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동의보감/탕액편2016. 5. 28. 21:09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 갱미(멥쌀) / 고마혜저(헌 삼 신) / 고어망 / 광맥(겉보리) / 교맥(메밀) / 교맥면 / 교맥양 / 교맥엽 / 국(누룩)
- 나도간(찰볏집) / 나미(찹쌀) / 녹두 / 녹두분
- 단서미(붉은 기장쌀) / 대두(콩) / 대두황권(콩 길금) / 대맥(보리) / 대맥면(보리쌀가루) / 대맥얼(보리길금) / 두부 / 두황(콩 가루)
- 마근(마) / 마분 / 마엽 / 마자 / 면(밀가루)
- 백량미 / 백유마(흰 참깨) / 백유마엽 / 백유마유 / 부(밀기울) / 변두(까치콩) / 변두엽 / 변두화 / 부소맥(밀쭉정이)
- 서미(기장쌀) / 소맥(밀) / 소맥노(밀깜북이) / 소맥묘(밀싹) / 속미(좁쌀) / 속미감즙 / 속미분 / 속미분구 / 시(약전국) / 신국(약누룩)
- 아편 / 앵속각 / 앵자속 / 얼미(조 길금) / 여두(쥐눈이 콩) / 완두 / 용저두세강(절구공이 묻은 겨) 의이인(율무) / 이당(엿)
- 장 / 적소두(팥) / 적소두옆 / 적소두화 / 조(술지게미) / 주(술) / 직미(피쌀) 진름미(묵은 쌀) / 진속미(묵은 좁쌀)
- 청과맥(쌀보리) / 청량미(생동쌀) / 청양(검은 참깨 잎) / 초(식초) / 출미(찰기장쌀) / 출촉(수수)
- 패자미(돌피쌀)
- 한식면 / 호마(검은 참깨) / 호마유 / 황량미
자연계에서 사람의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것은 곡식이다. 이것은 흙의 기운을 받았기 때문에 치우치는 성질이 없이 고르고 맛이 슴슴하면서 달다[淡甘]. 그리고 성질이 평(平)하면서 고르며 보하는 것이 세고 배설이 잘 되기 때문에 오랫동안 먹어도 싫지 않다. 그러므로 사람에게 대단히 좋은 것이다[강목]. 모두 107가지이다.
호마(胡麻, 검은참깨 또는 검정참깨)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기운을 돕고 살찌게 하며 골수와 뇌수를 충실하게 하고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며 5장을 눅여 준다[본초].
○ 골수를 보하고 정(精)을 보충해주며 오래 살게 하고 얼굴빛이 젊어지게 한다[의감].
○ 환자가 허해져 말할 기운조차 없어할 때에는 검정참깨(胡麻)를 쓴다[서례].
○ 일명 거승(巨勝) 또는 방경(方莖)이라고도 한다. 잎은 청양(靑 )이라고 한다. 이것이 본래는 호(胡)라는 지방에서 났고 생김새가 삼과 비슷하기 때문에 호마라고 하였다. 또한 이것이 8가지 곡식 가운데서 제일 좋은 것이라고 하여 거승이라고 하였다[본초].
○ 보약으로 쓸 때에는 쪄서 햇볕에 말리기를 아홉번해서 닦아 짓찧어 쓴다. 이것의 성질은 솔풍령(복령)과 비슷한데 오랫동안 먹으면 다른 곡식을 먹지 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다[본초].
○ 호마 또는 거승이라고 한 데 대한 여러 사람의 말이 같지 않으나 그것은 다 현재의 검정참깨를 말하는 것이지 별다른 것은 아니다[연의].
○ 호마란 호라는 지방의 검정참깨라는 것이다. 끓인 물에 씻어 일어서 뜨는 것을 버리고 술에 한나절 찐 다음 햇볕에 말린다. 다음 절구에 찧어서 거치른 껍질은 버리고 약간 닦아[微炒] 쓴다[입문].
청양(靑 , 검정참깨잎)
검정참깨잎을 말하는데 뇌수를 보하고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
○ 이것이 바로 호마잎(胡麻葉)이다. 성질이 몹시 미끄럽기[甚肥滑] 때문에 머리를 감아도 된다[본초].
호마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성질이 약간 차다[微寒](몹시 차다[大寒]고도 한다). 돌림열병[天行]으로 변비가 되고 장 속에 열이 몰린 것[熱秘腸內結]을 풀며 충(蟲)을 죽인다[본초].
○ 대변이 잘 나가게 하고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을 나오게 한다. 창종(瘡腫)과 악창(惡瘡)에도 바르는데 머리털이 빠진 것도 나오게 한다[본초].
○ 이것은 생검정참깨를 짜서 낸 기름이다. 찌거나 볶아서 낸 것은 먹거나 등불기름으로 쓰고 약으로는 쓰지 못한다[본초].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성질이 몹시 차고[大寒] 독이 없다. 장위를 미끄럽게 하고 혈맥을 통하게 하며 풍사를 헤치고[行風]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본초].
○ 참깨는 2가지가 있는데 흰 것은 폐(肺)를 눅여 주고 검은 것은 신(腎)을 눅여 준다[본초].
○ 흰참깨도 검정참깨와 같은 것인데 오직 빛깔을 보고 갈라 놓았다. 그러므로 요즘은 다 참깨라고만 한다. 생것은 성질이 찬데[寒] 볶으면 성질이 열(熱)해진다[본초].
백유마엽(白油麻葉, 흰참깨잎)
짓찧어 신좁쌀웃물(漿水)과 섞어서 즙을 내어 머리를 감으면 풍사가 헤쳐지고 머리털이 윤택해진다[본초].
백유마유(白油麻油, 흰참깨기름)
성질은 몹시 차고[大寒](냉(冷)하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3초(三焦)에 있는 열독기운을 내리고 대소장을 통하게 하며 골수를 미끄럽게 하는데 비장에 부담을 준다[본초].
○ 회충으로 명치 밑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모든 충을 다 죽인다. 또한 모든 헌데[諸瘡]와 옴버짐[疥癬]에도 바른다[본초].
○ 참깨를 짓찧어 눌러서 기름을 짜는데 생것으로 짠 기름은 약으로 쓰고 닦아 익혀서 짠 기름은 식용으로 쓴다. 이것을 일명 향유(香油)라고도 한다[본초].
○ 잇병[牙齒病]이나 비위병(脾胃病)에는 절대로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묵은 기름으로 만든 고약(陳油煎膏)은 새살이 살아나게 하고 옹종(癰腫)을 삭히며 피부가 터진 것을 아물게 한다[본초].
마자(麻子, 삼씨)
성질은 평(平)하고(차다[寒]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허로증 때 보하고 5장을 눅여 주며 풍기를 없앤다. 대장에 풍열이 몰려 대변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그리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열림(熱淋)을 낫게 한다.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데 많이 먹지는 말아야 한다. 정기를 잘 나가게 하고 양기를 약해지게 한다[본초].
○ 이른 봄에 심은 것을 춘마자(春麻子)라고 하는데 알이 작고 독이 있다. 늦은 봄에 심은 것을 추마자(秋麻子)라고 하는데 약으로 쓰면 좋다[본초].
○ 족태음(足太陰)경과 수양명(手陽明)경으로 들어가는 약이다[입문].
○ 땀이 많이 나는 것[多汗], 위에 열이 있는 것[胃熱], 대변을 보기가 힘든 것[使難] 이 3가지는 다 습기를 마르게 하고 진액이 없어지게 한다. 장중경(張仲景)은 삼씨로 족태음경부위가 건조한 것을 눅여 주어서 장을 통하게 하였다[탕액].
○ 삼씨는 껍질을 벗기기가 아주 어렵다. 물에 2-3일 동안 담가 두었다가 껍질이 터진 다음 햇볕에 말려 새기왓장 위에 놓고 비벼서 씨알을 받아 쓴다. 또 한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천에 싸서 끓인 물에 담가 두었다가 물이 식은 다음 꺼내서 우물 가운데 하룻밤 달아 매두되 물에 닿지 않게 한다. 그 다음날 낮에 꺼내서 햇볕에 말려 새기왓장 위에 놓고 비벼서 키로 까부려 껍질을 버리고 씨알만 받는다. 이와 같이 하면 옹근알만 받을 수 있다[본초].
마분(麻 , 삼꽃가루)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매우며[辛] 독이 있다. 적을 헤치고[破積] 비증(痺證)을 낫게 한다. 가루로 먹는데 많이 먹으면 미친다[본초].
○ 일명 마발(麻勃)이라고도 하는데 삼꽃에서 날리는 꽃가루를 말한다. 음력 7월초에 받은 것이 좋다[본초].
마엽(麻葉, 삼잎)
회충( 蟲)을 죽인다. 삼잎 삶은 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털이 길게 자라고 윤택해진다[본초].
마근(麻根, 삼뿌리)
난산(難産)과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衣不出]을 치료한다. 어혈을 헤치고[破瘀血] 석림(石淋)이 나오게 한다. 달여서 그 물을 마신다[본초].
고마혜저(故麻鞋底, 헌 삼신짝의 바닥)
곽란을 낫게 하고 소와 말고기의 중독을 풀어주고, 또 자석영독을 푼다[본초].
○ 일명 천리마(千里麻)라고 하는데 오래 묵어서 모두 떨어진 것이 더 좋은 것이다.
<번역생략>
고어망(故魚網, 오래된 물고기그물)
물고기뼈가 목에 걸려서 내려가지 않는 데 쓴다[본초].
대두(大豆, 콩)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짜다[ ]고도 한다) 독이 없다. 5장을 보하고 중초(中焦)와 12경맥을 좋게 하고 중초를 고르게 하며 장위(腸胃)를 따뜻하게 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몸무게가 늘어난다[본초].
○ 콩에는 검은 것과 흰 것 2가지 종류가 있는데 검은 것을 약으로 쓴다. 흰 것은 약으로 쓰지 않고 오직 먹기만 한다[본초].
여두( 豆, 쥐눈이콩)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중초를 고르게 하고 기를 내리며 맥이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 광물성 약재의 독을 없앤다. 이것은 밭에 심는데 알이 작고 검다[본초].
○ 빛이 검으면서 반들반들하고 작은 수콩(雄豆)을 약으로 쓰는 것이 더 좋다[본초].
○ 콩의 성질은 본래 평(平)하나 법제하는 데 따라 여러 가지 증에 효과가 나타난다. 이것을 달인 물(煮汁)은 성질이 몹시 서늘하기 때문에[甚 ] 번열을 없애고 모든 약독을 푼다. 이것으로 만든 두부는 성질이 차기[寒] 때문에 기를 동(動)하게 한다. 닦아서[炒] 먹으면 몸이 더워지고 술에 담갔다가 먹으면 풍증이 낫는다. 약전국( )을 만들면 성질이 몹시 차진다[極冷]. 대두황건이나 장을 만들면 성질이 평(平)해진다. 그러므로 알맞게 약을 만들어 써야 한다[본초].
○ 쥐눈이콩이란 바로 검은 수콩(雄黑豆)을 말한다. 이것은 신(腎)과 관련된 곡식이므로 신장병 때 먹으면 좋다[입문].
두황(豆黃, 콩가루)
맛이 달다[甘]. 위 속에 열이 있는 데[胃中熱] 쓴다.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을 없애고 음식이 소화되게 하며 부은 것을 내리우고 비증(痺證)을 낫게 한다[본초].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오랜 풍습비(風濕痺)로 힘줄이 켕기고 무릎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5장이나 위 속에 몰린 적취[五藏胃中結聚]를 없앤다[본초].
○ 대두황권은 생콩으로 기른 길금( 待)을 말하는데 길금싹을 햇볕에 말린 다음 약간 볶아서[微炒] 약에 넣는다[본초].
○ 길이가 5푼 정도 되는 콩길금은 부인의 어혈을 헤치는데 산모의 약에 넣어 쓴다[본초].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차다[微寒]고도 하고 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면서 시고[甘酸] 독이 없다. 물을 빠지게 하며 옹종의 피고름[癰腫膿血]을 빨아낸다. 소갈(消渴)을 치료하고 설사와 이질을 멎게 하며 오줌을 나가게 하고 수종과 창만을 내린다[본초].
○ 열기와 옹종을 삭히고 어혈을 헤친다[散惡血][본초].
○ 붉은팥은 진액을 뽑아내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수기병(水氣病)과 각기(脚氣)를 치료하는 약에서 제일 중요하다. 수기를 잘 돌게 하고 기를 통하게 하며 비장을 확 씻어내는 약이다.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거멓게 되면서 몹시 마른다[입문].
○ 약으로는 올종자(早種者)로써 빛이 붉은 것이 좋다. 늦종자(晩種者)는 효과가 적다[본초].
○ 붉은팥은 음가운데 양이 속하는데 밀에 중독된 것[小麥毒]을 푼다[탕액].
적소두엽(赤小豆葉, 팥잎)
일명 곽(藿)이라고도 한다. 오줌이 잦은 것을 멎게 하고 번열을 없애며 눈이 밝아지게 한다[본초]. 어린 콩잎을 보고도 역시 곽이라고 하는데 나물을 만들어 먹는다[입문].
적소두화(赤小豆花, 팥꽃)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오랫동안 술에 취하여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본초].
○ 소갈병과 술을 마셔서 생긴 두통을 잘 멎게 하는데 술독[酒毒]을 푼다. 그러므로 술을 마셔서 생긴 병에 좋다[본초].
○ 붉은팥의 꽃을 일명 부비(腐婢)라고도 하는데 음력 7월에 따서 그늘에 말려 쓴다[본초].
속미(粟米, 좁쌀)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맛이 짜며[ ] 독이 없다. 신기(腎氣)를 보양하고 비위 속의 열[脾胃中熱]을 없애며 기를 보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비위를 돕는다[본초].
○ 좁쌀은 기장쌀(梁米)보다 잘다. 그러므로 알이 작은 것은 조이고 큰 것은 기장이다[본초].
○ 조 ‘속(粟)’자를 서녘 ‘서(西)’자와 쌀 ‘미(米)’자를 따서 만든 것은 서쪽 지방에서 나는 쌀이라는 뜻이다. 이것이 바로 요즘 소미(小米)라고 하는 것인데 5곡 가운데서 제일 굳기 때문에 경속(硬粟)이라고도 한다[입문].
○ 기장(黍), 피(稷), 벼(稻), 수수(梁), 조(禾), 참깨(麻), 콩(菽), 보리(麥) 이것이 8가지 곡식에 속한다. 도은거(陶隱居)는 화(禾)를 조라고 하였고 주자(朱子)의 시경주(詩經註)에는 “화(禾)란 곡식이 짚에 달려 있는 채로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고 정확히 씌어 있다. 8가지 곡식 가운데 조를 넣은 것은 양(梁) 속에 조를 포함시킨 것이다[입문].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맛이 쓰다[苦]. 위열과 소갈을 치료하는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이질을 멎게 한다[본초].
○ 묵었다는 것은 3-5년 지난 것을 말하는 것이다[본초].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답답한 것[煩悶]을 멎게 하고 여러 가지 독을 푼다[본초].
○ 요즘에는 좁쌀을 여러 날 물에 담가 두어서 쉬게 한 다음 갈아 농마를 앉혀 영분(英粉)을 만들어 쓴다. 이것은 땀띠를 없애는 데 아주 좋다[본초].
속미분구(粟米粉 , 좁쌀미싯가루)
성질이 차고[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번열을 풀고 갈증과 설사를 멎게 하는데 대장을 든든하게 한다[본초].
○ 좁쌀을 쪄서 가루낸 것인데 혹 밀이나 보리를 갈아서 만들기도 한다[본초].
○ 메좁쌀이 5곡 가운데서 제일 굳지만 신좁쌀웃물(漿水)에는 잘 풀린다[본초].
속미감즙(粟米 汁, 좁쌀 씻은 물)
곽란과 번갈을 치료한다. 좁쌀 씻은 물이 냄새나게 신 것이 더 좋다[본초].
○ 좁쌀 씻은 물 신 것으로 옴과 악창을 씻으면 충이 죽는다[본초].
얼미(蘖米, 조길금)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속이 찬 것[寒中]을 치료하고 기를 내리며 입맛이 나게 하고 음식이 소화되게 한다. 열도 없앤다[본초].
○ 이것이 바로 속얼(粟蘖)인데 절반 정도 자란 것을 쓴다. 요즘에는 곡신산(穀神散)에 넣어 쓴다. 성질은 보리길금(대맥얼)보다 더 따뜻하다[溫][본초].
○ 길금(蘖)이란 땅 속에 묻지 않고 싹을 낸 것인데 곡식은 다 싹을 낼 수 있다. 조길금이나 보리길금도 다 이렇게 만든 것이다[본초].
○ 길금이란 바로 곡식의 싹을 말한다[입문].
갱미(粳米, 멥쌀)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면서 쓰고[甘苦] 독이 없다.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고 살찌게 하며 속을 덥히고 이질을 멎게 하는데 기를 보하고 답답한 것[煩]을 없앤다[본초].
○ 멥쌀이라는 ‘갱(粳)’자에는 굳다는 뜻(硬, 즉 堅)이 들어 있는데 그것은 찹쌀보다 굳기 때문이다. 이것의 기운은 수태음경과 수소음경으로 들어간다. 기(氣)와 정(精)은 다 쌀을 먹어서 그것이 변화되어 생긴 것이기 때문에 ‘기(氣)’자와 ‘정(精)’자에는 다 쌀‘미(米)’자가 들어 있다[입문].
○ 밥이나 죽을 만들어 먹는데 약간 설익어도 비장(脾臟)에 좋지 못하다. 잘 익혀 먹어야 좋다[본초]. 멥쌀은 늦벼쌀(白晩米)이 제일 좋다. 올벼쌀(早熟米)은 이것만 못하다[본초].
○ 이것은 바로 늦벼쌀을 말하는데 서리가 온 뒤에 가을한 것이 좋다[일용].
진름미(陳 米, 묵은 쌀)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짜면서 시고[ 酸] 독이 없다. 답답한 것[煩]을 없애고 위(胃)를 조화시키고 설사를 멎게 하며 5장을 보하고 장위를 수렴하게 하는데 끓여서 먹는 것이 좋다[본초].
○ 이것이 바로 진창미(陳倉米)이다. 그러나 여러 학자들이 멥쌀인가 좁쌀인가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았다. 그러나 멥쌀과 좁쌀 이 두 가지는 다 묵으면 성질이 차진다[冷]. 그러므로 이것을 자주 먹으면 설사가 나게 된다. 그러니 『내경』에 씌어 있는 것과는 약간 틀린다. 달이거나 삶으면 기름기와 찰기가 없어진다. 때문에 요즘 사람들은 흔히 햇멥쌀(新粳)이나 햇좁쌀(新粟)을 쓴다. 대체로 오랫동안 묵으면 냄새와 맛이 다 변한다. 그러니 『내경』에 묵었다는 것은 3-5년이 지난 것을 말한다고 쓴 이유가 있다[본초].
나미( 米, 찹쌀)
성질이 차고[寒](약간 차다[微寒]고도 하고 서늘하다[ ]고도 한다) 맛이 달면서 쓰고[甘苦] 독이 없다. 중초를 보하고 기를 생기게 하여 곽란을 멎게 한다. 그러나 열을 많이 생기게 하여 대변을 굳어지게 한다[본초].
○ 여러 경락을 막히게 하여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게 하며 풍(風)을 일으키고 기(氣)를 동(動)하게 하며 정신이 얼떨떨하게 하여 자게 하므로[昏昏多睡]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약해진다. 고양이나 개가 먹으면 다리가 굽어 들어 잘 다니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사람은 힘줄이 늘어지게 된다[본초].
○ 찹쌀이라는 글자는 연할‘연(軟)’자의 뜻을 땄는데 그것은 쌀이 차분차분하고 풀기가 있기 때문이다. 즉 찰벼쌀을 말한다. 요즘 사람들은 이것으로 술과 엿을 만든다[입문].
○ 찹쌀은 찰진 벼의 쌀이고 멥쌀은 찰지지 않은 벼의 쌀이다. 그러므로 멥쌀과 찹쌀은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찰지고 찰지지 않은 것이 다르다[본초].
○ 벼는 가스랭이(芒)가 있는 곡식인데 멥벼와 찰벼를 통틀어 벼라고 한다[본초].
○ 찹쌀은 성질이 차지만[寒] 술을 만들면 성질이 열(熱)해진다. 그리고 술지게미(糟)는 성질이 따뜻하고[溫] 평(平)하다. 이것은 마치 약전국과 장의 성질이 같지 않은 것과 같다[본초].
나도간( 稻稈, 찰볏집)
온몸이 노랗게 되는 병[身黃病], 소갈, 고독을 치료한다. 달여서 그 물을 마신다[입문].
○ 5곡(五穀)이란 벼(稻), 기장(黍), 피(稷), 보리(麥), 콩(菽)을 말한다. 올벼(早米), 늦벼(晩米), 찰벼( 米)도 다 벼라고 하는데 찰벼( )보고 벼(稻)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입문).
청량미(靑梁米, 생동쌀)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위비(胃痺)와 속이 열한 것과 소갈을 치료하는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그리고 설사와 이질을 멎게 하며 몸이 가벼워지게 하고 오래 살게 한다[본초].
○ 생동찰벼이삭(靑梁穀穗)에는 털이 있고 벼알은 퍼렇다. 그리고 쌀알은 퍼렇고 흰 기장쌀이나 누런 기장쌀보다 잘다. 여름에 먹으면 아주 시원하다[본초].
○ 퍼런 것, 누런 것, 흰 것 등 3가지가 있으나 다 조(粟)의 종류이다. 이것들은 다른 곡식에 비하여 비위(脾胃)를 아주 잘 보하는데 성질도 서로 비슷하다[본초].
○ 조의 종류라고는 하지만 자세하게 말하면 다르다[본초].
○ 생동쌀(靑梁)을 식초에 버무린 다음 쪄서 햇볕에 말리기를 1백번 하여 미싯가루를 만들어 양식으로 하면 다른 곡식을 먹지 않고도 살 수 있다[본초].
황량미(黃粱米)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기를 보하고 중초를 조화시켜서 설사를 멎게 한다[본초].
○ 생동쌀(靑梁)과 백량미(白梁)가 먹는 데는 황량미만 못하다. 생동쌀이나 백량미는 다 성질이 약간 서늘하고[微 ] 황량미는 성질이 달고[甘] 평(平)한데 그것은 땅에서 고른 기운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본초].
○ 양미 종류[梁類]는 다 이삭이 크고 털이 길며 쌀알은 좁쌀알보다 크다. 황량미는 다른 양미 보다 향기롭고 맛이 좋은데 죽근황(竹根黃)이라고도 한다[입문].
백량미(白粱米)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열을 내리고 기를 보한다[본초].
서미(黍米, 기장쌀)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기를 돕고 중초를 보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열이 많이 나고 답답증[煩]이 생긴다[본초].
○ 독이 약간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먹지 말아야 한다. 5장의 기능을 장애해서 잠이 많게 한다[본초].
○ 조(粟)와 비슷하나 조의 종류는 아니다. 벌건 것[丹], 새빨간 것[赤], 검은 것[黑] 등 3가지 종류가 있다. 이것은 폐와 관련된 곡식이므로 폐병에 먹으면 좋다[입문].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기침하면서 기운이 치미는 것과 곽란을 치료하는데 설사와 갈증을 멎게 한다[본초].
○ 이것이 바로 붉은 기장쌀인데 껍질은 붉고 쌀알은 누렇다[본초].
○ 기장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쌀이 찰진 것을 찰기장( )이라고 하는데 술을 만들 수 있고 찰지지 않은 것을 기장(黍)이라고 하는데 밥을 지어서 먹는다. 이것은 벼(稻)에 멥쌀벼(粳)와 찹쌀벼(拏)가 있는 것과 같다[본초].
출미( 米, 찰기장쌀)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대장을 순조롭게 하고 옻이 올라 헌 것[漆瘡]을 치료하며 옴독과 열을 없앤다. 그러나 5장의 기운을 막히게 하고 풍(風)을 동(動)하게 하기 때문에 늘 먹어서는 안 된다[본초].
○ 도교를 믿는 사람들은 이것을 귀하게 여기면서 술을 만드는 데는 다른 쌀보다 좋다고 한다[본초].
○ 사람들은 이것으로 술과 엿을 만든다[본초].
○ 기장(黍米)과 비슷하나 알이 잘다. 북쪽 지방 사람들은 이것을 보고 황미(黃米)라고도 하고 황나(黃 )라고도 하는데 술을 만드는 데는 제일 좋은 것이다[본초].
소맥(小麥, 밀)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번열을 없애고 잠이 적어지게 하며 조갈(燥渴)을 멎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간기(肝氣)를 보양한다[본초].
○ 밀껍질(小麥皮)은 성질이 차고[寒] 쌀알은 성질이 열[熱]하다. 달임약[湯]에 넣을 때에는 껍질채로 넣어서 껍질이 터지지 않게 달여야 한다. 그것은 껍질이 터지면 성질이 따뜻해지기[溫] 때문이다. 이것으로 보아 껍질을 버린 밀가루는 열과 답답한 것[煩]을 없애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본초].
○ 가을에 심으면 여름에 익기 때문에 4철의 기운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자연히 차고 따뜻한[寒溫] 성질을 겸하게 된다. 가루( )는 성질이 열[熱]하고 밀기울( )은 성질이 찬데[冷] 이것은 당연한 일이다[본초].
○ 밀은 가을에 심고 겨울에 자라서 봄에 이삭이 패고 여름에 익기 때문에 4철의 고른 기운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5곡에서 제일 귀한 것이다. 기후가 따뜻한 곳에서는 봄에 심었다가 여름에 걷어들이기도 하나 이것은 기를 부족하게 받기 때문에 독이 있다. 그리고 이것으로 낸 가루는 성질이 또한 차다[冷][본초].
면(麵, 밀가루)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다[甘]. 중초를 보하고 기를 도우며 장위를 든든하게 하고 기력이 세지게 하며 5장을 돕는다. 또한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든든해진다[본초].
○ 밀은 성질이 차다[寒]. 가루를 만들면 성질이 따뜻해지는데[溫] 독이 있다[본초].
○ 열독이 있는 밀가루는 흔히 묵은 것인데 빛은 검누렇다. 또한 가루를 만들 때 돌가루가 섞인 것이므로 절구에 빻아 먹는 것이 좋다[본초].
○ 밀가루는 열을 몰리게 하고 풍기[風]를 동(動)하게 하는 성질이 있다[본초].
한식면(寒食麵)
한식날에 만든 밀국수인데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두고 쓴다. 이것은 적을 헤치고[破積] 기(氣)를 잘 돌게 한다[강목].
국(麴, 누룩)
성질이 몹시 따뜻하고[大煖] (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다[甘]. 위를 조화시키고 음식이 소화되게 하며 이질을 멎게 한다[본초].
○ 여곡(女麴)은 통밀(完小麥)로 만든 것인데 일명 환자( 子)라고도 한다. 누렇게 쪄서 간 밀로 만든 것은 일명 황의(黃衣)라고 한다. 이것들은 다 음식이 소화되게 한다[본초].
○ 밀누룩(麥麵)은 민물고기를 먹고 생긴 배탈을 낫게 한다[좌전].
○ 음력 6월에 만든 것이 좋은데 오랫동안 묵은 것을 약으로 쓴다. 향기가 나도록 고소하게 닦아서[炒] 써야 한다[본초].
신국(神麴, 약누룩)
성질은 덥고[煖] (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입맛이 나게 하고 비(脾)를 든든하게 하며 음식이 소화되게 하고 곽란, 설사, 적백이질을 멎게 한다. 징결( 結, 뱃속에 덩어리가 생긴 것)을 헤치고[破] 담이 치밀어 올라 가슴이 그득한 것[痰逆胸滿]을 내리며 장위 속에 음식이 막혀서 내리지 않는 것[腸胃中塞]을 내리게 하고 유산되게 하며 귀태(鬼胎)를 나오게 한다[본초].
○ 약에 넣을 때에는 고소한 냄새가 나게 닦아서[炒] 넣는다. 불에 닦은 것은 자연계의 5기를 돕고 양명경으로 들어간다[탕액].
○ 홍국(紅麴)은 피를 잘 돌게 하고 음식이 소화되게 하며 이질을 멎게 한다. 홍국이라는 것도 신국인 것 같다.
○ 신국을 만드는 방법은 잡방(雜方)에 자세하게 씌어 있다.
부( , 밀기울)
성질이 차고[寒] (서늘하다[ ]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중초를 조화시키고 열을 없앤다. 열창(熱瘡)과 끓는 물이나 불에 덴 상처[湯火瘡]가 진무른 것, 얻어 맞거나 부러져서 어혈(瘀血)이 진 것을 치료한다[본초].
○ 밀은 양(陽)에 속하지만 밀기울은 성질이 서늘하다[ ][단심].
○ 밀가루는 성질이 덥고[熱] 밀기울은 성질이 서늘하다[ ][단심].
부소맥(浮小麥, 밀쭉정이)
심을 보하는데[養心] 대추와 같이 달여서 먹으면 식은땀[盜汗]이 나는 것이 멎는다[의감].
○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하고 어른이나 어린이의 골증열(骨蒸熱)과 기열(肌熱), 부인의 허로열(虛勞熱)을 치료할 때에는 약간 닦아서[微炒] 써야 한다[입문].
소맥묘(小麥苗, 갓 돋은 밀싹)
성질이 차고[寒] (서늘하다[ ]고도 한다) 맛이 메우며[辛] 독이 없다. 술독과 갑자기 나는 열[暴熱]을 풀며 황달로 눈이 노랗게 된 것을 낫게 하고 가슴의 열기[膈熱]를 없애며 소장을 좋아지게 한다. 즙을 짜서 먹는다[본초].
소맥노(小麥奴, 밀깜부기)
열이 나면서 답답한 것[熱煩]과 돌림열독[天行熱毒]을 푼다[본초].
○ 즉 밀이삭(小麥苗) 위에 생긴 거먼 것[黑黴]을 말한다[본초].
○ 밀이 익지 않았을 때 포기 가운데 이삭이 여물지 못하고 새까맣게 된 것인데 쥐어 보면 푸실푸실하다[강목].
대맥(大麥, 보리)
성질이 따뜻하다[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짜고[ ] 독이 없다. 기를 돕고[益氣] 중초를 조화시키며[調中] 설사를 멎게 하고 허한 것을 보한다. 또는 5장을 든든하게 하는데 오랫동안 먹으면 살이 찌고 건강해지며 몸이 윤택해진다[본초].
○ 몸을 덥히는 데[多熱]는 5곡 가운데서 제일이다[본초].
○ 오랫동안 먹으면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고 풍(風)이 동(動)하지 않는다. 그러나 갑자기 많이 먹으면 다리가 약간 약해지는데 그것은 기를 내리기 때문이다. 잘 익혀 먹으면 사람에게 이롭지만 약간 설어도 성질이 차지므로[寒] 사람을 상하게 한다[본초].
○ 보리는 밀과 같이 가을에 심은 것이 좋다. 봄에 심은 것은 약 기운이 부족하기 때문에 효과가 적다[본초].
○ 침사(鍼砂), 몰석자(沒石子)와 함께 넣어서 달인 물로 수염에 물들이면 아주 거멓게 된다[입문].
광맥( 麥, 겉보리)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몸을 가벼워지게 하고 비위를 보하며[補中] 열을 없애고 병이 생기지 않게 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힘이 세지고 건강해진다[본초].
○ 『신농본초경』에는 보리쌀과(大麥) 겉보리( 麥) 2가지로 씌어 있는데 이것은 마치 한 가지의 벼에서 2가지 쌀이 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벼가 멥쌀과 찹쌀이 나는 곡식의 공통된 이름인 것과 같이 겉보리란 보리를 껍질채로 부르는 이름이다. 보리쌀과 겉보리에 대하여 말하는 것과 같다. 그러니 대맥이란 보리쌀을 말하고 광맥이란 겉보리를 말하는 것이 명백하다[본초].
○ 보리는 밀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대맥이라고 하였고 그 껍질은 둘러 싸 붙어 있고 부드럽기 때문에 둘러붙었다는 ‘광( )’자의 뜻을 따서 광맥이라고 하였다[본초].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성질과 맛은 보리쌀과 같다. 이것은 본래 껍질과 살이 서로 떨어져 있다. 빛이 누렇기 때문에 누런 쌀보리(黃顆)라고도 한다[본초].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위(胃)를 편안하게 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음식을 소화시킨다. 창만증을 치료하는데 성질이 열(熱)하지도 조(躁)하지도 않아서 밀보다 낫다[본초].
○ 떡을 만들어 먹으면 기(氣)를 동(動)하지 않게 한다. 만일 갑자기 많이 먹으면 기가 동하는 것 같지만 오랫동안 먹으면 이롭다[본초].
대맥얼(大麥蘖, 보리길금)
성질이 약간 따뜻하다[微煖](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면서[甘] 짜고[ ] 독이 없다. 소화가 잘 되게 하여 오랜 체기를 없애고 명치 아래가 불러 오르면서 그득한 것[心腹脹滿]을 치료하며 속을 따뜻하게 하고 기를 내린다. 입맛이 나게 하고 곽란을 멎게 하며 징결( 結)을 파(破)한다. 또한 해산을 빨리하게 하고 유산하게 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신기(腎氣)가 소모되기 때문에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본초].
○ 땅에 묻지 않고 싹을 낸 것이 길금(蘖)이다[입문].
○ 보리를 물에 담갔다가 싹이 난 다음에 급히 햇볕에 말려서 쓰는데 엿(飴糖)을 만드는 데도 쓴다[일용].
○ 보리길금은 상초(上焦)에 머물러 있는 피[滯血]를 잘 돌게 하고 오랜 체기와 배가 끓는 것[腸鳴]을 치료하는데 속을 따뜻하게 하고 음식이 소화되게 한다[의감].
○ 약으로는 노랗게 닦아서[炒黃] 절구에 짓찧은 다음 가루내어 쓴다[탕액].
교맥(蕎麥, 메밀)
성질이 평(平)하면서 차고[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장위(腸胃)를 든든하게 하고 기력을 돕는다. 그리고 여러 가지 병을 생기게 한다고는 하나 5장에 있는 더러운 것을 몰아 내고 정신을 맑게 한다[본초].
○ 오랫동안 먹으면 풍(風)이 동(動)하여 머리가 어지럽다. 돼지고기나 양고기와 같이 먹으면 풍라(風癩, 문둥병)가 생긴다[본초].
교맥면(蕎麥麵, 메밀가루)
여러 가지 헌데[諸瘡]가 생기게 한다. 그러므로 끓여서 먹는 것이 좋다[직지].
○ 민간에서는 위장 속에 적(積)이 있어서 1년 동안 시름시름 앓을 때 메밀가루를 먹으면 적이 삭는다고 한다[식물].
교맥엽(蕎麥葉, 메밀잎)
나물로 만들어 먹는다. 기를 내리고 귀와 눈을 밝아지게 한다[본초].
교맥양(蕎麥穰, 메밀대)
태워 잿물을 받아 집짐승의 헌데[瘡]를 씻어 준다[일용].
변두( 豆, 까치콩 또는 변두콩)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하고 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중초를 조화시키고[和中] 기를 내리면서[下氣] 곽란, 설사, 구토, 쥐가 이는 것을 치료한다[본초].
○ 까치콩에는 검은 것과 흰 것 2가지가 있는데 흰 것은 성질이 따뜻하고[溫] 검은 것은 성질이 약간 차다[小冷]. 약으로는 반드시 흰 것을 쓴다[본초].
○ 또한 작두(鵲豆)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검은 줄 사이에 흰 줄이 있어서 까치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본초].
○ 일체 풀과 나무의 독[草木毒], 술독, 복어독(河 毒)을 푼다[본초].
○ 껍질을 버리고 생강즙에 버무려 닦아서 쓴다[입문].
○ 춥다가 열이 나는 환자는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이것이 바로 백편두(白扁豆)이다[본초].
변두엽( 豆葉, 까치콩잎)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짓찧어 뱀이나 벌레에게 물린 데[蛇蟲咬毒] 붙이기도 한다[본초].
변두화( 豆花, 까치콩꽃)
적백대하(赤白帶下)를 치료한다[본초].
녹두(菉豆)
성질이 차고[寒](평(平)하다고도 하고 싸늘하다[冷]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일체 단독(丹毒), 번열, 풍진(風疹)과 광물성 약 기운이 동(動)한 것을 치료하는데 열을 내리고 부은 것을 삭히며 기를 내리고 소갈증을 멎게 한다[본초].
○ 5장을 고르게 하고[和五臟] 정신을 편안하게 하며 12경맥을 잘 돌게 하는 데는 제일 좋다[본초].
○ 이것으로 베개를 만들어 베면 눈이 밝아지고[明目] 두풍(頭風), 두통이 낫는다[본초].
○ 병을 치료하는 데 쓸 때에는 껍질을 버리지 말아야 한다. 대체로 껍질은 성질이 차고[寒] 살은 성질이 평(平)하다[식물].
○ 알은 빛이 퍼렇고 둥글면서 잔 것[色綠圓小者]이 좋다. 약으로 쓸 때에는 껍질을 버리지 않고 써야 한다. 껍질을 버리고 쓰면 기를 약간 막히게 한다[입문].
녹두분(菉豆粉, 녹두가루)
성질이 차고[冷](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기를 보하고[益氣] 열독을 없애는데 발배(發背)와 옹저(癰疽), 창절(瘡癤)을 치료하며 술독, 식중독을 푼다[일용].
○ 녹두를 물에 담갔다가 갈아서 걸러 가라앉힌 다음 윗물을 치워버리고 말려서 가루를 내어 쓴다. 이것이 녹두가루이다[일용].
완두(豌豆)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중초를 보하고 기를 고르게 하며 영위(榮衛)를 순조롭게 한다[일용].
○ 일명 잠두(蠶豆)라고도 하는데 위(胃)를 시원하게 하고 5장을 좋게 한다. 달여서 차를 만들거나 볶아서[炒] 먹으면 좋다[입문].
○ 완두가 바로 잠두이다[득효].
○ 빛이 퍼런 것이 녹두같으나 그보다 알이 크다. 요즘은 함경도에서 나는데 서울에서도 심는다[속방].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폐위(肺 ), 폐기(肺氣)로 피고름[膿血]을 토하고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풍습비(風濕痺)로 힘줄이 켕기는 것[筋脈攣急]과 건각기, 습각기[乾濕脚氣]를 치료한다[본초].
○ 몸을 가벼워지게 하고 장기( 氣)를 막는다[사기].
○ 오랫동안 먹으면 음식을 잘 먹게 된다. 성질이 완만하여[緩] 세게 내보내지는 못하므로 다른 약보다 양을 곱으로 하여 써야 한다. 깨물어 보아 이에 붙는 것이 좋은 것이다[입문].
○ 이 약의 기운은 완만하기 때문에 다른 약의 양보다 곱을 써야 효과를 볼 수 있다[단심].
○ 겉곡을 털어 물이 푹 배게 쪄서 햇볕에 말려 갈아서 쓴다. 혹은 찧어서 쌀을 내기도 한다[본초].
출촉( , 수수)
곡식 가운데서 키가 제일 크고 알도 크면서 많이 달린다. 북쪽 지방에서 심는데 다른 곡식이 떨어졌을 때에 먹을 것으로 준비한다. 그렇지 않을 때에는 소나 말을 먹인다. 남쪽 지방 사람들은 이것을 노제(蘆 )라고 한다[입문].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맛이 맵고[辛] 잘 풀어진다. 밥을 지을 수도 있는데 흉년에 먹는다[입문].
앵자속(罌子粟, 아편꽃씨)
성질이 평(平)하고(차다[寒]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반위(反胃)와 가슴에 담이 막혀 음식이 내리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일명 어미(御米)라고도 한다[본초].
○ 꽃은 벌거면서 허연 빛이 나는데 꽃잎은 4개이다. 혹 천엽(千葉)에 연분홍 테두리가 있는 것도 있다. 그 열매는 병처럼 둥글고 화살촉이 붙은 것같이 생긴 가운데 씨가 있는데 몹시 잘고 빛은 희다[본초].
○ 송이는 항아리 같고 씨는 좁쌀 같다[입문].
앵속각(罌粟殼)
설사와 오랜 이질을 치료하는데 수렴작용을 한다. 허로(虛勞)와 오랜 기침[久嗽]도 낫게 한다. 또한 이 약 기운은 신(腎)으로 들어가므로 뼈의 병[骨病]도 치료한다[본초].
○ 앵속각은 근(筋), 막(膜), 꼭지를 다 버리고 썰어서 꿀물에 하룻밤 재웠다가 약한 불에 누렇게 되도록 볶아서 쓴다[양방].
○ 이질약에 넣을 때에는 식초에 축여 볶아서[炒] 넣어야 한다[본초].
○ 앵속각은 장을 수렴하고 기침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의감].
아편(鴉片)
일명 아부용(啞芙蓉)이라고도 한다. 즉 아편꽃이 피기 전에 참대침[竹鍼]으로 찔러 10여 곳에 구멍을 뚫어 놓으면 진이 저절로 흘러 나온다. 이것을 다음날에 참대칼로 긁어서 사기그릇에 담는데 많이 받아서 종이로 잘 막는다. 이것을 14일간 정도 햇볕에 말리면 덩어리가 된다. 이 약은 성질이 급하기 때문에 많이 써서는 안 된다[입문].
○ 오랜 이질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아편꽃이 지고 열매가 맺힌 지 15일째 되는 날 오후에 큰 침으로 열매의 푸른 겉껍질만 뚫어지게 10여 곳을 찔러 놓았다가 다음날 아침에 흐르는 진을 참대칼로 긁어모아 사기그릇에 담아 그늘에서 말린다. 매번 팥알만한 것 한 알을 빈 속에 따뜻한 물에 풀어서 먹는다. 파, 마늘, 신좁쌀죽웃물(漿水)을 먹지 말아야 한다. 만일 먹은 다음에 열이 나면서 갈증이 날 때에는 꿀물(蜜水)로 풀어야 한다[의림].
주(酒, 술)
성질이 몹시 열하고[大熱] 맛이 쓰면서[苦] 달고[甘] 매우며[辛] 독이 있다. 약 기운[藥勢]이 잘 퍼지게 하고 온갖 사기와 독한 기운[毒氣]을 없앤다. 혈맥을 통하게 하고 장위를 든든하게 하며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 근심을 없애고 성내게 하며 말을 잘하게 하고 기분을 좋게 한다[본초].
○ 오랫동안 먹으면 정신이 상하고 수명에 지장이 있다[본초].
○ 몹시 추워서 바다가 얼어 붙는다고 하여도 술은 얼지 않는다. 이것을 보아 술의 성질이 그 무엇보다도 제일 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술을 마시면 갑자기 몸을 잘 쓰지 못하고 정신이 얼떨떨해지는데 그것은 술 독기가 있기 때문이다[본초].
○ 술이 모든 경락을 잘 통하게 하는 데는 부자(附子)와 같다. 이것의 매운 맛은 헤치고[散] 쓴 맛은 내리게 하며 단맛은 속에 가만히 있기도 하고 끌고 가기도 하는데 온몸의 표면에까지 다 돌아가며 제일 높은 곳에도 간다. 맛이 슴슴한 것[淡]은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빨리 내려가게 한다[탕액].
○ 『본초』에는 오직 성질이 열(熱)하고 독이 있다는 것만 씌어 있지 습 가운데 열이 있어서 상화(相火)와 비슷하다는 것은 씌어 있지 않다. 그것은 사람이 술에 몹시 취하면 몸이 부들부들 떨리는 것으로 알 수 있다[단심].
○ 술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오직 쌀술(米酒)만 약으로 쓴다. 찹쌀에 맑은 물과 흰 밀가루 누룩을 넣어서 만든 술이 좋다. 『서전(正書)』에 “만약 술이나 단술을 만들려면 누룩과 엿길금을 만들어야 한다”고 씌어 있는데 술을 만드는 데는 누룩을 쓰고 단술을 만드는 데는 엿길금(蘖)을 쓴다[본초].
○ 여러 가지 술의 이름을 뒤에 써 놓았다.
조하주(槽下酒)
성질이 덥다[煖溫]. 위(胃)를 따뜻하게 하고 찬 바람과 추위를 막는다. 이것은 아마 거르지 않은 술을 말하는 것 같다.
두림주(豆淋酒)
풍으로 경련이 일어[風痙] 몸이 뒤로 잦혀지는 것[角弓反張]을 치료한다(처방은 풍문에 있다).
총시주( 酒)
풍한증(風寒證)을 풀고 땀이 나게 하여 상한을 낫게 한다(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포도주(蒲萄酒)
얼굴빛이 좋아지게 하고 신(腎)을 덥게 한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상심주(桑 酒)
5장을 보하고 눈과 귀를 밝게 한다. 오디즙을 내어 만든 술이다.
구기주(枸杞酒)
허(虛)한 것을 보(補)하고 살이 찌게 하며 건강해지게 한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지황주(地黃酒)
혈을 고르게 하며[和血] 얼굴이 젊어지게 한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무술주(戊戌酒)
양기(陽氣)를 세게 보한다[大補](처방은 잡방에 있다).
송엽주(松葉酒)
각기(脚氣)와 풍비(風痺)를 치료한다(처방은 풍문에 있다).
송절주(松節酒)
역절풍(歷節風)을 치료한다(처방은 풍문에 있다).
창포주(菖蒲酒)
풍비(風痺)를 치료하고 오래 살 수 있게 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녹두주(鹿頭酒)
기혈(氣血)을 보(補)한다. 사슴의 대가리(鹿頭)를 고은 물로 만든 술이다.
고아주(羔兒酒)
살찌게 하고 건강해지게 한다. 새끼양(羔兒)을 잡아 고은 물로 만든 술이다.
밀주(蜜酒)
보익(補益)하며 풍진(風疹)을 치료한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춘주(春酒)
맛이 좋은 술이다. 요즘 삼해주(三亥酒)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무회주(無灰酒)
아무것도 섞이지 않은 술인데 즉 좋은 청주(醇酒)를 말한다.
병자주(餠子酒)
찹쌀가루와 여러 가지 약을 섞어서 누룩을 만들어 빚은 술이기 때문에 병자주라고 한다.
황련주(黃連酒)
술독을 푸는데 사람은 상하지 않게 한다. 어떤 술인지는 자세하게 알 수 없다.
국화주(菊花酒)
오래 살게 하며[延年益壽] 풍으로 어지러운 것[風眩]을 치료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천문동주(天門冬酒)
기혈(氣血)을 보하고 오래 살 수 있게 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지라주(暹羅酒, 섬라술)
섬라국(暹羅國)으로부터 온 것이다. 적을 헤치고[破積] 고독을 없앤다[입문].
홍국주(紅麴酒)
성질이 몹시 열(大熱)하고 독이 있다. 산람장기[ 氣]를 막고 타박상을 낫게 한다[입문].
동양주(東陽酒)
술맛이 시원하고 향기롭다[淸香]. 예로부터 이름난 술인데 이웃의 여러 가지 술도 다 이것보다 못하다[입문].
금분로(金盆露)
처주(處州)에서 나는데 맛이 좋다. 먹을 만은 하지만 동양술(東陽)보다는 못하다[입문].
산동추로백(山東秋露白)
빛이 순수하고[色純] 맛이 세다[冽][입문].
소주소병주(蘇州小甁酒)
성질이 열한 약이 든 누룩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마시면 머리가 아프고 갈증이 난다[입문].
남경금화주(南京金華酒)
맛이 아주 달다[太甛]. 많이 마시면 속에 머물러 있고 담(痰)이 뭉친다[입문].
회안녹두주(淮安菉豆酒)
녹두가 든 누룩으로 만든 것이므로 독을 푸는데 좋은 술이다[입문].
강서마고주(江西麻姑酒)
마고천의 샘물로 만들었다고 하여 마고술이라고 하는데 맛이 특별히 좋다[입문].
소주(燒酒)
원나라 때부터 나온 술인데 맛이 아주 독하다[極辛烈]. 그러므로 많이 마시면 사람이 상할 수 있다.
자주(煮酒)
맛이 특별히 좋은데 여름에 마시면 좋다[속방].
이화주(梨花酒)
빛이 맑고 맛이 좋은데 봄과 여름에 마시면 좋다[속방].
조(糟, 술지게미)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짜며[ ] 독이 없다. 얻어 맞아서 어혈(瘀血)이 진 데는 이것으로 찜질하고 얼어서 상한 데[凍瘡]는 이것으로 씻는다. 뱀이나 벌한테 쏘인 독과 채소독을 없앤다.
○ 또한 물건을 보관하는데 이것을 넣으면 물건이 변하지 않고 부드러워진다[본초].
시( , 약전국)
성질이 차고[寒] 맛이 쓰며[苦](짜다[ ]고도 하고 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상한으로 머리가 아프고 추웠다 열이 나는 것[傷寒頭痛寒熱]과 산람장기( 氣)를 치료하는데 땀이 나게 하며 뼈마디를 잘 놀릴 수 있게 한다[본초].
○ 약중독, 고독, 학질을 치료한다[본초].
○ 집짐승의 새끼를 먹고 생긴 여러 가지 중독을 푼다[본초].
○ 가슴이 몹시 답답하고 괴로운 것[心中懊 ]을 없애려면 생것을 쓰는 것이 좋다[탕액].
○ 파밑(총백)과 같이 달여서 먹으면 땀을 내는데 제일 빠르다[본초].
○ 식초와 함께 쓰면 좋다[본초]. 만드는 방법은 잡방에 씌어 있다.
장(醬)
성질이 차고[冷] 맛이 짜면서[ ] 시고[酸] 독이 없다. 열을 내리고 답답하고 그득한 것을 멎게 한다[본초].
○ 여러 가지 생선, 채소, 버섯을 먹고 중독된 것을 푼다. 또한 여러 가지 약으로 생긴 열에 상하였거나[百藥熱傷] 불에 덴 독[火毒]을 없앤다[본초].
○ 흔히 콩으로 만든다. 밀로도 만들기는 하나 콩으로 만든 것보다 못하다. 고기장이나 물고기장들을 젖국( )이라고 하는데 약으로는 쓰지 못한다[본초].
○ 간장은 가질 ‘장(將)’자의 뜻을 딴 것이다. 간장에 양념을 잘 배합하면 5장을 편안하게 하기 때문에 옛날부터 사람들이 먹지 않을 수 없었다. 장은 콩으로 만들고 오랫동안 묵은 것이 좋다[입문].
초(醋, 식초)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시며[酸] 독이 없다. 옹종(癰腫)을 삭히고 혈훈(血暈)을 낫게 하며 징괴( 塊)와 뜬뜬한 적[堅積]을 헤친다[본초].
○ 산후혈훈과 여러 가지 원인으로 피를 많이 흘려서 생긴 혈훈증과 가슴앓이[心痛], 목구멍이 아픈 것[咽痛]을 치료한다[본초].
○ 일체 물고기나 고기나 남새의 독을 없앤다[본초].
○ 식초를 보고 신 것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쓴 맛이 있기 때문에 민간에서는 고주(苦酒)라고 한다[본초].
○ 고주(苦酒)는 쌀로 만든 식초를 말한다[득효].
○ 많이 먹으면 살, 5장, 뼈가 상할 수 있다[본초].
○ 약으로는 반드시 2-3년이 된 쌀초[米醋]를 써야 좋은데 그것은 곡식 기운이 많기 때문이다. 밀로 만든 식초는 이것보다 못하다[본초].
○ ‘초(醋)’자는 조치한다는 ‘조(措)’자의 뜻과 같은 것인데 5가지 맛을 조절하여 알맞게 한다는 것이다[입문].
이당(飴糖, 엿)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다[甘]. 허약한 것을 보하며 기력을 돕고 5장을 눅여 주며 담(痰)을 삭히고 기침을 멎게 한다[본초].
○ 이당을 또한 교이(膠胎)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진한 꿀(厚蜜)과 같은 물엿을 말하는 것이다[본초].
○ 자줏빛이 나는 것이 엉켜서 호박빛깔이 된 것을 교(膠)라고 한다. 빛이 희고 굳게 엉긴 것을 성당( 糖)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약으로 쓰지 않는다[탕액].
○ 엿이라고 할 때에는 무른 엿을 말한다. 건중탕(建中湯)에 넣어 쓰는데 그 기운은 비장으로 들어간다[탕액].
○ 엿은 토(土)에 속하는 것이지만 불로 고아 만들었기 때문에 습한 곳에서도 열이 몹시 생기게 한다. 그러므로 많이 먹으면 비풍(脾風)이 동(動)할 수 있다[단심].
○ 여러 가지 쌀로 다 만들 수 있으나 오직 찹쌀로 만든 것만 약으로 쓴다[본초].
두부(豆腐)
성질이 평(平)하고(차다[冷]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있다. 기를 보하고[益氣] 비위를 조화시킨다[和脾胃][입문].
○ 두부는 독이 있고 성질이 차다[冷]. 기(氣)를 동(動)하게 하고 신기(腎氣)를 동[發]하게 하며 두풍, 헌데, 옴을 생기게 할 수 있다[식물].
○ 많이 먹으면 배가 불러 오르고 생명까지 위험한데 이때에 술을 먹으면 더 심해진다. 이런 때에는 찬물을 마셔야 삭는다[속방].
○ 속이 차서 몹시 설사하고 방귀가 많이 나갈 때에는 먹지 말아야 한다[입문].
용저두세강( 杵頭細糠, 절구공이 묻은 겨)
성질이 평(平)하다. 갑자기 목이 막혀 음식이 넘어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반위로 음식이 내리지 않을 때에 먹어도 곧 낫는데 그것은 절구공이로 내려 짓찧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본초].
직미(稷米, 피쌀)
성질이 차고[冷]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열을 치료하는데 기를 돕고 부족한 것을 보한다[본초].
○ 많이 먹으면 찬 기운[冷氣]이 생긴다. 8가지 곡식 가운데서 제일 좋지 못한 것이다. 8가지 곡식이란 기장(黍), 피(稷), 벼(稻), 양미(梁), 조(禾), 참깨(麻), 콩(菽), 보리(麥)를 말한다. 여기서 조는 조싹(粟苗)을 말하는 것이고 참깨는 검정참깨(胡麻)를 말하는 것이고 콩은 흰콩(大豆)을 말하는 것이고 맥은 보리쌀(大麥), 밀(小麥), 겉보리( 麥)를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곡식의 전부이다[본초].
○ 피(稷)는 채( )의 딴 이름이다. 피도 역시 곡식의 한 가지인데 기장 비슷하면서 알이 잘다. 요즘은 검정 피쌀을 자( )라고도 하는데 이것이 5곡 가운데서 상품이다[입문].
○ 피쌀(稷米)로도 밥을 지을 수 있으나 찰지지 못하고 맛이 슴슴하다[淡]. 이것은 요즘 검정 피쌀( 米)이라고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본초].
'동의보감 > 탕액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으로 쓰는 물(水部) (0) | 2016.05.28 |
---|---|
약으로 쓰는 흙(土部) (0) | 2016.05.28 |
인부(人部) (0) | 2016.05.28 |
약으로 쓰는 새(禽部) (0) | 2016.05.28 |
약으로 쓰는 짐승(獸部) (0) | 2016.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