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6. 5. 28. 22:34

서(暑) 동의보감/잡병편2016. 5. 28. 22:34

서[暑]

« 동의보감(東醫寶鑑)

서[暑]

맥 보는 법[脈法] » · 서병의 형태와 증상[暑病形證] »

중서 때의 구급치료[中暑救急] » · 중할과 중열의 감별[中 中熱之辨] »

서풍(暑風) » · 서열로 번갈이 나는 것[暑熱煩渴] »

복서증(伏暑證) » · 주하병(注夏病) »

서열에 두루 쓰는 약[暑熱通治藥] » · 단방(單方) »

서란 상화가 작용하는 것이다[暑者相火行令也]

하지(夏至) 후에 열병을 앓는 것은 서병(暑病)이다. 서(暑)란 상화(相火)가 작용하는 것이다. 여름에 더위를 먹으면 심포락(心包絡)의 경맥을 상한다. 그 증상으로는 답답증[煩]이 나며 숨이 차고 목쉰 소리를 하며 답답증이 멎으면 말이 많으며 몸에서 열이 나고 가슴 속이 답답하며 [心煩] 갈증이 몹시 나서 물을 켜고 머리가 아프며 저절로 땀이 나고 몸이 나른해하면서 기운이 없고 혹 하혈하며 황달이 생기고 반진이 돋는다. 심하면 화열(火熱)이 폐금(肺金)을 너무 억제해서 폐금이 간목(肝木)을 고르게 하지 못하므로 경련이 일면서 정신을 잃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한다[절제].

상한(傷寒)이 전변하여 온병이나 서병이 된다[傷寒傳變爲溫爲暑]

상한이 온병(溫病)으로 되는 것은 하지 이전이고(자세한 것은 온역문(溫疫門)에 있다) 하지 이후이면 서병이 된다. 서병(暑病)은 반드시 땀이 나야 한다. 땀이 나는 것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내경].

맥 보는 법[脈法]

더위를 먹으면[暑傷] 맥이 허하다.

○ 맥(기(氣)라고 한 데도 있다)이 허하고 몸에서 열이 나는 것은 서병이다[중경].

○ 더위[暑]가 기(氣)를 상하면 맥이 허(虛), 현(弦), 세(細), 규( ), 지(遲)하다. 다른 맥은 없다[맥결].

○ 중서(中暑)의 맥에서 양맥은 약하고 음맥은 허(虛), 미(微), 지(遲)한 것이 규맥( 脈)과 같다[삼인].

○ 서병의 맥이 현, 세, 규, 지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대체로 찬 것[寒]은 형체를 상(傷)하고 더위는 기(氣)를 상한다. 기를 상하면 기운이 없어져서 맥이 허약하게 된다. 그러므로 현, 세, 규, 지는 다 허한 맥[虛脈]이다[본사].

○ 서병의 맥은 허하면서 미약(微弱)하거나 부대(浮大)하면서 산(散)하며 혹 아주 알리지 않는데 아주 미약하고 아주 알리지 않는 것은 다 허한 부류의 맥이다[정전].

○ 중서(中暑)와 열병(熱病)은 비슷한데 다만 열병(熱病)의 맥은 성하고 중서의 맥은 허하므로 이것으로서 감별한다[활인].

서병(暑病)의 형태와 증상[暑病形證]

서병은 몸에서 열이 나고 저절로 땀이 나며 입이 마르고 얼굴에 때가 낀 것 같다[입문].

○ 더위에 상한 증상[傷暑證]은 얼굴에 때가 끼고 저절로 땀이 나며 몸에서 열이 나고 잔등이 시리며 안타깝게 답답하고[煩悶] 몹시 갈증이 나며 몸이 나른하면서 기운이 없고 솜털이 일어서면서 오한(惡寒)이 나고 혹 머리가 아프거나 곽란( 亂)이 있거나 팔다리가 싸늘하며[四肢厥冷] 다만 몸이 아프지 않다[직지].

○ 중서(中暑)의 증상은 6맥이 침복(沈伏)하며 찬 땀이 저절로 나고 숨이 끊어지는 것 같으며[悶絶] 정신이 혼미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한다[직지].

○ 태양중할(太陽中 )은 서병인데 열이 나고 오한이 있으며 몸이 무겁고 머리가 아프며 맥은 현(弦), 세(細), 규(竅), 지(遲)하고 오줌을 누고 나면 오싹오싹하면서 솜털이 일어서며 손발이 싸늘하고 조금 피로하면 곧 열이 나서 입을 벌리고 있어 앞니가 마른다. 만일 땀을 내면 오한이 더 심해지고 온침(溫鍼)을 놓으면 열이 더 심하게 나고 자주 설사시키면 임병(淋病)이 심해진다[중경].

○ 왜 오싹오싹하면서 솜털이 일어서는가. 대체로 열이 나면 털구멍들이 열리므로 자연히 오한이 나며 입을 벌리고 있어 앞니가 마르게 되는데 이빨은 뼈의 정기(精氣)이므로 이가 마르는 것은 뼈에 열이 있는 것이다. 이때는 침(鍼)과 약으로는 치료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반드시 대추혈(大 頁穴)에 뜸을 떠야 한다[운기].

중서 때의 구급치료[中暑救急]

여름철 길가에서 더위를 먹고 죽어가는 데는 빨리 그늘지고 서늘한 곳에 눕히고 길가에 있는 따뜻한 흙을 환자의 심장부에 놓거나 배꼽 위에 오묵하게 와(窩)를만들어 올려 놓고 그 속에 인뇨(人尿)를 넣으면 깨어난다[삼인].

○ 중서로 까무러쳐 넘어졌을 때[悶絶]는 빨리 그늘진 서늘한 곳에 눕히고 절대로 찬물은 주지 말아야 한다. 수건 또는 옷을 따뜻한 물(熱湯)에 적셔서 배꼽과 기해혈(氣海穴)을 찜질하면서 계속 더운물(熱湯)을 그 위에 부어 따뜻한 기운이 뱃속에 들어가게 하면 점차 깨어난다. 만일 급한 경우에 끓인 물(熱湯)이 없으면 길가의 따뜻한 흙을 배꼽 위에 쌓아 놓는다. 식으면 갈아 댄다[삼인].

○ 중서라고 생각되면 빨리 생강(큰 것) 1개를 씹어서 찬물로 먹인다. 만일 이미 정신을 잃었으면 마늘 1개를 씹어서 찬물로 먹이되 씹지 못하면 물에 갈아서 먹인다. 혹은 흙 20g을 찬물에 풀어 가라앉혀서 맑은 웃물을 먹인다[단심].

○ 중서로 정신이 혼미하면[中暑發昏] 갓 길어온 물을 양쪽 젖몸에 떨구면서 부채질한다. 병이 중하면 지장수(地漿)를 먹이면 곧 깨어난다. 이때 찬물을 먹이면 죽을 수 있다[사요].

○ 중서로 까무러치고[中暑昏悶] 담(痰)이 막혀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데는 지성내복단(至聖來復丹,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가루내어 깨끗한 물에 타 먹는다[단심].

○ 중서로 의식을 잃은 데[中暑不省]는 주염열매(조협, 태운 것), 감초(닦은 것) 등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따뜻한 물에 타 먹는다[득효].

○ 중서로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中暑神昏]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며 말을 허투루 하는 데[驚悸妄言]는 진사익원산(辰砂益元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8g씩 깨끗한 물에 타 먹인다[입문].

중할과 중열의 감별[中 中熱之辨]

『중경』 상한론 가운데서 한 가지 증이 중할(中 )인데 즉 중서(中暑)이다. 맥이 허하면서 미약하며 번갈이 나서 물을 켜며 몸에서 열이 나고 저절로 땀이 나는 데는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등 보하는 약이 좋다.

○ 한 가지 증은 열병(熱病)인데 즉 중열(中熱)이다. 맥이 홍(洪)하면서 긴성(緊盛)하며 머리가 아프고 몸에서 열이 나며 입이 마르고 가슴이 답답한 데[心煩]는 백호탕(白虎湯) 등의 성질이 서늘한 약이 좋다[정전].

○ 가만히 있다가 더위먹어서 생긴 것이 중서인데 중서는 음증(陰證)이지만 반드시 땀을 내야 한다. 혹 깊은 곳과 큰 집에 피서하다가 얻는 수도 있는데 그 증상으로는 반드시 머리가 아프고 오한이 나며 몸이 가드라들고 팔다리의 뼈마디가 아프며 가슴이 답답하고[心煩] 몸이 몹시 달며 땀이 안 난다. 이것은 집안에서 찬 기운이 상하여 온몸에 양기가 퍼지지 못해서 생긴 것인데 이때는 창출백호탕(蒼朮白虎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나 육화탕(六和湯)에 강호리(강활), 궁궁이(천궁), 삽주(창출) 등을 더 넣어 쓴다. 혹 이향산(二香散)도 쓴다[동원].

○ 활동하다가 열에 상한 것이 중열(中熱)이다. 중열은 양증(陽證)인데 열이 원기를 상한 것이다. 길을 가는 사람이나 힘든 일을 하는 농민들이 햇빛을 오래 쪼이면 이 병이 생긴다. 그 증상으로는 대개 머리가 몹시 아프고 열이 몹시 나며 열을 싫어하고 만져 보면 살이 몹시 달며[肌膚大熱] 갈증이 아주 심하여 물을 켜고 땀을 많이 흘리며 꼼짝할 기운도 없다. 이것은 밖의 열이 폐기(肺氣)를 상한 것이다. 이때는 인삼백호탕,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2가지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등이 좋다[동원].

무더운 여름에는 기(氣)를 보해야 한다[夏暑宜補氣]

사람과 천지(天地)는 풀무와 같다. 음력 11월에 1양(一陽)이 생기고 정월에 3양(三陽)이 생기며 4월에 6양(六陽)이 생기어 양이 다 위로 올라오는 것인데 이것은 기가 뜬 것이다. 사람의 배는 지기(地氣)에 속한다. 이때 양기가 몸의 겉부분에 떠올라와 피모(皮毛)에서 흩어지면 뱃속의 양기(陽氣)가 허해진다. 민간에서 말하기를 여름에 음이 잠복해 있는데 이 ‘음(陰)’자는 허하다는 뜻이다. 만일 이것을 음랭(陰冷)하다고 보면 심히 잘못이다. 화(火)가 성한 때는 쇠와 돌이라도 녹이는데 무슨 음랭(陰冷)이 있겠는가. 손진인(孫眞人)이 생맥산(生脈散)을 지어 여름철에 사람들에게 먹게 하였는데 이것이 어찌 허한 것이 아니겠는가[동원].

○ 생맥산, 청기음, 삼유음, 황기탕, 황기인삼탕, 청서익기탕, 십미향유음 등이 좋다.

생맥산(生脈散)

맥문동 8g, 인삼, 오미자 각각 4g.

위의 약들을 물에 달여 여름에 끓인 물 대신에 마신다. 혹 단너삼(황기), 감초 각각 4g을 더 넣기도 하며 혹은 황백 0.8g을 더 넣어 달여 먹으면 기운이 나게 된다[입문].

○ 화가 몹시 성하여 금(金)이 억제되면 한수(寒水)가 끊어지므로 빨리 생맥산으로 습열(濕熱)을 없애야 한다. 폐가 수렴하려 하고 심이 늘어지는 것을 괴로워할 때는 모두 맛이 신[酸] 약으로써 수렴하고 심화(心火)가 성하면 단[甘] 약으로써 사(瀉)해야 하므로 인삼의 단것을 오미자의 신 것으로써 돕는 것이다. 때문에 손진인이 여름에 늘 오미자를 먹어 5장의 기를 도우라고 한 것이다. 약간 쓰고 성질이 찬 맥문동은 수(水)의 근원을 불쿠고 폐기(肺氣)를 시원하게 하는 것이다. 황백(黃栢)을 더 넣어 쓰는 것은 약간 넣어 성질이 찬 것으로 신수[水之流]를 불쿠어 주고 양쪽 다리가 허약해지는 것을 낫게 한다[동원].

○ 인삼, 맥문동, 오미자 등이 맥을 생기게 한다는데 이 맥이란 원기(元氣)라는 뜻이다[동원].

청기음(淸氣飮)

열이 나고 땀이 몹시 흘러서 기력이 없으며 맥이 허세(虛細)하고 지(遲)한 것을 치료한다. 이는 원기가 더위에 상한 것이다.

흰삽주(백출) 4.8g, 인삼, 단너삼(황기), 맥문동,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귤껍질(陳皮),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지모, 노야기(향유) 각각 2.8g, 황련(닦은 것[炒]), 감초 각각 2g, 황백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필용].

○ 일명 청서익원탕(淸暑益元湯)이라고도 한다[명의].

삼유음(蔘 飮)

더위먹은 것을 몰아내고 열을 내리며 원기를 튼튼하게 하며 곽란( 亂)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吐瀉]들을 생기지 않게 한다.

흰삽주(백출) 6g, 인삼 4.8g, 맥문동,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지모(닦은 것), 귤껍질(陳皮), 노야기(향유) 각각 2.8g, 감초(닦은 것) 2g, 속썩은풀(황금, 닦은 것) 1.2g, 오미자 1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필용].

○ 일명 각서청건탕(却暑淸健湯)이라고도 한다[명의].

황기탕(黃 湯)

중할(中 )로 맥이 허약한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감초, 단너삼(황기),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해장].

황기인삼탕(黃 人蔘湯)

여름에 정신이 부족하며 양쪽 다리가 나른하고 번열(煩熱)이 나며 구역이 나고 딸꾹질하며 저절로 땀이 나고 머리가 아픈 것은 다 열에 폐기(氣)를 상한 것인데 이 약으로 치료한다. 즉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삽주(창출) 4g, 약누룩(신국) 2g, 황백 1.2g, 오미자 15알을 더 넣은 것이다[입문].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늦은 여름에 습열(濕熱)이 훈증하여 팔다리가 나른하며 정신이 상쾌하지 못하고 동작이 굼뜨며 몸에서 열이 나고 번갈이 나며 오줌이 누르고 잦으며 대변이 묽고 잦으며 혹은 설사나 이질을 하며 음식생각이 없고 숨이 차며[氣促]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6g, 단너삼(황기), 승마 각각 4g, 인삼,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약누룩(신국), 택사 각각 2g, 황백(술로 법제한 것), 당귀, 선귤껍질(靑皮), 맥문동, 칡뿌리(갈근), 감초 각각 1.2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 이 약에서 인삼, 흰삽주(백출), 단너삼(황기), 승마, 감초, 맥문동, 당귀, 오미자, 황백, 칡뿌리(갈근) 등은 더운 것을 식히고 기를 보하는 것이다. 삽주(창출), 약누룩(신국), 귤껍질(陳皮), 선귤껍질, 택사 등은 비(脾)를 치료한다[동원].

십미향유음(十味香 飮)

더위를 없애고 위(胃)를 좋게 하여 기(氣)를 보한다.

노야기(향유) 6g, 후박, 까치콩(白扁豆), 인삼, 귤껍질(陳皮),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단너삼(황기), 모과,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는 물(熱湯)이나 찬물에 타 먹는다[단심].

서병에는 모서, 중서, 상서의 3가지 증이 있다[暑有冒暑中暑傷暑三證]

배가 아프고 물 같은 설사를 하는 것은 위(胃)와 대장(大腸)이 병을 받은 것이고 메슥메슥하여[惡心] 토하는 것은 위(胃)에 담음(痰飮)이 있는 것인데 이런 증이 모서(冒暑)이다. 이때는 황련향유산, 청서육화탕, 소서십전음, 해서삼백산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몸에서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손발을 내두르면서[躁亂] 편안치 못하거나 몸이 바늘로 찌르는 것 같은 것은 열이 살을 상한 것인데 이런 증이 상서(傷暑)이다. 이때는 인삼백호탕, 소시호탕(小柴胡湯, 2가지 처방은 다 상한문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기침이 나고 추워하다가 열이 나며 식은땀이 멎지 않고 맥이 삭(數)하면 열이 폐경(肺經)에 있는 것인데 이런 증이 중서(中暑)이다. 이때는 청폐생맥음, 백호탕, 익원산 등을 쓰는 것이 좋다[단심].

서풍(暑風)

더위먹은 데[中暑]다 다시 풍(風)에 상(傷)하여 경련이 일면서 정신을 잃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데[不省人事者]는 먼저 소합향원(蘇合香元,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먹고 깨어난 다음 다른 약을 준다[득효].

○ 서풍(暑風)과 서궐(暑厥)인 경우에 다만 손발에 경련이 이는 것은 서풍이라 하고 손발이 싸늘한 것은 서궐이라고 한다. 이때는 모두 이향산이나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 2가지 처방은 소아문에 있다)과 향유산을 합하여 먹어도 다 좋다[입문].

○ 여름에 찬 기운에 감촉된 것은 서늘한 것을 너무 받았기 때문이다. 혹 서늘한 정자나 물속에 있으면 풍한(風寒)의 사기가 그 표(表)를 상한다. 또는 얼음과 눈, 생것과 찬 것, 과실 등을 너무 먹으면 그 이(裏)를 상한다. 그 증상으로는 머리가 아프고 몸이 아프며 열이 나고 오한이 난다. 혹 가슴과 배가 아프며 토하고 설사가 난다. 이때는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서 흰삽주(백출)를 빼고 삽주(창출)를 대신 넣은 다음 강호리(강활)를 더 넣어 쓴다. 만일 서풍에 감촉되어 가래가 막히고 숨이 차면 육화탕(六和湯)에 끼무릇(반하)을 곱절 넣고 강호리(강활)와 궁궁이(천궁)를 더 넣는다[의감].

이향산(二香散)

서풍에 감촉되어[感冒暑風] 몸에서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거나 설사하고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 노야기(향유) 각각 8g, 차조기잎(자소엽), 귤껍질(陳皮), 삽주(창출) 각각 4g, 후박, 까치콩(白扁豆),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모과 2쪽, 파밑(총백) 2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 여름철 상풍(傷風)과 상한(傷寒)은 다 이 약으로 표증을 풀고 발산시킨다[의감].

서열로 번갈이 나는 것[暑熱煩渴]

몸에서 열이 나고[身熱] 저절로 땀이 나며[自汗] 번갈이 나서 물을 켜면[引飮] 이것은 중할(中 )이다. 이때는 인삼백호탕,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2가지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익원산, 옥로산, 황련향유산, 청폐생맥음, 계령감로음, 통령산, 탁열산, 제호탕, 춘택탕 등이 좋다.

익원산(益元散)

더위먹어[中暑] 몸에서 열이 나며 토하고 설사하며 적백이질(赤白痢疾)이 있고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위 속의 적취(積聚)와 한열(寒熱)을 씻어내며 뭉친 기[積氣]를 헤치고 9규(九竅)와 6부(六府)를 통하게 하며 진액을 생기게 하고 맺힌 것[留結]을 헤치며[消] 쌓인 물[蓄水]을 삭아지게[止] 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답답증[煩]을 없애고 비신(脾腎)의 기를 크게 보하며 여러 가지 약, 술, 음식 등의 중독을 풀어 준다.

곱돌(활석) 240g, 감초(닦은 것) 4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따뜻한 꿀물에 타 먹는다. 찬 것을 먹고 싶으면 찬물에 타 먹는다[선명].

○ 일명 육일산(六一散), 천수산(天水散) 또는 신백산(神白散)이라고도 한다.

○ 찬 탓으로 토하고 설사하며[吐瀉] 반위증(反胃證)이 된 데는 건강 20g을 더 넣는데 이름은 온륙환(溫六丸)이라고 한다.

○ 습열(濕熱)로 설사하면 홍곡 20g을 더 넣는데 이름은 청륙환(淸六丸)이라고 한다. 묵은 쌀밥(陳米飯)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옥로산(玉露散)

더위먹고 나는 갈증[暑渴]을 치료한다.

한수석, 곱돌(활석), 석고, 하늘타리뿌리(과루근) 각각 40g, 감초 2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깨끗한 물에 타 먹는다[단심].

황련향유산(黃連香 散)

더위먹어서[中暑] 열이 나고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노야기(향유) 12g, 후박 6g, 황련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 조금과 함께 물에 넣고 달인 다음 식혀서 먹는다.

○ 일명 황련향유음(黃連香 飮)이라고도 한다[단심].

청폐생맥음(淸肺生脈飮)

더위에 폐(肺)가 상하여 기침하고 번갈(煩渴)이 나며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8g, 당귀, 생지황, 인삼, 맥문동 각각 4g, 오미자 1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통령산(通 散)

더위먹어서[傷暑] 번갈(煩渴)이 나며 설사하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것[尿澁]을 치료한다. 즉 사령산(四 散)에 으름덩굴(목통), 길짱구씨(차전자), 더위지기(인진), 패랭이꽃(구맥) 각각 4g씩 더 넣은 것이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골풀속살(등심초), 맥문동을 각각 20개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계령감로음(桂 甘露飮)

복서(伏暑)로 번갈이 나서 물을 켜는 것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80g,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석고, 한수석, 감초 각각 40g, 흰삽주(백출), 저령, 육계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생강 달인 물에 타 먹는다[정전].

탁열산(濯熱散)

더위먹어서 열이 나고 번갈이 나는 것[暑熱煩渴]과 곽란( 亂) 뒤에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데 가장 잘 듣는다.

백반, 오배자, 오매살, 감초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 160g에 섞어서 한번에 8g씩 깨끗한 물에 타 먹는다[정전].

○ 일명 용수산(龍鬚散)이라고도 한다[단심].

제호탕(醍 湯)

더위먹어서 나는 열을 풀며 번갈을 멎게 한다.

오매살가루 600g, 초과 40g, 사인, 백단향 각각 20g, 졸인 꿀(煉蜜) 300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꿀에 넣고 약간 끓인 다음 고루 저어서 자기 그릇[磁器]에 담아 두고 찬물에 타 먹는다[국방].

춘택탕(春澤湯)

더위먹고 열이 나서 안타까워하고 갈증이 나서[燥渴] 한정없이 물을 켜고[引飮] 혹 물을 마시면 곧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오령산(五 散)에서 육계를 빼고 인삼을 대신 넣은 것이다[득효].

서병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暑病吐瀉]

더위독[暑毒]이 장위(腸胃)에 들어가서 배가 아프고 메스꺼우며[惡心] 토하고 설사하면 향유산, 육화탕, 소서십전음, 해서삼백산, 향유탕, 향박음자, 축비음, 대순산, 계령원 등을 쓴다.

육화탕(六和湯)

더위에 심(心)과 비(脾)를 상하여 토하고 설사하거나 곽란으로 쥐가 이는[轉筋] 것과 부종(浮腫), 학질, 이질이 된 것 등을 치료한다.

노야기(향유), 후박 각각 6g, 벌건솔풍령(적복령), 곽향, 까치콩(백편두), 모과 각각 4g, 사인, 끼무릇(반하), 살구씨(행인), 인삼,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 황련(밀기울과 같이 닦은 것) 4g을 더 넣은 것을 소서육화탕(消暑六和湯)이라고 한다[의감].

소서십전음(消暑十全飮)

더위먹어[傷暑]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노야기(향유) 6g, 까치콩(백편두), 후박, 차조기잎(자소엽),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곽향, 모과, 백단향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해서삼백산(解暑三白散)

서열(暑熱)로 물을 너무 많이 마셔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택사, 흰솔풍령(백복령), 흰삽주(백출)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골풀속살(등심초) 20오리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국방].

향유탕(香 湯)

서병(暑病)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노야기(향유) 12g, 까치콩(백편두), 후박,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6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뜨거운 물에 타 먹는다. 서병에 쓰는 다른 약들은 다 이만 못하다[직지].

○ 어떤 처방에는 흰솔풍령(백복령)이 없고 복신이 있다[국방].

향박음자(香朴飮子)

더위먹어[傷暑] 토하고 설사하며 답답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는[煩亂] 것을 치료한다.

노야기(향유) 6g, 후박, 까치콩(백편두), 택사, 벌건솔풍령(적복령), 귤껍질(陳皮), 모과, 끼무릇(반하), 인삼, 차조기잎(자소엽), 오매살 각각 2.8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대순산(大順散)

여름철에 번갈이 나서 물을 너무 많이 마신 것으로 하여 비위(脾胃)에 냉습(冷濕)이 몰려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감초(길이 1치 되게 썬 것) 80g, 건강, 살구씨(행인), 육계 각각 16g.

위의 약에서 먼저 감초를 흰모래[白沙]와 함께 누렇게 닦은 다음 건강을 넣고 터지게[令裂] 닦는다. 그 다음 살구씨(행인)를 넣고 또 닦아서 누렇게 되면 모래를 버리고 약을 깨끗이 씻은 다음 육계와 함께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물에 넣고 달여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만일 번조(煩躁)하면 깨끗한 물에 타 먹는다[국방].

계령원(桂 元)

여름철, 냉습에 상하여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계심, 벌건솔풍령(적복령).

위의 약들을 같은 양으로 가루를 내어 졸인 꿀(煉蜜)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8알의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알씩 깨끗한 물에 풀어 먹는다[국방].

축비음(縮脾飮)

여름철에 날 것과 찬 음식에 상하여 배가 아프며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사인(간 것) 6g, 초과, 오매살, 노야기(향유), 감초 각각 4g, 까치콩(백편두), 칡뿌리(갈근)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복서증(伏暑證)

복서증은 잔등이 시리고[背寒] 얼굴에 때가 끼며[面垢] 힘겨운 일을 조금만 하여도 몸에서 곧 열이 나고 입을 벌리고 있어 앞니가 마르며 오줌을 누고 나면 오싹오싹 소름이 끼치면서 솜털이 일어선다[毛聳][중경].

○ 복서(伏暑)란 즉 더위먹은 것이 오랫동안 3초(三焦)와 장위(腸胃)에 잠복해 있다가 변하여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며 곽란( 亂)으로 토하고 설사하며 또 학질, 이질, 번갈증과 혹은 배가 아프고 피똥을 누는 것이다. 이때는 주증황련환, 소서원, 계령감로산 등이 좋다[입문].

○ 매해 여름이면 도지는 것을 복서라고 한다[입문].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

복서(伏暑)로 토하고 갈증이 나며 메스꺼운[惡心] 것과 여러 해 된 더위독[暑毒]이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 160g(청주 7홉에 담갔다가 쪄서 술이 다 없어질 때까지 말린다).

위의 약을 가루를 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 가슴이 시원하고[胸膈凉] 갈증이 나지 않는 것이 이 약의 효과이다[활인].

○ 일명 소황룡원(小黃龍元)이라고도 한다[득효].

소서원(消暑元)

복서로 숨이 끊어지려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320g,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생것) 각각 160g.

위의 약에서 끼무릇(반하)을 식초 2되 5홉에 달이되 식초가 다 줄면 볶아 말려 나머지 약과 함께 가루낸다. 이것을 생강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 약 기운이 풀리면 곧 살아난다[해장].

계령감로산(桂 甘露散)

복서로 물을 켜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40g, 석고, 한수석, 택사, 칡뿌리(갈근),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 각각 20g, 인삼, 계피, 곽향 각각 10g, 목향 5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인 물에 타 먹는다[자화].

주하병(注夏病)

늦은 봄부터 초여름이 되면 머리가 아프고 다리가 약해지며 입맛이 떨어지고 몸에서 열이 나는 것을 민간에서 주하병(注夏病)이라고 한다. 이는 음허(陰虛)에 속하며 원기(元氣)가 부족한 것이므로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에서 승마와 시호를 빼고 황백,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맥문동, 오미자를 더 넣는 것이 좋다. 담(痰)이 있으면 천남성과 끼무릇(반하)을 더 넣는다[단심].

○ 생맥산(生脈散)이나 삼귀익원탕을 먹는 것도 좋다[단심].

삼귀익원탕(蔘歸益元湯)

주하병(注夏病)을 치료한다. 그 증상으로는 머리가 어지럽고[頭眩] 눈앞에 꽃 같은 것이 보이며 넓적다리가 시리고[腿 ] 또 다리가 약해지며 가슴과 손발바닥[五心]에서 번열(煩熱)이 나고 입이 쓰며 혀가 마르고 정신이 피곤해 하며[精神困倦] 잠자기를 좋아하며 음식을 적게 먹고 맥은 삭(數)하면서 힘이 없다.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찐지황, 흰솔풍령(백복령), 맥문동 각각 4g, 귤껍질(陳皮), 지모, 황백(다 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2.8g, 인삼 2g, 감초 1.2g, 오미자 1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1알, 쌀 한 자밤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회춘].

여름철 더위를 먹지 않게 조섭하는 법[夏暑將理法]

위생가( 生歌)에는 다음과 같이 썼다.
사철 중에 여름철이 조섭하기 힘들도다
묵은 추위 속에 있어 설사하기 아주 쉽네
신장 기운 보할 약은 없어서는 아니되고
싸늘하게 식은 음식 입에 대지 말 것일세
심장 기운 왕성하고 신장 기운 쇠약하여
진액정액 아끼는 게 첫째 가는 조섭일세
문을 닫고 누워 자며 정신 너무 쓰지 말라
얼음물과 찬 과실도 지나치면 해롭다네
가을철에 들어서서 학질이질 앓기 쉽네

○ 대개 몹시 더울 때에 열이 나도 찬물로 손과 얼굴을 씻지 말아야 한다. 이는 눈에 매우 나쁘다[활인].

○ 여름 한철은 사람의 정신을 손상하는 시기이다. 심(心)은 왕성하고 신수(腎水)는 쇠약하며 정이 물처럼 되었다가 가을에 가서 엉기기 시작하고[凝] 겨울에 가서 굳어지게[堅] 된다. 그러므로 성생활을 더욱 적게 하고 정기(精氣)를 굳건히 보양해야 한다[활인].

○ 삼복더위에는 내리쬐는 더위가 기를 상하기 때문에 양생(養生)하는 사람들은 이런 때에 더욱 주의해야 할 것이다. 만일 지나치게 술을 마시거나 성생활을 하면 신[內腎]이 상하여[腐爛] 죽을 수 있다[입문].

○ 사람의 심포락(心包絡)은 위의 윗구멍[胃口]과 서로 연락되어 있기 때문에 위기(胃氣)가 좀 허하거나 배고픈 때에 더위먹으면 더위독[暑毒]이 입과 코로 들어가서 이와 볼[牙頰]에 몰렸다가 심포락에 이르는 것이 틀림없다. 더운 곳에 나갔다가 들어와서는 빨리 찬물로 양치하되 삼키지는 말아야 한다[직지].

○ 허약한 사람과 늙은이가 더위먹고[中暑] 넘어져 정신을 잃은 데는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부자(附子)를 더 넣어 달여서 식혀 먹는 것이 좋다[회춘].

○ 태창공(太倉公)의 벽온단( 瘟丹, 처방은 온역문에 있다)을 덥고 습한 달[月]에 태우면 사기(邪氣)를 흩어버린다고 했다[회춘].

서열에 두루 쓰는 약[暑熱通治藥]

서병(暑病)을 치료하는 법은 속을 시원하게[淸心]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는 것이 가장 좋다. 더위는 기를 상하므로 진기(眞氣)를 보하는 것이 필요하다[단심].

○ 여름철에 찬 음식을 많이 먹거나 찻물과 얼음물을 너무 마셔서 비위(脾胃)를 상하면 토하고 설사하는 곽란( 亂)이 생기게 된다. 더위먹은 데 쓰는 약은 흔히 비위(脾胃)를 따뜻하게 하며 음식을 잘 소화시키고 습을 없애며 오줌이 잘 나가게 해야 한다. 이 원뜻을 잘 아는 것이 필요하다[단심].

○ 더위먹은 환자는 별로 아픈 데가 없다. 혹 아픈 것은 목욕을 한 탓으로 물과 습기가 서로 부딪쳤기[水濕相搏] 때문이다[입문].

○ 서병에 두루 쓰는 약으로는 향유산, 청서화중산, 만병무우산들이다.

향유산(香 散)

더위먹은 일체 서병이나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거나[吐瀉] 정신이 흐릿하고 숨이 끊어지려는 것을 치료한다.

노야기(향유) 12g, 후박, 까치콩(백편두) 각각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 조금과 함께 물에 달여 찌꺼기[滓]를 버리고 찬물에 채워 두고 먹는다[국방].

청서화중산(淸暑和中散)

중서(中暑)와 상서(傷暑),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한다. 상강(霜降)이후에는 쓰지 말아야 한다.

노야기(향유) 80g, 저령, 택사, 곱돌(활석), 초과 각각 60g,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후박, 으름덩굴(목통), 길짱구씨(차전자, 닦은 것), 지각, 사인 각각 40g,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귤껍질(陳皮) 각각 28g, 회향 20g, 까치콩(백편두) 16g, 목향,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찬물에 타 먹는다. 혹은 썰어서 40g씩 물에 달여 먹는 것도 좋다[의감].

만병무우산(萬病無憂散)

여름철에 곽란( 亂)으로 토하고 설사하며 학질 비슷하나 학질이 아닌 증(證), 이질 비슷하나 이질이 아닌 증, 수토(水土)가 맞지 않아[不伏] 생긴 병 등을 치료한다. 늘 먹으면 학질이나 이질을 막을 수 있다.

노야기(향유), 까치콩(백편두) 각각 80g, 초과, 황련, 곱돌(활석), 택사 각각 48g, 지각, 으름덩굴(목통), 후박,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길짱구씨(차전자), 저령, 사인 각각 32g, 흰삽주(백출), 회향 각각 22.4g, 목향, 감초 각각 1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는 물에 타 먹는다. 혹은 차 달인 웃물(茶淸)에 타 먹는다. 미음으로는 먹지 말아야 한다[입문].

단방(單方)

모두 5가지이다.

석고(石膏)

날씨가 몹시 더울 때에 생긴 병을 주로 치료한다. 석고(부스러뜨린 것) 40g을 달여 짜먹으면 곧 낫는다[중경].

향유(香 ,노야기)

일체 서병(暑病)과 곽란( 亂)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데는 노야기를 달여 짜먹거나 날것으로 즙을 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대료(大蓼)

즉 홍초( 草)이다. 더위를 먹어 정신을 잃고 넘어지며[熱 ] 가슴이 답답한 것[心悶]을 치료한다. 대료를 진하게 달여 먹는다.

○ 여름철에 더위를 먹어 정신을 잃고 죽게 된 데도 또한 먹인다[본초].

첨과(甛瓜, 참외)

무더운 여름에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으므로 조금씩 먹는 것이 좋다[본초].

마통(馬通)

음력 섣달에 눈 마분(馬糞)을 말린 것인데 물에 달여 마시면 일체 서병(暑病)을 치료한다[속방].


더위 먹음(두통 오한 肢節疼痛 心中煩悶 肌膚大熱하나 無汗) : 심정격(안되면 중충 곡택)

                                                                      /소아는 소충

'동의보감 > 잡병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傷寒)  (0) 2016.05.28
한(傷寒)II  (0) 2016.05.28
습(濕)  (0) 2016.05.28
조(燥)  (0) 2016.05.28
화(火)  (0) 2016.05.28
:
Posted by doc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