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96

  1. 2016.05.31 사암 동씨 방
  2. 2016.05.31 동씨기혈
  3. 2016.05.31
  4. 2016.05.31
  5. 2016.05.31
  6. 2016.05.31 다리
  7. 2016.05.31 머리
  8. 2016.05.31 몸 앞
  9. 2016.05.31 등 허리
  10. 2016.05.31 사암혈도
2016. 5. 31. 15:49

사암 동씨 방 침방2016. 5. 31. 15:49

董氏 · 舍岩鍼處方

<내경편 (內景篇)> / / / 痰飮 / 五臟六腑 / 肝臟 / 膽腑 / 心臟 / 脾臟 / 胃腑 / 肺臟 / 腎臟 / 膀胱腑 / 小便 / 大腸腑 / 小腸腑 / 大便

<외형편 (外形篇)> / / / / / / 口舌 / 牙齒 / 咽喉 / / / / / / 頸項 / / 整形 / / / 前陰

<잡병편 (雜病篇)> / / / / 咳嗽 / 浮腫 / 救急 / 婦人 / 小兒


<내경편 (內景篇)>

◈ 神

▣ 不眠

1. 환자가 예민해있으면 鎭靜穴(印堂).

2. 不眠 : 神門.

3. 太陽穴 頭痛이 있으면서 不眠症 : 이상혈(눈썹위 옆에서 平刺).

◈ 血

▣ 어혈방

: 太白 太淵 [+] 曲池 外關[-]인데 다 놓을 필요 없다. 太白이 50%이고 曲池가 그 다음이다. 두 개만 놓아도 된다. ※ 어혈방도 병증에 따라서 太淵[+]가 좋은 수가 있다.

※ 瘀血 : 通卽不痛이니 通케함. 병이 잘 치료 안될 때 瘀血病으로 보이면 먼저 처치해주고 다른 처치를 한다. 사전조치역할인 경우 많다.

⊙ 金林放血 : 瘀血, 血虛의 개념. 血濁의 경우(久病者, 여기저기서 치료해도 안 나았던 자, 오래된 腰脚痛에 탁월하다. 단 委中放血을 같이 해라)

※ 金林穴 : 金神穴(흉추3-4기준 옆으로 6寸) - 木原穴- 木太穴 상하로 세穴.

※ 三金放血 : 膝部이상, 沖소放血 : 後頭痛.

◈ 痰飮(담음)

⊙ 임상례> (소뇌이상)으로 어지럽고 매스껍고 구역감 있는 中風환자 → 痰飮이다. → <肺正格의 補瀉를 바꿔 + 鼻翼>

⊙ 痰飮증상 + 心臟熱증상 → 少府[-]하여 火克金하지 못하게 한다.

◈ 臟腑論

◈ 오장육부 (五臟六腑)

◈ 간장 (肝臟)

▣ 肝

1. 上三黃(明黃이 가장 빠름).

2. 肝門 腸門.

3. 肝炎穴(足內과上2寸뼈쪽으로 붙는다. 復溜는 인대 즉 아킬레스건쪽이다, 三陰交線上).

4. 木炎穴 : 소변. 눈이 좋아진다.

5. 上曲放血 : 간경화.

⊙ 肝炎 : 明黃, 肝門-腸門, 肝炎穴, 木炎穴등을 응용.

◈ 담부 (膽腑)

▣ 膽

1. 上三黃. 明黃이 제일 효과가 좋다.

2. 木枝 : 담석증, 담낭염.

⊙ 膽石症으로 인한 통증 : 膽虛느낌인 경우 => 木枝穴(膽正格)

◈ 심장 (心臟)

▣ 心

⊙ 心臟과 연결되는 病이 많다. 心은 다 熱이므로 瀉하는 개념의 放血요법이 훨씬좋다.

1. 尺澤(曲陵)放血★ ★ ★ ★ : 最多用처방. 모든 心관련질환에 必用한다. 예)심장마비, 胸비, 胸痛, 정충등. 肺의 느낌관련된 경우 특히.

2. 四花中,外 放血: 만성 위장병은 四花上을 放血, 심장의 문제는 曲陵을 같이 放血. 胃經상에 있으므로 위장관련병에 특히 고려한다.

(心臟病에 胃가 안좋으면 四花上을 같이 放血한다. 심장자체에 문제가 있으면 四花副穴을 방혈한다.)

3. 心門(깊게 넣지 않는다) : 특히 肝門-腸門등 소장관련증상있을 때 의외로 괜찮다.

4. 三士穴 : 정충.

5.. 通關 通山 通天 : 心肝의 느낌. 특히 肝쪽.

6. 少府[-] : 어떤 관절질환이 많을 때 & 火의 느낌이 많을때.

7. 少澤[-] : 소장관련.

8. 內關 : 心 胃.(胃하고 관련중요)

9. 火包放血 : 心痛.

⊙ 火主.

◈ 비장 (脾臟)

◈ 위부 (胃腑)

▣ 脾胃

★ ★ 四花中, 外放血이 제일 중요 : 만성병은 四花上을 같이 放血.

A. 心下비痛일 경우 → 土水 內庭[-].

: 心下비. 急性적인 滯氣에. 中脘까진 안간다.

※ 泄瀉가 있는 心下비痛(滯)엔 門金. 太陽穴頭痛이 있을 때 더욱 효과적이다.

土水 : "心下비痛"(급성의 느낌)에 제일 잘 듣는다. 魚際혈에서 掌쪽으로 약간 들어가서. 急滯등으로 心下가 답답하고 아픈 경우 거의 다 듣는다. 中脘으론 안간다.

B. 中脘部位 → 解谿(補,瀉).

內關 → 胃(中脘有積者)의 積으로 인한 痛症이 없어짐. 그 자리에서 積과 痛이 줄어든다. 神經性인 경우엔 內關. 手足無力있으면서 滯氣있을 때.

⊙ 배에 積이 있으면 內關과 照海

⊙ 公孫 [-] : 心下에서 中脘까지 감. 눈하고도 관련되면 특히(五分뒤의 火菊穴). 脾胃문제있는데 눈이 안좋으면 公孫.

⊙ 足三里 [-] : 肥瘦로 肥濕의 개념으로 판단.

( 太白[-] : 臍腹痛.

陰谷[+] : 下腹痛.)

腎關 通胃 : 위산과다(속쓰림), 번위.

▣ 滯땀방 → 【少商放血 開脾放血, 5指端의 中間과 바깥쪽 放血】이 4개 따면 가장 효과적. 或加四花中,外穴.

⊙ 동씨침 : 四花中,外穴 放血하고 通關-通山을 쓴다.

⊙ 소화가 안된지 오래 됐으면 " 解谿 補 "

금방 滯해서 명치밑이 답답하면 " 解谿 瀉, 內庭 瀉 "

" 土水 "," 少商 放血 "

中脘 주위가 뭉쳐있거나,아프면 " 解谿 補, 內關 瀉, 照海 瀉 "

속이 쓰리거나,신물이 나오면 " 腎關, 通胃 "

⊙ 解谿는 火穴이란 개념으로 熱의 느낌.

三里는 土穴이란 개념으로 濕이란 개념.

◈ 신장 (腎臟)

◈ 방광부 (膀胱腑)

▣ 腎,膀胱

⊙ 下三皇

⊙ 通腎-通胃-通背.

⊙ 신,방광결석 : 馬金水, 馬快水

⊙ 盆中 : 무릎이 부을 경우.

◈ 소변 (小便)

▣ 尿意頻數

中極.

腎關이 좋다. 馬快水 馬金水.

夜尿穴.

⊙ 海豹, 木婦도 좋다.

⊙ 夜尿穴 : 야뇨증에 추가(5指 掌側 '腎')

⊙ 排尿痛 → 馬快水가 좋다(예:방광결석). 靈骨, 火主도 좋다.

◈ 대장부 (大腸腑)

▣ 大小腸

1. 四花中,外放血.

2. 아랫배가 아플 때 : 大間 浮間(小腸疝氣나 小腹痛) 中間.

 

◈ 소장부 (小腸腑)

◈ 대변 (大便)1,2

⊙ 門金, 腸門. ※ 門金 : 滯했는데 泄瀉하는 경우.

⊙ 其門-其正-其正 : 변비 치질에 다 좋다.

⊙ 痔疾은 委中放血이 아주 좋다.

⊙ 便秘 : 商陽 少商 두군데 많이 放血, 其門-其角-其正.

<외형편 (外形篇)>

◈ 두 (頭)

⊙ 대체로 경락을 잘 관찰해서 해당 경락의 火穴을 瀉하거나 正格or勝格을 쓴다. 가령 三焦經上의 두통이면 支溝[-]. 膽經上이면 陽輔를 瀉한다.

⊙ 동씨침의 前, 頂, 偏,後頭痛區도 잘 듣는다.

⊙ 靈骨 大白하고 內關만 놔도 대부분 다 좋다.

▣ 頭痛(두통)

1. 靈骨-大白 : 頭痛에선 가장 기본되는 穴(頭는 諸陽之會 故 大白).

※ 에어콘 바람(선풍기바람, 찬바람)을 싫어하면 加腎關 : 肝病. 어떤 경우는 腎關만 써도 좋다.

※ 디스크나 坐骨神經痛에선 上焦熱感있을때만 大白穴을 配合했다. 원래 靈骨은 下焦로 가고 大白은 上焦부분로 간다.그래서 이런 병에는 大白을 쓰지 않았다.

2. 內關 : 神經性. 신경질적인 느낌이 드는 者. ※ 神經性인 者 → 四花中,外穴이나 尺澤放血하는 사람과 비슷.

▶ 정충(가슴두근) 비(가슴답답)

소화불량

배에 積聚있을때(특히 中脘부위에 뭉쳐있을 때)

→ 膝痛에도 좋다.(少府, 少澤, 內關은 무릎병에 다 비슷한 느낌이다. 약간씩 차이)

이런 사람이 頭痛있을 때 內關을 사용함.

心包經과 胃經의 相通관계로 연결된다.

3. 뇌진탕 두통 → <然谷 三重放血 後 + 正筋 正宗, 上瘤> : 과거에 머리를 부딪혀 瘀血頭痛인 경우. ※ 中風환자도 뇌진탕환자와 비슷하게 보아서 똑같이 三重(膽經)과 然谷(腎經)을 放血해도 좋다. 火의 느낌이다.

※ 三重放血 : 口眼와斜, 中風, 腦震蕩. 偏頭痛.

▣ 偏頭痛(편두통)

1. 側三里 側下三里 : 왠만한 偏頭痛엔 다 듣는다. 風市도 같이 다 듣는다. 대부분 膽經上의 頭痛이다.

2. <三重, 四花外 放血>→ 口眼와斜에도 좋다.

3. 膽經을 사용(正格 勝格)

4. 陽輔[-] : 膽經의 火穴을 瀉.

5. 鼻翼 : 뇌자체가 맑지 않으면서 전체적으로 문제있을때.

6. 六完, 明黃 : 다른 穴이 안될 때 사용.

⊙ 瘦人이 偏頭痛이 있는데 少陽相火원인으로 보고 支溝[-](瀉火)시켰다.

▣ 後頭痛

1.★ ★ ★ 沖소放血 : 후두통에 예외가 없다.

2. 正筋 正宗.

3. 간혹 腕順1,2穴 : 여자의 肝, 下腹病있으면서 後頭痛잇을 때. 小腸→膀胱經으로 가는 느낌.

▣ 前頭痛 ※ 대부분 소화문제가 원인인 경우.

1. 火菊(公孫뒤로 산넘어서 5分뒤다)★ : 足太陰脾經上.

2. 中渚[-]★ : 木克土(陽明病)못하게 함.

▣ 頂頭痛

1. 靈骨 大白. 明黃. 內關. 正宗.

꼭대기 아픈 두통이 熱이 월등히 많다. 後頭痛도 다 熱인데 頂頭痛이 더 심하다.

2. 도장침으로 患部 瀉血. 모든 頭痛에 다 효과난다. 모든 頭痛은 다 熱病이다.

3. 湧泉. 꼭대기하고 꼭대기다.

▣ 太陽穴 頭痛(消化障碍頭痛, 氣厥頭痛)

⊙ 門金이 최고. 이걸로 안낫는 경우 없다. 간혹 膽經의 頭痛인 경우으로 보고 風市도 쓴다.

▣ 眉稜骨痛

⊙ 風市.

▣ 眩暈(현훈)

1. 血虛로 인한 眩暈(貧血등) → 右通關 通山 : 心臟의 문제는 주로 오른쪽을 使用. 양쪽 使用時 通關 通山만 사용.(고혈압자 조심). 通關-通山-通天은 心臟과 腎臟에 다 작용한다.

2. 肝으로 인한 眩暈 : 明黃 → 上三黃(明黃만 써도 된다) + 腎關 復溜(補肝腎)

※ 腎關 : 소화안되고 속쓰림 위산과다있으면서 + 五十肩 + 重感 + 惡風.

※ 復溜 : 눈침침하다던가 이런 증상있으면 腎關 復溜를 配伍해준다.

3. 風(中風등)으로 인한 경우 : 肝勝格(少府 行間이 主穴) 잘 듣는다.

4. 痰飮으로 眩暈 : 太白 太淵[-] 少府 魚際[+](肺正格의 補瀉반대)

5. 血壓높아서 어지러운 것 → "湧泉後一寸"이 잘 듣는다.

6. 중심을 못잡으면서 어지러울 때 "鼻翼"

7. 뇌속의 문제 의심되는 경우 → <三重 四花放血 양측> 이래놓고 어지러운 것 치료한다.

⊙ 너무 어지러워서 고개를 못돌림, 뒷목,어깨 뻣뻣. → 足三里[+]or[-].

⊙ 膀胱經따라 머리전후로 두통 → 膀胱正格이나 勝格.

◈ 면 (面)

▣ 구안와사(안면신경 땡기는거나 中風이나 거의 같이 본다.中經絡이다.)

※ 肝아니면 心아니면 膽이다.

⊙ 동씨침 동치방 <三重 側三里 通腎>

1. 三重 四花外放血 : 무조건 해라. 兩側. 新久不問하고. 三重은 針도 좋다.

※ 동씨침에서 구안와사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는 (三重, 四花外放血)말고는 없다.

2. 公孫, 內關, 解谿[-] : 食滯가 있을 경우.

3. ★★★ 液門[-](三焦經의 水穴을 瀉→얼굴이나 눈이 무겁다) :아주 좋다. 전체적, 눈 주위의 이상이 있을 때. 눈이 안감길 때 液門[-].

⊙ 然谷[-] : 腎과의 관계. 水火交濟가 잘안되는 경우의 腎經의 火穴. 上熱下寒證이 있을 경우.

⊙ 少海[+], 然谷[-] : 心實, 上熱下寒.

4. <陰谷[+] 經渠[-]> : 肝과의 관계. 口眼와斜+반신불수. 눈.

5. 陽輔[-] 혹 崑崙[-] : 後頭痛이 있을 경우 卽效.

6. ★★★ 完骨[-] : 얼굴이 뻣뻣할 때, 반대편 눈을 향해 찌른다.

7. 通腎 : 口渴症이 있을 때 사용.

8. 駟馬, 側三里 側下三里.

9. 三泉 : 입쪽에 작용, 膝蓋上緣에서 1.5 - 0.5寸사이에서 取穴.

10. 肩井 : 患側에 施術.

11. 地倉 透 頰車 : 健側에 使用.

12. 久病者 患部放血.

13. 風市.

14. 解谿[-] : 눈밑&입주위의 麻痺.

cf. 中樞性 口眼와斜는 完骨을 꼭 침을 놓고, 口眼와斜에 準해서 治療.

⊙ 臨泣[+].

⊙ 前谷[-].

⊙ 안면이 실룩실룩거리는 사람 → 董氏針方 ; 駟馬가 좋다. 馬快水 六完을 건측에, 견정을 患側에. 가끔 잘 듣는다. 三重, 四花中 放血좋다.

⊙ 三叉神經痛에 外膝眼이 잘듣는다.

⊙ 心아니면 肝을 벗어나지 않는다.

⊙ 구안와사 후유증으로 눈물이 많이 나는 환자(눈물이 많이나는 환자나 건성안 환자나 똑같다. 시기적인 차이일 뿐이다) → 太谿瀉. 구안와사가 눈쪽으로 문제가 많이 왔을때에 太谿瀉가 좋다.

▣ 안면마비(Bell's palsy) & 안면경련

肝臟이 虛한 경우 → 陰谷 補.(肝正格 補水)

心臟문제 → 液門 瀉.(三焦正格 瀉水)

# 구안와사, 안면신경마비 안면경련 :

" 三重 방혈, 陰谷 보, 經渠 사, 液門 보 "

안면 부위가 안 좋으면 "完骨(담경) 사 "

◈ 안 (眼) 1,2

▣ 眼疾患

⊙ 內障은 肝病이고 外障은 肺病이다. 黑睛은 腎.

⊙ 眼充血 → 行間[-] or 少府[-]하면 없어진다.

1. ★ ★ 明黃(肝느낌) 復溜(腎느낌. 金克木개념) → 눈자체로 감. 이 2개가 제일 좋다.

火菊 ; 눈꺼풀쪽에 작용하지만 환자는 눈이 좋다고 한다.

太衝 ; 잘 모르면 걸리는 수가있다.

2. ★ ★ 주원혈(엄지손가락 첫마디 양쪽) : 眼病의 통치방.

3. 上白 : 목의 문제로 눈의 문제.

4. 迎風冷淚 ; 木穴, 太谿 [-], 花骨1, 三重放血, 下三皇.

※ 눈물나는것=안구건조증 같은 병이다.

5. 眼瞼痙攣 : 木火3이나 風市만 갖고도 다 낫는듯.

상안검 : 木火3(손의 제4指 첫 번째 마디 中間), 膽穴.

하안검 : 木火3. 上白, 上三黃 肝門.

※ 木火3이 상하안검에 다 제일 좋은데, 상안검엔 膽穴도 좋고, 하안검엔 上白도 좋다.

※ 안검경련에 측삼리-측하삼리, 신관도 책에 있는데 혹시나. 風市도 써볼만.

6. 斜視 : 下三皇 上白.

7. 眼瞼下垂 : 火菊(眼瞼을 脾에 배속)이 잘듣는다. 叉三도.

⊙ 太谿[-] : 眼澁痛 눈껄끄럽다 눈물난다.

⊙ 少府[-]하면 눈도 좋아진다. 實則瀉其子. 肝熱, 上熱이 제거됨. 少府[-]하면 肝熱까지 같이 사라진다. 그러나 肝熱을 瀉한다고 해서 心熱이 없어지진 않는다.

◈ 이 (耳)

▣ 耳疾患

1.★ ★ ★ 駟馬放血이 제일 좋다. 무조건. 耳鳴있을때도.

2. 三重 四花外放血 : 먼저 施術.

3. 駟馬 明黃.

4. 耳鳴 : 駟馬 或加 腎關이나 明黃

※ 腕順1,2穴 風市 曲陵 門金.

⊙ 귀가 멍하다(耳塞感) → <三重 四花外 무조건 放血> 熱의 느낌(소양감,통증등)

◈ 비 (鼻)

▣ 鼻疾患

⊙ 콧병 제일 중요한 감별점 ;

淸涕 → 보중익기탕 類.

黃涕이면서 鼻塞이냐 → 通竅湯. 熱이 많을땐 防風通聖散 or 黃連通聖散.

1.★ ★ ★ 駟馬放血이 일등. → 黃涕의 느낌.

2. 肩中 : 코가 막히는데. 頸項皮膚病.

3. 木穴 : 눈,코의 乾燥, 눈물, 콧물 나는데.

4. 靈骨-大白 : 基本穴로 사용(熱이 있으면 上白), 倒馬할 경우 大白..

※ 어떠한 鼻病이라도 다 熱病이므로 靈骨 大白을 같이 붙여주라.

5. 肩中 六完 : 코피. ※ 콧병(축농증, 鼻炎等)에 數脈이 없어지지않으면 재발한다. 數脈이 없어져야한다.

⊙ 鼻塞(비색)에 駟馬中放血하면 양쪽코가 그냥 확뚫려버린다. 양쪽 코가 막히면 양쪽 駟馬穴을 放血한다. 대부분 양쪽으로 鼻塞이 온다.

▣ 코고는 경우

三重이 잘듣는다. 三重이 듣는다는 건 膽正格(竅陰[-] 俠谿[+])이 듣는다는 얘기하고 똑같다. 熱이다.

⊙ 특히 酒傷熱毒이면 防風通聖散이 아주 좋다. 防風通聖散을 주면 熱쳐주니까 눈이 좋아졌다는 얘기를 많이 한다. 수면중 무호흡도 다 熱이다. 코고는 것 이빨가는 것이 熱때문이면 防風通聖散이다.

◈ 구설 (口舌)

▣ 口內炎의 경험방

▶ 三焦經의 火穴인 支溝[-], 水穴인 液門[+], 小腸經의 火穴인 陽谷[-].

◈ 아치 (牙齒)

▣ 齒

1. 靈骨 側三里 側下三里 交刺. 靈骨이 제일.

2. 四花外.

3. 浮間 外間 三齒穴.

⊙ 잇몸병 上→胃經, 下→大腸經.

⊙ 턱관절문제 반대편 下關.

▣ 잇빨 가는 경우

1. 腑腸(條口下 3寸), 四花下(條口下 4.5寸)이 제일 낫다. 三重보다 낫다.

2. 三重.

◈ 인후 (咽喉)

▣ 咽喉病

⊙ 열내림방하고 똑같다.

1. 三重 足千金 放血. 三重방혈이 더 낫다.

2.★★ 少商 二間 放血(주위의 靑筋을 모두 放血) : 충분히 放血시켜주면 解熱劑보다 위력이 크다.

3. 然谷[-], : 腎虛의 느낌(陰虛火動). 感氣로 熱일 경우에 좋다.

支溝[-].:일반적 熱. 三焦經이기때문데 전체적인 熱일 때 참 좋다.

4. 中渚[-], 陰谷[+].

5. 失音穴 : 목이 쉰 경우.

◈ 요 (腰)

▣ 腰痛(요통)

※ 正筋-正宗 崑崙瀉 七虎(太谿上2寸)는 척추뼈의 整列을 한다. 척추뼈가 삐뚤어진 경우 좋다.

◎ 앉았다 일어날 때 腰痛 :

後椎-首英. 二角明만큼 잘 듣는다. 일반적으로 허리아프면 二角明을 써보고 그래도 안되면 後椎-首英. 실제 後椎하나로 끝난다.

中白 : 胸痛이나 胸背痛, 咽喉痛, 小腿痛,腎虛腰痛에도 쓴다. 三焦經의 中渚개념. 足少陽膽經쪽으로 갈 때 특히 좋다.

◎ 二角明 : 腰痛중 捻挫나 筋肉痛에 좋다. 사암침을 제외하면 허리에 제일 많이 쓰는 穴이다. 뼈나 협척혈쪽엔 肺心을 쓰고 二角明을 별로 안쓴다.

◎ 靈骨 大白

◎ 앞으로 못구부릴 때 叉一(中白 下白 腕順1,2혈의 개념을 다 포함한다). 靈骨 大白.

◎ 뒤로 못펼 때 : 後椎-首英. 申脈.

◎ 좌우로 돌리지 못할 때 : 正筋 正宗.

◎ 腰眼穴부위가 아플 때 : 馬金水 馬快水(소변의 문제있는 경우:소변빈삭,야뇨,소변불리)

◎ 水金 - 水通 : 기침(腎虛로 因함).

◎ 生理時 腰痛 : 玉火 婦科 還巢 腕順1,2穴. 단순히 생리때만 아프다 하면 婦科하나만 써줘도 된다. 腕順穴은 특히 허리뒤쪽 방광경상으로 아플경우에 좋다. 玉火는 전체적인 瘀血의 개념이 있을 때. ※ 流産後 腰脚痛(방광경) → 腕順1,2가 좋다. 만약 子宮에 瘀血이 많았으면 玉火쓰고.

◎ 소화장애로 因한 腰痛(누워있을 때 더 아프다) :

土水(뼈쪽으로 취혈. 魚際부분).

胃正格(병이 오래됐으면 解谿[+], 急病이면 解谿[-]한다)

◎ 夾脊穴부위가 아플 때 : 馬快水 or 腕順1,2穴 or 風市.

※ 夾脊穴부위도 뼈로 보고 太白[-] or 太谿[-]도 좋다.

◎ 養老 : 모든 腰痛.

◎ 委中放血 : 잘 안나을 때 모든 질환에 사용해라. 머리에서 발끝까지 후면의 경락의 흐름을 좋게해준다. 허리,종아리등. 혈자리를 반드시 잡고 放血해야한다.

※ 肺心, 二角明은 오래된 骨病환자는 안된다.

◎ 肺正格 : 肺氣虛증상(감기자주,재채기,맑은 콧물,감기오래감)있을때.

◎ 大腸正格 : 변비심하거나.

◎ 간,담경 : 어지럽다, 눈이 침침,충혈, 惡心, 疲困, 手足掌黃.

⊙ 허리아플 때 제일 많은 게 肝病이다.

▣ 腰痛의 舍岩針法

◎ 膀胱經上 → 膀胱正格이 잘 듣는다. ※ 肥濕한 사람 → 膀胱勝格이 좋다.

◎ 膽經上 → 膽正格.

◎ 肺正格 → 가끔 듣는다.

◎ 뼈쪽 → 腎正格.

◎ 肝虛의 느낌 → 肝正格.

◎ 대변의 문제, 대체로 변비쪽 + 氣虛 + 肥濕한 느낌 → 大腸正格.

※ 항상 舍岩針에서 自經쪽 보다는 他經쪽이 더 효과가 좋다.

▣ 급성요통(좌섬요통)

◎ 馬金水 + 水通.

◎ 二角明.

◎ 行間上 一寸.

◎ 中白 下白.

◎ 束骨 : 깊이 찔러라. 발가락, 손가락의 3,4,5지가 아픈 경우.

※ 委中放血을 하고. 以後 束骨을 놓는다.

▣ 둔첨통(꼬리뼈가 아픈 경우)

※ 肺心이나 海豹가 제일 좋다. 실제로.

◎ 崑崙[-] :척추전체에 해당됨.

◎ 大都(海豹穴)

◎ 心門 : 어떨땐 듣고 어떨땐 안 듣는다.

◎ 正筋 正宗 : 足根에서 後頭部까지 전체적으로간다.

◎ 養老穴.

▣ 脊椎痛 뼈가 아픈 경우

太谿瀉 or 太白瀉 : 결국 腎正格 개념. 척추사이 아프다. 必效. 土克水못하게. 디스크환자도 척추가 아프면서 시작되면 이렇게 한다. ◎ 오래된 脊椎病 : 太白[-](뼈로 간다) 太白이 제일 좋고, 太谿[-] 經渠[+]가 다음이다. 復溜는 별 의미없다.

동씨침의 明黃下 4.5寸(膝上3寸 & 其黃下 1.5寸)도 좋다.

뼈쪽이면 肺心 (二角明도 급성염좌로 옆으로 아플때에 좋다.)

行間上一寸穴(肝正格 & 明黃下4.5寸과 느낌이 같다)도 뼈에 좋다. 그래서 디스크에 쓰는 것이다.

崑崙瀉도 좋다. ※ 척추뼈가 아픈 경우 : 崑崙[-] 正筋 正宗.

※ 骨病은 正筋 正宗 崑崙[-] 太白[-].

▣ 척추뼈 교정방

허리나 목쪽의 디스크, 척추뼈가 비틀어지거나 휘었거나 아픈 경우 → 【 正筋 正宗 崑崙[-] 七虎】

※ 正筋 正宗은 인체의 후면을 잡는 穴이다. 뼈로 간다. 足外에서 뒷머리까지 간다.

※ 뒤쪽으로 척추에 문제있으면 무조건 이 혈로 교정을 해놓은 다음에 시작.

※ 崑崙[-]가 七虎穴이나 正筋 正宗보다 더 효과가 크다. 특히 崑崙[-]는 膽經上으로 온 경우. 股關節痛에도 崑崙[-]를 쓴다.

▣ 腰痛의 통증부위별 침법

⊙ 척추뼈 자체의 통증 : 腎(虛腰痛)이다. 가령 부부 관계후 요통이 심해진 경우도.

※ 腕順1,2穴 : 하복통증, 자궁통증, 肝經의 문제와 관련있는 경우.

⊙ 협척부위의 통증 : 風市(健側)

⊙ 腰眼(PSIS부위) : 馬金水-馬快水.

⊙ 전체적으로 과로후 통증 : 肝正格. 근육성 腰痛인 경우 肝正格을 제일 많이 쓴다.

▣ 坐骨神經痛(좌골신경통,디스크)

肩中 - 雲白 - 上曲 : 제일 좋다. Hip(r/o 이상근)부터 아픈 좌골신경통.

⊙ 還跳穴-坐骨穴 長針 倒馬 : 健側이 훨씬 좋다. 디스크로 좌골신경통(Hip부터면)樣이면 이렇게 침을 놓는다.

* 行間上一寸 : 목에 사용(뒤,앞,옆), 요통(급성), 디스크, 筋肉과 관련된 모든 疾患(삔데). 上斜刺하고 최대한 깊이(발바닥에 구멍이 날것같이).

※ 行間上一寸(火硬上 五分)혈자리의 적응증 : 上斜刺(피부면과 45도 각도로 최대한 깊게)

肝으로 인한 腰痛 : 피로, 과로(육체적 & 정시적), 운동, 야간작업후 나타나는 요통.

좌섬요통. 과로로 인한 급성요통.

목전체, 어깨병이 肝으로 인한 경우.

허리디스크, 좌골신경통이 肝이 원인인 경우. 요즘 肝으로 인한 병이 참 많다. 그래서 이 穴자리가 아주 중요하다. 목디스크보다는 허리디스크가 더 좋다.

明黃 : 간정격이나 간승격을 쓸 디스크의 경우에 明黃하나로 팍팍 낫는 경우가 많다.

* 靈骨-大白穴 : 氣虛, 氣滯인 경우

⊙ 疲勞, 多汗, 身重(비오면 찌뿌둥. 濕은 항상 氣虛를 끼고있다.)탈수기의 역할. 소화안되는 경우, 소변 찔금찔금 나온다(小便不禁). 氣虛(자궁이 빠진다, 胃下垂, 胃無力者), 太陽穴痛(氣厥頭痛), 易感冒(감기가 오래감), 鼻流淸涕(鼻炎)경향이 있다.

⊙ 大白은 解熱작용이 있기 때문에 熱이 있는 사람은 倒馬針.

* 中白 下白

中-下白 → 반드시 膝以下의 통증이 있을 때 추가한다.

주로 膽經-膀胱經사이의 통증에 좋다. 起座之腰痛(일어날 때 아픈 사람).

※ 中白=中渚의 개념의 생각하면 좋다.(少陽經)

※ 허리와 다리의 痛症이 비슷할 경우는 中白하나만 쓴다. 下白은 다리로 보낼때는 中白과 가깝게, 허리로 보낼때는 中白에서 멀리 取穴한다. 가끔 液門부위에 선명한 穴자리가 있을때는 中白을 여기에서 取穴한다.

⊙ 後椎-首英 : 디스크 아닌 단순요통. 일어날 때 허리아픈 경우 사용한다.

* 上白 : 膝以下로 아플때(膀胱經쪽).

※ 上白(膀胱經)이나 中-下白穴(膽經)은 다 무릎아래까지 아플 때 추가한다.

※ 上白穴 : 목디스크중 통증이 1-2指쪽으로 올 때, 陽谿穴쪽-엄지쪽의 완관절통(건측 or 양측).

* 鼻翼穴 : 氣虛, 氣滯힌 경우

특히 디스크의 요각통에 좋다. 膽經上으로 아플 때 더욱 좋다.

偏頭痛, 眉稜骨痛, 太陽穴痛. 眼昏. 머리가 맑아진다.

균형조절한다. → 小腦부분의 梗塞이나 出血등 이상으로 惡心,嘔吐, 좌우균형이상 생겼을 때 좋다. 평형감각 상실.

→ 鼻翼양측 取穴하고 痰飮에 대한 針을 추가한다. 痰飮은 반드시 氣虛를 수반하므로 肺正格의 補瀉를 바꿔 針을 놓는다.

※ 井穴이나 鼻翼穴은 1.5cm짜리 침으로 놓는다. 침은 굵기가 문제가 아니다. 가늘어도 제대로만 찌르면 효과가 다 난다. 鼻翼穴의 針尖 : 중심을 향해서.

* 骨關-木關 : 뼈,근육병에 다 좋다. 디스크에 좋다. 활용범위 넓다. 뼈든 근육이든 그 자체가 아플 때 잘 듣는다.

⊙ 骨關 → 腎, 木關 → 肝에 해당.

太白-大都穴의 중간뼈 아픈경우에 통풍성관절염이건 무엇이건 다 좋다.

변형성 관절염.

足外痛에 좋다.

디스크.

* 馬金水-馬快水

◎ 허리의 腰眼穴部位 痛症. 腎虛腰痛(小便不利하면서 腰痛). 허리가 삐긋해서 아프다. 項强 肩背痛.

◎ 馬金水는 근육(腎)의 문제, 馬快水는 뼈(膀胱)의 문제.

⊙ 馬金水 → 腎虛腰痛, 단순히 허리 삐어서 온 경우. + 水金-水通穴 配伍.

뼈에는 작용하지않음. 腰眼穴痛 단독 or 밑으로 아플 경우 馬金水. 소변불리있으면 더욱더 적증이다.

⊙ 馬快水 → 뼈에 작용한다. 腰眼穴痛이 위로 협척으로 아픈 경우 馬快水만. 뼈쪽,디스크처럼.

※ 夾脊穴쪽을 아픈 경우 → 風市 or 腕順(六完?) or 馬快水를 선택.

※ 馬金水-馬快水穴이 튀어나온 경우는 무조건 腎虛한 사람인 경우이다. 침을 놨을 때 침이 안아파야 정상이다.

* 金林放血 : 瘀血, 血虛의 개념. 血濁의 경우(久病者, 여기저기서 치료해도 안 나, 오래된 腰脚痛에 탁월하다. 단 委中放血을 같이)

※ 瘀血의 경우가 제일 못낫는다. 晝輕夜重. 瘀血이면 當歸鬚散. 瘀血침을 먼저 놓을 필요있다. 太白[+], 曲池[-]. 잘 낫지 않으면 무조건 瘀血方.

※ 金林穴 : 金神穴(흉추3-4기준 옆으로 6寸) - 木原穴- 木太穴 상하로 세穴.

※ 三金放血 : 膝部이상, 沖소放血 : 後頭痛.

※ 委中放血 : 허리, 등, 목, 다리등 뒤쪽의 통증에 무조건 좋다. 무릎아플때도.

* 腕順1,2穴 : 아랫배 문제(少腹), 자궁병(생기통), 下腹痛. 肝病(눈 피로 과로)이 있으면서 腰痛, 腰脚痛이 있으며 夾脊穴이 아프고, 膀胱經의 이상이 있을때.

子宮 = 肝이다. 厥陰. 약도 같이 쓴다.

膀胱經의 요통,디스크 있으면서 + 肝病, 下腹痛, 子宮의 문제있을 때 사용한다.

* 支溝 : 膽經형 디스크에 支溝[-]한다.

◎ 膽經上으로 아플 때 다른 것을 해보고 안되면 써보면 아주 좋다. 허리디스크가 膽經上으로, 목디스크가 三焦經上으로 올 경우 支溝瀉가 아주 좋다.

◎ 감기 걸리면 목이 붓는 경우 上熱感 心痛 心煩 정충.

⊙ 三焦經(少陽經)의 火穴로서 人體의 上中下를 다 조절한다. 全身을 잡아준다. 三焦의 熱을 제거한다. 주로 上焦熱. 명치위의 병에 좋다.

※ 병이 너무 복잡하면 三焦正格이나 三焦승격을 일단 놔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頭部 上熱感 (上焦熱) → 支溝[-]가 매우 좋다. 降火氣針의 10배 효과가 있다. 熱내려가는게 보임. 然谷[-] 아주 좋다.

⊙ 목, 허리디스크에도 膽經인 경우 → 支溝瀉한다.

* 至陰補 : 膀胱經, 膽과 膀胱經의 사이가 이상이 있는 下肢痛(大腿에서 委中사이의 痛症).

cf> 勞宮[-], 少府[-] : 心臟의 熱.

* 玉火穴 : 血虛 or 瘀血 → 鼻翼과 대칭개념.

* 僕參 : 새끼발가락쪽으로 4-5cm침을 찔러넣는다. 이런 斜刺하는 長針은 入口가 정확하지 못하면 刺入하기 어렵다.

◎ 디스크, 足外痛, 下肢無力등의 증상중 + 膝以下痛이 있는 경우에 쓴다.(어느 경락이든 모두 간다)

허리아프거나 다리아픈 경우에 좋다. 足外痛에도 쓴다. 어떤 원장은 다리아프면 무조건 僕參을 쓰는 사람도 있다.

⊙ 患側에 사용한다. 특히 膝以下가 아플 때.

⊙ 僕參에 追加穴 : 膽經上 → 陽陵泉 下斜刺(환측), 膀胱經쪽 → 合陽 下斜刺(환측), 내측통 → 三陰交 上斜刺(환측)을 추가한다.

<14> 駟馬穴 : 肺虛. 진짜 안나으면 사용. 肺正格.

<15> 俠谿補.

◈ 협 (脇)

▣ 脇痛(협통)

* 風市瀉(건측>환측) : 痰濕形.

* 駟馬中(患側) : 肺氣虛

* 四花外(健側) : 심장과 위장의 문제있을 때(소화가 안되면서 가슴이 두근거리고 上熱感있을 때)

(* 支溝瀉 陽陵泉瀉)

◈ 피부 (皮)

▣ 皮膚

⊙ 風熱燥인 경우 → 防風通聖散원방이 좋다.

⊙ 皮膚病은 血虛 + 風.

⊙ 皮膚病치료의 기본 개념 <心[-] 肺[+] 肝[-] 脾[+]> 사암침책을 응용해서 써보면 좋다.

1. 駟馬 : 기본이면서 아주 좋다.

2. 肩中, 外白 : 頸項皮膚病. 목위쪽의 피부병에 추가하라.

3. 駟馬 : 臟腑機能失調로 皮膚病.

三仙 : 外部 病毒素로 인한 皮膚病.

4. 大腸正格 : 白疹, 食中毒. 일반적인 皮膚病.

5. 通谷[-] or 二間[-] : 赤疹(붉은 색기운이 많이 돌때), 아토피성 피부병.

cf. 아토피일 경우 : 指駟馬 木穴을 같이 사용.

6. 鵝掌風, 손발바닥 갈라지는것 : 尺澤 委中放血 後 指駟馬 木穴.

7. 肺正格.

8. 小腸正格.

⊙ 皮膚病에는 火穴을 瀉하고 水穴을 補하는 방식은 일시적인 效만 있는듯.

⊙ 手掌皺裂 → 木穴 + 尺澤과 委中點刺放血하면 잘 듣는다.(楊維傑:手足乾燥飜裂出血한 婦人에 2次치료후 나은 경우).

◈ 근 (筋)

◈ 골 (骨)

▣ 諸筋節痛 : 膽 → 商陽 瀉(金克木의 원리)

▣ 퇴행성 관절염

⊙ 少府[+]가 좋다. 무릎, 허리, 어깨등에 다 해당된다. 류마티스(心臟의 熱로 본다)는 少府[-]한다. 관절은 血行의 문제다 그래서 少府(血熱, 血虛개념)를 刺針한다.

◈ 경항 (頸項)

▣ 頸項痛경항통(落枕낙침)

1.★ ★ 束骨 : 목을 앞뒤로 모두 움직이기 힘들 때, 手足 3,4,5指의 저림.

2.★ ★ 後谿 : 목을 左右로 못돌릴때(단순히 左右의 불편). 偏肩穴도 좋다.

3. 承漿 : 목을 앞으로 못 구부릴 때.

4. 人中 : 목을 뒤로 못펼 때. ※ 人中,承漿은 뼈(이빨)에 닿는 느낌이 들정도로 깊게 찌른다. 人中은 上 1/3지점이지만 1/2까지 내려오는 경우도 있다.

5.★ ★ 重子 重仙 : 목, 어깨, 등, 上肢까지 날아간다.(광범위하게). 項頸의 중간부위까지. 어깨, 목주변, 등까지 전체적인 부위에 다 효과가 난다. 어깨전후좌우, 팔, 고황혈, 옆구리, 광배근까지 다 좋다.실제 써보면 거의 효과 난다. 取穴이 어려워 통증 때문에 문제다.

6.★ ★ 通谷[-](1-1.5cm정도로 깊이 뼈밑으로 들어간다. : 肩井-肩胛痛(어깨)에 아주 좋다. 즉 승모근, 극상근, 견갑거근, (극하근)쪽이고 어깨 앞쪽의 사각근, 흉쇄유돌근쪽은 효과 없다. "肩背痛"

※ 상하좌우 운동장애가 동시에 있을땐 해당 穴을 함께 刺針한다. 위의 穴들은 일반적 落枕에 활용할 穴이지 디스크 심한 경우엔 효과 없다. 실제 頸項部 근육통은 束骨이나 後谿.

▣ 경추디스크(목디스크)

1.★ ★ ★ 正脊1,2,3("上骨刺") : 목디스크. 大腸經上에 존재함. + 肺心하는 경우 많다.

2.★ ★ ★ 正筋, 正宗 + 崑崙[-], 七虎1 : 목디스크, 七虎1을 놓아 효과 있으면 2,3도 같이 사용. 목(경추)디스크에 아주 좋다. 健側. 脊椎痛.

※ 崑崙 : 膀胱經의 火穴개념으로서 膀胱의 熱이란 느낌이 깔려있다. 만약 방광이 차서 온 디스크라면 崑崙[+]한다. 그러나 대체로 방광병은 熱로 인해 많이 온다. 60%이상.

※ 각 경락의 寒熱虛實을 반드시 살펴서 치료해야한다. 가령 患處를 따뜻하게 하면 좋다고 하는 사람은 그 經絡의 寒이나 火를 補해주어야한다. 가령 肺寒이면 魚際[+] or 脾經의 大都[+], 脾虛면 補火穴.

3. 肺心 : 목디스크(뼈로 간다, 허리뼈, 목뼈, 꼬리뼈아플때). 正脊1,2,3과 肺心을 같이 사용.

4. 正筋, 正宗 : 項强으로 디스크 발생(脊椎의 교정) 뼈개념. 인체 後面痛의 토치방.

5. 上白 : 목을 左右로 못돌릴때(디스크의 개념), 목디스크의 엄지 검지의 이상(患側 健側 같이 사용. 건측이 더 좋다.) ※ 완관절통중 1,2指쪽으로 퍼지는 것에도 건측 上白穴이 좋다.

6. 行間上一寸 : 急性 腰痛, 목디스크, 요추디스크(肝과 관계).

7. 비關 : 胃와 관계있는 목디스크.

8. 通谷[-] : 筋肉의 문제가 있는 목디스크. 어깨 위,뒤쪽통증.

9. 上三黃 : 목, 허리디스크(肝病).

10. 舍岩침법 經絡에 따라.

11. 陰陵泉 : 목이 아파 뼈와 관계있는 경우. 어깨에서 목뼈까지 올라오는 경우.

12. 腎關 : 뼈와 관계없이 어깨가 아픈 경우. 목아래까지 올라옴.

13. 경추디스크 → 至陰.

◈ 배 (背)

⊙ 肩痛 참조.

▣ 背痛

⊙ 膏황穴통 → 重子重仙穴.

⊙ 背痛이 깊숙이에서 느겨지는 경우 → 正筋-正宗穴.

⊙ 肩背痛에 좋은혈 : " 通谷 사 "

◈ 정형의학질환

▣ 痛風 關節질환

1. 骨關 木關이 잘 듣는다. 下三皇.

2. 靈骨 下白 : 尿酸性 골격근육통.

3. 太白[-].

그러나 위의 穴들은 100%는 아니다.

▣ 全身關節痛 (뼈쪽 느낌)

1.★★ 太白[-] : 척추뿐 아니라 R.A, Deg. O.A등 全身의 관절, 뼈에 다 좋다. "土克水"된 병.

肥濕한 느낌이 있으면서 이런 증상이 있는 경우에 肥濕을 除去한다. 脾經의 土(濕)이 관절변형시켜 뼈이상온 것으로 본다. 脾土의 濕을 제거시켜 土克水못하게 한다. 무릎이건 척추건 손가락이건 다 해당함. 그러나 瘦人은 안됨.

※ 太白[-]의 전제조건 : 濕, 비올라면 관절통 나타나는 者. 肥人. 날씨영향받는자. 上下肢無力, 팔다리 힘없고 무겁다. 身重. 怠惰嗜臥가 있어야한다. 관절변형.

濕 → 관절변형 → 傷骨된 경우다. 가령 퇴행성관절염, 당뇨가 다 土(濕)克水된 병이다.(濕勝傷骨)

2.★★ 少府[-] : 心熱因.

※ 急性(新病)개념. 만약 만성 久病이면 心熱이 있어도 무력증, 手指저림,관절증상에 少府[+]해야한다. 정격,승격, 補,瀉의 개념은 딱 나눠지는게 아니고 병의 經過,시간상의 차이일뿐이다.

※ 가령 脾胃病을 치료하는 解谿穴의 경우, 新病이고 心下病이면 瀉黃散쓰듯이 [-]하면 되지만, 久病이고 中脘까지의 병이고 만성화된어 脾氣虛이면 解谿穴[+]해야한다.

3. 少澤(火膝)[-].

▣ 퇴행성 관절염

⊙ 少府[+]가 좋다. 무릎, 허리, 어깨등에 다 해당된다. 류마티스(心臟의 熱로 본다)는 少府[-]한다. 관절은 血行의 문제다 그래서 少府(血熱, 血虛개념)를 刺針한다.

⊙ 류마티스 관절, 전신 관절통 (슬관절 포함) : " 少府 사 "

⊙ 퇴행성 관절 (슬관절 포함) : " 少府 보 or 사, 太白 사 "

◈ 수 (手)

▣ 肩痛(五十肩오십견포함)

1.腎關 : 어깨가 무겁고 시리고 할때, 팔을 못들 때 사용.上下로 못오릴때.

※ 陰陵泉은 頸項痛의 뼈쪽의 느낌일 때, 腎關은 목에서 내려와 筋肉쪽의 느낌(물론 寒濕의 느낌도있으면서)일 때 쓴다. 기타 두 穴의 느낌은 비슷하다.

2.側三里 : 어깨에서 팔 손끝까지 모두 좋다. 팔을 못들 때 사용.

※ 간혹 腎關과 側三里를 같이 쓸 때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3.★ ★ 通谷[-] : 肩井-肩胛痛(어깨)에 아주 좋다. 즉 승모근, 극상근, 견갑거근, (극하근)쪽이고 어깨 앞쪽의 사각근, 흉쇄유돌근쪽은 효과 없다. "肩背痛"

4. 太衝 : 45도로 上斜刺하라. 肩峰痛, 五十肩, 中風(肝의 느낌).

5. 風市[-] : 다리뿐만 아니라 上肢無力에도 사용한다. 夾脊穴통증(목,흉추옆). 특히 허리나 다리가 무거우면서 無力할 때 더욱 좋다.

濕이 勝하면 筋無力이 온다. 筋無力(東醫寶鑑의 萎證)은 濕病인 경우가 많다. 濕傷筋(肥濕者)해서 筋不束骨해서 無力病이 온다. → 風市 or 補火穴해주라.

6. 四肢上斜刺(內과상 4寸쯤. 뼈에 붙여서) : 感氣로 온몸이 쑤실 때 必效. 몸살로 全身이나 四肢가 아플때.

7. 花骨1,2 : 五十肩이 잘 치료되지 않으면 사용.

8.四花中(條口穴上五分) : 뒤로 또는 外轉(열중쉬어)이 안될 때 사용. 健側, 患側 모두 사용. 胃와 心의 관계.

9. 條口 - 承山 : 깊이 찌를수록 좋다. 四花中穴과 같은 개념으로 보면 된다. 五十肩에 뼈가 아픈 느낌이면 뼈쪽으로 붙여서 條口를 深刺한다. 잘 取穴해야 안 아프게 깊이 들어간다.

10. 條口上 4寸 : 뒤로 外轉이 안될 때.

11. 足千金, 足五金 : 어깨가 아프면서 앞쪽이나 옆쪽이 아프면서 어깨 뒤가 아픈 경우. 咽喉腫痛에 대표적으로 쓰듯이 아픈 자리가 어깨에서 앞쪽(흉쇄유돌근등)으로 아플때 쓴다. 膽經上의 穴자리다. 膽經의 느낌. (위치 : 四花中옆으로 膽經쪽으로 나가서 中點의 上下一寸에서 두 穴을 잡는다)

12. 肩中 : 대칭치료법이다. 여자는 肩峰(5分아래)을 쓴다. 무릎아플 때 반대편 腎關穴을 쓰는것과 같은 이치이다.

13. 肩凝 : 인대의 문제, 어깨, 무릎, 팔꿈치,고관절. 50肩인데 인대문제인 경우. 뼈엔 작용하지 않는다.

14. 重子重仙穴 : 腎關穴과 더불어 肩痛類에 상당히 좋다. 취혈이 어려워 아파서 그렇지! 三焦經이나 小腸經쪽이면 더욱 좋다.

⊙ 五十肩이 手太陰肺經쪽 line으로 통증이 올 때 → 公孫[-]가 좋다.★

▣ 肩峰痛 shoulder주위

1.通胃, 通背 : 등과 어깨가 같이 아픈 경우. shoulder 주변 뒤쪽(通背:방광경 느낌)까지 날라간다. 消化가 안된다 하면 더욱 좋다.

2. 風市[-]. 3. 重子重仙穴 4. 風市穴.

▣ 上臂痛

1.側三里, 六完(膽經의 俠谿穴上一寸) : 제일 좋다.

2. 兩膝眼 : 어깨와 무릎이 對稱으로 아픈 경우. 上臂痛이 있으면서 반대편 무릎이 아픈 경우에 患側 膝眼을 내측을 향해서 깊이 斜刺해서 집어넣는다. 두가지 증상이 동시에 좋아진다. 巨刺法.

※ 무릎아플 때 반대편 대각선의 肩中(혹은 建中倒馬)穴을 取穴하는것과 같은 이치이다. 멀수록 효과가 좋다.

3.人宗(或加 天宗 地宗穴 ※ 心包經에서 약간 肺經쪽에 있다.) : 上臂痛, 주關節痛. 대칭자법.

▣ 주關節痛

1.靈骨 : A. 주관절부위 그 자체가 아픈 경우.

2. 四花中 : B. 팔꿈치에서 그 아래로 아플 때, 胃經, 患側&健側 모두고려. 소화안되고 가슴답답하고 두근거리는 느낌있을 때. 팔꿈치에서 前腕쪽으로 아플때.

3. 人宗 : C. 팔꿈치에서 上臂쪽으로 아플 때.

※ 曲池혈쪽인지 少海혈쪽인지의 구별은 의미없다.

4. 肩凝.

5. 風市.

6.三重 : 팔꿈치에서 그 아래로 아플 때, 膽經.

7. 안되면 舍岩針. 해당경락의 火穴을 瀉하거나 正格, 勝格을 써준다.

8. 支溝[-] : 주關節에서 그아래로 아플 때.

9. 竅陰 : 全身의 一點痛.

10. 曲池, 尺澤쪽의 放血(健側)도 해볼 수 있다.

※ 肩關節치료혈 → 어깨에서 팔아래까지 다치료됨.

주關節치료혈 → 팔꿈치아래까지 다 치료됨.

腕關節치료혈 → 腕이하 손가락까지 다 치료됨.

▣ 腕關節痛

1.側三里, 側下三里 : 손목에서 손,손가락의 증상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어깨에서 손끝까지를 다 치료함. 어느 한부분의 증상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걸쳐있을 때.

2. 三重.

3. 六完 : 膽經의 느낌.

4. 火主 : 肝經의 太衝上五分. → 指관절통에도 좋다.

5. 水泉 : 太谿穴下1.5寸쪽. 腎經. 종골뼈 바로위 움푹들어가는 곳. → 指관절통에도 좋다.

A. 上白 : 陽谿穴 附近 痛症. 健側 또는 兩側取穴(尤效) 1,2指쪽의 腕關節痛.

B. 通關, 通山, 通天 : 陽谷이나 陽池穴附近의 痛症. 3,4,5指쪽의 손등,手掌,손목이 아플때.

▣ 手指痛

1. 勞宮[-] 或 少府[-] : 손바닥쪽으로 全體가 저릴 때. 熱이 있으면서 저리다.

2.腎關 : 손가락이 저릴 때.

3. 鶴頂 : 손가락, 발가락 전체가 저릴 때. 心臟느낌.

4. 束骨 : 手足의 3,4,5指가 저릴 때.

5. 通關 通山 通天 : 3,4,5指가 저릴 때.

6. 四花中 : 2指가 저릴 때. 胃經絡→ 大腸經(2指)연결개념. ※ 2指관절통이라도 관절쪽의 느낌이 크면 膽正格이지만 胃腸관련증상이 위주면 四花中이다.

7. 土水 : 손바닥이나 손가락에 作用. 手指痛, 뼈에도 작용→魚際穴(뼈쪽으로 取穴한다) 소화불량있으면 더욱 합당. ※ R.A로 手指痛있을때도 좋다.

8. 五虎1 : 엄지쪽이 강하지만 모두 作用한다. 이때 五虎2도 같이 놓는다. 手指관절문제에 보편적으로 좋은데 특히 엄지쪽이면 더욱 좋다. 뼈문제있을때.

9. 海豹 : 1,2指에 作用.

10. 側三里 側下三里 : 全體로 作用. 비骨頭아래에서 下1寸-2寸지점. 膽經의 느낌이다.

11. 人宗 : 모두 간다.

12. 木留 : 手足의 3,4指로 간다.

13. 人士 : 손바닥과 손가락의 아픈 경우. 心臟으로 因해 마른 기침, 숨이 찬 경우.

※ 心喘이 있으면서 手指痛있을 경우. 心喘 :가래없고 숨찬증상 上氣 정충 등 증상 發하는 경우. 가래있으면 肺喘.

14. 水泉, 火主 : 손바닥, 손가락에 작용.

cf) 팔꿈치에서 손바닥으로 저릴 경우 : 手三里에서 外關방향으로 長針 斜刺, 患側사용.단순 과로등으로 인한 경우에 대증치료방.

⊙ 産後 감기후 손가락 관절통 : 魚際[+] 少府(瀉,補) 火膝[-].

※ 탄발지 → 관절쪽 개념이면 膽으로 본다 → 膽正格. 商陽[-].

▣ 上肢無力(손에 힘이 없을때)

1. 列缺 : 가령 中風환자가 손에 힘이 없을때에도. 手腕無力病.

2. 肱中.

3. 水曲.

<임상례> 구안와사와 上肢無力症狀이 있어 경희대 한방병원에서 치료했으나 別無效. 口眼와斜를 치료했더니 上肢무력도 卽效했다.

◈ 족 (足)

⊙ 下肢無力(특히 老人) → 木枝穴(下關穴 直下五分)

▣ 股關節痛

* 中白 : 足少陽膽經으로 올 때 잘 듣는다.(手少陽三焦經의 中渚穴이므로)

* 崑崙瀉

* 後椎 首英 : 起坐之腰痛과 아울러 股關節痛에도 좋다.

* 肩凝穴(健側) + 崑崙(환측 上斜刺) + 腰腿穴(委中上2寸 上斜刺 환측) 배합.

※ 肩凝穴 : 퇴행성 관절염(무릎)에도 좋다. 股關節, 주關節痛, 肩痛등에도 좋다. 네군데가 다 아프다고 하면 네군데가 肩凝穴하나로 다 날라갈 수 있다.

▣ 大腿痛

* 叉三이 최고. 대퇴부 전체. 어디부분이던지 다 좋다. 대퇴부의 공통적으로 좋은 穴이다. 손가락을 펴고 5cm짜리를 다 집어넣는다.

* 金林放血 : 瘀血인 경우. 치료를 하다하다 안되는 느낌이 들면 金林을 放血해본다. 디스크도 마찬가지다. 밤에 심한 경우(낮보다 2배이상 통증심한 경우)뿐 아니라 오래된 디스크는 거의 다 瘀血이다. 瘀血을 확인해 볼려면 太白[+] 하거나 曲池[-]했더니 좋아지는 느낌이 들면 어떤 병이든지간에 디스크, 대퇴통 상관없이 金林방혈 들어간다. 무릎은 三金放血한다.

* 風市[-] : 中九里. <전제조건>반드시 肥濕한 사람한테 좋다. 비가울려고 그럴 때 더 아프거나(디스크나 中風 간혹 손도 이런 경우(肥濕한 사람이라는 공통점)는 風市하나만 瀉해서 낫는다)한 경우. 다리가 무겁다고 얘기하는 사람. 무겁다는 증상은 그 자리에서 없어진다. 濕病.

※ 風市穴로 효과가 난 경우에 한하여 風市下2寸의 中瀆을 倒馬한다.

※ 風市穴 : 夾脊穴(목-등-허리-다리쪽 디스크,대퇴,하지무력등을 모두 치료한다. 척추기립근 옆에서 옆구리쪽부분 다 날라간다. 대신 뼈병에는 안 낫는다. 팔에는 약하다. 허리,다리쪽에 많이 작용한다.)

* 駟馬中穴 : 디스크에도 좋다. 결국 肺正格, 大腸正格하고 같은 말이다. 기관지계통이 약하고 감기 잘걸리고, 감기오면 재채기,콧물.축농증, 피부, 코, 갑상선질환을 동반하면서 大腿아픈 경우. 靈骨과 비슷한 개념.

靈骨은 전체적 氣虛의 느낌. 駟馬穴은 肺氣虛나 大腸虛의 느낌. 비염,축농증의 코막힐 때 駟馬를 放血하면 그 자리에서 시원해진다.

皮膚病에도, 갑상선기능항진증에도, 귓병에도..

허리아파 왔는데 기침을 하면 허리가 아파요 하는 경우 무조건 駟馬穴을 쓴다.

급만성 발목염좌에도 아주 좋다.

* 通天 : 心虛症(가슴두근, 답답, 잘 놀램, 손저림등) 손저린 증상은 심장 때문에 저린 경우가 상당히 많다.

★ 무릎쪽이 (붓거나) "시리다"는 사람에 肩中과 함께 쓰면 좋다. 시린걸 다 잡을려면 사암침의 熱格을 놔야한다. ※ 通天穴은 발목염좌에 新久不問하고 좋다.

* 肩中 : 일반적으로 大腿內側으로 잘 듣는다. 肝經이나 脾經上으로. 무릎이나 다리나 小腿부위가 시리면서 대퇴내측통이 올 때.

* 八關3,4穴 : 中風환자한테 더 잘듣는다. 上下肢에 다 잘듣는다. 心臟과 연결됨. 五十肩에도 쓴다. 아주 멋있는 穴이다.

* 水金 - 水通 : 肺虛(기침)와 腎虛(소변)의 문제 卽 기침이 나면 허리가 아프거나 大腿痛이 있는 경우.

* 馬金水-馬快水 : 목-견배부-등-요-(腰眼穴)-다리의 척추옆 夾脊부위통증 + 신,방광허.

※ 大腿部가 아픈데 잘 모르겠다면 明黃- 通天 - 駟馬中 - 風市를 함께.

※ 大腿無力은 肝腎病쪽이다.

▣ 膝痛(슬통)

⊙ 少府[-] : 관절통을 피가 가지 않아서 생긴거라고 본다. 초기에 火로 보고 少府[-]함. 少府瀉는 눈도 좋아질 수 있다. 肝熱을 없애주기때문. 눈이라고 꼭 肝으로만 보지 말고 心臟火로도 생각. 그러나 肝熱을 치더라도 心熱은 없어지기 힘들지만 心熱을 치면(少府[-]) 肝熱도 한꺼번에 없어진다. 實則瀉其子의 원칙.

※ 무릎자체는 少府 魚際로 잘 낫는다. 무릎은 少府가 최고다.

무릎이 시리다는 느낌 → 肩中 or 通天이 좋다. 冷, 濕의 느낌.

무릎변형(心臟) → 火膝(특히 소리날 경우), 心膝(무력), 四花裏放血(甚하거나 오래된 경우)

어떤 부분의 통증이건 基本은 항상 경락을 보고 瀉火穴이다.

⊙ 火膝이나 膝靈이나 心臟의 느낌이다.

* 肩中 : ★ 寒濕 or 寒 or 濕을 생각.(陽明大腸經)

* 濕 : 무릎이 부었을 경우(濕→관절변형온 경우, 屈伸不利, 무겁다는 느낌)

* 寒 : 무릎이 차다(시라다)고 할 경우.

* 膝靈(中衝의 반대부위) : 무릎이 댕기면서 무거울 경우, 肩中과 같이 사용. 心臟과 관련됨. ★ 무겁다는 느낌 호소하면 이 穴만 놔도 좋다. 무릅이 무겁다는 느낌이면 卽效다.

* 腎關 : ★ 瘀血이나 濕의 느낌이 있을 때. 어깨, 무릎.

脾經에 있으면서 補腎의 역할을 한다. 脾(위산과다, 속쓰림증상) + 腎虛(腰痛)의 느낌있을 때. ※ 手指關節痛인데 瘀血이나 濕의 증상있으면 좋다. 土水穴은 胃문제 爲主일때.

* 三金放血 : 瘀血로 오랫동안 낫지 않을 때 사용. 內關 幷行.

* 中間 : 少腹의 痛症이 있으면서 무릎이 아프고 특히 무릎의 肝經上으로 문제가 있을 때, 무릎의 안쪽 바깥쪽 모두에 듣는다. 腕順穴과 비슷한 느낌(女子에 주로 이용). 大間 or 小間과 配伍하기도한다.

* 膽穴 : 膽虛證(정충 驚悸 易驚 易怯 等)의 症狀에 무릎 痛症, 小腿脹痛(膀胱經), 발목염좌(바깥쪽), 무릎의 바깥쪽에 듣는다(족소양담경과의 연관성).

* 心門 : 大腿內側痛, 鼠蹊部疼痛, 무릎의 內側痛(양반자세를 못하는 경우)

※ 膽穴과 心門穴을 같이 配伍하면 효과가 없어진다.

* 舍岩針法의 분류법

脾正格 : 무릎내측에서 슬개골쪽의 痛症.

肝正格 : 무릎의 내측에서 오금쪽으로 痛症.

膽正格 : 陽陵泉부위의 痛症.

膀胱正格 : 오금부위의 痛症.

胃正格 : 촛대뼈방향의 痛症.

* 火膝(補, 瀉) : 느낌은 少府穴이나 비슷하다. 肩中을 놓고 안되면 火膝을 사용해라. 心臟의 熱이 있는 경우(가슴이 두근두근, 답답, 흉통상열), 소리가 나는 경우 먼저 瀉法을 해보고 안되면 補法. 무릎이나 肩臂痛에 作用, 전반적인 뼈관절은 少府.

※ 少府, 解谿 → 新病엔 瀉, 久病엔 補하는 경향이 있다.

※ 心, 小腸 연결된 증상 → 손저림

→ 下肢變形, 浮氣 → 火膝穴.

* 心膝 : 心臟자체의 고장으로 膝痛, 下肢無力, 관절변형(心)을 동반하는 경우 사용. 火膝과 병행.

* 通天 : 心臟의 문제로 浮腫, 특히 다리전체가 무겁고 浮腫. 대퇴, 슬이하가 부으면서 특히 시리다, 차다한 경우에 좋다.

* 肌朗(八關3,4) : 어깨, 무릎, 中風.

* 肩凝穴 : 퇴행성 관절. 健側에 사용하고 ; ★ 주관절통, 견관절통, 슬통에 사용하는데 특히 주위 인대부분(뼈문제가 아니라)의 염증있을 때 좋다. 예)테니스엘보.

안쪽의 痛症 : 內과尖에서 上斜刺, 혹은 三陰交에서 上斜刺.

바깥쪽의 痛症 : 外과尖에서 上斜刺, 혹은 絶骨에서 上斜刺.

뒤쪽의 痛症 : 崑崙에서 上斜刺.

모두 患側에서 施術하고 靭帶의 損傷에 좋다.

* 曲池 : 患側이 좋다.

* 四花裏 放血 : 무릎통증이 오래되고 變形되어 잘 치료가 안될 때 사용. 患側 健側 모두 좋다. 心臟쪽으로 간다.

* 曲澤, 尺澤 放血(患側) : 委陽穴 委中穴 附近의 痛症있으면서 굴신곤란할 경우. + 肌朗이나 八關3,4를 같이. 重子 重仙도 듣는다. 中風환자의 委陽穴통증있으면 八關3,4穴이 더욱 의미를 가진다.

* 通關-通山-通天 兼해서 肩中 : 무릎의 冷(시린 경우) 湧泉補 또는 陰谷瀉 혹은 然谷補(신중히) 冷 or 濕의 느낌.

※ 무릎을 치료하다가 낫지 않으면 大便을 치료해라. 大小便의 疏通이 첫 번째이다(濕의 調節). 下肢의 全體를 봐서 치료.

⊙ 膝痛 계절별 경락

春 → 肝病 - 風.

夏期, 秋期 → 脾病 - 濕.

冬期 → 腎病 - 寒을 中心.

모든 병은 經絡의 流注를 중시한다. 해당경락의 正格 or 火穴을 瀉해본다.

▣ 小腿脹痛(소퇴창통)

※ 동씨침 중에서 小腿脹痛을 치료하는 穴 → <次白 or 天宗 or 上曲>

1. 足三里 : 外側痛, 陽陵泉 : 外後側痛, 合陽 : 膀胱經痛. 三陰交 上斜刺.

※ 모두 患側에 施術하고 下斜刺하며 僕參을 基本으로 사용.

2. 次白 : 膀胱經으로 痛症. 通治方. 동씨 曰 特效.

3. 上曲 : 膀胱經과 膽經의 사이 痛症.

4. 肩中-雲白-上曲 : 차다거나 시리거나 무거울 경우.

5. 天宗.

6. 足三里건측(瀉 or 補) : 胃의 문제로 膀胱經上으로 引痛. 일반적으로 瀉하되, 肥濕한 경우는 補한다.

7. 膽穴 : 膽虛症을 同伴할 경우. 膀胱經上의 小腿脹痛에 좋다.

※ 小腿가 안쪽으로 아프면 → 木火1,2穴. 바깥쪽으로 아플 때 → 膽穴.

8. 肺心.

9. 膽正格 : 다리에 쥐가 잘 나는 경우. 關節이 아픈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한다. 기브스를 오래해서 屈伸不利에도 좋다. 【通谷 俠谿[+], 商陽 竅陰[-]】

⊙ 曲澤放血(患側) → 委陽穴부근 통증.

▣ 족염좌 & 족관절통

1.公孫 瀉 : 9,6補瀉쓴다. 엄청나게 좋다. 小節穴보다 훨신 좋다. 발목 전후좌우 불문하고. 脾(肌肉)와 관련. 부기도 없앤다(胃腸障碍로 因한 요통, 눈의 痛症에도 사용.) 痛症 甚할 경우.

※ 단 公孫등은 6장6부의 문제로 온 염좌가 아니라 단순한 염좌인 경우에 적용하는 穴이다.

2. ★ 駟馬(上, 中) : 제일 좋다. 通治方이다. 이걸로 안되면 특히 痛症 甚할 경우 公孫[-]로 넘어간다.

3. 小節 : 발목통증 자체를 없앤다. 足背占 外과占으로 施術. 小節穴도 잘 놓으면 안아프다. 重仙穴方向으로 刺入한다.

4. 肩中(內과痛症), 雲白(外과痛症) : 발목을 삐어서 낫지 않을 때 腰痛이 있으면서 足關節痛.

5. 手解, 足解.

6. 上白 中白 下白 膽穴 : 外과쪽으로 간다. 디스크인 경우 사용.

7. 靈骨 水泉도 좋다.

8. 五虎 4,5穴(뼈밑에 直刺한다는 느낌으로) : 뼈자체의 문제.

⊙ 肩中 : 下肢안쪽(서혜부내측-대퇴내측-무릎내측-소퇴내측-內과).

⊙ 膽穴 : 下肢외측(서혜부외측-대퇴외측-무릎외측-소퇴외측-外과).

⊙ 中下白 → 下肢外側.

⊙ 魚際[-]도 좋다. (足太陰脾經 line으로 통증 올 때?)

外과쪽이면 手解(건측)이 제일 좋다. 必效. 內과쪽이면 小節이 좋은 듯.

▣ 足背痛 ※ 足趾痛도 같이 본다.

1. 五虎3,4穴 : 발등이 아프면서 삐었을 경우.

2.★ ★ ★ ★ 丘墟 : 발등, 발가락이 아플 경우. 健側, 患側이 다 좋다.

cf. 발가락이 아픈데 : 五虎3穴.

3.★ ★ ★ 復原(네번째 손가락 안쪽 첫째마디 새끼손가락쪽 D線上 一點) : 뼈가 아픈 경우.

4. 四花外穴 : 胃나 心의 증상 동반시 더욱 좋다.

▣ 足外痛(아킬레스건 통증) =肝病으로 龍膽瀉肝湯 使用해 볼 수 있다.

1.骨關 木關. 骨關 : 腎病, 骨病. 木關 : 肝의 문제로 筋病이 왔을때(龍膽瀉肝湯)

※ 아픈데를 살짝 만져서 아프면 筋病이니 木關穴을, 세게 눌러서 아프면 骨病이니 骨關穴을 놓는다.

2. 火全穴(明黃下 4.5寸, 其黃穴下1.5寸, 膝蓋上 3寸) : 꼬리뼈에도 사용. 肝의 느낌.

3. 肺心 : 꼬리병에도 사용.

4. 五虎4,5.

5. 大陵 : 對應針法이다.

6. 膽穴 : 膽虛症이 있을 때.

7. 僕參(患側) : 下肢無力이 同伴, 患側 合陽을 下斜刺.

8. 少商放血(他 院長方) : 熱의 느낌.

9. 小節 : 발가락이 아프면서 足外痛.

10. 正筋 正宗.

11. 神門(陽池方向으로 直刺).

12. 委中放血.

▣ 足痺(발가락이 저린 경우)

1.鶴頂穴(膝上1寸, 內1寸), 通天 : 手足이 저린 경우. 膝上一寸 or 膝上一寸內一寸인데 內一寸이 더 좋다.

2. 勞宮[-] : 발바닥이 저린 경우.

3.★ ★ 腎關 : 다리전체가 저릴 때 (下三皇보다 낫다)

4. 束骨 : 足趾 3,4,5지가 저린 경우.

※ 2趾 → 四花中. 엄지 → 隱白, 五虎4穴, 通腎穴.

5. 通腎, 隱白, 陰谷 : 엄지발가락이 심하게 저린 경우.

6. 四花中 : 두 번째 발가락이 저린 경우.

7. 通腎穴.

※ 다리병은 經絡의 流注가 중요하다. 正格내지 火穴을 瀉!!!

◈ 전음 (前陰)

▣ 서혜부 통증

* 靈骨을 많이 쓴다.

* 心門많이 쓴다. 실제 神門하고 효과가 같다. 안쪽 大腿로 간다.

* 肝正格 :아랫배는 다 肝으로 본다.

* 坐骨穴.

※ 발레 다리찢으면 허벅지 안쪽에 통증 → 中衝 [+]했다. 足厥陰肝經→ 手厥陰心包經 (心包正格). 그 자리에서 나았다. 足少陽膽經-手少陽三焦經을 같이 본다. 膽經上에 문제있을 때 支溝[-]하는 이치.

무릎안쪽 아팠는데 心으로 보고 少府[-]했는데 별로여서 魚際[-]해서 치료.

<잡병편(雜病篇)>

◈ 風

▣ 中風(중풍)의 접근

⊙ 中臟症 : 九竅의 閉塞이 온다.

肝→오그라든다. 心→늘어진다. 肺→ 기침등. 腎→ 대소변문제. 脾→ 四肢怠惰 嗜臥 無力.

실제 脾,肺,腎中風 드물다. 五臟風의 느낌이 확실히 나오면 舍岩針法의 내용 참고해서 치료하면 아주 좋다.

⊙ 肝중풍과 心중풍이 제일 많다. 그래서 木火穴이 잘 듣는다. 실제 肝과 心을 나눌 수 없고 같이 오는것같다. 腎虛의 개념에서 心이나 肝의 火가 낀다. 간혹 초기에 滯氣(食積熱)가 같이 낀다.

⊙ 中風은 무조건 肝하고 心이며 거기에 食滯로 인해서 熱이 올라서 오는 경우가 많다.

⊙ 中風에 二便의 문제있으면 최우선적으로 그거부터 뚫어 줘야한다.

ex) 삼화탕(동의보감: 후박 대황 지실 강활) 변비있으면 우선 10첩-20첩준 다음 다른 치료한다. 大小便을 뚫어 줘야 熱이 떨어진다. & 少商放血.

⊙ 肝中風(肝實) : 合谷 太衝 [-] => 公孫 內關 解谿[-]와 연결됨.

⊙ 肝虛 : 陰谷[+] 經渠[-]. 正格과 勝格이 딱 구분되지 않듯이 실제 虛實이 애매하다.

▣ 中風

1. 中風환자는 무조건 먼저 心下部(명치)와 中脘을 만져본다.

心下痛있으면 食積이다. 이것부터 최우선적으로 뚫버야한다. 食積으로 인한 胃熱이 肝心의 문제로 인해 터진것이다.

少商放血(熱도 내리면서 滯氣없애줌), 土水, 公孫 內關(胃-心包相通) 解谿[-],(오래됐으면 解谿[-] 後 [+]) (心下痛있으면 解谿[-], 평소에 중완의 食積이면 補.)

2. 기본적으로 左탄 : 肝正格, 右환 : 肺正格. → 상당히 잘듣는 경우 많다.

3. 太谿[-] : 먼저 치료(참 좋다). 腎虛가 깔려서 上熱이 뜨는 걸로 보고. 모든 中風환자에 거의 다 해당됨. 太谿[-] 하나만 해도 손발이 팍 올라가고 좋아짐. 腎虛의 느낌이 들때.

cf. 太谿[-] : 척추뼈 마디가 아플 경우, 中風에 좋다. 腎虛의 느낌.

4. 然谷[-] : 팔쪽으로 작용. 腎臟의 熱이 많은 경우.

5. 心少海[+] : 心實症(上熱下寒등 水火의 문제). 팔에 作用. 얼굴이 땡기거나 실룩거릴 때.

6. <大敦[+] 太白[-]> 心虛의 느낌 + 完骨[-]추가할것. =>語澁(언어건삽)에 좋다. 말못하는 건 대체로 心과 연결됨.

7. 八關 : 肝의 느낌. 팔,다리에 다 작용해서 좋다. 예)오십견.

8. 木火 : 肝心의 느낌. 肝보다는 心의 느낌에 더 가깝다.

9. 宏中(曲澤上 4.5寸. 三宗穴 line) : 上肢無力(內關을 놓아 效果가 없으면 使用).

10.< 風市[-](下肢에 사용), 太衝[+](팔에 작용)> 반신불수에 구안와사 같이 있을 때, 팔다리 마비된 경우에도 좋다.

11. 四縫 : 肝의 느낌.

12. 列缺 : 中風의 팔꿈치 以下의 無力.

13. 靈骨 大白 重子 重仙 腎關 中九里 : 별로다.

cf. 肝中風은 오그라 드는 것이고, 心中風은 늘어지는 것이다.

14. 商丘 地宗 木留(肝膽의 개념) 三重 : 말을 못하는 경우에 잘 듣는다.

15. 百會瀉血 : 初期에 특히 좋다. 말못하고 下肢少力있을때 좋다. 특히 鬱熱된 사람(熱이 위로 올라가 막힌 사람).

16. 語鈍 : 風府부위에 딱딱한 것이 있으면 그 일대를 살을 꼬집어올려서 放血. & 혀밑 靑筋放血도 좋다. 란셋으로 刺破시킨후 처음건 뱉어내고 나중나오는 피는 삼킨다.

17. 下關 : 下肢無力.

※ 董氏침에서 靈骨,大白(오래된 中風), 重子重仙穴, 腎關등이 나오는데 실제 上記내용이 더좋다)

⊙ 中風 => 뇌진탕방을 쓸수있다.같은 개념이다.

▣ Tremor

⊙ 손떠는 증상 → 심(洪脈 or 驚悸, 上熱), 간(弦脈), 痰飮(惡心, 嘔吐 驚悸 眩暈).

▣ 파킨슨씨병

⊙ 손떠는 증상 → 심(洪脈 or 驚悸, 上熱), 간(弦脈), 痰飮(惡心, 嘔吐 驚悸 眩暈)

⊙ 임상례> 파킨슨씨병으로 振顫증상. 15번 침맞고 거의 안 떨었다.

◈ 寒

▣ 感冒(감모)

1.腑格三穴(가운데 하나만 써줘도 된다. 양쪽에 하나씩) : 양쪽에 施術. 땀이 등에서 나면서 열이 떨어진다. 麻黃湯證처럼 無汗인 경우에 특히.

* 靈骨 大白 : 같이.

2. 側三里 : 코가 막힌 경우(鼻塞). 駟馬放血이 더 효과적이다.

3.四肢(內과上 4寸에서 5寸으로 上斜刺) : 全身이 쑤시는 경우.

4.少商 二間放血 : 목이 아프면서 熱이 날 경우(咽喉腫痛).

5. 豊隆, 足千金과 足五金 사이 中間穴 : 가래가 있을 때.

6. 水金 水通 : 補腎.

7. 手喘咳占.

8. 아침 : 魚際, 午後 : 太淵, 저녁 : 尺澤, 밤 : 少商.

9. 咳嗽 : 水金 水通 : 腎水의 문제. 駟馬 : 肺의 문제. 三士 : 心臟의 문제.

10. 가래 : 重子 重仙 : 기관지염, 폐염.

11. 大敦 太衝[+] 神門 太谿[-] : 熱痰咳.

⊙ 감기 등의 이유로 고열이나며 목이 붓고 아플때 : " 少商방혈, 二間방혈, + 然谷사, 支溝사 "

▣ 감기로 몸이 쑤실때

▶ 四肢穴 上斜刺하면 卽效.

▣ 감기등으로 咽喉腫痛, 고열이 날 때 →

* 少商放血(20-30방울. 팔을 심장보다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 특히 소아들 食積類傷寒으로 滯해서 熱(內傷發熱)이 날 때 解熱시킨다. 이때는 양약 解熱劑 쓰면 열이 잘 안 떨어진다.

▶ 熱性 便秘에 瀉熱시켜서 아주 좋다.

* 二間放血(食指의 風氣命關의 靑色혈관보이면 거기까지 다 放血한다) : 下熱시킴.

▶ 中風예방과 中風후 舌强증에 금진옥액의 靑筋을 다 放血시키면 아주 좋다. 특히 정맥이 怒張되어 검붉게 되었을 때 방혈해주면 아주 좋다. 心臟의 熱이다. 中風은 心熱(1차원인)과 肝熱(방아쇠인자로 더 중요하다)이 원인이다. ex) 木火穴을 中風에 쓰는 이유.

◈ 火

▣ 解熱

1. 大椎放血.

2. 膏황放血.

3. 少商, 二間(靜脈放血) 三間 放血.

4. 大白 火硬 支溝[-] 五靈穴.

5. 石門[-] : 무조건 熱이 올라가면 해라. 모든 熱性질환. 三焦經의 募穴이다.

6. 舍岩針 : 然谷[-], 支溝[-], 中渚[-], 商陽[-].

陰谷[+], 大敦[+], 液門[+], 尺澤[+].

⊙ 水火未濟方 : <水經의 火穴인 然谷[-], 火經의 水穴인 少海[+]> 心實증이나 上熱下寒.

▣ 降火氣法

* 火穴 瀉法 : 支溝(三焦火 전체적), 然谷(腎臟火)을 瀉함. 火가 弱할 때.

* 燥熱인 경우 → 補水. 陰谷補. 水고갈된 경우. 骨蒸熱等. 陰谷[+]하면서 支溝, 然谷[-]한다.

⊙ 咽喉痛, 高熱, 가슴답답한 경우 → 支溝瀉.

◈ 폐장 (肺臟)

▣ 肺

1. 기침 : 手喘咳占.

⊙ 水金 水通 : 補腎의 개념.

⊙ 三士 : 補心(가래가 없다). 心肺개념(火克金개념) 則 上熱 胸비 心熱있으면서 咳嗽할때.

⊙ 駟馬 : 補肺.

2. 靈骨 大白 : 목구멍이 간질간질할 때(喉中榻). 肺氣虛(氣虛)느낌시 加해주면 감기에 월등히 좋다.

3. 重子 重仙 : 폐염(祛痰). 주로 가래없앤다.

4. 豊隆 : 去痰에 상당히 좋다. ※ 中脘하고 豊隆이 痰에 좋다..

5. 足千金과 足五金의 中點穴 → 인후종통(목구멍이 부어)있으면서 가래있을 때. 條口穴바깥쪽 膽經上의 穴.

◈ 咳嗽(해수)

▣ 咳嗽

< 咳嗽 >

* 水金 水通 : 腎水의 문제. 腎虛로 因한 기침. 감기가 왔는데 삐쩍 마르고 허리가 아프고 기침한다하는 경우등에 활용함.

* 駟馬 : 肺의 문제.

* 三士 : 心臟의 문제. 心臟熱(面赤)로 인한 기침 → 양측 人士. 火克金한 경우다.

※ 咳嗽 通治方 → 手喘咳點, 水金 水通, 양쪽 人士穴. (肺가 弱한 느낌이 들면 駟馬穴)

◈ 浮腫(부종)

▣ 浮腫

1. 下三皇 : 腎臟性 浮腫.

2. 通關 通山 通天 : 心臟性 浮腫. ※ 다리에 浮腫이 있을 경우 通天을 정확히.

3. 通腎 通胃 通背 : 특히 전신부종에 좋다. 通腎-通胃만 써도 된다.

아침에 일어나면 붓는다. 소화도 안되고. 특히 눈 주위가 부을 때는 → 通胃.

4. 中白 水曲 : 팔, 다리가 부을 때. 四肢浮腫.

5. 膝靈 : 下肢浮腫, 다리가 붓고 땡길 때.

6. 盆中 : 下肢浮腫에 매우 좋다

◈ 救急

▣ 暈針(훈침)처치법

⊙ 삐적마른 남자. 瘦長하면서 面白者가 아침굶거나 간밤에 잠을 못잔 경우에 많이 온다. 中氣虛한 느낌. 某 중의사는 人蔘분말을 가루로 해서 먹인다(獨蔘湯). 가벼운 훈침으로 매스껍고 어지러운건 훈침도 아니다. 이정도면 手解穴, 足解穴이나 足三里로 풀리지만 침 한방에 刺入하자마자 의식잃고 기절해버리면서 팔다리가 싸늘하게 식어가는 暈針은 【 少商이나 손이나 발의 十宣穴 따는게 최고다.】 氣虛로 針을 이기지 못한 것이다.

⊙ 刺針후 痛症은 足解로 다 풀린다.

◈ 婦人

▣ 婦人

婦科 還巢(네번째 손가락 둘째 마디 E線에 가깝게 一點) 左右에 따로 놓는다.

A.⊙ 三陰交 照海 內關 → (瀉하면 내리는 작용, 補하면 올리는 작용)

B.⊙ 合谷 太衝 → (補하면 내리고, 瀉하면 올린다).

※ 모든 부인과질병에 응용할 수 있다.

◈ 小兒

▣ 小兒

小兒는 기본적으로 ;

A. 내상 → 체땀방. ⊙ 滯氣로 熱이 나면 解谿[-].

B. 감기. 감기가 들었는데 熱이 (해열제로) 안떨어지는 경우 食積으로 봐라. → 체땀방. 이 경우 손발과 귀가 차다. 內傷熱이다. ※ 감기로 감기약 먹었는데 열이 안 떨어지면 滯氣를 따주어라.

C. 놀란거(驚氣) : 心膽病이다. → 膽正格.거의 예외없이 다 잘듣는다.

⊙ 小兒重病은 痰病이다. 애들의 정신질환은 → 熱痰.

- 終 -

:
Posted by docstory
2016. 5. 31. 15:31

동씨기혈 침방/동씨2016. 5. 31. 15:31


董氏奇穴

| | | 다리 | 머리 | |

055 肝門 DT12感冒三穴 133 感冒二 132 感冒一 061 肩中 044 曲陵 114 光明 DT06九侯穴 DT09金林穴 VT03金五穴 161 金耳 141 金前上 140 金前下 046 其角 045 其門 047 其正 145 其黃

070 落通 126 內通關 127 內通山 128 內通天

011 膽穴 002 大間 036 大白

181 馬金水 182 馬快水 143 明黃 085 木斗 076 木婦 014 木炎 086 木留 60 木耳 183 木枝 007 木穴 023 木火 084 門金

108 搏球 060 背面 013 復原 015 鳳巢 004 浮間 027 婦科 VT05腑巢二十三穴 098 腑腸 067 富頂 057 分金 DT01分枝上穴 DT02分枝下穴 179 鼻翼 008 脾腫

138 駟馬上 137 駟馬中 139 駟馬下 176 四腑二 175 四腑一 113 四肢 100 四花裏 097 四花副 095 四花上 101 四花外 096 四花中 099 四花下 DT15三江穴 DT07三金穴 012 三眼 116 三重 072 上曲 153 上九里 115 上反 DT05雙鳳穴 103 上脣 081 上瘤174 上里 038 上白 151 上泉 DT16雙河穴 003 小間 102 消骨 088 水曲 187 水金 DT14水腑穴 092 水相 093 水仙 052 手五金 073 水兪 158 水耳 094 水晶 DT13水中穴 053 手千金 066 首英 186 水通 033 手解 148 失音 056 心門 010 心常 009 心膝 VT02十二侯穴

017 眼黃 037 靈骨 DT10頂柱穴 DT04五嶺穴 001 五虎 180 玉火 035 腕順二 034 腕順一 005 外間 121 外三關 058 雲白 VT04胃毛七穴 087 六完 184 六快 021 二角明 159 耳背 1059 李白 162 耳三 155 耳環 041 人士 062 人宗 112 人皇

131 姐妹三 130 姐妹二 129 姐妹一 054 腸門 178 腑快 164 前會 105 正筋 177 正本 107 正士 106 正宗 DT08精枝穴 163 正會 028 制汚 120 足五金 119 足千金 142 足解 167 州昆 170 州金 168 州崙 171 州水 166 州圓 169 州火 006 中間 039 中白 032 重仙 031 重子 150 中泉 042 地士 026 指駟馬 020 指三重 019 指腎 029 止涎 024 指五金 063 地宗 025 指千金 069 支通 111 地皇 173 鎭靜

043 天士 064 天宗 144 天黃 109 天皇 110 天皇副 172 總樞 DT17沖宵穴 117 側三里 118 側下三里 152 七里 DT03七星穴 185 七快 122 七虎

030 土水 157 土耳 123 通關 136 通背 124 通山 134 通腎 135 通胃 125 通天

022 肺心

071 下曲 154 下九里 040 下白 104 下脣 149 下泉 075 海豹 082 火硬 080 花骨四 079 花骨三 078 花骨二 077 花骨一 049 火串 090 火菊 089 火連 050 火陵 048 火腑海 051 火山 091 火散 018 火膝 156 火耳 147 火全 083 火主 146 火枝 074 火包 016 凰巢 DT11後心穴 VT01喉蛾九穴 068 後枝 065 後椎 165 後會

'침방 > 동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6.05.31
  (0) 2016.05.31
  (0) 2016.05.31
다리  (0) 2016.05.31
머리  (0) 2016.05.31
:
Posted by docstory
2016. 5. 31. 15:22

침방/동씨2016. 5. 31. 15:22

« 氏奇穴

< 手掌面 手指部 > 001 五虎 002 大間 003 小間 004 浮間 005 外間 006 中間 007 木穴 008 脾腫 009 心膝 010 心常 011 膽穴 012 三眼 013 復原 014 木炎 015 鳳巢 016 凰巢 017 眼黃

< 手背面 手指部 > 018 火膝 019 指腎 020 指三重 021 二角明 022 肺心 023 木火 024 指五金 025 指千金 026 指駟馬 027 婦科 028 制汚 029 止涎

< 手掌部 > 030 土水 031 重子 032 重仙 033 手解 034 腕順一 035 腕順二

< 手背部 > 036 大白 037 靈骨 038 上白 039 中白 040 下白


手掌面 手指部

001 五虎 : 手掌, 拇指 第1節 內側線(A線)上에서 6分點法으로 5穴.

▶ 五虎一, 五虎二: 手指痛 / 五虎二, 五虎三: 足趾痛 / 五虎三, 五虎四: 足背痛

▶ 五虎四, 五虎五: 足外痛, 과關節痛, 膝蓋痛

▷ 直刺 1-2分.

002 大間 : 手掌, 食指 第1節 中央에서 拇指側의 B線上에서 3分點法으로 下穴.

003 小間 : 手掌, 食指 第1節 中央에서 拇指側의 B線上에서 3分點法으로 上穴.

▶ 疝氣, 膝蓋痛

▷ 直刺 1-2分. 單側(左男右女) 刺鍼.

004 浮間 : 手掌, 食指 第2節 中央에서 拇指側의 B線上에서 3分點法으로 上穴.

005 外間 : 手掌, 食指 第2節 中央에서 拇指側의 B線上에서 3分點法으로 下穴.

▶ 疝氣, 胃痛, 牙痛

▷ 直刺 1-2分. 單側(左男右女) 刺鍼.

006 中間 : 手掌, 食指 第1節 正中央.

▶ 疝氣, 膝蓋痛

▷ 直刺 1-2分. 單側(左男右女) 刺鍼. 膝蓋痛엔 對側 刺鍼.

007 木穴 : 手掌, 食指 第1節 中央에서 小指側의 D線上에서 3分點法으로 2穴.

▶ 感冒(鼻流淸涕, 皮膚瘙痒), 手汗, 手皮膚病(主婦濕疹, 手掌皺裂)

▷ 直刺 0.5分. 手汗엔 兩側 刺鍼, 留鍼 30分.

008 脾腫 : 手掌, 中指 第2節 中央線(C線)上에서 3分點法으로 2穴.

▶ 脾臟病(消化不良, 胃下垂)

▷ 直刺 0.5分.

009 心膝 : 手掌, 中指 第2節 內側線(A線)과 外側線(E線)上 正中央.

▶ 膝蓋痛, 肩甲痛

▷ 直刺 0.5分.

010 心常 : 手掌, 中指 第1節 中央에서 小指側의 D線上에서 3分點法으로 2穴.

▶ 心臟病, 肺癌, 肺氣腫

▷ 直刺 0.5分.

011 膽穴 : 手掌, 中指 第1節 內側線(A線)과 外側線(E線)上 正中央.

▶ 膝괵痛, 小兒驚氣, 夜啼

▷ 點刺出血.

012 三眼 : 手掌, 無名指 第1節 中央에서 拇指側의 B線上에서 3分點法으로 上穴.

▶ 足三里와 同一 主治

▷ 直刺 0.5分.

013 復原 : 手掌, 無名指 第1節 中央에서 小指側의 D線上에서 4分點法으로 3穴.

▶ 骨格疾患(椎間板脫出)

▷ 直刺 0.5分.

014 木炎 : 手掌, 無名指 第2節 中央에서 小指側의 D線上에서 3分點法으로 2穴.

▶ 肝臟病(肝炎, 肝腫大, 肝硬化)

▷ 直刺 0.5分.

015 鳳巢 : 手掌, 無名指 第2節 內側線(A線)上 正中央.

016 凰巢 : 手掌, 無名指 第2節 外側線(E線)上 正中央.

▶ 婦人病(月經不調, 子宮疾患, 帶下, 不姙)

▷ 直刺 1-3分. 單側 刺鍼.

017 眼黃 : 手掌, 小指 第2節 正中央.

▶ 黃疸

▷ 直刺 0.5分.

手背面 手指部

018 火膝 : 小指 尺側 爪甲根角 2分處. (小腸經 少澤)

▶ 心臟病(心悸, 心痛, 不整脈), 心因性 肩臂不擧, 膝蓋痛

▷ 直刺 0.5分.

019 指腎 : 手背, 無名指 第1節 中央에서 小指側의 外側線上에서 4分點法으로 3穴.

▶ 背痛, 口乾

▷ 直刺 0.5分.

020 指三重 : 手背, 無名指 第2節 中央에서 小指側의 外側線上에서 4分點法으로 3穴.

▶ 偏頭痛

▷ 直刺 0.5分.

021 二角明 : 手背, 中指 第1節 中央線上에서 3分點法으로 2穴.

▶ 眉稜骨痛, 鼻骨痛, 腰眼痛, 腰閃

▷ 小指 방향으로 皮下 橫刺 0.5分.

022 肺心 : 手背, 中指 第2節 中央線上에서 3分點法으로 2穴.

▶ 尾骨痛, 足外痛

▷ 皮下 橫刺 0.5分.

023 木火 : 手背, 中指 第3節 橫紋中央.

▶ 下腿痛, 半身不遂

▷ 皮下 橫刺 0.5分. 留鍼 1-3分. ☞ 刺鍼 次數 및 留鍼 時間을 많이 할 수 없음.

024 指五金 : 手背, 食指 第1節 中央에서 小指側의 外側線上에서 3分點法으로 上穴.

025 指千金 : 手背, 食指 第1節 中央에서 小指側의 外側線上에서 3分點法으로 下穴.

▶ 魚刺경喉, 腹痛 (※ 一切氣痛에 효과)

▷ 直刺 0.5分.

026 指駟馬 : 手背, 食指 第2節 中央에서 小指側의 外側線上에서 4分點法으로 3穴.

▶ 肋骨痛, 鼻疾患, 耳疾患

▷ 直刺 0.5分.

027 婦科 : 手背, 拇指 第1節 中央에서 小指側의 外側線上에서 3分點法으로 2穴.

▶ 婦人病(月經不調, 經痛, 子宮疾患, 不姙)

▷ 直刺 2分. 兩側 刺鍼.

028 制汚 : 手背, 拇指 第1節 中央線上에서 4分點法으로 3穴.

▶ 瘡瘍, 火傷, 手術後 惡露不止

▷ 點刺出血.

029 止涎 : 手背, 拇指 第1節 中央에서 拇指側의 內側線上에서 3分點法으로 2穴.

▶ 小兒流涎

▷ 直刺 2分.

手掌部

030 土水 : 第1中手骨의 赤白肉際 中點인 魚際穴과 魚際에서 本節과 手腕橫紋까지 각각의 中點.

▶ 胃病, 腹脹, 手指痛, 手掌痛

▷ 直刺 3-5分. 對側 刺鍼.

031 重子 : 手掌, 拇指와 食指 사이의 赤白肉際에서 1寸處.

032 重仙 : 手掌, 第1中手骨과 第2中手骨이 만나는 곳.

▶ 背痛(膏황穴痛), 肩痛, 膝괵痛, 肺炎, 感冒咳嗽, 小兒氣喘

▷ 直刺 3-5分.

033 手解 : 手掌, 주먹을 쥐면 小指端이 닿는 곳. (心經 少府)

▶ 暈鍼 (※ 暈鍼엔 먼저 强心시킴)

▷ 直刺 3-5分. 留鍼 10-30分.

034 腕順一 : 第5中手骨의 赤白肉際에서 3分點法으로 上穴. (小腸經 後谿)

035 腕順二 : 第5中手骨의 赤白肉際에서 3分點法으로 下穴.

▶ 坐骨神經痛, 腎虛腰痛, 腎虛眼痛, 腎虛牙痛, 膏황穴痛, 耳疾患

▷ 直刺 2-4分. 對側 刺鍼.

手背部

036 大白 : 手背, 拇指와 食指 사이의 赤白肉際에서 5分處. (大腸經 三間)

037 靈骨 : 手背, 第1中手骨과 第2中手骨이 만나는 곳.

▶ 頭痛, 肩痛, 坐骨神經痛, 腰痛, 腰閃, 中氣, 呼吸困難 (※ 강력한 調氣作用)

▶ 大白: 急性肺炎, 高熱, 小兒氣喘 / 靈骨: 주痛, 鼠蹊部痛

▷ 大白: 손가락을 오므린 상태에서 뼈에 沿해서 直刺 5-6분. 孕婦禁鍼.

急性肺炎, 高熱, 小兒氣喘엔 點刺出血.

▷ 靈骨: 重仙으로 透刺. 孕婦禁鍼.

038 上白 : 手背, 食指와 中指 사이의 赤白肉際에서 5分處.

▶ 坐骨神經痛, 과關節痛, 眼痛(眼疲勞攣痛)

▷ 直刺 3-5分.

039 中白 : 手背, 無名指와 小指 사이의 赤白肉際에서 5分處. (三焦經 液門)

040 下白 : 手背, 無名指와 小指 사이의 赤白肉際에서 1寸 5分處.

▶ 坐骨神經痛, 과關節痛, 膝蓋痛

▷ 直刺 3-5分.

 

'침방 > 동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씨기혈  (0) 2016.05.31
  (0) 2016.05.31
  (0) 2016.05.31
다리  (0) 2016.05.31
머리  (0) 2016.05.31
:
Posted by docstory
2016. 5. 31. 15:16

침방/동씨2016. 5. 31. 15:16

« 氏奇穴

< 下臂陰面部 > 041 人士 042 地士 043 天士 044 曲陵

< 下臂陽面部 > 045 其門 046 其角 047 其正 048 火腑海 049 火串 050 火陵 051 火山 052 手五金 053 手千金 054 腸門 055 肝門 056 心門

< 上臂前面部 > 057 分金 058 雲白 059 李白

< 上臂側面部 > 060 背面 061 肩中 062 人宗 063 地宗 064 天宗

< 上臂後面部 > 065 後椎 066 首英 067 富頂 068 後枝 069 支通 070 落通 071 下曲 072 上曲 073 水兪


下臂陰面部

041 人士 : 肺經을 따라 太淵에서 4寸.

042 地士 : 肺經을 따라 人士에서 3寸. (肺經 孔最)

043 天士 : 肺經을 따라 地士에서 3寸, 尺澤에서 2寸.

▶ 氣管支疾患(氣喘), 心臟病

▶ 人士: 手掌痛, 手指痛

▷ 氣喘엔 直刺 1寸. 兩側 刺鍼 / 心臟病엔 直刺 1寸 5分

▷ 手掌痛, 手指痛엔 直刺 5分. 對側刺鍼 ☞ 刺鍼 깊이에 따라 主治가 다름.

044 曲陵 : 주窩橫紋線의 外側端. (肺經 尺澤)

▶ 囍亂, 心臟痲痺, 氣喘, 鼻骨痛

▷ 點刺出血.

下臂陽面部

045 其門 : 大腸經을 따라 陽谿에서 2寸.

046 其角 : 大腸經을 따라 其門에서 2寸.

047 其正 : 大腸經을 따라 其角에서 2寸.

▶ 痔瘡, 便秘, 婦女 不感症

▷ 曲池 방향으로 沿皮刺 2-5寸. 兩側 刺鍼.

048 火腑海 : 大腸經을 따라 曲池에서 2寸. (大腸經 手三里)

▶ 感冒, 貧血, 疲勞

▷ 肺經 방향으로 斜刺 5分-1寸. 灸 3-5壯.

049 火串 : 三焦經을 따라 陽池에서 3寸. (三焦經 支溝)

▶ 肋骨痛, 下臂痛, 坐骨神經痛, 便秘

▷ 直刺 3-5分. 患側 刺鍼.

050 火陵 : 三焦經을 따라 火串에서 2寸.

051 火山 : 三焦經을 따라 火陵에서 1寸 5分.

▶ 胸部疾患(胸痛, 胸悶, 胸脹), 上肢筋縮

▶ 火陵: 坐骨神經痛

▷ 直刺 5分-1寸. 對側 刺鍼.

052 手五金 : 大腸經과 三焦經사이, 火山에서 外側으로 5分.

053 手千金 : 大腸經과 三焦經사이, 手五金에서 주關節 쪽으로 1寸 5分.

▶ 坐骨神經痛, 下腿痛

▶ 手千金: 上肢部瘡瘍初起

▷ 直刺 3-5分. 對側 刺鍼.

054 腸門 : 小腸經을 따라 陽谷에서 3寸.

▶ 急性腸炎(腹痛, 泄瀉, 裏急後重) (※ 大腸과 肛門의 緊張을 緩和)

▷ 直刺 3-5分. 留鍼 30-60分.

055 肝門 : 小腸經을 따라 腸門에서 3寸.

▶ 急性肝炎, 肝硬化

▷ 直刺 3-5分. 單側(左側) 刺鍼.

056 心門 : 小腸經을 따라 주關節에서 1寸 5分.

▶ 心臟病(心臟衰弱, 心臟痲痺, 心悸), 大腿內側痛, 膝關節內側痛, 尾骨痛

▷ 直刺 4-7分. 單側(左側) 刺鍼.

上臂前面部

057 分金 : 肺經을 따라 尺澤에서 1寸 5分.

▶ 感冒, 鼻炎, 喉頭炎

▷ 直刺 5分-1寸.

058 雲白 : 肩尖에서 가슴방향으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2寸.

059 李白 : 雲白에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2寸.

▶ 下肢病(下肢無力, 下半身不遂, 小兒痲痺), 下腿痛, 과關節痛, 婦人經痛

▶ 雲白: 婦人陰部瘙痒痛, 赤白帶下

▷ 直刺 3-5分.

上臂側面部

060 背面 : 肩峰端과 上脘骨頭 사이, 擧臂시 陷凹處. (大腸經 肩우)

▶ 全身疲勞, 發音無力, 下肢無力, 나력

▷ 點刺出血.

061 肩中 : 肩尖에서 3寸.

▶ 下肢病(下肢無力, 下半身不遂, 小兒痲痺), 坐骨神經痛, 肩痛, 膝蓋痛, 足內과痛, 頸項部皮膚病

▷ 直刺 5分-1寸. 對側 刺鍼.

062 人宗 : 大腸經을 따라 曲池에서 3寸. (大腸經 手五里)

063 地宗 : 大腸經을 따라 人宗에서 3寸.

064 天宗 : 大腸經을 따라 地宗에서 3寸.

▶ 膝蓋內側痛, 大腿內側痛, 肩甲以上 痛症

▶ 人宗: 感冒, 氣喘 / 地宗: 心臟病, 舌强 / 天宗: 婦人陰部瘙痒痛, 赤白帶下

▷ 直刺 1寸-1寸 5分. ☞ 筋骨이 傷할 수 있으므로 刺鍼部位의 정확도가 요망.

上臂後面部

065 後椎 : 三焦經을 따라 주尖에서 2寸 5分.

066 首英 : 三焦經을 따라 後椎에서 2寸.

▶ 脊椎疾患(椎間板脫出症), 腰閃

▷ 直刺 3-5分.

067 富頂 : 三焦經을 따라 腋窩橫紋에서 2寸.

068 後枝 : 三焦經을 따라 腋窩橫紋에서 1寸.

▶ 高血壓, 頭痛, 頭暈

▶ 富頂: 疲勞, 肝氣虛 / 後枝: 殺菌, 皮膚病

▷ 直刺 3-5分. 疲勞, 肝氣虛엔 淺刺하고 高血壓, 頭痛, 頭暈엔 深刺.

069 支通 : 首英에서 內側 1寸.

070 落通 : 富頂에서 內側 1寸.

▶ 高血壓

▷ 上腕骨 後緣으로 붙여서 直刺 6分-1寸.

071 下曲 : 後枝에서 內側 1寸.

072 上曲 : 肩中에서 後方 1寸.

▶ 高血壓, 下肢病(下肢無力, 下半身不遂, 小兒痲痺), 坐骨神經痛

▶ 上曲: 臂痛, 肝炎, 肝硬化

▷ 直刺 6分-1寸. 對側 刺鍼. 肝炎, 肝硬化엔 點刺出血.

073 水兪 : 背面에서 後下方 2寸, 肩甲棘 下緣의 陷凹處. (小腸經 娼兪)

▶ 腎臟病, 坐骨神經痛, 臂痛, 手腕痛, 手背痛

▷ 直刺 3-5分. 點刺出血. 患側 刺鍼.

 

'침방 > 동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씨기혈  (0) 2016.05.31
  (0) 2016.05.31
  (0) 2016.05.31
다리  (0) 2016.05.31
머리  (0) 2016.05.31
:
Posted by docstory
2016. 5. 31. 15:13

침방/동씨2016. 5. 31. 15:13

« 氏奇穴

< 足趾部 > 074 火包 075 海豹 076 木婦

< 足掌部 > 077 花骨一 078 花骨二 079 花骨三 080 花骨四 081 上瘤

< 足背部 > 082 火硬 083 火主 084 門金 085 木斗 086 木留 087 六完 088 水曲

< 足內側部 > 089 火連 090 火菊 091 火散 092 水相 093 水仙 094 水晶


足掌面 足趾部

074 火包 : 足掌, 둘째 발가락 아랫쪽 橫紋의 正中央.

▶ 心絞痛, 外傷 出血不止, 難産, 胎衣不下

▷ 直刺 3-5分. 點刺出血. 孕婦禁鍼, 禁灸.

足背面 足趾部

075 海豹 : 엄지 발가락 끝마디의 中央 赤白肉際.

▶ 手指痛(拇指, 食指痛)

▷ 直刺 1-3分. 對側 刺鍼.

076 木婦 : 둘째 발가락 가운데 마디의 正中央에서 새끼발가락으로 3分.

▶ 婦人病(帶下), 尿意頻數 (※ 女子의 聖穴)

▷ 뼈에 沿하여 直刺 2-4分하거나 拇趾 쪽으로 뼈에 沿하여 橫刺. 兩側 刺鍼.

足掌部

077 花骨一 : 足掌, 拇趾와 第2足趾 사이의 赤白肉際에서 5分마다 各 4穴.

▶ 眉稜骨痛, 眼疾(沙眼, 角膜炎, 파光, 迎風流淚 等)

▷ 直刺 5分-1寸.

078 花骨二 : 足掌, 第2趾와 第3足趾 사이의 赤白肉際에서 1寸과 1寸 5分處의 2穴.

▶ 手臂痛, 手指無力

▷ 直刺 5分-1寸.

079 花骨三 : 足掌, 第3趾와 第4足趾 사이의 赤白肉際에서 2寸處.

▶ 脊椎骨痛, 坐骨神經痛, 腰痛

▷ 直刺 5分-1寸.

080 花骨四 : 足掌, 第4趾와 第5足趾 사이의 赤白肉際에서 1寸 5分處.

▶ 脊椎骨痛, 坐骨神經痛, 出血

▷ 直刺 5分-1寸.

081 上瘤 : 足掌 뒷꿈치 면의 前緣 正中央.

▶ 腦腫瘍, 腦水腫, 腦震蕩, 小腦痛, 鼻塞, 鼻뉵

▷ 直刺 3-5分. ☞ 刺戟이 강해서 5分 이상 刺鍼하면 心中不安을 야기.

足背部

082 火硬 : 足背, 拇趾와 第2足趾 사이의 赤白肉際에서 5分處. (肝經 行間)

▶ 高血壓, 中風(口금), 下稟骨痛(張口不寧)

▷ 直刺 3-5分. 孕婦禁鍼, 禁灸.

083 火主 : 足背, 第1中足骨과 第2中足骨이 만나는 곳. (肝經 太衝)

▶ 咽喉腫痛, 手脚痛, 心臟病, 肝病, 胃病 (※ 광범위한 主治)

▷ 直刺 3-5分. 手脚痛엔 對側 刺鍼. 孕婦禁鍼, 禁灸.

084 門金 : 足背, 第2中足骨과 第3中足骨이 만나는 곳. (胃經 陷谷)

▶ 急慢性胃腸病(因暑邪), 盲腸炎, 脫肛, 中指麻木, 太陽穴痛, 鼻塞(鼻炎)

▷ 直刺 3-5分. 單側 刺鍼.

085 木斗 : 足背, 第3足趾와 第4足趾 사이의 赤白肉際에서 5分處.

086 木留 : 足背, 第3中足骨과 第4中足骨이 만나는 곳.

▶ 脾腫大, 舌强難言, 三叉神經痛(口張則痛), 全身麻木 (※ 氣血疏通으로 治麻木)

▶ 木留: 中指, 無名指痛

▷ 直刺 3-5分.

087 六完 : 足背, 第4足趾와 第5足趾 사이의 赤白肉際에서 5分處. (膽經 俠谿)

▶ 出血(外傷, 誤刺出血, 腦充血, 肺充血, 咳血 等) (※ 매우 강력한 止血作用)

▷ 直刺 3-5分. 單側 刺鍼. 孕婦禁鍼, 肺病(喘息, 痰多)이나 體弱者 禁鍼.

088 水曲 : 足背, 第4中足骨과 第5中足骨이 만나는 곳. (膽經 地五會)

▶ 手腕無力, 全身關節痛, 肥滿 (※ 강력한 止痛, 減肥作用)

▷ 直刺 3-5分. 禁灸.

足內側部

089 火連 : 趾骨과 第1中足骨의 關節部에서 內側 後方 陷凹處. (脾經 太白)

090 火菊 : 火連 後方 1寸處. (脾經 公孫)

091 火散 : 火菊 後方 1寸處. (腎經 然谷)

▶ 高血壓(眼痛, 前頭痛, 後頭痛, 項痛), 腦腫瘍, 腦膜炎

▶ 火連: 中風後 神志不淸

▷ 中足骨 下緣을 沿해서 直刺 5-8分. 單側 刺鍼. 孕婦禁鍼.

092 水相 : 內과 後方 陷凹處. (腎經 太谿)

093 水仙 : 水相 下方 2寸處.

▶ 腎臟炎, 四肢浮腫, 腎虛腰痛, 産後風, 眼疾(白內障)

▷ 直刺 3-5分. 水相의 경우엔 아킬레스건 前緣을 따라 透刺.

094 水晶 : 內과尖 下方 2寸處.

▶ 子宮疾患

▷ 直刺 5分-1寸.


'침방 > 동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6.05.31
  (0) 2016.05.31
다리  (0) 2016.05.31
머리  (0) 2016.05.31
몸 앞  (0) 2016.05.31
:
Posted by docstory
2016. 5. 31. 15:08

다리 침방/동씨2016. 5. 31. 15:08

« 氏奇穴

< 下腿前面部 > 095 四花上 096 四花中 097 四花副 098 腑腸 099 四花下 100 四花裏 101 四花外 102 消骨 103 上脣 104 下脣

< 下腿後面部 > 105 正筋 106 正宗 107 正士 108 搏球

< 下腿內側部 > 109 天皇 110 天皇副 111 地皇 112 人皇 113 四肢 114 光明 115 上反

< 下腿外側部 > 116 三重 117 側三里 118 側下三里 119 足千金 120 足五金 121 外三關 122 七虎

< 大腿前面部 > 123 通關 124 通山 125 通天 126 內通關 127 內通山 128 內通天 129 姐妹一 130 姐妹二 131 姐妹三 132 感冒一 133 感冒二 134 通腎 135 通胃 136 通背 137 駟馬中 138 駟馬上 139 駟馬下 140 金前下 141 金前上 142 足解

< 大腿內側部 > 143 明黃 144 天黃 145 其黃 146 火枝 147 火全 148 失音

< 大腿外側部 > 149 下泉 150 中泉 151 上泉 152 七里 153 上九里 154 下九里



下腿前面部

095 四花上 : 外膝眼 下方 3寸處. (胃經 足三里)

▶ 胃腸病(消化不良, 胃潰瘍, 胃痛), 心臟病(心躁, 不整脈, 心臟衰弱), 肺病(哮喘), 囍亂轉筋

(※ 升淸降濁하는 調氣作用이 강하고 腸胃의 消化吸收를 촉진)

▷ 肺病엔 直刺 2寸 / 心臟病, 囍亂轉筋엔 直刺 3寸. ☞ 刺鍼 깊이에 따라 主治가 다름.

▷ 胃腸病엔 點刺出血.

096 四花中 : 四花上 直下 5寸處. (胃經 條口)

097 四花副 : 四花中 直下 2寸 5分處.

▶ 胃腸病(急性胃痛, 腸炎), 心臟病(心臟痲痺, 冠狀動脈硬化), 肺病(肺結核, 肺氣腫, 肺癌)

▶ 四花中: 肩胛痛, 주痛, 食指痛 / 四花副: 椎間板脫出症(坐骨神經痛)

▷ 點刺出血. 穴位에 얽매이지 말고 확실히 드러나는 靑筋을 放血. 患側 放血.

098 腑腸 : 四花副 直下 1寸處.

099 四花下 : 四花副 直下 2寸 5分處.

▶ 胃腸病(腸炎, 腹脹瀉瀉), 椎間板脫出症(坐骨神經痛), 睡中咬牙

(※ 骨格脹大를 主治하는 削骨鍼穴)

▷ 直刺 5分-1寸. 腑腸 單獨으론 禁鍼.

100 四花裏 : 四花中 內側 1寸 2分處, 脛骨 外緣.

▶ 胃腸病, 心臟病(心臟痲痺, 不整脈, 心悸) (※ 强心作用)

▷ 直刺 1寸 5分-2寸.

101 四花外 : 四花中 外側 1寸 5分處. (胃經 豊隆)

▶ 胃腸病, 側身痛(偏頭痛, 耳痛, 牙痛, 肩臂痛, 肋骨痛, 側面 坐骨神經痛)

▷ 點刺出血. 穴位에 얽매이지 말고 확실히 드러나는 靑筋을 放血.

102 消骨 : 外膝眼과 解谿를 이은 線上에서 4分點法으로 3穴.

▶ 全身關節腫大(膝關節腫大, 指關節腫大)

▷ 脛骨의 外線에서 直刺. ☞ 刺戟이 강하므로 누워서 刺鍼.

103 上脣 : 膝蓋骨 下緣.

104 下脣 : 上脣 下方 1寸處.

▶ 口舌脣生瘡, 脣痛

▷ 點刺出血

下腿後面部

105 正筋 : 內外과尖을 이은 아킬레스腱의 中央.

106 正宗 : 正筋 上方 2寸處.

107 正士 : 正宗 上方 4寸處.

▶ 腦腫瘍, 腦震蕩, 後頭痛, 頸項强痛(落枕), 腰閃

▷ 筋을 透過할 정도로 直刺 5分-1寸. 重症일 때만 3穴을 取穴(보통 正筋, 正宗만 取穴)

☞ 刺戟이 강하므로 體弱하면 옆으로 누워 刺鍼하여 暈鍼을 예방.

108 搏球 : 正筋과 委中사이 線上에서 中央. (膀胱經 承山)

▶ 囍亂轉筋, 背痛(膏황部痛), 腰攣痛, 肌肉痙攣, 破傷風

▷ 鍼尖이 뼈에 닿도록 直刺 1-2寸. 兩側 刺鍼. 瘀血일 경우엔 點刺出血.

下腿內側部

109 天皇 : 脛骨頭 內側陷中, 膝關節 內側 2寸 5分處. (脾經 陰陵泉)

110 天皇副 : 天皇 直下 1寸 5分處.

111 地皇 : 內과上 7寸處. (脾經 漏谷)

112 人皇 : 內과上 3寸處. (脾經 三陰交)

▶ 腎虛證(腎虛腰痛, 坐骨神經痛, 膏황部痛, 頭痛, 陽萎, 遺精 等), 糖尿病, 斜視, 神經衰弱

(※ 補腎强壯시키는데 天皇副가 補腎陽한다면 人皇은 補腎陰)

▶ 天皇: 心臟病, 高血壓 / 天皇副: 手指麻木痛, 手臂不擧(五十肩), 半身不遂

▶ 天皇, 天皇副: 胃酸過多, 反胃(到食症) (※ 五行屬性上 膀胱 陽水經에 해당)

▷ 天皇, 天皇副: 直刺 5分-1寸 / 地皇: 45°斜刺 1寸-1寸 8分 / 人皇: 直刺 6分-1寸 2分

☞ 孕婦禁鍼

113 四肢 : 內과上 4寸處.

▶ 全身諸痛(四肢疼痛)

▷ 直刺 6分-1寸 2分. ☞ 孕婦禁鍼

114 光明 : 水相 上方 2寸處. (腎經 復溜)

▶ 眼疾

▷ 直刺 5分-1寸.

115 上反 : 三皇의 線上에서 地皇을 기준으로 上下 3寸의 各 3穴.

▶ 甲狀腺機能亢進症 (※ 鎭靜作用)

▷ 脛骨에 沿하여 內側에서 外側으로 刺鍼.

下腿外側部

116 三重 : 外과尖 直上 3寸(絶骨)에서 前方 1寸處와 直上 2寸, 4寸의 各 3穴.

▶ 中風, 口眼와斜, 三次神經痛, 舌强不語, 半身不遂, 甲狀腺腫大, 乳痛, 乳癌

▶ 腦腫瘍, 腦膜炎, 腦震蕩 (※ 破氣行血하여 頭部에 강력한 作用)

▷ 直刺 1-2寸.

117 側三里 : 四花上(足三里) 外側 1寸 5分處, 비骨小頭 前緣.

118 側下三里 : 側三里 直下 2寸處.

▶ 偏頭痛, 三叉神經痛, 牙痛, 上臂攣痛, 手腕痛, 胃下垂

▷ 直刺 5分-1寸. 對側 刺鍼.

119 足千金 : 側下三里 直下 2寸에서 後方 5分處.

120 足五金 : 足千金 直下 2寸處.

▶ 喉部疾患(甲狀腺腫, 扁桃腺炎, 喉頭炎, 魚刺경喉), 肩背痛, 腸炎

▷ 直刺 5分-1寸. 對側 刺鍼(甲狀腺腫엔 兩側 刺鍼)

121 外三關 : 外과尖과 膝蓋骨 外側 비骨小頭를 이은 線上에서 4分點法으로 3穴.

▶ 外科疾患, 各種癌(腦腫瘍, 子宮癌), 靑春痘, 肩背痛

▷ 直刺 1寸-1寸 5分.

122 七虎 : 外과尖 後方 陷凹處(崑崙)에서 直上 2寸, 4寸, 6寸의 各 3穴.

▶ 肩骨痛, 鎖骨痛

▷ 直刺 5-8分.

大腿前面部

123 通關 : 大腿正中線上에서 膝蓋骨 上緣 直上 5寸處.

124 通山 : 通關 上方 2寸處.

125 通天 : 通山 上方 2寸處.

▶ 心臟病, 消化不良, 神經性嘔吐, 姙娠惡阻, 眩暈, 四肢痛

(※ 五行屬性上 心, 小腸 火經에 해당)

▶ 通天: 膝蓋痛

▷ 通關: 直刺 3-5分 / 通山: 直刺 5-8分 / 通關: 5分-1寸.

☞ 3穴 중에 임의로 2穴을 취하여 刺鍼. 兩側 刺鍼은 禁忌.

126 內通關 : 通關 內側 5分處.

127 內通山 : 通山 內側 5分處.

128 內通天 : 通天 內側 5分處.

▶ 心臟衰弱, 四肢無力, 手不能擧, 肩痛

▷ 內通關: 直刺 3-5分 / 內通山: 直刺 5-8分 / 內通關: 5分-1寸.

☞ 3穴 중에 임의로 2穴을 취하여 刺鍼. 兩側 刺鍼은 禁忌.

129 姐妹一 : 通山 內側 1寸에서 直上 1寸處.

130 姐妹二 : 姐妹一 上方 2寸 5分處.

131 姐妹三 : 姐妹二 上方 2寸 5分處.

▶ 婦人病(帶下, 月經不順, 子宮炎, 子宮癌), 胃出血, 腸出血

▷ 直刺 1寸 5分-2寸 5分. 兩側 刺鍼.

132 感冒一 : 姐妹二 內側 1寸處.

133 感冒二 : 姐妹三 內側 1寸處.

▶ 重感冒(高熱, 惡寒, 頭痛)

▷ 大腿 中心으로 斜刺 8分-1寸 5分.

134 通腎 : 膝蓋 內側 上緣 陷凹處.

135 通胃 : 通腎 上方 2寸處.

136 通背 : 通胃 上方 2寸處.

▶ 腎臟炎(全身浮腫), 腎虛腰痛, 膏황部痛, 肩峰痛 (※ 五行屬性上 腎 陰水經에 해당)

▶ 通腎: 口渴(糖尿病), 陽萎, 婦人帶下, 子宮痛 / 通胃: 胃病

▷ 通腎: 直刺 3-5分 / 通胃, 通背: 直刺 5分-1寸.

☞ 3穴 중에 임의로 2穴을 취하여 兩側 刺鍼. 3穴을 동시에 刺鍼하는 것은 禁忌.

137 駟馬中 : 양손을 늘어뜨렸을때 中指端이 닿는 부위(風市)에서 前方 3寸處.

138 駟馬上 : 駟馬中 直上 2寸處.

139 駟馬下 : 駟馬中 直下 2寸處.

▶ 肺病(肺氣腫, 氣喘, 鼻塞, 알레르기 鼻炎), 皮膚病(皮膚過敏, 慢性濕疹, 靑春痘)

▶ 胸肋部 打撲傷, 手指痛, 手腕痛, 眼球突出(甲狀腺機能亢進), 耳鳴, 耳聾

(※ 五行屬性上 肺, 大腸 金經에 해당)

▷ 直刺 8分-2寸 5分. 兩側 刺鍼(肋骨痛, 背痛, 坐骨神經痛엔 對側 刺鍼).

140 金前下 : 膝蓋骨 外上角 直上 1寸處.

141 金前上 : 金前下 直上 1寸 5分處.

▶ 胸骨外鼓, 鷄胸

▷ 直刺 3-5分. 兩側 刺鍼.

142 足解 : 膝蓋骨 外上角 直上 1寸處에서 內側 3分處.

▶ 暈鍼, 刺鍼後 鍼眼疼痛, 注射後 肌肉腫大, 各種捻挫, 頭面諸瘡, 麥粒腫

▷ 直刺 3-5分. ☞ 留鍼時間은 8分을 넘기지 않는다.

大腿內側部

143 明黃 : 膝關節 內側 中點과 鼠蹊部 中點을 이은 線의 中點.

144 天黃 : 明黃 直上 3寸處.

145 其黃 : 明黃 直下 3寸處.

▶ 肝臟病(肝炎, 肝硬化, 黃疸, 膽結石), 白血球過多症, 血壓不調, 血糖不調

▶ 椎間板脫出症, 手臂外側痛, 流注性疼痛 (※ 五行屬性上 肝, 膽 木經에 해당)

▷ 直刺 1寸 5分-2寸 5分.

146 火枝 : 其黃 上方 1寸 5分處.

147 火全 : 其黃 下方 1寸 5分處.

▶ 黃疸, 膽囊炎, 膽結石, 白血球過多症

▶ 火全: 脊椎骨痛, 足外痛

▷ 直刺 1寸 5分-2寸.

148 失音 : 膝關節 內側 中點 및 直下 2寸의 各 2穴.

▶ 言語不淸, 咽喉腫痛, 甲狀腺炎, 扁桃腺炎

▷ 直刺 3-5分.

下腿外側部

149 下泉 : 膝蓋部 外側面 正中央에서 直上 2寸 5分處.

150 中泉 : 下泉 直上 2寸處.

151 上泉 : 中泉 直上 2寸處.

▶ 顔面神經痲痺(口眼와斜), 耳重聽

▷ 直刺 3-5分. 對側 刺鍼.

152 七里 : 大腿外側 正中央, 양손을 늘어뜨려 닿는 부위(中九里)와 直下 2寸의 各 2穴. (膽經 風市, 中瀆)

▶ 身體側痛(偏頭痛, 太陽穴痛, 三叉神經痛, 口眼와斜, 耳痛, 肩後側痛, 足과痛), 半身不遂

(※ 疏風과 鎭痛, 鎭靜作用이 극히 강함)

▷ 直刺 8分-1寸 5分.

153 上九里 : 中九里 前方 1寸 5分處.

▶ 肩關節痛, 手不能擧

▷ 直刺 8分-1寸 5分.

154 下九里 : 中九里 後方 1寸 5分處.

▶ 背痛, 足腿痛

▷ 直刺 8分-1寸 5分.

 

'침방 > 동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6.05.31
  (0) 2016.05.31
머리  (0) 2016.05.31
몸 앞  (0) 2016.05.31
등 허리  (0) 2016.05.31
:
Posted by docstory
2016. 5. 31. 15:05

머리 침방/동씨2016. 5. 31. 15:05

« 氏奇穴

< 耳面部 > 155 耳環 156 火耳 157 土耳 158 水耳

< 耳背部 > 159 耳背 160 木耳 161 金耳 162 耳三

< 頭髮部 > 163 正會 164 前會 165 後會 166 州圓 167 州昆 168 州崙 169 州火 170 州金 171 州水 172 總樞

< 眼部 > 173 鎭靜 174 上里 175 四腑一 176 四腑二

< 鼻部 > 177 正本 178 腑快 179 鼻翼

< 觀骨部 > 180 玉火 181 馬金水 182 馬快水 183 木枝

< 口部 >184 六快 185 七快 186 水通 187 水金



耳面部

155 耳環 : 耳垂 正中央. (耳鍼 眼點)

▶ 酒醉, 嘔吐 (※ 확실한 解酒作用)

▷ 外側에서 얼굴쪽으로 斜刺 1分-1寸 5分.

156 火耳 : 對耳輪 外緣 中央. (耳鍼 膝點)

▶ 心臟病, 膝蓋痛

▷ 取穴 부근의 黑色 反應點에 直刺 1-2分.

157 土耳 : 耳甲腔 中央. (耳鍼 脾區)

▶ 胃腸病, 糖尿病

▷ 取穴 부근의 黑色 反應點에 直刺 1-2分.

158 水耳 : 對耳輪의 外緣 下端. (耳鍼 牙痛點에서 睾丸點)

▶ 腎虛疾患

▷ 取穴 부근의 黑色 反應點에 直刺 1-2分.

耳背部

159 耳背 : 耳背 上半部 橫血管處. (耳鍼 上耳背)

▶ 炎症疾患(角膜炎, 喉頭炎, 中耳炎)

▷ 點刺出血.

160 木耳 : 耳背 下方 3分處.

▶ 肝臟病(肝炎, 肝硬化, 肝腫大)

▷ 取穴 부근의 黑色 反應點에 直刺 1-2分.

161 金耳 : 耳背 外緣 上端處. (耳鍼 降壓區)

▶ 肺病, 感冒

▷ 取穴 부근의 黑色 反應點에 直刺 1-2分.

162 耳三 : 耳輪 外緣 上端의 1穴, 中央에 1穴, 下端에 1穴 등 各 3穴.

▶ 感冒(高熱, 頭痛, 扁桃腺炎)

▷ 한 번에 2穴을 點刺出血.

頭髮部

163 正會 : 頭部 正中線과 耳尖을 이은 線의 交叉點. (督脈 百會)

164 前會 : 正會 直前 1寸 5分處. (督脈 前頂)

165 後會 : 正會 直後 1寸 5分處. (督脈 後頂)

▶ 中風(手顫症, 口眼와斜, 半身不遂, 不語), 火氣上逆(高血壓, 頭痛, 眩暈), 尾骨痛

(※ 鎭靜活絡作用이 우수)

▷ 後方으로 皮下鍼 1-3分. 火氣逆上엔 點刺出血.

166 州圓 : 正會 左右로 1寸 5分處의 各 2穴. (膀胱經 通天)

167 州昆 : 州圓 直後 1寸 5分處. (膀胱經 絡却)

168 州崙 : 州圓 直前 1寸 5分處. (膀胱經 承光)

▶ 腦腫瘍, 四肢無力, 半身不遂

▷ 皮下鍼 1-3分. 對側 刺鍼.

169 州火 : 耳尖上 1寸 5分處.

▶ 心因性 坐骨神經痛

▷ 直刺 1-3分.

170 州金 : 州火 後方 1寸處.

▶ 肺因性 坐骨神經痛

▷ 直刺 1-3分.

171 州水 : 後頭部 頂點과 上方 8分의 各 2穴.

▶ 腎因性 坐骨神經痛

▷ 直刺 1-3分.

172 總樞 : 頭部 正中線에서 後髮際上 5分處. (督脈 械門)

▶ 失音, 嘔吐, 吐瀉囍亂, 項痛, 小兒驚氣, 吐乳

▷ 直刺 1-3分하거나 손으로 皮膚를 집어올린 후 點刺出血.

☞ 深刺하면 延髓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주의.

眼 部

173 鎭靜 : 양눈썹 사이 正中央에서 上方 3分處.

▶ 前頭痛, 失眠, 小兒驚風, 四肢痲痺 (※ 痲醉作用이 강함)

▷ 下方으로 皮下鍼 1-2分하거나 點刺出血.

174 上里 : 눈썹 內側端에서 上方 2分處. (膀胱經 瑕竹)

175 四腑一 : 눈썹 外側端에서 上方 2分處. (膽經 絲竹空)

176 四腑二 : 눈썹 正中央에서 上方 2分處.

▶ 前頭痛, 眩暈, 腹脹

▷ 下方으로 皮下鍼 1-2分하거나 點刺出血.

鼻 部

177 正本 : 鼻尖. (督脈 素店)

▶ 過敏性鼻炎, 鼻塞, 酒사鼻, 記憶力減退, (※ 感電時 救急穴)

▷ 點刺出血. ☞ 코 양쪽 軟骨이 손상되지 않게 주의.

178 腑快 : 鼻下緣의 수평선상에서 鼻角에서 外側 5分處. (大腸經 迎香)

▶ 腹脹, 腹痛, 疝氣

▷ 直刺 1-3分.

179 鼻翼 : 鼻翼 上端之溝 陷中處.

▶ 疲勞, 一切痛症(偏頭痛, 眉稜骨痛, 舌痛, 喉頭痛, 四肢骨痛, 坐骨神經痛)

(※ 강력한 鎭痛作用을 하는데 특히 氣虛, 氣鬱로 인한 각종 疼痛에 우수)

▷ 直刺 1-3分.

觀骨部

180 玉火 : 眼 正中央 直下의 觀骨 下緣 陷凹處.

▶ 一切痛症(觀骨痛, 肩臂痛, 四肢痛, 膝蓋痛, 坐骨神經痛)

(※ 강력한 鎭痛作用을 하는데 특히 血虛, 血瘀로 인한 각종 疼痛에 우수)

▷ 直刺 1-3分.

181 馬金水 : 外眼角 直下의 觀骨 下緣 陷凹處. (小腸經 觀店)

182 馬快水 : 馬金水 直下 4分處.

▶ 肩背腰痛(膀胱經 第二線 外側痛), 腰閃, 結石(膀胱結石, 腎結石), 小便頻數, 尿失禁

▷ 直刺 1-3分.

183 木枝 : 馬金水 外上方 1寸處, 觀骨 外側. (胃經 下關)

▶ 膽病(膽結石)

▷ 直刺 1-3分.

口 部

184 六快 : 人中 外側 1寸 4分處.

▶ 結石(膀胱結石, 尿道結石), 陰莖痛(尿道炎, 淋疾)

▷ 直刺 1-3分.

185 七快 : 口角 外側 5分處. (胃經 地倉)

▶ 結石(膀胱結石, 尿道結石), 口眼와斜

▷ 口角 外側으로 斜刺 5分-1寸 5分. 와斜엔 對側 刺鍼.

186 水通 : 口角 下方 5分處.

187 水金 : 水通 內側 5分處. ☞ 取穴, 刺鍼시에는 靑筋이나 黑點을 기준.

▶ 腎虛疾患, 一切氣逆(咳嗽, 喘息, 애逆, 嘔吐, 囍亂)

(※ 補腎과 順氣作用이 매우 강함)

▷ 內側에서 外側으로 斜刺 1-5分하거나 水金에서 水通으로 透刺.

 

'침방 > 동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6.05.31
  (0) 2016.05.31
다리  (0) 2016.05.31
몸 앞  (0) 2016.05.31
등 허리  (0) 2016.05.31
:
Posted by docstory
2016. 5. 31. 14:56

몸 앞 침방/동씨2016. 5. 31. 14:56

« 氏奇穴

前胸部位  VT01喉蛾九穴 VT02十二侯穴 VT03金五穴 VT04胃毛七穴 VT05腑巢二十三穴


[喉蛾九穴]

*取穴 : 在喉結及其上一寸與下一寸五分處, 령(따로 령, 별다른 령)加該三處各左右旁開一寸五分處, 共九穴.

*解剖 : 肺神經.

*主治 : 喉蛾, 喉痛, 甲狀腺炎, 喉양, 痰塞喉管不出(呼吸困難, 狀如哮喘).

*手術 : 用三稜鍼放血.

*注意 : 찰鍼時需將穴部皮肉열起, 以免찰傷筋及軟骨.

*說明 : 喉蛾九穴因治喉蛾(白喉), 幷且有九穴而得名.

*經驗 : 急性扁桃腺發炎, 口不能開, 非放血不可. 但不必九穴都要全放, 只要在上下同一直線上 每三穴列爲一組, 任取一組卽可.

[十二侯穴]

*取穴 : 平行鎖骨下一寸三分處共三穴, 再下一寸五分處又三穴, 兩邊總共十二穴.

*解剖 : 肺神經.

*主治 : 侯沙, 血管硬化之哮喘, 乾藿亂.(傷寒, 重感冒, 藿亂均會引起侯沙)

*手術 : 用三稜鍼出血.

*說明 : 十二侯穴因治侯沙(猩紅熱), 幷且有十二穴而得名.

*經驗 : 侯沙爲沙症的一種, 患此症者坐立不安如侯子故名, 於本穴組放血有效.

[金五穴]

*取穴 : 在胸骨上端半月狀之下陷凹處金肝穴, 每下一節爲一穴, 其順序爲金陰, 金陽, 金轉, 金焦 共五穴.

*解剖 : 心神經, 氣管神經.

*主治 : 乾藿亂, 消化不良(胃脹), 肋痛, 氣管不順, 各種沙症.

*手術 : 用三稜鍼出血.

*說明 : 金五穴之金肝穴卽任脈之天突穴, 其下之金陰, 金陽, 金轉, 金焦四穴亦卽任脈璇璣, 華蓋, 紫宮, 玉堂等穴.

[胃毛七穴]

*取穴 : 從岐骨下緣陷凹處起, 直下一寸一穴, 共三穴. 旁開一寸五分各兩穴(兩邊四穴).

*解剖 : 心胃交叉神經.

*主治 : 羊毛沙, 胃病, 各種藿亂, 心跳, 胃出血.

*手術 : 用三稜鍼出血, 治羊毛沙則需抽出毛絲.

*說明 : 胃毛七穴部位之旁開“一寸五分”應爲“二寸”方爲正確, 因此胃毛七穴之位置應係鳩尾, 巨闕, 上脘(以上三穴屬任脈)及兩旁之不容, 承滿(屬胃經), 兩側計四穴, 總共七穴, 位於胃部附近, 幷以治胃病爲主, 故稱胃毛七穴.

[腑巢二十三穴]

*取穴 : 두臍直上一寸一穴共二穴, 두臍每下一寸一穴共五穴, 두臍旁開一寸一穴, 其上一穴, 其下二穴(共四穴, 兩邊共八穴), 두臍旁開兩寸一穴, 其上一穴, 其下二穴(共四穴, 兩邊共八穴), 總共二十三穴.

*解剖 : 六腑神經.

*主治 : 腸炎, 子宮炎, 腎炎, 腎痛, 臍痛.

*手術 : 用三稜鍼出血.

*說明 : 腑巢二十三穴雖有二十三穴之多, 但幷不每穴皆用, 在精穴簡鍼原則下, 一般只鍼以두臍爲中心, 四旁各開一寸之穴位爲主, 隨病情之嚴重而向四方擴張用穴.

*經驗 : 本穴組治絞腸沙特效, 一次痛卽止. 痛止後可用藿香正氣散加黃柏, 黃連以去熱.

'침방 > 동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6.05.31
  (0) 2016.05.31
다리  (0) 2016.05.31
머리  (0) 2016.05.31
등 허리  (0) 2016.05.31
:
Posted by docstory
2016. 5. 31. 14:53

등 허리 침방/동씨2016. 5. 31. 14:53

« 氏奇穴

後背部位 DT01分枝上穴 DT02分枝下穴 DT03七星穴 DT04五嶺穴 DT05雙鳳穴 DT06九侯穴 DT07三金穴 DT08精枝穴 DT09金林穴 DT10頂柱穴 DT11後心穴 DT12感冒三穴 DT13水中穴 DT14水腑穴 DT15三江穴 DT16雙河穴 DT17沖宵穴


[分枝上穴]

*取穴 : 在肩峯突起後側直下之腋縫中, 當肩胛關節之下一寸處.

*解剖 : 分泌神經.

*主治 : 藥物中毒, 蛇,蝎,蚣等蟲毒, 狐臭, 口臭, 糖尿病, 풍(두풍 풍, 미치광이 풍)狗咬傷, 小便疼, 血淋, 性病之淋病, 食物中毒, 服毒自殺(輕則可治, 重則難醫), 全身發痒, 瓦(기와 와, 질그릇 와)斯(어조사 사)中毒.

*手術 : 1-1.5寸.

[分枝下穴]

*取穴 : 當分枝上穴之直下一寸處再向內橫開五分處.

*解剖 : 分泌神經, 肺分支神經, 乳神經.

*主治 : 同分枝上穴各症及乳炎.

*手術 : 0.5-1寸.

*運用 : 本穴通常爲分枝上穴之配鍼.

*經驗 : 分枝上,下二穴治食物中毒欲嘔吐者立效.

       本穴治被蜜蜂오(차오 오, 집게발 오)刺有特效.

       本穴治紅腫性座瘡有效.

[七星穴]

*取穴 : 包括在項部入髮際八分之總樞穴, 其下一寸之分樞穴, 下二寸之時樞穴, 以及向兩旁橫開  八分去髮一寸之支禹穴, 及支禹穴下一寸之士禹穴(共七穴).

*解剖 : 總樞, 分樞及時樞三穴屬腦總神經, 兩支禹及士禹穴屬肺分支神經.

*主治 : 嘔吐(五藏不安), 感冒頭痛, 小兒高燒, 小兒各種風症.

*手術 : 用三稜鍼放血, 以總樞, 時樞三穴爲主, 支禹, 士禹穴爲配鍼.

*注意 : 放血時, 應用拇指及食指열(모을 열)起血位肌肉, 然後對準穴位札鍼出血, 札小兒應特別 注意, 以免上傷腦部總神經, 下傷丹田, 致耳聾音啞.

*說明 : 總樞穴卽督脈之風府穴, 分樞卽督脈之啞門穴, 雖然因爲有七個穴道, 故稱七星, 但幷不 需要每個穴都鍼, 一般只要鍼總樞(風府), 分樞(啞門)卽能達到療效, 點刺出血效果更佳.

*經驗 : 屢次感冒未治癒, 氣血凝滯不適或頭抽痛, 放血卽舒.

       急性腸炎, 尤其夏日中暑引起者效佳.

[五嶺穴]

*取穴 : 包括五道穴線, 第一道穴線從大椎骨下第二節江口穴起, 每下一節爲一穴, 其順序爲火曲,  火雲, 火長, 火明, 火校, 火門, 土月, 土洩, 直至第九椎下土克穴爲止, 共十穴. 第二條穴  線(左右共兩條)從江口穴向左右平開四指, 金北穴起下一寸爲一穴, 其順序爲金斗, 金吉, 金陵, 火金, 木東, 木杜, 直至木梅穴爲止, 共八穴. 第三條穴線(左右共兩條)從第二條線  向外橫開四指, 共有金枝, 金精, 金神, 木原, 木太, 木菊, 木松七穴, 每穴間隔約一寸.

*解剖 : 從火雲穴至火門穴屬心之神經.

       從土月穴至土克穴屬脾之神經.

       從火金穴以上屬心肺交叉神經.

       從火金穴以下, 左邊屬肺神經, 右邊屬肝神經.

       從金神穴以上屬肺之神經.

       從金神穴以下, 左邊屬肺脾交叉神經, 右邊屬肝肺交叉神經.

*主治 : 血壓高, 重感冒, 發高燒, 發冷, 突然間引起之頭暈, 頭痛, 高血壓引起之手足麻痺, 半身 不遂, 陰藿亂, 陽藿亂, 嘔吐及各種沙症, 血管硬化之腰痛, 乾藿亂, 陰陽藿亂, 急性胃痛.

*手術 : 用三稜鍼札出血.

*注意 : 札鍼部位應先以酒精棉花擦(비빌 찰, 문지를 찰)淨, 然後以手指或鍼柄按壓穴位始可札之.

*說明 : 五嶺穴因鍼刺穴位成五行排列, 且位於身體較高之背脊部位, 古稱五嶺穴.

       五嶺穴之第一行爲脊椎線, 自第一椎起, 每下一椎一穴, 計有十穴. 第二行自第一椎旁開三  寸起每下一椎一穴, 計有八穴, 第三行自第一椎旁開六寸起每下一椎一穴, 計有七穴, 上述 各穴除第一行位於脊椎只有一條外, 第二,三行左右對稱排列, 因此總計有四十穴.

       爲了便於應用, 可以如下之方法記憶, “一椎直下連十穴, 一椎旁三連八穴, 一椎旁六連七穴”.

       五嶺穴之第一行與督脈重複, 第二行與膀胱經重複, 穴位不再此對說明, 因係以點刺治療, 作用與督脈及膀胱經有出入, 因此령(따로 령)立穴名.

       治療時不必四十穴均鍼, 可鍼對上述各病之發病原因及症狀牽連臟腑, 按前述解剖有關之 臟腑神經解剖部位施鍼, 完全以點刺爲主.

[雙鳳穴]

*取穴 : 從大椎骨以下第二與第三脊椎骨間, 向左右橫開一寸五分之火鳳穴起, 每下一寸一穴, 其順序爲火主, 火妙, 火巢, 火重, 火花, 火蜜七次(左右共十四穴).

*解剖 : 心之神經.

*主治 : 手痛脚痛, 手麻脚麻, 手足血管硬化.

*手術 : 用三稜鍼出血.

*說明 : 雙鳳穴顧名思義計有兩行, 位置爲自第二椎旁開寸半起每下一寸一穴連續七穴(雙側計十四穴), 點刺時以患側爲主, 左病鍼左穴, 右病鍼右穴.

[九侯穴]

*取穴 : 包括火鳳, 火主, 火妙, 金堂(金斗上二寸), 金北, 金斗, 金吉, 金枝, 金精九穴.

*解剖 : 心,肺神經.

*主治 : 侯沙.

*手術 : 用三稜鍼出血.

*說明 : 本穴之排列共分三行, 位置爲第二椎旁開寸半之火鳳穴起, 每下一寸一穴, 計有三穴(含火鳳), 大椎旁開三寸之金堂穴起, 每下一寸一穴, 計有四穴(含金堂), 第二椎旁開六寸之金枝及下一寸之金精, 計二穴, 總共九穴, 爲治療侯沙之要穴, 故稱九侯穴, 可記憶爲“二椎寸半連三穴, 一椎旁三連四穴, 二椎旁六連二穴”.

[三金穴]

*取穴 : 包括金斗, 金吉, 金陵三穴.

*解剖 : 心肝交叉神經.

*主治 : 膝蓋痛.

*手術 : 用三稜鍼出血. 左痛取左穴, 右痛取右穴, 兩脚痛則雙邊取穴.

*說明 : 金斗, 金吉, 金陵三穴分別位於第三四五椎外開三寸處, 相當於膀胱經之魄戶, 膏황, 神堂穴, 點刺出血少許, 治療膝關節疼痛, 確有立竿見影之效, 數年大疾亦往往癒於곽(빠를 곽)然.

[精枝穴]

*取穴 : 包括金精, 金枝兩穴.

*解剖 : 肺腎交叉神經.

*主治 : 小腿發脹, 小腿痛.

*手術 : 用三稜鍼出血.

*說明 : 精枝穴含金精, 金枝兩穴, 分別位於第二椎及第三椎旁開六寸處, 點刺出血, 治療小腿酸 脹疼痛, 效果極爲迅速而突出.

[金林穴]

*取穴 : 包括金神, 木原, 木太三穴.

*解剖 : 肺總神經, 右屬肝腎交叉神經, 左屬脾腎交叉神經.

*主治 : 血管硬化之坐骨神經痛.

*手術 : 用三稜鍼放血.

*說明 : 金神, 木原, 木太三穴分別位於第四五六椎外開六寸處, 亦卽緊接於精枝穴下, 點刺治療 大腿及坐骨神經痛確有卓效.

[頂柱穴]

*取穴 : 包括金吉, 金陵, 火金, 金神, 木東, 木杜, 木梅, 木原, 木太, 木菊, 木松十一穴(兩邊共 二十二穴).

*解剖 : 右屬心肝肺交叉神經, 左屬心肝脾交叉神經.

*主治 : 血管硬化之腰痛, 閃腰, 분氣.

*手術 : 用三稜鍼出血.

*說明 : 頂柱穴計有十一穴, 兩側合計則爲二十二穴, 分二行排列, 第四椎至第九椎每椎旁開三寸各一穴, 計六穴, 第四椎至第八椎每椎旁開六寸各一穴, 計五穴, 可記憶爲“四椎旁三連六穴, 四椎旁六連五穴”.

[後心穴]

*取穴 : 包括大椎骨下第四個脊椎關節處火雲, 火長, 火明, 火校, 火門, 土月六穴及脊椎旁開一寸五分之火妙, 火巢, 火重, 火花四穴(兩邊共八穴)與金吉, 金陵, 火金三穴(兩邊共六穴).

*解剖 : 心之總神經.

*主治 : 羊毛沙, 정瘡, 心臟衰弱, 胃病, 急性心臟痲痺, 風寒入裏, 重感冒, 中風, 各種急性沙症.

*手術 : 治羊毛사(羊毛정)時, 用三稜鍼對제著紫點(重者現黑點)將毛絲抽出, 治정瘡, 心臟衰弱 及胃病用三稜鍼出血(限於四肢及面部之정瘡).

*說明 : 後心穴計有十三穴, 兩側合計則爲卄穴, 位置分別爲第一行自第四椎起(含第四椎)每下一 椎一穴, 計六穴, 第二行自第四椎至第七椎計四椎, 每椎旁開寸半各一穴, 共四穴. 第三行自第四椎至第八椎計三椎, 每椎旁開三寸各一穴, 共三穴. 本穴治療上述各症確有卓效. 可 以如下方法記憶“四椎直下連六穴, 四椎寸半連四穴, 四椎旁三連三穴”.

[感冒三穴]

*部位 : 包括安全, 金斗(兩邊)三穴.

*取穴 : 安全穴在大椎骨下緣陷凹處, 金斗穴在大椎之下第五椎旁開四指處.

*解剖 : 安全穴爲脊椎總神經及四肢神經所在, 金斗穴爲心臟二尖瓣神經所在.

*主治 : 重感冒.

*手術 : 用毫鍼鍼入皮下卽見奇效.

*說明 : 此處所指之安全應係指督脈之大椎而言金斗穴卽膀胱經之膏황穴, 大椎連同兩側之膏황 計三穴治感冒甚效, 故稱“感冒三穴”.

[水中穴]

*取穴 : 當第十三椎下旁開一寸五分處.

*解剖 : 腎總神經.

*主治 : 腎虧, 腎虛, 腎臟炎, 婦科經脈不調, 便秘, 口渴, 腰脊椎骨痛.

*手術 : 0.8-1寸.

*說明 : 水中穴位置與膀胱經之三焦兪位置相符.

[水腑穴]

*取穴 : 當第十四脊椎骨下旁開一寸五分處.

*解剖 : 腎總神經.

*主治 : 脊椎骨痛及彎曲困難, 婦女經脈不調, 腎虛, 腎臟炎, 口渴, 便秘, 腸炎, 失眠, 陽萎, 早 洩, 頭痛, 糖尿, 閃腰, 분氣, 頭暈眼花, 腰酸背痛, 急性腎炎, 膀胱結石, 小便不通, 死胎 不下.

*手術 : 0.8-1寸.

*說明 : 水腑穴位置與膀胱經之腎兪位置相符.

[三江穴]

*取穴 : 包括第十三椎下之分線穴起, 每下一節一穴, 其順序爲水分, 水克, 水管, 六宗, 鳳巢, 主 巢七穴及十四椎下旁開四指之六元, 六滿, 六道, 華巢, 環巢, 河巢六穴(兩邊共十二穴).

*解剖 : 腎神經及六腑神經.

*主治 : 經閉, 子宮炎, 腸炎, 閃腰, 분氣, 急性腸炎.

*手術 : 用三稜鍼出血.

*說明 : 三江穴包含兩側之雙河穴及中央十三椎下每下一椎一穴之連續七穴, 計有三行, 故稱爲三 江穴, 除治療上述症狀外, 亦含有雙河穴之療效, 可記爲“十三椎下連七穴, 十四旁三連六穴”.

[雙河穴]

*取穴 : 包括第十四椎下之六元, 六滿, 六道, 華巢, 環巢, 河巢六穴(兩邊共十二穴).

*解剖 : 腎神經, 六腑交叉神經.

*主治 : 手臂痛, 肩背痛.

*手術 : 用三稜鍼出血.

*注意 : 出黑血有效, 出紅血無效.

*說明 : 雙河穴亦爲兩行, 位置爲自第十四椎旁開三寸起, 每下一椎旁開三寸各一穴, 計六穴, 兩側合計十二穴, 其位置分佈與膀胱經符合, 記爲“十四旁三連六穴”.

[沖宵穴]

*取穴 : 包括第二十椎下之妙巢穴, 二十一椎下之上對穴及上對穴下一寸之上高穴, 共三穴.

*解剖 : 小腦神經.

*主治 : 小腦痛, 小腦發脹, 項骨正中脹痛.

*手術 : 用三稜鍼出血.

*說明 : 충소穴治療上述各症及後頭痛, 確有卓效.

'침방 > 동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6.05.31
  (0) 2016.05.31
다리  (0) 2016.05.31
머리  (0) 2016.05.31
몸 앞  (0) 2016.05.31
:
Posted by docstory
2016. 5. 31. 14:29

사암혈도 침방/사암2016. 5. 31. 14:29

虛實寒熱 補瀉法

  正格 勝格 熱格 寒格
太白 太淵 少府
魚際
陰谷 尺澤 大都 魚際 心海
尺澤
然谷 魚際
大腸 三里 曲池 陽谷
陽谿
通谷 二間 解谿 陽谿 前谷
二間
崑崙 陽谿
陽谷 解谿 臨泣
陷谷
商陽 厲兌 陽谷 解谿 俠谿
內庭
陽谿 解谿
少府 大都 太敦
隱白
經渠 商丘 少府 大都 曲泉
陰陵泉
魚際 大都
太敦 少衝 陰谷
心海
大都 少府 行間 少府 陰谷
心海
大都 少府
小腸 臨泣 後谿 通谷
前谷
三里 小海 陽輔 陽谷 通谷
前谷
解谿 陽谷
膀胱 商陽 至陰 三里
委中
臨泣 束骨 陽谷 崑崙 內庭
通谷
陽輔 崑崙
經渠 復溜 太白
太谿
太敦 湧泉 魚際 然谷 陰陵泉
陰谷
行間 然谷
心包 太敦 中衝 陰谷
曲澤
太白 大陵 行間 勞宮 陰谷
曲澤
大都 勞宮
三焦 臨泣 中渚 通谷
液門
三里 天井 陽輔 支溝 通谷
液門
解谿 支溝
通谷 俠谿 商陽
竅陰
陽谷 陽輔 崑崙 陽輔 二間
俠谿
陽谷 陽輔
陰谷 曲泉 經渠
中封
少府 行間 然谷 行間 尺澤
曲泉
少府 行間
* 補其母 抑其官 補其官 瀉其子 補其母經火 抑其官經水 補其官經水 瀉其子經火

* 舍岩鍼灸正傳 熱格 寒格 

* 常用方
骨痺方 : 위중 태계⊖
君火方 : 음곡 심해⊕ 태돈 소충⊖ (반심정격)
氣中方 : 태백⊕ 소부⊖
勞極方 : 경거 소부 태백⊕ 기해 심수⊖
相火方 : 중완(正) 음곡 대도⊕ 지구 곤륜⊖
消炎鎭痛 : 음릉천 내양구(혈해)
瘀血方 : 태백 태연⊕ 곡지⊖
精力方 : 음릉천 누곡 삼음교
酒痰方 : 태백 태연⊕ 태돈 은백⊖
痰眩方 : 소부 어제⊕ 태백 태연⊖ (반폐정격)
喉痺方 : 경거⊕ 액문 중저 곤륜⊖
喉熱方 : 양곡⊕ 함곡 액문 중저⊖

常用穴
견중 : 견골하 2 : 5촌, 삼각근 최고 융기점
수해 : 소부혈과 비슷
신수 : 명문혈(2,3요추극돌간) 양방 1 : 5촌
실면 : 뒤꿈치 바닥 정중앙
정근 : 足底 상 3촌, 아킬레스건 중앙
정종 : 정근 상 2촌
조구 : 족삼리 하 5촌 : 독비혈과 해계혈의 중간
지구 : 외관 상 1촌 요골측 (척골측은 회종혈)
조해 : 족내과 하 4푼 함중
족천금 : 측하삼리 후방 5푼 하 2촌
족오금 : 족천금 하 2촌
족해 : 슬개골 외측상각 상 1촌 내측 3푼(8푼-일침)
측삼리 : 족삼리 외측 1 : 5촌
측하삼리 : 측삼리 하 2촌
통관 : 대퇴주앙선 슬개횡문 상 5촌
통신 : 슬개내측 상연 함요처
풍시 : (비골~슬개외측상 19촌으로 할 때) 슬개외측 상 7촌
후지 : 팔뒤쪽(삼초경), 주관절~액와횡문을 9촌으로 할 때 액와횡문 하 2촌

각 경락 별 요통 주 증상 비교
담정격 - 허리삐끗(염좌) 허리 못펴고 엉덩이 뒤로 뺌
소장정격 - 만성요통 오래 못앉음. 소장수 부위 통증
방광정격 - 방광1선 따라 당기며 아픔. 장딴지, 발4,5지 마비감, 척추측만증

각 경락 수(兪)목혈. 임읍, 후계, 중저, 함곡, 삼간, 속골
육부 양경 통증, 대부분 근골격계 질환 치료
경락, 경근 소통 영양 공급 역할
근골격계 탁월 처방: 담정격, 소장정격, 삼초정격, 위정격, 위승격, 방광승격

호흡기 마황탕증, 방광정격
면역력 저하>폐정격, 억제>대장정격, 계지탕, 마행감석탕
폐렴 경증>폐정격, 중증>대장정격 계지탕+마황부자세신탕, 계지탕+마행감석탕
저산소증 폐정격+소장정격, 시호계지탕
패혈증 혈액응고 장애 저산소증 간정격+폐정격, 숔 간정격+소장정격(심정격), 마황부자세신탕+자감초

1형 인슐린 의존 비정격+대장정격
2형 인슐린 비의존 비정격+간정격

음양 표리 장부 상통

수태음 폐경 족태양 방광경
족태음 비경 수태양 소장경
반표 반리
수소음 심경 족소양 담경
족소음 신경 수소양 삼초경

수궐음 심포경 족양명 위경
족궐음 간경 수양명 대장경

[ 수태음습폐금경(手太陰濕肺金經) 택산함(澤山咸) ~ 족양명조위토경(足陽明燥胃土經) 산택손(山澤損) * 족태음습비토경(足太陰濕脾土經) 중택태(重澤兌) ~ 수양명조대장금경(手陽明燥大腸金經) 중산간(重山艮) ] * [ 수소음군화심화경(手少陰君火心火經) 중화리(重火離) ~ 족태양한수방광수경(足太陽寒水膀胱水經) 중수감(重水坎) * 족소음군화신수경(足少陰君火腎水經) 화수미제(火水未濟) ~ 수태양한수소장화경(手太陽寒水小腸火經) 수화기제(水火旣濟) ] * [ 수궐음풍심포명문상화경(手厥陰風心包命門相火經) 풍뢰익(風雷益) ~ 족소양상화담목경(足少陽相火膽木經) 뇌풍항(雷風恒) * 족궐음풍간목경(足厥陰風肝木經) 중풍손(重風巽) ~ 수소양상화삼초상화경(手少陽相火三焦相火經) 중뢰진(重雷震) ]

# 太陰, 1차적 욕망, , , , Physical, 교만, 지루함, 나태, 중화, 매끄러움, 부드러움, 뚱뚱함, 內質 풍부, 바나나

# 少陰, 2차적 욕망, , 미학, 예술, Emotional, 음탕, 방탕, 방종, 퇴폐적 쾌락, 번성, , , 열정 빠진 妓生, 유연, 민감, 상승, 화려함, 作家 李箱, 공작새

# 厥陰, 3차적 욕망 명예, 권력, 지식, 자존심, Intellectual, 거만, 교만, 경쟁, 경멸, 수렴 회전 운동성, 질김 근육, 덩굴식물

# 陽明, 초조, 허기, 재물상실, 아까움, 빈곤, 거지근성, 궁상맞음, 견고, 건조, 마름, 쭉 뻗은 키, 穀氣, 뻣뻣함, 가을겨울 강함, 나무껍질, 섬유질, 가시

# 太陽, 공포, 긴장, 조심성, 경계의식, 겁쟁이, 의혹, 勇烈한 마음, 의심, 허무주의(니힐리즘), 긴장성, 생식능력저조, 조심성, 위축성, 찬물, 神經草(미모사)

# 少陽, 수치, 無知, 패배의식, 열등감, 공격적 파괴, 잔혹, 몰인정, 잔인, 쌀쌀함, 殺生自己卑下의식, 폭발, 발산, 솜털, 반딧불, 민들레, 전기뱀장어, 큰 키(불안), 四天王像

燥 濕 양명조금(陽明燥金) 태음습토(太陰濕土)
寒 熱 태양한수(太陽寒水) 소음군화(少陰君火)
風=저기압, 火=고기압 궐음풍목(厥陰風木)/ 바람/ 저기압/ 상승기류/ 말랑말랑/ 유연함 '소양상화(少陽相火)/불빛/고기압/하강기류/딱딱함/뻣뻣함'
폐정격: 비경 토혈 태백+ 자경 토혈 태연+ 심경 화혈 소부- 자경 화혈 어제- * 태백,태연 보 = 태음습토 보, 몸을 촉촉하게 적셔주는 작용.(곡지와 족삼리 양명경 토혈 보, 습 제거, 사 습 보충) 서늘하게 촉촉하게 열로 마르고 건조 뻑뻑할 때 습토 보, 가을 서늘한 기운 금 생, 화 사 * 폐허증. 폐 병 주로 오른쪽, 폐정격 왼쪽. 노인들 반대쪽 비정격 겸용. 날카롭고 강한 폐기운을 비정격이 완화. **** 바람 싫고, 건조 증상, 수태음폐경락 기운이 약해 기침, 천식 등 폐기관지 쪽 증상, 수태음폐경 경맥부위 병증. * 열 나며 피부 메마를 때 1) 폐, 기관지, 피부 질환: 마른기침. 오래된 기침, 호흡곤란, 천식, 피부건조증 2) (폐)기허증상: 전신무력, 식은땀. 신경쇠약. 불면증. 불안 초조. 살이 찌지 않음. 인체 측면 저림. 수족 저림 3) 지나치게 근심 많음. 열병. 두통 * 폐허증 증상 특징 : 기운이 없고, 움직이기 싫어하며 얼굴이 마르고 창백. 말소리 힘없고 나지막. 바람 싫고 땀. 피부 건조 * 폐정격 - 피부 건조, 딱딱하지 않고, 각질 떨어져 흰가루 날림 * 대장정격- 피부 건조 딱딱, 바깥 마르고 안은 끈적끈적. 피부 갈라져 진물.
폐승격: 심경 화혈 소부+, 자경 화혈 어제+ 신경 수혈 음곡- 자경 수혈 척택- * 폐열 심해 음 고갈. 태백+,태연+에서 청열자음 효능 강한 음곡-,척택-으로 변환. 1) 비린내 나는 가래 2) 가슴과 옆구리 더부룩하면서 통증 3) 숨이 차고 눕기 어려움 4) 머리카락 만지거나 건드리면 두피 통증
대장정격: 위경 토혈 족삼리+ 자경 토혈 곡지+ 소장경 화혈 양곡- 자경 화혈 양계- * 대장경 기운 자체 말려주는 성질, 토혈 보, 시원한 가을바람 기운 금 생, 화혈 사, 열 꺼 습열 치료. 족삼리 곡지 양토 보, 습 말리므로 뚱뚱한 사람. * 염좌, 요통. 습요통, 다리 무력, *** 목 부위 덩어리, 결핵, 태양인 요통, 항강, 견배통, 후두통, 안구통 등 척추 주변질환 * 대장 병리상태 습열 정체. 대장 약 음식대사물 대장 쌓여 습열 생, 대장 습열, 허리통증. (맹장염) 맹장수술자 요통. * 변비,설사 등 대장질환, 피로, 건조 딱딱하고 진물 피부질환, 아토피피부염 , 갑상선이상 1) 일반적 대장허증 , 대장질환 - 변비, 설사, 치질, 탈항(대장 정기 바로 잡아줌) 2) 요통 : 염좌, 습요통, 다리 무력감 3) 피부병 - 건조 딱딱하면서 진물. 농, 종기 고름등 * 귀 밑 멍울 4) 피로할 때, 피곤해서 생긴 질병, 컨디션 조절 5) 기타: 귀 진물, 목 이상(목 부스럼, 멍울, 연주창), 대변 볼 때 피
대장승격: 소장경 화혈 양곡+ 자경 화혈 양계+ 방광경 수혈 통곡- 자경 수혈 이간- * 온몸, 특히 견비, 다리 욱신욱신 쑤기고 아플 때(통비)
위정격: 소장경 화혈 양곡+ 자경 화혈 해계혈+ 담경 목혈 임읍- 자경 목혈 함곡- * 족양명위경락 기운 약, 눈, 코, 입, 목, 이, 다리 앞 문제. 눈 통증, 코피, 무릎다리 전면 통증, 헛배 부르고 배 끓는 소리, 부종 1) 소화기 문제: 습복통, 소화 안되고 체함. 여윔. 트림 신물. 위염. 위궤양, 식욕 없음, 위허증. *** 중완 통증, 하복부 냉증. 사지냉증 2) 울열증(눈 침침. 소변적탁, 가슴 편치 않음. 눈동자 충혈) * 트림 신물, 속 더부룩 답답, 함곡 한 혈로 효과
위승격: 담경 목혈 입읍+ 자경 목혈 함곡+ 대장경 금혈 상양- 자경 금혈 여태- 1)소화기 문제 : 트름 신물. 중완부위 더부룩 손 대면 편안. 2) 기타: 살갗 아픔. 무릎 속 쑤시는 관절염 * 위승한격=(승격+한격) 입음+ 함곡+ 해계- 양곡- : 위열 각종 질환(다한증), 얼굴 붉은 몸살 감기
비정격: 다용 처방, 심경 화혈 소부+ 자경 화혈 대도+ 목경 간경 목혈 대돈- 자경 목혈 은백- * 여러 경락 써야할 일 겹칠 때는 비정격 먼저, 오장육부 병 먼저 비 치료. 해독 완화 감초, 황토 비슷 일체 중독, 오른쪽에 많이 자침, *** 대맥 압통 * (비 허로) 소화기계 장애, 수분대사 장애(습 울체) 1. 소화기계병: 설사, 소화장애, 명치끝 통증, 메스꺼움, 식욕부진, 복부팽만 2. 습 울체 두통, 머리 무거움, 전신 피로감, 소변불리, 부종, 중이염 3. 팔다리 근육의 불편감. 다리안쪽의 찬기운 4. 다래끼, 만성요통, 발톱무좀
비승격: 간경 목혈 대돈+, 자경 목혈 은백+ 폐경 금혈 경거- 자경 금혈 상구- * 전신 유주통, 허리아래 부종, 어깨근육 뭉침. 착비. 뚱뚱한 사람 관절염
심정격: 간경(목) 목혈 대돈+ 자경 목혈 소충+ 신경(수) 수혈 음곡- 자경 수혈 심소해- * 대돈, 칠정 손상 * (심 허로) 심허증, 여름 더위 병(갈증, 물 자주 마시고 싶음), 저혈압, 심계, 정충, 불면, 마음 불안정 두근거림. 마음 불편. 말더듬음, 건망증, 집중력저하, 가슴 답답 잠 안 올 때, 명치밑 아래로 답답 가슴 그득 * (경락유주) 가슴 아픔, 옆구리 당기는 느낌. 팔 안쪽 뒤쪽 차며 통증, 손바닥 열감과 통증
심승격 (심의항진) 화 자주 내고 욕함. 정신 흐릿함. 견갑통증, 가슴 답답함. 웃음이 절로 그치지지 않음
소장정격: 담경 목혈 임읍혈+ 자경 목혈 후계혈+ 방광경 수혈 통곡- 자경 수혈 전곡- * 임읍 후계 목 기운, 기체와 혈체 풀어주는 작용 강. * 소장허증, 월경전후곤란증, 염증성피부병, 천종 압통 어깨와 등통증 1) 각종 혈증: 혈 맑게 정상 돌리는 작용 A. 혈열 피부병 : 청혈량혈 효과 염증성 피부병 치료(내양구,음릉천 병용) 좁쌀처럼 오돌토돌 주위 벌겋고 가렵고 따가운 피부병(은진), 화농성 피부염. 수술 후 자국, 주사 맞고 피멍, 뜸뜨고 물집 자국, 피부가 불룩 올라온 것 등 B. 부인과 질환 : 생리통, 월경곤란증. 각종 혈허 증상. 소장경 여성호르몬 조절. 부인과 주요경락. 혈허 통증(허리 찌르는 듯 아플 때 담정격) C. 어혈증: 좌측하복부 압통 어혈증. D. 타박 출혈, 코피 등 혈증. 2) 음허화동 : 손바닥 발바닥 열감 3) 경락유주상: 어깨 등 통증, 운동장애. *** 천종 압통. * 메니에르 발작성 현훈
소장승격: 부인과 질환, 목 어깨 팔 통증 1) 여성생리 관련 병증: 생리통, 생리불순, 하복통 2) 편도선염: 오한, 발열, 감기몸살, 감기증상 3) 목, 어깨, 팔 통증: 항강증, 목, 어깨 팔, 목디스크, 견갑통
방광정격: 대장경 금혈 상양+ 자경 금혈 지음+ 위경 토혈 족삼리- 자경- 토혈 위중- * 불 끄는 역할 * 위중: 혈관경화 치료. 지음: 뇌 산소공급 / 위중 사할 때 제삽, 산모에게 지음 신용. * 후두통, 고혈압 , 방광염 , 좌골신경통, 이명 1) 방광허증: 소변문제(소면을 참지 못하고 흘림) 방광염. 전립선 비대증. 몸 부종. 혈뇨 등 2) 방광경 유주선 상 문제 : 후두통, 고혈압, 장딴지 당김. 족외과 제반 문제. 발바닥 답답함. 고소공포증 / 허리통증( 허리 방광제1선 당기며 굽히기 힘듬 무겁고 아픔), 다리까지 뻗어나가는 좌골신경통 * 후두통, 두정부통, 양안구통증, 만성긴장성두통, 신경인성 방광 배뇨곤란
방광승격 1) 허리: 허리에서 발끝까지 판자를 댄 것처럼 아픈 경우. 엉덩이가 얼음장 같이 찬 경우. 몸이 냉한 사람이 허리를 삐끗한 경우 2) 방광실증: 소변 볼 때 열감. 소변색이 누렇고 붉을 때. 아랫배가 더부룩하고 단단히 부으면서 아플 때
신정격{ 폐경 금혈 경거+ 자경 금혈 부류+ 비경 토혈 태백- 자경 토혈 태계- * 1) 일반적인 신허증에 쓴다. 노안, 눈에 날아다님. 귀가 좋지 않음, 피부가 검으면서 윤기가 없음. 온도변화가 있는 곳에서 두드러기가 남 , 배에서 꾸룩꾸룩하며 설사할 때 2) 신양허증: 발기불능, 각종냉증(허리아래, 무릎, 정강이, 발) 소변양이 적고 부종이 있음. 호흡이 짧고 고르지 못함 3) 신음허증: 머리가 어지럽고 눈에 거미 파리가 날아다니는 것 같음. 이명증상 * 쇼그렌 증후군 단백뇨
심포정격: 심포 허 심정격과 대략 비슷한 병증 손바닥 열, 팔 내측 심포경을 따라 아프거나 당길 때. 내상 마음 병 여러가지 신경성 질환. * 심정격과 주치가 비슷 심허와 비슷 1. 신경성질환, 노이로제 - 가슴 두근거림, 화병 2. (경락유주) 손바닥 열감, 팔 불편감. 겨드랑이, 가슴 옆구리 통증 / 겨드랑이 액취증
심포승격: 심포 실, 심승격과 대략 비슷한 병증, 심실, 심포실 체질은 성격이 급하고 약간 과격한 기질. 양적 기운이 많고, 활동적이고 조급. 평소 자신만만하고, 활기차지만 한번 건강이 나빠지면 걷잡을 수 없는 상태로 악화, 양적 기운 과다로 목 총경동맥으로 피가 많이 올라가 얼굴이 붉고, 반신불수, 부정맥 등 심승격과 주치가 비슷. 심실과 비슷 반신불수, 부정맥, 중풍, 협심증
삼초정격: 삼초경 목혈 중저+ 담경 목혈 족임읍+ 삼초경 수혈 액문- 방광경 수혈 통곡- * (삼초허로)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의 중풍 예방, 각종 정신병, 히스테리, 유사전간 , 불면증 ,비옹(찬바람을 쏘이지 않아도 코가 막혀 냄새를 못맡음 ) * (경락유주) 견비통(어깨 무거움), 팔 외측 통증 , 눈꼬리, 뺨, 4째 손가락 문제
삼초승격: (삼초실) 미릉골통, 상열감, 변비, 태양혈두통, 삼초실 여드름, 피부병
담정격: [협계 통곡+ /상양규음-] * [협계 통곡] 담 주관 부위 청열자음, 관절염, 관절불리증 [상양,규음] 주리 조절 발표,해열 울체, * 관절통 諸骨節痛 皆屬於膽 : 일체 골절통증 담 속, 관절 인대는 뼈 이어주는 관절인대 관절 안정성 제공 섬유조직, 관절 인대는 몸의 힘 받쳐주는 중요한 곳, 관절은 소양상화少陽相火에 속, 담 기능 약하면 온 몸 힘을 못 쓰고 血과 관련 邪氣로 관절 통증. * (담 허로) 1. 통증질환, (잦은 발목염좌), 목디스크, 쥐나는 증상 2. 몸 담음제거, 온몸 뼈마디 쑤시고 아픈 신경통 3. 소화불량 4. 경계, 정충, 야뇨, 다몽, 불면, 가슴답답, 잦은 한숨, 만성 피로 - 진정작용 5. 감기, 감기후유증 * 膽氣 안정화 膽 불안정 야기 2차적 징후들, * 通谷, 俠谿 보 배오 膽氣 안정화 중요 역할 발휘, 通谷은 寒水 天符穴 상부로 청량한 寒水之氣 끌어올려 병리적 상화 준동 다스리고 七竅 맑게 한다. 心膽虛怯 유발 驚悸, 怔忡, 膽 쇠약 근골 피모 자윤, 허로 노화 근골격계 퇴행성 병변 인대 이완 약화, 淸淨之腑 膽氣 소통 痰濁 생성 억제 * (경락유주) 입이 쓰고, 한숨 깊이 쉼, 오한, 발열, 학질, 편두통, 눈꼬리 통증, 다리 바깥쪽 통증, *** 견정 압통
담승격: [상양 규음+/양곡양보-] * [양곡,양보]는 담이 주관하는 부위에서 청열하고, 인후부에 작용 열은 혈을 조하게 하고, 근육과 관절을 말려 청열하는 양곡양보가 필수적. * (담의항진) 온 몸 뼈마디 아픔, 편두통, 기면증, 가슴 그득 옆구리 아픔

 

간정격: [음곡,곡천+/경거,중봉-] * 신수를 공급하고 폐금의 숙강지기를 조절하여 간이 물을 머금어 위쪽으로 잘 끌어올리도록 하는 의미로서 간음허(간혈허)에 관련된 모든 증상 치료. 임상활용도가 높은 처방. * (간의 허로) 간혈허(간음허)로 인한 근육문제, 통증, 어지럼증, 눈, 옆구리 문제, 근무력증, 성장통, 안구건조증, ((간)혈 부족) 머리가 어지러워 자꾸 눕고 싶은 경우, 근시, 야맹증, 경항두통, 근육시림, 협통, 근육 불편감, 간기능 개선, 근시, 이명, 불면증, 전립선암 * (경락유주): 허리굴신, 생식기문제, 배뇨장애 - 허리를 굽히는게 힘듬. 남녀 생식기 불편함. 가슴 그득, 구토, 설사 등 배뇨장애
간승격: (간 항진) 화를 많이 냄, 머리에 열나며 두통, 급성경련, 성격이 급하고 화를 잘 내는 경우, 머리에 땀이 나는 증상, 긴장성 두통, 손발이 급성으로 오그라들며 뻣뻣해지고 경련이 오는 경우(히스테리성 경련), (급성) 흉골,늑골 타박상, 대상포진 후 신경통, 공황장애, 과민성장증후군

 

:
Posted by docstory