脹)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전갈(닦은 것) 40g, 후추(호초), 목향, 선귤껍질(靑皮, 흰 속을 버린 것)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밥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7알씩 생강과 귤껍질(橘皮)을 넣고 달인 물로 먹는다.

○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은 비위의 허한 기가 작용하여 생기는 것이다. 폐와 비는 어머니와 아들격인데 폐는 눈두덩과 뺨을 주관하고 비는 팔다리를 주관한다. 그러므로 폐와 비가 다 허해지면 눈두덩과 뺨이 붓고 팔다리가 누렇게 된다. 이런 때에는 탑기환을 써야 점차 낫는다. 탑기환이란 바로 사성환에서 목향, 선귤껍질(靑皮)을 뺀 것이다[전을].

목향빈랑환(木香檳 丸)

3초(三焦)를 잘 통하게 하여 대소변이 잘 나가게 하고 습담(濕痰)이 뭉쳐서 생긴 창만이 저절로 풀리게 하는 데 아주 좋다.

반하국, 주염열매(조각, 졸인 젖을 발라 구워서 껍질과 시울, 씨를 버린 것), 이스라치씨(욱리인) 각각 80g, 목향, 빈랑, 지각, 살구씨(행인, 밀기울과 함께 닦은 것), 선귤껍질(靑皮)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따로 주염열매(조각) 160g을 신좁쌀죽 웃물[漿水]에 담갔다가 주물러서 고약처럼 되게 졸인 다음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졸인 꿀을 조금 넣은 다음 약가루를 넣어서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국방].

사초지각환(四炒枳殼丸)

기혈이 잘 돌지 못하고 막혀서 고창과 적취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지각 160g(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속을 버리고 쪽지게 썰어서 4몫으로 나눈다. 1몫은 삽주(창출) 40g과 함께 물에 달여서 누렇게 마르도록 볶은 다음 삽주는 골라낸다. 1몫은 무씨(나복자) 40g과 함께 물에 달여서 누렇게 마르도록 볶은 다음 무씨는 골라낸다. 1몫은 회향 40g과 함께 물에 달여서 누렇게 마르도록 볶은 다음 회향은 골라낸다. 1몫은 마른옻(건칠) 40g과 함께 물에 달여서 누렇게 마르도록 볶은 다음 마른옻은 골라낸다), 향부자(식초에 담갔다가 볶은 것) 80g, 삼릉, 봉출 각각 80g(다 동변에 하룻밤 담가 두었다가 다음날 껍질을 버린 파두 30알과 함께 달인 다음 누렇게 되도록 볶아서 파두는 버린다).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지각과 함께 볶은 삽주, 무씨(나복자), 회향, 마른옻(건칠)을 같이 넣고 달여서 즙을 받아 좋은 식초 1사발과 섞은 다음 밀가루를 넣고 풀을 쑨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1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회춘].

목향분기환(木香分氣丸)

비위(脾胃)가 조화되지 못하여 배와 옆구리가 팽팽하게 불러 오르고 가래가 나오며 기침이 나고 숨이 몹시 차며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목향, 빈랑, 선귤껍질(靑皮), 봉출, 생강(말린 것), 당귀, 강황, 현호색, 흰삽주(백출), 지각, 삼릉, 벌건솔풍령(적복령), 귤껍질(陳皮), 육두구.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소창원(消脹元)

기를 좋게 하고 속을 시원하게 하며 창만(脹滿)을 없애고 음식이 잘 소화되게 한다.

나팔꽃검은씨(黑丑, 맏물가루), 무씨(나복자, 닦은 것), 목향, 빈랑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물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대성].

○ 일명 소빈랑원(小檳 元)이라고도 한다[득효].

목향소창원(木香消脹元)

창만을 치료한다.

무씨(나복자, 닦은 것) 80g, 귤껍질(陳皮), 대복자, 지각,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차조기씨(자소자, 닦은 것), 향부자 각각 40g, 빈랑 20g, 목향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생강을 달인 물이나 대추를 달인 물로 먹는다[유취].

필징가원( 澄茄元)

비만, 창만, 곡창, 기창을 치료한다.

필징가, 백두구, 사인, 선귤껍질(靑皮), 무씨(나복자), 목향, 귤껍질(陳皮) 각각 30g, 육두구, 회향, 계피, 정향 각각 15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귤껍질을 달인 물로 먹는다[직지].

탁기가 상초에 있으면 진창이 생긴다[濁氣在上則生 脹]

『내경』에 “청기(淸氣)가 하초(下焦)에 있으면 삭지 않은 설사가 나고 탁기가 상초(上焦)에 있으면 진창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 “탁기라는 것은 찬 기운을 말한다. 찬 기운이 상초에 있으면 음식의 영양분이 흡수되지 못하고 뭉치기 때문에 창만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

○ 어떤 사람이 창만을 앓는데 그 증상이 밤에는 더 심해지고 맥은 현세(弦細)하였다. 이것이 바로 상초에 탁기가 있어서 생긴 진창이다. 그리하여 먼저 중완(中脘, 혈이름)에 뜸을 떠서 위 속에 생긴 기를 위로 끌어올려 양기의 길로 돌게 한 다음 목향순기탕을 먹었는데 잘 나았다[보감].

○ 오수유탕이나 침향교태환도 역시 이런 증을 치료한다[단심].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후박,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끼무릇(반하) 각각 4g, 삽주(창출) 3.2g, 선귤껍질(靑皮), 귤껍질(陳皮) 각각 2.4g, 초두구, 인삼, 당귀 각각 2g, 익지인, 오수유 각각 1.2g, 목향, 생강(말린 것), 승마, 시호, 감초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보감].

○ 『내경』에 “머물러 있는 것은 돌아가게 하고 뭉친 것은 헤쳐야 한다”고 씌어 있다. 시호와 승마는 맛이 쓰고 성질이 평순하여 그 기운이 소양(小陽)과 양명(陽明) 두 경맥으로 돌면서 찬 기운을 헤친다. 이처럼 양분(陽分)으로 돌기 때문에 주약[君]으로 하였다. 생강, 끼무릇, 초두구, 익지인은 맛이 맵고 달며 성질이 몹시 더워서 속에 있는 찬 기운을 헤친다. 그러므로 신약[臣]으로 하였다. 후박, 목향, 삽주, 선귤껍질(靑皮)은 맛이 쓰고 매우며 성질이 몹시 따뜻하여 몰린 기운을 잘 돌게 한다. 당귀, 인삼, 귤껍질(陳皮)은 맛이 맵고 달며 성질이 따뜻하므로 영위(榮衛)를 고르롭게 하고 중기(中氣)를 자양(滋養)한다. 기가 박(薄)한 것은 양 가운데 음이다. 흰솔풍령(백복령), 감초, 택사와 같이 기미가 박한 것은 탁음(濁陰)한 기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게 이끌기 때문에 좌약[佐]으로 하였다. 탁기가 내려오지 않으면 맛이 쓴 것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오수유는 맛이 쓰고 성질이 뜨겁기 때문에 내려가게 한다. 그러므로 사약[使]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이 약은 여러 가지 맛과 성질이 합쳐져 헤치기도 하고 설사시키기도 하며 끌어올리기도 하고 내리기도 하여 청기(淸氣)와 탁기(濁氣)가 각기 자기위치로 가게 한다[보감].

오수유탕(吳茱萸湯)

상초에 탁기가 있어서 진창이 생기고 또 음기가 성하여 찬 기운이 생겨서 배가 그득하고 진창으로 늘 배가 부른 것같기 때문에 음식을 먹으려고 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오수유, 후박, 육계, 건강 각각 4g,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조피열매(천초, 닦은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 또는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어도 된다[유취].

침향교태환(沈香交泰丸)

상초에 탁기가 있어서 생긴 진창을 치료한다.

오수유, 대황(술에 담갔던 것) 각각 40g, 후박 20g, 침향,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각각 12g,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당귀, 목향, 선귤껍질(靑皮)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끓인 물에 불린 증병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8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단심].

상한이나 열병 때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傷寒熱病腹脹滿]

(자세한 것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창만은 진장병이다[脹滿乃眞臟病也]

창만은 비가 몹시 허약하여 생긴 진장병이다. 반위(反胃)나 노채(勞 )도 역시 진장병이다. 여러 가지 병 때 진장에만 병이 들지 않으면 5행이 서로 조장하고 서로 억제하여 정상적인 상태를 보존하게 되므로 약을 먹지 않아도 병이 저절로 낫게 된다. 만일 심화(心火)가 성하여 폐금(肺金)이 상하게 되면 신수(腎水)가 심화를 억제하고 비토(脾土)가 폐금을 조장한다. 만일 간목(肝木)이 성하여 비토를 억제하면 폐금이 간목을 누르고 심화가 비토를 조장한다. 이것이 너무 지나치면 해롭기 때문에 받들어 억제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약을 싫어하고 의사를 꺼리다가 실패하는 사람도 있다. 대체로 정기(正氣)와 사기(邪氣)가 양립될 수는 없다. 하나가 성하면 하나는 눌리게 된다. 그러므로 병이 오래되면 심해지고 정기가 허탈되기 때문에 죽을 수도 있다. 때문에 병이 있는 사람이 약을 먹지 않을 수 없고 의사에게 보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단심].

창만 때 설사가 나는 것[脹滿泄瀉]

배가 불러 오른 지 오래되었는데 갑자기 2되 정도의 설사가 나면서 밤낮으로 멎지 않았다. 이때에 약을 먹어도 잘 낫지 않는 것은 원기가 허탈되어 수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익지인을 진하게 달여서 먹어야 곧 낫는다[입문].

겉에 붙이는 약[外敷法]

적취, 창만, 혈고 등을 치료하는 데는 외부신고와 겉에 붙이는 약을 쓴다.

외부신고(外敷神膏)

대황, 박초 각각 160g, 사향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0g씩 마늘(대산)과 함께 넣고 짓찧어 고약을 만들어 병 있는 곳에 붙인다[입문].

겉에 붙이는 약[外敷藥]

배가 불러 오르고 돌같이 뜬뜬한 것을 치료한다.

먼저 감초를 씹어서 따끈한 물로 넘긴 다음 버들옻(대극), 원화, 감수, 듬북(해조)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서 식초에 개어 배에 바르면 효과가 좋다[득효].

치료할 수 있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可治不可治證]

창만이 생긴 지 오래지 않고 혹 배가 불러 올랐다 내렸다 하며 뱃가죽이 약간 연약해지고 설사도 나지 않으며 숨도 차지 않는 것은 치료하면 낫는다. 배꼽이 도드라져 올라오고 설사한 뒤에도 배가 불러 오르는 것과 오랜 병으로 여위고 숨이 차서 편안치 않은 것은 다 비(脾)와 신(腎)이 상한 것이므로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 배가 불러 오르고 몸에 열이 나며 맥이 대(大)한 것이 첫째 역(逆)증이다.

○ 배가 끓으면서 그득하고 팔다리가 싸늘하며 설사가 나고 맥이 대한 것이 둘째 역증이다.

○ 배가 몹시 불러 오르고 팔다리가 싸늘하며 몸이 여위고 설사가 몹시 나는 것이 셋째 역증이다.

○ 배가 불러 오르고 피똥이 나오며 맥이 대하면서 때로 끓어지는 것이 넷째 역증이다. 이상의 역증은 다 치료하기 어렵다[영추].

○ 배가 그득하고 딸꾹질이 나며 오줌을 누지 못하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 배가 몹시 그득하고 설사가 나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 창만 때 혹 열이 나거나 학질같이 앓는 것은 다 치료하기 어렵다[강목].

○ 오랜 병으로 몸이 여위고 갑자기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해져 숨이 차서 견디기 어렵고 배꼽이 도드라져 나오고 혹 설사를 자주 하는 것은 하나도 낫는 것을 보지 못하였다[직지].

단방(單方)

모두 14가지이다.

후박(厚朴)

배가 불러 오른 것을 치료하는데 뭉친 것을 헤치는 좋은 약이다[탕액].

○ 어떤 사람이 명치 밑이 불러 오르고 그득하여 오직 후박 1가지를 잘게 썰어서 생강즙에 법제하여 한번에 20-28g씩 생강 7쪽과 함께 달여서 먹은 다음 그 찌꺼기를 다시 달여 먹었는데 대여섯번 먹고 곧 나았다고 한다[자생].

○ 배가 불러 오른 데는 반드시 후박을 조금씩 좌약(佐藥)으로 넣어 쓰는데 그것은 이 약의 맛이 매워서 상초에 몰린 기운을 헤치기 때문이다[단심].

대극(大戟, 버들옻)

창만을 치료하는데 대추(大棗) 1말과 함께 냄비에 담아서 달인다. 다음 버들옻을 버리고 대추만 아무 때나 먹는데 그 대추를 다 먹으면 곧 낫는다[역로].

노자시( 屎)

창만을 치료하는데 누렇게 되도록 닦아서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따뜻한 물에 타 먹으면 곧 낫는다.

○ 뇌공(雷公)이 몸이 차고 배가 몹시 불러 오른 것은 노자로만 치료할 수 있다고 한 것이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본초].

하마(蝦 , 두꺼비)

고창을 치료한다. 1마리를 잡아 내장을 버린 다음 그 속에 도루래(누고) 7마리를 넣어서 새 기왓장 위에 놓고 볶아 말린다. 다음 이것을 가루내어 풀에 반죽해서 알약을 만들어 술로 먹는다[강목].

계시(鷄屎)

곡창과 여러 가지 창만을 치료한다. 계시백을 누렇게 되도록 닦아서 끓인 물에 담그고 맑은 즙만 받아서 먹는다[본초].

흑두(黑豆, 검정콩)

뽕나무잿물에 넣고 달여서 먹으면 수고(水鼓)와 배가 불러 오른 데 효과가 있다[본초].

저소두(赤小豆, 붉은팥)

창만을 치료하는데 뽕나무잿물에 죽을 쑤어 늘 먹는다[본초].

자소경엽(紫蘇莖葉, 차조기의 줄기와 잎)

명치 아래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서 찻물처럼 늘 먹는다[본초].

만청자(蔓菁子, 순무씨)

명치 아래가 불러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1홉을 잘 짓찧어 물 1되에 넣고 간 다음 걸러서 즙 1잔을 받아 단번에 먹는다. 그러면 저절로 토하거나 설사하거나 땀이 나고 뱃속이 시원해진다[본초].

나복자(蘿蔔子, 무씨)

창만을 치료하는데 닦아 갈아서 물에 달여 찻물처럼 늘 먹으면 좋다.

○ 무씨나 봄에 장다리무를 달여 먹어도 또한 좋다[속방].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창만을 치료하는데 늘 먹으면 아주 좋다. 보리밥을 지어 먹는 것도 또한 좋다[속방].

상지다(桑枝茶, 뽕나무가지차)

기(氣)를 내려 배가 불러 오른 것을 내리게 하는 데 늘 먹으면 아주 좋다.

○ 붉은팥(적소두)을 넣고 죽을 쑤어 먹어도 좋다[본초].

오우뇨(烏牛尿)

<번역생략>

초목(椒目, 조피열매씨)

수고를 치료하는데 물을 빠지게 한다. 가루내어 4g씩 따뜻한 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침뜸치료[鍼灸法]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오른 데는 내정(內庭)혈을 쓴다.

○ 수고(水蠱)에는 편력(遍歷)혈을 쓴다.

○ 고창 때에는 배꼽의 아래위와 양옆으로 각각 2치 2푼씩 나가서 혈을 잡아 쓴다.

○ 단 고창에는 수분(水分)혈에 침을 2치 5푼 깊이로 놓거나 뜸을 50장 뜬다.

○ 창만 때에는 족삼리(足三里)혈에 침을 놓고 사(瀉)한다.

○ 모든 창만에 다 족삼리혈을 쓰는 것은 이 혈이 창만치료에 중요한 혈이기 때문이다.

○ 또는 중완(中脘)혈과 기해(氣海)혈에 침을 놓거나 뜸을 떠도 된다[강목].

'동의보감 > 잡병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취(積聚)  (0) 2016.05.28
부종(浮腫)  (0) 2016.05.28
소갈(消渴)  (1) 2016.05.28
황달(黃疸)  (0) 2016.05.28
학질( 疾)  (0) 2016.05.28
:
Posted by doc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